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426B1 - 동백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동백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426B1
KR101196426B1 KR1020080116511A KR20080116511A KR101196426B1 KR 101196426 B1 KR101196426 B1 KR 101196426B1 KR 1020080116511 A KR1020080116511 A KR 1020080116511A KR 20080116511 A KR20080116511 A KR 20080116511A KR 101196426 B1 KR101196426 B1 KR 101196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extract
camellia
obesity
b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7460A (ko
Inventor
정경희
양익준
송현우
윤수경
김덕송
유은혜
정다화
강기운
김영민
최미승
박근형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Priority to KR1020080116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426B1/ko
Publication of KR20100057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백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억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종래 동백나무에서 이용되던 잎, 종실, 나무와 달리 활용 용도가 없었던 동백꽃봉오리를 이용한 비만억제 활성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또는 의약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동백꽃봉오리, 비만억제

Description

동백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obesity comprising Camellia japonica bud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동백꽃봉오리 추출물을 이용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또는 의약에 관한 것이다.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는 동백나무과(Theaceae) 동백속(Camelliae)에 속하는 활엽상록수로 주로 관상수와 같은 원예자원으로, 종실은 고품질 지방이 함유되어 있어 전통적으로 식용유와 화장유의 원료로, 줄기는 고급 숯의 원료로 각각 이용되어 왔다.
높이는 약 7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다. 4월쯤 붉은색 또는 흰색의 큰 꽃이 가지 끝마다 아름답게 피고 열매는 삭과(果)로 늦가을에 붉게 익는다. 열매는 약용하거나 기름을 짜서 머릿기름, 등잔 기름 따위로 쓰고 목재는 공예의 재료로 사용한다. 따뜻한 지방의 해안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동백잎은 차나무가 없는 지역에서는 예로부터 어린잎을 차의 재료로 사용하였고, 동백나무의 종실은 40% 정도가 올레인산, 팔미틴산, 리놀산, 그리고 소량의 스테롤과 토코페롤이 포함된 오일로 채워져 있으며, 종실에서 추출한 동백기름은 맛 뿐 아니라 지방산이 78.6%나 함유 돼 있어 성인 병 예방과 노화방지 등에 탁월한 효능을 갖고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 볶지 않고 그대로 짜서 얻은 동백유를 환부에 발라 상처 치유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삭제
또한 동백꽃은 사찰에서 화전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기도 하였고, 건조된 꽃잎을 토혈과 같은 증상에 처방하거나 이뇨작용을 위해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동백은 예로부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였고, 근래 기능성차 및 화장품원료와 오일 등으로 개발된 바 있으나, 지금까지는 잎이나 종실을 이용한 것으로 나머지 부위에 대한 성분분석이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근래 동백의 유효 기능성분을 이용한 배경기술로는 다음과 같은 문헌기술들이 있는 실정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동백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의 비만억제용 조성물은 동백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만억제용 조성물에서 동백꽃봉오리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동백꽃봉오리 추출물은 3T3-L1 아지방 세포의 분화 과정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 형성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백꽃봉오리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은 동백잎 추출물 보다 항비만 효과가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제조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동백꽂봉오리 추출물 제조
본 실험에 사용된 동백(Camellia japonica)은 전라남도 장흥군 천관산 천연동백림에서 자생하는 동백나무에서 2007. 3. 14. 과 2007. 4. 11. 각각 채취한 꽃봉오리를 동결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삭제
동결건조된 동백꽃봉오리 36.7 g (fresh wt. 100 g eq.)을 극성이 다른 다양한 용매인 노르말헥산(n-hexane), 클로로포름(CHCl3), 에틸아세테이트(EtOAc), 에탄올(EtOH), 메탄올(MeOH)로 각각 추출하였다. 즉, 동결 건조된 동백꽃봉오리에 각각의 용매 500 mL를 넣고 균질기(homogenizer;BM-2 Nissei bio-mixer, Nihonseiki Kaiseiki Ltd., Japan)로 마쇄한 다음, 상온에서 24시간 침지한 후 그라스필터(glass filter;G3)로 여과하여 여액과 잔사를 분리하였고, 이 잔사를 같은 용매로 2회 반복하여 추출여과하였다.
삭제
열수 추출은 동백꽃봉오리 36.7 g (fresh wt. 100 g eq.)을 취하여 분쇄기 (후드믹서, 동양산업, Korea)로 분쇄한 후 90℃의 물 1.5 L로 30분간 추출하였고, 추출물을 그라스필터(G3)로 여과하여 여액과 잔사를 분리하였다.
얻어진 추출 여액들은 냉각흡입기(cooling aspirator;CA-111, Eyela, Tokyo, Japan)가 장착된 진공농축기(vacuum evaporator;N-2N, Eyela, Tokyo, Japan)를 사용하여 35℃에서 감압 농축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얻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동결건조한 동백꽃봉오리 36.7 g (fresh wt. 100 g eq.)을 각 용매로 추출하여 노르말헥산 추출물 (0.36 g/100 g eq.), 클로로포름 추출물 (0.85 g/100 g eq.),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0.84 g/100 g eq.), 에탄올 추출물 (12.93 g/100 g eq.), 메탄올 추출물 (17.08 g/100 g eq.) 및 열수추출물 (21.13 g/100 g eq.)을 얻었다(표 1).
Solvent Yield (%)
Hot water 21.1
MeOH 17.0
EtOH 12.9
EtOAC 0.8
CHCl 3 0.8
n -Hexane 0.4
실험예 1: 용매별 동백꽃봉오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제조예 1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DPPH 활성측정법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Abe등[Abe, N., Nemoto, A., Tsuchiya, Y., Hojo, H. and Hirota, A. 2000. Studies of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mechanism for a 2-pyrone compound. Biosci. Biotech. Biochem., 64: 306-333. ]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료의 농도에 따른 DPPH (최종농도, 100 )활성측정곡선으로부터 50%의 DPPH radical-scavenging 농도(SC50)값을 구한 결과, 도 1과 같이 노말헥산(n-hexane) 추출물과 클로로포름 추출물은 250 ㎍/mL이상, 에틸아세테이트(EtOAc) 추출물이 42 ㎍/mL, 에탄올(EtOH) 추출물이 32 ㎍/mL, 메탄올(MeOH) 추출물이 30 ㎍/mL, 열수추출물이 28 ㎍/mL로 나타나, 열수 추출물 > MeOH 추출물 EtOH 추출물 > EtOAc 추출물 > CHCl3 추출물 > n-hexane 추출물 순으로 높은 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삭제
삭제
삭제
제조예 2: 동백꽂봉오리 용매 분획물의 제조
도 2의 용매 분획물 제조 흐름도와 같이 동결건조된 동백꽃봉오리 1.46 kg (fresh wt. 3.0 kg eq.)을 열수로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어진 상등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용매분획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산성 획분(14.2 g)과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중성 획분(20.1 g)을 얻었다.
실험예 2: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제조예 2의 각 획분을 대상으로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을 검정한 결과, 아래 표 4와 같이 SC50은 EtOAc 가용 산성 획분이 6 /mL, EtOAc 가용 중성 획분이 4 /mL, 그리고 a-tocopherol은 8 /mL로 나타났다(도 3).
이들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획분의 항산화 활성은 강한 항산화 활성물질로 알려진 a-토코페롤(tocopherol)의 활성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동백꽃봉오리 열수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중성 획분 및 산성 획분에 다수 혹은 다량의 항산화 물질이 존재함이 시사되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험예 3: 동백꽃봉오리 열수추출물의 비만억제 활성
제조예 1의 동백꽃봉오리 열수 추출물에 의한 항비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3T3-L1 아지방 세포를 이용하여 오일 레드-O 스테이닝(Oil red-O staining)을 통해 지방형성의 억제 여부을 확인하였다.
삭제
0.7g 오일레드-O(sigma# O-0625,FW 408.5)를 200ml의 이소프로판올에 녹여서 저장 용액을 만들고 60% 저장 용액과 40% 증류수를 혼합하여 실험용액을 만들었다. 배지를 제거한 후 PBS로 세포를 씻고 10% 포름알데이드 1ml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방치시켰다. 포름알데이드를 제거하고 60% 이소프로판올로 씻고 말린 후, 실험용액에 넣고 1시간 염색한 후 증류수로 4회 반복해서 씻어낸 후 관찰하였다.
삭제
삭제
상기 3T3-L1 아지방 세포의 분화과정을 관찰결과 3T3-L1 세포에 동백꽃봉오리 추출물 (Camellia japonica buds extract)을 50, 100, 250, 500 ㎍/ml (추출물 건조중량) 씩을 각각 처리한 후 oil red O staining을 통하여 지방 형성이 억제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도 5와 같이 음성대조군(control)과 비교하였을 때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캡사이신(capsaicin)에서는 지방 형성이 약하게 저해되었고 동백꽃봉오리 추출물을 처리한 것은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 형성이 뚜렷하게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삭제
삭제
동백꽃봉오리 열수추출물과의 비교를 위하여 3T3-L1 세포에 동백잎 추출물 (Camellia japonica flower extract)을 50, 100, 250, 500 ㎍/ml (추출물 건조중량) 씩을 각각 처리한 후 오일레드-O 염색을 통하여 지방 형성이 억제되는지를 확인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동백잎 추출물은 음성대조군(control)에 비해 지방 형성을 저해시켰으나 동백꽃봉오리 열수추출물에 비해 그 효과가 미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제조예 1의 다양한 용매의 동백꽃봉오리 추출물의 DPPH 라디칼제거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α-tocopherol; ■-■, hot water extract; ▲-▲, methanol extract; ◆-◆, ethanol extract; ●-●, ethyl acetate extract; □-□, chloroform extract; △-△, n-hexane extract).
도 2는 제조예 2의 동백꽃봉오리 용매 분획물의 제조 흐름도이다.
도 3은 제조예 2의 동백꽃봉오리 용매 분획물의 DPPH 라디칼제거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에틸아세테이트 중성획분; ▲-▲, 에틸아세테이트 산성획분, ●-●, α-tocopherol).
도 4는 3T3-L1 아지방 세포의 분화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제조예 1의 동백꽃봉오리 열수추출물과 음성대조군(control), 양성대조군(capsaicin)의 오일레드-O 염색으로 확인한 지방 세포의 사진이다.
도 6은 동백잎 추출물과 음성대조군(control), 양성대조군(capsaicin)의 오일레드-O 염색으로 확인한 지방 세포의 사진이다.

Claims (5)

  1. 동백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116511A 2008-11-21 2008-11-21 동백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KR101196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511A KR101196426B1 (ko) 2008-11-21 2008-11-21 동백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511A KR101196426B1 (ko) 2008-11-21 2008-11-21 동백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460A KR20100057460A (ko) 2010-05-31
KR101196426B1 true KR101196426B1 (ko) 2012-11-01

Family

ID=42281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511A KR101196426B1 (ko) 2008-11-21 2008-11-21 동백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4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884B1 (ko) 2013-03-07 2019-09-03 (주)아모레퍼시픽 꽃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34162B1 (ko) * 2017-11-30 2020-07-15 제주동백 주식회사 동백꽃 추출물 분말을 포함하는 초콜릿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440B1 (ko) 2002-08-19 2005-10-25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자생 식물로부터 얻은 비만 및 당뇨병 치료 추출물
JP2008163002A (ja) 2006-12-08 2008-07-17 Bhn Kk 肥満予防改善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440B1 (ko) 2002-08-19 2005-10-25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자생 식물로부터 얻은 비만 및 당뇨병 치료 추출물
JP2008163002A (ja) 2006-12-08 2008-07-17 Bhn Kk 肥満予防改善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전남대학교 대학원*
논문2:KOREAN J. PLANT. 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460A (ko) 201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0577B2 (ja) クローディン産生促進剤及びオクルディン産生促進剤
KR101661688B1 (ko)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증상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0404B1 (ko)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196426B1 (ko) 동백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US10827774B2 (en) Method for preparing food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s beneficial for liver and food prepared thereby
CN113854458A (zh) 一种桑叶固体速溶饮料、中间体及其制备方法
KR20100111463A (ko) 인동초 추출액을 이용한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
KR20110092673A (ko) 혈압강하용 식이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047638A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기능성 쌈두부 또는 전두부
KR101996466B1 (ko) 녹차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 배즙의 제조방법
KR100909574B1 (ko) 권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유 라디칼 소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12559B1 (ko)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2545718B1 (ko) 갯질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세포재생용 조성물
KR20140147471A (ko) 오미자씨유의 제조방법
KR101594034B1 (ko) 덤불쑥, 알꽈리 및 동백나무잎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피부알러지, 항염증및 노인성 체취 제거용 조성물
KR101835661B1 (ko)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가려움 완화와 피부염 예방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993709B1 (ko)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황칠나무, 헛개나무, 운지버섯, 인진호 및 미나리 혼합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684869B1 (ko)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 함유 목욕용제
KR102651339B1 (ko) 유해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피지선 증식 억제를 통해 여드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
KR102630363B1 (ko) 녹용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10223265A1 (en) Antioxidant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processed chrysanthemum indicum or citrus unshiu peel
KR101682458B1 (ko)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3856B1 (ko) 포졸란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KR20150140620A (ko) 대추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3561B1 (ko) 건강보조식품과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