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581B1 - 차동 이송 재봉기 - Google Patents

차동 이송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581B1
KR101198581B1 KR1020060032609A KR20060032609A KR101198581B1 KR 101198581 B1 KR101198581 B1 KR 101198581B1 KR 1020060032609 A KR1020060032609 A KR 1020060032609A KR 20060032609 A KR20060032609 A KR 20060032609A KR 101198581 B1 KR101198581 B1 KR 101198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section
display
sewing section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8503A (ko
Inventor
신지 가마쿠라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8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10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 D05B27/16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with differential feed mo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06Control knobs or display mea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10Arrangements for selecting combinations of stitch or pattern data from memory ; Handling data in order to control stitch format, e.g. size, direction, mirror imag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6Control of workpiece movement, e.g. modulation of travel of feed do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상에서의 각 봉제구간의 표시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각 봉제구간마다 설정상태의 확인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차동 이송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조작패널상에 표시전환수단으로서의 위치전환 표시버튼(36)을 설치하고, 표시화면(17a)상에서 원주를 따라 표시되는 복수의 봉제구간(F1~F8) 중, 선택된 봉제구간을 원주의 정상부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소맷마루가 되는 봉제구간이 표시화면(17a)상에서 원주의 정상부가 되도록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화면(17a)을 확인하면서 실제의 봉제를 수행하는 차동 이송 재봉기(1)의 작업자가 표시화면(17a)에서 인식하는 봉제의 이미지와 실제의 봉제 이미지를 비교하여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소맷마루위치의 오인식으로 인한 봉제의 실수를 방지하는 동시에,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되었다.

Description

차동 이송 재봉기{DIFFERENTIAL FEEDING 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 이송 재봉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Ⅱ부분의 확대도이며, 차동 이송 재봉기의 상부이송기구부 주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 이송 재봉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 이송 재봉기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 이송 재봉기에서의 봉제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 이송 재봉기에서의 편집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 이송 재봉기에 의한 표시전환처리중에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표시전환 확인화면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 이송 재봉기에 의한 표시전환처리중에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선택봉제구간 위치전환후의 표시화면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 이송 재봉기에 의한 표시전환처리 완료후의 봉제화면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표시전환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도 10에서의 선택봉제구간의 정상부 전환표시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차동 이송 재봉기 2 : 재봉기 베드
3 : 재봉기 세로몸체부 4 : 재봉기 아암
5 : 상부이송기구 5a : 상부이송벨트
6 : 하부이송장치 7 : 재봉기 바늘
10a : MPU(봉제구간전환 제어수단, 표시제어수단, 선택수단, 표시전환수단)
10b : ROM 10c : RAM
10d : EEPROM(기억수단) 11 : 상부이송모터
11a : 구동회로 12 : 하부이송모터
12a : 구동기구 13 : 실장력 솔레노이드
13a : 구동회로 14 : 재봉기 모터
15 : 재봉기 기동 페달 15a : 입력회로
16 : 전환스위치 16a : 입력회로
17 : 조작패널 17a : 표시화면(표시수단)
17b : 패널 스위치(입력수단) 21 : 홈줄임량 설정버튼
22 : 상세설정버튼 31, 32 : 봉제구간 선택버튼
36 : 위치전환 표시버튼 39 : 닫힘 버튼
F1 ~ F8 : 봉제구간(단계)
본 발명은, 소매를 다는 경우 등에 홈줄임을 행하면서 봉제를 수행하는 차동(差動) 이송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매 등을 달 때에는 홈줄임을 행하면서 봉제를 수행하는 차동 이송 재봉기가 알려져 있다. 여기서, 「홈줄임을 행한다」란, 예컨대, 양복 소매의 어깻죽지 등, 입체형상의 부분을 꿰매 붙일 때에, 2장 겹쳐서 바느질하는 천 중에서 외측이 되는 천(상부 천, 소매측의 천)의 이송량을, 내측이 되는 천(하부 천, 옷의 길(옷의 몸통부분)측의 천)의 이송량보다 많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홈줄임에 의해, 외측의 천에 여유를 갖게 하여, 양복 소매의 어깻죽지 등에 소정의 입체형상이 이루어진다.
또한, 홈줄임은 일련의 봉제부의 전체에서 균일하게 실시한다고는 한정하지 않으며, 예컨대 신사용 정장의 소매를 다는 경우에는, 소맷마루부분이 될수록 홈줄임량을 많게 하고, 반대로 소매의 밑부분이 될수록 홈줄임량을 적게 하여 봉제를 수행하는 동시에, 완성된 상태를 좋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소맷마루부분은 홈줄임량을 「0」으로 하여, 홈줄임을 행하지 않고 봉제가 이루어진다. 또, 「홈줄임량」이란, 1 바늘(1 바늘땀, 1 피치)당 상부 천과 하부 천의 이송량의 차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소매를 다는 차동 이송 재봉기로서는, 소매의 어깻죽지 둘레 1 바퀴를, 예컨대 소맷마루부분, 소매의 밑부분을 포함하는 복수의 봉제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봉제구간마다 각종 봉제조건(이송량(이송피치, 바느질 피치), 홈줄임량, 봉제구간 길이 등)을 설정하여, 하나의 봉제패턴 데이터로서 기억하여 등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차동 이송 재봉기는, 상술한 각 봉제구간마다의 봉제조건을 화면상에 도형으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차동 이송 재봉기의 작업자는, 표시수단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각 봉제구간마다의 봉제조건 등을 확인하면서 실제의 봉제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소매를 다는 봉제에서는, 소맷마루부분을 포함하는 봉제구간과 봉제의 스타트 위치가 반드시 일치한다고는 한정하지 않으며, 대부분은 소매의 밑부분 등으로부터 바느질이 시작된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차동 이송 재봉기에 있어서, 소맷마루부분은, 봉제대상인 의류의 종류나 사이즈 등에 따라 그 어깻죽지 둘레의 위치가 각각 다른 한편, 상술한 표시수단의 화면상에서는, 봉제의 스타트 위치가 바로 아래가 되도록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화면에 표시되는 소맷마루부분을 포함하는 봉제구간의 위치가 봉제조건에 따라 달라졌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4-141224호
그러나, 표시수단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소맷마루부분의 위치가 그 때마다 다르면, 해당 화면을 확인하면서 봉제를 수행하는 작업자가, 실제의 봉제위치와는 다른 위치를 소맷마루로서 잘못 인식함으로써 봉제하는데 실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 봉제구간의 설정상태의 확인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차동 이송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순번이 정해진 복수의 봉제구간마다 설정된, 홈줄임량에 관한 홈줄임량 데이터 및 그 봉제구간의 봉제길이에 관한 봉제길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봉제패턴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홈줄임 바느질의 동작을 수행하는 봉제수단과, 상기 봉제수단에 대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봉제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봉제구간마다 설정된 홈줄임량으로, 상기 각 봉제구간마다 설정된 봉제길이의 봉제를 차례대로 실행시키는 봉제구간전환 제어수단과, 상기 봉제패턴 데이터의 각 봉제구간을, 봉제를 수행하는 차례대로 원주를 따라 배치하여 표시하는 동시에, 둘레방향에 대해 각 봉제구간을 각 봉제길이에 비례한 범위로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과, 상기 복수의 봉제구간으로부터 하나의 봉제구간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한 차동 이송 재봉기로서, 상기 표시수단에 의한 상기 봉제패턴의 원주표시에 대해,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봉제구간이 상기 원주의 정상(頂上)부가 되도록 회전이동시킨 표시상태로 전환하는 표시전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이송 재봉기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차동 이송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표시전환수단은, 상기 각 봉제구간에서의 상기 봉제길이 데이터에 기초하는 연산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봉제구간의 상기 정상부까지의 회전 이동량을 산출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정회전과 역회전의 회전 이동량이 적은 회전방향으로 표시전환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차동 이송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봉제패턴 데이터는, 각 봉제구간의 원주표시각도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전환수단은, 상기 환형(環狀)의 도형의 중심에 대한 상기 각 봉제구간마다의 원주각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연산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봉제구간의 상기 정상부까지의 회전 이동량을 산출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정회전과 역회전의 회전 이동량이 적은 회전방향으로 표시전환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줄임을 하면서 소매를 다는 봉제를 수행하는 차동 이송 재봉기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인 차동 이송 재봉기(1)는, 선택된 봉제패턴에서의 봉제 단계(봉제구간)에 설정되어 있는 홈줄임량에 기초하는 홈줄임 바느질을 실시하고, 각 봉제구간에 설정되어 있는 봉제구간 길이만큼의 봉제를 종료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다음의 봉제구간으로 전환되는 자동전환(풀오토)모드와, 선택된 봉제패턴에서의 봉제구간에 설정되어 있는 홈줄임량에 기초하는 홈줄임 바느질을 수행하지만, 봉제구간간의 전환은 소정의 스위치 등의 조작에 의해 이 루어지는 수동전환(세미오토)모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피봉제물의 특성이나 작업자의 취향 등에 따라, 자동전환모드와 수동전환모드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동 이송 재봉기(1)의 재봉기 헤드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Ⅱ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동 이송 재봉기의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차동 이송 재봉기(1)의 전기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동 이송 재봉기(1)의 기계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차동 이송 재봉기(1)는, 재봉기 베드(2), 재봉기 세로몸체부(3), 재봉기 아암(4), 상부이송장치(5), 하부이송장치(6), 재봉기 바늘(7)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재봉기 세로몸체부(3)는, 재봉기 베드(2)상에 세워진 각진 통형상체이며, 그 후방측벽(재봉기 아암(4)의 연장방향과 반대측의 측벽)의 상부에는, 재봉기 바늘(7)을 구동하기 위한 재봉기 모터(14)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재봉기 세로몸체부(3)의 지면 바로 앞쪽의 측벽에는, 조작패널(17; 후술함)이 설치되어 있다.
재봉기 아암(4)은, 재봉기 세로몸체부(3)의 상단에 연이어 접하여 재봉기 베드(2)와 대향되도록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체이며, 그 내부에는 재봉기 모터(14)의 회전구동력을 재봉기 바늘(7)에 전달하기 위한(도시생략) 주축이나, 상기 주축의 회전운동을 재봉기 바늘(7)의 연직방향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도시생략) 바늘상하이동기구 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부이송장치(5)는, 재봉기 아암(4)의 선단에 설치되어, 봉제작업중에 상측의 천을 소정의 이송량으로 보내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부이송장치(5)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천을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소정의 이송량으로 보내기 위한 상부이송벨트(5a)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이송벨트(5a)는, 상부이송모터(11; 도 1 및 도 4 참조)에 의해 구동된다.
즉, 상부이송모터(11)의 구동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상부이송벨트(5a)가 반송되고, 상부이송벨트(5a)를 지지하는 아암의 하단부는 재봉기 바늘(7)에 동기하여 상하로 움직이며, 1 바늘마다 벨트 반송 속도에 따른 이송량으로 간헐적으로 천을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하부이송장치(6)는, 재봉기 베드(2)의 상방에 설치되어, 봉제작업중에 하측의 천을 소정의 이송량으로 보내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하부이송장치(6)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천을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소정의 이송량으로 보내기 위한 하부이송벨트(6a)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이송장치(6)의 상방에는, 봉제작업시에 천을 올려 놓기 위한 바늘판(6b)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이송장치(6)의 내부에는, 보빈, 실절단기구, 하부이송벨트(6a)를 구동하기 위한 하부이송모터(12; 도 4 참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기구부를 구비함으로써, 차동 이송 재봉기(1)는, 후술하는 기억수단으로서의 EEPROM(10d)에 기억된 봉제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봉제구간으로 이루어진 홈줄임 바느질의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이송 장치(5), 하부이송장치(6), 재봉기 바늘(7), 바늘상하이동기구, 주축, 재봉기 모터(14)는 본 발명에서의 봉제수단을 구성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동 이송 재봉기(1)의 전기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차동 이송 재봉기(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0), 상부이송모터(11)와 그 구동회로(11a), 하부이송모터(12)와 그 구동회로(12a), 실장력 솔레노이드(3)와 그 구동회로(13a), 재봉기 모터(14)와 그 구동회로(14a), 재봉기 기동 페달(15)과 그 입력회로(15a), 전환스위치(16)와 그 입력회로(16a), 조작패널(17)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0)는, MPU(10a), ROM(10b), RAM(10c) 및 EEPROM(10d)을 구비하고 있다.
ROM(10b)에는, 차동 이송 재봉기(1)의 각종 제어 프로그램, 제어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다. RAM(10c)에는 각종 작업 메모리나 카운터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봉제동작중의 작업영역으로서 사용되고, 홈줄임량 설정처리, 홈줄임 봉제처리에 관한 각종 데이터도 RAM(10c)에 기록되도록 되어 있다.
EEPROM(10d)에는, 봉제 데이터가 복수 기록되어 있다. 즉, EEPROM(10d)은 본 발명에서의 기억수단이다. 봉제 데이터는, 하나의 소매를 다는 바느질을 하기 위해 필요한, 봉제구간(단계)마다 설정되는 각종 봉제 조건(홈줄임량, 봉제길이, 실장력 등)이 설정되어 있다. 또, 봉제 데이터는 패턴No.로 관리되어 있으며, EEPROM(10d)에는, 패턴No. 1~99까지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봉제 데이터의 각 봉제구간은 봉제를 수행하는 순번이 정해져 있으며, 각 봉제구간의 순번에 따라 각각의 봉제구간에 설정된 홈줄임량이 되도록 전환되면서 봉제가 이루어진다.
또한, 각 봉제구간에 설정된 봉제길이는, 자동전환모드에서의 봉제시에 참조되어, 각 봉제구간에서 설정된 봉제길이의 봉제가 이루어지면, 순차적으로 다음의 봉제구간으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부이송모터(11)는 MPU(10a)의 제어하에서 구동회로(11a)를 통해 회전구동되고, 상기 상부이송모터(11)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부천을 이송하는 상부이송벨트(5a; 도 2 참조)가 구동된다.
또한, 하부이송모터(12)는 MPU(10a)의 제어하에서 구동회로(12a)를 통해 회전구동되고, 상기 하부이송모터(12)의 회전구동에 의해, 하부천을 이송하는 하부이송벨트(6a; 도 2 참조)가 구동된다. 그리고, 구동된 상부이송벨트(5a) 및 하부이송벨트(6a)에 의해, 상부천 및 하부천이 각각 소정의 이송량(피치)으로 보내져, 봉제가 이루어진다.
즉, MPU(10a)의 제어에 의해, 하부이송모터(12)는 봉제 데이터에 설정된 이송피치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구동되고, 상부이송모터(11)는 하부이송모터(12)의 이송피치로부터 홈줄임량을 줄인 피치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구동된다.
실장력 솔레노이드(13)는, 실을 끼움으로써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도시생략) 실핀칭(挾持)부의 구동원으로서 이용되며, MPU(10a)의 제어하에서 구동회로(13a)를 통해 구동된다. 상기 실장력 솔레노이드(13)가 구동됨으로써, 실핀칭부에 끼워진 실에 소정 크기의 장력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재봉기 모터(14)는, 재봉기 기동 페달(15)의 조작에 기초하여 구동됨으로써, 재봉기 아암(4) 내에 배치된(도시생략) 주축을 회전시킨다. 주축은,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를 통해(도시생략) 바늘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바늘대의 선단에는 재봉기 바늘(7)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재봉기 모터(14)에 의해 주축이 회전되면, 바늘대 및 재봉기 바늘(7)이 왕복이동하여 피봉제물(상부 천 및 하부 천)을 봉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재봉기 기동 페달(15)은, 작업자가 차동 이송 재봉기(1)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다. 재봉기 기동 페달(15)은, 페달의 움직임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입력회로(15a)에 의해, 회전, 정지 등의 지령을 MPU(10a)에 출력하여, 재봉기 모터(14)를 회전구동시킨다.
전환스위치(16)는, 전술한 수동전환모드로 봉제할 때에, 작업자가 봉제구간의 전환을 실시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조작패널(17)은, 표시화면(17a)과, 상기 표시화면(17a)의 표면에 설치된 접촉위치를 검지하는 시트형상의 패널스위치(17b)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화면(17a)은, MPU(10a)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봉제정보(예컨대, 봉제구간마다 설정되는 홈줄임량, 봉제구간을 도형으로 나타낸 구간도형, 봉제형상, 봉제위치 등)나 각종 설정 스위치를 표시하는 것이다. 패널 스위치(17b)는 전자유도식, 자기왜곡(磁氣歪)식, 감압(感壓)식 등의 좌표판독원리로 터치조작된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좌표를 위치신호로서 MPU(10a)에 출력하는 것이다. 즉, 표시화면(17a)에 표시된 각종 설정 스위치의 위치정보와, 터치조작에 의해 검출된 좌표의 위치정보를 대응시킴으로써, 입력지시가 취득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동 이송 재봉기(1)의 제어부(10)에 의한 위치전환 표시처리에 대해, 도 5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위치전환 표시처리」란, 조작패널(17)의 표시화면(17a)에 표시되는 각 봉제구간의 표시상의 배치를, 패널스위치(17b)로부터의 설정입력에 따라 전환하여 표시하는 처리를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10)가 위치전환 표시처리 등의 각종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판독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식으로 ROM(10b)에 저장되어 있으며, MPU(10a)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동작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MPU(10a)는 ROM(10b)에 기억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전환모드 선택시의 봉제에서, 봉제수단을 구성하는 각 기구부에, 각 봉제구간마다 설정된 홈줄임량으로, 각 봉제구간마다 설정된 봉제길이의 봉제를 차례대로 실행시키는 제어를 실시한다. 즉, MPU(10a)는 본 발명에서의 봉제구간전환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MPU(10a)는 ROM(10b)에 기억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임의의 봉제패턴 데이터의 각 봉제구간을, 봉제의 순번으로 원주를 따라 배치하여 표시하는 동시에, 둘레방향에 대해 각 봉제구간을 각 봉제길이에 비례한 범위로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어를 실시한다. 즉, MPU(10a)는 본 발명에서의 표시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조작패널(17)은, 선택버튼을 통해 복수의 봉제구간으로부터 선택된 하 나의 봉제구간을 선택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조작패널(17)은 본 발명에서의 선택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MPU(10a)는, ROM(10b)에 기억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표시수단에 의한 봉제패턴의 원주표시에 있어서, 상술한 선택수단으로서의 조작패널(17)에 의해 선택된 임의의 봉제구간이 원주의 정상부가 되도록 회전이동시킨 표시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를 실시한다. 즉, MPU(10a)는 본 발명에서의 표시전환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MPU(10a)는 상술한 선택봉제구간을 정상부로 회전이동시키는 표시제어를 실시할 때에, 봉제 데이터의 각 봉제구간(단계)마다 설정된 봉제길이를 참조하여, 정회전(예컨대, 반시계방향)과 역회전(예컨대, 시계방향)의 회전 이동량을 각각 산출하고, 회전 이동량이 적은 쪽의 회전방향에서 표시를 전환하는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MPU(10a)는 ROM(10b)에 기억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상술한 봉제수단을 구성하는 각 기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현재 봉제중인 봉제구간이나 봉제가 종료된 봉제구간을 표시화면(17a)의 표시도형중에서 일정한 특정색으로 표시하는 제어를 실시한다. 이에 따라, 차동 이송 재봉기의 작업자는, 표시화면(17a)을 확인하면서 봉제를 실시함으로써, 현재 봉제중인 봉제구간을 시각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봉제구간의 위치전환표시 처리중에 표시화면(17a)에 표시되는 각종 화면의 표시예이며, 이들에 기초하여 MPU(10a)가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 에 의해 실행하는 봉제구간의 위치전환표시를 실시하기 위한 각종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각종 봉제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편집화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편집화면에는, 봉제 데이터에 설정된 8개의 봉제구간에 대응하여, 대략 원형의 소매형상을 본 뜬 8개의 구간도형(F1 ~ F8)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편집화면에서는 당초에 구간도형(F1 ~ F8)으로 이루어진 전체 봉제구간을 나타내는 원형의 표시도형이 표시되어, 상기 표시도형의 최하위치에 최초로 봉제가 이루어지는 봉제구간(제 1 봉제구간)의 스타트 위치(구간의 좌측단부)가 위치하도록 표시가 이루어진다. 상기 스타트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제 1 봉제구간, 제 2 봉제구간 … 제 8 봉제구간의 순으로 배치되어 표시되어 있다. 구간도형(F1 ~ F8)의 둘레방향에서의 길이는, 봉제 데이터에 설정된 각 봉제구간의 봉제길이에 따른 비율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편집화면의 하부에는, 각 봉제구간에서의 홈줄임량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홈줄임량 설정버튼(21)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홈줄임량 설정버튼(21)을 조작함으로써, 「-4」 ~ 「35」의 홈줄임량의 설정이 가능해져 있다. 또, 도 5에는 홈줄임량 설정버튼(21)에 「0」 ~ 「12」의 홈줄임량을 할당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홈줄임량」이란, 하부이송량에 대한 상부이송량의 차분(差分)을 의미하며, 상부이송량과 하부이송량의 차가 0.1mm일 때에 홈줄임량을 「1」로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1 바늘로 하부천을 2mm 바느질해 나가며, 상부천을 2.2mm 바느질해 나가도록 설정된 경우, 상부이송량과 하부이송량의 차는 0.2mm이므로, 홈줄임량은 「2」가 된다.
작업자는 홈줄임량 설정버튼(21) 중 어떤 것을 선택하여 터치 조작함으로써, 선택된 홈줄임량 설정버튼(21)에 할당된 홈줄임량을 원하는 봉제구간의 홈줄임량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또, 설정된 홈줄임량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구간도형(F1 ~ F8)내에 표시된다. 또한, 봉제중의 제 1 봉제구간에 대응하는 구간도형(F1)은, 다른 구간도형(F2 ~ F8)과 식별될 수 있도록 표시색이 반전된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표시화면의 우측상부에는, 상세버튼(22)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상세버튼(22)이 작업자에 의해 터치조작됨으로써, 도 5에 나타낸 편집화면이, 도 6에 나타낸 상세설정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상세버튼(22)의 터치조작에 의해 전환된 「상세설정화면」이다. 이러한 상세설정화면에는, F1 ~ F8 중에서 하나의 봉제구간을 선택하기 위한 봉제구간 선택버튼(31, 32)이 표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재봉기의 작업자는 봉제구간 선택버튼(31, 32)을 조작하여 소맷마루가 되는 봉제구간의 선택을 입력한다.
작업자는, 봉제구간 선택버튼(31, 32)을 선택적으로 터치조작함으로써, 원하는 봉제구간을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맷마루부분에서 홈줄임량이 「0」으로 설정된 제 4 봉제구간(F4)을 선택한다. 또, 선택된 제 4 봉제구간(F4)은, 선택되어 있지 않은 다른 봉제구간과 식별될 수 있도록, 짙은 회색으로 표시되 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상세설정화면에는, 위치전환 표시버튼(36)이 표시되어 있다. 작업자가 위치전환 표시버튼(36)을 터치조작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낸 상세설정화면이 도 7에 나타낸 전환확인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7에 나타낸 전환확인화면의 화면상에는, 결정버튼(37)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환확인화면에서는, 도 6에서 선택된 제 4 봉제구간(F4)이 다른 봉제구간과 식별될 수 있도록 짙은 회색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작업자에 의해 결정버튼(37)이 눌러지면, 선택된 제 4 봉제구간(F4), 즉 본 실시형태에서의 소맷마루부분이 정상부로 표시전환된 후의 상세설정화면이 표시된다(도 8 참조).
그리고, 봉제구간전환후의 상세설정화면의 우측상단에는 닫힘버튼(39)이 표시되어 있으며, 작업자에 의해 상기 닫힘버튼(39)이 눌러지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봉제구간이 정상부에 배치된 전환후의 편집화면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선택봉제구간이 표시화면(17a)에서 정상부가 되도록 배치되어, 전환표시된 화면은, 제어부(10)의 EEPROM(10d)에 기억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여기서 덮어쓰여진 데이터, 즉 선택된 봉제구간을 표시화면(17a)상에서의 정상부에 표시시키기 위한 데이터는, 상기 EEPROM(10d)에 일괄적으로 기입됨으로써, 갱신된 제어 데이터로서 기억된다. 또한, 상기 선택봉제구간 전환표시 설정후에 차동 이송 재봉기(1)의 전원을 투입하면, 상기 설정시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봉제구간이 표시화면(17a)에 배치되어 표시된다.
또한, 다시 원하는 봉제구간을 선택하여 위치전환표시를 하였을 때에는, 상 기 새롭게 선택된 봉제구간이 정상부가 되도록 배치를 바꾸어 표시하는 제어 데이터가 EEPROM(10d) 내에 덮어쓰여,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차동 이송 재봉기(1)의 봉제구간의 위치전환 표시처리에 대해, 도 10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차동 이송 재봉기(1)의 주(主)전원이 ON으로 된 것에 기초하여, 차동 이송 재봉기(1)의 제어부(10)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동시에, ROM(10b)에 기억되어 있는 초기상태에서의 봉제 데이터(예컨대, 봉제 데이터의 패턴No.「01」의 봉제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그 봉제 데이터에 기초한 소정의 편집화면(도 5 참조)을 조작패널(16)에 표시한다(단계 S1).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초기상태에서의 편집화면중에서, 스타트 위치 즉, 봉제개시위치가 대략 원형(圓形)으로 본 뜬 표시도형에서의 최하점 위치에 설정되는 동시에, 상기 최하점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제 1 봉제구간(F1), 제 2 봉제구간(F2), … 제 8 봉제구간(F8)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0)는 그 편집화면에서의 상세설정버튼(22)이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 상세설정버튼(22)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버튼이 눌러졌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21), 눌러져 있으면 눌러진 버튼의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22). 그리고, 상세설정버튼(22)이 눌러진 경우(단계 S2; Yes)에는, 도 6에 나타낸 상세설정화면을 표시화면(17a)에 표시한다(단계 S3).
다음으로, 작업자에 의한 패널 스위치(17b)상에서의 봉제구간 선택버튼(31, 32)의 조작에 기초하여, 소맷마루로 해야 하는 임의의 봉제구간이 선택된다(단계 S4).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줄임량 「0」 즉, 홈줄임을 하지 않는 소맷마루부분을 정상부에 표시하기 위해, 제 4 봉제구간(F4)을 선택하는 것으로 한다. 또, 선택된 제 4 봉제구간(F4)은, 다른 봉제구간과 구별되기 위해 표시화면(17a)상의 표시색이 반전된 상태로 표시된다.
이어서, 도 6에 나타낸 상세설정화면에서 하나의 봉제구간이 선택된 후에, 제어부(10)는 표시전환버튼(36)이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 표시전환버튼(36)이 눌러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버튼이 눌러졌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51), 눌러져 있으면 눌러진 버튼의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53). 다음으로, 닫힘버튼(39)이 눌러졌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52), 눌러진 경우에는 단계 S10으로,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3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표시전환버튼(36)이 눌러지면(단계 S5; Yes), 도 7에 나타낸 표시전환 확인화면을 표시화면(17a)에 표시한다(단계 S6). 상기 표시전환 확인화면에서, 제어부(10)는 결정버튼(37)이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 결정버튼(37)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닫힘버튼(39)이 눌러졌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71), 눌러진 경우에는 단계 S3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결정버튼(37)이 눌러지면(단계 S7; Yes), 후술하는「선택봉제구간의 정상부 전환표시처리」가 실행되고(단계 S8), 선택된 봉제구간(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4 봉제구간(F4)이 선택된 것으로 한다)이 정상부에 배치된 상세설정화면에 표시된다(도 8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제 4 봉제구간(F4)이 정상부에 표시됨에 따라, 스타트 위치, 즉 제 1 봉제구간(F1)을 포함하는 각 봉제구간(F1 ~ F8)이, 전체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선택봉제구간(소맷마루부분)이 정상부에 배치된 상세설정화면에서, 닫힘버튼(39)이 눌러지면(단계 S9; Yes),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된 봉제구간이 정상부에 배치된 전환후의 편집화면에 표시되고(단계 S10), 위치전환 표시처리가 종료된다.
다음으로, 도 10의 단계 S8에서 나타낸, 차동 이송 재봉기(1)의 봉제구간의 위치전환 표시처리에서의 「선택봉제구간의 정상부 전환표시처리」에 대해, 도 11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봉제구간의 봉제길이가, 예컨대 제 1 봉제구간(F1; 50.0mm), 제 2 봉제구간(F2; 100.0mm), 제 3 봉제구간(F3; 80.0mm), 제 4 봉제구간(F4; 20.0mm), 제 5 봉제구간(F5; 50.0mm), 제 6 봉제구간(F6; 100.0mm), 제 7 봉제구간(F7; 100.0mm), 제 8 봉제구간(F8; 60.0mm)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선택봉제구간의 정상부 전환표시처리에서는, 우선 제어부(10)에서 MPU(10a)에 의해, 각 봉제구간(F1 ~ F8) 중 모든 봉제구간의 봉제길이의 합계, 즉 소매를 다는 바느질에서의 소매의 어깻죽지의 전체 길이(L1로 함)가 산출된다(단계 S81).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봉제구간(F1) ~ 제 8 봉제구간(F8)의 봉제길이의 합계(L1)가, (50.0mm) + (100.0mm) + … + (60.0mm) = 560.0mm가 된다.
다음으로, 단계 S81에서 산출된 각 봉제구간의 합계 길이(L1)를 2로 나눈 값 (L2로 함)이 RAM(10c)에 기억된다(단계 S82). 즉, 560.0mm ÷ 2 = 280.0mm라는 값이 L2로서 RAM(10c)에 기억된다.
다음으로, 표시화면(17a)에서 대략 원형을 본 떠서 표시되는 동시에, 그 원주를 따라 각 봉제구간이 배치된 표시도형 중, 상술한 초기상태에서 스타트 위치가 된 최하점 위치를 원점으로 하고, 여기서부터 소맷마루로 지정된 봉제구간(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4 봉제구간(F4)) 직전의 봉제구간(제 3 봉제구간(F3))까지의 합계 길이(L3으로 함)가 산출된다(단계 S83). 즉, 제 1 봉제구간(F1) ~ 제 3 봉제구간(F3)까지의 봉제길이의 합계는, (50.0mm) + (100.0mm) + (80.0mm) = 230.0mm가 된다.
또한, 이 단계 S83에서 산출된 값(L3 = 230.0mm)에, 소맷마루로 지정된 봉제구간,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4 봉제구간(F4)의 길이를 2로 나눈 값을 가산한 값(L5로 함)을 산출한다(단계 S84). 즉, (230.0mm) + (20.0mm ÷ 2) = 240.0mm가 L5가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10)는 단계 S82에서 산출된 값(L2)과, 단계 S84에서 산출된 값(L5)과의 대소를 비교하여 판단한다(단계 S85). 본 실시형태에서는 L2 = 280.0mm, L5 = 240.0mm 이므로, L2 > L5가 된다.
그리고, L2 > L5인 경우(단계 S85; No), L2 - L5에서 산출된 길이만큼,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280.0mm) - (240.0mm) = 40.0mm만큼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표시를 하도록 표시화면(17a)에 대해 제어가 이루어진다(단계 S86).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맷마루 위치전환표시후의 상세설정화면이 표시되 고, 선택봉제구간의 정상부 전환표시처리가 종료된다.
또한, 각 봉제구간의 봉제길이가 상기 구체적인 예와 다른 수치로 설정되어 있거나, 혹은 소맷마루로 지정되는 봉제구간이, 예컨대 도 6에서의 제 6 봉제구간(F6) 등인 경우와 같이, L2 < L5가 된 경우(단계 S85; Yes)에는, L5 - L2에서 산출되는 길이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도형을 표시화면(17a)에 표시하는 제어가 이루어진다(단계 S87).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소맷마루 위치전환표시후의 상세설정화면이 표시되고, 선택봉제구간의 정상부 전환표시처리는 종료된다.
즉, 상술한 「선택봉제구간의 정상부 전환표시처리」는, 소맷마루로 지정되는 봉제구간이, 표시화면(17a)에서의 원형의 정상부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전체 봉제구간(F1 ~ F8)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표시하기 위한 제어(처리)이며, 또한, 소맷마루로 지정되는 봉제구간이, 상기 정상부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전체 봉제구간(F1 ~ F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표시하기 위한 제어(처리)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인 차동 이송 재봉기(1)에 따르면, 복수의 봉제구간(F1 ~ F8) 중에서 작업자에 의해 선택수단을 통해 선택되어, 소맷마루로 지정된 원하는 하나의 봉제구간, 예컨대 제 4 봉제구간(F4)을, 표시화면(17a)상에 대략 원형으로 본 떠서 배치되는 각 봉제구간에 의한 원주표시에서 정상부가 되도록 회전된 상태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조작으로 원하는 봉제구간(예컨대, 제 4 단계(F4))을 표시화면(17a)상에서의 정상부에 배치되도록 회전된 상태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동 이송 재봉기(1)의 작업자는, 실제로 이루어지는 봉제동작에서 실시해야 하는 봉제패턴을, 표시화면(17a)상에 표시되는 봉제패턴을 확인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맷마루의 위치가 표시화면(17a)상에서 원주의 정상부에 표시되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작업자의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제 봉제동작에서의 봉제 실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봉제 패턴을 용이하게 인식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선택봉제구간의 정상부 전환표시처리」는, 각 봉제구간의 봉제길이를 기준으로 한 연산에 의해 산출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봉제 데이터중에, 표시화면(17a)상에 표시되는 각 봉제구간의 원의 중심에 대한 중심 각도가 봉제구간마다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중심각도의 값을 기준으로 하여 연산처리를 행하고, 선택된 봉제구간을 정상부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즉, 「선택봉제구간의 정상부 전환표시처리」는, 표시화면(17a)상에 나타나는 환형(環狀)의 표시도형의 중심에 대한 각 봉제구간마다의 원주각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연산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봉제구간을 상기 원주의 정상부로 이동표시하는 제어를 실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타 구체적인 세부구조 등에 대해서도 적절히 변경가능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표시전환수단을 구비하는 차동 이송 재봉기는, 복수의 봉제구간 중에서 선택수단을 통해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원하는 하나의 봉제구간이, 표시수단에 의한 봉제 패턴의 원주표시에 있어서 정상부가 되도록 회전된 상태로 전환되어 표시된다. 이에 따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원하는 봉제구간이 표시수단의 표시화면상에서의 정상부에 배치되도록 회전된 상태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소맷마루부분이 표시화면상에서 원주의 정상부가 되도록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동 이송 재봉기의 작업자는, 실제로 이루어지는 봉제 동작에서 실시해야하는 봉제패턴을, 표시수단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봉제패턴을 확인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맷마루의 위치가 표시수단의 화면상에서 원주의 정상부에 표시되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작업자의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제 봉제동작에서의 봉제 실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봉제패턴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 및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선택된 봉제구간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전환하여 표시하는 위치까지의 회전 이동량이 적은 회전방향을 선택하기 때문에, 가령 봉제구간의 회전이동표시를 하는 경우에는, 표시전환을 신속히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순번이 정해진 복수의 봉제구간마다 설정된, 홈줄임량에 관한 홈줄임량 데이터 및 그 봉제구간의 봉제길이에 관한 봉제길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봉제패턴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홈줄임 바느질을 수행하는 봉제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봉제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봉제구간마다 설정된 홈줄임량으로, 상기 각 봉제구간마다 설정된 봉제길이의 홈줄임 바느질을 차례대로 실행시키는 봉제구간전환 제어수단과,
    상기 봉제패턴 데이터의 각 봉제구간을, 봉제를 수행하는 차례대로 원주를 따라 배치하여 표시하는 동시에, 둘레방향에 대해 각 봉제구간을 각 봉제길이에 비례한 범위로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과,
    상기 복수의 봉제구간으로부터 하나의 봉제구간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한 차동 이송 재봉기로서,
    상기 표시수단에 의한 상기 봉제패턴의 원주표시에 대해,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봉제구간이 상기 원주의 정상부가 되도록 회전이동시킨 표시상태로 전환하는 표시전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이송 재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전환수단은,
    상기 각 봉제구간에서의 상기 봉제길이 데이터에 기초하는 연산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봉제구간의 상기 정상부까지의 회전 이동량을 산출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정회전과 역회전의 회전 이동량이 적은 회전방향으로 표시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이송 재봉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 패턴 데이터는, 상기 각 봉제구간의 원주각도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전환수단은,
    상기 환형의 도형의 중심에 대한 상기 각 봉제구간마다의 원주각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연산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봉제구간의 상기 정상부까지의 회전 이동량을 산출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정회전과 역회전의 회전 이동량이 적은 회전방향으로 표시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이송 재봉기.
KR1020060032609A 2005-04-14 2006-04-11 차동 이송 재봉기 KR101198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16930A JP4551805B2 (ja) 2005-04-14 2005-04-14 差動送りミシン
JPJP-P-2005-00116930 2005-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503A KR20060108503A (ko) 2006-10-18
KR101198581B1 true KR101198581B1 (ko) 2012-11-06

Family

ID=3706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609A KR101198581B1 (ko) 2005-04-14 2006-04-11 차동 이송 재봉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51805B2 (ko)
KR (1) KR101198581B1 (ko)
CN (1) CN1847500B (ko)
DE (1) DE10200601746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2521B4 (de) 2011-08-09 2023-02-23 Chee Siang Industrial Co., Ltd. Säulennähmaschine
JP6343957B2 (ja) * 2014-02-19 2018-06-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JP2017064205A (ja) * 2015-09-30 2017-04-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とミシンの制御方法
CN110030915B (zh) * 2019-03-21 2021-11-02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差动量检测装置及方法
CN114908483B (zh) * 2022-04-26 2023-11-10 卡拉库立传动科技(台州)有限公司 一种具备自动归拢作业的缝纫机及其自动归拢作业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967A (ja) 2002-10-18 2004-05-13 Juki Corp 差動送りミシン
JP2004141224A (ja) 2002-10-22 2004-05-20 Juki Corp 差動送り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1243A (ja) * 1994-11-18 1996-06-04 Brother Ind Ltd いせ込み量表示装置
DE59801421D1 (de) * 1997-04-28 2001-10-18 Gegauf Fritz Ag Verfahren zum Besticken von rohrförmigem Nähgut und Vorrichtung zum Besticken von rohrförmigem Nähgut
JP4555497B2 (ja) * 2001-04-05 2010-09-29 Juki株式会社 上下送りミシン
JP4660017B2 (ja) * 2001-05-31 2011-03-30 Juki株式会社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JP2003126575A (ja) * 2001-10-22 2003-05-07 Juki Corp ミシンの表示装置
JP2003326021A (ja) * 2002-05-09 2003-11-18 Juki Corp 差動送りミシン
JP3946083B2 (ja) * 2002-05-13 2007-07-18 Juki株式会社 差動送りミシン
JP4121848B2 (ja) 2002-12-24 2008-07-23 Juki株式会社 差動送りミシン
JP4038148B2 (ja) 2003-04-18 2008-01-23 Juki株式会社 差動送りミシン
JP4509491B2 (ja) 2003-04-21 2010-07-21 Juki株式会社 差動送りミシン
JP2005087333A (ja) 2003-09-12 2005-04-07 Juki Corp 差動送りミシン
JP4364115B2 (ja) 2004-12-03 2009-11-11 Juki株式会社 ミシ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967A (ja) 2002-10-18 2004-05-13 Juki Corp 差動送りミシン
JP2004141224A (ja) 2002-10-22 2004-05-20 Juki Corp 差動送り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17469B4 (de) 2019-01-17
DE102006017469A1 (de) 2006-10-26
JP4551805B2 (ja) 2010-09-29
JP2006288939A (ja) 2006-10-26
CN1847500A (zh) 2006-10-18
CN1847500B (zh) 2011-05-04
KR20060108503A (ko)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2755B2 (en) Sewing machine capable of embroidery sewing
US8061286B2 (en) Sewing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sewing machine control program
KR101198581B1 (ko) 차동 이송 재봉기
US8948901B2 (en) Sewing machine
US5775240A (en) Sewing machine capable of embroidery stitching, and embroidery data producing device therefor
US9885131B2 (en) Sewing machine
KR101171394B1 (ko) 재봉틀
KR20060063735A (ko) 차동 이송 재봉기
US7493867B2 (en) Sewing machine
JP5702091B2 (ja) ミシン
JP6601163B2 (ja) ミシンとミシンの制御方法
JPH11333164A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2008272345A (ja) ミシン制御装置
JP2016193019A (ja) ミシン
US7218986B2 (en) Sewing machine to which embroidery frame moving device is detachably attachable
JP2004180993A (ja) 刺繍模様データが記憶された刺繍縫いミシンの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刺繍縫いミシン
JP2007111233A (ja) ミシン
US8033232B2 (en) Embroidery data processing apparatus, sewing machine equipped with the embroidery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recorded embroidery data processing computer program
US5211120A (en) Programmable sewing machine
JP3819280B2 (ja) いせ込みミシン
JP4037682B2 (ja) 差動送りミシン
JPH07110309B2 (ja) 刺しゅうミシン
JP2006230891A (ja) 差動送りミシン
JP2006272011A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4644523B2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