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774B1 -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 - Google Patents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774B1
KR101202774B1 KR1020100131895A KR20100131895A KR101202774B1 KR 101202774 B1 KR101202774 B1 KR 101202774B1 KR 1020100131895 A KR1020100131895 A KR 1020100131895A KR 20100131895 A KR20100131895 A KR 20100131895A KR 101202774 B1 KR101202774 B1 KR 101202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fid tag
box body
side cover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0367A (ko
Inventor
이강대
차경호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31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774B1/ko
Publication of KR20120070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0Transpo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로써, 상자본체에 RFID태그를 장착하여 상자본체를 식별할 수 있는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는, 내부에 물건을 담는 상자본체와; 상기 상자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자본체와의 사이에 하향 개방된 삽입홈을 형성하는 측면커버부와; RFID태그가 내장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측면커버부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 { A BOX WITH RFID TAG }
본 발명은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로써, 상자본체에 RFID태그를 장착하여 상자본체를 식별할 수 있는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반용 상자는 물류 유통과정에서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운반용 상자는 개별적으로 식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많은 상자를 무선으로 편리하게 식별하기 위하여 상자본체에 RFID태그를 장착하였다.
도 1은 종래의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RFID태그가 장착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용 상자(10)의 측벽판에는 다수개의 종,횡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횡리브는 중간횡리브(11) 및 상기 중간횡리브(11)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횡리브(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리브는 좌종리브(13) 및 상기 좌종리브(13)와 이격 배치된 우종리브(1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중간횡리브(11)와 좌종리브(13) 그리고 우종리브(14) 사이에 RFID태그(TAG)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19)이 형성되게 태그횡리브(16)를 형성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공간(19)에는 좌,우로 나사못 체결구(17)가 형성되고, 가운데 좌,우로는 받침종리브(18)를 상기 RFID태그가 두께로 삽입되는 높이로 형성시키며, 상기 삽입공간(19)에 상기 RFID태그(1)를 삽입시켜 상기 삽입공간(19)의 상면에 뚜껑편(2)을 덮고 나사못으로서 내부의 좌,우 나사못 체결구(17)에 체결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운반용 상자(10)는 상기 RFID태그(1)를 조립하는데 시간소요가 많고 작업하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RFID태그가 내장된 케이스를 상자본체의 측면에 쉽게 결합시켜 스티커나 바코드의 부착에 따른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작업 환경 및 능률을 향상시켜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는, 내부에 물건을 담는 상자본체와; 상기 상자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자본체와의 사이에 하향 개방된 삽입홈을 형성하는 측면커버부와; RFID태그가 내장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측면커버부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상자본체의 외측면과 상기 측면커버부의 내측면 중 일면 이상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이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케이스의 측면을 상기 상자본체의 외측면 또는 상기 측면커버부의 내측면과 이격시킨다.
상기 결합돌기의 끝단에는 상기 케이스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향인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면은 상부를 향한다.
상기 측면커버부의 내측면에는 오목하게 함몰된 가이드홈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결합공에 삽입된다.
상기 상자본체의 내부 하면의 양측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RFID태그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과 이격시키는 다수개의 리브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의 측면 및 하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침투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를 덮는 제2케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일단은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후크결합되어 내부에 RFID태그가 삽입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RFID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삽입홈이 형성된 측면커버부에 RFID태그가 내장된 케이스를 삽입하고 결합공에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케이스를 상자본체에 쉽게 결합시킴으로써, 상자본체에 RFID태그를 결합시키기 용이하여 스티커나 바코드의 부착에 따른 별도의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고 작업 환경 및 능률을 향상시켜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삽입홈에 삽입된 케이스가 이격돌기에 의해 상자본체의 외측면과 측면커버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케이스에 수분 및 오염물질이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의 끝단에 경사면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결합돌기를 가이드홈에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삽입공에 케이스를 삽입할 때 결합돌기는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결합공에 삽입됨으로써, 결합공에 결합돌기를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하부판의 상면의 양측에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안착부가 형성됨으로써, 상자본체의 내부에 포함된 큰 자갈 등이 안착부에 모이도록 하여 상자본체의 내부에 담은 물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내측면에 다수개의 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RFID태그를 케이스의 내측면과 이격시킴으로써, RFID태그가 수분 및 오염물질과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측면 및 상하부에 배출공이 형성되어 케이스의 내부에 침투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RFID태그가 물과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는 일단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후크결합됨으로써, 케이스의 내부에 RFID태그를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삽입공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지지대를 회전시켜 상자본체의 상부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C부분을 확대하여 측면커버부에 케이스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4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의 저면도,
도 8은 도 4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D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의 케이스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의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지지대를 회전시켜 상자본체의 상부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C부분을 확대하여 측면커버부에 케이스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D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의 케이스의 일방향 사시도이며,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의 케이스의 타방향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의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RFID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본체(100), 측면커버부(200) 및 케이스(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자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자본체(10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10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01)은 사용자가 넣고자 하는 물건 외에 흙이나 작은 자갈 등을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101)은 상기 상자본체(100)에 농산물 등을 담아 저온 보관할 때, 냉기의 순환을 용이하게 하여 농산물의 신선도를 유지하는데 효율적이다.
이러한 상기 상자본체(100)는 2개의 단측판(110), 2개의 장측판(120) 및 하부판(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측판(110)은 상호 대면하게 배치되고 상부에 운반손잡이(111)가 형성된다.
상기 운반손잡이(111)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어 상기 상자본체(100)를 들 수 있다.
상기 장측판(120)은 상호 대면하게 배치되고 상기 단측판(110)과 수직으로 배치된다.
상기 장측판(120)의 상단 양측에는 지지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121)은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고 상기 장측판(1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121)에는 지지대가 힌지결합된다.
상기 지지대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대(122)와 수직지지대(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지지대(122)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에 상기 수직지지대(123)가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수직지지대(123)는 얇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121)에 각각 힌지결합되며 상기 수평지지대(123)를 상기 단측판(110)과 평행하게 배치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자본체(100)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결합된 상기 지지대(122,123)는 2개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평지지대(122)가 상기 단측판(110)의 상단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22,123)를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지지대(122)의 양 끝단은 상기 장측판(120)의 상단에 접하여 상방향으로 지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자본체(100)의 상부에 다른 상자본체(100)를 적층시킨다.
상기 하부판(130)은 상기 단측판(110) 및 장측판(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130)의 상면에는 안착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31)는 상기 상자본체(100)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고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31)는 상기 상자본체(10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31)의 너비는 상기 관통공(10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131)에 상기 관통공(101)을 통과하지 못하는 큰 자갈(S) 등이 모이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큰 자갈(S) 등이 상기 안착부(131)에 모이게 되면 상기 상자본체(100)에 담은 물건(G)과 접촉하지 않게 되어 상기 상자본체(100)에 담은 물건(G)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자본체(100)에 담은 물건(G)은 상기 단측판(110)과 하부판(130)에 접하여 상기 물건(G)과 상자본체(100)의 모서리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고, 상기 공간의 하부에 안착부(131)가 형성되어 큰 자갈(S) 등이 배치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자본체(100)에 넣은 물건(G)과 큰 자갈(S) 등이 직접적으로 접하여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판(130)의 상면 양측에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상기 안착부(13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자본체(100)의 내부에 포함된 큰 자갈 등이 상기 안착부(131)에 모이도록 하여 상기 상자본체(100)의 내부에 담은 물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130)의 하면 양측에는 적층홈(132)이 형성된다.
상기 적층홈(132)은 상기 상자본체(10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상자본체(100)를 상호 적층할 때 상기 수평지지대(122)가 삽입 배치된다.
상부에 적층된 상기 상자본체(100)는 상기 수평지지대(122)에 의해 상방향으로 지지된다.
상기 측면커버부(200)는 상기 상자본체(100)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커버부(200)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측판(110) 및 장측판(120)의 외측면의 상부에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커버부(200)와 상자본체(100)의 사이에는 하향 개방된 삽입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300)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210)의 내부에는 이격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이격돌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커버부(200)가 형성된 상기 상자본체(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본체이격돌기(211)와 상기 측면커버부(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커버이격돌기(2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격돌기(211,212)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2개가 좌우로 상호 이격 배치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격돌기(211,212)는 하단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300)를 상기 삽입홈(210)에 쉽게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본체이격돌기(211)와 커버이격돌기(212)는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된 상기 케이스(300)의 측면을 상기 상자본체(100)의 외측면 및 측면커버부(200)의 내측면과 이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된 상기 케이스(300)가 상기 이격돌기(211,212)에 의해 상기 상자본체(100)의 외측면 및 측면커버부(20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케이스에 수분 및 오염물질이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이격돌기는 상기 본체이격돌기(211)와 커버이격돌기(212) 중 어느 하나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커버부(200)의 측면에는 후술할 결합돌기(322)가 삽입되는 결합공(22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22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2개가 좌우로 상호 이격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결합공(220)은 원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커버부(200)의 내측면에는 가이드홈(23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30)은 오목하게 함몰되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결합공(220)과 연통되며 하단은 하부로 개방된다.
상기 가이드홈(230)의 너비는 상기 결합공(220)의 내경과 같다.
상기 케이스(300)는 내부에 RFID태그(400)가 내장되고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300)는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310)와 제2케이스(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케이스(310)와 제2케이스(32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320)가 상기 제1케이스(310)를 덮는다.
상기 제1케이스(310)와 제2케이스(320)는 일단이 유연성 재질로 연결되어 일단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310)의 타단에는 고정편(31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311)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31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고정편(311)의 내부에는 사각형 형상의 후크홈(312)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홈(312)에는 후술할 후크돌기(321)가 삽입된다.
상기 제2케이스(320)의 타단에는 상방향 즉, 상기 케이스(300)가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후크돌기(321)가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크돌기(321)는 상단이 상기 제1케이스(310)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후크홈(312)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편(311)이 상기 제2케이스(320)가 배치된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후크홈(312)에 상기 후크돌기(321)가 삽입되어 상기 제1케이스(310)와 제2케이스(320)를 결합시킨다.
또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케이스(320)의 외측면에는 결합돌기(32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322)는 2개가 상호 이격 배치되고, 끝단에 경사면(323)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32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322)의 끝단에서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323)은 상기 삽입홈(210)이 형성된 상부를 향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322)가 상기 가이드홈(230)에 삽입될 때 상기 측면커버부(200)의 하단에 먼저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322)의 끝단에 상기 경사면(323)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돌기(322)가 상기 가이드홈(230)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결합돌기(322)는 끝단 전체면을 상기 경사면(323)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상기 결합돌기(322)의 끝단 전체면을 상기 경사면(323)으로 형성하면 상기 경사면(323)의 끝단의 강성이 약해져서 상기 결합돌기(322)가 상기 결합공(2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300)를 제대로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돌기(322)의 끝단 상부 일부만 상기 경사면(323)으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230)에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322)는 상기 가이드홈(23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결합공(220)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3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 즉, 상기 제1케이스(310)와 제2케이스(320)의 내측면에 다수개의 리브(33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리브(3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300)에 내장된 상기 RFID태그(400)를 상기 케이스(30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300)의 내측면에 다수개의 리브(30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RFID태그(400)를 상기 케이스(30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RFID태그(400)가 수분 및 오염물질과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300)에는 배출공(340)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340)은 상기 케이스(300)의 측면 및 상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300)의 내부에 침투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300)의 측면 및 상하부에 상기 배출공(340)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300)의 내부에 침투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RFID태그(400)가 물과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210)에 상기 RFID태그(400)가 내장된 상기 케이스(300)를 삽입하고, 상기 결합공(220)에 상기 결합돌기(322)가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300)를 상기 상자본체(100)에 쉽게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상자본체(100)에 상기 RFID태그(400) 결합시키기 용이하다.
이하, 상술한 구성에 따른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의 조립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기 케이스(300)의 내부에 상기 RFID태그(400)를 삽입한다.
상기 RFID태그(400)를 삽입한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케이스(310)와 제2케이스(320)를 덮고 상기 고정편(311)을 회전시켜 상기 후크홈(312)에 상기 후크돌기(321)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RFID태그(400)가 삽입된 상기 케이스(300)를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323)은 상기 측면커버부(200)가 형성된 상방향을 향하게 한다.
상기 결합돌기(322)는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될 때, 먼저 상기 경사면(323)이 상기 측면커버부(200)의 하단에 접하게 되고, 상기 측면커버부(200)의 하단과 상기 경사면(323)이 접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322)가 삽입되며 상기 측면커버부(200)가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322)에 상기 경사면(32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돌기(322)가 돌출 형성된 상기 케이스(300)를 상기 삽입홈(210)에 쉽게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322)는 상기 가이드홈(23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결합공(220)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돌기(322)가 상기 결합공(220)에 삽입되면 상기 결합돌기(322)에 의해 벌어진 상기 측면커버부(200)는 원상태로 복원되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322)가 상기 결합공(20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케이스(300)를 상기 측면커버부(200)에 쉽게 고정 장착시킬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된 상기 케이스(300)는 상기 본체이격돌기(211)와 커버이격돌기(212)에 의해 상기 상자본체(100)의 외측면 및 상기 측면커버부(200)의 내측면과 이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300)는 상기 상자본체(100)의 외측면 및 상기 측면커버부(200)의 내측면과 이격됨으로써, 상기 케이스(300)에 수분 및 오염물질이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상기 RFID태그(4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상자본체, 101 : 관통공, 110 : 단측판, 111 : 운반손잡이, 120 : 장측판, 121 : 지지홈, 122 : 수평지지대, 123 : 수직지지대, 130 : 하부판, 131 : 안착부, 132 : 적층홈, 200 : 측면커버부, 210 : 삽입홈, 211 : 본체이격돌기, 212 : 커버이격돌기, 220 : 결합공, 230 : 가이드홈, 300 : 케이스, 310 : 제1케이스, 311 : 고정편, 312 : 후크홈, 320 : 제2케이스, 321 : 후크돌기, 322 : 결합돌기, 323 : 경사면, 330 : 리브, 340 : 배출공, 400 : RFID태그

Claims (8)

  1. 내부에 물건을 담는 상자본체와;
    상기 상자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자본체와의 사이에 하향 개방된 삽입홈을 형성하는 측면커버부와;
    RFID태그가 내장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측면커버부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상자본체의 외측면과 상기 측면커버부의 내측면 중 일면 이상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이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케이스의 측면을 상기 상자본체의 외측면 또는 상기 측면커버부의 내측면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의 끝단에는 상기 케이스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향인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면은 상부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부의 내측면에는 오목하게 함몰된 가이드홈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
  5. 내부에 물건을 담는 상자본체와;
    상기 상자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자본체와의 사이에 하향 개방된 삽입홈을 형성하는 측면커버부와;
    RFID태그가 내장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측면커버부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상자본체의 내부 하면의 양측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
  6. 내부에 물건을 담는 상자본체와;
    상기 상자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자본체와의 사이에 하향 개방된 삽입홈을 형성하는 측면커버부와;
    RFID태그가 내장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측면커버부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RFID태그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과 이격시키는 다수개의 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면 및 하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침투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를 덮는 제2케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일단은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후크결합되어 내부에 RFID태그가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
KR1020100131895A 2010-12-21 2010-12-21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 KR101202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895A KR101202774B1 (ko) 2010-12-21 2010-12-21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895A KR101202774B1 (ko) 2010-12-21 2010-12-21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367A KR20120070367A (ko) 2012-06-29
KR101202774B1 true KR101202774B1 (ko) 2012-11-19

Family

ID=46688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895A KR101202774B1 (ko) 2010-12-21 2010-12-21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7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496B1 (ko) * 2013-11-28 2014-08-21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지지바 고정 구조를 갖는 적층식 운반 상자
WO2015199277A1 (ko) * 2014-06-26 2015-12-30 (주)시스펙 운반용 조립 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477B1 (ko) * 2012-11-30 2014-05-13 엔피씨(주) 속포장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상자
AT14524U1 (de) * 2014-05-20 2015-12-15 Andreas Ing Pensold Transpondervorrichtung für Transportbehälter
US20200160008A1 (en) * 2018-11-16 2020-05-21 Young Ho Bok Circulation box with rfid chip
CN109747950A (zh) * 2019-02-28 2019-05-14 江苏好烤克食品机械有限公司 Rfid周转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3339A (ja) * 1999-12-09 2001-06-19 Sanko Co Ltd 運搬用容器
JP2007055667A (ja) 2005-08-26 2007-03-08 Sanko Co Ltd コンテナーにおける無線icタグの配置構造
JP2011001097A (ja) 2009-06-19 2011-01-06 Sanko Co Ltd 運搬用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3339A (ja) * 1999-12-09 2001-06-19 Sanko Co Ltd 運搬用容器
JP2007055667A (ja) 2005-08-26 2007-03-08 Sanko Co Ltd コンテナーにおける無線icタグの配置構造
JP2011001097A (ja) 2009-06-19 2011-01-06 Sanko Co Ltd 運搬用容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496B1 (ko) * 2013-11-28 2014-08-21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지지바 고정 구조를 갖는 적층식 운반 상자
WO2015199277A1 (ko) * 2014-06-26 2015-12-30 (주)시스펙 운반용 조립 박스
KR101591857B1 (ko) * 2014-06-26 2016-02-04 (주)시스펙 운반용 조립 박스
CN106660662A (zh) * 2014-06-26 2017-05-10 赛斯派克供应链公司 搬运用组装箱
US10059509B2 (en) 2014-06-26 2018-08-28 Syspac Supply Chain Assembly box for transpor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367A (ko) 201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774B1 (ko) Rfid태그가 장착된 운반용 상자
KR101591857B1 (ko) 운반용 조립 박스
AU2004274301A1 (en) Article storage case
JP5748622B2 (ja) 蜜蜂巣箱
KR100543412B1 (ko) 적층 가능한 옷걸이
JP2007147202A (ja) 冷蔵庫
KR101603041B1 (ko) 다각형 포장용 상자 및 박스 커버
JP5371016B2 (ja) コンテナ
JP5415304B2 (ja) 運搬用容器
KR101023628B1 (ko) 어류 냉동용 케이스
KR102258990B1 (ko) 냉매고정 가능한 조립식 저온 팔레트 박스
KR100882162B1 (ko) 골판지를 이용한 이송용 파레트 박스
JP2000085773A (ja) 運搬用容器
KR102060325B1 (ko)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
KR20110036718A (ko) 조립식 상자
KR20110011082U (ko) 조립식 포장박스
KR200458786Y1 (ko) 신선식품 보관용 상자
JP2006248527A (ja) 魚介類の冷凍保管用容器
KR200404708Y1 (ko) 네측벽을 사용용도에 맞게 다양화 시킨 패리트형 운반상자
KR20070001209U (ko) 어상자
KR101041184B1 (ko) 조립식 상자
JP5974724B2 (ja) アスパラガス用発泡合成樹脂製容器
CN213443626U (zh) 一种高效果蔬周转箱
JP4852446B2 (ja) 仕切体
KR101787017B1 (ko) 포장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