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456A -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456A
KR20110034456A KR1020090091986A KR20090091986A KR20110034456A KR 20110034456 A KR20110034456 A KR 20110034456A KR 1020090091986 A KR1020090091986 A KR 1020090091986A KR 20090091986 A KR20090091986 A KR 20090091986A KR 20110034456 A KR20110034456 A KR 20110034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oling water
chamber
section steel
steel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1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4456A/ko
Publication of KR20110034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33Spray nozzles, Nozzle headers; Spr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4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2045/0221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for structural sections, e.g. H-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3/00Path parameters
    • B21B2273/18Presence of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연기와 압연기의 사이에 설치되고 롤러테이블(11)에 의해 이송되는 형강 소재(M)의 측면을 가이드하도록 된 중간가이드(10)와; 상기 중간가이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고, 상하로 복수의 분사노즐(31)을 구비하여 상기 중간가이드(10)로 안내되는 형강 소재(M)의 부위별로 냉각수를 차등 분사하는 냉각수단(2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형강 소재의 진입정보에 따라 균일하게 냉각하도록 냉각수를 차등 분사하므로 길이 및 두께가 서로 다른 구조적 특성에도 형강 소재의 불균일 냉각이 방지되어 제품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형강, H형강, 부등변 부등후 앵글

Description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 및 그 방법{Cooling Apparatus for steel and Coo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형강의 각 부위별 냉각 온도 편차를 줄여 냉각시 발생하는 휨(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강은 H형강, 부등변 부등후 앵글, 레일 등이 있다.
이러한 형강은 연속주조에 의하여 제조한 블룸(Bloom), 빌렛(Billet) 등의 주편을 가열로에 장입하여 고온으로 재가열한 후 다수의 압연롤러를 갖는 압연기를 통과하면서 H 형태 또는 앵글 형태 등으로 형성하고, 이후에 냉각상에서 냉각하고 교정하는 작업을 거친 후에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는 과정을 갖는다.
그런데, H형강은 플랜지와 웨브로 구성되고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구조적 특성상 동일한 냉각수량이 균일하게 공급되더라도, 플랜지(flange)와 웨브(Web) 사이의 온도편차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변형이 과다하게 발생된 제품의 경우에는 교정기 치입이 불가능하게 되고, 교정기 치입이 가능하더라도 잔류응력이 존재할 가능성이 커 절단시 제품이 꼬이거나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부등변 부등후 앵글은 장변과 단변의 길이 및 두께가 서로 다른 구조적 특성상 동일한 냉각수량이 균일하게 공급되더라도, 장단변 부위의 대기중 냉각속도 차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H형강과 부등변 부등후 앵글은 형상이 달라 균일 냉각을 위해서는 각각의 냉각장치를 요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냉각장치로 H형강과 부등변 부등후 앵글의 부위별 냉각수량의 차등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압연기와 압연기의 사이에 설치되고 롤러테이블에 의해 이송되는 형강 소재의 측면을 가이드하도록 된 중간가이드와; 상기 중간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고, 상하로 복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중간가이드로 안내되는 형강 소재의 부위별로 냉각수를 차등 분사하는 냉각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냉각수단은 칸막이에 의해 내부가 상하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각 공간에 냉각수가 충진되는 냉각챔버와, 외부의 냉각수를 상기 냉각챔버의 각 공간에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라인과, 상기 냉각수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의 냉각수를 상기 냉각챔버의 각 공간에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냉각수 공급부와, 상기 냉각챔버의 냉각수를 상기 분사노즐측으로 공급하는 냉각수배출라인을 구비한다.
상기 냉각챔버는 내부가 상부챔버, 중간챔버, 하부챔버의 3개의 공간으로 분리된다.
상기 냉각수 공급부는 중간가이드의 진입구간과 배출구간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형강 소재의 진입과 배출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근거로 냉각수 공급을 선택적으로 온/오프 동작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상부챔버, 중간챔버, 하부챔버에 냉각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자동밸브를 포함한다.
중간가이드의 입측으로 진입하는 형강 소재의 진입정보를 감지센서로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은 제어부에서 상기 진입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형강 소재를 냉각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형강 소재의 부위별로 동일한 냉각속도를 갖도록 내부가 상부챔버, 중간챔버, 하부챔버로 구획된 냉각챔버에 냉각수 공급부가 냉각수를 차등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진입정보는 상기 형강 소재의 높이, 폭, 두께, 길이 및 진입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수를 차등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형강 소재가 H형강이면, 상기 상부챔버와 하부챔버에 비해 상기 중간챔버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냉각수를 공급한다.
상기 냉각수를 차등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형강 소재가 부등변 부등후 앵글이면, 상기 상부챔버와 중간챔버에 냉각수 공급을 중지시키고 상기 하부챔버에만 냉각수를 공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형강 소재의 진입정보에 따라 균일하게 냉각하도록 냉각수를 차등 분사하는 냉각장치가 제공되므로, 길이 및 두께가 서로 다른 구조적 특성에도 형강 소재의 불균일 냉각이 방지되어 휨 또는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는 형상이 다른 H형강과 부등변 부등후 앵글에 동시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형강 소재의 형상에 따라 각각의 냉각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혼용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압연기 센터링장치의 중간가이드에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가 구비된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의 상세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의 냉각수 공급구조를 보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는, 압연기 센터링 장치의 중간가이드(10)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중간가이드(10)로 안내되는 형강 소재(M)가 균일한 냉각속도를 갖도록 냉각수를 차등 분사하는 냉각수단(2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압연기 센터링 장치는 압연기로 들어가는 형강 소재(M)와 나오는 형강 소재(M)를 정확한 방향과 위치로 센터링시키는 장치로 롤러테이블(11) 양 옆에 중간가이드(10)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져서, 형강 소재(M)가 롤러테이블(11)을 타고 이동하는 동안 중간가이드(10)가 형강 소재(M)를 안내 및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냉각수단(20)은 냉각수가 충진되는 냉각챔버(21)를 포함한다. 냉각챔버(21)는 중간가이드(1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로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냉각챔버(21)는 형강 소재(M)의 부위별로 냉각수의 차등 분사가 가능하도록 내부가 칸막이(23)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각챔버(21)의 내부는 상부챔버(25), 중간챔버(27), 하부챔버(29)의 3개의 공간으로 분리된다. 냉각챔버(21)를 상,중,하의 3개의 공간으로 분 리함에 의해 형강 소재(M)의 부위별 냉각수 분사량 및 분사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공간은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수공급라인(25a,27a,29a) 및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배출라인(25b,27b,29b)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각 냉각수배출라인(25b,27b,29b)의 단부에는 형강 소재(M)에 냉각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31)이 설치되어 있다.
분사노즐(31)은 형강 소재(M)의 양측면에 냉각수가 분사되도록 중간가이드(10)를 관통하여 형성된 분사구(33)에 그 선단이 위치된다. 분사노즐(31)은 각도조절 가능하다.
분사구(33)는 분사노즐(31)을 통해 분사된 냉각수가 형강 소재(M)에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출구 역할을 한다.
분사구(33)는 단부에 경사진 라운드부(35)를 갖는다. 라운드부(35)는 분사구(33) 내부의 분사노즐(31)을 보호하고 진행하는 형강 소재(M)가 중간가이드(10)와 충돌하더라도 충격에 의해 형강 소재(M)가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형상, 두께, 폭이 서로 다른 H형강(A)과 부등변 부등후 앵글(C)의 부위별 냉각수량의 가변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H형강(A)의 경우 웨브(A1)와 플랜지(A2)가 만나는 중간부분의 냉각속도가 느려 웨브(A1)와 플랜지(A2) 사이의 온도편차가 발생하므로, 상, 하부챔버(29)에 비해 중간챔버(27)의 냉각수 공급량을 증가시켜 분사한다. 이러한 냉각수의 차등분사는 H형강(A)의 웨브(A1)와 플랜지(A2)에서 동일한 냉각속도를 갖도록 한다.
그리고, 부등변 부등후 앵글(C)의 경우 장변(C1)과 단변(C2)의 길이와 두께가 달라 냉각속도 차가 발생하고, H형강(A)에 비해 높이가 낮다. 따라서, 상부챔버(25)와 중간챔버(27)에 냉각수 공급을 중지시키고 하부챔버(29)에만 냉각수를 공급시켜 부등변 부등후 앵글(C)의 장변(C1)과 단변(C2)이 균일한 냉각속도를 갖도록 한다.
특히, 부등변 부등후 앵글(C)의 경우에는 장변(C1)과 단변(C2)의 냉각속도가 달라 온도편차가 발생하므로 하부챔버의 분사노즐(31)은 단변(C2) 꼭지부분까지 냉각수가 분사되도록 각도가 조절된다.
한편, 상부챔버(25)와 하부챔버(29)에는 각각 20~30㎥/hr의 냉각수가 공급되고, 중간챔버(27)에는 이보다 많은 50~60㎥/hr의 냉각수가 공급된다.
예컨데, H형강(A)의 경우 시간 당 냉각수 분사량이 100㎥라 가정하면, 상부챔버(25)에는 시간당 20㎥, 중간챔버(27)에는 시간당 50㎥, 하부챔버(29)에는 시간당 30㎥의 냉각수를 공급하여 차등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부챔버(25)에 비해 하부챔버(29)의 냉각수 공급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은 H형강(A)의 상부는 대기 냉각으로 하부보다 냉각속도가 빠르므로 이를 고려한 것이다.
한편, 냉각수공급라인(25a,27a,29a)은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에 연결된다. 냉각수 공급부는 냉각수량의 공급을 조절하는 부분이다. 냉각수 공급부에는 냉각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자동밸브가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공급부는 상부챔버(25)의 냉각수공급라인(25a)과 연결되는 제1냉각수 공급부(37) 및 중간챔버(27)의 냉각수공급라인(27a)과 연결되는 제2 및 제3냉각수 공급부(41)와 하부챔버(29)의 냉각수공급라인(29a)과 연결되는 제4냉각수 공급부(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냉각수 공급부(39)는 도면상 하측에 위치된 중간챔버(27)에 냉각수를 공급하고, 제3냉각수 공급부(41)는 도면상 상측에 위치된 중간챔버(27)에 냉각수를 공급한다. 이는 중간챔버(27)의 경우 냉각수 공급량이 많아 하나의 냉각수 공급부을 통해 양측에 냉각수를 공급하기에는 과부하가 걸릴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하기 위해 각각의 냉각수 공급부를 구비한다.
냉각수 공급부는 감지센서(S)와 제어부 및 자동밸브를 더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냉각수 공급부(37,39,41,43)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냉각수 공급이 선택적으로 온/오프 동작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는 복수개의 감지센서(S)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근거로 롤러테이블(11) 상에 이송중인 형강 소재(M)의 진입과 배출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상부챔버(25), 중간챔버(27), 하부챔버(29)에 냉각수 공급을 선택적으로 온/오프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냉각수 공급부에 구비된 자동밸브가 개방 또는 닫힘으로써 각 냉각챔버에 냉각수가 공급 또는 차단된다.
감지센서(S)는 중간가이드의 진입구간과 배출구간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감지센서(S)는 형강 소재(M)의 진입과 배출시기를 감지하거나, 롤러테이블(11)을 따라 이송되는 형강 소재(M)의 이송속도와 미리 설정된 소재의 정보(높 이, 형상, 폭, 길이, 두께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송한다.
한편, 냉각수 공급부에는 보조냉각수 공급부(45)가 더 구비된다. 보조냉각수 공급부(45)는 압연 센터링 장치의 작동정지시 상부챔버(25)에 일정량의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압연공장은 고열의 환경이므로 작동정지시 냉각챔버(21)에 냉각수가 공급되지 않으면 냉각챔버(21)의 용접부위가 팽창하여 터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량의 냉각수를 공급해야 한다.
보조냉각수 공급부(45)는 상부챔버(25)에 연결된 냉각수공급라인(25a)과 연결되어 상부챔버(25)에 연결될 수도 있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챔버(21)의 상부에 구비된 보조냉각라인(47)과 연결될 수도 있다.
보조냉각라인(47)도 상부챔버(25)에 일정량의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보조냉각라인(47)은 냉각챔버(21)의 외면 상단부에 일정량의 냉각수를 공급하여 냉각챔버(21)의 용접부위의 팽창을 방지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 및 그 방법의 작용을 설명한다.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의 작동원리 및 균일 냉각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는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압연기를 통과한 형강 소재(M)가 롤러테이블(11)을 타고 중간가이드(10) 내로 진입하면, 감지센서(S)는 형강 소재(M)의 진입정보를 감지하고, 감지한 진입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진입정보는 해당 형강 소재(M)의 진입구간, 높이, 형상, 폭, 길이, 두께 등이다.
제어부는 감지센서(S)에서 감지된 진입정보를 근거로 중간가이드(10) 내로 진입되는 형강 소재(M)의 선단과 후단 및 높이, 형상, 폭, 길이, 두께 등을 인식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진입정보에 대응하여 형강 소재(M)를 냉각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의 제어신호는 상부챔버(25), 중간챔버(27), 하부챔버(29)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제1 내지 제4냉각수 공급부(37,39,41,43)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동작시키는 것이다.
일 예로, H형강(A)이 롤러테이블(11)을 타고 중간가이드(10) 내로 진입하면, 상부챔버(25), 중간챔버(27), 하부챔버(29)에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제1 내지 제4냉각수 공급부(37,39,41,43)를 온 시키되, 중간챔버(27)에 냉각수 공급량을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H형강(A)의 플랜지(A2)의 상부와 하부 및 중간부위에 차등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부등변 부등후 앵글(C)이 중간가이드(10) 내로 진입하면, 상부챔버(25), 중간챔버(27)의 냉각수 공급을 오프시키고, 하부챔버(29)에만 냉각수를 공급한다. 이때 단변(C2)측과 장변(C1)측에 대응되는 하부챔버(29)에 냉각수 공급량을 달리하여 단변(C2)과 장변(C1)에 차등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후, 형강 소재(M)의 후단이 해당구간을 통과하면 감지센서(S)가 이를 감지하고, 감지한 배출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부는 감지센서(S)에서 감지된 배출정보를 근거로 냉각수 공급을 오프시킨다.
이러한 차등분사는 플랜지(A2)와 웨브(A1)의 온도편차 및 장변(C1)과 단 변(C2)의 온도편차를 줄여 냉각시 발생되는 형강 소재(M)의 뒤틀림이나 휨 발생을 방지한다.
여기서, 진입구간은 형강 소재(M)가 진입되는 중간가이드(10)의 일측단에 해당하는 구간이며, 바람직하게는 일단으로부터 1.5m 이내의 범위에 해당된다. 그리고, 배출구간은 형강 소재(M)가 벗어나는 중간가이드(10)의 타측단에 해당하는 구간이며, 이 또한, 타단으로부터 1.5m 이내의 범위에 해당된다.
진입구간과 배출구간이 1.5m인 이유는 형강 소재(M)의 변형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형강 소재(M)의 후단이 해당구간을 통과하고 냉각수 공급이 오프되면, 보조냉각수 공급부(45)의 냉각수 공급이 온 되어 상부챔버(25) 또는 보조냉각라인(47)으로 일정량의 냉각수가 공급된다. 이때, 냉각수 공급량은 냉각챔버(21)가 열연공장의 고열에 의해 팽창되지 않을 정도의 양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가 압연기 센터링장치의 중간가이드에 구비된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의 상세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의 냉각수 공급구조를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중간가이드 11: 롤러테이블
20: 냉각수단 21: 냉각챔버
23: 칸막이 25: 상부챔버
27: 중간챔버 29: 하부챔버
25a,27a,29a: 냉각수공급라인 25b,27b,29b: 냉각수배출라인
31: 분사노즐 33: 분사구
35: 라운드부 37: 제1냉각수 공급부
39: 제2냉각수 공급부 41: 제3냉각수 공급부
43: 제4냉각수 공급부 45: 보조냉각수 공급부
47: 보조냉각라인 M: 형강 소재
A: H형강 A1: 웨브
A2: 플랜지 C: 부등변 부등후 앵글
C1: 장변 C2: 단변
S: 감지센서

Claims (8)

  1. 압연기와 압연기의 사이에 설치되고 롤러테이블에 의해 이송되는 형강 소재의 측면을 가이드하도록 된 중간가이드와;
    상기 중간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고, 상하로 복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중간가이드로 안내되는 형강 소재의 부위별로 냉각수를 차등 분사하는 냉각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균일 냉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칸막이에 의해 내부가 상하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각 공간에 냉각수가 충진되는 냉각챔버와,
    외부의 냉각수를 상기 냉각챔버의 각 공간에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라인과,
    상기 냉각수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의 냉각수를 상기 냉각챔버의 각 공간에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냉각수 공급부와,
    상기 냉각챔버의 냉각수를 상기 분사노즐측으로 공급하는 냉각수배출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균일 냉각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냉각챔버는 내부가 상부챔버, 중간챔버, 하부챔버의 3개의 공간으로 분 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균일 냉각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공급부는
    중간가이드의 진입구간과 배출구간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형강 소재의 진입과 배출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근거로 냉각수 공급을 선택적으로 온/오프 동작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상부챔버, 중간챔버, 하부챔버에 냉각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자동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균일 냉각장치.
  5. 중간가이드의 입측으로 진입하는 형강 소재의 진입정보를 감지센서로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은 제어부에서 상기 진입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형강 소재를 냉각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형강 소재의 부위별로 동일한 냉각속도를 갖도록 내부가 상부챔버, 중간챔버, 하부챔버로 구획된 냉각챔버에 냉각수 공급부가 냉각수를 차등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균일 냉각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진입정보는 상기 형강 소재의 높이, 폭, 두께, 길이 및 진입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균일 냉각 방법.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를 차등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형강 소재가 H형강이면, 상기 상부챔버와 하부챔버에 비해 상기 중간챔버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균일 냉각방법.
  8.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를 차등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형강 소재가 부등변 부등후 앵글이면, 상기 상부챔버와 중간챔버에 냉각수 공급을 중지시키고
    상기 하부챔버에만 냉각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균일 냉각방법.
KR1020090091986A 2009-09-28 2009-09-28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34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986A KR20110034456A (ko) 2009-09-28 2009-09-28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986A KR20110034456A (ko) 2009-09-28 2009-09-28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456A true KR20110034456A (ko) 2011-04-05

Family

ID=4404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986A KR20110034456A (ko) 2009-09-28 2009-09-28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445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534B1 (ko) * 2011-04-28 2013-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H형강 압연라인의 냉각장치
KR101532010B1 (ko) * 2014-03-26 2015-06-26 동국제강 주식회사 H형강 압연라인의 플랜지 수냉각장치
KR101661432B1 (ko) * 2015-11-09 2016-10-10 변상덕 부품 냉각장치
KR101685845B1 (ko) * 2015-09-23 2016-12-12 현대제철 주식회사 에이치형강의 하부 냉각 장치 및 방법
CN116788756A (zh) * 2023-08-29 2023-09-22 山西新世纪锻造股份有限公司 一种法兰零件加工用运输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534B1 (ko) * 2011-04-28 2013-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H형강 압연라인의 냉각장치
KR101532010B1 (ko) * 2014-03-26 2015-06-26 동국제강 주식회사 H형강 압연라인의 플랜지 수냉각장치
KR101685845B1 (ko) * 2015-09-23 2016-12-12 현대제철 주식회사 에이치형강의 하부 냉각 장치 및 방법
KR101661432B1 (ko) * 2015-11-09 2016-10-10 변상덕 부품 냉각장치
CN116788756A (zh) * 2023-08-29 2023-09-22 山西新世纪锻造股份有限公司 一种法兰零件加工用运输装置
CN116788756B (zh) * 2023-08-29 2023-11-17 山西新世纪锻造股份有限公司 一种法兰零件加工用运输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4456A (ko) 형강의 균일 냉각장치 및 그 방법
KR101395509B1 (ko) 열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
JP6493562B2 (ja) 熱延鋼板の冷却装置、および熱延鋼板の冷却方法
KR20060018254A (ko) 후강판의 제어냉각방법, 그 제어냉각방법으로 제조된 후강판 및 그 냉각장치
KR20110046638A (ko) 형강의 균일 냉각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320126B1 (ko) 스트립 상향 방지 장치
KR101481616B1 (ko) 압연소재 냉각장치
KR101159907B1 (ko) 사상 압연기의 온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47043A (ko) 이동식 온도측정장치와 사상압연장치용 이동식 온도측정장치 및 사상압연장치의 제어방법
TWI680813B (zh) 熱軋鋼板之冷卻裝置以及熱軋鋼板之冷卻方法
JP2021137841A (ja) 熱延鋼板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CN112703067B (zh) 热轧钢板的冷却装置及热轧钢板的冷却方法
KR100943804B1 (ko) 열간압연기의 냉각수 분사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999008B1 (ko) 바히터 보호장치
KR101940428B1 (ko) 후강판의 제조 설비 및 제조 방법
JP6515362B1 (ja) 鋼材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KR100529055B1 (ko) 연속소둔로의 스트립 냉각장치
JP2000297331A (ja) ガスジェット冷却装置
KR20090123601A (ko) 강판 냉각장치
KR20130046600A (ko) 소재 상향 교정 장치
KR101225796B1 (ko) 소재의 상향 방지 장치
JP6252545B2 (ja) 長尺鋼材の温度補正装置及び温度補正方法、長尺鋼材の冷却装置及び冷却方法、レールの製造設備及び製造方法
KR101066675B1 (ko) 압연공정의 에이치빔 냉각 장치
KR101159905B1 (ko) 부등변 부등후 앵글의 냉각방법
KR101435278B1 (ko) 물고임 방지용 형강 냉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