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675B1 - 압연공정의 에이치빔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압연공정의 에이치빔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675B1
KR101066675B1 KR1020080118793A KR20080118793A KR101066675B1 KR 101066675 B1 KR101066675 B1 KR 101066675B1 KR 1020080118793 A KR1020080118793 A KR 1020080118793A KR 20080118793 A KR20080118793 A KR 20080118793A KR 101066675 B1 KR101066675 B1 KR 101066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lange
cooling water
rolling
roll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263A (ko
Inventor
김현수
김태형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8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675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tructural sections, i.e.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angle steel
    • B21B1/088H- or I-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33Spray nozzles, Nozzle headers; Spr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2045/0221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for structural sections, e.g. H-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공정의 에이치빔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연 공정에서 에이치빔을 압연할 때 에이치빔에 냉각수가 고이고 이로 인해 에이치빔에 비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연공정의 에이치빔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이치빔의 압연 공정에서 냉각수가 에이치빔에 고이는 것에 따른 에이치빔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하여 에이치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압연공정의 에이치빔 냉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연롤과 압연롤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중간 가이드(1)와, 상기한 중간가이드(1)의 상면에 설치되고 압연롤에서 배출되는 에이치빔(H)이 통과되도록 중간에 이동로(2)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 냉각수가 충진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에이치빔(H)의 플랜지(F)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냉각챔버(3)와, 상기한 냉각챔버(3)의 이동로(2)를 통과하는 에이치빔(H)의 플랜지(F)에만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분사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압연공정, 압연롤, 중간가이드, 에이치빔, 냉각수

Description

압연공정의 에이치빔 냉각 장치{COOLING DEVICE OF H-BEAM FOR ROLLING ROLL}
본 발명은 압연공정의 에이치빔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연 공정에서 에이치빔을 압연할 때 에이치빔에 냉각수가 고이고 이로 인해 에이치빔에 비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연공정의 에이치빔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압연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압연공정을 거치게 되는 바, 상기한 압연공정은 연속주조공정에서 제작된 슬래브, 블룸, 빌렛등을 2개의 회전하는 롤(ROLL) 사이에 끼워 가늘고 길게 성형하는 것이다.
즉, 압연기는 상온 또는 고온에서 회전하는 롤 사이에 재료를 통과시키면서 재료의 소성변형을 통해 판재, 봉재등을 성형하는 장치인 바, 상기한 압연기와 압연기의 사이에 중간 가이드가 설치되어 압연재를 다음 공정의 압연롤측으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중간가이드는 압연되는 제품에 따라 적절하게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상기한 압연롤을 통해 압연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압연롤이 일정 속도로 회전할 때 냉각파이프에서 냉각수가 분출되어 압연롤과 압연제품을 적절한 온도로 연속 냉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압연제품과 압연롤이 적절한 온도가 되도록 냉각수를 연속 분사하면서 압연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H빔의 압연 시 H빔에 냉각수가 고이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에이치빔에 온도차이가 발생됨과 아울러 비틀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치빔(H)을 압연 가공할 때 냉각수(W)가 에이치빔(H)의 웨브(WEB)(W)에 고이게 되는 바, 에이치빔(H)의 웨브(W)와 플랜지(F)의 두께가 다를 뿐만 아니라 냉각수에 의해 웨브(W)의 냉각이 보다 빨리 발생됨으로써, 에이치빔의 웨브(W)와 플랜지(F)의 사이에 온도 차이가 발생되고, 상기한 온도 차이에 의해 에이치빔이 비틀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이치빔의 압연 공정에서 냉각수가 에이치빔에 고이는 것에 따른 에이치빔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하여 에이치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압연공정의 에이치빔 냉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연롤과 압연롤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중간 가이드와, 상기한 중간가이드의 상면에 설치되고 압연롤에서 배출되는 에이치빔이 통과되도록 중간에 이동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냉각수배관이 연결되어 내부의 빈 공간에 냉각수가 공급되고 에이치빔의 플랜지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냉각챔버와, 상기한 냉각챔버의 이동로를 통과하는 에이치빔의 플랜지에만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분사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압연롤에서 배출되는 에이치빔의 플랜지만을 냉각시키도록 냉각 챔버를 설치함으로써, 에이치빔의 웨브와 플랜지의 온도 차이에 의한 비틀림을 극소화하여 에이치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공정의 에이치빔 냉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와 평면도로서, 압연롤(미 도시)과 압연롤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중간 가이드(1)와, 상기한 중간가이드(1)의 상면에 설치되고 압연롤에서 배출되는 에이치빔(H)이 통과되도록 중간에 이동로(2)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의 빈 공간에 냉각수가 공급되고 에이치빔(H)의 플랜지(F)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냉각챔버(3)와, 상기한 냉각챔버(3)의 이동로(2)를 통과하는 에이치빔(H)의 플랜지(F)에만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분사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2개의 냉각챔버(3)가 서로 마주 보고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사이의 이동로(2)를 통해 에이치빔(H)이 이동하게 되면, 에이치빔(H)의 플랜지(F) 부분은 냉각챔버(3)의 내부를 통과하게 되고, 웨브(W) 부분은 이동로(2)를 통과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분사 수단은 에이치빔(H)의 플랜지(F) 양측면에만 냉각수가 분사되도록 한 것으로서, 냉각챔버(3)에 형성되어 에이치빔(H)의 플랜지(F)에서 웨브(W)와 연결된 부분을 감싸는 꺾임부(4)와, 상기한 꺾임부(4) 및 꺾임부(4)와 대향되는 부분인 냉각챔버(3)의 내벽(5)에 형성된 다수의 노즐(6)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상기한 냉각챔버(3)에는 냉각수배관(7)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한 냉각챔버(3)는 중간가이드(1)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이다.
상기한 노즐(6)에서의 냉각수 분사량은 에이치빔(H)의 플랜지(F) 부분을 가장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을 정도로 설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압연 공정에서 압연롤에 의해 에이치빔(H)의 압연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이때 상기한 상하부 압연롤과 압연제품을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수가 분사된다.
냉각수가 분사되면 이는 에이치빔(H)의 웨브(W)에 고이게 되는 바, 상기한 냉각수가 에이치빔(H)의 웨브(W)에 고이게 되면 이 부분에서의 냉각 효율이 플랜지(F)에 비해 좋기 때문에 에이치빔(H)의 웨브(W)와 플랜지(F)의 사이에 온도 차이가 발생된다.
즉, 웨브(W)의 온도가 플랜지(F)에 비해 더 낮은 상태가 되는 바, 이 상태에서 에이치빔(H)은 중간가이드(1)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한 중간 가이드(1)를 통과할 때 에이치빔(H)은 냉각챔버(3)로 유입됨과 아울러 에이치빔(H)의 웨브(W)는 이동로(2)에 위치되고 플랜지(F)는 꺾임부(4)의 내측 부분과 냉각챔버(3)의 내벽(5) 사이에 위치된다.
에이치빔(H)이 냉각 챔버(3)로 유입되면 냉각수배관(7)을 통해 냉각수가 냉각챔버(3)로 공급됨과 아울러 노즐(6)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냉각챔버(3)의 꺾임 부(4)와 내벽(5) 사이를 통과하는 에이치빔(H)의 플랜지(F) 부분만이 냉각된다.
즉, 웨브(W)에 비해 온도가 높은 플랜지(F)만을 냉각시킴으로써 에이치빔(H)의 웨브(W)와 플랜지(F) 사이의 온도 차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노즐(6)에서의 플랜지(F) 냉각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이루어지게 되는 바, 압연롤을 통과한 에이치빔(H)의 웨브(W)와 플랜지(F) 사이의 온도 차이를 미리 측정하고, 이에 따라 플랜지(F)를 냉각시키도록 한다.
상기한 플랜지(F)가 냉각 챔버(3)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면 결과적으로 에이치빔(H)의 플랜지(F)와 웨브(W) 사이의 온도 차이가 극소화되고, 이로 인해 에이치빔(H)의 온도 차이로 인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에이치빔(H)을 압연할 때 에이치빔(H)의 플랜지(F)와 웨브(W) 사이의 온도 차이를 최소화하고 비틀림을 방지하게 되면, 에이치빔(H)의 직진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에이치빔(H)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공정의 에이치빔 냉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도1의 평단면도,
도3은 일반적인 압연 공정에서 에이치빔의 압연 시 냉각수가 에이치빔에 고이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중간가이드 2: 이동로
3: 냉각챔버 4: 꺾임부
5: 내벽 6: 노즐
7: 냉각수배관 H: 에이치빔
W: 웨브 F: 플랜지

Claims (2)

  1. 압연롤과 압연롤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중간 가이드와, 상기한 중간가이드의 상면에 설치되고 압연롤에서 배출되는 에이치빔이 통과되도록 중간에 이동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냉각수배관이 연결되어 내부의 빈 공간에 냉각수가 공급되고 에이치빔의 플랜지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냉각챔버와, 상기한 냉각챔버의 이동로를 통과하는 에이치빔의 플랜지에만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분사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공정의 에이치빔 냉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분사 수단은 에이치빔의 플랜지 양측면에만 냉각수가 분사되도록 냉각챔버에 형성되어 에이치빔의 플랜지에서 웨브와 연결된 부분을 감싸는 꺾임부와, 상기한 꺾임부 및 꺾임부와 대향되는 부분인 냉각챔버의 내벽에 형성된 다수의 노즐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공정의 에이치빔 냉각 장치.
KR1020080118793A 2008-11-27 2008-11-27 압연공정의 에이치빔 냉각 장치 KR101066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793A KR101066675B1 (ko) 2008-11-27 2008-11-27 압연공정의 에이치빔 냉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793A KR101066675B1 (ko) 2008-11-27 2008-11-27 압연공정의 에이치빔 냉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263A KR20100060263A (ko) 2010-06-07
KR101066675B1 true KR101066675B1 (ko) 2011-09-21

Family

ID=4236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793A KR101066675B1 (ko) 2008-11-27 2008-11-27 압연공정의 에이치빔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6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8071B (zh) * 2016-05-26 2018-03-13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型钢轧机在线冷却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7523A (ja) * 1994-08-22 1996-03-05 Sumitomo Metal Ind Ltd 制御冷却方法
JP2000190016A (ja) 1998-12-24 2000-07-11 Nkk Corp H形鋼のフランジ冷却装置
JP2001001022A (ja) 1999-04-23 2001-01-09 Nippon Steel Corp 形鋼圧延設備における中間ガイド装置
KR200364265Y1 (ko) 2004-07-21 2004-10-19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압연용 중간 스탠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7523A (ja) * 1994-08-22 1996-03-05 Sumitomo Metal Ind Ltd 制御冷却方法
JP2000190016A (ja) 1998-12-24 2000-07-11 Nkk Corp H形鋼のフランジ冷却装置
JP2001001022A (ja) 1999-04-23 2001-01-09 Nippon Steel Corp 形鋼圧延設備における中間ガイド装置
KR200364265Y1 (ko) 2004-07-21 2004-10-19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압연용 중간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263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455B1 (ko) 열연 강대의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
JP2008207200A (ja) 熱延鋼帯の冷却装置及び方法
KR101052453B1 (ko) 열연강대의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
RU2528560C2 (ru) Способ горячей прокатки сляба и стан горячей прокатки
US10974316B2 (en) Secondary cooling method and secondary cooling device for casting product in continuous casting
JP5515483B2 (ja) 厚鋼板の冷却設備および冷却方法
KR101490663B1 (ko) 열연 강판용 냉각수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JP2010253529A (ja) 連続鋳造における二次冷却方法
KR101066675B1 (ko) 압연공정의 에이치빔 냉각 장치
JP5402215B2 (ja) 連続鋳造における二次冷却方法
JP2018103248A (ja) H形鋼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JP2008100253A (ja) 連続鋳造機における鋳片水切り装置
JP5609199B2 (ja) 連続鋳造における二次冷却方法
KR100843920B1 (ko) 연속주조시 주편의 표면응고속도 균일화방법
JP6515362B1 (ja) 鋼材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UA103065C2 (uk) Спосіб і пристрій для видалення окалини з металевої штаби
JP5556073B2 (ja) 連続鋳造における二次冷却方法
KR100523215B1 (ko) 열간압연선재의 수냉각장치
KR101797351B1 (ko) 연속주조기용 세그먼트
KR101167170B1 (ko) 냉각기용 가이드장치
JP4858113B2 (ja) 鋼板の冷却設備および冷却方法
KR20090004742U (ko) 압연기의 스트리퍼
KR101246534B1 (ko) H형강 압연라인의 냉각장치
JP2006231361A (ja) H形鋼の冷却ライン設備
KR20120074747A (ko) 주편의 홀성 결함 방지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