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810B1 -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및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 - Google Patents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및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810B1
KR101204810B1 KR1020107021316A KR20107021316A KR101204810B1 KR 101204810 B1 KR101204810 B1 KR 101204810B1 KR 1020107021316 A KR1020107021316 A KR 1020107021316A KR 20107021316 A KR20107021316 A KR 20107021316A KR 101204810 B1 KR101204810 B1 KR 101204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troreflective
label sheet
article
destr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7131A (ko
Inventor
구미코 스즈키
후미히토 고바야시
사와코 기모토
히로아키 시마네
Original Assignee
교도 인사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도 인사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도 인사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7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1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 G09F3/0292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tamper indicating lab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09F3/0305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 G09F3/0341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having label seal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76Safety features, e.g. colour, prominent part, logo
    • G09F2003/0277Tamper resist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Adhesive Tap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벨 시트의 재부착이 행해져 있는지의 여부를 표면의 상황을 관찰함으로써 판별할 수 있으므로, 개봉 확인, 위조, 위장을 검사할 수 있는 재귀(再歸) 반사체 라벨 시트 및 상기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을 제공한다.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는, 기재층(10)과, 기재층(10)의 한쪽 면에 적층되고 검출광이 일정한 방향으로부터 입사할 때 상기 검출광을 동일한 방향으로 재귀 반사할 수 있는 재귀 반사층(20)과, 기재층(10)의 다른 쪽 면에 적층되고 물품에 점착되는 점착층(30)과, 재귀 반사층(2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 이파괴층(40)과, 기재층(10)의 점착층(30) 측의 표면에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디자인 또는 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경 정보(50)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및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RETROREFLECTOR LABEL SHEET AND ARTICLE TO WHICH RETROREFLECTOR LABEL SHEET IS BONDED}
본 발명은 재귀(再歸) 반사체 라벨 시트, 예를 들면, 유리 비즈(이하, 광 굴절체로 총칭함)가 노출된 오픈 타입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및 상기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에 관한 것이다.
재귀 반사체는, 예를 들면, 반사체로서의 유리 비즈에 입사한 광이 다시 입사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반사 현상을 이용한 것이며, 광 굴절체인 유리 비즈층과 그 아래쪽에 설치된 반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귀 반사체에는, 유리 비즈 상에 무색 투명의 수지제의 피복층을 형성한 클로우즈드 타입(closed type)과 유리 비즈가 노출된 오픈 타입(open type)이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재귀 반사체와 홀로그램을 조합시켜 위조 방지 강화를 도모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재귀 반사체는, 태양광이나 조명광과 같은 다양한 방향으로부터의 자연광 하에서와, 예를 들면, 자동차의 라이트와 같은 방향성이 있는 광 하에서는, 재귀 반사체의 색조가 서로 다르게 보이는 성질을 이용하여, 교통 표지, 완장, 및 작업복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특수한 반사광을 가지는 것은 금권(金券), 증명서 등의 위조 방지에도 활용되고 있다. 이 위조 방지용 재귀 반사체로서는, 인쇄가 용이한 클로우즈드 타입의 재귀 반사체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허 문헌 2에는, 유리 비즈층이나 반사층이 쉽게 붕괴되도록 하여, 재이용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재귀 반사체는, 재귀 반사체의 유리 비즈층이나 반사층이 붕괴되면 회복이 곤란한 점을 이용하여, 위장, 변조를 방지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상자체 등의 개봉 확인을 행하기 위하여, 개봉 확인 시일로서 사용된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0-272300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3-29012호 공보
특허 문헌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재귀 반사체는, 상자체 등에 부착된 재귀 반사 시일 등을 박리하면 유리 비즈층이 파괴되므로 재이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박리할 때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하거나 가열하면, 재귀 반사체의 점착층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유리 비즈층이나 반사층의 파괴를 수반하지 않고 박리가 가능하게 되어, 재이용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이며, 예를 들면, 재귀 반사체로서의 유리 비즈층이나 반사층 등의 붕괴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라벨 시트를 다시 부착했는지(재부착)의 여부를 재귀 반사체의 표면에 실시된 인쇄층의 상황을 관찰함으로써 판별할 수 있고, 그 결과, 미개봉인지 혹은 이미 개봉되었는지에 대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물품에 위조, 위장이 행해져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할 필요성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및 상기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열심히 검토한 결과, 재귀 반사체의 유리 비즈 노출면에 마찰력에 대한 이파괴성(易破壞性)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는 이파괴층(易破壞層)을 설치한 경우, 이파괴층이 근소한 힘으로도 박리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기재층(基材層)과, 기재층의 한쪽 면에 적층되고 검출광이 일정한 방향으로부터 입사할 때 상기 검출광을 동일한 방향으로 재귀 반사할 수 있는 재귀 반사층과, 기재층의 다른 쪽 면에 적층되고 물품에 점착하는 점착층과, 재귀 반사층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 이파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재귀 반사층은, 광 굴절체층과, 광 굴절체층을 그 표면부가 노출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층과, 광 굴절체층의 표면부와는 반대측 면에 적층되고 또는 유지층의 내부에 적층된 반사층을 가지고 이루어지고, 이파괴층은, 마찰력에 대한 이파괴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광 굴절체층의 구체예는, 기재층에 적층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유지층의 표면에 일부가 매립 상태이면서 또한 빈틈없이 깔린 상태로 유지된 복수개의 유리 비즈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박리대지(剝離臺紙)를 굴곡시키고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굴곡되지 않도록 박리하고, 또한 이파괴층에 조금이라도 손대지 않도록 하여 물품에 접착한다. 이와 같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접착하는 경우에는, 마찰력에 대한 이파괴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이파괴층에, 통상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는, 이파괴층이 붕괴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이파괴층에 붕괴가 조금도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부착된 물품, 또는 물품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품에 대하여, 위조 물품과 교환하고자 하는 부정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만약,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접착한 물품을 교환하는 부정이 행해지는 경우,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진품으로부터 박리하여 위조품에 재부착하는 것이 행해진다. 또한, 용기 본체에 ROM 등을 수용하고 커버를 씌우고, 용기 본체와 커버와의 이음면에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씌워서 접착한 물품에 대하여, 만일, ROM 등을 교환하는 부정이 행해지는 경우,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진품으로부터 박리하여 위조품에 다시 부착하게 된다. 이 때, 재귀 반사체에 부주의하게 힘이 가해지거나, 이파괴층을 부주의하게 마찰하면, 재귀 반사층의 표면으로부터 이파괴층이 박리된다.
물품에 접착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떼내어서 박리할 때에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이파괴층에 절곡하는 힘이 가해지고, 또한 상기 이파괴층이 마찰력에 대한 이파괴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이파괴층이 부분적으로 붕괴 박리된다. 특히, 재귀 반사체의 광 굴절체층의 표면을 마찰하는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이파괴층이 박리된다.
그러므로, 진품에 대하여, 위조, 변조, 위장 등이 행해졌다고 의심이 가는 경우, 물품에 접착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이파괴층의 상황을 관찰함으로써, 미개봉인지 이미 개봉되었는지에 대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이파괴층의 붕괴 또는 탈락 상태 등으로부터 위조, 위장이 행해져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파괴층에 붕괴가 조금도 일어나지 않았을 때에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떼내지 않은 것, 즉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다시 부착하지 않은 것이 증명된다. 또한, 이파괴층에 붕괴가 조금이라도 있을 때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떼낸 것, 즉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다시 부착한 않은 것이 증명된다. 따라서, 라벨 시트 표면의 이파괴층의 유무 또는 탈락 상태를 조사함으로써, 본 발명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에 힘이 가해져서, 물품에 의도적인 조작이 가해졌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유리 비즈층이나 반사층 등의 붕괴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재귀 반사체의 표면에 실시된 이파괴층의 상황을 관찰함으로써, 미개봉인지 혹은 이미 개봉되었는지에 대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조, 위장이 행해져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이파괴층이, 자연광 하에서 투명하거나 또는 반사층이 착색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에 이 색과 판별하기 어려운 색을 가지는 투명 물질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접착한 물품을 교환하는 부정을 행하고자 해도, 이파괴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박리할 때, 손톱이나 손가락끝으로 시트 표면의 이파괴층을 마찰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시트 표면에 손톱이나 손가락끝에 의한 힘이 가해짐으로써, 이파괴층의 붕괴가, 이파괴층에 접촉하지 않고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걷어올렸을 경우에 비해 현저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이파괴층이 현저하게 붕괴되거나 탈락되므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에 다시 부착된 것을 더욱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라벨 시트 표면의 이파괴층의 유무 또는 탈락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강한 광, 예를 들면, 광학 렌즈를 통한 광이나 방향성을 가지는 광을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에 조사한다. 그러면, 광 굴절체층의 이파괴층이 덮여 있지 않은 부분에서는 상기 광 굴절체층에 입사한 광이 굴절하여 되돌아오기 때문에 반사층의 색이 강조되어 자연광 하에서 보이는 색채보다 선명한 색채로 되어 보인다. 한편, 이파괴층이 존재하면, 광 굴절체층에서 굴절하여 반사층에서 반사하여 되돌아온 광이 이파괴층에 의해 편향된다. 그러므로, 이파괴층이 존재하는 영역과 이파괴층이 없는 영역 사이에 콘트라스트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재귀 반사체에 강한 광을 조사하여 이파괴층의 유무를 조사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재사용 행위가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검출광을 방사하는 리더에 의해 검출광을 주사하고, 투명 물질의 패턴을 화상 표시하거나, 미리 리더에 저장되어 있는 패턴과 비교하고 인식시킴으로써, 이파괴층에 붕괴가 생기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검사 방법을 취하지 않고, 보다 용이한 검사에 의해 라벨 시트 표면의 이파괴층의 유무 또는 탈락 상태를 조사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기재층과 점착층 사이에, 물품에 점착된 상태로부터 박리됨으로써 박리 붕괴되고, 물품 중 적어도 일부에 잔류되는 박리 붕괴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접착한 물품을 교환하는 부정을 시도하여,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박리한 시점에서, 박리 붕괴층이 박리 붕괴되고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회복 불가능하게 되어, 재부착을 행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언뜻 보아 평활하지 않고 요철(凹凸)로 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재귀 반사층이 존재함으로써, 라벨 시트가 경화되어, 박리하기 위해서는 강한 힘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박리 붕괴층도 박리 붕괴되기 쉬워진다. 즉, 미개봉인지 이미 개봉되었는지에 대한 확인이, 이파괴층의 검출에 더하여,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평활도를 육안 관찰로 검사함으로써 용이하게 판명된다. 또한, 박리 붕괴층을 가지는 구성에서는, 라벨 시트의 합계 두께가 커지므로 쉽게 구부러지지 않아서 쉽게 박리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박리하려면, 더욱 큰 힘을 가할 필요가 있고, 이 힘이 이파괴층에 작용할 경우, 이파괴층이 확실하게 붕괴 탈락한다. 따라서, 위조, 위장 방지의 효과가 높다.
전술한 구성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반사층이, 광의 간섭 작용에 의해 구조색(構造色)이 생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색이란, 광의 파장 정도가 얇은 막의 상면에서 반사하는 광과 하면에서 반사하는 광이 간섭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색채가 생기는 현상을 나타낼 경우의 색이다. 구조색이 생기는 반사층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1) 금속 화합물을 광의 파장(390nm~770nm) 정도로 얇은 막의 단층(單層)으로 하고, (2) 금속 화합물의 광의 파장 정도로 얇은 막을 다층으로 하고, (3) 미세한 홈, 돌기, 미립자에 의한 광의 간섭?산란을 생기도록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바탕색이 위장 도색이 되어, 이파괴층이 쉽게 보이지 않게 되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접착한 물품을 교환하는 부정을 행하고자 하는 사람이 이파괴층의 존재를 더욱 눈치채기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위조, 위장 방지의 효과가 높다.
전술한 구성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재귀 반사층의 측변에 새김눈(切入)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박리대지에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남기게 되어, 라벨 시트 잔여부를 박리대지로부터 박리할 때,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에 걸리는 힘이 분산되고, 또한 새김눈으로부터 접착제에 포함되는 용제의 건조가 촉진되고, 시일이 박리대지에 강하게 접착하기 때문에 함께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정을 행하고자 물품에 접착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박리하고자 할 때는, 새김눈으로부터 절개되고, 이것이 박리 붕괴층으로 전파되어 회복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흔적이 없이 재부착을 행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위조, 위장 방지의 효과가 높다.
전술한 구성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재귀 반사층이 투명하고, 기재층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디자인 또는 문자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배경 정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자연광 하에서는 배경 정보가 보이므로, 표면의 이파괴층의 존재를 쉽게 알 수 없고, 그러므로, 부정을 행하고자할 때, 표면의 이파괴층을 마찰하여 붕괴시킬 확률이 높아져, 위조, 위장 방지의 효과가 높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재귀 반사체로서의 유리 비즈층이나 반사층 등의 붕괴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라벨 시트의 재부착의 여부를 재귀 반사체의 표면에 실시된 인쇄층의 상황을 관찰함으로써 판별할 수 있다. 그 결과, 미개봉인지 혹은 이미 개봉되었는지에 대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 물품에 위조, 위장이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할 필요성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제공할 수 있고, 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위조품을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사실로 인해, 위조, 위장 방지에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제9 실시형태에 따른 것으로서, 제1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에 인쇄 보호층을 설치하는 일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9 실시형태에 따른 것으로서, 제1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에 인쇄 보호층을 설치하는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박리대지 상에 적층 형성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층에 대하여 원형 하프컷을 부여하여 본 발명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정렬 형성하고 라벨 시트 잔여부를 박리하기 전의 시트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라벨 시트 잔여부를 박리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4는 라벨 시트를 제어 부품의 수용 케이스에 부착된 증명서의 봉인으로서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라벨 시트를 제어 부품의 수용 케이스 본체와 커버와의 이음면에 덮이도록 봉인하여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라벨 시트를 CPU 등의 제어 기판이나 케이스 측면에 접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는, 기재층(10)과, 기재층(10)의 한쪽 면에 적층되고 검출광이 일정 방향으로부터 입사할 때 상기 검출광을 동일한 방향으로 재귀 반사할 수 있는 재귀 반사층(20)과, 기재층(10)의 다른 쪽 면에 적층되고 물품에 점착하는 점착층(30)과, 재귀 반사층(2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 이파괴층(40)과, 기재층(10)의 점착층(30) 측의 표면에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디자인 또는 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경 정보(50)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의 정면 측으로부터 배경 정보(50)가 보이도록 구성된다. 즉, 재귀 반사층(20)과 이파괴층(40)과 기재층(10)이 투명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배경 정보(50)는 기재층(10)의 재귀 반사층(20) 측의 표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반사체 라벨 시트(1)에 오리지낼리티(originality)를 부여하는 경우, 배경 정보(50)에 특정한 디자인이나 상표, 하우스 마크를 사용하면 된다.
기재층(10)은, 재귀 반사층(20)을 지지하는 층이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의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재귀 반사층(20)은, 광 굴절체층(21)과, 광 굴절체층(21)을 그 표면부가 노출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층(22)과, 광 굴절체층(21)의 표면부와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된 반사층(23)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 굴절체층(21)은 유리 비즈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유리 비즈(21)는, 유지층(22)의 표면 측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매립되어 있다. 반사층(23)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색 또는 유색이며 투명하다. 유리 비즈(21)는 입사한 광을 굴절시키기 위한 구(球)이며, 대체로 하측 절반이 유지층(22)에 매몰된 상태이며, 나머지 상측 절반이 공기중에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유리 비즈(21)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BaO-SiO2-TiO2계 유리, BaO-ZnO-TiO2계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굴절률은 통상 사용되는 1.9~2.2의 범위에 있으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비즈(21)의 굴절률은 1.9 전후이다. 유리 비즈(21)의 입경(粒徑)은 38㎛~50㎛ 또는 45㎛~9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비즈(21)는, 정렬 상태로 서로 밀착되어 빈틈없이 깔리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유리 비즈(21) 끼리의 사이가 약간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 반사체 라벨 시트(1)에 오리지낼리티를 부여하기 위하여, 일정한 피치로 원형 또는 하트 형상의 면적에 대하여 유리 비즈(21)가 빠져 있어도 된다.
유지층(22)은, 유리 비즈(21)를 유지하고, 기재층(10)과 유리 비즈(21)를 접착하여 유지하는 층이다. 유지층(22)은, 유리 비즈(21)와의 접착성이 양호하며, 투명성이 높은 수지,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설폰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층(23)은, 유리 비즈(21)의 아래쪽 표면 측, 즉 유리 비즈(21)가 노출된 면의 반대측을 따라 설치되고, 유리 비즈(21)에 입사한 광을 반사하는 층이다. 반사층(23)은 무색 또는 유색의 박막이며, 여기서는, 자연광의 조사에 의해 광의 간섭 작용을 이용하여 구조색을 발생시키는 것이 채용된다. 반사체 라벨 시트(1)에 오리지낼리티를 부여하는 경우, 반사층(23)의 구조색에 오리지낼리티를 가지게 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반사층(23)은, 금속 화합물, 예를 들면, 산화 티탄, 산화 비스머스, 산화 지르코늄, 산화 규소, 산화 아연, 황화 아연 및 이들의 혼합물 외에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구조색을 생기게 하는 반사층(23)은,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가시역에 있어서의 광의 굴절률이 높은 금속 화합물과 낮은 화합물을 교대로 적층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광의 굴절률이 높은 금속 화합물]
황화 아연(ZnS): 2.40
산화 티탄(TiO2): 2.71(루틸 구조체), 2.52(아나타제 구조체)
산화 인듐(In2O, In2O3): 2.00
산화 주석(SnO, SnO2): 1.90
산화 지르코늄(ZrO2): 2.40
알루미나(Al2O3): 1.76
산화 마그네슘(MgO): 1.74
[광의 굴절률이 높은 금속 화합물]
불화 칼슘(CaF2): 1.44
불화 마그네슘(MgF2): 1.38
불화 나트륨(NaF): 1.29
산화규소(SiO2): 1.46
반사층(23)의 층 두께는, 막의 상면에서 반사하는 광과 하면에서 반사하는 광이 간섭하는 범위, 다층의 경우에는 300~600 nm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의 총 층 두께가 300nm보다 얇으면 간섭광이 뚜렷하지 않으며, 600nm보다 두꺼우면 원하는 구조색을 얻을 수 없거나, 외관의 색이 백탁(白濁)하거나 한다. 1개 층의 두께는, 100~200 n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개 층 두께의 범위 내에서 계조(gradation)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층에서 구조색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금속 화합물의 박막으로 만들면 된다. 단층의 경우, 막 두께는 100~600 n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이 층 두께의 범위 내에서 계조 처리를 행하면 된다.
점착층(30)은, 투명성이 높은 점착제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산화 비닐계 점착제가 있다. 그리고, 점착층(30)의 하면에는 사용 전에 박리하여 점착층(30)을 노출하는 박리대지(도시하지 않음)를 더 부착해도 된다.
이파괴층(40)은, 마찰력에 대한 이파괴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물질의 두께는 0.5~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3 ㎛이하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마찰력에 대한 이파괴성을 가지는 물질에 의한 이파괴층(40)은,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잉크의 성분은, 예를 들면, 색료로서 염료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 수지로서 수용성 폴리머나 에멀젼 수지를 포함하는 수성 잉크를 예로 들 수 있다. 수용성 폴리머로서,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고, 에멀젼 수지로서는, 아세트산 비닐 에멀젼,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에멀젼, 아크릴 에멀젼, 아크릴스티렌 에멀젼, 염화 비닐리덴 에멀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잉크로서, 예를 들면, 마커로 보드에 문자를 쓰고, 마른 후에 마찰하면 용이하게 벗겨지는 잉크가 있다. 이파괴층(40)은, 각종 인쇄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파괴층(40)은, 또한 자연광 하에서 투명하거나 또는 반사층이 착색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에 이 색과 판별하기 어려운 색을 가지는 투명 물질로 형성되어 있다.
배경 정보(50)는, 재귀 반사층이 투명하고, 기재층(10)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디자인 또는 문자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자연광 하에서는, 배경 정보(50)가 보이는 구성이므로, 이파괴층(40)이 잘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디자인을 채용하거나, 또는 증명력을 갖게 하는 마크나 상표를 채용할 수 있다.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에 강한 광을 조사하면, 투명한 재귀 반사층(20)이 재귀 반사 기능에 의해 전면(全面) 반사하고, 이 때, 이 배경 정보(50)는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유리 비즈를 설치하지 않은 작은 디자인이 존재하도록, 재귀 반사층(20)의 반사층(23)의 일부를 빼내어 두면, 전면 반사로부터 빠지는 부분에 배경 정보(50)가 보여서, 은폐 광고나 그 외의 표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마찰력에 대한 이파괴성을 가지는 잉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이파괴층에, 통상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는, 이파괴층(40)이 붕괴되지 않게 된다. 박리대지를 굴곡시키고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굴곡하지 않도록 박리하고, 또한 이파괴층을 강하게 마찰하지 않도록 물품에 접착한다.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접착한 물품을 교환하는 부정을 행하고자 할 경우,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진품으로부터 박리하여 위조품에 재부착이 행해지고, 이와 같이 박리할 때, 이파괴층이 박리한다. 그래서, 이파괴층의 상황을 관찰함으로써, 미개봉인지 혹은 이미 개봉되었는지에 대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조, 위장이 행해져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는, 자연광 하에서는, 이파괴층(40)과 재귀 반사층(20)과 기재층(10)을 통하여, 배경 정보(50)가 보이도록 구성하였지만, 반사층(23)을 불투명하게 한 구성으로 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배경 정보(50)를 설치하지 않는다. 또한, 이파괴층(40)을 투명 잉크로 형성하였으나, 불투명 잉크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반사층(23)을 착색하고, 이 색과 판별하기 어려운 색을 가지는 투명 잉크로 이파괴층(4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형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A)는, 기재층(10)과, 기재층(10)의 한쪽 면에 적층되고 투명하며 검출광이 일정 방향으로부터 입사할 때 상기 검출광을 동일한 방향으로 재귀 반사할 수 있는 재귀 반사층(20A)과, 기재층(10)의 다른 쪽 면에 적층되고 물품에 점착되는 점착층(30)과, 재귀 반사층(20A)의 표면의 일부에 설치된 이파괴층(40)과, 기재층(10)의 점착층(30) 측의 표면에 디자인 또는 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경 정보(50)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재귀 반사층(20)은, 유리 비즈가 빈틈없이 깔린 광 굴절체층(21)과, 광 굴절체층(21)을 그 표면부가 노출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층(22)과, 광 굴절체층(21)의 표면부와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되거나, 또는 유지층(32)의 내부에 적층된 반사층(23A)으로 이루어진다. 이파괴층(40)은, 마찰력에 대한 이파괴성을 가지는 잉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자연광 하에서 투명하거나 또는 반사층이 착색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에 이 색과 판별하기 어려운 색을 가지는 투명 잉크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A)는, 반사층(23A)이 제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반사층(23A)은 유리 비즈(21)의 초점 위치에 설치된 것이며, 초점 위치는 유리 비즈(21)의 굴절률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비즈(21)의 굴절률이 2.2 전후이므로, 반사층(23A)이 유리 비즈(21)로부터 이격되어 유지층(22) 내에 매설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구성 요소의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작용?효과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3 실시형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B)는, 기재층(10)과, 기재층(10)의 한쪽 면에 적층되고 투명하며 검출광이 일정 방향으로부터 입사할 때 상기 검출광을 동일한 방향으로 재귀 반사할 수 있는 재귀 반사층(20)과, 기재층(10)의 다른 쪽 면에 적층되고 물품에 점착되는 점착층(30)과, 기재층(10)과 점착층(30) 사이에 형성된 박리 붕괴층(60)과, 재귀 반사층(20)의 표면의 일부에 설치된 이파괴층(40)과, 기재층(10)의 점착층(30) 측의 표면에 디자인 또는 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경 정보(50)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재귀 반사층(20)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며, 유리 비즈가 빈틈없이 깔린 광 굴절체층(21)과, 광 굴절체층(21)을 그 표면부가 노출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층(22)과, 광 굴절체층(21)의 표면부와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되거나, 또는 유지층(32)의 내부에 적층된 반사층(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B)는, 박리 붕괴층(60)을 가지고 있는 점이 제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박리 붕괴층(60)은, 복수개의 얇은 층막이 약한 접착력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측면으로부터의 전단력(剪斷力)이 가해지면 계면 박리가 용이하게 일어나서 층막 사이가 해리(解離)하도록 구성된 층이다. 여기서는, 층막 사이가 해리하는 부분이 라벨 시트의 주위둘레를 제외하는 부분에 존재한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구성 요소의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작용?효과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박리 붕괴층(60)은,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B)가 물품(도시하지 않음)에 점착된 상태로부터 박리됨으로써 박리 붕괴되고 물품(도시하지 않음)의 적어도 일부에 잔류되는 층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접착한 물품을 교환하는 부정을 행하고자 할 때,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박리한 시점에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회복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재부착을 행한 경우에는, 이파괴층(40)의 붕괴 탈락뿐만 아니라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B)의 표면이 평활하지 않고 확실하게 시인(視認)할 수 있는 요철을 이루므로, 이파괴층(40) 및 박리 붕괴층(60)의 상황을 관찰함으로써, 미개봉인지 혹은 이미 개봉되었는지에 대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조, 위장이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C)는, 기재층(10)과, 기재층(10)의 한쪽 면에 적층되고 투명하며 검출광이 일정한 방향으로부터 입사할 때 상기 검출광을 동일한 방향으로 재귀 반사할 수 있는 재귀 반사층(20A)과, 기재층(10)의 다른 쪽 면에 적층되고 물품에 점착되는 점착층(30)과, 기재층(10)과 점착층(30) 사이에 형성된 박리 붕괴층(60)과, 재귀 반사층(20A)의 표면의 일부에 설치된 이파괴층(40)과, 기재층(10)의 점착층(30) 측의 표면에 디자인 또는 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경 정보(50)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재귀 반사층(20)은,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며, 유리 비즈가 빈틈없이 깔린 광 굴절체층(21)과, 광 굴절체층(21)을 그 표면부가 노출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층(22)과, 기재층(10)의 표면부에 적층된 반사층(23A)으로 이루어진다.
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C)는, 박리 붕괴층(60)을 가지고 있는 점이 제2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그 외의 구성은,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구성 요소의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작용?효과는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5~제8 실시형태)
제5~제8 실시형태를 도 5~도 8에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제5 실시형태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D)는, 재귀 반사층(20D)의 광 굴절체층(21D)이 제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도 6에 나타내는 제6 실시형태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E)는, 재귀 반사층(20E)의 광 굴절체층(21E)이 제2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도 7에 나타내는 제7 실시형태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F)는, 재귀 반사층(20F)의 광 굴절체층(21F)가 제3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도 8에 나타내는 제8 실시형태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G)는, 재귀 반사층(20G)의 광 굴절체층(21G)이 제4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이들 광 굴절체층(21D~21G)은, 유리 비즈가 아니라, 양면에 볼록한 구면을 배열한 성형 광학체이며, 실질적으로, 유리 비즈가 정렬되어 빈틈없이 깔린 재귀 반사층과 동일한 기능을 얻을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대응하는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9 실시형태)
도 9는,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전술한 제1~제8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 1A~1G)에 대하여, 재귀 반사층의 표면 주위에 인쇄 보호층(70)을 설치한 것이다. 도 10에는,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의 이파괴층(40)이 라벨 시트 주변부에까지 이르러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에서는, 인쇄 보호층(70)이 이파괴층(40)의 위에 중첩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11에는,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의 이파괴층(40)이 라벨 시트 주변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에서는, 인쇄 보호층(70)이 재귀 반사층(20)의 위에 중첩하여 설치되어 있다. 인쇄 보호층(70)은, 제2~제8 실시형태에 따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 1A~1G)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인쇄 보호층(70)은, 박리대지 상에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배열 상태로 구비한 시트가 반송 시 등에 중첩되거나 하여, 가해진 힘 등에 의해 이파괴층(40)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효하다. 인쇄 보호층(70)을 형성함으로써, 이파괴층(40)에 정당한 취급자가 취급할 때 부주의하게 접촉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위조 행위나 위장 발견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인쇄 보호층(70)은, 인쇄 잉크 또는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설폰 수지 등이 있다. 인쇄 보호층(70)을 형성함으로써, 이파괴층(40)은 두께가 증가하고, 쉽게 붕락(崩落)하지 않게 된다. 인쇄 보호층(70)은, 이파괴층(40)과 합하여 5㎛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반사층에 광이 반사되었을 때 보이는 색조를 적색으로 한 재귀 반사체의 표면(유리 비즈의 노출면)에 도요잉키 제품인 FD카튼ACE매트OP니스로 이루어지는 투명 잉크를 사용하여, 활판 인쇄에 의해 투광성 문자 「Sample」의 이파괴층을 형성하였다. 이파괴층은, 두께 3㎛와 5㎛의 2종류로 하였다.
층 두께가 상이한 각각의 이파괴층을 가지는 재귀 반사체층을 직경 1cm의 원형으로 펀칭하고,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로서 상자체에 부착하였다. 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문자 「Sample」은, 자연광 하에서는 잘 보이지 않지만, 강한 광을 조사하면, 문자 「Sample」이 나타나서 보였다. 이어서, 시일을 상체로부터 벗겨내고, 다시 상체에 부착하고, 강한 광을 조사하여 시일을 관찰했다. 두께 3㎛의 이파괴층을 가지는 시일의 경우, 「Sample」의 문자가 지워져 있고, 문자가 지워진 영역에서는, 「Sample」의 문자가 거의 판독할 수 없는 지워진 상태로 나타나서 보였다. 한편, 두께 5㎛의 이파괴층을 가지는 시일의 경우, 「Sample」의 문자가 나타나서 보였다. 그리고, 이 관찰은 20회 반복하였으나, 모두 동일한 결과였다.
[실시예 2]
재귀 반사체(반사층에 광이 반사되었을 때 보이는 색조는 적색)의 유리 비즈 상에, 반사층에 광이 반사되었을 때 보이는 색조와는 다른 색조의 유색 투명 잉크[도요잉키 제품 FD카튼ACE매트OP니스 + 사쿠라노미야카가쿠 제품 마이크로리스블루(전체 양에 대하여 3%)]로 문자 「Sample」을 인쇄했다.
얻어진 유색 이파괴층을 가지는 재귀 반사체를 직경 1cm의 원형으로 펀칭하고,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로서 상자체에 부착하였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일의 박리 시험을 행하였다. 「Sample」의 문자가 지워진 것은 자연광 하에서 약간 확인할 수 있는 정도였지만, 강한 광을 조사하면 반사층의 색이 강조되고, 또한 「Sample」의 문자가 지워져 있는 것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관찰은 20회 반복하였으나, 모두 동일한 결과였다.
[실시예 3]
재귀 반사체(반사층에 광이 반사되었을 때 보이는 색조는 보는 각도에 따라 레인보우색으로 변화하는 이른바 구조색)의 표면(유리 비즈의 노출면)에 난색(warm cloor)계 유색 투명 잉크로 활판 인쇄에 의해 두께 3㎛로 문자 「Sample」의 이파괴층을 형성하였다.
이파괴층을 가지는 재귀 반사체를 직경 1cm의 원형으로 펀칭하고,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로서 상자체에 부착하였다. 이 재귀 반사체의 문자 「Sample」은, 자연광 하에서 겨우 확인할 수 있는 정도였다. 강한 광을 조사하면, 문자 「Sample」은, 재귀 반사체의 반사층의 구조색이 난색계로 보였을 때는 확인할 수 없게 되고, 재귀 반사체를 경사지게 하여 반사층이 난색계 이외의 색조로 보였을 때는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시일의 박리 시험을 행하여, 강한 광을 조사하여 시일을 관찰하면, 「Sample」의 문자가 지워진 영역에서는, 반사층의 구조색이 난색계 이외의 색조로 보였을 때는, 문자가 지워진 상태로 나타나서 보였다. 그리고, 이 관찰은 20회 반복하였으나, 모두 동일한 결과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의 재귀 반사체의 유리 비즈 상에, 난색계 유색 투명 잉크[도요잉키 제품 FD카튼ACE매트OP니스 + 사쿠라노미야카가쿠 제품 마이크로리스레드(전체 양에 대하여 3%)]로 별모양의 마크를,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투명 잉크에 의해 문자 「Sample」을 각각 두께 3㎛로 인쇄했다.
얻어진 2종류의 인쇄를 가지는 재귀 반사체를 직경 1cm의 원형으로 펀칭하고,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로서 상자체에 부착하였다. 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자연광 하에서는 성형의 마크만이 보였다. 이어서, 시일의 박리 시험을 행하였다.
강한 광을 조사하여 시일을 관찰한 바에 의하면, 구조색이 강조되어 있고, 또한 「Sample」의 문자가 지워진 영역에서는, 「Sample」의 문자는 거의 판독할 수 없는 지워진 상태로 나타나서 보였다. 또한, 반사층의 구조색이 난색계 이외의 색조로 보였을 때는 성형의 마크가 지워진 상태로 나타나서 보였다. 그리고, 이 관찰은 20회 반복하였으나, 모두 동일한 결과였다.
이어서, 본 발명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제조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여기서는, 유리 비즈 상에 이파괴층을 가지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제조 공정은, 기본적으로는 유리 비즈의 고정 공정, 반사층의 형성 공정, 기재층의 부착 공정, 필름 박리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구체적인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1) 반사층이 단층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제조
PET 필름 등의 필름의 상면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도포하고, 그 위에 정렬하여 유리 비즈를 살포하고 건조한다. 이로써, 유리 비즈의 하반구를 폴리에틸렌 수지 내에 매몰시킨다(유리 비즈의 고정 공정). 다음으로, 노출된 유리 비즈의 상면에 금속 화합물의 박막을 100~600 nm의 범위 내에서 증착시킨다(반사층의 형성 공정). 그리고, 박리대지에 점착층을 통하여 적층된 기재층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도포하고 이것을 유지층으로 하고, 이 유지층을 상기 반사층에 맞추어서 부착하고(기재층 부착 공정), 마지막으로 PET 필름 등의 필름 및 폴리에틸렌 수지를 박리한다(필름 박리 공정).
유리 비즈의 표면에는 요철이 있으므로, 금속 화합물의 박막의 두께에 변동이 생겨, 계조가 생긴다.
(2) 반사층이 다층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PET 필름 등의 필름의 상면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도포하고, 그 위에 유리 비즈를 살포하고, 건조하여 유리 비즈의 하반구를 폴리에틸렌 수지 내에 매몰시킨다(유리 비즈의 고정 공정). 다음으로, 노출된 유리 비즈 상면에 복수개의 금속 화합물의 박막(100~200 nm의 범위)을 증착시켜, 다층의 반사층으로 만든다(반사층 형성 공정). 그리고, 박리대지에 점착층을 개재하여 적층된 기재층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도포하고 이것을 유지층으로 하고, 이 유지층을 상기 반사층에 맞추어서 부착하고(기재층 부착 공정), 마지막으로 PET 필름 등의 필름 및 폴리에틸렌 수지를 박리한다(필름 박리 공정).
얻어진 유리 비즈 상에 이파괴층을 가지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특정 형태, 예를 들면, 원형상의 라벨 시트로 만든 경우에는, 원형상의 라벨 시트(1)만이 박리대지(80) 상에 정렬된 시트가 된다(도 12 참조). 라벨 시트만 박리대지(80) 상에 남은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는, 유리 비즈(21) 상에 라벨 시트 형상의 새김눈(91)을 형성하고, 원형상의 라벨 시트 잔여부(93) 만을 박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라벨 시트 잔여부(93)를 박리할 때(시일의 불필요한 부분 제거), 라벨 시트 잔여부(93)와 라벨 시트(1)가 동반 박리(이하 「동반 박리」라고 함)가 일어난다. 동반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벨 시트(1)의 측변에 라벨 시트 잔여부(93)에 걸쳐진 새김눈(91)을 형성한다. 새김눈(91)은, 라벨 시트(1)의 주위둘레에서 서로 대각(對角)으로 형성된다. 이 새김눈(91)은,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의 표면으로부터 재귀 반사층(20)까지 이어지는 하프컷이다.
이와 같은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와 라벨 시트 잔여부(93)에 걸쳐진 새김눈(91)을 가짐으로써, 새김눈으로부터 접착제에 포함되는 용제의 건조가 촉진되어 라벨 시트 잔여부(93)를 박리대지(80)로부터 박리할 때,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에 걸리는 힘이 분산되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가 박리대지(80)에 강하게 접착되기 때문에 동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새김눈(91)은,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의 재부착에 대하여 쉽게 찢어지는 성질을 가지고, 재부착에 대하여 회복성이 없기 때문에, 개봉 확인 효과가 있다.
새김눈(91)과 라벨 펀칭 컷(92)을 형성하여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를 펀칭하기 위한 날은, 예를 들면, 톰슨 날이나 로터리 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제9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중 어느 하나가 고착된 물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은, 위조 방지 물품이거나 또는 상기 위조 방지 물품을 수용한 수용체 물품을 예로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칭코기 또는 혹은 파치슬롯기 등의 유기기(遊技機)에 있어서는, 파칭코 구슬이 나올 확률이 PROM 등에 기록되어 있고, 이 PROM 등은, 박스에 수용되어 있어 쉽게 손댈 수 없도록 되어 있다. PROM을 교환하여 파칭코 구슬이 나올 확률을 높이는 부정을 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PROM 등의 자체에 또는 PROM 등을 수용하고 있는 박스에,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설치함으로써, 위조, 위장이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할 필요성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PROM 등의 자체에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접착한 경우에는, 부정한 PROM 등과 교환하고, 또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다시 부착할 필요가 있다. 또한, PROM 등을 수용하고 있는 박스 본체와 커버와의 이음면에 덮이도록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접착한 경우에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박리하고, 커버를 열어 부정한 PROM 등과 교환하고, 다시 상자 본체와 커버와의 이음면에 덮이도록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부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재부착이 행해지면, 이파괴층이 파괴된다. 또한, 박리 붕괴층이 있는 경우에는 박리 붕괴층도 박리 붕괴되므로, 재부착을 행한 것이 즉시 판명된다. 따라서, 미개봉인지 혹은 이미 개봉되었는지에 대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또는 물품이 교환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부착하는 물품으로서는, 유기기의 제어 기판 유닛의 기판 케이스에 수용된 제어 기판, 기판 케이스, PROM 등의 전자 부품, 케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증명서에 대한 봉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14에는, 부정 교환의 대상이 되는 제어 부품을 수용하는 케이스(101)에 부착된 증명서(101)에 대한 봉인(102)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봉인(102)에 대하여,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02)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02)의 배경 정보(50)를 증명 내용으로 하고, 봉인(102)은 보통의 시일을 사용해도 된다.
도 15에는, 부정 교환의 대상이 되는 제어 부품을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104)와 커버(105)와의 이음면에 덮이도록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06)가 봉인으로서 부착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에는, 부정 교환의 대상으로 되는 CPU(107)나 ROM(108) 등을 구비한 제어 기판(109)에 제1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10)이 부착되고, 하부 케이스(111)에 제어 기판(109)을 탑재하고, 제2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12)가 측면에 부착된 상부 케이스(113)를 씌우고, 하부 케이스(111)와 상부 케이스(113)를 볼트로 연결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제2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12)는, 조립 상태에서는, 하부 케이스(111)의 측면과 상부 케이스(113)의 측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 예에서, 제1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110)를 CPU(107) 상에 부착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이파괴층을 가지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를, 예를 들면, 유기기의 기판 수납 케이스의 개봉 방지 시일로 함으로써, 부정하게 개봉하면 그 흔적을 남기게 되므로, 부정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1, 1A~1G: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10: 기재층
20, 20A~20G: 재귀 반사층 21: 유리 비즈
21D~21G: 광 굴절체층 22: 유지층
23, 23A: 반사층 30: 점착층
40: 이파괴층 50: 배경 정보
60: 박리 붕괴층 70: 인쇄 보호층
80: 박리대지 91: 새김눈
92: 라벨 펀칭 컷 93: 라벨 시트 잔여부

Claims (11)

  1. 기재층(基材層);
    상기 기재층의 한쪽 면에 적층되고 검출광이 일정한 방향으로부터 입사할 때 상기 검출광을 동일한 방향으로 재귀(再歸) 반사할 수 있는 재귀 반사층;
    상기 기재층의 다른 쪽 면에 적층되고 물품에 점착되는 점착층; 및
    상기 재귀 반사층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 이파괴층(易破壞層)
    을 포함하고,
    상기 재귀 반사층은, 광 굴절체층과, 상기 광 굴절체층을 그 표면부가 노출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층과, 상기 광 굴절체층의 표면부와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되거나, 또는 상기 유지층의 내부에 적층된 반사층을 가지고 이루어지고,
    상기 이파괴층은, 마찰력에 대한 이파괴성(易破壞性)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파괴층은, 자연광 하에서 투명하거나 또는 상기 반사층이 착색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에 이 색과 판별하기 어려운 색을 가지는 투명 물질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 상기 물품에 점착된 상태로부터 박리됨으로써 박리 붕괴되고 상기 물품 중 적어도 일부에 잔류되는 박리 붕괴층을 가지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광의 간섭 작용에 의해 구조색을 생기게 하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 반사층의 측변에 새김눈이 형성되어 있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굴절체층은, 상기 기재층에 적층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유지층의 표면에 일부가 매립 상태이면서, 또한, 빈틈없이 깔린 상태로 유지된 복수개의 유리 비즈로 이루어지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 반사층이 투명하며, 상기 기재층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디자인 또는 문자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배경 정보가 형성되어 있는,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는 위조 방지 시일인,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위조 방지 물품이거나, 또는 상기 위조 방지 물품을 수용한 수용체 물품으로서, 상기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
  11. 제9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부재를 조합시켜 이루어지는 물품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부재의 이음매에 덮이도록 상기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
KR1020107021316A 2008-04-30 2009-04-28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및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 KR101204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19387 2008-04-30
JP2008119387 2008-04-30
PCT/JP2009/058329 WO2009133876A1 (ja) 2008-04-30 2009-04-28 再帰反射体ラベルシート及び再帰反射体ラベルシートが固着された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131A KR20100117131A (ko) 2010-11-02
KR101204810B1 true KR101204810B1 (ko) 2012-11-26

Family

ID=4125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316A KR101204810B1 (ko) 2008-04-30 2009-04-28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및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161960B2 (ko)
KR (1) KR101204810B1 (ko)
CN (1) CN102016960B (ko)
HK (1) HK1154695A1 (ko)
TW (1) TWI394111B (ko)
WO (1) WO20091338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8568A (ja) * 2010-11-04 2012-05-24 Kyodo Printing Co Ltd 偽造防止シール
KR101417266B1 (ko) * 2012-04-26 2014-07-09 김태일 오픈타입 비드 제조방식을 이용한 인쇄 반사 시트
KR101470068B1 (ko) * 2012-04-26 2014-12-10 한철대 오픈타입 비드 제조방식이 적용된 인쇄 반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CN102896855B (zh) * 2012-09-17 2014-10-15 西安工业大学 玻璃微珠型防伪薄膜及其制备方法
KR102030616B1 (ko) * 2013-04-22 2019-10-11 미래나노텍 주식회사 재귀반사성 광학 시트
CN105206194A (zh) * 2015-10-14 2015-12-30 恩希爱(杭州)化工有限公司 一种具有多个防伪图案的三维动感防伪制品
JP6062082B1 (ja) * 2016-01-20 2017-01-18 株式会社ソニー・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サービス 印刷物
JP6745656B2 (ja) * 2016-06-24 2020-08-26 共同印刷株式会社 シール部材
CN109073797B (zh) * 2017-03-07 2022-03-01 恩希爱(杭州)薄膜有限公司 防伪反射片
US11366252B2 (en) 2017-10-27 2022-06-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troreflective article comprising locally-laminated reflective layers
JP7113709B2 (ja) * 2018-09-20 2022-08-05 テルモ株式会社 再封緘防止用ラベルおよび再封緘防止用ラベル付き箱体
KR102242677B1 (ko) * 2019-10-23 2021-04-21 엔비에스티(주) 재귀반사 소재를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CN111243420B (zh) * 2020-02-26 2022-04-29 上海鼎琛印务有限公司 一种防伪标签及其生产工艺
DE102020124060A1 (de) * 2020-09-15 2022-03-17 Erich Utsch Ag Verfahren zur Feststellung einer Manipulation oder Fälschung eines Gegenstands sowie System hierzu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2883A (ja) 2006-01-17 2007-08-02 Shiseido Co Ltd 情報を記録した積層材料、それを貼付した物品、情報読み取り方法および読み取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0171A (en) * 1995-01-19 1996-04-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urable security laminate with hologram
JP2000272300A (ja) * 1999-03-26 2000-10-03 Shiseido Co Ltd 偽造防止粘着シ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81164B2 (ja) * 2001-07-16 2011-05-11 株式会社資生堂 再帰反射体
US20030024636A1 (en) * 2001-07-17 2003-02-06 Andy Lin Method of manufacturing anti-counterfeit card label
US6894615B2 (en) * 2001-10-09 2005-05-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rticle with retroreflective and radio frequency-responsive features
US6758405B2 (en) * 2001-12-19 2004-07-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rticle with retroreflective and radio frequency-responsive features
US7601417B2 (en) * 2001-12-20 2009-10-13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ed matter having countermeasure against forging
KR100686999B1 (ko) * 2003-11-14 2007-02-27 기와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시큐리티용 재귀성 반사 시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2883A (ja) 2006-01-17 2007-08-02 Shiseido Co Ltd 情報を記録した積層材料、それを貼付した物品、情報読み取り方法および読み取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16960B (zh) 2013-05-15
TWI394111B (zh) 2013-04-21
KR20100117131A (ko) 2010-11-02
CN102016960A (zh) 2011-04-13
TW200951901A (en) 2009-12-16
JPWO2009133876A1 (ja) 2011-09-01
WO2009133876A1 (ja) 2009-11-05
JP5161960B2 (ja) 2013-03-13
HK1154695A1 (en) 201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810B1 (ko)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 및 재귀 반사체 라벨 시트가 고착된 물품
JP4468902B2 (ja) 情報を記録した積層材料、それを貼付した物品、および情報読み取り方法
US7422781B2 (en) Tamper indicating devices and methods for securing information
US6284337B1 (en) Durable security laminate with heat-shrinkable layer
US5582434A (en) Tamper-resistant labeling
EP2758813B1 (en) Retroreflective articles including a security mark
KR19980701481A (ko) 홀로그램을 갖는 내구성 안전 적층물(durable security laminate with hologram)
JPS59148004A (ja) 方向性影像シ−ト
LT3327B (en) Multilayer product with layer of diffract structure
EA001134B1 (ru) Изделие с голографическими и световозвращающими элементами
JP2007241283A (ja) 光学的可変接着剤を組み込んだ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
KR20100017670A (ko) 개봉흔적 지시 물품
JP5600412B2 (ja) 遊技機
KR20140029355A (ko) 전환 특징부를 갖는 보안 물품
WO2004024439A1 (ja) 多層薄膜フィルムを用いた対象物の識別媒体
KR0172599B1 (ko) 보호용 카바 시이트를 구비한 역반사 안전 라미네이트
WO2022030563A1 (ja) 積層体、カード、カードの製造方法、カードの作製方法、カード用情報記録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ード
MX2009002598A (es) Tarjeta con laminado rasgable de seguridad.
JP2009268532A (ja) 遊技機、遊技機の集積回路パッケージ、遊技機の集積回路及びそれらに貼付するラベル
WO2011132466A1 (ja) 偽造防止用粘着シート
RU11247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товара от подделки
JP7214307B2 (ja) 不正検知シール、及び、不正検知シールセット
RU247753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товара от подделки
JP2009268533A (ja) 遊技機、遊技機の集積回路パッケージ、遊技機の集積回路及びそれらに貼付するラベル
JP2012098568A (ja) 偽造防止シ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