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914B1 - 압연 장치 - Google Patents

압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914B1
KR101204914B1 KR20100061703A KR20100061703A KR101204914B1 KR 101204914 B1 KR101204914 B1 KR 101204914B1 KR 20100061703 A KR20100061703 A KR 20100061703A KR 20100061703 A KR20100061703 A KR 20100061703A KR 101204914 B1 KR101204914 B1 KR 101204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oling water
rolling
water injection
inj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61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083A (ko
Inventor
권훈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61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9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91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용 롤러 유닛과, 상기 롤러 유닛을 거친 압연재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압연재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 유닛과, 상기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냉각수 분사 유닛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압연재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 유닛과, 상기 냉각수에 의한 수증기의 상기 감지 유닛을 향해 유동에 저항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 유닛을 포함하는, 압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연 장치{ROL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주조된 강재를 압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압연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압연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상기 압연공정은 연속주조공정에서 제작된 슬래브, 블룸, 빌렛 등을 2개의 회전하는 롤(ROLL) 사이에 끼워 가늘고 길게 성형하는 것이다.
압연기는 상온 또는 고온에서 회전하는 롤 사이에 재료를 통과시키면서 재료의 소성변형을 통해 판재, 봉재 등을 성형하는 장치이다. 상기 압연기와 압연기의 사이에 이송 가이드가 설치되어 압연재를 다음 공정의 압연롤 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압연기에서 철근을 생산하게 되면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철근이 생산되는데, 이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적재 및 보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연재에 대한 감지의 부정확성을 유발하는 요인을 개선할 수 있는, 압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압연 장치는, 압연용 롤러 유닛과, 상기 롤러 유닛을 거친 압연재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압연재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 유닛과, 상기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냉각수 분사 유닛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압연재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 유닛, 및 상기 냉각수 분사 유닛과 상기 감지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수에 의한 수증기가 상기 감지 유닛을 향하는 유동에 저항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기류 유닛은,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압연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냉각수 분사 유닛의 전방에서 상기 냉각수 분사 유닛 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압연 장치에 의하면, 압연재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유닛의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는 수증기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는, 수증기에 의해 감지의 부정확성이 유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낮추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 장치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증기 차단벽(C)을 형성하는 기류 유닛(400)의 일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기류 유닛(400)에 의한 수증기(V)의 이동을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연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 장치를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압연 장치는, 압연용 롤러 유닛(100)과, 냉각수 분사 유닛(200)과, 감지 유닛(300)과, 기류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압연용 롤러 유닛(100)은 압연재(R)를 가압하여 소성변형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롤러 유닛(100)은, 그들 사이로 압연재(R)가 진행 방향(F)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상부 롤(110)과 하부 롤(120)을 포함한다. 압연재(R)는 롤러 테이블(10)에 의해 이송되어, 냉각상(30)까지 이송된다. 압연재(R)는 선박용 앵글인 I/A(Inverted Angle)일 수 있다.
냉각수 분사 유닛(200)은 롤러 유닛(100)을 거친 압연재(R)에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냉각수 분사 유닛(200)은 진행 방향(F)을 기준으로 롤러 유닛(100)의 전방에 위치한다. 냉각수 분사 유닛(200)의 냉각수를 분사하는 노즐은, 압연재(R)의 측면에 대해 지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압연재(R)의 상측에는, 냉각수 분사 유닛(200)의 비산을 차단하는 커버(30)가 설치될 수 있다. 압연재(R)는 냉각수 분사 유닛(200)을 거치기 전에, 절단기에 의해 설정된 길이로 절단되어 진행할 수 있다.
감지 유닛(300)은 진행 방향(F)을 기준으로 냉각수 분사 유닛(200)의 전방에 설치된다. 감지 유닛(300)은 압연재(R)가 냉각수 분사 유닛(200)을 벗어나서 진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압연재(R)가 냉각수 분사 유닛(200)을 벗어난 것으로 감지되면, 감속기(40, Slow Down Skid)가 작동하여 압연재(R)를 정지시키게 된다.
기류 유닛(400)은 냉각수 분사 유닛(200)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한 수증기가 감지 유닛(300)으로 향하는 것을 차단 또는 완화하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냉각수 분사 유닛(200)과 감지 유닛(300) 사이에는 수증기 차단벽(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류 유닛(400)은 위 수증기의 진행 방향(F)을 따르는 유동에 저항하는 기류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하여, 기류 유닛(400)은 진행 방향(F)에 대략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Blow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풍기와 다른 형태의 기류 유닛(40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도 1의 수증기 차단벽(C)을 형성하는 기류 유닛(400)의 일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기류 유닛(400)은 하나 이상의 노즐(410)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410)은 파이프(420)를 통해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분사하게 된다.
노즐(410)은 냉각수 분사 유닛(200)과 감지 유닛(300) 사이에서 전진 방향(F)에 대해 측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노즐(410)은 압연재(R)의 높이 방향으로 일 열(A)을 이루도록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상의 기류 유닛(400)의 작동 방식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도 2의 기류 유닛(400)에 의한 수증기(V)의 이동을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냉각수 분사 유닛(200)의 냉각수의 수증기는 전진 방향(F)을 따라서 이동하고 또한 상승하면서 감지 유닛(300)을 향해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는 커버(30)에 의해 보다 촉진될 수도 있다.
이때, 감지 유닛(300)의 뒤쪽에는 기류 유닛(400)에 의해 차단벽(C)이 형성될 수 있다.
수증기의 기류(V)는 차단벽(C)에 의해 막혀서, 감지 유닛(30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이는 감지 유닛(300)이 수증기에 노출될 가능성을 낮추어서, 수증기에 의한 감지 유닛(300)의 오작동 가능성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압연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롤러 테이블 20: 냉각상
30: 커버 100: 롤러 유닛
110: 상부 롤 120: 하부 롤
200: 냉각수 분사 유닛 300: 감지 유닛
400: 기류 유닛 410: 노즐

Claims (5)

  1. 압연용 롤러 유닛;
    상기 롤러 유닛을 거친 압연재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압연재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 유닛;
    상기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냉각수 분사 유닛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압연재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 유닛; 및
    상기 냉각수 분사 유닛과 상기 감지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수에 의한 수증기가 상기 감지 유닛을 향하는 유동에 저항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기류 유닛은,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압연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는, 압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유닛은,
    상기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냉각수 분사 유닛의 전방에서 상기 냉각수 분사 유닛 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압연 장치.
KR20100061703A 2010-06-29 2010-06-29 압연 장치 KR101204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1703A KR101204914B1 (ko) 2010-06-29 2010-06-29 압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1703A KR101204914B1 (ko) 2010-06-29 2010-06-29 압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083A KR20120001083A (ko) 2012-01-04
KR101204914B1 true KR101204914B1 (ko) 2012-11-26

Family

ID=4560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61703A KR101204914B1 (ko) 2010-06-29 2010-06-29 압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9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6823A (ja) 1997-02-05 1998-08-18 Nkk Corp 高温鋼板の冷却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6823A (ja) 1997-02-05 1998-08-18 Nkk Corp 高温鋼板の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083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549B1 (ko) 스카핑 장치 및 스카핑 방법
JP2007090428A (ja) 鋼板の熱間圧延設備および熱間圧延方法
KR101320126B1 (ko) 스트립 상향 방지 장치
KR102321282B1 (ko) 열간 압연 후 스틸 스트립을 냉각시키는 사이드 스프레이 방법
KR101691020B1 (ko) 후강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설비
KR101204914B1 (ko) 압연 장치
KR100797246B1 (ko) 압연소재의 체류 냉각수 제거장치
KR20110034456A (ko)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 및 그 방법
JP6347247B2 (ja) デスケーリング方法およびデスケーリング装置
JP2006297410A (ja) 厚鋼板の冷却装置及び方法
KR101622878B1 (ko) 디스케일링 장치
KR101694448B1 (ko) 소재 냉각 장치
TWI637920B (zh) Glass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glass plate manufacturing device
KR101399877B1 (ko) 압연기용 냉각장치
KR101352097B1 (ko) 강판의 에이프런 장치
KR101543887B1 (ko) 온도측정장치
KR20190076331A (ko) 바히터 보호장치
KR101536480B1 (ko) 자성롤을 구비하는 압연설비
KR101620710B1 (ko) 스트립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트립 캐스팅 장치
KR101820748B1 (ko) 압연소재의 디스케일러
JP4858113B2 (ja) 鋼板の冷却設備および冷却方法
JP2022030711A (ja) 圧延材製造システム、および、圧延材の製造方法
KR100934805B1 (ko) 압연기용 스트리퍼 장치
KR101428319B1 (ko) 스케일 제거형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장치
JP2006231361A (ja) H形鋼の冷却ライン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