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481B1 - 휨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강판 - Google Patents

휨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481B1
KR101198481B1 KR1020100028644A KR20100028644A KR101198481B1 KR 101198481 B1 KR101198481 B1 KR 101198481B1 KR 1020100028644 A KR1020100028644 A KR 1020100028644A KR 20100028644 A KR20100028644 A KR 20100028644A KR 101198481 B1 KR101198481 B1 KR 101198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inclusion
steel sheet
group
inclus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503A (ko
Inventor
데츠지 호시카
사애 미즈타
유이치 후타무라
마사아키 미우라
유키히로 우츠미
히로아키 마츠모토
히로키 오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87407A external-priority patent/JP53429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87408A external-priority patent/JP534291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100109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rare earths, i.e. Sc, Y, Lantha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balt
    • C22C38/1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balt containing Co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85Group I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92Zn-base component
    • Y10T428/12799Next to Fe-base component [e.g., galvaniz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51Fe-base component
    • Y10T428/12972Containing 0.01-1.7% carbon [i.e., st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연 강판은, 강 성분이 C: 0.05 내지 0.3%, Si: 3.0% 이하, Mn: 1.5 내지 3.5%, P: 0.1% 이하, S: 0.05% 이하, 및 Al: 0.15% 이하를 만족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강 조직이 페라이트 조직과,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포함하는 제2상을 포함하는 복합조직이고, 또한 강판의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O.1) 깊이까지의 표층 영역에 있어서, 규정된 n회째의 판정으로 정해지는 n차 개재물군이고, 이 개재물군의 2개의 최외 입자의 강판 압연 방향에서의 최외 표면간 거리가 80㎛ 이상인 것이, 압연 면 100cm2당 12O개 이하이다. 또는, 강 성분이 C: 0.12 내지 0.3%, Si: 0.5% 이하, Mn: 1.5 내지 3.0%, Al: 0.15% 이하, N: 0.01% 이하, P: 0.02% 이하, 및 S: 0.01% 이하를 만족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강 조직이 마르텐사이트 단일 조직이고, 또한 상기 표층 영역에 있어서, 상기 최외 표면간 거리가 100㎛ 이상인 것이, 압연 면 100cm2당 12O개 이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휨 가공에 있어서 개재물을 기점으로 한 균열이 억제된다.

Description

휨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강판{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BENDING WORKABILITY}
본 발명은 휨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강판에 관한 것이며, 휨 가공에 있어서 가공 균열 불량율이 작은 고강도의 냉연 강판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안전성 및 환경 문제를 배려하여, 자동차용 강판의 고강도화가 지향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강도화에 수반하여 가공성은 저하하지만, 강도와 가공성을 겸비한 강판이 지금까지 여러가지 고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예컨대, 페라이트상과, 마르텐사이트나 베이나이트 등의 저온 변태상을 공존시킨 복합 조직 강판이,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복합 조직 강판은, 연질인 페라이트지(地)에 경질인 저온변태상을 분산시키는 것에 의해 강도와 가공성의 향상을 동시에 도모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강판에 있어서, 개재물을 기점으로 한 가공 균열이 문제로 되고 있다.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개재물을 제어하여 가공성의 향상을 도모한 기술이 지금까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제3845554호에는, 원 상당 환산으로 직경 5㎛ 이상의 개재물을 25개/mm2 이하로 함으로써 휨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 강판이 얻어지는 취지가 나타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5-272888호에는, Si 탈산강에 있어서, 단직경 5㎛ 이상의 산화물계 개재물을 35개/cm2 이하로 하는 것으로 연성이 풍부한 냉연 강판이 얻어지는 취지가 나타나 있다. 또한 이 문헌에는, 전신(展伸), 파쇄하기 쉬운 개재물 조성으로 하여 미세화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상기 두 문헌과 같이 개개의 개재물이 미세하고 또한 저밀도여도, 그 분포 나름으로서는 개재물을 기점으로 한 균열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가공성(특히는, 자동차용 강판에 요구되는 휨 가공성)을 확실히 높이기 위해서는 더욱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한편, 일본 특허 제 3845554호에서는, 저황강으로 할 필요도 있고 비용 증가로 연결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2005-272888호에는, 가공성 중에서도, 특히 자동차용 강판에 요구되는 휨 가공성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일본 특허 제3421943호에는 관용 냉연 강판의 압연 면에 평행한 임의단면에서 관찰된, 점열상(点列狀) 개재물(산화물계 개재물 중 3개 이상이 압연 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서로 200㎛ 미만의 간격으로 직선 형상으로 나란히 선 것)의 존재 비율을 6,003개/m2 내지 2x104개/m2로 함으로써 제관 불량을 저감할 수 있는 취지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 문헌의 강은 관용으로 한정되어 있고, 그 요구 특성으로서, 부형 가공이 요구되지만, 상기 자동차용 강판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요구되는 휨 가공성에 관해서는 검토되어 있지 않다.
일본 특허 제3845554호 일본 특허 공개 2005-272888호 일본 특허 제3421943호
상술한 대로, 종래는 주로 개개의 개재물 크기?수량을 엄밀히 제어하는 것으로, 개재물성 결함이 적은 고강도 강판을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강판을 휨 가공에 제공하면, 현저히 완화된 가공 조건에 있어서도 균열이 산발하는 것이 있어, 생산성의 악화 및 검품 등에 의한 비용 증가가 문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같은 사정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휨 가공에 있어서 개재물을 기점으로 한 휨 분열율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는, 휨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간 압연 강판을 얻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본 제1발명의 냉연 강판은, 강의 성분이 C: 0.05 내지 0.3%(질량%의 의미. 성분에 대해 이하 동일), Si: 3.0% 이하, Mn: 1.5 내지 3.5%, P: 0.1% 이하, S: 0.05% 이하, 및 Al: 0.15% 이하를 만족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강 조직이, 페라이트 조직과,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포함하는 제2상을 포함하는 복합조직이고, 또한 강판의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O.1) 깊이까지의 표층 영역에 있어서, 하기에 나타내는 n회째의 판정으로 정해지는 n차 개재물군이고, 이 개재물군의 2개의 최외 입자의 강판 압연 방향에서의 최외 표면간 거리가 80㎛ 이상인 것이, 압연 면 100cm2당 12O개 이하이다.
(n 회째의 판정)
n-1차 개재물군(n은 1이상의 정수, n=1의 경우, O차 개재물군은 개재물 입자를 말한다)과, 근접한 1 이상의 x차 개재물군(x=O~n-1, n은 1 이상의 정수, O차 개재물군은 개재물 입자를 말한다)으로 이루어지고, 이 n-1차 개재물군과 x차 개재물군의 최근접 입자의 최소 표면간 거리(λ)가 , 하기 식 (1-1)을 만족하고, 또한 60㎛ 이하인 개재물군을 「n차 개재물군」이라고 한다.
Figure 112010020300662-pat00001
[식 (1-1)에 있어서,
λ: n-1차 개재물군과 x차 개재물군의 최근접 입자의 최소 표면간 거리(㎛)
σy: 강판의 항복 강도(MPa)
d1: n-1차 개재물군의, 강판 압연 방향의 입자 직경(n=1의 경우) 또는 2개의 최외 입자의 강판 압연 방향에서의 최외 표면간 거리(n≥2의 경우)(㎛)
d2: x차 개재물군의, 강판 압연 방향의 입자 직경(x=0의 경우) 또는 2개의 최외 입자의 강판 압연 방향에서의 최외 표면간 거리(x≥1의 경우)(㎛)]
본 제1발명의 냉연 강판은, 또한 다른 원소로서,
(A) Cr: 1% 이하 및/또는 Mo: 0.5% 이하; 또는,
(B) Ti: 0.2% 이하, V: 0.2% 이하, 및 Nb: 0.3%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
(C) Cu: 0.5% 이하 및/또는 Ni:0.5% 이하;
(D) Ca: 0.010% 이하, Mg: 0.010% 이하, 및 희토류 원소: 0.005%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본 제2발명의 냉연 강판은, 강판의 성분이 C: 0.12 내지 0.3%(질량%의 의미. 성분에 대해 이하 동일), Si: 0.5% 이하, Mn: 1.5 내지 3.0%, Al: 0.15% 이하, N: 0.01% 이하, P: 0.02% 이하, 및 S: 0.01% 이하를 만족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강 조직이, 마르텐사이트 단일 조직이고, 또한 강판의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O.1) 깊이까지의 표층 영역에 있어서, 하기에 나타내는 n회째의 판정으로 정해지는 n차 개재물군이고, 이 개재물군의 2개의 최외 입자의 강판 압연 방향에서의 최외 표면간 거리가 100㎛ 이상인 것이, 압연 면 100cm2당 12O개 이하이다.
(n 회째의 판정)
n-1차 개재물군(n은 1이상의 정수, n=1의 경우, O차 개재물군은 개재물 입자를 말한다)과, 근접한 1 이상의 x차 개재물군(x=O~n-1, n은 1 이상의 정수, O차 개재물군은 개재물 입자를 말한다)으로 이루어지고, 이 n-1차 개재물군과 x차 개재물군의 최근접 입자의 최소 표면간 거리(λ)가 , 하기 식 (1-2)을 만족하고, 또한 60㎛ 이하인 개재물군을 「n차 개재물군」이라고 한다.
Figure 112010020300662-pat00002
[식 (1-2)에 있어서,
λ: n-1차 개재물군과 x차 개재물군의 최근접 입자의 최소 표면간 거리(㎛)
σy: 강판의 항복 강도(MPa)
d1: n-1차 개재물군의, 강판 압연 방향의 입자 직경(n=1의 경우) 또는 2개의 최외 입자의 강판 압연 방향에서의 최외 표면간 거리(n≥2의 경우)(㎛)
d2: x차 개재물군의, 강판 압연 방향의 입자 직경(x=0의 경우) 또는 2개의 최외 입자의 강판 압연 방향에서의 최외 표면간 거리(x≥1의 경우)(㎛)]
본 제2발명의 냉연 강판은, 또한 다른 원소로서,
(A) Cr: 2.0% 이하 및/또는 B: 0.01% 이하; 또는,
(B) Cu: 0.5% 이하, Ni: 0.5% 이하, 및 Ti: 0.2%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
(C) V: 0.1% 이하 및/또는 Nb:0.1% 이하;
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제1 및 제2발명에는, 상기 고강도 냉연 강판에, 용융 아연 도금이 실시된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이나,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이 실시된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이 포함된다.
본 제1 및 제2발명에 의하면, 휨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강판이 확실히 얻어지고, 예컨대, 이것을 자동차용 강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범퍼, 전면이나 후면부의 사이트 멤버 등의 충돌 부품이나, 센터 필러 레인포스 등의 필러류 등의 차체 구성 부품, 시트 부품 등의 제조에 적합한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제1발명에 있어서, 진정 개재물 입자 직경(d*)과 보이드 성장 범위(A)의 관계를, 강판의 항복 강도(YS) 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 2(b)는 1차 개재물군의 태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a), 3(b)는 2차 개재물군의 태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제1발명에 있어서, 개재물군의 장 직경과 규정 개재물군에 기인하는 휨 균열의 누적 확률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제1발명에 있어서, 표면에서의 위치(판 두께 t에 대한 비)와, 규정 개재물군이 휨 균열을 야기하는 확률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제1발명에 있어서, 규정 개재물군의 개수 밀도와 규정 개재물군에 기인하는 휨 균열율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제2발명에 있어서, 진정 개재물 입자 직경(d*)과 보이드 성장 범위(A)의 관계를, 강판의 항복 강도(YS) 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제2발명에 있어서, 개재물군의 장 직경과 규정 개재물군에 기인하는 휨 균열의 누적 확률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제2발명에 있어서, 표면에서의 위치(판 두께 t에 대한 비)와, 규정 개재물 군이 휨 균열을 야기하는 확률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제2발명에 있어서, 규정 개재물군의 개수 밀도와 규정 개재물군에 기인하는 휨 균열율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본 제1발명과 본 제2발명에 공통하는 사항인 개재물 상태와 강의 특성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개개의 개재물 입자의 성분?조성을 제어하여도, 가공(특히 휨 가공)에 있어서 균열이 생기는 것에 비추어,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우선 하기의 것을 발견했다.
(1) 휨 균열의 기점은, 강판의 압연 방향과 평행하게 점열상으로 분포된 개재물군인 것.
(2) 그리고, 상기 개재물군을 구성하는 개개의 개재물 입자가, 종래 기술(예컨대 일본 특허 제845554호)에서 규정한 것과 같이 미세하여도, 이들이 점열상으로 분포된 개재물군이 되는 것에 의해, 가공시에 개개의 개재물 입자의 주변에 발생한 보이드끼리 합체하고, 단독으로 존재하는 개재물 입자 주변에 발생하는 보이드와 비교하여, 조대(粗大)하고 편평인 결함(보이드)이 형성되는 것. 그리고, 이러한 조대하고 편평인 결함(보이드)에는, 휨 가공시에, 단독으로 존재하는 개재물 입자 주변에 발생하는 보이드와 비교하여 매우 큰 응력이 집중하고, 그 결과 재료가 용이하게 파단에 이른다고 생각되는 것.
이들의 지견을 바탕으로, 개재물 입자의 분포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조대하고 편평인 결함(보이드)이 형성되는지에 대하여 조사했다. 그 결과, 우선 2개의 개재물 입자의 분포가, 본 제1발명의 경우는 하기 식 (1-1)을, 본 제2발명의 경우는 하기 식 (1-2)을 충족하는 경우에, 1개의 장대한 결함을 형성하는 개재물군으로서 행동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식 (1-1) 및 식 (1-2)은, 「개개의 개재물 입자에 발생한 보이드가, 인접하는 보이드와 합체하기 위해서는, 보이드간의 재료가 소성 변형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에 근거하여, 결함 주변의 응력 집중이 가져오는 소성 변형 범위를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얻은 것이다.
Figure 112010020300662-pat00003
Figure 112010020300662-pat00004
[식 (1-1) 및 식 (1-2)에 있어서,
λ: 임의의 개재물 입자와 이것에 근접한 개재물 입자의 최소 표면간 거리(㎛)
σy: 강판의 항복 강도(MPa)
d1: 임의의 개재물 입자의, 강판 압연 방향의 입자 직경(㎛)
d2: 상기 임의의 개재물에 근접한 개재물 입자의, 강판 압연 방향의 입자 직경(㎛)]
여기서는, 우선 기본적인 생각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 식 (1)의 λ, d1, d2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정의한다.
식 (1-1) 및 식 (1-2)의 도출 방법은 다음과 같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단, 실시예 1의 No. 4(강도가 낮음)를 제외한다), 파단면에서 관찰되는 개재물 입자의, 진정 개재물 입자 직경(d*)과 그 주변에 형성되는 보이드 직경(D)으로부터, 보이드 성장 범위(A=(D-d*)/2)와 d*의 관계를 얻었다. 이 진정 개재물 입자 직경(d*)과 보이드 성장 범위(A)의 관계를, 강판의 항복 강도별로 나타낸 그래프를, 본 제1발명에 관해서는 도 1에, 본 제2발명에 관해서는 도 7에 나타낸다. 이 도 1에서 얻은 결과를, 강판의 항복 강도 (YS=σy)로 정리하면, 본 제1발명에 관해서는 하기 식 (2-1)이, 본 제2발명에 관해서는 하기식 (2-2)가 얻어진다.
Figure 112010020300662-pat00005
Figure 112010020300662-pat00006
또한, 일반적으로 임의의 면에서 관찰되는 개재물 입자 직경(d)과 진정 개재물 입자 직경(d*)간에는 하기 식 (3)의 관계가 있다.
Figure 112010020300662-pat00007
본 제1발명에 관해서는, 상기 식 (2-1) 및 식 (3)으로부터, 보이드 성장 범위 (A)는 하기 식 (4-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0020300662-pat00008
본 제2발명에 관해서는, 상기 식 (2-2) 및 식 (3)으로부터, 보이드 성장 범위(A)는 하기 식 (4-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0020300662-pat00009
따라서, 근접한 개재물 입자의 입자 직경을 각각 d1 및 d2라고 하면, 각각의 보이드 성장 범위의 합계(A1+A2)가, 2개의 개재물 입자의 최소 표면간 거리(λ) 이상인 경우에 보이드가 합체한다고 생각하여, 상기 식 (1-1) 및 식 (1-2)를 수득했다.
또한, 본 제1발명 및 본 제2발명에서는, 상기 X가 60㎛보다도 커지면, 후술하는 규정 개재물군의 개수 밀도와 규정 개재물군에 기인하는 휨 균열율과의 상관성이 낮게 되기 때문에, λ를 60㎛ 이하로 했다. 이와 같이 λ를 60㎛ 이하로 규정하는 것으로, 개재물 입자 사이가 지나치게 큰 경우도 제어가 필요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제1발명에서는 상기 식 (1-1)을 만족시킴과 함께 λ가 60㎛ 이하를 만족시키는 상기 2개의 개재물 입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휨 가공시에 조대하고 편평인 결함(보이드)을 형성하는 「개재물군」이라고 했다. 이 개재물군에 대하여 도 2(a)에 모식적으로 예시한다. 한편, 도 2(a)에 있어서, 우측의 개재물 입자(3)는, 개재물 입자(2)와의 관계에 있어서, 도 2(a)에 나타내는 대로 식 (1-1)을 만족시키지 않으며 λ가 60㎛를 넘고 있기 때문에, 개재물 입자 (2)와는 개재물군을 구성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에서는, d1, d2에 대하여, 어느 것이나 개재물 입자인 경우에 대하여 말했지만, 상기 2개의 개재물 입자로 이루어지는 개재물 군을, 하나의 개재물 입자라고 간주한 경우, 추가로 이것과 근접한 개재물 입자나 별도의 개재물군과의 사이에서, 식 (1-1)을 만족시킴과 함께 λ 60㎛ 이하를 만족시키고, 더욱 조대한 개재물군을 구성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2개의 개재물 입자로 이루어지는 개재물군과, 이것에 근접한 개재물 입자나 별도의 개재물군과의 사이에서, 추가로 식 (1-1)을 만족시킴과 함께 λ가 60㎛ 이하를 만족시키는지 여부의 판정(두번째 이후의 판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개재물군의 판정[2개의 개재물 입자 또는 개재물군이, 상기 관계를(만족시킴과 함께 λ가 60㎛ 이하를) 만족시키고, 새로운 개재물군을 구성하는지 여부의 판정]을, 1회째, 2회째 …로 단계적으로 반복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개재물군을 특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정은, 개재물군의 주위에, 이 개재물군과의 사이에서 식 (1-1)을 만족시키고 또한 λ가 60㎛인, 개재물 입자나 개재물군이 존재하지 않게 될 때까지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수득된 개재물군을 1개의 개재물군으로 카운트한다.
따라서, 예컨대 후술하는 도 3(a)에 예시한 3개의 개재물 입자(1", 2" 및 3")로 이루어지는 개재물 군은, 그 구성이 1회째의 판정으로 개재물군이라고 판정된 2개의 개재물 입자(1" 및 2")로 이루어지는 개재물군과, 2회째의 판정으로 상기 개재물군과 상기 관계를 만족시킨다고 판단된 개재물 입자(3")로 이루어지지만, 상기 2개의 개재물 입자(1" 및 2")로 이루어지는 개재물군과, 상기 개재물군을 포함하는 3개의 개재물 입자(1", 2" 및 3")로 이루어지는 개재물군을 나누어, 개재물군 2개로 카운트하는 것은 아니고, 2회째의 판정으로 개재물군으로 판정된, 개재물 입자(1", 2" 및 3")로 이루어지는 (2차) 개재물군 1개로 카운트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이하와 같이 하여 단계적으로 개재물군을 판정할 수 있다(하기에서는, 3회째까지의 개재물군의 판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i) 1회째의 판정(1차 개재물군의 판정)
적어도 2개의 개재물 입자의 사이에서, λ가 상기 식 (1-1)을 만족시킴과 함께 60㎛ 이하를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이들로 이루어지는 개재물군을 「일차 개재물군」이라고 한다(도 2(a)에 모식적으로 예시한다).
한편, 도 2(b)에 예시한 대로, 개재물 입자(1)가 개재물 입자(2) 이외에, 개재물 입자(2')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λ가 상기 식 (1-1)을 만족시킴과 함께 60㎛ 이하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이들 개재물 입자(1, 2 및 2')로 이루어지는 개재물군을 「일차 개재물군」이라고 한다.
(ii) 2회째의 판정(2차 개재물군의 판정)
(ii-1) 상기 일차 개재물군과, 근접한 1 이상의 개재물 입자의 사이에서, λ가, 식 (1-1)을 만족시킴과 함께 60㎛ 이하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이들로 이루어지는 개재물군을 「2차 개재물군」이라고 한다. 이 2차 개재물군을 도 3(a)에 모식적으로 예시한다.
(ii-2) 상기 일차 개재물군과, 근접한 1 이상의 별도의 일차 개재물군의 사이에서, λ가 식 (1-1)을 만족시킴과 함께 60㎛ 이하를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이들로 이루어지는 개재물군을 「2차 개재물군」이라고 한다. 이 2차 개재물군을 도 3(b)에 모식적으로 예시한다.
(iii) 3회째의 판정(3차 개재물군의 판정)
(iii-1) 상기 2차 개재물군과, 근접한 1 이상의 개재물 입자의 사이에서, λ가, 식 (1-1)을 만족시킴과 함께 60㎛ 이하를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이들로 이루어지는 개재물군을 「3차 개재물군」이라고 한다.
(iii-2) 상기 2차 개재물군과, 근접한 1 이상의 일차 개재물군의 사이에서, λ가, 식 (1-1)을 만족시킴과 함께 60㎛ 이하를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이들로 이루어지는 개재물군을 「3차 개재물군」이라고 한다.
(iii-3) 상기 2차 개재물군과, 근접한 1 이상의 별도의 2차 개재물군의 사이에서, λ가 식 (1-1)을 만족시킴과 함께 60㎛m 이하를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이들로 이루어지는 개재물군을 「3차 개재물군」이라고 한다.
이후, 4회째의 판정(4차 개재물군의 판정)으로 계속된다.
본 제2발명에 있어서도, 상기 본 제1발명에 있어서의 단계적 개재물군 판정 방법과 같은 방법에 의해 개재물군을 판정한다. 단, 본 제2발명의 경우는, 식 (1-1)의 대신에 식 (1-2)를 이용한다.
상기 판정 방법으로부터, n회째(n은 1 이상의 정수)의 판정으로 정해지는, 임의의 개재물군: n차 개재물군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n차 개재물군은, n-1 차 개재물군(n은 1 이상의 정수, n=1의 경우, O차 개재물군은 개재물 입자를 말한다)과, 근접한 1 이상의 x차 개재물군(x=0~n-1, n은 1 이상의 정수, O차 개재물군은 개재물 입자를 말한다)로 이루어지고, 이 n-1차 개재물군과 x차 개재물군의 최근접 입자의 최소 표면간 거리(λ)가, 본 제1발명의 경우는 하기 식 (1-1)을 만족하고 또한 60㎛ 이하인 개재물군을, 본 제2발명의 경우는 하기 식 (1-2)을 만족하고 또한 60㎛ 이하인 개재물 군을 말한다.
Figure 112010020300662-pat00010
Figure 112010020300662-pat00011
[식 (1-1) 및 식 (1-2)에 있어서,
λ: n-1차 개재물군과 x차 개재물군의 최근접 입자의 최소 표면간 거리(㎛)
σy: 강판의 항복 강도(MPa)
d1: n-1차 개재물군의 강판 압연 방향의 입자 직경(n=1의 경우) 또는 2개의 최외 입자의 강판 압연 방향에서의 최외 표면간 거리(n≥2의 경우)(㎛)
d2: x차 개재물군의, 강판 압연 방향의 입자 직경(x=0의 경우) 또는 2개의 최외 입자의 강판 압연 방향에서의 최외 표면간 거리(x≥1의 경우)(㎛)]
상기 「n 회째의 판정으로 정해진다」란, 상술한 대로 본 제1발명의 경우는, 개재물군의 주위에, 이 개재물군과의 사이에서 식 (1-1)을 만족시키고 또한 λ이 60㎛m 이하인 개재물 입자나 개재물군이 존재하지 않게 될 때까지 상기 판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하나의 개재물군을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본 제2발명의 경우는, 개재물군의 주위에, 이 개재물군과의 사이에서 식 (1-2)을 만족시키고 또한 λ가 60㎛ 이하인, 개재물 입자나 개재물군이 존재하지 않게 될 때까지 상기 판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1개의 개재물군을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판정할 때에, 대상이 되는 개재물 입자의 강판 압연 방향의 입자 직경의 하한은 0.5㎛ 정도이다.
〔개재물군의 장 직경에 대하여〕
상기 판정에 의해 구해지는 개재물군이어도, 그 크기에 따라서 휨 가공성에 주는 영향은 다르다. 따라서, 상기 개재물군의 크기(개재물 군의 장 직경 = 개재물군의 2개의 최외 입자의 강판 압연 방향에 있어서의 최외 표면간 거리)와, 휨 가공성(규정 개재물군에 기인하는 휨 균열율)의 관계를 조사했다. 도 4는, 본 제1발명에 대하여, 후술하는 실시예 1의 No. 4(강도가 낮음)를 제외한 예에 있어서, 개재물군을 기점으로 균열된 시료의 파단면을 관찰하여, 파단 기점의 개재물군의 강판 압연 방향의 장 직경을 구하고, 장 직경이 예컨대 20 이상 40㎛ 미만, 40 이상 60㎛ 미만, 60 이상 80㎛ 미만…의 범위내의 개재물군을, 각각 20㎛, 40㎛, 60㎛…의 개재물군으로서 집계하여, 장 직경 20㎛마다의 규정 개재물군에 기인하는 휨 균열의 누적 확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제2의 발명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하여 장 직경 20㎛ 마다의 규정 개재물군에 기인하는 휨 균열의 누적 확률을 나타낸 것이다.
이 도 4로부터, 개재물군의 장 직경: 80㎛ 이상에서, 이 개재물군 기인의 균열 발생(누적 확률>0)이 인정을 받기 때문에, 본 제1발명에 있어서 제어의 대상으로 삼는 개재물군의 장 직경의 하한을 80㎛로 했다. 마찬가지로, 도 8로부터, 본 제2발명에 있어서 제어의 대상으로 삼는 개재물군의 장 직경의 하한을 100㎛로 했다. (이하, 본 제1발명에 있어서는 장 직경 80㎛ 이상의 개재물군을, 본 제2발명에 있어서는 장 직경 100㎛m 이상의 개재물군을, 「규정 개재물군」이라고도 한다)
〔관찰 영역에 대하여〕
상기 규정 개재물군을 원인으로 하여 휨 균열이 현저하게 되는 것은, 특히 휨 가공싱에 막대한 왜곡이 도입되는 강판의 표층역이므로, 다음과 같은 측정을 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관찰 영역을 특정했다. 즉, 후술하는 실시예의 강판((단, 실시예 1의 No. 4(강도가 낮음)를 제외한다)을 이용하여, 미리 주파수 30MHz 및 50MHZ의 조건에서 초음파 탐상법(探傷法)에 의해, 압연면에서의 결함 지시 위치(개재물 위치)를 특정했다. 그리고, 휨 능선이 압연 방향과 평행하게 되고, 또한 상기 조사로 얻은 결함 지시 위치(개재물 위치)와 일치 하도록,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대로 휨 가공을 실시했다.
휨 가공을 실시하여 파단한 시험편에 대하여, 균열 기점의 파단면을 조사했다. 그리고, 규정 개재물군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고, 규정 개재물군이 존재하는 것에 관해서는, 표면에서의 위치(깊이)를 측정했다. 또한, 파단되지 않은 시험편에 관해서는, 압연면에서의 결함 지시 위치로부터 판 두께방향으로 0.5t(t: 판 두께)까지 연삭하고, 표면에서 0.5t 깊이의 범위 내에서의 규정 개재물 군의 존재 유무를 확인했다.
그리고, 표면에서의 각 측정 위치에 있어서, 규정 개재물군이 휨 균열을 야기하는 확률(%)(후술하는 「규정 개재물군 기인의 휨 균열율」과는 구별된다.)을, 10O×(휨 가공에서 파단된 시험편이며 규정 개재물군이 존재하는 시험편의 수)/[(휨 가공에서 파단하지 않은 시험편이며 규정 개재물군이 존재하는 시험편의 수)+(휨 가공에서 파단하지 않은 시험편이며 규정 개재물군이 존재하는 시험편의 수)]로부터 구했다.
그 결과를 정리한 것을, 본 제1의 발명에 관해서는 도 5에, 본 제2발명에 관해서는 도 9에 나타낸다. 한편, 도 5 및 도 9에 있어서의 0.02t(판 두께 t에 대한 비가 0.02), 0.04t, 0.06t…의 결과는, 각각 표면(깊이 0mm) 내지 0.02t, 0.02t 초과 0.04t, 0.04 초과 0.06t…에서의 측정 결과를 집계한 것이다. 이 도 5 및 도 9로부터, 본 제1발명에서도 본 제2발명에서도, 규정 개재물군은, 강판의 표면에서 판 두께×0.1(0.1t) 깊이까지의 범위에 존재하는 경우에, 휨 균열의 원인으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휨 가공성은 표층 영역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제1발명 및 본 제2발명에서는, 규정 개재물군의 관찰 영역을, 강판의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0.1) 깊이까지로 했다.
〔규정 개재물군의 개수 밀도와 휨 가공성의 관계에 대하여〕
다음으로, 본 발명자들은 규정 개재물군의 개수 밀도와, 휨 가공성(규정 개재물군 기인의 휨 균열율)의 관계를 조사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방범으로 구한, 규정 개재물군의 개수 밀도와 규정 개재물군 기인의 휨 균열율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를, 본 제1발명에 관해서는 도 6에, 본 제2발명에 관해서는 도 10에 나타낸다. 한편, 본 제1발명에서도 본 제2발명에서도, 규정 개재물군 기인의 휨 균열율이 2.0% 이하이면, 실제 제품에 있어서 문제가 없는 것을 별도 확인하였다.
이 도 6 및 도 10으로부터, 본 제1발명에서도 본 제2발명에서도, 규정 개재물군 기인의 휨 균열율: 2.O% 이하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규정 개재물군의 개수 밀도를, 압연면 1OOcm2당 12O개 이하로 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한 개수 밀도는 압연면 1OOcm2당 1OO개 이하이다.
상기 규정 개재물군의 측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대로, 예컨대 광학 현미경(배율: 100배)으로써 육안 관찰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 광학 현미경 관찰 결과를 2치(値)화한 후, 미리 상기 식 (1-1) 또는 식 (1-2)이나 λ의 경계 값(60 pm)의 조건을 설정한 화상 해석 처리에 의해 자동 측정할 수도 있다.
본 제1발명 및 본 제2발명은, 개재물군의 형태가 상기 규정을 만족시키는 것을 요건으로 하고 있고, 개재물군을 구성하는 개개의 개재물 입자의 성분에 관해서는 특별히 규정되지 않는다. 개재물 입자로서, 예컨대 Al, Si, Mn, Ca, Mg(Ca, Mg에 관해서는, 선택 원소로서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조 과정에서의 화로벽에서 슬래그가 말려들어 포함될 수 있다) 등을 포함하는 산화물계 개재물이나, Mn, Ti 등을 포함하는 황화물계 개재물 또는, 이들의 복합개재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선택 원소로서, 상기 Ca나 Mg 외에,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들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계 개재물이나, 황화물계 개재물(예컨대 Ca나 Mg를 포함하는 황화물계 개재물)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본 제1발명에서도 본 제2발명에서도, 전술한 대로 개재물군으로서 제어한 것에 포인트가 있지만, 강판의 개재물 입자의 총수는, 종래대로 저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강판 압연 방향의 입자 직경이 5㎛ 이상의 개재물 입자가, 25개/mm2 이하로 억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제1발명의, 강 조성, 강 조직 및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의 설명에서는, 본 제1의 발명을 단지 본 발명이라고 부른다.
〔강 조직에 대하여〕
본 발명의 냉연 강판을, 예컨대 자동차용 강판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특성으로서 강도와 가공성의 겸비가 요구된다. 페라이트 조직은, 우수한 가공성을 확보하는 데 유효하지만, 너무 많으면 780MPa 이상의 고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래서, 제2상으로서 저온 변태상을 존재시키는 것이 좋다. 특히, 가동 전위의 도입에 의한 가공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마르텐사이트 조직(템퍼링 마르텐사이트를 포함하는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활용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제2상에서 차지하는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비율을 70면적%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면적% 이상이다. 제2상의 잔부 조직으로서, 베이나이트 조직 및/또는 잔류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고강도화 및 가공성에 영향을 미치게 하지 않는 정도(제2상에 차지하는 비율로 30면적% 이하)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강판은, 상기 페라이트조직, 제2상 이외에, 제조공정에서 불가피하게 포함될 수 있는 조직(펄라이트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재물 형태를 포함한 조직 제어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켜, 휨 가공성을 확실히 높이는 동시에, 고강도와 우수한 가공성의 밸런스를 겸비하는 강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하기의 성분 조성을 만족시키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제조 조건으로 제조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하에서는, 우선 강판의 성분 조성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강판의 성분 조성에 대하여〕
〔C: 0.05 내지 0.3%〕
C는 강도 확보를 위해 0.05% 이상(바람직하게는 0.07%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0.3%를 초과하면, 페라이트 조직과 제2상의 경도차가 커져 휨 가공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C 량을 0.3%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25% 이하이다.
〔Si: 3.0%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Si는 페라이트 조직을 고용 강화하여 강도를 확보하는 데 필요한 원소이다. 또한, 페라이트 조직과 제2상의 경도 차이를 작게 하여 휨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효한 원소이기도 하다. 이들 관점에서, Si를 0.5%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3.0%를 초과하여도 이들의 효과는 포화하며, 열간 취성(脆性)을 유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Si량을 3.0%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다.
〔Mn: 1.5 내지 3.5%〕
Mn은 담금질성을 향상시켜 강도를 높이는 데 유효한 원소이다. 또한, 고용 강화 원소이기도 하기 때문에, 그 하한을 1.5%로 했다. 바람직하게는 1.7% 이상이다. 그러나, 과잉으로 포함되면, 저온 변태상(마르텐사이트 조직)의 생성이 필요 이상으로 촉진되는 것에 의한 휨 가공성의 저하, 및 MnS 등의 개재물이 증가하는 것에 의한 휨 가공성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그 상한을 3.5%로 했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P: 0.1% 이하〕
P는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원소이기 때문에 0.1% 이하로 억제한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S: 0.05% 이하〕
S는 개재물 양을 증가시켜, 휨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원소이기 때문에, 0.05% 이하로 억제한다. 바람직하게는 0.0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이하, 특히는 0.005% 이하이다.
〔Al: 0.15% 이하〕
Al은 탈산에 필요한 원소이기 때문에 그 하한은 0.005% 정도(하한은, 특히는 0.01% 정도)이다. 그러나, 과잉으로 포함되면, 상기 탈산 효과가 포화할 뿐만 아니라, 개재물 양의 증가를 초대하여, 휨 가공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그 상한을 0.15%로 했다. 바람직하게는 0.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기본 성분은 상기 대로이고, 잔부는 철 및 불가피 불순물이며, 상기 불가피 불순물로서, 원료, 자재, 제조 설비 등의 상황에 의해서 들어가는 원소의 혼입이 허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작용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하기 원소를 적극적으로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Cr: 1% 이하 및/또는 Mo: 0.5% 이하〕
Cr, Mo는, 구리의 담금질성을 향상시켜 고강도화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상기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Cr의 경우 0.05% 이상, Mo의 경우 0.01%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원소가 과잉으로 포함되면, 가공성이 악화하여 휨 불량률의 증가를 초래한다. 따라서, Cr량은 1%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이하), Mo는 0.5%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4%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 0.2% 이하, V: 0.2% 이하, 및 Nb: 0.3%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
Ti, V, Nb는, 탄화물 또는 질화물에 의해 석출 강화를 발현시키는 원소이다. 상기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Ti의 경우 0.005% 이상, V의 경우 0.005%이상, Nb의 경우 0.005%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원소가 과잉으로 포함되면, 가공성이 악화하여 휨 불량율의 증가를 초래한다. 따라서, Ti량은 0.2%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16% 이하), V량은 0.2%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16% 이하), Nb량은 0.3%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u: 0.5% 이하 및/또는 Ni: 0.5% 이하〕
Cu, Ni는, 내식성 향상에 의해 내지연파괴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효한 원소이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인장 강도가 980MPa를 넘는 강판에서 유효하게 발휘된다. 상기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Cu의 경우 0.05% 이상, Ni의 경우 0.05%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잉으로 포함되면 가공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Cu, Ni의 상한을 어느 것이나 0.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어느 것이나 0.4% 이하이다.
〔Ca: 0.010% 이하, Mg: 0.010% 이하, 및 희토류 원소: 0.005%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
Ca, Mg 및 희토류 원소는 개재물의 형태 제어에 유효한 원소이다. 상기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Ca의 경우 0.0003% 이상, Mg의 경우 0.0001% 이상, 희토류 원소의 경우 0.0005%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잉으로 포함되면, 이들 원소 자체가 개재물이 되어 휨 가공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Ca, Mg는 어느 것이나 0.010%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008% 이하), 희토류 원소는 0.005%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OO4%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희토류 원소는, 란타노이드 원소(주기표에서, La에서 Lu까지의 합계 15원소)를 의미한다. 이들 원소 중에서도, La 및/또는 Ce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강(溶鋼)에 첨가하는 REM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REM으로서, 순 La나 순 Ce 등, 혹은 Fe-Si-La 합금, Fe-Si-Ce 합금, Fe-Si-La-Ce 합금 등을 첨가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용강에 미시 메탈(misch metal)을 첨가할 수도 있다. 미시 메탈이란, 셀륨족 희토류 원소의 혼합물이며, 구체적으로는 Ce를 40 내지 50% 정도, La를 20 내지 40% 정도 함유하고 있다.
강판으로서, 특히 고강도 영역(780MPa 이상, 특히는 980MPa 이상, 상한은 1,200MPa 정도)의 강판을 대상으로 삼은 경우에, 본 발명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강판의 제조 방법까지 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규정 개재물 형태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특히 열간 압연시에서의 약 1000℃ 이하의 온도 영역에서 압연시의 압하율 및 냉간 압연시의 압하율(냉연율)의 합계 압하율을 제어하는 것이 권장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대로, 개재물 입자의 성분까지 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강판의 성분 조성에 있어서는, 개재물이 주로 산화물계 개재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소성 변형능이 작아지는 비교적 낮은 온도 영역에서의 압연시에, 이 산화물계 개재물이 파쇄?분산하는 것으로, 규정 개재물군이 생길 수 있다. 미세하게 파쇄되어 장거리로 분산된 개재물군에는, 전술한 대로, 휨 가공시에 장대하고 편평한 결함(보이드)이 형성되어, 이 결함 주변에서 큰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것으로 휨 균열이 생긴다. 따라서, 상기 온도 영역에서의 압하율을 비교적 작게 하여, 파쇄의 정도를 억제하는 것이 권장된다.
본 발명의 성분조성을 만족시키는 강판에 있어서 존재할 수 있는 산화물계 개재물은, Al, Si, Mn, Mg, Ca, 희토류 원소의 단독 산화물 및/또는 복합 산화물이며, 이들의 연화점 및 모재의 변형능을 감안하면, 약 1,000℃ 내지 실온 영역에서의 압하율(구체적으로는, 열간 압연시에서의 약 1,000℃ 이하의 온도 영역에서의 압하율, 및 냉간 압연시의 압하율의 합계 압하율)을 적정화하여, 파쇄?분산 상태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성분 조성을 만족시키는 강판의 경우, 열간 압연시에서의 약 1,000℃ 이하의 온도 영역에서의 압하율 및 냉간 압연시의 압하율의 합계 압하율은, 98%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96% 이하이다. 한편, 상기 합계 압하율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조대 개재물이 미세화되지 않고, 휨 가공성이 오히려 열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박 강판의 제조 자체가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합계 압하율은 적어도 90% 정도는 필요하다.
또한, 강판 중의 개재물 입자의 총수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전로(轉爐) 또는 전기로에서 1차 정련 후, 취과(取鍋)에서 LF 법으로써 탈황하고, 이어서 진공 탈 가스(예컨대 RH 법)를 하는 것이 권장된다.
상기 이외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상기 용제 후, 통상적 방법에 따라서, 연속 주조에 의해 슬래브 등의 강편을 얻은 후, 1,100 내지 1,250℃ 정도로 가열하고, 이어서 열간 압연을 하여 (바람직하게는, 마무리 온도: Ar3점 이상에서 열간 압연을 종료), 권취한 후에 산세하고, 냉간 압연(냉연율은 약 20 내지 70%)하여 강판을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소둔 처리를 실시한다. 이 소둔 처리는, 예컨대 750 내지 900℃에서 10 내지 200초간 유지한 후, 바람직하게는 10℃/s 이상의 냉각 속도로 냉각하여 저온 변태상을 생성시키는 것이 좋다. 냉각 방법은, 물 담금질, 수냉 롤 냉각, 기수(氣水) 냉각, 가스 제트 냉각 등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물 담금질하는 경우, 냉각 도중, 또는 일단 실온까지 냉각 후, 200 내지 500℃의 온도까지 재가열하여, 상기 온도에서 30초에서 5분 정도 유지하는 과시효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제2발명의, 강 조성, 강 조직 및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의 설명에서는, 본 제2발명을 단지 본 발명이라고 부른다.
〔강 조성에 대하여〕
본 발명의 냉연 강판을, 예컨대 자동차용 강판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특성으로서 보다 높은 강도(880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980MPa 이상)와 가공성의 겸비가 요구된다. 페라이트 조직이 많으면 보다 높은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복합 조직이면, 휨 가공성의 충분한 향상도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마르텐사이트 조직(바람직하게는,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를 포함한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단일 조직으로 하는 것으로 휨 가공성의 향상을 꾀한다.
한편, 상기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단일 조직이란, 상기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95면적% 이상(특히는 97면적% 이상, 100면적%여도 좋다)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강판은, 상기 마르텐사이트 조직 이외에, 제조 공정에서 불가피하게 포함될 수 있는 조직(페라이트 조직, 베이나이트 조직, 잔류 오스테나이트 조직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재물 형태를 포함하는 조직 제어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켜, 휨 가공성을 확실히 높이는 동시에, 고강도와 우수한 가공성의 밸런스를 겸비하는 강판을 실현하려면, 하기의 성분 조성을 만족시키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제조 조건으로 제조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하에서는, 우선, 강판의 성분 조성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강판의 성분 조성에 대하여〕
〔C: 0.12 내지 0.3%〕
C는 담금질성을 높여 고강도를 확보하는 데 필요한 원소이기 때문에, 0.12% 이상(바람직하게는 0.15% 이상) 함유시킨다. 그러나 C 함유량이 과잉이면, 스폿 용접성이나 인성이 저하되거나, 담금질 부에 지연 파괴가 생기기 쉽게 된다. 따라서, C 량은 0.3% 이하, 바람직하게는 0.26% 이하로 한다.
〔Si: 0.5% 이하〕
Si는 템퍼링 연화 저항에 유효한 원소이며, 또한 고용 강화에 의한 강도 향상에도 유효한 원소이다. 이들 관점에서, Si를 0.02%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Si는 페라이트 생성 원소이며, 많이 포함되면 담금질성을 손상하여 고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게 되므로, Si량을 0.5%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4% 이하이다.
〔Mn: 1.5 내지 3.0%〕
Mn은 담금질성을 향상시켜 강도를 높이는 데 유효한 원소이다. 충분한 담금질성을 확보하기 위해 Mn량은 1.5% 이상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7% 이상이다. 그러나, 과잉으로 포함되면, 강판의 강도를 필요 이상으로 증가시켜 인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Mn량은 3.0%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2.8% 이하이다.
〔Al: 0.15% 이하〕
Al은 탈산제로서 첨가되는 원소이며, 또한 강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이들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0.05%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잉으로 포함되면, C계 개재물이 다량으로 생성하여 표면 상처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그 상한을 0.15%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 이하이다.
〔N: 0.01% 이하〕
N량이 과잉이면, 질화물의 석출량이 증대하여, 인성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N량은 O.01%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8% 이하로 한다. 한편, 제강상의 비용 등을 고려하여, N량은 보통 0.001% 이상이다.
〔p: 0.02% 이하〕
P는 강을 강화하는 작용을 갖지만, 취성에 의해 연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0.02% 이하로 억제한다. 바람직하게는 0.01% 이하이다.
〔S: 0.01% 이하〕
S는 황화물계의 개재물을 생성하여, 가공성, 용접성을 열화시키기 때문에, 적을수록 좋고, 본 발명에서는 0.01% 이하로 억제한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3%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기본 성분은 상기 대로이고, 잔부는 철 및 불가피 불순물이며, 상기 불가피 불순물로서, 원료, 자재, 제조 설비 등의 상황에 의해서 들어가는 원소의 혼입이 허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작용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하기 원소를 적극적으로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Cr: 2.0% 이하 및/또는 B: 0.01% 이하〕
Cr도 B도 담금질성 향상에 보다 강도를 높이는 데 유효한 원소이다. 또한, Cr는 마르텐사이트 조직 강의 템퍼링 연화 저항을 높이는 데 유용한 원소이다. 이들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Cr의 경우 0.01%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B의 경우 0.0001%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Cr이 과잉으로 포함되면, 내지연파괴성을 열화시킨다. 또한 B량이 과잉이 되면 연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Cr량은 2.0%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1.7% 이하), B는 0.01%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008%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u: 0.5% 이하, Ni: 0.5% 이하, 및 Ti: 0.2%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
Cu, Ni, Ti는, 내식성 향상에 의해 내지연파괴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효한 원소이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인장 강도가 980MPa를 넘는 강판에서 유효하게 발휘된다. 또한 Ti는 템퍼링 연화 저항을 높이는 것에도 유효한 원소이다. 상기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Cu의 경우 0.01%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Ni의 경우 0.01%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Ti의 경우 0.01%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잉으로 포함되면 연성이나 가공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Cu, Ni의 상한은 어느 것이나 0.5%로, Ti의 상한은 0.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Cu, Ni는 각각 0.4% 이하, Ti는 0.15% 이하이다.
〔V: 0.1% 이하 및/또는 Nb: 0.1% 이하〕
V, Nb는 어느 것이나 강도의 향상, 및 γ입자 미세화에 의한 담금질 후의 인성 개선에 유효한 원소이다. 상기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V, Nb 어느 쪽의 경우도 0.003%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원소가 과잉으로 포함되면, 탄질화물 등의 석출이 증대하여, 가공성 및 내지연파괴성은 저하된다. 따라서, V, Nb 어느 쪽의 경우도 0.1%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원소로서, 예컨대 Se, As, Sb, Pb, Sn, Bi, Mg, Zn, Zr, W, Cs, Rb, Co, La, Tl, Nd, Y, In, Be, Hf, Tc, Ta, O, Ca 등을 내식성이나 내지연파괴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합계 0.01% 이하 함유시켜도 좋다.
강판으로서, 특히 고강도 영역(880MPa 이상, 특히는 980MPa 이상)의 강판을 대상으로 삼은 경우에, 본 발명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강판의 제조 방법까지 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규정 개재물 형태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특히 열간 압연시에서의 약 950℃ 이하의 온도 영역에서 압연시의 압하율 및 냉간 압연시의 압하율(냉연율)의 합계 압하율을 제어하는 것이 권장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대로, 개재물 입자의 성분까지 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강판의 성분 조성에 있어서는, 개재물이 주로 산화물계 개재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소성 변형능이 작아지는 비교적 낮은 온도 영역에서의 압연시에, 이 산화물계 개재물이 파쇄?분산하는 것으로, 규정 개재물군이 생길 수 있다. 미세히 파쇄되어 장거리로 분산된 개재물군에는, 전술한 대로, 휨 가공시에 장대하고 편평한 결함(보이드)이 형성되어, 이 결함 주변에서 큰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것으로 휨 균열이 생긴다. 따라서, 상기 온도 영역에서의 압하율을 비교적 작게하여, 파쇄의 정도를 억제하는 것이 권장된다.
본 발명의 성분조성을 만족시키는 강판에 있어서 존재할 수 있는 산화물계 개재물은, Al, Si, Mn, Ti, Mg, Ca, 희토류 원소의 단독 산화물 및/또는 복합 산화물이며, 이들의 연화점및 모재의 변형능을 감안하면, 약 950℃에서 실온 영역에서의 압하율(구체적으로는, 열간 압연시에서의 약 950℃ 이하의 온도 영역에서의 압하율, 및 냉간 압연시의 압하율의 합계 압하율)을 적정화하여, 파쇄?분산 상태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성분 조성을 만족시키는 강판의 경우, 열간 압연시에서의 약 950℃ 이하의 온도 영역에서의 압하율 및 냉간 압연시의 압하율의 합계 압하율은, 97%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하이다. 한편, 상기 합계 압하율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조대 개재물이 미세화되지 않고, 휨 가공성이 오히려 열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박 강판의 제조 자체가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합계 압하율은 적어도 90% 정도는 필요하다.
또한, 강판 중의 개재물 입자의 총수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Al에 의해서 탈산한 킬드 강(killed steel)을 전로(轉爐) 또는 전기로에서 1차 정련 후, 취과(取鍋)에서 LF 법으로써 탈황하고, 이어서 진공 탈 가스(예컨대 RH 법)를 하는 것이 권장된다.
상기 이외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상기 용제 후, 통상적 방법에 따라서, 연속 주조에 의해 슬래브 등의 강편을 얻은 후, 1,100 내지 1,250℃ 정도로 가열하고, 이어서 열간 압연을 하여 (바람직하게는, 마무리 온도: Ar3점 이상에서 열간 압연을 종료), 권취한 후에 산세하고, 냉간 압연(냉연율은 약 30 내지 70%)하여 강판을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소둔 처리를 실시한다. 이 소둔 처리는, 예컨대 800 내지 1,000℃에서 5 내지 300초간 유지한 후, 600 내지 1,000℃(담금질 개시 온도)로부터, 급냉(예컨대 20℃/s 이상)으로 실온까지 냉각하고, 추가로 100 내지 600℃까지 재가열하여, 상기 온도 영역에서 0 내지 1,200초간 유지하는 템퍼링을 실시하여, 마르텐사이트 단일 조직을 얻는 것이 좋다.
본 제1발명 및 본 제2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둔 처리는, 하기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이나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을 얻는 경우에는, 예컨대 용융 아연 도금 라인에서 실시할 수 있다.
본 제1발명 및 본 제2발명에는, 냉연 강판 뿐만아니라, 냉연 강판에 용융 아연 도금을 실시하여 얻어지는 용융 아연 도금 강판(GI 강판)이나, 냉연 강판에 상기 용융 아연 도금을 실시한 후, 이것을 합금화 처리하여 얻어지는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GA 강판)도 포함된다. 이들 도금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내식성이 향상한다. 한편, 이들 도금 처리 방법이나 합금화 처리 방법에 관해서는,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조건을 채용하면 바람직하다.
본 제1발명 및 본 제2발명의 고강도 냉연 강판은, 자동차용 강도 부품, 예컨대 전면이나 후면부의 사이트 멤버나 클러쉬 박스 등의 충돌 부품을 비롯하여, 센터 필러 레인포스 등의 필러류, 루프레일 인포스, 사이드 실, 플로어 멤버, 킥 부 등의 차체 구성 부품, 시트 부품 등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본 제1발명 및 본 제2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물론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라, 전?후기의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을 가하여 실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고, 그들은 어느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본 제1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화학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강을 용제했다. 구체적으로는, 전로로 일차 정련 후, 취과로써 탈황을 실시했다. 또한, 필요에 의해 취과 정련 후에 진공 탈 가스(예컨대 RH 법)처리를 실시했다. 그 후, 통상적 방법에 의해 연속 주조를 실시하여 슬래브를 수득했다. 그리고 열간 압연, 통상적 방법으로 산세하고, 냉간 압연을 순차로 실시하여, 판 두께 1.6mm의 강판을 수득했다. 이어서, 연속 소둔을 실시했다. 연속 소둔으로서는, 780 내지 830℃에서 180초 유지 후에 실온까지 급냉하고, 추가로 350℃까지 재가열하고, 동 온도에서 100초 유지하여 과시효 처리를 하여, 강 조직을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복합 조직으로 했다. 한편, 열간 압연에 있어서의 약 1,000℃ 이하의 온도 영역에서의 압하율과 냉간 압연시의 압하율의 합계 압하율은 표 2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또한, 열간 압연의 조건은 이하의 대로이다.
(열간 압연)
가열 온도: 1,250℃
마무리 온도: 880℃
권취 온도: 550℃
마무리 두께: 2.6 내지 3.2mm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여 수득된 강판(강대(鋼帶))으로부터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조직의 관찰이나 특성의 평가를 실시했다.
(개재물군의 측정)
시험편의 채취 위치는, 강대의 압연 방향은 임의이며, 판 폭 방향은 w/8, w/4, w/2, 3w/4, 7w/8 (w: 판 폭) 위치의 각 위치에서, 압연면의 크기 30mm 각의 시험편을 각 3장 채취하고, 압연면(ND 면)을 표면으로부터 0.1t(t: 판 두께)까지, 10㎛ 피치로 연삭하고, 그 때마다(1O㎛m 연삭 마다), 광학 현미경(배율 1OO배)으로써 육안 관찰하여, 개재물의 위치를 확인하고, 규정 개재물군(상술한 n차 개재물군이며, 상기 개재물군의 2개의 최외 입자의 강판 압연 방향에서의 최외 표면간 거리가 80㎛ 이상인 것)의 개수를 계측하고, 관찰 면적당 수량을 산출하여 압연면 100cm2당으로 환산했다. 그 결과(규정 개재물군의 개수 밀도)를 표 2에 나타낸다.
(마이크로 조직의 관찰)
1.6mm×20mm×20mm의 시험편을 잘라내고, 압연 방향과 평행한 단면을 연마하여, 레벨러 부식을 한 후, t(판 두께)/4 위치를 측정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광학 현미경에 의해, 약 80㎛×60㎛의 측정 영역을 배율 1,000배로 관찰했다. 한편, 측정은 임의의 5시야에 대하여 실시했다. 그 조직 구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인장 특성의 평가)
인장 강도(TS)는, 강판의 압연 방향에 수직인 방향과 시험편의 긴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JIS 5호 인장 시험편을 강판으로부터 채취하여, JIS Z 2241에 의해서 측정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장 강도 780MPa 이상의 것을 고강도라고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참고를 위해, 강판의 항복 강도(YS)도 표 2에 나타냈다.
(휨 가공성의 평가(규정 개재물군 기인의 휨 균열율의 측정))
절첩 양식 휨 가공을, 합계 시험 편수: 1,000장에 대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실시하고, 균열이 발생한 시험편에 대하여, 균열 기점의 단면부(판 두께 방향)를 SEM 및 EDX에서 관찰하여, 규정 개재물군의 유무를 확인했다. 한편, 균열 기점이 된 규정 개재물군은, 어느 것이나 O.1t 이내에 존재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규정 개재물군 기인의 휨 균열율(%)을, 10O×(휨 가공에서 파단한 시험편이며 규정 개재물군이 존재한 시험편의 수)/(합계 시험편 수 = 1,000장)로 구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く절첩 양식 휨 가공 조건)
가공 기기: 아이다 엔지니어링(주)제 NC1-80(2)-B
가공 스피드: 40(S.P.M. 스트로크/분)
클리어런스: 판 두께+O.1mm
금형 펀치 반경: 재료의 한계 휨 반경(R/t)+0.5/t
(R: 금형 반경(mm), t: 시험편 판 두께(mm))
펀치 각도: 90°
시험편 크기: t×80mm 이상(W)×30mm(L)
(L과 강대의 압연 방향이 평행)
휨 방향: 시험편 압연 방향과 휨 능선이 평행
시험 수 및 시험 위치: 강대의 긴 방향: 임의 위치로 하여, 판 폭 방향에서 w/8, w/4, w/2,3 w/4,7 w/8(w:판 폭)의 위치에 있어서 각 200장, 합계 1000장
<상기 한계 휨 반경의 도출>
예컨대 2.0mm, 1.5mm, 1.0mm와 같이 다른 휨 반경으로 하기의 요령에 의해 휨 가공을 실시하여, 휨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최소 휨 반경을 한계 휨 반경으로 했다.
?절첩 양식 휨 가공
?측정 위치 및 시험 수: w/4위치, 각 휨 반경으로 2장
?다른 조건은 상기와 같음.
Figure 112010020300662-pat00012
Figure 112010020300662-pat00013
표 1, 2로부터 다음과 같이 고찰할 수 있다. No. 1, 3, 7, 10, 및 12 내지 20은, 본 제1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고 있기 때문에, 규정 개재물군 기인의 휨 균열이 작고, 휨 가공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No. 2, 8, 및 11은, 개재물군의 밀도가 높고, 휨 가공성이 뒤떨어지고 있다. 이것은, 제조 공정에 있어서 약 1,000℃에서 실온까지의 압하시의 압하율을 권장되는 범위 내로 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No.4는, C량이 모자라기 때문에, 고강도 강판이 얻어지지 않았다. No.5는, S량이 과잉이기 때문에, 규정 개재물군이 많아져, 휨 가공성이 뒤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No.6은 Al량이 과잉이기 때문에, 또한 No.9는 Ca량이 과잉이기 때문에, 어느 것이나 규정 개재물군이 많아져, 휨 가공성이 뒤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2
본 제2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표 3에 나타내는 화학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강을 용제했다. 구체적으로는, 전로 또는 전기로에서 일차 정련 후, 취과로써 탈황을 실시했다. 또한, 필요에 의해 취과 정련 후에 진공 탈 가스(예컨대 RH법) 처리를 실시했다. 그 후, 통상적 방법에 의해 연속 주조를 실시하여 슬래브를 수득했다. 그리고, 열간 압연, 통상적 방법으로 산세, 냉간 압연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판 두께 1.6mm의 강판을 수득했다. 다음으로, 연속 소둔을 실시했다. 연속 소둔으로서는, 표4 에 나타내는 소둔 온도에서 180초 유지 후, 표 4에 나타내는 담금질 개시 온도까지 냉각 속도 10℃/초로 냉각하고, 이어서 담금질 개시온도로부터 실온까지 급냉(냉각 속도 20℃/초 이상으로 냉각)하고, 또한 표 4에 나타내는 템퍼링 온도까지 재가열하여, 상기 온도에서 100초 유지하여 마르텐사이트 단일 조직을 수득했다. 한편, 열간 압연에 있어서의 약 950℃ 이하의 온도 영역에서의 압하율과 냉간 압연시의 압하율의 합계 압하율은, 표 4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또한, 열간 압연의 조건은 실시예 1과 같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하여 수득된 강판(강대)으로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조직의 관찰이나 특성의 평가를 실시했다.
(개재물군의 측정)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했다. 그 결과(규정 개재물군의 개수 밀도)를 표 4에 나타낸다.
(마이크로 조직의 관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했다. 그 결과, 어느쪽의 예도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95면적% 이상의 마르텐사이트 단일 조직이었다.
(인장 특성의 평가)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했다. 실시예 2에서는, 인장 강도 880MPa 이상의 것을 고강도라고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참고를 위해, 강판의 항복 강도(YP), 신도(EL)도 표 4에 나타내고 있다.
(휨 가공성의 평가(개재물 기인의 휨 균열율 측정))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0020300662-pat00014
Figure 112010020300662-pat00015
표 3, 4로부터 다음과 같이 고찰할 수 있다. No. 1, 3, 5 내지 9, 11, 13, 15, 18 내지 24, 26, 27은 본 제2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고 있기 때문에, 개재물 기인의 휨 균열율이 작고, 휨 가공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No. 2, 4, 10, 12, 14, 16, 17, 25는 개재물군의 밀도가 높고, 휨 가공성이 뒤떨어지고 있다. 이것은,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약 950℃에서 실온까지의 압하시의 압하율을 권장되는 범위 내로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Claims (13)

  1. 강의 성분이,
    C: 0.05 내지 0.3%(질량%의 의미. 성분에 대해 이하 동일),
    Si: 0% 초과 3.0% 이하,
    Mn: 1.5 내지 3.5%,
    P: 0.1% 이하,
    S: 0.05% 이하, 및
    Al: 0.005% 이상 0.15% 이하
    를 만족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강 조직이, 페라이트 조직과,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포함하는 제2상을 포함하는 복합조직이고, 또한
    강판의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O.1) 깊이까지의 표층 영역에 있어서,
    하기에 나타내는 n회째의 판정으로 정해지는 n차 개재물군이고, 이 개재물군의 2개의 최외 입자의 강판 압연 방향에서의 최외 표면간 거리가 80㎛ 이상인 것이, 압연 면 100cm2당 12O개 이하인 냉연 강판.
    (n 회째의 판정)
    n-1차 개재물군(n은 1이상의 정수, n=1의 경우, O차 개재물군은 개재물 입자를 말한다)과, 근접하는 1 이상의 x차 개재물군(x=O~n-1, n은 1 이상의 정수, O차 개재물군은 개재물 입자를 말한다)으로 이루어지고, 이 n-1차 개재물군과 x차 개재물군의 최근접 입자의 최소 표면간 거리(λ)가 , 하기 식 (1-1)을 만족하고, 또한 60㎛ 이하인 개재물군을 「n차 개재물군」이라고 한다.
    Figure 112012035717897-pat00016

    [식 (1-1)에 있어서,
    λ: n-1차 개재물군과 x차 개재물군의 최근접 입자의 최소 표면간 거리(㎛)
    σy: 강판의 항복 강도(MPa)
    d1: n-1차 개재물군의, 강판 압연 방향의 입자 직경(n=1의 경우) 또는 2개의 최외 입자의 강판 압연 방향에서의 최외 표면간 거리(n≥2의 경우)(㎛)
    d2: x차 개재물군의, 강판 압연 방향의 입자 직경(x=0의 경우) 또는 2개의 최외 입자의 강판 압연 방향에서의 최외 표면간 거리(x≥1의 경우)(㎛)]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다른 원소로서, Cr: 0% 초과 1% 이하 및 Mo: 0% 초과 0.5%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를 함유하는 냉연 강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다른 원소로서,
    Ti: 0% 초과 0.2% 이하,
    V: 0% 초과 0.2% 이하, 및
    Nb: 0% 초과 0.3% 이하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를 함유하는 냉연 강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다른 원소로서, Cu: 0% 초과 0.5% 이하 및 Ni: 0% 초과 0.5%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를 함유하는 냉연 강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다른 원소로서,
    Ca: 0% 초과 0.010% 이하,
    Mg: 0% 초과 0.010% 이하, 및
    희토류 원소: 0% 초과 0.005% 이하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를 함유하는 냉연 강판.
  6. 제 1 항에 따른 냉연 강판에, 용융 아연 도금이 실시된 용융 아연 도금 강판.
  7. 제 1 항에 따른 냉연 강판에,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이 실시된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
  8. 강의 성분이,
    C: 0.12 내지 0.3%(질량%의 의미. 성분에 대해 이하 동일),
    Si: 0.5% 이하,
    Mn: 1.5 내지 3.0%,
    Al: 0.05% 이상 0.15% 이하,
    N: 0.001% 이상 0.01% 이하,
    P: 0.02% 이하, 및
    S: 0.01% 이하
    를 만족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강 조직이, 마르텐사이트 단일 조직이고, 또한,
    강판의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O.1) 깊이까지의 표층 영역에 있어서,
    하기에 나타내는 n회째의 판정으로 정해지는 n차 개재물군이고, 이 개재물군의 2개의 최외 입자의 강판 압연 방향에서의 최외 표면간 거리가 100㎛ 이상인 것이, 압연 면 100cm2당 12O개 이하인 냉연 강판.
    (n 회째의 판정)
    n-1차 개재물군(n은 1이상의 정수, n=1의 경우, O차 개재물군은 개재물 입자를 말한다)과, 근접하는 1 이상의 x차 개재물군(x=O~n-1, n은 1 이상의 정수, O차 개재물군은 개재물 입자를 말한다)으로 이루어지고, 이 n-1차 개재물군과 x차 개재물군의 최근접 입자의 최소 표면간 거리(λ)가 , 하기 식 (1-2)를 만족하고, 또한 60㎛ 이하인 개재물군을 「n차 개재물군」이라고 한다.
    Figure 112012035717897-pat00017

    [식 (1-2)에 있어서,
    λ: n-1차 개재물군과 x차 개재물군의 최근접 입자의 최소 표면간 거리(㎛)
    σy: 강판의 항복 강도(MPa)
    d1: n-1차 개재물군의, 강판 압연 방향의 입자 직경(n=1의 경우) 또는 2개의 최외 입자의 강판 압연 방향에서의 최외 표면간 거리(n≥2의 경우)(㎛)
    d2: x차 개재물군의, 강판 압연 방향의 입자 직경(x=0의 경우) 또는 2개의 최외 입자의 강판 압연 방향에서의 최외 표면간 거리(x≥1의 경우)(㎛)]
  9. 제 8 항에 있어서,
    추가로 다른 원소로서, Cr: 0% 초과 2.0% 이하 및 B: 0% 초과 0.01%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를 함유하는 냉연 강판.
  10. 제 8 항에 있어서,
    추가로 다른 원소로서,
    Cu: 0% 초과 0.5% 이하,
    Ni: 0% 초과 0.5% 이하, 및
    Ti: 0% 초과 0.2% 이하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를 함유하는 냉연 강판.
  11. 제 8 항에 있어서,
    추가로 다른 원소로서, V: 0% 초과 0.1% 이하 및 Nb: 0% 초과 0.1%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를 함유하는 냉연 강판.
  12. 제 8 에 따른 냉연 강판에, 용융 아연 도금이 실시된 용융 아연 도금 강판.
  13. 제 8 항에 따른 냉연 강판에,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이 실시된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
KR1020100028644A 2009-03-31 2010-03-30 휨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강판 KR101198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87408 2009-03-31
JP2009087407A JP5342911B2 (ja) 2009-03-31 2009-03-31 曲げ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JP2009087408A JP5342912B2 (ja) 2009-03-31 2009-03-31 曲げ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JPJP-P-2009-087407 2009-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503A KR20100109503A (ko) 2010-10-08
KR101198481B1 true KR101198481B1 (ko) 2012-11-06

Family

ID=42228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644A KR101198481B1 (ko) 2009-03-31 2010-03-30 휨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강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60800B2 (ko)
KR (1) KR101198481B1 (ko)
CN (1) CN101851732A (ko)
GB (1) GB247025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199B1 (ko) 2012-12-26 2014-10-08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0399B2 (ja) * 2007-09-25 2011-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防錆処理金属基材および金属基材表面の防錆法
CN102341518B (zh) * 2009-04-03 2013-04-10 株式会社神户制钢所 冷轧钢板及其制造方法
JP5883211B2 (ja) * 2010-01-29 2016-03-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77879B2 (ja) * 2010-02-26 2012-07-1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曲げ性に優れた超高強度冷延鋼板
JP5466576B2 (ja) * 2010-05-24 2014-04-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曲げ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BR112013016582A2 (pt) 2010-12-17 2016-09-27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chapa de aço galvanizado por imersão a quente e método de fabricação da mesma
BR112013022953B1 (pt) 2011-03-09 2019-03-19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Chapa de aço para o uso em estampagem a quente, bem como método para produção e uso da mesma
US9745639B2 (en) 2011-06-13 2017-08-29 Kobe Steel, Ltd. High-strength steel sheet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cold brittleness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2828119A (zh) * 2011-06-14 2012-12-19 鞍钢股份有限公司 高弯曲型980MPa级冷轧双相钢及其制备工艺
CN102953001B (zh) * 2011-08-30 2015-04-22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抗拉强度900MPa以上冷轧钢板及制造方法
CN102418044B (zh) * 2011-11-15 2013-11-06 攀钢集团研究院有限公司 一种钢球用钢及制造该钢球的方法
IN2014CN04908A (ko) * 2011-11-28 2015-09-18 Arcelormittal Lnvestigacion Y Desarrollo S L
CN108456832B (zh) * 2012-02-27 2021-02-02 株式会社神户制钢所 弯曲加工性优良的超高强度冷轧钢板及其制造方法
US10029294B2 (en) * 2012-03-30 2018-07-24 Kobe Steel,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hot-press formed steel-member, and the hot-press formed steel-member
KR101459837B1 (ko) * 2012-10-18 2014-11-10 주식회사 포스코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6017341B2 (ja) * 2013-02-19 2016-10-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曲げ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CN103397278A (zh) * 2013-07-01 2013-11-20 安徽三联泵业股份有限公司 多元低合金耐磨铸钢及其制备方法
CN103397264A (zh) * 2013-07-01 2013-11-20 安徽三联泵业股份有限公司 含铬、钼的低合金低温铸钢及其制备方法
CZ201458A3 (cs) * 2014-01-24 2015-09-02 Česká zemědělská univerzita v Praze Vysokobórová otěruvzdorná ocel pro součásti a nástroje
JP6224574B2 (ja) * 2014-12-10 2017-11-0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ホットスタンプ用鋼板、および該鋼板を用いたホットスタンプ成形部品
CN105543658A (zh) * 2015-12-28 2016-05-04 常熟市双灵船舶设备有限公司 船用单轮滑车
US10941471B2 (en) 2015-12-28 2021-03-09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steel sheet,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GB2546808B (en) * 2016-02-01 2018-09-12 Rolls Royce Plc Low cobalt hard facing alloy
GB2546809B (en) * 2016-02-01 2018-05-09 Rolls Royce Plc Low cobalt hard facing alloy
CN108699646B (zh) * 2016-02-18 2020-06-16 杰富意钢铁株式会社 高强度冷轧钢板及其制造方法
CN107381337A (zh) * 2017-09-22 2017-11-24 张家港沙工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起重机用吊钩
CN109055852B (zh) * 2018-10-22 2021-03-23 成都先进金属材料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冷作模具钢夹杂物控制方法
EP4137602A4 (en) * 2020-06-30 2023-03-29 JFE Steel Corporation GALVANIZED STEEL SHEET, ELEMENT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CN111926266A (zh) * 2020-08-14 2020-11-13 苏州利昇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抗干扰性能强的合金电阻及其制作方法
CN114058969B (zh) * 2021-11-16 2022-12-09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一种合金钢及其制备方法
CN114774628A (zh) * 2022-04-20 2022-07-22 包头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稀土Ce或La微合金处理C-Mn低温容器用钢的关键生产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5905A (ja) 2002-06-28 2004-02-05 Jfe Steel Kk 成形性に優れる超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2317A (ja) 1987-10-05 1989-04-11 Kobe Steel Ltd 伸びフランジ加工性の優れた高強度薄鋼板の製造方法
JPH0693340A (ja) 1992-09-14 1994-04-05 Kobe Steel Ltd 伸びフランジ性の優れた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設備
JP3840864B2 (ja) * 1999-11-02 2006-11-0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張力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87236B2 (ja) 2002-01-11 2007-02-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形状凍結性と耐衝突特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とその製造方法
BE1015018A3 (fr) 2002-07-02 2004-08-03 Ct Rech Metallurgiques Asbl Procede pour le traitement thermique d'une bande d'acier laminee a froid, procede de fabrication d'une bande d'acier adaptee au fromage et bande d'acier ainsi obtenue.
JP4306202B2 (ja) 2002-08-02 2009-07-29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張力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7591977B2 (en) * 2004-01-28 2009-09-22 Kabuhs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High strength and low yield ratio cold 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369267B2 (ja) 2004-03-23 2009-11-1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延性に富む冷延鋼板、熱延鋼板、及び鋳造鋼塊
US7887648B2 (en) 2005-12-28 2011-02-15 Kobe Steel, Ltd. Ultrahigh-strength thin steel sheet
JP5082451B2 (ja) 2006-01-24 2012-11-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深絞り性と延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冷延鋼板を用い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4461112B2 (ja) * 2006-03-28 2010-05-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
US20090277547A1 (en) * 2006-07-14 2009-11-12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High-strength steel sheets and processes for production of the same
JP4164537B2 (ja) * 2006-12-11 2008-10-1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強度薄鋼板
JP5466576B2 (ja) * 2010-05-24 2014-04-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曲げ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5905A (ja) 2002-06-28 2004-02-05 Jfe Steel Kk 成形性に優れる超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199B1 (ko) 2012-12-26 2014-10-08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005355D0 (en) 2010-05-12
GB2470252A (en) 2010-11-17
US8460800B2 (en) 2013-06-11
US20100247957A1 (en) 2010-09-30
GB2470252B (en) 2011-08-03
CN101851732A (zh) 2010-10-06
KR20100109503A (ko)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481B1 (ko) 휨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강판
KR101331328B1 (ko)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강판
KR102162777B1 (ko) 박 강판 및 도금 강판, 그리고,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 냉연 풀 하드 강판의 제조 방법, 박 강판의 제조 방법 및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KR101618477B1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748510B1 (ko) 베이킹 경화성과 저온 인성이 우수한 인장 최대 강도 980㎫ 이상의 고강도 열연 강판
KR101218530B1 (ko)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24859B1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91611B1 (ko)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
KR101621639B1 (ko) 강판, 도금 강판 및 그들의 제조 방법
KR102119373B1 (ko) 핫 프레스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핫 프레스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US20180037964A1 (e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FORMABILITY AND COLLISION CHARACTERISTICS AND HAVING TENSILE STRENGTH OF 980 MPa OR MO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597058B1 (ko) 냉연 강판
EP2256224A1 (en)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high-strength alloyed hot-dip galvanized sheet, and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which excel in moldability and weld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80095710A (ko) 고강도 아연 도금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46857B1 (ko) 용융 도금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433938B1 (ko) 고강도 냉연강판, 고강도 도금강판 및 그것들의 제조방법
EP2816129B1 (en) Cold-rolled steel sheet, plat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20056549A1 (en) Steel sheet, member,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m
JP6699307B2 (ja) 熱延鋼板とその製造方法
KR102513347B1 (ko) 고강도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JPWO2020026593A1 (ja) 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41086B2 (ja) 量産打抜き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62785B1 (ko) 박 강판 및 도금 강판, 그리고,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 냉연 풀 하드 강판의 제조 방법, 박 강판의 제조 방법 및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
KR102263119B1 (ko)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6157257A1 (ja)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