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082U - 조립식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082U
KR20110011082U KR2020100005392U KR20100005392U KR20110011082U KR 20110011082 U KR20110011082 U KR 20110011082U KR 2020100005392 U KR2020100005392 U KR 2020100005392U KR 20100005392 U KR20100005392 U KR 20100005392U KR 20110011082 U KR20110011082 U KR 201100110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late
packaging box
fitte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에스티
Priority to KR2020100005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1082U/ko
Publication of KR201100110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08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88/526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50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whereby at least one side wall is made of two or more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7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 separate auxiliary element, e.g. screws, nails, bayo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7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 B65D2519/00796Guiding means for fork-li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레트 바닥판과 측면판으로 구성되는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는 측면에서 삽입 가능토록 형성되는 지게차 포크 삽입구가 구비된 파레트 바닥판과 상기 파레트 바닥판의 둘레에 서로 마주보며 수직으로 끼워지는 각각 한쌍의 제1측면판 및 제 2측면판, 상기 파레트 바닥판의 각 코너에 돌출되게 고정되며, 상기 제 1측면판 및 제 2측면판의 하단코너가 끼위지는 "ㄱ" 형상으로 절곡된 앵글형의 고정부재와 상기 제 1측면판의 양측면에 구비되며, 형성되는 홈에 제 2측면판을 끼워결합하는 측면지지부재 및 상기 파레트 바닥면에 수직으로 끼워지는 각 측면판의 상단코너에 끼워지며, 상기 제 1측면판 및 제 2측면판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결합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로 제작에 있어 재료 및 가공원가를 절감하여 비용효과적인 조립식 포장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립 및 사용 후 분리해체에 있어 간편하되, 사용에 있어 견고한 조립식 포장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포장박스{A ASSEMBLY TYPE PACKING BOX}
본 고안은 컨테이너 적재용 또는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조립식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조립식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게차에 의한 이동이 용이하고 사용 후 분리보관이 가능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포장박스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가능토록 포크 삽입구가 형성되는 파레트 바닥판과 바닥판의 둘레에 수직으로 끼워지는 합판으로 된 측면판으로 구성된다. 파레트 바닥판의 둘레에는 상기 측면판이 끼워지도록 측면판의 길이에 해당하는 동일한 길이의 고정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끼워지는 각 측면판들의 코너부는 서로 연결하여 지지되거나 고정되어야 하는바, 이를 위해 측면판 상단의 코너부와 코너부를 서로 고정하는 측면판 연결부재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측면판 연결부재는 주로 측면판의 두께에 해당하는 홈이 형성된 "ㄱ" 자형의 코너커버를 이용하여 측면판 상단 코너에 고정한 후 사용 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핀으로 고정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식 포장박스는 박스에 사용되는 측면판의 길이와 동일한 지지부재를 사용해야 하는 관계로 제작비용에 있어서 효율적이지 못하며, 합판으로 제작된 목재 측면판은 보관 시, 정도의 차이가 있으나 평면에 변형이 생기는 관계로 변형된 측면판을 조립 시 정확히 지지부재의 홈에 완벽하게 끼워 맞춰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형태의 측면판 연결부재는 고정핀으로 고정하지 않으면 사용 시 발생되는 헐거움으로 인해 이탈분실되며 이로 인해 포장박스의 파손으로까지 이어지게 된다. 때문에 조립식 포장박스의 사용완료 후 해제작업 시 고정핀을 제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먼저 제작에 있어 재료 및 가공원가를 절감하여 비용효과적인 조립식 포장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립 및 사용 후 분리해체에 있어 간편하되, 사용에 있어 견고한 조립식 포장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파레트 바닥판과 측면판으로 구성되는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는 측면에서 삽입 가능토록 형성되는 지게차 포크 삽입구가 구비된 파레트 바닥판 과 상기 파레트 바닥판의 둘레에 서로 마주보며 수직으로 끼워지는 각각 한쌍의 제1측면판 및 제 2측면판, 상기 파레트 바닥판의 각 코너에 돌출되게 고정되며, 상기 제 1측면판 및 제 2측면판의 하단코너가 끼위지는 "ㄱ" 형상으로 절곡된 앵글형의 고정부재와 상기 제 1측면판의 양측면에 구비되며, 형성되는 홈에 제 2측면판을 끼워결합하는 측면지지부재 및 상기 파레트 바닥면에 수직으로 끼워지는 각 측면판의 상단코너에 끼워지며, 상기 제 1측면판 및 제 2측면판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결합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 1측면판 및 제 2측면판은 각 측면판 상단 양 코너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에 대응되는 연결 부재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연결부재는 좁은 판모양으로 형성되되, 양끝단은 "ㄷ"자 형으로 절곡되고, 부재의 중심부는 다시"ㄱ"자 형으로 절곡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제 1측면판의 연결부재 삽입홈에 끼워지고, 타단은 제 2측면판의 연결부재 삽입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측면지지부재는 판모양으로 형성되며, 판의 중심을 따라 "ㄱ"자형으로 연속적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1측면판의 양측면에 고정핀으로 고정되되, 제 2측면판이 끼워지도록 절곡면의 일면은 고정되는 제 1측면판의 측단면과 이격되게 고정되어 측면판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조립식 포장박스에 있어서, 파레트 바닥판에는 판모양으로 형성되며, 파레트 바닥판의 측면에 돌출되게 고정되어 상기 제 1측면판 및 제 2측면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실시로 발생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제작에 있어 재료 및 가공원가를 절감하여 비용효과적인 조립식 포장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립 및 사용 후 분리해체에 있어 간편하되, 사용에 있어 견고한 조립식 포장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조립식 포장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조립식 포장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조립식 포장박스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조립식 포장박스의 중심을 수평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조립식 포장박스의 중심을 수직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조립식 포장박스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조립식 포장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조립식 포장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조립식 포장박스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조립식 포장박스의 중심을 수평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조립식 포장박스의 중심을 수직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조립식 포장박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인 조립식 포장박스(10)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삽입 가능토록 형성되는 지게차 포크 삽입구(120)가 구비된 파레트 바닥판(100) 과 상기 파레트 바닥판(100)의 둘레에 서로 마주보며 수직으로 끼워지는 각각 한쌍의 제1측면판(200a) 및 제 2측면판(200b)과 상기 파레트 바닥판(100)의 각 코너에 돌출되게 고정되며, 상기 제 1측면판(200a) 및 제 2측면판(200b)의 하단코너가 끼위지는 "ㄱ" 형상으로 절곡된 앵글형의 고정부재(20)와 상기 제 1측면판(200a)의 양측면에 구비되며, 형성되는 홈에 제 2측면판(200b)을 끼워결합하는 측면지지부재(30) 및 상기 파레트 바닥면(100)에 수직으로 끼워지는 각 측면판의 상단코너에 끼워지며, 상기 제 1측면판(200a) 및 제 2측면판(200b)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결합하는 연결부재(40)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레트 바닥판(100)의 둘레에는 측면판이 끼워지도록 측면판의 길이에 해당하는 동일한 길이의 오목한 홈이 형성된 고정부재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식의 고정부재는 포장박스 조립 시 측면판의 삽입과정에서 측면판의 변형발생 시 끼워넣기가 어려울 뿐더러, 재료비용 지출면에서도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파레트 바닥판(100)의 각 측면코너마다 "ㄱ" 형상으로 절곡된 앵글형의 철재로 된 고정부재(20)를 돌출되게 구비하고, 상기 파레트 바닥판(100)의 바닥면(150)을 돌출되게 구비하되, 상기 바닥면(150)의 둘레는 상기 파레트 바닥판(100)의 측면둘레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재(20)와 바닥면(150)사이에는 측면판을 끼워넣을 수 있는 바닥판 홈(170)이 생기게 된다. 때문에 종래의 오목한 홈이 형성된 긴 고정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짧은 앵글형 절재 고정부재(20)만으로도 효율적으로 측면판을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제작원가에 있어서도 비용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측면지지부재(30)는 판모양으로 형성되며, 판의 중심을 따라 "ㄱ"자형으로 연속적으로 절곡되고,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측면판(200a)의 양측면에 고정핀으로 고정되되, 상기 제 2측면판을 삽입할 수 있도록 절곡면의 일면은 고정되는 제 1측면판(200a)의 측단면과 이격되게 고정하여 이로 인해 발생되는 공간 즉 측면판 삽입홈(250)을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측면지지부재(30) 또한 측면판의 높이와 동일할 필요가 없어 재료의 절감으로 원가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연결부재 삽입홈(220)은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측면판(200a) 및 제 2측면판(200b)은 측면판의 상단의 양 코너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4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40)의 두께에 대응되게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본 고안의 연결부재(40)은 2mm ~ 4mm 두께의 철재로 된 좁은 판모양으로 형성되되, 양끝단은 "ㄷ"자 형으로 절곡되고, 부재의 중심부는 다시"ㄱ"자 형으로 절곡 형성되며,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제 1측면판(200a)의 연결부재 삽입홈(220)에 끼워지고, 타단은 제 2측면판(200b)의 연결부재 삽입홈(220)에 끼워넣는 방식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결부재(40)의 양끝에 형성되는 "ㄷ"자 형 절곡부 내부의 너비 즉 "ㄷ"자 형에서 열린부분의 높이라고 볼 수 있는 거리는 연결부재(40)가 끼워지는 측면판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이보다는 넓게 절곡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너비가 측면판의 두께보다 좁은 경우 끼움결합이 불가능해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전술한 형태로 절곡되는 연결부재(40)의 실시로 각각의 측면판을 효과적으로 연결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고정핀으로 고정되는 코너커버의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조립 및 분해시 고정핀의 분리작업 등의 번거로움이 없이도 상기 연결부재(40)를 연결부재 삽입홈(220)에 끼워넣거나 분리하기만 하면 되는 원터치방식의 쉽고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심플한 제작과정과 재료절감으로 원가절감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보조부재(50)는 철재로 된 판모양으로 형성되며, 파레트 바닥판(100)의 측면에 돌출되게 고정되어 상기 제 1측면판(200a) 및 제 2측면판(200b)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보조부재(50)의 실시로 조립식 포장박스(10)의 특성상 무거운 짐을 싣거나 사용기간이 길수록 측면판에 발생되는 평면도의 변형, 즉 측면판의 중심부가 외부로 볼록하게 돌출변형되는 되는 문제점을 조립 및 해체작업과정에 불편함이 전혀 없이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10; 조립식 포장박스
20; 고정부재
30; 측면 지지부재
40; 연결부재
50; 보조부재
100; 파레트 바닥판 120; 포크삽입구
150; 바닥면 170; 바닥판 홈
200a; 제 1측면판 200b; 제 2측면판
220; 연결부재 삽입홈 250; 측면판 삽입홈

Claims (5)

  1. 파레트 바닥판과 측면판으로 구성되는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는 측면에서 삽입 가능토록 형성되는 지게차 포크 삽입구가 구비된 파레트 바닥판;
    상기 파레트 바닥판의 둘레에 서로 마주보며 수직으로 끼워지는 각각 한쌍의 제1측면판 및 제 2측면판;
    상기 파레트 바닥판의 각 코너에 돌출되게 고정되며, 상기 제 1측면판 및 제 2측면판의 하단코너가 끼위지는 "ㄱ" 형상으로 절곡된 앵글형의 고정부재;
    상기 제 1측면판의 양측면에 구비되며, 형성되는 홈에 제 2측면판을 끼워결합하는 측면지지부재; 및
    상기 파레트 바닥면에 수직으로 끼워지는 각 측면판의 상단코너에 끼워지며, 상기 제 1측면판 및 제 2측면판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결합하는 연결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측면판 및 제 2측면판은
    측면판 상단의 양 코너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에 대응되는 연결 부재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좁은 판모양으로 형성되되, 양끝단은 "ㄷ"자 형으로 절곡되고, 부재의 중심부는 다시"ㄱ"자 형으로 절곡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제 1측면판의 연결부재 삽입홈에 끼워지고, 타단은 제 2측면판의 연결부재 삽입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박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부재는
    판모양으로 형성되며, 판의 중심을 따라 "ㄱ"자형으로 연속적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1측면판의 양측면에 고정핀으로 고정되되, 제 2측면판이 끼워지도록 절곡면의 일면은 고정되는 제 1측면판의 측단면과 이격되게 고정되어 측면판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박스.
  5. 본 고안의 조립식 포장박스에 있어서,
    파레트 바닥판은
    판모양으로 형성되며, 파레트 바닥판 측면에 돌출되게 고정되어 상기 제 1측면판 및 제 2측면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박스.

KR2020100005392U 2010-05-24 2010-05-24 조립식 포장박스 KR2011001108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392U KR20110011082U (ko) 2010-05-24 2010-05-24 조립식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392U KR20110011082U (ko) 2010-05-24 2010-05-24 조립식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082U true KR20110011082U (ko) 2011-11-30

Family

ID=72886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392U KR20110011082U (ko) 2010-05-24 2010-05-24 조립식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108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783B1 (ko) * 2013-05-24 2015-03-09 두리포장산업(주) 포장용 팰리트
KR102155620B1 (ko) 2020-04-28 2020-09-15 김상욱 동류전용이 가능한 포장박스 조립체
KR102481398B1 (ko) * 2022-05-20 2022-12-27 (주)지금강이엔지 볼록한 측면을 갖는 곡물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783B1 (ko) * 2013-05-24 2015-03-09 두리포장산업(주) 포장용 팰리트
KR102155620B1 (ko) 2020-04-28 2020-09-15 김상욱 동류전용이 가능한 포장박스 조립체
KR20210133837A (ko) 2020-04-28 2021-11-08 김상욱 이탈이 용이한 고정클립을 갖는 포장박스 조립체
KR102481398B1 (ko) * 2022-05-20 2022-12-27 (주)지금강이엔지 볼록한 측면을 갖는 곡물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5028321A1 (ja) 物品収納ケース
KR20110011082U (ko) 조립식 포장박스
KR101171138B1 (ko) 조립식 파렛트
KR200449031Y1 (ko) 포장운반상자의 고정장치
KR101115606B1 (ko) 팔레트의 강도 보강구조
KR100553960B1 (ko) 조립이 용이한 골판지 포장 박스
KR20090030379A (ko) 물품포장용 파레트의 모서리 연결구조
KR100740510B1 (ko)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
KR200441137Y1 (ko) 포장용 스틸박스
KR20090030382A (ko) 물품포장용 파레트의 좌우판 조립구조
KR100717693B1 (ko) 포장박스용 프레임 구조
JP2019104537A (ja) パレット
KR101541130B1 (ko) 조립식 포장상자
KR100730698B1 (ko) 사각 고리를 이용한 조립식 상자
KR101682698B1 (ko) 조립식 철재 파렛트
KR200476369Y1 (ko) 팔레트 박스
KR200449030Y1 (ko) 포장운반상자
KR20090030388A (ko) 물품포장용 파레트의 상부프레임 연결구조
KR20130142567A (ko) 박스가 결합 가능한 파렛트
KR20140050492A (ko) 조립식 포장박스 구비 팔레트
KR101472112B1 (ko) 스틸 가이드 우드 파렛트
KR200416323Y1 (ko) 팔레타이저용 조립형 포장박스
KR102241222B1 (ko) 조립식 파렛트
KR200374148Y1 (ko) 조립이 용이한 골판지 포장 박스
KR200267863Y1 (ko) 물품 포장용 팔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