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130B1 - 조립식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조립식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130B1
KR101541130B1 KR1020140035133A KR20140035133A KR101541130B1 KR 101541130 B1 KR101541130 B1 KR 101541130B1 KR 1020140035133 A KR1020140035133 A KR 1020140035133A KR 20140035133 A KR20140035133 A KR 20140035133A KR 101541130 B1 KR101541130 B1 KR 101541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ide wall
shape retaining
shap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면
김춘호
이원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국지엘피
주식회사 도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국지엘피, 주식회사 도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국지엘피
Priority to KR1020140035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636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to the pallet
    • B65D2519/00641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 B65D2519/00646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by means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벽패널에 장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 어느 위치에도 형상유지부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잦은 조립 및 분해에 의해 상기 고정홈 일부가 파손되어도 측벽패널을 교체할 필요없이 상기 고정홈의 다른 위치에 형상유지부의 결합이 가능하고, 제1 및 제2형상유지편을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축의 분해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형상유지편을 측벽패널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서로 적층 가능하게 보관 가능한 것은 물론, 재조립에 따른 시간도 절약할 수 있는 조립식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는 전체적으로 사각의 판 형상을 갖는 하부패널과,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패널부재 상부에 사각 틀 형상을 갖도록 다수 설치되는 측벽패널과,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상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과 상기 측벽패널의 외면 또는 상기 측벽패널과 상기 상부패널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편 및 두 분체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탈부착 되며, 상기 측벽패널에 의해 형성된 사각 틀 형상의 모서리부에 결합하여 틀어짐을 방지하는 형상유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포장상자{Assembly type packing box}
본 발명은 조립식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벽패널에 장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 어느 위치에도 형상유지부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잦은 조립 및 분해에 의해 상기 고정홈 일부가 파손되어도 측벽패널을 교체할 필요없이 상기 고정홈의 다른 위치에 형상유지부의 결합이 가능하고, 제1 및 제2형상유지편을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축의 분해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형상유지편을 측벽패널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서로 적층 가능하게 보관 가능한 것은 물론, 재조립에 따른 시간도 절약할 수 있는 조립식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상자는 내부에 운송 또는 반송하고자 하는 물품을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함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포장상자는 운송 또는 반송하고자 하는 물건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다양한 크기를 갖는 다수에 패널들의 조립으로 결합하여 사용된다.
일 예로, 종래기술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203197호 '이송컨테이너'의 구성을 살펴보면, 고정쇠에 의해 그 선단에서 서로 결합되어진 측벽과 역시 고정쇠로 측벽에 고정되어진 바닥깔판을 구비한 이송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깔판은 4면 깔판으로 모서리에서 설치되어지면서 상기 깔판의 바닥판의 선단을 따라 그 중앙에 소정거리를 가지는 블럭을 구비하게 되는바, 이 블럭의 외부로 향한 면은 인접측벽의 외면과 평평하게 되는 한편, 본 이송컨테이너는 상기 블럭의 하부에 고정된 짐대판자를 구비하며, 이 짐대판자의 외부로 향한 면은 적어도 그 높이 일부가 블럭의 외부로 향한 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 거리는 측벽의 두께에 벽두께의 절반을 상회하지 않는 취급범위를 부가한 값으로 결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고정쇠에 의해 풀고 다시 재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지만, 고정쇠와 결합할 수 있도록 측벽에 형성된 슬롯이 파손되면 상기 고정쇠의 재결합이 불가하여 측벽 자체를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보관시에는 고정쇠를 슬롯에서 전부 제거하여 분해해야 하는 불편함은 물론, 이를 재조립하는 시간의 소요도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슬롯이 파손되어도 측벽을 폐기하지 않고 고정쇠를 사용할 수 있으며, 분해 및 재조립시에 고정쇠를 전부 해체하지 않고도 보관이 용이하고, 재조립시에도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조립식 포장상자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는 전체적으로 사각의 판 형상을 갖는 하부패널과,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패널부재 상부에 사각 틀 형상을 갖도록 다수 설치되는 측벽패널과,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상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과 상기 측벽패널의 외면 또는 상기 측벽패널과 상기 상부패널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편 및 두 분체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탈부착 되며, 상기 측벽패널에 의해 형성된 사각 틀 형상의 모서리부에 결합하여 틀어짐을 방지하는 형상유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패널은 상기 측벽패널 하부와 끼움 결합하는 다수의 패널삽입공과, 상기 하부패널 내부를 관통하도록 다수 형성된 포크삽입공 및 상기 고정편이 결합하여 상기 측벽패널을 고정하는 하부결합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벽패널은 일측에 돌출형성된 끼움돌기와, 상기 끼움돌기와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하며, 상기 측벽패널 타측에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 하부패널 또는 상기 상부패널과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편이 결합하는 측벽결합공 및 상기 측벽패널 외면에 수직 또는 수평의 장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형상유지부와 끼움 결합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상부패널 상면에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패널은 상기 측벽패널과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편이 결합하는 상부결합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편은 판 형상을 가지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하부패널과 상기 측벽패널을 서로 고정결합하는 제1고정편 및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측벽패널과 상기 상부패널을 서로 고정결합하는 제2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상유지부는 일측에 상기 측벽패널과 끼움 결합하는 제1절곡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제1힌지공이 형성된 제1형상유지편과, 상기 제1형상유지편과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측벽패널과 끼움 결합하는 제2절곡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1힌지공과 서로 대칭되게 제2힌지공이 형성된 제2형상유지편 및 상기 제1힌지공 및 상기 제2힌지공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제1형상유지편과 상기 제2형상유지편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상유지부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힌지공 또는 상기 제2힌지공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형상유지편과 상기 제2형상유지편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형상유지편과 상기 제2형상유지편의 최대회전각도가 90°미만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형상유지편 또는 상기 제2형상유지편에는 상기 측벽패널에 끼움 결합한 상기 제1절곡부 또는 상기 제2절곡부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작업자의 작업도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1도구삽입공 또는 제2도구삽입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도구삽입공 또는 제2도구삽입공은 사용시에 상기 측벽패널의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상기 제1형상유지편 또는 상기 제2형상유지편 외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도구삽입공 또는 제2도구삽입공은 상부에 봉 형상의 상기 작업도구가 삽입가능하도록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벽패널에 장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 어느 위치에도 형상유지부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잦은 조립 및 분해에 의해 상기 고정홈 일부가 파손되어도 측벽패널을 교체할 필요없이 상기 고정홈의 다른 위치에 형상유지부의 결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1 및 제2형상유지편을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축의 분해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형상유지편을 측벽패널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서로 적층 가능하게 보관 가능한 것은 물론, 재조립에 따른 시간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의 하부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의 측벽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의 형상유지부가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의 상부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의 고정편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의 형상유지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의 힌지축을 분리하여 측벽패널을 적층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의 형상유지부가 최대회전각도로 회전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의 돌출부에 대한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의 하부패널에 하면을 도시한 저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가 다수 적층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이하, 간략하게 '포장상자'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1)는 크게 하부패널(100), 측벽패널(200), 상부패널(300), 고정편(400) 및 형상유지부(500)를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부패널(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가지며, 포장상자(1)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지게차(미도시)의 포크가 삽입되어 상기 포장상자(1)의 이동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패널삽입공(110), 포크삽입공(120) 및 하부결합공(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패널삽입공(110)은 하부패널(100) 상면에 다수 형성되며, 측벽패널(200) 하부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홈의 형성을 갖는다. 이때 패널삽입공(110)은 측벽패널(200)과 결합한 이후에, 포장상자(1)가 직육면체의 입체적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사각의 판 형상을 갖는 하부패널(100) 각각의 끝단과 이웃하게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크삽입공(120)은 하부패널(100) 측면에 다수 형성되며, 지게차(미도시)에 돌출형성된 포크가 삽입되어 포장상자(1)의 이동이 용이하게 한다. 이때 포크삽입공(120)은 포장상자(1)의 어느 측면에서도 지게차의 포크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부패널(100)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결합공(130)은 볼트 또는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제1고정편(410)이 설치되는 하부패널(100) 측면에 형성되어 하부패널(100) 상부에 설치되는 측벽패널(200)이 제1고정편(4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적재돌기(140)는 하부패널(100)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부패널(300)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홈(240)과 서로 끼움 결합하여 다수의 포장상자(1)가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적재돌기(140)는 상부패널(300)의 고정홈(240)에 끼움 결합하는 형상유지부(500)와 서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2 및 도 13 참조)
그리고, 상기 측벽패널(200)은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패널(100) 상부에 다수 설치되어 사각의 함 형상을 갖는 포장상자(1)의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끼움돌기(210), 끼움홈(220), 측벽결합공(230) 및 고정홈(240)을 포함한다. 이때 측벽패널(200)은 내부에 이송하고자 하는 물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부(250)를 형성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가능하게 동일형상을 갖도록 하부패널(100) 상부에 사각의 틀 형상을 갖도록 다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끼움돌기(210)는 측벽패널(200)의 일측 및 하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측벽패널(200)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끼움돌기(210)는 하부패널(100) 상부에 설치되는 다른 측벽패널(200)의 끼움홈(220)과 형상맞춤으로 결합하여 고정되며, 상기 측벽패널(200) 하부에 돌출형성된 끼움돌기(210)는 하부패널(100) 상면에 형성된 패널삽입공(110)과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하여 고정된다. 이때 측벽패널(200) 일측에 돌출형성된 끼움돌기(2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 및 하부가 소정 경사각을 갖도록 끼움홈(220)과 결합하여 다른 측벽패널(200)들과의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끼움홈(220)은 측벽패널(200) 타측에 형성되며, 하부패널(100) 상부에 설치되는 다른 측벽패널(200)의 끼움돌기(210)와 형상맞춤으로 결합한다.
또한 측벽결합공(230)은 측벽패널(200) 외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편(400)과 결합한다. 이때 측벽패널(200) 상부에 형성되는 측벽결합공(230)은 제2고정편(420)에 의해 상부패널(300)과 결합하며, 상기 측벽패널(200) 하부에 형성된 측벽결합공(230)은 제1고정편(410)에 의해 하부패널(100)과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홈(240)은 측벽패널(200)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형상유지부(500)인 제1 또는 제2형상유지편(510,520)에 절곡 형성된 제1 또는 제2절곡부(511,521)와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한다. 이때 고정홈(240)은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따라 측벽패널(200) 외면에 형상유지부(500)가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측벽패널(200) 상단에서 하단까지 또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장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홈(240)과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형상유지부(500)에 의해 상기 고정홈(240) 일부가 파손되어도 다른 위치의 상기 고정홈(240)에 상기 형상유지부(50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패널(300)은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가지며, 하부패널(100) 상부에 사각의 틀 형상을 갖도록 다수 설치된 측벽패널(200) 상부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부결합공(310)을 포함한다. 이때 상부패널(300) 하부에는 측벽패널(200)의 내면과 끼움 결합가능하도록 단턱부(3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부결합공(310)은 상부패널(300) 상면에 다수 형성되어 각각의 측벽패널(200) 상부에 구비되는 제2고정편(420)과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부패널(300) 상면에는 상술한 측벽패널(200)에 형성된 고정홈(240)이 더 형성되어 형상유지부(500)에 의해 측벽패널(200)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측벽패널(200)에는 상부패널(300)에 형성된 고정홈(240)과 형상유지부(500)에 의해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고정홈(24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업자는 개구부(260)를 개폐하는 상부패널(300)과 측벽패널(200)과의 결합을 편의에 따라 제2고정편(420) 또는 형상유지부(500)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여, 상술한 하부패널(100), 상기 하부패널(100) 상부에 다수 설치되는 측벽패널(200) 및 상부패널(300)의 결합을 통해 물품의 이송이 가능한 고정된 사각의 함 형상을 갖는 수용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400)은 도 2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패널(100)과 측벽패널(200) 또는 상기 측벽패널(200)과 상부패널(300)이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고정편(410) 및 제2고정편(4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고정편(41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가지며, 하부결합공(130) 및 측벽패널(200) 하부에 형성된 측벽결합공(230)과 각각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하여 하부패널(100)과 측벽패널(200)을 서로 고정한다.
또한 제2고정편(420)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측벽패널(200) 상부에 형성된 측벽결합공(230) 및 상부패널(300)에 형성된 상부결합공(310)과 각각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하여 측벽패널(200)과 상부패널(300)을 서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형상유지부(500)는 도 2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 외면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수용부의 틀어짐을 방지하고, 두 분체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재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서로 동일 형상을 갖는 제1형상유지편(510), 제2형상유지편(520), 힌지축(530) 및 스토퍼(540)를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제2절곡부(521), 제2힌지공(523) 제2도구삽입공(525)을 포함하는 제2형상유지편(520)의 상세한 설명은 제1형상유지편(510)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여기서, 제1형상유지편(510)은 측벽패널(200) 또는 상부패널(300) 외면에 면 접촉하여 밀착 가능하도록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형상유지편(510)은 제1절곡부(511), 제1힌지공(513) 및 제1도구삽입공(515)을 포함한다.
제1절곡부(511)는 제1형상유지편(510) 일측에 형성되며, 측벽패널(200) 또는 상부패널(300)에 형성된 고정홈(240) 내측으로 삽입되어 끼움 결합하도록 상기 고정홈(24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때 제1절곡부(511) 끝단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홈(240) 내벽에 박혀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힌지공(513)은 힌지축(530)이 관통삽입될 수 있도록 제1형상유지편(510) 타측에 형성된다. 이때 제1힌지공(513)은 하나의 힌지축(530)에 의해 제1 및 제2형상유지편(510,520)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제2형상유지편(510) 타측에 형성된 제2힌지공(523)과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구삽입공(515)은 제1형상유지편(510)에 돌출형성되며, 작업자의 작업도구가 삽입되어 지렛대의 원리로 고정홈(240)에 끼움 결합된 제1형상유지편(510)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한다. 이때 제1도구삽입공(515) 상단에는 '+'자 또는 '-'자 드라이버와 같은 봉 형상의 작업도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돌출부(517)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홈(240)과 서로 끼움 결합하는 제1 또는 제2형상유지편(510,520)의 탈부착을 위해 별도의 공구를 제작하지 않아도 작업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작업도구를 통해 용이하게 제1 또는 제2형상유지편(510,520)의 탈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제1도구삽입공(515)은 작업도구를 사용시에 측벽패널(200)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제1형상유지편(510) 상면에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돌출부(517)는 제1 또는 제2형상유지편(510,520)에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1 또는 제2도구삽입공(515,525)에 형성된 돌출부(517)과 함께 작업자가 용이하게 형상유지부(500)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도 11 참조)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돌출부(517)은 제1 또는 제2도구삽입공(515,525)의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힌지축(530)은 수평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제1힌지공(513)과 제2힌지공(523)에 관통삽입되어 제1형상유지편(510) 및 제2형상유지편(520)이 서로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힌지축(53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형상유지편(510)과 제2형상유지편(52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서로 분리결합이 가능한 두 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및 제2형상유지편(510,520)은 힌지축(530)의 분해에 의해 측벽패널(200)에서 분리되지 않고도 다수의 상기 측벽패널(200)을 적층하여 보관 및 재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도 9 참조)
또한 스토퍼(540)는 제1힌지공(513) 및 제2힌지공(523) 외면에 각각 형성되며, 힌지축(530)에 의해 서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형상유지편(510,520)의 회전각도를 제한한다. 이때 제1 및 제2힌지공(513,523)에 각각 형성된 스토퍼(540)는 제1 및 제2형상유지편(510,520)이 서로 회전시에 서로 맞닿아 회전이 제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0 참조)
아울러, 스토퍼(540)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및 제2형상유지편(510,520)의 최대회전각도가 90°미만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서로 직각의 모서리부(260)를 갖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측벽패널(200) 외면에 제1 및 제2형상유지편(510,520)이 결합시에 90°미만의 최대회전각도를 갖게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사각 틀의 형상으로 결합하는 측벽패널(200)들 간의 분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측벽패널(200)에 장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240) 어느 위치에도 형상유지부(500)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잦은 조립 및 분해에 의해 상기 고정홈(240) 일부가 파손되어도 측벽패널(200)을 교체할 필요없이 상기 다른 고정홈(240) 위치에 형상유지부(500)의 결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제1 및 제2형상유지편(510,520)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축(530)의 분해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형상유지편(510,520)을 측벽패널(200)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서로 적층 가능하게 보관 가능한 것은 물론, 재조립에 따른 시간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
100: 하부패널 110: 패널삽입공
120: 포크삽입공 130: 하부결합공
200: 측벽패널 210: 끼움돌기
220: 끼움홈 230: 측벽결합공
240: 고정홈 250: 수용공간부
260: 모서리부 300: 상부패널
310: 상부결합공 320: 단턱부
400: 고정편 410: 제1고정편
420: 제2고정편 500: 형상유지부
510: 제1형상유지편 511: 제1절곡부
513: 제1힌지공 515: 제1도구삽입공
520: 제2형상유지편 521: 제2절곡부
523: 제2힌지공 525: 제2도구삽입공
530: 힌지축 540: 스토퍼

Claims (12)

  1. 전체적으로 사각의 판 형상을 갖는 하부패널;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패널부재 상부에 사각 틀 형상을 갖도록 다수 설치되는 측벽패널;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상부패널;
    상기 하부패널과 상기 측벽패널의 외면 또는 상기 측벽패널과 상기 상부패널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편; 및
    두 분체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탈부착 되며, 상기 측벽패널에 의해 형성된 사각 틀 형상의 모서리부에 결합하여 틀어짐을 방지하는 형상유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형상유지부는,
    일측에 상기 측벽패널과 끼움 결합하는 제1절곡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제1힌지공이 형성된 제1형상유지편; 상기 제1형상유지편과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측벽패널과 끼움 결합하는 제2절곡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1힌지공과 서로 대칭되게 제2힌지공이 형성된 제2형상유지편; 및 상기 제1힌지공 및 상기 제2힌지공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제1형상유지편과 상기 제2형상유지편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널은
    상기 측벽패널 하부와 끼움 결합하는 다수의 패널삽입공;
    상기 하부패널 내부를 관통하도록 다수 형성된 포크삽입공; 및
    상기 고정편이 결합하여 상기 측벽패널을 고정하는 하부결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패널은
    일측에 돌출형성된 끼움돌기;
    상기 끼움돌기와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하며, 상기 측벽패널 타측에 형성된 끼움홈;
    상기 하부패널 또는 상기 상부패널과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편이 결합하는 측벽결합공; 및
    상기 측벽패널 외면에 수직 또는 수평의 장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형상유지부와 끼움 결합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상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상부패널 상면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은
    상기 측벽패널과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편이 결합하는 상부결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상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판 형상을 가지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하부패널과 상기 측벽패널을 서로 고정결합하는 제1고정편; 및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측벽패널과 상기 상부패널을 서로 고정결합하는 제2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상자.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힌지공 또는 상기 제2힌지공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형상유지편과 상기 제2형상유지편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상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형상유지편과 상기 제2형상유지편의 최대회전각도가 90°미만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상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형상유지편 또는 상기 제2형상유지편에는
    상기 측벽패널에 끼움 결합한 상기 제1절곡부 또는 상기 제2절곡부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작업자의 작업도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1도구삽입공 또는 제2도구삽입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도구삽입공 또는 제2도구삽입공은 사용시에 상기 측벽패널의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상기 제1형상유지편 또는 상기 제2형상유지편 외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상자.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널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형상유지부와 끼움 결합하는 적재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장상자.
KR1020140035133A 2014-03-26 2014-03-26 조립식 포장상자 KR101541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133A KR101541130B1 (ko) 2014-03-26 2014-03-26 조립식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133A KR101541130B1 (ko) 2014-03-26 2014-03-26 조립식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130B1 true KR101541130B1 (ko) 2015-08-03

Family

ID=53873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133A KR101541130B1 (ko) 2014-03-26 2014-03-26 조립식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1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430U (ko) * 2017-02-02 2018-08-10 주식회사코리아엠에프 조립식 상자
KR102136835B1 (ko) * 2019-03-11 2020-07-22 최다은 조립식 가변상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832Y1 (ko) * 2004-11-11 2005-03-16 김희태 물품 운반용 파렛트
KR100730698B1 (ko) * 2006-12-18 2007-06-21 주식회사 영록산업 사각 고리를 이용한 조립식 상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832Y1 (ko) * 2004-11-11 2005-03-16 김희태 물품 운반용 파렛트
KR100730698B1 (ko) * 2006-12-18 2007-06-21 주식회사 영록산업 사각 고리를 이용한 조립식 상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430U (ko) * 2017-02-02 2018-08-10 주식회사코리아엠에프 조립식 상자
KR200489608Y1 (ko) * 2017-02-02 2019-07-10 주식회사 코리아엠에프 조립식 상자
KR102136835B1 (ko) * 2019-03-11 2020-07-22 최다은 조립식 가변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39187A1 (en) Bulk container with interlocking features
US9919838B2 (en) Three tiered tray
WO2017212840A1 (ja) 物品収納ケース
JP6955776B2 (ja) 容器装置
WO2011142444A1 (ja) 物品収納ケース
KR101541130B1 (ko) 조립식 포장상자
JP2013233997A (ja) 物品梱包用の枠部材および該部材からなる包装材
US10507964B2 (en) Cushioning, packing, and package
JP6157957B2 (ja) トレー及びトレーを用いたワークの収納構造
KR101431496B1 (ko) 지지바 고정 구조를 갖는 적층식 운반 상자
KR200476369Y1 (ko) 팔레트 박스
KR20110011082U (ko) 조립식 포장박스
TW201427870A (zh) 可堆疊式包裝盒
JP6917056B2 (ja) 容器
JP7316641B2 (ja) 保冷容器
JP6293002B2 (ja) 折畳み容器
JP4257273B2 (ja) 板状物梱包用具
JP7259283B2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JP6961230B2 (ja) 折畳み容器
JP7061781B2 (ja) 緩衝材および分電盤の梱包方法
JP3214858U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JP6868339B2 (ja) 運搬用容器
JP2001124028A (ja) 板材の連結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箱体
KR200486876Y1 (ko) 포장용 박스
KR20120002946U (ko) 수납 공간이 다단으로 제공되는 적재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