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966B1 -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표면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표면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966B1
KR101202966B1 KR1020110058847A KR20110058847A KR101202966B1 KR 101202966 B1 KR101202966 B1 KR 101202966B1 KR 1020110058847 A KR1020110058847 A KR 1020110058847A KR 20110058847 A KR20110058847 A KR 20110058847A KR 101202966 B1 KR101202966 B1 KR 101202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leather
polyurethane resin
polishing
roller
surfac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영문
Original Assignee
하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영문 filed Critical 하영문
Priority to KR1020110058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00Manufacture of leather; Machines or devices therefor
    • C14B1/44Mechanical treatment of leather surfaces
    • C14B1/46Fluffing, buffing, or sand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 D06C15/02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between co-operating press or calender rol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7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mechanical or physical treatments
    • D06N3/0075Napping, teasing, raising or abrading of the resin co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12Decorative or sun protection articles
    • D06N2211/28Artificial l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출롤러에 감겨있는 합성 피혁을 표면 연마한 후 권취롤러가 연마된 합성피혁을 권취하는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장치에 있어서, 합성 피혁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 연마롤러의 표면에 표면처리제를 제공하기 위한 표면처리제통, 연마롤러의 표면에 일정량의 표면처리제를 일정하게 도포하기 위한 나이프, 연마 롤러와 접촉하여 이송되는 합성 피혁의 표면이 연마되도록 지지하는 도마롤러, 외주면에 형성된 미세돌기가 상기 도마롤러를 통하여 이송되는 합성 피혁의 표면과 접촉하여 소정의 깊이로 연마하는 연마롤러 및 상기 권취롤러 및 연마롤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우레탄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합성 피혁의 표면을 연마롤러를 이용하여 미세 연마함으로써 소비자가 천연 가죽과 같은 질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표면 처리장치{SURFACE TREATING METHOD OF DRIED SYNTHETIC LEATHER BY FORMING POLYURETHANE AND SURFACE TRE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표면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수지를 이형지에 코팅한 후 원단에 접착하여 형성된 합성 피혁을 미세 연마하여 천연 가죽과 같은 표면 질감을 갖도록 하는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표면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천연피혁은 랜덤(random)하고 정교한 3차원 교락 구조체로서, 초극세 섬유로 이루어진 교원질 섬유의 섬유속들이 복잡하고 치밀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유연성과 세섬도로 인한 드레이프성, 부피감, 투습성, 섬유간의 미세 공간에 의한 보온성 등의 장점을 갖는 소재로써 차량의 시트, 소파의 겉감 및 피복의 소재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위와 같은 장점을 갖는 천연피혁은 가격이 비싸고, 수요만큼 생산이 되지 않으므로 천연피혁의 대체 목적으로 천연피혁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합성피혁이 개발되어 왔다. 그 결과 천연피혁의 대체품을 찾기 위하여 나일론 레더(nylon Leather), 폴리염화비닐 레더(PVC Leather), 폴리우레탄 건식 레더(PU Dry type Leather) 등 많은 인조?합성피혁이 등장하였지만, 천연피혁으로서의 물리적 강도, 구조, 성능, 외관 등을 같게 할 수는 없었다.
일반적으로 부직포를 이용한 합성피혁의 제조방법은, 나일론(nylon)-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폴리스티렌(PS) 등으로 된 혼합섬유를 사용하여 부직포를 제작한다. 합성피혁의 바닥부가 되는 부직포 상에 수용성 용제로 용융된 폴리우레탄(polyurethane)용액을 나이프 코팅하여 피혁의 육부가 되는 은면층을 형성하고 별도로 피혁무늬가 부각되어 있는 이형지(release paper)에 폴리우레탄(PU) 용액을 코팅하여 시트를 만든다. 이후 이 시트를 상기 은면층 위에 전사방식으로 접합한 다음, 폴리우레탄(PU) 용액을 건조 후 숙성시킨 후 이형지를 제거하고 건조하면, 표면에는 피혁 무늬의 피막이 형성되고, 그 하위에는 전사층과 은면층이 결합된 피혁의 육면층과 섬유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일체의 합성피혁이 완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폴리우레탄수지를 이용한 합성피혁의 표면은 인위적인 표면 질감을 가지므로 천연가죽과 현격한 차이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천연가죽과 같은 표면 질감을 가지기 위하여 수작업으로 합성피혁의 표면에 표면처리제를 도포하고 상기 표면처리제를 제거하는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많은 노동이 소요되며 처리된 표면이 균일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우레탄수지를 이형지에 코팅한 후 원단에 접착하여 형성된 합성 피혁을 미세 연마하여 천연 가죽과 같은 표면 질감을 갖도록 하는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에 이용되는 표면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은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이형지에 적어도 1회 이상 폴리우레탄수지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폴리우레탄수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원단을 접착하는 단계, 원단이 접착된 폴리우레탄수지를 소정의 시간동안 숙성한 후 상기 이형지를 박리하여 합성 피혁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 피혁의 표면을 미세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이형지를 박리한 합성 피혁의 표면에 소정의 안료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합성 피혁의 표면을 미세연마하는 단계는 표면에 미세돌기가 형성된 연마 롤러가 합성 피혁의 표면 소정의 깊이로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장치는 권출롤러에 감겨있는 합성 피혁을 표면 연마한 후 권취롤러가 연마된 합성피혁을 권취하는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장치에 있어서, 합성 피혁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 연마롤러의 표면에 표면처리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표면처리제를 수용하는 표면처리제통, 연마롤러의 표면에 일정량의 표면처리제를 일정하게 도포하기 위한 나이프, 연마 롤러와 접촉하여 이송되는 합성 피혁의 표면이 연마되도록 지지하는 도마롤러, 외주면에 형성된 미세돌기가 상기 도마롤러를 통하여 이송되는 합성 피혁의 표면과 접촉하여 소정의 깊이로 연마하는 연마롤러 및 상기 권취롤러 및 연마롤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마롤러와 도마롤러간의 회전비를 조정하여 합성 피혁 표면의 연마 정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연마시 합성 피혁의 표면에 소정의 무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연마롤러의 표면에 무늬돌기가 형성되거나 도마롤러의 표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우레탄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합성 피혁의 표면을 연마롤러를 이용하여 미세 연마함으로써 소비자가 천연 가죽과 같은 질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작업에 의한 표면 처리단계를 본 발명의 표면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표면 처리함으로써 인건비 절감 및 합성 피혁의 표면이 균일하게 연마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비자가 원하는 합성 피혁의 무늬를 이형지의 무늬로 1차적으로 구현하고, 합성 피혁의 표면에 적어도 1회 이상의 안료를 더 도포한 후 연마롤러에 의하여 깊이를 조정하여 연마함으로써 2톤 이상이 표현되는 폴리우레탄수지를 이용한 합성 피혁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연마롤러에 다양한 형상의 무늬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돌기가 있는 합성 피혁의 표면이 더 연마됨으로써 다양한 연마 무늬를 갖는 폴리우레탄수지를 이요한 합성 피혁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연마 전 합성 피혁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피혁의 표면 연마 전, 후의 합성 피혁의 비교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에 이용되는 표면 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롤러에 표면처리제가 도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롤러에 의하여 합성 피혁의 표면이 연마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연마롤러의 표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은 폴리우레탄수지를 이형지에 도포하는 단계(S11), 건조된 폴리우레탄수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원단을 접착하는 단계(S13), 소정의 시간동안 숙성한 후 상기 이형지를 박리하여 합성 피혁을 생산하는 단계(S15) 및 상기 합성 피혁의 표면을 미세연마하는 단계(S17)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이형지(210, release paper)는 합성피혁의 표면에 형성될 패턴이 연속적으로 음각되어 있으며 폴리우레탄수지와 박리가 용이하도록 소수성을 갖는 불침투성 필름이다. 상기 이형지(210) 표면의 요철형태의 기본 문양은 합성피혁의 기본문양을 결정하며, 상기 이형지(210) 표면에 제1폴리우레탄수지(220)가 1차 도포(코팅)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폴리우레탄수지(220)가 도포된 이형지(210)는 드라이 챔버에서 100℃ 내지 150℃ 온도로 3분 내지 8분간 건조된다. 여기서 상기 이형지(210) 표면에 도포되는 제1폴리우레탄수지(220)는 소정의 색을 갖는 안료가 혼합되어 기본색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폴리우레탄수지(220)상에는 제2폴리우레탄수지(230)가 2차 도포된 후 건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폴리우레탄수지(230)에도 소정의 색을 갖는 안료가 혼합되어 도포될 수 있으며, 이형지(210) 상에 폴리우레탄수지를 도포되는 횟수는 작업환경에 따라 소정의 횟수로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건조된 폴리우레탄수지(220,230)에 폴리우레탄수지 접착제(240)를 도포한 후 원단(250, 부직포 또는 직물지)을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접착함으로서 조립체를 형성한다(S13). 이후 상기 조립체를 70℃ 내지 100℃의 온도환경에서 숙성한 후 상기 이형지(210)를 박리하여 합성피혁(200)을 생산한다(S16). 상기 합성 피혁(200)은 이형지 패턴에 따라 폴리우레탄수지의 표면상에 돌출부 및 홈을 갖는 기본 패턴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합성피혁(200)의 표면을 표면에 미세돌기가 형성된 연마롤러를 이용하여 소정의 깊이로 연마하는 표면처리를 수행한다(S17).
여기서 이형지가 박리된 폴리우레탄수지(230) 상에 소정의 색을 갖는 안료가 도포한 후 건조시키는 공정이 추가로 진행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홈에 안료가 고여 소정의 색을 표현할 수 있다. 이 경우, 폴리우레탄수지(230)상의 돌출부 및 홈에 도포된 안료는 연마롤러에 의한 연마공정시 돌출부에 도포된 안료는 거의 연마되어 흐릿해져 폴리우레탄수지의 기본색(여기서 폴리우레탄에 안료가 혼합된 경우, 혼합된 안료의 색)으로 표현됨에 반하여 홈에 도포된 안료는 연마정도가 약하므로 남아있어 2톤 이상을 갖는 표면색을 연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표면에 미세돌기를 갖는 연마롤러를 이용한 표면 처리단계 및 표면 처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피혁의 표면 연마 전, 후의 합성 피혁의 비교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소정의 색을 갖는 안료(350)를 도포하는 경우, 상기 안료는 합성피혁(200)의 돌출부(210) 및 홈(320)에 도포된다. 합성피혁(200)을 a-a'방향으로 절단한 절단면에서 보듯이, 돌출부(210) 및 홈(320)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수지 표면에는 안료(350)가 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안료(350)가 도포된 합성피혁의 표면을 연마롤러를 이용하여 연마하는 경우, 합성피혁(200)을 b-b'방향으로 절단한 절단면에서 보듯이 돌출부(310)에 도포된 안료는 연마되어 폴리우레탄수지의 기본색이 외부로 표시된다. 한편 홈(320)에는 연마 후 어느 정도의 도포된 안료가 남아있게 되어 합성피혁의 돌출부에는 폴리우레탄수지의 기본색이, 홈에는 도포된 안료의 색으로 2톤의 색이 외부로 표현될 수 있다. 즉 연마 후, 합성피혁의 표면은 예를 들어 사포를 이용하여 물체의 표면을 문질렀을 때와 유사한 느낌을 갖는 인위적이지 않고 고급스러운 표면 질감이 연출되며, 이는 연마 전 합성피혁의 표면보다 연마 후 합성피혁의 표면은 천연피혁에 가까운 표면 질감을 연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에 이용되는 표면 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에 이용되는 표면 처리장치는 합성피혁이 감겨져 있는 권출롤러(430), 상기 권출롤러(430)에 감겨져 있는 합성피혁(200)을 연마롤러(450)로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이송롤러(421~427), 상기 연마롤러(450)와 접촉하여 연마동안 합성피혁(200)을 지지하는 도마롤러(424) 및 표면처리된 합성피혁을 감는 권취롤러(410)를 포함하며, 연마하기 위한 표면처리제를 제공하기 위한 표면처리제 제공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표면처리제 제공부는 연마롤러(450)와 일정부분 접촉하는 표면처리제(480), 상기 표면처리제를 수용하는 표면처리제통(470) 및 연마롤러(450)가 상기 표면처리제통(470)에 수용되어 있는 표면처리제(480)를 회전하면서 묻은 표면처리제를 연마롤러(450)의 표면상에 일정하게 도포시키기 위한 나이프(46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이송롤러 중 도마롤러(424) 다음에 연결되는 이송롤러(423)는 감겨져 있는 합성피혁(200)의 이송 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자체 회전운동할 수 있다.
도마롤러(450)의 일측은 유압실린더(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상기 유압실린더를 제어하여 도마롤러(450)의 외주면에 이송되는 합성피혁(200)의 표면과 연마롤러(450)의 미세돌기와의 접촉되는 깊이의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연마롤러(450)는 표면에 폴리우레탄수지 표면을 회전하면서 연마할 수 있는 미세돌기(일예로 메쉬 형태를 갖는다)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마롤러(450)의 미세돌기와 도마롤러(426)의 외주면을 따라 이송되는 폴리우레탄수지 표면의 접촉에 의하여 연마됨에 있어서, 제어부(미도시)는 연마롤러(45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연마되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연마롤러(450)가 빠르게 회전하도록 구동모터의 출력을 높이도록함으로써 단위시간내에 폴리우레탄수지 표면에 접촉하는 미세돌기의 수를 많게 함으로써 연마량을 높일 수 있다. 연마량이 많을수록 폴리우레탄수지 표면이 좀 더 부드럽고, 매끄러운 표면 질감을 갖는다고 느낄 수 있다.
즉 폴리우레탄수지 표면에 연마에 따른 다양한 연마정도를 표현하기 위하여,제어부는 도마롤러에 연결된 유압실린더의 상하동작 및 연마롤러에 연결된 구동모터의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연마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롤러에 표면처리제가 도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마롤러(450)의 일정 부분이 표면처리제(480) 내부를 회전하면서 표면처리제(481)의 일정량이 연마롤러(450)의 표면에 묻게 되며, 이후 나이프(460)의 끝단은 미세돌기의 끝단과 접촉하여 미세돌기사이에 묻은 표면처리제(482)만을 남기고 나머지는 다시 표면처리제통(481)으로 떨어진다. 여기서 표면처리제통(470)은 연마롤러(450) 하부에 위치하여 나이프(460)에 의하여 연마롤러(450)의 표면에서 제거되어 아래로 떨어지는 표면처리제(481)를 다시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표면처리제는 폴리우레탄수지와 반응하여 미세돌기에 의한 기계적 연마를 원할하게 하는 신나, 아세톤, 톨루엔, M.E.K(Methyl Ethyl Ketone) 등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연마롤러에 의하여 합성 피혁의 표면이 연마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마롤러(미도시)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이송되는 합성피혁(200)은 도마롤러(424)에 의하여 지지되며, 폴리우레탄수지가 도포된 합성피혁의 표면은 연마롤러(450)에 형성된 미세돌기(451)의 회전에 의하여 연마된다. 즉 도마롤러(424)에 의하여 지지되는 힘(F1)과 연마롤러(450)에 의하여 접촉되는 힘(F2)에 의하여 미세돌기(451)가 소정의 깊이만큼 합성피혁(200)의 폴리우레탄수지 표면을 회전하면서 홈(320) 및 돌출부(310)가 연마되며, 폴리우레탄수지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안료도 연마 깊이에 따라 함께 연마된다. 즉 폴리우레탄수지의 표면을 형성하고 있는 돌출부(310a)에서의 연마량이 홈(320a)에서의 연마량보다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홈(320a)에 착색된 안료의 일정량이 남아 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즉 표면처리하기 전의 합성피혁은 인위적인 느낌의 표면 질감을 갖으나, 연마롤러를 이용한 연마 후 합성피혁의 표면은 연마에 의하여 폴리우레탄수지의 표면은 폴리우레탄수지와 미세돌기의 마찰에 의하여 표현되는 연마흔적(예를 들어 거친 표면을 사포로 문질렀을 때 나타나는 부드러운 질감)에 의하여 매끄러진 느낌을 느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연마롤러의 표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마롤러(450)는 표면에 미세돌기(451)이외에 연마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무늬돌기(45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늬돌기(452)는 미세돌기(451)보다 돌출되어 있음으로 연마롤러(450)와 도마롤러가 접촉시 미세돌기보다 폴리우레탄수지 표면을 더 강력한 힘으로 더 깊이 연마할 수 있다. 따라서 폴리우레탄수지 표면상에 무늬돌기(452)에 의하여 표현되는 연마흔적이 미세돌기에 의하여 표현되는 연마흔적보다 더 연마된 흔적을 표현함으로써 연마무늬를 표현할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늬돌기(452) 사이의 간격은 표현하고자 하는 연마무늬에 따라 임의로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기 무늬돌기(452)에 의하여 폴리우레탄수지 표면상에 다수의 더 연마된 직선을 표현할 수 있으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연마롤러(450)를 수평으로 왕복운동시킴으로써 물결모양의 무늬도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또 다른 연마흔적을 연마시 폴리우레탄수지 표면상에 표현하기 위하여 도마롤러(424) 표면상의 소정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701, 7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701, 702)가 형성된 도마롤러(424)를 통하여 이송되는 합성피혁의 표면이 연마롤러에 형성된 미세돌기의 접촉에 의하여 연마되는 경우, 돌출부(701, 702)가 있는 연마부분이 돌출부(701,702)가 없는 부분보다 연마량이 많아짐으로 연마량의 차이에 따른 연마무늬를 표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 합성 피혁 210 : 이형지
220 : 제1폴리우레탄수지 230 : 제2폴리우레탄수지
240 : 접착제 250 : 원단
310 : 돌출부 320 : 홈
410 : 권취롤러 421,422,423,425,426,427 : 이송롤러
424 : 도마롤러 450 : 연마롤러
451 : 미세돌기 452 : 무늬돌기
460 : 나이프 470 : 표면처리제통
480 : 표면처리제
701,702 : 돌출부

Claims (6)

  1.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이형지에 적어도 1회 이상 폴리우레탄수지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폴리우레탄수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원단을 접착하는 단계;
    원단이 접착된 폴리우레탄수지를 소정의 시간동안 숙성한 후 상기 이형지를 박리하여 합성 피혁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 피혁의 표면을 미세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이형지를 박리한 합성 피혁의 표면에 소정의 안료를 도포 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피혁의 표면을 미세연마하는 단계는
    표면에 미세돌기가 형성된 연마 롤러가 합성 피혁의 표면 소정의 깊이로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
  4. 권출롤러에 감겨있는 합성 피혁을 표면 연마한 후 권취롤러가 연마된 합성피혁을 권취하는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장치에 있어서,
    합성 피혁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
    연마롤러의 표면에 표면처리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표면처리제를 수용하는 표면처리제통,
    연마롤러의 표면에 일정량의 표면처리제를 일정하게 도포하기 위한 나이프,
    연마 롤러와 접촉하여 이송되는 합성 피혁의 표면이 연마되도록 지지하는 도마롤러,
    외주면에 형성된 미세돌기가 상기 도마롤러를 통하여 이송되는 합성 피혁의 표면과 접촉하여 소정의 깊이로 연마하는 연마롤러 및
    상기 권취롤러 및 연마롤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마롤러와 도마롤러간의 회전비를 조정하여 합성 피혁 표면의 연마 정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연마시 합성 피혁의 표면에 소정의 무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연마롤러의 표면에 무늬돌기가 형성되거나 도마롤러의 표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장치.
KR1020110058847A 2011-06-17 2011-06-17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표면 처리장치 KR101202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847A KR101202966B1 (ko) 2011-06-17 2011-06-17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표면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847A KR101202966B1 (ko) 2011-06-17 2011-06-17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표면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966B1 true KR101202966B1 (ko) 2012-11-21

Family

ID=47565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847A KR101202966B1 (ko) 2011-06-17 2011-06-17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표면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96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6371A (zh) * 2013-05-27 2014-08-06 安徽银河皮革有限公司 山羊革仿打光涂饰处理技术
KR101597486B1 (ko) 2015-02-27 2016-02-24 최규양 균일 온도의 가열이 가능한 합성 피혁 제조장치
KR101597485B1 (ko) 2015-02-27 2016-02-24 최규양 균일 온도의 가열이 가능한 합성 피혁 제조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합성 피혁의 제조방법
WO2018131783A1 (ko) * 2017-01-12 2018-07-19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수성 폴리우레탄 발포층이 구비된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11086A (ko) * 2017-03-31 2018-10-11 (주)엘지하우시스 스웨이드질감을 갖는 인조가죽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465B1 (ko) 2001-07-07 2004-09-01 (주) 지지테크-텍스 천연질감의 인조피혁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인조피혁
KR100516276B1 (ko) 2002-12-23 2005-09-21 (주)대우인터내셔널 3차원 입체무늬를 가지는 인공피혁의 제조 방법
KR100962108B1 (ko) 2008-02-28 2010-06-14 (주)위너스 수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통기성을 갖는 육면 가죽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465B1 (ko) 2001-07-07 2004-09-01 (주) 지지테크-텍스 천연질감의 인조피혁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인조피혁
KR100516276B1 (ko) 2002-12-23 2005-09-21 (주)대우인터내셔널 3차원 입체무늬를 가지는 인공피혁의 제조 방법
KR100962108B1 (ko) 2008-02-28 2010-06-14 (주)위너스 수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통기성을 갖는 육면 가죽의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6371A (zh) * 2013-05-27 2014-08-06 安徽银河皮革有限公司 山羊革仿打光涂饰处理技术
KR101597486B1 (ko) 2015-02-27 2016-02-24 최규양 균일 온도의 가열이 가능한 합성 피혁 제조장치
KR101597485B1 (ko) 2015-02-27 2016-02-24 최규양 균일 온도의 가열이 가능한 합성 피혁 제조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합성 피혁의 제조방법
WO2018131783A1 (ko) * 2017-01-12 2018-07-19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수성 폴리우레탄 발포층이 구비된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
US11155960B2 (en) 2017-01-12 2021-10-26 Lg Hausys, Ltd. Artificial leather having water-based polyurethane foam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111086A (ko) * 2017-03-31 2018-10-11 (주)엘지하우시스 스웨이드질감을 갖는 인조가죽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40511B1 (ko) * 2017-03-31 2020-08-03 (주)엘지하우시스 스웨이드질감을 갖는 인조가죽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966B1 (ko) 폴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건식 합성 피혁의 표면 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표면 처리장치
CN102797167B (zh) 具有定向绒毛效果的超纤绒面革的制备方法
KR102186167B1 (ko) 빈티지룩 스웨이드조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KR102140511B1 (ko) 스웨이드질감을 갖는 인조가죽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50159321A1 (en) Suede-like synthetic leath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8883568A (zh) 图案形成方法
KR100446465B1 (ko) 천연질감의 인조피혁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인조피혁
KR101453331B1 (ko) 종이원단 제조방법
CN110205829B (zh) 一种水性牛纤皮基布的后处理工艺
CN101092061A (zh) 具均匀压纹的人工皮革及其制造方法
US20060231188A1 (en) Method for making artificial suede
KR100415195B1 (ko) 승화 전사 공법 적용 및 섬유 파일을 사용한 비닐바닥재와 그의 제조방법
KR101152380B1 (ko) 통기성을 가지는 인조가죽의 제조방법
CN2270068Y (zh) 具有立体层次感与光雾对比闪色感的聚胺酯仿真皮绒
JPH0835000A (ja) スプリットレザ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41089B1 (ko) 나일론/폴리에스테르 분할사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시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 시트
KR100513964B1 (ko) 불규칙한 주름이 형성된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직물지
JP3391885B2 (ja) 皮革様シート状物とその製造方法
TWM456384U (zh) 複合皮革
CN201061922Y (zh) 表面磨砂立体花纹合成皮革
JPH11256484A (ja) 光沢のある植毛シートの製造方法
KR100436653B1 (ko) 다체효과 인조누박의 제조방법
JP6207290B2 (ja) スプリットレザ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3782468U (zh) 仿毛绒合成皮
KR20100035499A (ko) 인조피혁표면가공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표면을 갖는 인조피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