KR101205289B1 - G-250 발현 종양의 개선된 보조제 요법 - Google Patents

G-250 발현 종양의 개선된 보조제 요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289B1
KR101205289B1 KR1020067027704A KR20067027704A KR101205289B1 KR 101205289 B1 KR101205289 B1 KR 101205289B1 KR 1020067027704 A KR1020067027704 A KR 1020067027704A KR 20067027704 A KR20067027704 A KR 20067027704A KR 101205289 B1 KR101205289 B1 KR 101205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tibody
antigen
cancer
pati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6085A (ko
Inventor
올라프 빌헬름
스벤 와르나아르
Original Assignee
빌렉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렉스 아게 filed Critical 빌렉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36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2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3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전이성 질병을 갖는 것으로 진단된 고-위험 환자에게 G250-항원-특이적 항체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250-항원-발현 종양, 특히 신장 투명 세포암의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조제 요법, 항체, 신장 투명 세포암, G250-항원, 신장절제술

Description

G-250 발현 종양의 개선된 보조제 요법{Improved adjuvant therapy of G250-expressing tumors}
본 발명은 비-전이성 질병(non-metastasising disease)으로 진단된 고-위험군 환자들에게 보조제 치료 양식으로 G-250-항원-특이적 항체의 투여를 포함하는 G-250-항원-발현 종양(G250-antigen-expressing tumor), 특히, 신장 투명 세포암(renal clear cell carcinoma)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G250 항원은 다수의 암과 밀접하게 관련되며, 그 중에서 신세포암(renal cell carcinoma)은 최초로 입증된(documented) 사례들 중 하나였다. 따라서, G250 항원은 처음에는 신장 암과 관련된 항원으로 기술되었다(WO88/08854). 나중에, CAIX로도 지칭되는 탄산 탈수 효소(carbonic anhydrase) 활성을 갖는 세포 표면 항원인 종양 관련 항원 MN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상적인 G250 발현은 그의 생리적 역할이 pH 조절인, 위, 장 및 쓸개의 점막에서 발견된다. 그의 정상적인 발현 양상 외에, G250 발현은 경부암(1), 십이지장암(2), 대장선암(3), 폐암(4), 담낭암(5) 및 투명세포 신세포암(RCC)(WO88/08854)에서 발견된다.
RCC의 경우, 유럽 연합에서 1995년에 41,325 건의 신규 사례들이 진단되었고, 그 질병으로부터 21,728 건의 사망이 초래되었다(EUCAN 데이터베이스, 1995). 미국 보건복지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에 따르면, 매년 약 30,000 건의 신규 사례가 진단되며, 약 12,000건의 RCC 관련 사망이 발생하고 있다(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EER Cancer Statistics Review, 1999).
약 50-60%의 환자들은 초기에 I 기 또는 II 기의 질병, 즉, 국소형(localized) RCC를 갖는다. 원발성 종양(primary tumor)의 수술에 의한 제거 후에, 이 환자들은 각각 60-80%(I 기) 및 40-60%(II 기)의 5-년 생존율(5-year survival rate)로 양호한 예후를 갖는다. 나머지 환자들은 덜 양호한 예후를 갖는다. 진단 시점에 III 기 질병, 즉, 비-전이성 질병을 갖는 대부분의 환자들(전체 환자들의 20-25%)도 외과적 수술을 받을 것이다. 그들의 5-년 생존율은 20-40%에 불과하다. 임상적으로 검출가능한 종양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그와 같은 환자들은 분명히 종양 재발의 높은 위험을 갖는다. IV 기(전이성) 질병을 갖는 환자들(전체 환자들의 10-20%)은 0-20%의 5-년 생존율을 갖는다(6). 질병의 진행 단계, 병기(stage)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TNM 분류에 따라 정의된다:
표 1: 병기(stage) 분류(31)
I 기 T1 N0 M0
II 기 T2 N0 M0
III 기 T3
T1, 2, 3
N0
N1
M0
M0
IV 기 T4
모든 T
모든 T
N0, N1
N2
모든 N
M0
M0
M1
814명의 환자들에 대한 결과 평가를 통한 전향적 연구(prospective cohort study)는 질병-특이적 생존율 및 전체 생존율로 5개의 상이한 범주들을 정의할 수 있었다(7). 이 범주들은 1997 TNM 분류, Fuhrman의 등급 및 ECOG의 전신 상태의 정도(ECOG performance status)에 의해 정의된, 위험군들로 전환되었다. 486명의 비-전이성 환자들 중에서, 128명(27%)은 저-위험 환자들, 190명(41%)은 중간-위험 환자들이고, 150명(32%)은 고-위험 환자들이었다. 이 군들 간의 5-년 전체 생존율은 각각 84%, 72% 및 44%로 상당히 상이했다. 고-위험 군에서, 42.5%의 환자들은 신장 절제 후 첫 2년 내에 재발했다. Fuhrman의 핵 등급(nuclear grading)은 하기의 표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표 2: Fuhrman의 핵 등급(32)
1 등급(GI) 미세한 핵소체들을 갖거나 또는 핵소체들을 갖지 않는, 직경이 약 10 마이크론인 둥글고, 균일한 핵들(RBC는 직경이 6 마이크론임)
2 등급(GII) 400배에서 관찰가능한 핵소체들을 가지며, 약 15 마이크론의 직경 및 약간 부정형의 윤곽을 가짐
3 등급(GIII) 100배에서 관찰가능한 대형 핵소체들을 가지며, 약 20 마이크론의 직경 및 적당하게 내지 두드러지게 부정형인 윤곽을 가짐
4 등급(GIV) 3 등급의 핵들에 유사한 핵이나 또는 다엽성(multilobular) 핵 또는 다중(multiple) 핵 또는 기괴한 핵 및 염색질의 농축된 덩어리(heavy clump)가 존재함
환자들에서 RCC의 조기 진단 증가 및 수술 후의 높은 재발률 때문에, 효과적인 보조제 요법들의 고려가 필요하다.
암은 국소화-한 지점에서만 성장함-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 확산되기 시작했을 수도 있다. 암 세포들은 아직 검출될 수 없는 매우 작은 수로 신체 내로 침투했을 수 있다. 환자들은 일차적인 치료 후에 증상이 없어질 수 있다. 보조제 요법은 관찰될 수 없는 남아있는 암 세포들을 표적화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외과적 수술 또는 방사선 치료와 같은 일차적인 치료 후에 암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제 요법들이 이용된다. 4종의 주요한 보조제 요법이 존재하며, 이들은 암 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 화학요법
- 호르몬 요법
- 방사선 요법
- 면역 요법.
보조제 요법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수용되며 유방암 및 직장암과 같은 여러 암에서 정립되어 있다. 신장 절제 수술 후 재발된 환자들의 경우, 재발까지 소요 시간의 중앙값(median time)은 15 내지 18개월이고 재발의 85%는 3년 내에 발생한다(8). 현재까지 RCC의 보조제 치료를 위해 승인된 약은 없다.
Pizzocaro 등은 24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RCC에서의 대규모 보조제 연구를 보고했다(9). 환자들의 절반은 외과적 수술 후 1개월 이내에 개시된 6개월의 기간 동안, 주별로 3회씩 근육 내로(i.m.) 인터페론-α(IFN-α)를 투여받았다. 환자들의 나머지 절반에 대해서는 관찰만 하였다. 5-년 총 생존확률(5-year overall survival probability) 및 부작용없는 생존확률(event free survival probability)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97명의 림프절 음성(lymph node negative)환자들의 경우, 치료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유해한 효과가 관찰되었다. pN2/pN3으로 치료된 13명 환자로 구성된 소규모 서브-그룹에서(하기의 분류 참조), 3-년 누적 생존확률을 검토했을 때, 보호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 환자 그룹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이 데이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환자들의 55%는 IFN-α에 의해 유발되는 독성의 징후를 보였고 28%는 투여량 감소 및/또 는 치료법의 적용 중단을 요구했다. 결과들은 IFN 치료군에서 보다 높은 사망율 및 보다 높은 재발율을 보여주었고, 환자의 13%는 4 등급의 독성을 경험했다.
보조제 환경(adjuvant setting)에서 인터루킨-2(IL-2)의 역할은 아직 최종적으로 정의되지 않았다. 미국의 Cytokine Working Group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한 연구는 현재 관찰 대비 고 투여량 IL-2를 평가하고 있다(10). 유의성 있는 독성과 결합된 긍정적인 연구 결과의 부재 때문에, 신장 절제 후 현재의 표준 관리방법은 세심한 관찰이다.
RCC에서 자기유래의 백신화 방법(autologous vaccination approach)를 이용한 보조제 요법을 포함하는 III상 임상 연구가 현재 진행 중에 있다(National Cancer Institute, www.cancer.gov; Antigenics, press release Dec. 22, 2003).
일반적으로 수술 후 RCC 환자의 예후를 측정하는 주요한 파라미터는 TNM 분류법에 의해 기술되는 병리적 단계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TNM 분류는 하기와 같이 2002년에 개정되었다(11):
표 3: TNM 분류법
T1 가장 큰 치수로 종양≤7cm이고, 신장에 한정됨
T1a 가장 큰 치수로 종양≤4cm이고, 신장에 한정됨
T1b 가장 큰 치수로 종양>4cm 이나 ≤7cm이고, 신장에 한정됨
T2 가장 큰 치수로 종양<7cm이고, 신장에 한정됨
T3 종양이 보다 큰 정맥 또는 부신 또는 신주위 조직으로 침범되나, 게로타 근막(Gerota's fascia)을 넘어서지는 않음
T3a 종양이 직접 부신 또는 신주위 조직 및/또는 신장 강 지방(renal sinus fat)을 침범하나 게로타 근막을 넘어서지는 않음
T3b 종양이 신정맥 또는 그의 (근육 포함) 분지들(segmental branches) 또는 횡경막 아래의 대정맥까지 신장됨
T3c 종양이 횡경막 위쪽의 대정맥까지 신장하거나 대정맥 벽을 침범함
T4 종양이 게로타 근막을 넘어서까지 침범함
N0 인접(regional) 림프절 전이 없음
N1 하나의 인접 림프절 전이
N2 하나 이상의 인접 림프절 전이
M0 원격 전이(distant metastasis) 없음
M1 원격 전이
한 병원에서 후향적으로(restrospectively) 평가된 근치 신장절제술(radical nephrectomy)을 받은 총 675명의 환자들에서, 환자들의 48%는 pT1을 가졌고, 20%는 pT2, 10%는 pT3a, 20%는 pT3b를 갖고, 2%는 pT4를 가졌다(12).
TNM 분류는 혈관과 주변 조직들의 육안으로 결정가능한 침투만을 고려한다. 다변량 통계 분석(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을 이용하여, 퇴화(anaplasia) 및 미시적 혈관 침투(MVI)의 등급도 예후적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후자의 두 변수들은 MVI가 각각 GII-GMI의 핵형 등급에 대해 56%의 혈관 침투 및 G1 종양들에서 24%로, MVI는 높은 등급의 퇴화를 갖는 종양들에서 특히 빈번하고, 낮은 등급의 종양들에서는 덜 빈번하기 때문에 예후적으로 상호 연관되어있다. 혈관 침투를 갖는 환자들은 혈관 침투를 갖지 않는 환자들보다 높은 빈도의 전이를 갖는다(47% vs. 21%)(13).
키메라성 단일클론 항체(chimeric monoclonal antibody) cG250는 Oosterwijk 등에 의해 최초로 기재된, 쥐 단일클론 항체(murine monoclonal antibody) mG250의 IgGI kappa 경쇄 키메라 버전이다. 키메라성 G250 (cG250)은 경쟁적 결합 분석(competitive binding assay)에서 쥐 mG250에 동등한 것으로 파악되었고, 인간 종양 세포 주들에 대해서도 mG250에서와 같이 유사한 결합 반응성을 보인다. G250은 신장암 세포들 상에서 세포-표면 항원(MN 항원)을 검출한다. 신선한 동결 조직들의 절편(section)에 대한 면역 조직학적 분석에서, G250은 투명 세포 유형의 신장암들의 95%와 반응하고 결장암 및 기타 종양들의 훨씬 낮은 비율과 반응한다. 신장암과의 반응성은 신장암의 75%에서 균일하다(75%이상의 반응성 세포들). cG250의 정상적인 인간 조직과의 반응성은 위점막 및 간의 담도에 한정된다(23, 24).
키메라성 항체는 최소한의 면역반응성 상실과 함께 요오드-131에 의해 방사성 표지될 수 있다. 전이성 RCC를 갖는 1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131I-표지된 항체가 신장절제술 시행 1주일 전에 주입되었다(25). 주입 후에, 방사성 표지된 항체는 점진적으로 종양으로 국소화되고 나머지는 신체로부터 배출되었다. 종양으로 국소화된 표지된 항체의 백분율은 항-종양 항체들에 의한 임상 시험들에서 보고된 것들 중에 가장 높은 것에 속했다.
cG250 항체의 표지되지 않은 제제에 의한 I상(phase I) 다중 투여량 연구에서, 12명의 전이성 RCC 환자들은 투여량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6주 동안 주별로 투여받았다. 그 결과들은 항체가 5, 10, 25 및 50 mg/m2의 모든 투여량 수준들에서 안전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하나의 객관적인(objective) 반응이 관찰되었고 12명의 환자들 중 8명은 치료의 첫 6주 사이클 후에 질병 안정화(disease stabilization)을 보였다(26).
또한, 표지되지 않은 cG250 항체가 단일요법(monotherapy)으로 투여된 II상 연구에서, 전이성 RCC를 가진 32명의 평가가능한 환자들을 1주일에 1회씩 50mg의 cG250으로 20주까지 치료하였다. 그 연구는 항체에 의한 장기적인 치료의 탁월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다. 심각한 약물 관련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고 과민 반응(allergic response)도 일어나지 않았다. 2명의 환자들에서, 매우 낮은 인간 항-키메라성 항체(HACA) 수준이 관찰되었다(27). 32명의 환자들 중에서, 연구 참여시 진행성이었던 6명의 환자들이 최소 6개월 동안 질병의 안정화를 달성했다. 또한, 2건의 종양 퇴화(tumor regression), 1건의 완전한 반응 및 1건의 경미한(minor) 반응이 후속 기간 동안 치료의 완료 후 4개월 경과 시 관찰되었다. 이 환자들 중 어느 누구도 그동안 다른 종양 요법을 받은 적이 없었다. 전체 생존율의 중앙값(median overall survival)은 15.6개월로 결정되었고, 환자들 중 35%는 치료 후 166주까지 생존하고 있었다. 모든 연구들은 cG250의 탁월한 내약성(tolerability)을 확인했다.
cG250의 작용 메카니즘은 항체-의존적 세포독성(ADCC)이나, 다른 작용 메카니즘도 가능할 수 있다. 체외(in vitro) 연구들은 0.5μg/ml의 cG250이 ADCC의 유도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28). 이는 약물이 표적에 도달할 수 있다면, 0.5μg/ml 이상 수준의 cG250을 전달하는 임상적 투여 체계(clinical dosing regimen)가 효능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추적자 용량(tracer dose)의 방사성 표지된 cG250을 이용한 투여량 증가 연구로부터의 결과는 환자당 10mg을 초과하는 단일 투여량이 1주일의 기간 동안 모든 항원 양성 종양 세포들을 포화시키기 위한 최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24). 이 데이터는 0.5μg/ml를 초과하는 혈장 농도가 추가적인 임상적 잇점을 제공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전술된 바와 같이, 최근에 전이성 RCC의 치료를 위한 새로운 요법들이 허가되었고, 신세포암의 생존율은 수십년간 유의성있게 변화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문제는 신규한 치료법 옵션의 파악, 특히, 육안으로 검출가능한 질병의 증거 없이, 신장 절제술 후 재발의 높은 위험을 갖는 RCC 환자들에 대한 광범위하고 용이하게 적용가능하며 무독성인 치료법을 파악하는 것이다.
문제에 대한 해결안은 원발성 종양이 G250 발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환자들의 보조제 요법을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G250 항원 발현 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은 원발성 종양을 갖는 환자에게 보조제 요법으로 G250-항원-특이적 항체 또는/및 그의 항체 단편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는 원발성 종양 절제술 및 필요한 경우, 림프절 절제술을 받았거나 및/또는 원발성 종양 절제술 및, 필요한 경우, 림프절 절제술을 받을 예정이다.
환자가 비-전이성 질병으로 진단받았거나 또는/및 재발의 높은 위험을 갖는 것으로 진단된 것이 바람직하다. 비-전이성 질병 환자들은 본 발명의 분류에 따라 위험군 I, II 또는 III으로 분류될 수 있다(하기 참조).
바람직하게는, 원발성 종양은 G250-항원-발현 종양이고, 특히 신장 투명세포 암, 경부암, 담낭암(biliary carcinoma), 식도암, 대장선암(colorectal carcinoma) 및 폐암으로부터 선택된다.
항-250 항체들은 예를 들면, EP-B-O 637 336에 기재되어 있고, 상기 특허는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항체 또는/및 그의 항체 단편은 다중클론 항체, 단일클론 항체, F(ab')2, Fab', sFv, dsFv와 같은 항원 결합 단편들 및 그들의 키메라화(chimerized), 인간화(humanized) 및 완전한 인간 변이체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항종양 항체는 키메라화 또는 인간화된 G250 항체 및/또는 그의 단편이다. 이 항체들은 본 명세서에 원용에 의해 포함된 PCT/EP02/01282 및 PCT/EP02/01283에 기재된 방법들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항체는 cG250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항체는 DSMZ, Mascheroder Weg 1b, D-38124 Braunschweig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DSM ACC 2526에 의해 생산된 단일클론 항체 G250이다.
보다 바람직한 구체예는 원발성 종양을 갖는 환자에게 보조제 요법으로 G250-항원-특이적 항체 또는/및 그의 항체 단편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는 원발성 종양 절제술 및 필요한 경우, 림프절 절제술을 받았거나 및/또는 원발성 종양 절제술 및, 필요한 경우, 림프절 절제술을 받을 예정인 것인 신장 투명세포 암(renal clear cell carcinoma)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신장 투명세포 암을 치료하는 방법은 항체 cG250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의 위험군들 중 하나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된 종양 환자들은 예를 들면, 재발의 높은 위험을 갖는다. 이 위험군들은 TNM 분류, 6판 UICC(2002)을 참조한다:
ㆍ위험군 I: 원발성 종양이 조직학적으로 입증된 T3bNOMO 또는 T3cNOMO 또는 T4NOMO 단계를 갖는다.
ㆍ위험군 II: 조직학적으로 입증된 T 단계 및 N1 또는 N2 질병
ㆍ위험군 III: 각각 미시적 혈관 침투 및 III 등급(Fuhrman 또는 3개 이상의 등급을 갖는 임의의 핵 등급 시스템)을 갖는 원발성 종양 T1bNOMO 또는 T2N0M0 또는 T3aN0M0
전이는 종양 세포들이 하나의 기관 또는 조직으로부터 다른 기관 또는 조직으로 이동 또는 확산되는 것이다. 종양 세포들은 일반적으로 혈류 또는 림프계를 통해 확산된다. 원발성 종양의 위치 관계(local relationship)에 따라, 전이는 국부 전이(local metastasis)(원발성 종양에 국부적으로 근접한 부위로의 전이), 인접 전이(regional metastasis)(인접 림프계의 영역에서의 전이) 및 원격 전이(distant metastasis)로 구별된다.
NO 및 MO로 진단된 환자들은 위험군 I 또는 III으로 분류될 수 있다. 암의 진행 동안, 림프 전이는 하나의 인접 림프절(TNM 분류에 의하면 N1) 또는/및 고 위험군 II로 분류되는 하나 이상의 인접 림프절(N2)에서 일어날 수 있고, 원격 전이를 갖는 환자들은 전이성 질병으로 분류될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치료되는 환자들은 위험군 I, II 또는 III으로 분류되는 재발의 높은 위험을 갖는 환자들이다.
비-전이성 질병은 인접 림프절에 조직학적으로 입증된 전이를 갖지 않고(TNM에 의하면 NO) 원격 전이를 갖지 않을 수 있다(MO). 그러나, 종양 세포들이 원발성 종양 절제술 후에 남아있으나 조직학적 방법에 의해 검출될 수 없어서, 잔류 종양성 질병(residual tumor disease)의 증거가 없다는 진단을 받은 환자들에서 종양 세포들에 의한 상당한 재발 위험, 예를 들면 미세전이(micrometastases)가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치료될 재발의 높은 위험을 갖는 환자는 NO 및 MO로 분류된 원발성 종양을 가지거나 가졌다. 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원발성 종양 절제술 및, 선택적으로, 림프절 절제술 후, N0 및 M0인 환자는 잔류 종양성 질병의 증거를 갖지 않는 것으로 진단된다.
대안적으로, 비-전이성 질병은 하나의 인접 림프절에서(N1), 또는 하나 이상의 인접 림프절(N2)에서 림프 전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재발의 높은 위험을 갖는 환자는 N1 또는 N2로 분류된 원발성 종양을 가지거나 가졌다.
본 발명의 위험군을 선택하는 근거는 하기와 같다:
위험군 I:
pT3 서브 그룹의 분석은 게로타 근막이 침투되면(pT3a와 pT3b 간의 변이) 곧 생존율 중앙값의 상당한 감소를 보여준다. pT3a에 대한 107개월의 생존 중앙값으로부터 pT3b에 대한 64개월 및 pT3c에 대한 30개월로 감소되었다(14). 또한, 임상적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 RCC가 위험군들로 보다 세분된(subclassified) 81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prospective cohort study)를 수행하였다. "비-전이성 고 위험(non-metastatic high risk)"(NM-HR)로 명명된 한 군은 T3 또는 그 이상의 비 전이성, NO 종양 및 다른 인자들과(기능 척도, 핵 등급)의 상이한 조합을 갖는 환자들을 포함했다. 24개월 차에 약 42%의 재발율을 갖는 이 군은 중 위험(intermediate risk) 및 저 위험(low risk) 군보다 상당히 악화된 예후를 가졌다(7).
위험군 II :
재발 확률은 다른 환자 범주들보다 결절 양성(node positive)의 경우 훨씬 더 높다는 것이 과거에 입증되었다. 결절 양성 군에서 환자의 80%는 30개월 내에 재발되었다. 결절-음성 질병(node-negative disease)을 갖는 환자들은 훨씬 양호한 예후를 가져서, 3년 차에 40% 만이 재발했다(15,16).
위험군 III :
여러 연구들이 그의 예후적 가치에 대해 미시적 혈관 침투(MVI)의 존재를 다루었다. 미시적 침투는 종양이 혈관에서 관찰될 때, 즉, 혈관의 중간막의 하나 이t상의 내피 세포들이 신생 세포군(neoplastic cell group)을 둘러싸는 것으로 인식될 때,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Lang 등은 수술 후 5년 이상의 관찰 기간 동안 근치 신장절제술에 의해 치료된 255명의 NOMO 환자들에서 이 파라미터를 평가했다(17). MVI의 존재는 이중 맹검 조직학 연구(double blind histology study)에 의해 결정하였고, 환자의 29%에서 주목되었다. 이 연구에서, MVI는 독립적이고 유의성 있는 예후 인자가 아니었으나, 증가된 전이성 진행 위험과 관련되었다. 최근에, van Poppel은 근치 또는 부분적 신장절제술 후에 180명의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했다(18). 미시적 혈관 침투의 관련성이 고전적인 종양 병기 결정(staging), 등급(grade) 및 종양 직경에 비교되었다. MVI는 환자의 28.3%에서 발견되었다. MVI를 가지나 림프절 포함 또는 거시적 혈관 침투(macroscopic vascular invasion)를 갖지 않는 환자들에서, 질병 질행의 위험은 1년 내에 45%였다.
MVI의 존재는 유의성있는 예후 인자로 고려될 수 없기 때문에, 원발성 종양 절제술을 받았으나 MVI를 보이지 않는 환자들은 재발의 높은 위험을 갖는 환자들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치료될 환자들은 조직학적으로 입증된 MVI를 보이지 않는다.
또 다른 연구에서, 등급, 혈관 침투 및 젊은 나이가 신장 절제술 후 임상적으로 국소화된 RCC에서 재발의 주요한 독립적인 예측인자로 확인되었다.
등급결정(grading)과 관련하여, 높은 등급의 종양들(예를 들면, Fuhrman 등급 3 및 4)은 낮은 등급의 종양들(등급 1 및 2)을 갖는 환자들보다 저조한 암 특이적 생존율 및 전이 없는 생존율(metastasis free survival)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21).
MVI 및 등급화의 조합은 4 cm보다 큰 종양 크기와 동시에 발생할 때 부정적인 예후 인자(negative prognostic factor)로서 다루어진다. 따라서, 이 환자들도 재발의 높은 위험을 갖는 환자들로 간주되어야 한다. 뒷받침하는 증거들이 pT1 신세포암을 가진 840명의 환자들의 평가로부터 나왔다(20). 이 후향적 연구는 pT1에 대한 7-cm 종양 크기 컷오프가 투명 세포 RCC를 갖는 환자들에게는 너무 클 수 있고 증가된 위험으로의 이행은 4.5 cm와 5 cm 사이의 종양 크기들에서 일어난다는 결론을 뒷받침했다. 이 크기의 종양에서, RCC에 의한 낮은 사망 위험으로부터 (예상보다 낮음) 높은 사망 위험(예상보다 높음)으로의 이행이 주목되었다. 실제로, 2002년에 UICC TNM 분류의 개정으로, pT1a와 pT1b 간의 이행은 4cm로 설정되었다.
따라서,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치료될 환자들은 MVI를 보였다. 부정적인 예후 인자로 다루어질 수 있는 MVI와 등급화의 조합 때문에, MVI를 보이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치료될 환자의 원발성 종양이 GIII 이상의 핵 등급(nuclear grade)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항체는 단독요법(monotherapy) 프로토콜로 투여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항체는 조합 요법(combination therapy) 프로토콜로 투여될 수 있다. 보조제 항체 치료는 다른 유형의 보조제 요법, 예를 들면, 보조제 화학요법, 보조제 호르몬 요법 또는/및 보조제 방사선 요법과 함께 조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항체의존성 세포독성(ADCC)를 증가시키고 및/또는 환자의 면역계, 예를 들면, NK 세포들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사이토카인이 항체와 함께 동시-투여될 수 있다.
사이토카인은 바람직하게는 인터루킨, 예를 들면, IL-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및 15, 인터페론, 예를 들면, IFN-알파, IFN-베타 및 IFN-감마, TNF-알파, TNF-베타, 신경 성장 인자(NGF), CD40, FAS, CD27 및 CD30의 리간드, 란테(Rates), 그들의 활성 단편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사체 및 유도체 및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이토카인은 IL-2 및 IFN-알파로부터 선택된다.
의사는 예를 들면, 환자의 연령, 체중 및 질병의 심각도에 근거하여 G250-항원-특이적 항체의 투여량을 결정할 것이다. 예를 들면 주별 사이클로 환자 1인당 20 mg 또는 50 mg의 cG250의 투여 체계는 0.5μg/ml을 초과하는 농도를 전달하고 따라서 효능을 위해 적합할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G250-특이적 항체의 주별 투여량은 5 내지 250 mg/주의 투여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mg/주의 투여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mg/주 내지 50 mg/주의 투여량이 투여된다.
전술된 첨단 연구들에서 수집된 약동학적(pharmacokinetic) 데이터는 cG250의 저점(trough) 혈장 수준이 치료 6주 내지 10주 내에 안정기(plateu) 수준에 도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당 투여량이 20mg인 경우, 저점 혈장 수준은 10주의 치료 후에 5.5μg/ml로 안정화된 것으로 발견되었다. 놀랍게도, 이는 50mg의 단일 투여량 투여 후 1주일 경과 후 달성되는 것과 거의 동일한 저점 수준(4.2μg/ml)이다. 이는 20mg의 주별 투여량으로 정상-상태(steady-state) 혈장수준을 달성하는 것이 50mg의 사전 부하 투여량(prior loading dose)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가속화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바람직하게는 감소되는 양의 항체가 투여되는 둘 이상의 치료 단계에서 G250-항원 특이적 항체 또는/및 그의 항체 단편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은 G250-항원-특이적 항체 또는/및 그의 항체 단편을 그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두 단계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에서,
(a) 제1 치료단계에서 10-250 mg/주, 바람직하게는, 20-100mg/주,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mg/주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50mg/주의 G250-항원-특이적 항체가 투여되고,
(b) 제2 치료단계에서 5-100 mg/주, 바람직하게는, 10-50 mg/주,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5 mg/주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mg/주의 G250-항원-특이적 항체가 투여된다.
제1 치료단계는 50mg/주의 G250-항원-특이적 항체의 투여를 포함하고, 제2 치료단계는 20mg/주의 투여를 포함하는 것이 훨씬 더 바람직하다.
항종양 항체는 바람직하게는 정맥으로 투여되고, 바람직하게는 주입(infusion) 또는 정맥 주사에 의해 투여된다. 주입에 의한 항체의 투여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약 30분 내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분 내에 수행된다.
최대 20주 동안 20 또는 50 mg의 cG250의 주별 주입의 투여 체계는 잘 수용되는 것으로 보이며 유의성 있는 HACA 생성을 초래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치료 단계는 최대 12주, 바람직하게는 최대 6주,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주를 포함하며 제2 치료 단계는 최대 156주, 바람직하게는 최대 104주,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52주,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2-24주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신장 투명 세포암의 치료를 위한 제1 치료 단계는 최대 1주 및 50mg/주의 cG250의 단일 부하 투여량을 포함하고, 제2 치료 단계는 최대 24주 및 cG250의 20mg/주의 투여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서 투여될 G250-항원-특이적 항체 또는/및 그의 항체 단편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약학적 조성물 또는 키트는 제1 치료 단계에서의 치료료를 위한 G250-항원-특이적 항체 또는/및 그의 항체 단편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포함하고, 제2 치료 단계에서의 치료를 위한 G250-항원-특이적 항체 또는/및 그의 항체 단편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다.
실시예 1
투명 세포 RCC 및 재발의 고 위험을 갖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보조제 항체-cG250 치료법을 포함하는 임상 시험
1.1 설계
본 연구는 수술 후 잔류 질병의 증거가 없고 재발의 고 위험을 갖는 투명 세포 RCC 환자들에서 위약(placebo) 대비 보조제 cG250 치료법의 효능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전향적인, 다-기관, III상 연구(prospective, multi-center, phase III study)이다.
주요 목적은 위약군(placebo arm) 대비 치료군(treatment arm)에서 무-질병 생존율 및 전체 생존율을 평가하는 것에 의해 치료법의 효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항체 요법의 안전성 및 삶의 질에 대한 영향이 평가된다.
1.2 종말점 척도(Endpoint criteria)
일차적인 목표는:
a) 위약 대비 cG250 요법의 무-질병 생존율을 평가하고
b) 위약 대비 cG250 요법의 전체 생존율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차적인 목표는:
c) 검증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치료군 및 위약군에서 삶의 질을 평가하고,
d)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1.3 연구의 소요기간
양 군에서 개별 환자에 대한 치료의 지속기간은 연속된 24주였다. 생존의 모니터링은 310건의 사망이 발생하거나 마지막 환자가 등록된 후 60개월 경과 시점 중 보다 늦은 때까지 지속했다.
1.4 대상자 포함 기준(subjects inclusion criteria)의 선택
ㆍ투명 세포 조직구조 기록을 가진 원발성 신세포암의 사전 신장절제술 (prior nephrectomy)
ㆍ 인접 림프절의 선 절제술 및 병기 결정(staging)이 요구된다.
ㆍ 거시적 및 미시적 잔류 질병의 증거가 없음
ㆍ 다음 중 하나를 갖는 것으로 진단된 환자(TNM 분류, 6판 UICC, 2002 참조):
- 조직학적으로 입증된 단계 T3bN0M0 또는 T3cN0M0 또는 T4N0M0
- 조직학적으로 입증된 T 단계 및 N1 또는 N2 질병
- 원발성 종양 T1bNOMO 또는 T2N0M0 또는 T3aN0M0, 각각 미시적 혈관 침투 및 등급 ≥ III (Fuhrman 또는 3개 이상의 등급을 갖는 임의의 다른 핵 등급 시스템)
ㆍ ECOG: 0 (표 II 참조)
ㆍ 신장 절제술 후 6주 이상 경과되지 않음
ㆍ 음성의 HIV 및 간염 검사 결과
ㆍ 가임기 여성의 경우, 음성의 임신 검사 결과(소변 또는 혈청)
ㆍ 가임기 여성은 적합한 피임법을 취해야 한다.
ㆍ 재발 시까지 장기적인 관리 목적의 방문을 위해 연구 장소로의 복귀를 감수하고자 하는 의지
ㆍ 연령 ≥ 18세
ㆍ 서면의 고지된 동의(informed consent)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
표 II ECOG/Karnofsky 기능 척도(performance scale)
ECOG 성능 상태 Karnofsky 기능 척도
0 모든 활동 가능, 제한 없이 질병에 걸리기 전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함 100 질병에 대한 불평이나 증상 없이 정상임

90 정상적인 활동을 수행할 수 있으나 질병 의 경미한 증상이 있음
1 신체적으로 격렬한 활동은 제한되나, 거동 이 가능하고 가벼운 또는 앉아서 하는 정 적인 일, 예를 들면 가벼운 집안일, 사무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음 80 정상적인 활동을 수행하나 노력이 필요 함, 질병의 징후 및 증상이 보다 현저함

70 자기-관리가 가능하나, 다른 정상적인 생활이나 활동은 수행할 수 없음
2 거동이 가능하고 모든 자기-관리(self- care)가 가능하나 일(work-activity)을 수 행할 수는 없음. 깨어있는 시간의 50% 이 상은 병상에 있지 않음 60 대부분의 필요를 감당할 수 있으나, 때 때로 도움을 필요로 함

50 상당한 도움 및 잦은 치료가 요구됨; 일 부 자기-관리 가능함
3 제한적인 자기-관리만 가능하며, 깨어있는 시간의 50% 이상은 침상이나 의자에 한정됨 40 무력화됨; 특별한 관리 및 도움을 필요 로 함

30 심각하게 무력화됨; 입원이 요구되나 사 망이 임박한 것은 아님
4 완전히 무력함(disabled), 자기-관리를 수 행할 수 없음. 전적으로 침상 또는 의자에 한정됨 20 극도로 아픔; 보조적인 치료 및/또는 입 원이 요구됨

10 사망이 임박함
5 사망 0 사망
1.5 연구용 약제(study medication)
연구용 약제는 연속된 24주간 정맥 주입에 의해 1주일(± 2일)에 1회씩 투여하였다. 1주 차에 cG250 50 mg의 단일 부하 투여량을 투여하고 2-24주차에 cG250 20 mg을 주별 주입하였다. 1주 차의 제1 투여의 경우, 용액으로 총 50mg의 항체를 분배하였다. 2-24주차의 모든 연속적 투여의 경우, 용액으로 총 20mg의 항체를 분배하였다. 용액을 주사기로 취하고 100ml 생리 식염수(normal saline)(멸균된 0.9%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첨가하기 전에 0.2㎛ 필터로 사전-여과시켰다. 필터에서 연구용 약제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를 플러싱(flush)하기 위해 추가적인 2 ml 의 생리 식염수를 이용하였다. 항체를 포함하는 생리 식염수를 주입 용액으로 주사하였다. 주입액은 환자가 앉거나 누워있는 상태에서 15분에 걸쳐 투여하였다.
1.6 효능의 평가
1.6.1 효능 파라미터
위약군 대비 치료군에서의 훨씬 양호한 무-질병 생존율이 치료의 효능 증거로 고려되었다. 이는 전체 생존율의 결정에 의해 뒤이어 확인되었다(생존율 중앙값 및 5-년 생존율 중앙값). 방사성 물질에 의한 평가가 종양의 재발 여부를 보여주었다. 기준 시점(baseline) 및 연구 진행 동안 2회의 전이성 질병 또는 국소적 재발의 징후에 대한 방사선학적 검토가 나선형(spiral) CT를 집중방식으로(centrally) 평가했다.
1.6.2 무-질병 생존율의 평가
종양 재발의 평가는 연구 장소의 방사선과에서 수행된 7.5 mm 이하 두께의 연속 절편에 대해 수행된 흉부, 복부 및 골반 (정맥상)의 조영-증강 나선형 컴퓨터 단층 촬영술(contrast-enhanced spiral computer-tomography(CT))에 근거한다. 품질상의 이유 때문에, 스캔은 CD-ROM에 디지털 방식으로 저장했다. 예외적인 경우에, 예를 들면, 특정 평가 시점의 디지털 데이터가 수득될 수 없는 경우, 필름 형태의 데이터 제공이 허용가능했다.
1.7 통계치
일차적인 연구 종말점은 무-질병 생존율 및 전체 생존율이었다.
ㆍ무-질병 생존율은 랜덤화된 일자(date of randomization)로부터 입증된 재발일까지 계산하였다. 전체 환자의 50%가 재발했을 때, 중앙값에 도달한다. 입증된 재발이 없는 환자들은 본 연구에서 해당 환자의 마지막 평가일에 사정(censor)하였다.
ㆍ재발은 컴퓨터 단층촬영, 사망(질병과 무관한 사망 제외), 또는 새로운 항-종양 요법의 개시에 의해 확인된 바와 같은 전이성 질병 또는 국소적 재발의 징후로 정의된다.
ㆍ전체 생존율은 랜덤화된 일자(date of randomization)로부터 입증된 사망 일자까지 계산하였다. 입증된 사망이 없는 환자들은 본 연구에서 해당 환자의 마지막 평가일에 사정하였다.
이차적인 종말점은 다음과 같다:
ㆍ삶의 질(EORTC QLQ-C30 설문지) EORTC에 의해 개발된 QLQ-C30은 복수-항목 척도(multi-item scale) 및 단일-항목 측정치로 구성된다(24, 25). 이들은 5개의 기능적 척도(funcitonal scale), 3개의 증상 척도, 종합적인 건강 상태/QoL 척도, 및 6개의 단일 항목들을 포함한다. 복수-항목 척도의 각각은 일련의 상이한 항목들을 포함한다-어떠한 항목도 하나 이상의 척도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점수화 절차(scoring procedure)의 코딩을 위한 통계 패키지는 EORTC에 의해 제공되고 SAS에서 수행되었다.
ㆍ임상적 부작용(clinical adverse event)의 발생
ㆍNCI CTC 기준에 따라 평가된 연구실 가치(laboratory values).
1.7.1 통계 모델
5%의 전체적인 유의성 수준(global significance level)을 유지하기 위해 무-질병 생존율 및 전체 생존율에 계층적 테스팅(hierarchial testing)을 적용했다.
일차적인 연구 종말점 중 하나인 무-질병 생존율을 총 5% 알파 수준에서 O'Brien and Fleming 형 경계값(boundary values)에 근거한 그룹 순차적 로그-순위검정(group sequential log-rank test)을 이용하여 cG250군과 위약군간에 비교하였다. 모델 추정값은 Kaplan-Meier 방법을 이용하여 유도하였다. 무-질병 생존율의 일차적 분석은 치료-의도 모집단(intent-to- treat population)(랜덤화된 모든 환자들로 정의됨)을 대상으로 했다.
또 다른 일차적인 연구 종말점인 전체 생존율을 로그-순위검정 및 Kaplan-Meier 방법을 이용하여 cG250군과 위약군 사이에 비교하였다. 전체 생존율의 분석들 내에서 유의성 수준은 전체 유의성 수준을 5%로 유지하는 그룹 순차적 방법을 위해 O'Brien-Fleming 방식을 이용하여 조정하였다. 전체 생존율의 일차적 분석은 치료-의도 모집단(랜덤화된 모든 환자들로 정의됨)을 대상으로 했다.
95% 신뢰 구간은 엄격한 방법(Pearson-Clopper)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무-질병 생존율 및 전체 생존율에 대한 Kaplan-Meier 곡선들은 치료군별로 표시하였다. 기술적 통계치(descriptive statistics)를 이용하였다. 유실된 값 들(missing values)은 대체하지 않았다.
무-질병 생존율 및 전체 생존율 모두에 대한 예후 인자들의 잠재적 영향을 부작용까지의 시간 파라미터(time to event parameter)에 대한 Cox 비례적 위험 모델(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목적은 주요한 예후 인자들에 대한 조정 후에 통계적 유의성의 민감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잠재적인 예후적 가치를 가질 것으로 간주되는 주요한 파라미터들은 연구 참여 시점의 TNM 분류 및 병기(stage of disease)에 반영되었다. 연구 참여 시점에 정의된 3개의 고-위험 기준은 현재까지 신세포암에서 확인된 예후적 가치를 갖는 위험 인자들을 충분히 반영한다.
미국 및 유럽의 연구 장소들의 개별적인 계층화(separate stratification)를 수행했다.
모든 효능 분석들은 치료-의도 모집단을 일차적인 분석 세트로서 이용하여 수행하고 프로토콜별 모집단(per protocol population)을 이용하여 반복하였다.
이차적인 통계 분석 테스트들은 5%의 알파 수준에서 수행하고 예비적인(exploratory) 것으로 간주하여 다중도(multiplicity)에 대한 조정은 하지 않았다.
인용문헌
1. Liao et al. Identification of the MN antigen as a diagnostic biomarker of cervical intraepithelial squamous and glandular neoplasia and cervical carcinomas. Am J, Pathol. 145, 598-609 (1994).
2. Turner et al., Hum. Pathol. MN antigen expression in normal, preneoplastic, and neoplastic esophagus: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a new cancer-associated biomarker. 28, 740-744 (1997).
3. Saarnio et al. lmmunohistochemical study of colorectal tumors for expression of a novel transmembrane carbonic anhydrase, MN/CAIX, with potential value as a marker of cell proliferation. Am. J. Pathol. 153, 279-285 (1998).
4. Vermylen et al. Carbonic anhydrase IX antigen differentiates between preneoplastic malignant lesions in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Eur. Respir. J. 14, 806-811 (1999).
5. Saarnio et al. Transmembrane carbonic anhydrase, MN/CAIX, is a potential biomarker for biliary tumors. 35, 643-649 (2001).
6. DeVita V.T. & Hellman, S.R.S.A. 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1).
7. Zisman. A. et al. Risk group assessment and clinical outcome algorithm to predict the natural history of patients with surgically resected renal cell carcinoma. J. Clin. Oncol. 20, 4559-4566 (2002).
8. Lipton, A. Effects of Renal Cell Carcinoma on the Skeleton. Perry, M.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Educational Book(38th annual meeting), 633-634. 2002.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9. Pizzocaro,G. et al. Interferon adjuvant to radical nephrectomy in Robson stages Il and III renal cell carcinoma: a multicentric randomized study. J. Clin. Oncol. 19, 425-431 (2001).
10. Dutcher,J.P. Introduction to the session on integration of immunotherapy and surgery in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Piantadosi, S. American Socity of Clinical Oncology Educational Book (38th annual meeting), 630-632, 2002.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11. Sobin.L. & Wittekind.C. TNM Classification of Malignant Tumors, 6th edition. John Wiley & Sons (2002).
12. Ficarra,V. et al.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renal cell carcinoma: retrospective analysis of 675 cases. Eur. Urol. 41, 190-198 (2002).
13. Sanchez.d.I.M. et al. Renal cell carcinoma: vena caval invasion and prognostic factors. Eur. Urol. 19, 284-290 (1991).
14. Hermanek,P. & Schrott, K.M. Evaluation of the new tumor, nodes and metastases classification of renal cell carcinoma. J. Urol. 144, 238-241 (1990).
15. Mulders, P.F. & De Mulder, P.H. The role of adjuvant immunotherapy in renal cell carcinoma. Curr. Urol. Rep. 3, 44-49 (2002).
16. Porzsolt, F. Adjuvant therapy of renal cell cancer with interferon-alpha. Delta-p gruppe. Proc.Am.Soc.Clin.Oncol. 11, 202 (1992).
17. Lang,H. et al. Microscopic venous invasion: a prognostic factor in renal cell carcinoma. Eur. Urol. 38, 600-605 (2000).
18. Van Poppel, H. et al. Microscopic vascular invasion is the most relevant prognosticator after radical nephrectomy for clinically non-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J. Urol. 158, 45-49 (1997).
19. Griffiths, D. F. et al. Contribution of grade, vascular invasion and age to outcome in clinically localized renal cell carcinoma. BJU. Int. 90, 26-31(2002).
20. Lau, W.K., Cheville, J.C., Blute, M.L, Weaver, A.L. & Zincke, H. Prognostic features of pathologic stage T1 renal cell carcinoma after radical nephrectomy. Urology 59, 532-537 (2002).
21. Fuhrman, S.A., Lasky, L.C. & Limas, C. Prognostic significance of morphologic parameters in renal cell carcinoma. Am. J. Surg. Patholog. 6, 655-663 (1982).
22. Oosterwijk, E. et al. Monoclonal antibody G 250 recognizes a determinant present in renal- cell carcinoma and absent from normal kidney. Int. J. Cancer 38, 489-494 (1986).
23. Oosterwijk, E. et al. Antibody localization in human renal cell carcinoma: a phase I study of monoclonal antibody G250. J. Clin. Oncol. 11, 738-750 (1993).
24. Steffens.M.G. et al. Targeting of renal cell carcinoma with iodine-131-labeled chimeric monoclonal antibody G250. J. Clin. Oncol. 15, 1529-1537 (1997).
25. Wiseman, G.A. Chimeric G250 monoclonal antibody (cG250) Phase I dose escalation trial in patients with advanced renal cell carcinoma(RCC). ASCO Meeting San Francisco May 2001 (2001).
26. Beck, J. et al. A phase Il trial with monoclonal antibody WX-G250 in advanced RCC. 2nd International Kidney Cancer Symposium Chicago 2001. 30-10-2001.
27. Surfus, J. et al. Anti-renal-cell carcinoma chimeric antibody G250 facilitates antibody-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with in vitro and in vivo interleukin-2-activated effectors. J. Immunother. 19, 184-191 (1996).
28. Steffens, M.G. et al. Phase I radioimmunotherapy of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with 1311-labeled chimeric monoclonal antibody G250. Clin. Cancer Res. 5, 3268s-3274s (1999).
29. Aaronson, N.K. et al.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LQ-C30: a quality-of-life instrument for use in international clinical trials in oncology. J. Natl. Cancer Inst. 85, 365-376 (1993).
30. Fayers, P.M. et al. The EORTC QLQ-C30 Scoring Manual (3rd Edition). European Organis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Brussels (2001).
31. Manual, Tumorzentrum Munchen, 3. Edition 2003 W. Zuckschwerdt, Munchen Wien New York Editor B. Liedl
32. John N. Eble, M.D. and Stephan Storkel, M.D. on the USCAP web site 4/24/01 www.palpath.com

Claims (21)

  1. 원발성 종양을 갖는 환자에게 보조제 요법으로 투여할 G250-항원-특이적 항체 또는 그의 항체 단편을 포함하는, G250 항원 발현 암(G250 antigen expressing cancer)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환자는 비-전이성 질병을 갖는 것으로 진단되고, 원발성 종양 절제술 및 필요한 경우, 림프절 절제술을 받았거나, 또는 원발성 종양 절제술 및, 필요한 경우 림프절 절제술을 받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재발의 높은 위험을 갖는 것으로 진단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발성 종양은 신장 투명 세포암, 경부암, 담낭암, 식도암, 대장선암 및 폐암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G250 항원 발현 암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체 단편은 다중클론 항체, 단일클론 항체, F(ab')2, Fab', sFv, dsFv와 같은 항원 결합 단편들 및 그들의 키메라화(chimerized) 변이체, 인간화(humanized) 변이체 및 완전한 인간 변이체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발성 종양은 TNM 분류에 따라 NO 및 MO로 분류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원발성 종양의 절제 및, 선택적으로 림프절 절제 후에, 상기 환자는 잔류 종양 질병(residual tumor disease)의 증거를 갖지 않는 것으로 진단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발성 종양은 TNM 분류에 따라 N1 또는 N2로 분류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발성 종양은 미시적 혈관 침투(microvascular invasion)를 보이지 않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발성 종양은 미시적 혈관 침투를 보이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발성 종양은 GIII 이상의 핵 등급(nuclear grade)을 보이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위험군 I, II 또는 III으로 분류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3.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이한 양의 G25-항원-특이적 항체 또는 그의 항체 단편이 투여되는 둘 이상의 치료 단계에서 이용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a) 제1 치료 단계에서 10-250 mg/주의 G250-항원-특이적 항체 또는 그의 항체 단편을 투여하고,
    (b) 제2 치료 단계에서 5-100 mg/주의 G250-항원-특이적 항체 또는 그의 항체 단편을 투여하도록 이용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맥 경로를 통해 투여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맥 투여는 30분 이하 동안 수행되는 주입(infusion)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치료 단계는 최대 12주를 포함하며 제2 치료 단계는 최대 156주를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신장 투명 세포암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cG250 또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DSM ACC 2526에 의해 생산된 항체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20. 삭제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제1 치료 단계에서의 치료를 위한 상기 G250-항원-특이적 항체 또는 그의 항체 단편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포함하고, 제2 치료 단계에서의 치료를 위한 상기 G250-항원-특이적 항체 또는 그의 항체 단편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KR1020067027704A 2004-07-02 2005-06-29 G-250 발현 종양의 개선된 보조제 요법 KR101205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8467904P 2004-07-02 2004-07-02
US60/584,679 2004-07-02
PCT/EP2005/006994 WO2006002889A2 (en) 2004-07-02 2005-06-29 Improved adjuvant therapy of g250-expressing tum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085A KR20070036085A (ko) 2007-04-02
KR101205289B1 true KR101205289B1 (ko) 2012-11-27

Family

ID=35431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704A KR101205289B1 (ko) 2004-07-02 2005-06-29 G-250 발현 종양의 개선된 보조제 요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691375B2 (ko)
EP (2) EP2497497B1 (ko)
JP (1) JP2008505143A (ko)
KR (1) KR101205289B1 (ko)
CN (1) CN101052416B (ko)
AU (1) AU2005259481B2 (ko)
BR (1) BRPI0512854A (ko)
CA (1) CA2566950A1 (ko)
DK (1) DK2497497T3 (ko)
ES (1) ES2641089T3 (ko)
MX (1) MXPA06013240A (ko)
RU (2) RU2371198C2 (ko)
WO (1) WO200600288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7081A1 (en) * 2001-02-07 2004-04-22 Egbert Oosterwijk Hybridoma cell line g250 and its use for producing monoclonal antibodies
US20090162382A1 (en) * 2002-03-01 2009-06-25 Bernett Matthew J Optimized ca9 antibodi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AU2003280442B2 (en) * 2002-07-01 2009-02-05 Wilex Ag Co-administration of CG250 and IL-2 or IFN-alpha for treating cancer such as renal cell carcinomas
CN102576025A (zh) 2009-09-18 2012-07-11 三菱化学株式会社 肝细胞癌标记物
RU2442983C1 (ru) * 2011-01-14 2012-02-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скорой помощи имени Н.В. Склифосовского Департамент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г. Москвы Способ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безрецидивной выживаемости по молекулярным факторам у больных с метастазами колоректального рака в печени после ее резекции
EP2839860B1 (en) 2012-10-12 2019-05-01 MedImmune Limited Pyrrolobenzodiazepines and conjugates thereof
AU2014220705C1 (en) * 2013-02-22 2018-10-18 Wilex Ag CAIX stratification based cancer treatment
JP6444902B2 (ja) 2013-03-13 2018-12-26 メドイミューン・リミテッドMedImmune Limited ピロロベンゾジアゼピン及びその結合体
US10188746B2 (en) 2014-09-10 2019-01-29 Medimmune Limited Pyrrolobenzodiazepines and conjugates thereof
EP3525829A1 (en) 2016-10-11 2019-08-21 Medimmune Limited Antibody-drug conjugates with immune-mediated therapy agents
CN113286616A (zh) 2018-05-23 2021-08-20 Adc治疗有限公司 分子佐剂
US20230372528A1 (en) 2020-10-16 2023-11-23 University Of Georgia Research Foundation, Inc. Glycoconjugates
GB202102396D0 (en) 2021-02-19 2021-04-07 Adc Therapeutics Sa Molecular adjuva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62972A2 (en) 2001-02-07 2002-08-15 Wilex Ag Hybridoma cell line g250 and its use for producing monoclonal antibodi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8854A1 (en) 1987-05-06 1988-11-17 Egbert Oosterwijk Monoclonal antibodies to renal cell carcinoma
US5387676A (en) 1992-03-11 1995-02-07 Ciba Corning Diagnostics Corp. MN gene and protein
US6417337B1 (en) * 1996-10-31 2002-07-09 The Dow Chemical Company High affinity humanized anti-CEA monoclonal antibodies
JP2006500905A (ja) 2002-02-13 2006-01-12 ルードヴィッヒ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フォー キャンサー リサーチ ヒト化gm−csf抗体
AU2003280442B2 (en) 2002-07-01 2009-02-05 Wilex Ag Co-administration of CG250 and IL-2 or IFN-alpha for treating cancer such as renal cell carcinoma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62972A2 (en) 2001-02-07 2002-08-15 Wilex Ag Hybridoma cell line g250 and its use for producing monoclonal antibod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371198C2 (ru) 2009-10-27
AU2005259481B2 (en) 2010-04-22
US20070207157A1 (en) 2007-09-06
EP1763367A2 (en) 2007-03-21
KR20070036085A (ko) 2007-04-02
AU2005259481A1 (en) 2006-01-12
BRPI0512854A (pt) 2008-04-08
US7691375B2 (en) 2010-04-06
JP2008505143A (ja) 2008-02-21
EP2497497B1 (en) 2017-06-21
WO2006002889A3 (en) 2006-10-05
RU2519340C2 (ru) 2014-06-10
DK2497497T3 (en) 2017-08-14
MXPA06013240A (es) 2007-02-28
RU2007104040A (ru) 2008-08-10
ES2641089T3 (es) 2017-11-07
RU2009122344A (ru) 2010-12-20
WO2006002889A2 (en) 2006-01-12
CA2566950A1 (en) 2006-01-12
EP2497497A1 (en) 2012-09-12
CN101052416B (zh) 2013-07-10
CN101052416A (zh) 200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289B1 (ko) G-250 발현 종양의 개선된 보조제 요법
AU2018241099B2 (en) Antibodies and vaccines for use in treating ROR1 cancers and inhibiting metastasis
JP4857259B2 (ja) 癌細胞増殖を阻害するための抗α5β1抗体の使用
US9556271B2 (en) Anti-CEACAM1 recombinant antibodies for cancer therapy
CN110882385A (zh) 抗pd-1抗体在治疗肿瘤中的用途
JP2022058699A (ja) 再発性小細胞肺癌の処置方法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抗pd-1抗体
TW201811369A (zh) Mek抑制劑、pd-1軸抑制劑及vegf抑制劑之組合療法
CN112292151A (zh) 抗pd-1抗体在制备治疗实体瘤的药物中的用途
CN115052629A (zh) 抗pd-1抗体在治疗神经内分泌瘤中的用途
CN115364209A (zh) 抗pd-1抗体联合化疗治疗食管癌的用途
CN115066260A (zh) 抗pd-1抗体在治疗恶性肿瘤中的用途
CN115052628A (zh) 抗pd-1抗体在治疗肿瘤中的用途
RU2361614C2 (ru) ПРИМЕНЕНИЕ АНТИТЕЛ ПРОТИВ α5β1 ДЛЯ ИНГИБИРОВАНИЯ ПРОЛИФЕРАЦИИ РАКОВЫХ КЛЕТОК
Elnemr et al. Recent Advances and Surgical Applications of Monoclonal Antibod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