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759B1 - 해상 부두 장치 - Google Patents

해상 부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759B1
KR101194759B1 KR1020090134962A KR20090134962A KR101194759B1 KR 101194759 B1 KR101194759 B1 KR 101194759B1 KR 1020090134962 A KR1020090134962 A KR 1020090134962A KR 20090134962 A KR20090134962 A KR 20090134962A KR 101194759 B1 KR101194759 B1 KR 101194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container
mobile taxi
sea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8212A (ko
Inventor
서남표
장순흥
곽병만
김수현
박철
이인
임춘택
김종우
장지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134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759B1/ko
Publication of KR20110078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horizontal transit by bridges equipped with convey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6Qu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4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cars or linked car-trains with individual load-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부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지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해상의 특정 지점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선박 또는 이동택시 선박이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을 위해 해상에 정박할 수 있게 하는 해상 부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두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바다 위에,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을 위해 컨테이너 선박 또는 이동택시 선박을 고정시키는 고정시설 및 상기 고정시설의 동작을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 등을 포함하는 해상 부두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컨테이너 선이 부두로 입항할 필요없이 해상에서 신속하고 원활하게 선적 및 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134962
이동항구, 이동택시, 레일, 견인 트레인, 해상 부두 장치, 부유체

Description

해상 부두 장치{APPARATUS FOR WHARF ON THE SEA}
본 발명은 해상 부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지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해상의 특정 지점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선박 또는 이동택시 선박이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을 위해 해상에 정박할 수 있게 하는 해상 부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컨테이너 선이 항상 고정된 항구로 입항하여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을 수행해 왔다. 이렇게 고정된 항구로 입항해야 함에 따라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컨테이너 선이 다수의 경유지를 가진 경우, 다음 기착지로의 신속한 이동이 어려웠고, 대형 선박이 입항함에 따라 항구의 적체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컨테이너 전용 부두를 가지지 않은 작은 항구에서는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 방법에서도 하역 완료 후 선적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여 선적 및 하역 효율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부두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바다 위에,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을 위해 컨테이너 선박 또는 이동택시 선박을 고정시키는 고정시설 및 상기 고정시설의 동작을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 등을 포함하는 해상 부두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컨테이너 선이 부두로 입항할 필요없이 해상에서 신속하고 원활하게 선적 및 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육지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해상의 특정 지점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선박 또는 이동택시 선박이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을 위해 해상에 정박할 수 있게 하는 해상 부두 장치는,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을 위해 컨테이너 선박 또는 이동택시 선박을 고정시키는 고정시설; 상기 고정시설의 동작을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 및 이동택시 선박을 견인하여 이동시키는 견인 트레인이 탑재되고, 레일 지지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어 해상정박 장소와 육상항구 간에 상기 견인 트레인의 이동 루프를 형성하는 레일을 포함한다.
삭제
상기 레일은, 해저 또는 해수면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견인 트레인은, 상기 이동택시 선박과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이동택시 선박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동택시 선박을 견인할 수 있다.
상기 견인 트레인은, 상기 이동택시 선박을 탑재하고, 레일 위에서 이동하며 상기 이동택시 선박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해상 부두 장치는, 상기 레일 위에 설치되어 구동됨으로써 상기 견인 트레인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육상항구 위의 동력전달장치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육지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해상의 특정 지점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선박 또는 이동택시 선박이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을 위해 해상에 정박할 수 있게 하는 해상 부두 장치는,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을 위해 컨테이너 선박 또는 이동택시 선박을 고정시키는 고정시설; 상기 고정시설의 동작을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 컨테이너 선박과 이동택시 선박 간에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 수행을 위해, 컨테이너의 임시하역장소(buffer)로 사용되는 부유체; 및 상기 부유체 위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선박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거나 컨테이너 선박으로 컨테이너를 선적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크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해상 부두 장치가 둘 이상의 부유체들을 구비할 경우, 상기 부유체들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하부연결장치를 더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부두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바다 위에,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을 위해 컨테이너 선박 또는 이동택시 선박을 고정시키는 고정시설 및 상기 고정시설의 동작을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 등을 포함하는 해상 부두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컨테이너 선이 부두로 입항할 필요없이 해상에서 신속하고 원활하게 선적 및 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기반 이동택시 장치의 일 실시예(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레일 기반 이동택시 장치(100)는, 육상항구(부두)와 해상의 일 지점에 설치된 해상정박 장소 사이의 바다(10)에서 컨테이너(20)를 싣고 운반하는 이동택시 선박(110), 그 이동택시 선박(110)을 견인하여 이동시키는 견인 트레인(120), 견인 트레인이 이동하는 해저 레일(130)과 레일을 지지하는 레일 지지 구조물(150) 및, 레일 위에 설치되어 견인 트레인(120)을 구동하는 컨베이어 벨트(14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택시 선박(110)은, 해상정박 장소에 정박한 컨테이너 선박에 선적할 컨테이너를 육상항구로부터 해상정박 장소로 운반하거나, 또는 컨테이너 선박으로부터 하역한 컨테이너를 해상정박 장소로부터 육상항구로 운반한다. 종래 개시된 이동항구 시스템에서는 이동택시 선박을, 스스로 해상에서 운행하는 독립적인 선박으로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동택시 선박은 대양을 항해하는 컨테이너 선박과 같이 대형 선박이 아니므로, 해상의 날씨, 즉, 바람 또는 파도 등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컨테이너 운반을 불안정하게 할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경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에 설치된, 육상항구와 해상정박 장소 사이의 루프(loop) 형태의 레일(130) 위를 이동하는 견인 트레인(120)이, 해상의 이동택시 선박(110)을 견인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이동택시 선박(110)이 날씨 등의 환경에 크게 영향받지 않고 안정된 운항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견인 트레인(120)은, 레일(130) 위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140)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게 되며, 견인 트레인(120)과 이동택시 선박(110)은 연결부재(160)에 의해 연결된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모노레일(mono rail)을 이용한 이동택시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본 도면의 실시예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 트레인(120)은 해저에 설치된 하나의 레일(mono rail)(130) 위를 이동하되, 이동택시 선박(1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한대씩 설치되어, 두 대의 견인 트레인(120)이 이동택시 선박(110)을 견인하게 된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듀얼레일(dual rail)을 이용한 이동택시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본 도면의 실시예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 트레인(120)은 해저에 설치된 레일(130) 위를 이동하되, 레일(130)은 두 개의 라인이 설치되며(dual rail), 견인 트레인(120)은 각 레일(130)마다 이동택시 선박(1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한대씩 설치되어, 네 대의 견인 트레인(120)이 이동택시 선박(110)을 견인하게 된다. 이 경우 레일 설치 비용 및 이동택시 선박 비용이 증가하나, 모노레일의 경우보다 더욱 안정적인 견인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이동택시 장치(100)의 레일(130) 및 컨베이어 벨트(140)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트레인 고정바퀴(121)는 견인 트레인(120) 내부에 부착된 바퀴로서, 컨베이어 벨트(140) 위에 견인 트레인(120)을 고정시킨다. 레일 구조물(150) 위에 설치된 레일 빔(130)은 정면에서 본 형상은 'I' 자형으로서, 해상정박 장소와 육상항구 사이에서 루프 형태로 설치되게 된다. 컨베이어 벨트(140)는 이러한 레일(130) 위에서 회전하며 견인 트레인(120)을 이동시킨다. 컨베이어 벨트 고정바퀴(123)는 컨베이어 벨트(140)가 레일(130) 위에서 회전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컨베이어 벨트(140)는 세 가지의 작동 모드로서 작동할 수 있다.
첫째는 견인모드이다. 이 경우는 견인 트레인(120)을 레일(130) 루프 위에서 이동시키는 모드이다. 즉, 견인 트레인(12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동력바퀴(122)를 정지시켜 놓으면, 동력바퀴(122)는 컨베이어 벨트(140)와 접촉하고 있으므로 루프를 따라 회전하고 있는 컨베이어 벨트(140)를 따라 견인 트레인(120)이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견인 트레인(12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트레인 안내바퀴(124)는 견인 트레인(120)이 진행할 수 있도록 견인 트레인(120)의 이동에 따라 자유회 전하게 된다.
둘째는 정지모드이다. 이 경우는 견인 트레인(120)이 정지되어 있는 모드이다. 즉, 동력바퀴(122)는 컨베이어 벨트(140)와 접촉하고 있으므로, 루프를 따라 회전하고 있는 컨베이어 벨트(140)를 따라 견인 트레인(120)이 이동하지 않도록, 컨베이어 벨트(14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동력바퀴(122)를 자유회전시켜줌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40)를 흘려 보내고, 이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140)의 회전과 상관없이 견인 트레인(120)은 정지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는 트레인 안내바퀴(124)도 정지상태에 있게 된다.
세째는 발전모드이다. 정지모드에서와 같이, 루프를 따라 회전하고 있는 컨베이어 벨트(140)에 의해, 그에 접촉하고 있는 동력바퀴(122)도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동력바퀴(122)의 회전을 발전에 이용하게 된다.
견인 트레인의 전기동력은 이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로 발전하여 얻을 수도 있으나, 해저에 설치된 급전장치로부터 비접촉 자기유도 방식으로 얻을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기반 이동택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견인 트레인(120)이 이동하는 레일이 해저에 설치되었으나, 도 5의 실시예의 경우는 레일(130)이 해수면(10) 위에 설치된다. 해저 레일 방식에 비해 레일을 지지하는 해저 레일 구조물(150) 비용이 증가하나, 레일(130)과 견인 트레인(120)의 건조 및 이에 따른 부식방지에 유리하고, 또한 견인 트레 인(120)을 이동시킬 때 바닷물의 저항을 피할 수 있게 되므로 컨베이어 벨트(140) 구동에 의한 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있어서, 듀얼레일(dual rail)을 이용한 이동택시 장치(200)의 정면도이다.
도 1의 경우와 달리 레일(130)이 해수면(10) 위로 올라와 있으므로, 모노레일의 경우는 이동택시 선박(110)의 이동 경로에 돌출되어 있게 되어 사용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도 3의 경우와 같이 듀얼레일을 이용하여 네 대의 견인 트레인(120)이 이동택시 선박(110)을 견인하게 된다. 이때 이동택시 선박(110)을 위로 끌어올려 파도에 의한 영향을 최대한 받지 않도록 견인 트레인(120)을 제어하거나, 파도에 의한 요동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견인 트레인(120)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기반 이동택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해수면(10) 위에 레일(130)을 가설하고 컨베이어 벨트(140)를 설치하며, 그 위에서 이동하는 견인 트레인(120)이 이동택시 선박(110)을 탑재하고 견인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견인 트레인(120)이 받는 하중은 매우 크지만, 바람과 파도 등에 대한 안정성은 크게 향상되게 된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있어서, 듀얼레일(dual rail)을 이용한 이동택시 장 치(300)의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도면의 경우에도 레일(130)이 해수면 (10)위로 올라와 있으므로, 모노레일의 경우는 이동택시 선박의 이동 경로에 돌출되어 있게 되어 사용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듀얼레일을 이용하여 네 대의 견인 트레인(120)이 이동택시 선박(110)을 견인하게 된다.
도 9는 해상정박 장소(500) 및 육상항구(600)와, 이를 연결하는 레일 기반 이동택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동력공급 기계장치(610)의 구동에 의해, 레일 위의 컨베이어 벨트(140)가 회전한다. 이에 의해 견인 트레인이 이동하면서 이동택시 선박(110)을 견인하여 레일 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택시 선박(110)은 컨테이너 선박(700)에 선적할 컨테이너를 해상정박 장소(500)로 운반하거나, 컨테이너 선박(700)에서 하역한 컨테이너를 육상항구(600)로 운반한다. 해상정박 장소(500)에는 컨테이너 선박(700) 또는 이동택시 선박(110)의 해상 정박을 위한 닻 고정시설 및, 그러한 고정시설의 동작을 포함하여 해상 정박시설의 유지 관리를 위한 전력공급시설 등의 해상 부두 장치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상 부두 장치는, 컨테이너 선박과 이동택시 선박 간에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 수행을 위해, 컨테이너의 임시하역장소(buffer)로 사용되는 부유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유체는 상기 고정시설 등에 의해 고정된 선박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부유체 위에는 컨테이너 선박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거나 컨테이너 선박으로 컨테이너를 선적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크레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부유체들이 둘 이상 존재할 경우, 상기 부유체들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하부연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파도 등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레일 경로 및 해상정박 장소 주변에 안전 펜스(800)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기반 이동택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모노레일(mono rail)을 이용한 이동택시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듀얼레일(dual rail)을 이용한 이동택시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이동택시 장치의 레일 및 컨베이어 벨트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기반 이동택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있어서, 듀얼레일(dual rail)을 이용한 이동택시 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기반 이동택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있어서, 듀얼레일(dual rail)을 이용한 이동택시 장치의 정면도.
도 9는 해상정박 장소 및 육상항구와, 이를 연결하는 레일 기반 이동택시 장치의 평면도.

Claims (11)

  1. 삭제
  2. 육지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해상의 특정 지점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선박 또는 이동택시 선박이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을 위해 해상에 정박할 수 있게 하는 해상 부두 장치로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을 위해 컨테이너 선박 또는 이동택시 선박을 고정시키는 고정시설;
    상기 고정시설의 동작을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 및
    이동택시 선박을 견인하여 이동시키는 견인 트레인이 탑재되고, 레일 지지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어 해상정박 장소와 육상항구 간에 상기 견인 트레인의 이동 루프를 형성하는 레일
    을 포함하는 해상 부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해저 또는 해수면 위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두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견인 트레인은,
    상기 이동택시 선박과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이동택시 선박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동택시 선박을 견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두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견인 트레인은,
    상기 이동택시 선박을 탑재하고, 레일 위에서 이동하며 상기 이동택시 선박을 이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두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일 위에 설치되어 구동됨으로써 상기 견인 트레인을 이동시키는 컨베 이어 벨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육상항구 위의 동력전달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두 장치.
  8. 육지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해상의 특정 지점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선박 또는 이동택시 선박이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을 위해 해상에 정박할 수 있게 하는 해상 부두 장치로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을 위해 컨테이너 선박 또는 이동택시 선박을 고정시키는 고정시설;
    상기 고정시설의 동작을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
    컨테이너 선박과 이동택시 선박 간에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 수행을 위해, 컨테이너의 임시하역장소(buffer)로 사용되는 부유체; 및
    상기 부유체 위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선박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거나 컨테이너 선박으로 컨테이너를 선적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크레인
    를 포함하고,
    상기 해상 부두 장치가 둘 이상의 부유체들을 구비할 경우,
    상기 부유체들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하부연결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부두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90134962A 2009-12-30 2009-12-30 해상 부두 장치 KR101194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962A KR101194759B1 (ko) 2009-12-30 2009-12-30 해상 부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962A KR101194759B1 (ko) 2009-12-30 2009-12-30 해상 부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212A KR20110078212A (ko) 2011-07-07
KR101194759B1 true KR101194759B1 (ko) 2012-10-25

Family

ID=4491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962A KR101194759B1 (ko) 2009-12-30 2009-12-30 해상 부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7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22698C2 (ru) * 2012-08-01 2014-07-20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и,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Министерство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и торговл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МИНПРОМТОРГ РОССИ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ей потребителей в условиях замерзающих арктических морей и комплекс технических средств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CN107640290B (zh) * 2017-10-31 2023-08-18 黄科 一种水陆结合的漂浮式轨道输送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9892A (ja) * 2000-08-16 2002-02-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浮体構造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9892A (ja) * 2000-08-16 2002-02-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浮体構造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212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9557B2 (ja) 海洋構造物の運搬および設置用船舶並びに海洋構造物の運搬および設置方法
JP5921647B1 (ja) 潮流又は海流を使用して発電する海域での発電設備
CN106794887B (zh) 海上构造物的施工方法及海上构造物
US8752494B2 (en) System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underwater vehicles, notably towed underwater vehicles
US20120308358A1 (en) Partially submersible wind turbine transport vessel
AU2013269527B2 (en) System for launching and retrieving submarine vehicles, in particular towed submarine vehicles
CN104203746B (zh) 具有用于干式停靠船只的可动潜式平台的半潜式平台
KR20120091816A (ko) 부유체의 계류 안정화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143190A (ko) 해상 타워 접안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타워
US20050268836A1 (en) Offshore floating dock
KR101194759B1 (ko) 해상 부두 장치
CN101941510A (zh) 一种提高集装箱(或散杂货)船舶装卸效率的方法及设备
KR101259029B1 (ko) 선박 승·하선 장치
EP3810500A1 (en) Method and vessel for deploying heavy objects
EP2556242B1 (en) Method for installing an offshore wind farm
US7927057B2 (en) Ocean commerce transfer system
KR101141598B1 (ko) 모바일 택시 견인 트레인
KR20100031833A (ko) 이동항구
CN102762444A (zh) 浅水系统
KR20110051458A (ko)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CN217533178U (zh) 一种安全性高的海上风机安装运输船靠泊装置
KR101166716B1 (ko) 스마트 하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하역 방법
KR101118677B1 (ko) 이동식 항만 구조물을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 및 선적 시스템, 및 이동식 항만 구조물을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 및 선적방법
KR20110051457A (ko) 모바일 택시 포트 시스템
KR101172421B1 (ko) 모바일 하버의 해상 계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