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1458A -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1458A
KR20110051458A KR1020090108046A KR20090108046A KR20110051458A KR 20110051458 A KR20110051458 A KR 20110051458A KR 1020090108046 A KR1020090108046 A KR 1020090108046A KR 20090108046 A KR20090108046 A KR 20090108046A KR 20110051458 A KR20110051458 A KR 20110051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obile taxi
train
mobile
rai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남표
장순흥
곽병만
김수현
박철
이인
임춘택
김종우
장지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108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1458A/ko
Priority to PCT/KR2009/007988 priority patent/WO2011059135A1/ko
Publication of KR20110051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B61C13/02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for towing or transporting ships or for like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 horizontal transit otherwise than by b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 horizontal transit otherwise than by bridge
    • B65G63/02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 horizontal transit otherwise than by bridge f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역에 설치되는 레일 구조물과, 상기 레일 구조물을 해저에 고정하며 지지하는 고정 지지부와, 상기 레일 구조물 상에서 이동하는 견인 트레인과, 상기 견인 트레인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 트레인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모바일 택시를 포함하는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역에 설치된 레일 구조물을 따라 모바일 택시가 안정적으로 이동하면서 컨테이너선 및 육지와의 사이에서 신속하고 원활하게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Figure P1020090108046
이동 항구, 모바일 하버, 모바일 택시

Description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MOBILE TAXI RAIL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항구(모바일 하버)에 관한 것이며, 좀 더 자세히는 수역에 설치된 레일 구조물을 따라 모바일 택시가 이동하면서 해상 부두 또는 육상 부두에서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격지의 상품이동수단으로서 선박을 이용한 해상운송은, 타 운송수단에 비하여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며 수송비용도 저렴하여 국제교역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컨테이너선과 같은 해상운송에 있어서, 운송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형화된 선박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선박의 수송량을 증가시켜 운송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대형 선박을 접안 시킬 수 있는 계류시설 및 하역시설을 구비한 항만이 점점 더 많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대형 컨테이너선을 접안 시킬 수 있는 항구는 국내외에 한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항구의 건설에는 필요한 항만수심을 유지하기 위한 준설 등으로 인하 여 많은 경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넓은 장소가 요구된다. 또한, 대형 항구의 건설로 인하여 주변 교통 체증의 유발이나 해안환경의 파괴 등 주위의 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는 바, 대형 항구의 건설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이에, 대형 선박을 육지에 마련된 항구의 안벽에 접안 시킬 필요 없이, 육지로부터 떨어진 해상에서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존의 육상 항구를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해상에서 신속하게 화물 하역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항구에 사용될 수 있는 레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화물 하역을 위한 레일 시스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화물이 적재되는 플랫폼을 구비하는 모바일 택시와, 상기 모바일 택시와 컨테이너선 사이에서 화물의 하역 작업이 수행되는 해상 부두와, 상기 모바일 택시와 육지 사이에서 화물의 하역 작업이 수행되는 육상 부두와, 상기 모바일 택시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육상 부두와 상기 해상 부두를 연결하는 레일 구조물을 포함하는 모바일 택시 포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모바일 택시는 상기 레일 구조물이 제공하는 동력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육상 부두는 상기 레일 구조물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 공급원을 구비 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택시는 레일 구조물 상에서 이동하는 견인 트레인에 의해 견인되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레일 구조물은 해저에 고정되는 고정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 빔 및 상기 레일 빔을 따라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견인 트레인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고정되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택시는 해상에 부유하는 선박일 수 있다.
상기 모바일 포트 시스템은 상기 레일 구조물 주변에 설치되는 안전 펜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역에 설치되는 레일 구조물과, 상기 레일 구조물을 해저에 고정하며 지지하는 고정 지지부와, 상기 레일 구조물 상에서 이동하는 견인 트레인과, 상기 견인 트레인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 트레인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모바일 택시를 포함하는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레일 구조물은 상기 고정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 빔 및 상기 레일 빔을 따라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견인 트레인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고정되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레일 구조물은 상기 레일 빔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상기 레일 빔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지지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 구조물은 해상 부두와 육상 부두에 걸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 구조물은 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레일 구조물은 해저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 구조물은 간격을 두고 2 개가 설치되고, 상기 모바일 택시는 상기 2 개의 레일 구조물 상에서 이동하는 견인 트레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택시는 해상에 부유하며 상기 견인 트레인과 견인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2 개 이상의 견인 트레인이 상기 모바일 택시를 앞쪽 및 뒤쪽에서 견인하며 상기 견인 케이블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모바일 택시는 상기 견인 트레인에 고정되어 상기 견인 트레인과 일체가 되어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레일 빔 및 상기 레일 빔을 따라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는 레일 구조물 상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 빔 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와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고정되며, 모바일 택시와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택시를 견인하는 모바일 택시 견인 트레인을 제공한다.
상기 견인 트레인은 상기 레일 구조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견인 트레인은 트레인 하우징과, 상기 트레인 하우징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레일 빔 상에서 정지 또는 회전 가능한 안내 바퀴와, 상기 트레인 하우징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고정 가능한 벨트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견인 트레인은 상기 트레인 하우징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동력을 이용하여 발전 가능한 동력 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 고정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정지 또는 회전 가능한 고정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인 하우징은 내부가 방수되도록 밀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역에 설치된 레일 구조물을 따라 모바일 택시가 안정적으로 이동하면서 컨테이너선 및 육지와의 사이에서 신속하고 원활하게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육상 부두뿐만 아니라 해상에서도 컨테이너선과 모바일 택시 사이에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기존의 육상 항구를 활용하면서 소규모 항만에서도 대형 컨테이너선에 대한 하역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깊은 수심이 필요한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화물 운송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앞으로의 항만 시스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 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모바일 택시 포트 시스템의 일 실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택시 포트 시스템은, 모바일 택시와(300)와 해상 부두(500)와 육상 부두(400)와 레일 구조물(100)과 안전 펜스(350)를 포함한다.
모바일 택시(300)는 화물(즉, 컨테이너(C))이 적재되는 플랫폼을 구비한다. 모바일 택시(300)는 해상에 부유하는 선박일 수 있고, 또는 레일에 고정되는 트레인의 형태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모바일 택시(300)는 컨테이너선(S)과의 사이에서 컨테이너(C)의 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이동 항구의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해상과 육상 사이의 운송수단의 기능을 한다.
해상 부두(500)에서는 모바일 택시(300)와 컨테이너선(S) 사이에서 화물의 하역 작업이 수행된다. 해상 부두(500)에는 컨테이너선(S)이나 모바일 택시(300)의 해상 정박에 필요한 닻 등의 고정 시설과 전력 공급 시설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들 고정 시설과 전력 공급 시설 등은 해저에 설치되거나 또는 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육상 부두(400)는 다수의 모바일 택시(300)가 고속으로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하역 장비를 갖추어 모바일 택시(300)와 육지 사이에서 화물의 하역 작업이 수행된다. 육상 부두(400)는 레일 구조물(100) 또는 더 나아가 모바일 택시(300)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 공급원(450)을 구비할 수 있다.
레일 구조물(100)은 모바일 택시(3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수역에 설치되어 육상 부두(400)와 해상 부두(500)를 연결한다. 여기서 수역은 수면 위 또는 해상, 수면 아래의 수역 및 해저를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모바일 택시(300)는 레일 구조물(100)이 제공하는 동력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다.
안전 펜스(350)는 레일 구조물(100) 주변에 설치되어 해상의 파랑과 바람 등으로부터 레일 구조물(100) 및 모바일 택시(300)를 보호하게 된다.
도 2은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3b는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은, 레일 구조물(100)과 고정 지지부(110)와 견인 트레인(200)과 모바일 택시(300)를 포함한다.
레일 구조물(100)은 고정 지지부(110)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 빔(120) 및 레일 빔(120)을 따라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14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레일 구조물(100)은 레일 빔(120) 및 컨베이어 벨트(140) 사이에 위치하여 컨베이어 벨트(140)가 레일 빔(12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지지 롤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지지부(110)는 레일 구조물(100)을 해저(B)에 고정하며 지지한다. 고정 지지부(110) 위에 레일 빔(120)이 설치된다.
견인 트레인(200)은 레일 구조물(100) 상에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견인 트레인(200)은 컨베이어 벨트(140)에 고정되어 이동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견인 트레인(200)은 견인 케이블(310)을 통하여 모바일 택시(300)를 견인할 수 있다. 2 개 이상의 견인 트레인(200)이 모바일 택시(300)를 앞쪽 및 뒤쪽에서 견인하며 견인 케이블(310)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모바일 택시(300)는 해상에 부유하는 선박일 수 있고, 컨테이너(C)가 적재되는 플랫폼을 구비한다. 모바일 택시(300)는 견인 케이블(310)에 의하여 견인 트레인(200)에 연결되어 견인 트레인(20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며, 이동 항구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레일 구조물(100)은 수면(U) 아래에 설치된다. 나아가 레일 구조물(100)은 해저(B) 부근에 설치되어 고정 지지부(110)의 부피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견인 트레인(200)이 파도의 영향을 덜 받도록 할 수 있다. 레일 구조 물(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해저(B) 지형을 따라 곡선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일 구조물(100)은 1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레일 구조물(100)이 하나뿐이더라도 견인 트레인(200)이 앞쪽 및 뒤쪽에서 견인 케이블(310)에 의하여 모바일 택시(300)를 견인하므로 모바일 택시(300)는 선로를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도 3b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레일 구조물(100)은 간격을 두고 2 개가 설치되고, 모바일 택시(300)는 2 개의 레일 구조물(100)의 중간에 위치하며 이동할 수 있다. 레일을 듀얼로 설치할 경우 좀 더 안정적으로 모바일 택시(3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를 경우, 레일 구조물(100)은 해상, 즉 수면(U)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레일 구조물(100)을 해상에 설치하는 경우 레일 구조물(100)과 이를 따라 이동하는 견인 트레인(200)의 방수, 건조 및 부식 방지에 유리하다. 또한 모바일 택시(300)에 대하여 수평 방향 또는 수평보다 높은 각도로 힘을 가하여 견인하여 모바일 택시(300)를 수면(U) 위로 보다 높은 위치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도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고 동력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택시(300)는 견인 트레인(200)에 고정되어 견인 트레인(200)과 일체가 되어 이동한다. 모바일 택시(300)가 레일 구조물(100) 위에 바로 탑재됨으로써 모바일 택시(300)의 고속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레일 구조물(100) 위에 모바일 택시(300)를 고정시킨 상태로 하역 작업을 수행하여 컨테이너(C)의 하역 작업이 용이해진다. 나아가 레일 구조물(100)이 육상으로 연장되는 경우 육상으로 컨테이너(C)를 육상으로 바로 이송할 수 있다.
도 8은 모바일 택시 견인 트레인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모바일 택시 견인 트레인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택시 견인 트레인(200)은, 트레인 하우징(210)과 안내 바퀴(220)와 고정 바퀴(240)와 동력 바퀴(230)를 포함한다.
견인 트레인(200)은 레일 빔(120) 및 컨베이어 벨트(140)를 구비하는 레일 구조물(100) 상에 설치 가능하다. 견인 트레인(200)이 견인하는 장치는 모바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송을 위한 수역 상의 모바일 택시(300)에 한정되지 않는다.
트레인 하우징(210)은 안내 바퀴(220), 고정 바퀴(240), 동력 바퀴(230)를 내부에 구비하며, 이들을 보호하도록 내부가 방수되도록 밀폐될 수 있다.
안내 바퀴(220)는 트레인 하우징(210)에 고정 연결되며 레일 빔(120) 상에서 정지 또는 회전 가능하다.
고정 바퀴(240)는 트레인 하우징(210)에 고정 연결되며 컨베이어 벨트(140) 상에서 고정 가능하다. 고정 바퀴(240)는 컨베이어 벨트(140) 상에서 정지 또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바퀴의 형태가 아닌 다른 형식으로 고정되는 것이라도 무방하다.
동력 바퀴(230)는 트레인 하우징(210)에 고정 연결되며 컨베이어 벨트(140)의 동력을 이용하여 발전 가능하다. 견인 트레인(200) 또는 모바일 택시(300)는 레일 구조물(100)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견인 트레인(200)은 레일 빔(120) 또는 컨베이어 벨트(140)와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견인 모드에서는 컨베이어 벨트(140)가 레일 빔(12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때 동력 바퀴(230)는 정지하고 고정바퀴(240)는 컨베이어 벨트(140)에 고정되는 반면에 안내 바퀴(220)는 레일 빔(120)과의 사이에서 자유 회전을 한다.
정지 모드에서는 컨베이어 벨트(140)가 레일 빔(120) 상에서 정지하고, 안내 바퀴(220)가 레일 빔(120)과의 사이에서 정지하는 반면에, 동력 바퀴(230)와 고정 바퀴(240)는 자유 회전 가능하다.
동력 모드에서는 컨베이어 벨트(140)가 레일 빔(120)을 따라 이동하고, 견인 트레인(200)을 고정시키기 위해 안내 바퀴(220)는 레일 빔(120) 상에 정지하는 반면에 고정 바퀴(240)는 자유 회전하며 동력 바퀴(230)는 컨베이어 벨트(140)에 의해 회전하면서 동력을 발생시킨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 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명백하다.
도 1은 모바일 택시 포트 시스템의 일 실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은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모바일 택시 견인 트레인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모바일 택시 견인 트레인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레일 구조물 110: 고정 지지부
120: 레일 빔 130: 지지 롤러
140: 컨베이어 벨트
200: 견인 트레인 210: 트레인 하우징
220: 안내 바퀴 230: 동력 바퀴
240: 고정 바퀴
300: 모바일 택시 310: 견인 케이블
350: 안전 펜스
400: 육상 부두 450: 동력 공급원
500: 해상 부두
S: 컨테이너선 C: 화물
B: 해저 U: 수면

Claims (10)

  1. 수역에 설치되는 레일 구조물과,
    상기 레일 구조물을 해저에 고정하며 지지하는 고정 지지부와,
    상기 레일 구조물 상에서 이동하는 견인 트레인과,
    상기 견인 트레인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 트레인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모바일 택시를
    포함하는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물은 상기 고정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 빔 및 상기 레일 빔을 따라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견인 트레인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고정되어 이동하는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물은 상기 레일 빔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상기 레일 빔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모발일 택시 레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물은 해상 부두와 육상 부두에 걸쳐 설치되는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물은 해상에 설치되는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물은 해저 근처에 설치되는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물은 상기 레일 구조물은 간격을 두고 2 개가 설치되고,
    상기 모바일 택시는 상기 2 개의 레일 구조물 상에서 이동하는 견인 트레인에 연결되는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택시는 해상에 부유하며 상기 견인 트레인과 견인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는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2 개 이상의 견인 트레인이 상기 모바일 택시를 앞쪽 및 뒤쪽에서 견인하며 상기 견인 케이블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는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택시는 상기 견인 트레인에 고정되어 상기 견인 트레인과 일체가 되어 이동하는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KR1020090108046A 2009-11-10 2009-11-10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KR20110051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046A KR20110051458A (ko) 2009-11-10 2009-11-10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PCT/KR2009/007988 WO2011059135A1 (ko) 2009-11-10 2009-12-30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046A KR20110051458A (ko) 2009-11-10 2009-11-10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458A true KR20110051458A (ko) 2011-05-18

Family

ID=4399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046A KR20110051458A (ko) 2009-11-10 2009-11-10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51458A (ko)
WO (1) WO20110591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71265B (zh) * 2022-04-13 2023-10-20 中交路桥华南工程有限公司 智能化重物移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870A (ja) * 1993-02-06 1994-08-23 Satachiyou 観光回遊船システム
JPH0678142U (ja) * 1993-04-26 1994-11-01 大成建設株式会社 水中走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9135A1 (ko)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52246B (zh) 对用于运输、移除、装配、容置和转移资产的移动式停驻设备再配置的系统和方法
CN112278195B (zh) 滚装船的靠泊方法
CN104097750B (zh) 一种多功能维保船
CN101941510A (zh) 一种提高集装箱(或散杂货)船舶装卸效率的方法及设备
KR20110062487A (ko) 선박 접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접안 방법
KR101141598B1 (ko) 모바일 택시 견인 트레인
KR101089283B1 (ko)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 항구
KR20110051458A (ko)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KR20110062489A (ko) 선박 접안 유닛
KR101194759B1 (ko) 해상 부두 장치
KR10106866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US6863484B2 (en) Catamaran transfer vessel
KR20110051457A (ko) 모바일 택시 포트 시스템
RU2377155C1 (ru) Морское грузовое судно для подъема, погрузки-выгрузки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затонувших объектов в пункт приема
KR20100031833A (ko) 이동항구
KR20210051841A (ko) 무인 예인장치
KR101166716B1 (ko) 스마트 하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하역 방법
KR101167908B1 (ko) 선체간 연결 슬라이더 및 이를 장착한 부유체
KR10111369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KR20110029919A (ko) 듀얼 붐 구조, 듀얼 붐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JP2001315685A (ja) 浮体式港湾施設の入出港支援装置
KR101125040B1 (ko) 컨테이너 하역용 스위블 크레인
KR101166714B1 (ko) 스마트 하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하역 방법
KR101162927B1 (ko) 선체간 고정 슬라이더 및 이를 장착한 부유체
KR20100123448A (ko) 해상 항만 구조물을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 및 선적 시스템, 및 해상 항만 구조물을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 및 선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