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196B1 -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196B1
KR101194196B1 KR1020120056272A KR20120056272A KR101194196B1 KR 101194196 B1 KR101194196 B1 KR 101194196B1 KR 1020120056272 A KR1020120056272 A KR 1020120056272A KR 20120056272 A KR20120056272 A KR 20120056272A KR 101194196 B1 KR101194196 B1 KR 101194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abric
roller
cutter
form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석
신유식
Original Assignee
(재)한국섬유소재연구소
한국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한국섬유소재연구소, 한국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재)한국섬유소재연구소
Priority to KR1020120056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4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하여 주름진 필터원단을 대량 생산할 수 있으며, 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최고 품질의 필터원단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는 부직포원단이 권취된 부직포원단 공급롤러에서 부직포원단을 공급하는 부직포원단 공급롤러부; 부직포원단의 공급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원단 공급롤러부에서 공급되는 부직포원단을 안내 이송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 상기 부직포원단 공급롤러부에서 공급되는 부직포원단이 상부가열판 및 하부가열판 사이로 공급되게 구성되어 부직포원단이 이송되면서 가열되도록 구성되는 가열수단; 상부성형롤러와 하부성형롤러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열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열된 부직포원단이 상기 상부성형롤러 및 하부성형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되어 부직포원단의 전후방향으로 주름을 형성시키는 코르게이션롤러부; 상기 코르게이션롤러부에서 이송되는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이 상부송풍판 및 하부송풍판 사이로 공급되어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이 이송되면서 냉각되도록 구성되는 냉각수단; 상기 냉각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이 이송수단을 통해 일정속도로 이송되면서 좌우방향으로 고속회전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원판컷터에 의해 일정 사이즈로 균일하게 절단되도록 구성되어 다수개의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을 제조하는 커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FILTER THROUGHT CORRUGATINON METHOD}
본 발명은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하여 주름진 필터원단을 대량 생산할 수 있으며, 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최고 품질의 필터원단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터는 건물의 흡기구,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및 자동차 실내의 공기 흡입구 등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 중의 불순물 및 냄새를 포집하게 구성된다.
종래의 필터는 부직포를 주름 모양으로 형성하고, 그 테두리에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케이스가 설치되는 데, 이는 부직포가 주름지게 삽입되도록 다수 개의 산과 골이 형성된 사출금형에 부직포를 끼워넣고, 고온, 고압을 공급하면서 부직포의 테두리로 합성수지를 공급함으로써, 부직포의 테두리에 합성수지재의 케이스가 융착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부직포에 주름을 지게 하여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은 부직포를 주름지게 하는 작업을 수공업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단가 및 제조공정이 장기간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있어 왔다.
이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18036호에는 필터가 개재되어 고압에 의해 성형되도록 하는 금형 및 금형의 개폐를 이루는 구동장치로 이루어지는 가압수단과, 상기 금형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공급하도록 합성수지가 투입되는 호퍼 및 상기 호퍼로부터 유입된 합성수지를 금형으로 압송시키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의해 이동되는 합성수지를 용융시키는 가열장치, 상기 금형의 내부로 삽입되어 합성수지가 금형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노즐로 구성된 공급수단이 포함된 에어필터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그 내벽에 다수 개의 제 1 산이 형성되어 필터를 주름 모양으로 성형하도록 하고, 상기 제 1 산의 둘레에 제 1 홈부가 형성되어 합성수지가 채워지면 케이스를 이루도록 한 제 1 블록과; 상기 제 1 블록과 대응되는 면에 다수 개의 제 2 산이 상기 제 1 산과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산의 둘레에 제 2 홈부가 형성되며, 제 2 홈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산과 대응되는 모든 부위에 분사홀부가 형성된 제 2 블록이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노즐은 분사홀부와 동일한 개수의 게이트가 설치되어 제 2 블록의 후면으로부터 삽입되며, 상기 분사홀부에 연결되어 제 1 블록과 제 2 블록이 압착될 때에 상기 제 1 홈부 및 제 2 홈부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에어필터의 케이스 및 보강살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필터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국내 특허등록 제0421317호에는 프레임에 마련되며 제1실린더의 제1로드와 연결되어 승강되는 승강부재; 이 승강부재에 제2실린더의 제2로드와 연결되어 수평으로 이동되는 수평이동부재; 이 수평이동부재에 회전실린더가 설치되며 이 회전실린더의 회전로드로부터 연장된 회전축 끝단에 장착되어 180도 회전되도록 장착되고 된 치구장착대; 이 치구장착대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마련되며 다공성재료로 된 사각형의 시트가 지그재그로 접힌 필터부재를 정형하고 고정하는 치구; 이 치구 상부위치의 프레임에 마련되며 제3실린더의 제3로드 끝단과 연결되어 치구장착대에 설치된 치구 상의 필터부재를 눌러주는 누름 부재; 상기 치구장착대 하부위치의 프레임에 마련되며 마구리부재설치롤러에 설치된 두루마리부재를 끌어당기는 인취롤러와, 이 인취롤러에 의해 인취된 두루마리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가 마련되고 이렇게 인취되는 두루마리부재의 한쪽표면에 용융상태의 접착용 핫멜트를 도포하는 노즐과, 상기 인취롤러에 의해 인취되면서 핫멜트가 도포된 두루마리부재를 절단하는 절단기가 구비된 핫멜트도포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용 에어필터의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단시간 내에 대량의 부직포에 주름 모양의 형성이 어렵고, 제조하고자 하는 필터에 맞는 사이즈의 주름진 부직포를 생산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필터의 제조공정이 장기화되거나,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하여 주름진 필터원단을 대량 생산할 수 있으며, 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최고 품질의 필터원단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부직포원단이 권취된 부직포원단 공급롤러에서 부직포원단을 공급하는 부직포원단 공급롤러부; 부직포원단의 공급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원단 공급롤러부에서 공급되는 부직포원단을 안내 이송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 상기 부직포원단 공급롤러부에서 공급되는 부직포원단이 상부가열판 및 하부가열판 사이로 공급되게 구성되어 부직포원단이 이송되면서 가열되도록 구성되는 가열수단; 상부성형롤러와 하부성형롤러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열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열된 부직포원단이 상기 상부성형롤러 및 하부성형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되어 부직포원단의 전후방향으로 주름을 형성시키는 코르게이션롤러부; 상기 코르게이션롤러부에서 이송되는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이 상부송풍판 및 하부송풍판 사이로 공급되어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이 이송되면서 냉각되도록 구성되는 냉각수단; 상기 냉각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이 이송수단을 통해 일정속도로 이송되면서 좌우방향으로 고속회전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원판컷터에 의해 일정 사이즈로 균일하게 절단되도록 구성되어 다수개의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을 제조하는 커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성형롤러의 외면에는 그 중심에서 양측으로 "∧" 형상의 산과 골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상부주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성형롤러의 외면에는 그 중심에서 양측으로 "∨" 형상의 산과 골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하부주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성형롤러 및 하부롤러의 양측으로는 상부주름부 및 하부주름부 단부와 측방향으로 미러되는 형상으로 산과 골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부직포원단이 상부성형롤러 및 하부성형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될 때 부직포원단의 단부를 가이드하는 부직포단부가이드부가 구성되며, 상기 코르게이션롤러부의 상부성형롤러 및 하부성형롤러는 양단이 롤러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되, 상기 상부성형롤러의 양단은 롤러지지대의 양측 상단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스템의 회전에 의해 롤러지지대의 양단에서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높이조절되는 롤러지지구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은 냉각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의 상면이 밀착되어 가이드되는 상부컨베이어부와,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의 하면이 밀착되어 가이드되는 상부컨베이어부로 구성되어,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을 상기 커터부로 일정속도로 이송되게 구성되되, 상기 상부컨베이어부는 커터부의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종동축과, 상기 냉각수단의 후측에 설치되는 상부피동축과, 상기 상부종동축 및 상부피동축에 좌우방향 순차적으로 감겨 무한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상부컨베이어벨트 내측으로 상부컨베이어벨트의 쳐짐을 방지하도록설치되는 상부지지바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컨베이어부는 커터부의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종동축과, 상기 냉각수단의 후측에 설치되는 하부피동축과, 상기 하부종동축 및 하부피동축에 좌우방향 순차적으로 감겨 무한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하부컨베이어벨트와 상기 하부컨베이어벨트 내측으로 하부컨베이어벨트의 쳐짐을 방지하도록설치되는 하부지지바로 구성되며, 상기 커터부는 좌우방향으로 원판커터가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회전샤프트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터몸체와, 커터몸체의 측면이 상하방향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수직가이드봉과, 상기 커터몸체 상부에 설치되어 커터몸체를 상하방향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는 외면에 주름부가 형성된 상부성형롤러 및 하부성형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되어 부직포원단의 전후방향으로 주름을 형성시키는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하여 부직포원단에 주름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고속으로 주름진 필터원단을 생산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상부성형롤러와 하부성형롤러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및 도 4는 본 발명에서 코르게이션롤러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이송수단 및 커터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이송수단 및 커터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서 커터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상부성형롤러와 하부성형롤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및 도 4는 본 발명에서 코르게이션롤러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이송수단 및 커터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서 이송수단 및 커터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서 커터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는 부직포원단이 상부성형롤러 및 하부성형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되어 부직포원단의 전후방향으로 주름을 형성시키는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하여 주름진 필터원단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를 설명하면, 먼저 부직포원단(1)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부직포원단 공급롤러부(100)를 구비한다. 즉, 부직포원단(1)이 권취된 부직포원단 공급롤러(2)에서 부직포원단(2)을 공급하는 순차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원단(1)은 필터의 원단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다양한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지만, 우수한 탈취능력을 가지는 활성탄이 도포된 부직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원단(1)을 가이드하여 공급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200)를 구비한다. 즉, 상기 가이드롤러(200)는 부직포원단(1)의 공급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원단 공급롤러부(100)에서 공급되는 부직포원단(1)을 안내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200)를 통해 공급되는 부직포원단(1)을 가열하는 가열수단(300)이 구성된다. 즉, 상기 가열수단(300)은 상기 부직포원단 공급롤러부(100)에서 공급되는 부직포원단(1)이 상부가열판(310) 및 하부가열판(320) 사이로 공급되게 구성되어 부직포원단(1)이 이송되면서 가열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가열판(310) 및 하부가열판(320)을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부직포원단(1)은 후술하는 코르게이션롤러부(400)를 통해 주름이 성형되기 좋은 상태로 연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수단(300)을 통해 가열된 부직포원단(1)에 주름(코르게이트)를 형성하는 코르게이션롤러부(400)가 구성된다. 즉, 상기 코르게이션롤러부(400)는 상부성형롤러(410)와 하부성형롤러(42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열수단(300)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열된 부직포원단(1)이 상기 상부성형롤러(410) 및 하부성형롤러(420)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되어 부직포원단(1)의 전후방향으로 주름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성형롤러(410) 및 하부성형롤러(420)는 부직포원단에 주름을 형성시키기 위해 외면에 다양한 주름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부직포원단(1) 외면에 지그재그 형상의 주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성형롤러(410)의 외면에는 그 중심에서 양측으로 "∧" 형상의 산과 골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상부주름부(41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성형롤러(420)의 외면에는 그 중심에서 양측으로 "∨" 형상의 산과 골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하부주름부(421)가 형성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마련되는 상부성형롤러(410)와 하부성형롤러(420)의 압착에 의해 부직포원단(1) 외면에 지그재그 형상의 주름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상부성형롤러(410) 및 하부성형롤러(420)의 양측으로는 상부주름부(411) 및 하부주름부(421) 단부와 측방향으로 미러되는 형상으로 산과 골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부직포원단(1)이 상부성형롤러(410) 및 하부성형롤러(420)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될 때 부직포원단(1)의 단부를 가이드하는 부직포단부가이드부(412,422)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직포단부가이드부(412,422)를 통해 부직포원단(1)의 양단면이 상부성형롤러(410) 및 하부성형롤러(420) 사이로 맞물려 가이드될 수 있기 때문에 부직포원단(1)의 양 단면이 울거나 변형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 나아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르게이션롤러부(400)의 상부성형롤러(410) 및 하부성형롤러(420)는 양단이 롤러지지대(4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성형롤러(410)의 양단은 롤러지지대(430)의 양측 상단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스템(431)에 회전에 의해 롤러지지대(430)의 양단에서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높이조절되는 롤러지지구(432)에 고정된다. 즉, 도 3과 같이 상기 롤러지지대(430) 상에서 상부성형롤러(410)가 하부성형롤러(420)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부직포원단(1)을 상부성형롤러(410)와 하부성형롤러(420)의 사이로 통과시킨 다음, 도 4와 같이 높이조절스템(431)을 회전시켜 롤러지지구(432)를 하측으로 이동시켜줌으로써 상부성형롤러(410)와 하부성형롤러(420)의 사이에 부직포원단(1)이 압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코르게이션롤러부(400)에서 이송되는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1)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500)이 구성된다. 즉, 상기 냉각수단(500)은 코르게이션롤러부(400)에서 이송되는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1)을 냉풍이 공급되는 상부송풍판(510) 및 하부송풍판(520) 사이로 공급시켜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1)이 이송되면서 냉각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냉각수단(500)을 통해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1)이 냉각되면서 굳게 되어 부직포원단(1)의 외면에 형성된 주름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단(500)으로부터 공급되는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1)이 이송수단(600)을 통해 일정속도로 이송되면서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절단시키는 커터부(700)가 구성된다. 즉, 상기 커터부(700)는 후공정으로 제조되는 필터의 폭에 맞게 부직포원단(1)을 일정 크기로 절단시키게 구성되는 데, 이송수단(600)을 통해 이송되는 부직포원단(1)을 좌우방향으로 고속회전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원판컷터(710)에 의해 일정 사이즈로 균일하게 절단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송수단(600)을 통해 고속회전하는 원판컷터(710)로 부직포원단(1)를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속회전하는 원판컷터(710)에 부직포원단(1)이 말려들어가거나 비틀어지게 절단되는 것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수단(600)은 냉각수단(500)으로부터 공급되는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1)의 상면이 밀착되어 가이드되는 상부컨베이어부(610)와,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1)의 하면이 밀착되어 가이드되는 하부컨베이어부(620)로 구성되어, 이 상부컨베이어부(610)와 하부컨베이어부(620)를 통해 부직포원단(1)의 상,하면을 밀착시켜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1)을 커터부(700)로 일정속도로 이송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컨베이어부(610)는 커터부(700)의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종동축(611)과, 상기 냉각수단(500)의 후측에 설치되는 상부피동축(612)과, 상기 상부종동축(611) 및 상부피동축(612)에 좌우방향 순차적으로 감겨 무한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컨베이어벨트(613)와, 상기 상부컨베이어벨트(613) 내측으로 상부컨베이어벨트(613)의 쳐짐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지지바(614)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컨베이어부(620)는 커터부(700)의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종동축(621)과, 상기 냉각수단(500)의 후측에 설치되는 하부피동축(622)과, 상기 하부종동축(621) 및 하부피동축(622)에 좌우방향 순차적으로 감겨 무한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하부컨베이어벨트(623)와, 상기 하부컨베이어벨트(623) 내측으로 하부컨베이어벨트의 쳐짐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하부지지바(62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터부(700)는 좌우방향으로 원판커터(710)가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회전샤프트(720)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터몸체(730)와, 커터몸체(730)의 측면이 상하방향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수직가이드봉(740)과, 상기 커터몸체(730) 상부에 설치되어 커터몸체(730)를 상하방향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7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샤프트(720)는 모터(M)의 축에 연결되어 모터(M)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터부(7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가이드봉(740) 상에서 커터몸체(730)가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실린더(750)를 통해 커터몸체(73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줌으로써 커터몸체(730)에 설치된 원판커터(710)를 통해 부직포원단(1)이 절단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는 외면에 주름부가 형성된 상부성형롤러 및 하부성형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되어 부직포원단의 전후방향으로 주름을 형성시키는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하여 부직포원단에 주름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고속으로 주름진 필터원단을 생산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성형롤러 및 하부성형롤러의 양측에 설치된 부직포단부가이드부를 통해 부직포원단의 양단면이 상부성형롤러 및 하부성형롤러 사이로 맞물려 가이드될 수 있기 때문에 부직포원단의 양 단면이 울거나 변형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송수단을 통해 고속회전하는 원판컷터로 부직포원단를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속회전하는 원판컷터에 부직포원단이 말려들어가거나 비틀어지게 절단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주름진 부직포원단은 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최고 품질의 필터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로 제조되는 주름진 부직포원단은 지그재그 형상의 주름을 가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이 부직포원단을 적층시켜 필터를 제조하면 여과성능 및 탈취성능이 월등히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부직포원단 100: 부직포원단 공급롤러부
200: 가이드롤러 300: 가열수단
400: 코르게이션롤러부 500: 냉각수단
600: 이송수단 700: 커터부

Claims (3)

  1. 부직포원단이 권취된 부직포원단 공급롤러에서 부직포원단을 공급하는 부직포원단 공급롤러부;
    부직포원단의 공급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원단 공급롤러부에서 공급되는 부직포원단을 안내 이송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
    상기 부직포원단 공급롤러부에서 공급되는 부직포원단이 상부가열판 및 하부가열판 사이로 공급되게 구성되어 부직포원단이 이송되면서 가열되도록 구성되는 가열수단;
    상부성형롤러와 하부성형롤러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열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열된 부직포원단이 상기 상부성형롤러 및 하부성형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되어 부직포원단의 전후방향으로 주름을 형성시키는 코르게이션롤러부;
    상기 코르게이션롤러부에서 이송되는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이 상부송풍판 및 하부송풍판 사이로 공급되어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이 이송되면서 냉각되도록 구성되는 냉각수단;
    상기 냉각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이 이송수단을 통해 일정속도로 이송되면서 좌우방향으로 고속회전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원판컷터에 의해 일정 사이즈로 균일하게 절단되도록 구성되어 다수개의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을 제조하는 커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성형롤러의 외면에는 그 중심에서 양측으로 "∧" 형상의 산과 골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상부주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성형롤러의 외면에는 그 중심에서 양측으로 "∨" 형상의 산과 골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하부주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성형롤러 및 하부롤러의 양측으로는 상부주름부 및 하부주름부 단부와 측방향으로 미러되는 형상으로 산과 골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부직포원단이 상부성형롤러 및 하부성형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될 때 부직포원단의 단부를 가이드하는 부직포단부가이드부가 구성되며, 상기 코르게이션롤러부의 상부성형롤러 및 하부성형롤러는 양단이 롤러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되, 상기 상부성형롤러의 양단은 롤러지지대의 양측 상단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스템의 회전에 의해 롤러지지대의 양단에서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높이조절되는 롤러지지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냉각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의 상면이 밀착되어 가이드되는 상부컨베이어부와,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의 하면이 밀착되어 가이드되는 하부컨베이어부로 구성되어, 주름이 형성된 부직포원단을 상기 커터부로 일정속도로 이송되게 구성되되, 상기 상부컨베이어부는 커터부의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종동축과, 상기 냉각수단의 후측에 설치되는 상부피동축과, 상기 상부종동축 및 상부피동축에 좌우방향 순차적으로 감겨 무한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상부컨베이어벨트 내측으로 상부컨베이어벨트의 쳐짐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지지바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컨베이어부는 커터부의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종동축과, 상기 냉각수단의 후측에 설치되는 하부피동축과, 상기 하부종동축 및 하부피동축에 좌우방향 순차적으로 감겨 무한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하부컨베이어벨트와 상기 하부컨베이어벨트 내측으로 하부컨베이어벨트의 쳐짐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하부지지바로 구성되며,
    상기 커터부는 좌우방향으로 원판커터가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회전샤프트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터몸체와, 커터몸체의 측면이 상하방향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수직가이드봉과, 상기 커터몸체 상부에 설치되어 커터몸체를 상하방향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


KR1020120056272A 2012-05-25 2012-05-25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 KR101194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272A KR101194196B1 (ko) 2012-05-25 2012-05-25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272A KR101194196B1 (ko) 2012-05-25 2012-05-25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196B1 true KR101194196B1 (ko) 2012-10-25

Family

ID=47288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272A KR101194196B1 (ko) 2012-05-25 2012-05-25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19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5437A (ko) * 2013-05-16 2014-11-26 (주) 신우피앤씨 탈취분말들을 포함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KR101472561B1 (ko) * 2013-05-16 2014-12-16 (주) 신우피앤씨 탈취분말들을 포함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KR101472560B1 (ko) * 2013-05-16 2014-12-16 (주) 신우피앤씨 탈취분말들을 포함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KR101932923B1 (ko) * 2018-03-07 2018-12-27 오창언 차량용 필터 제조장치
KR20200066145A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그린동화 부직포 양면 엠보싱 가공장치
KR102509682B1 (ko) * 2022-11-29 2023-03-14 김태우 필터 제조용 플리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006B1 (ko) * 1996-04-18 1999-06-15 최백경 피브이씨 유연성 원단에 색채무늬층을 형성시키는 방법과 이로부터 얻어진 제품
KR100942284B1 (ko) 2009-04-13 2010-02-16 (주)세운인더스트리 차량용 에어필터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006B1 (ko) * 1996-04-18 1999-06-15 최백경 피브이씨 유연성 원단에 색채무늬층을 형성시키는 방법과 이로부터 얻어진 제품
KR100942284B1 (ko) 2009-04-13 2010-02-16 (주)세운인더스트리 차량용 에어필터 제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5437A (ko) * 2013-05-16 2014-11-26 (주) 신우피앤씨 탈취분말들을 포함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KR101472561B1 (ko) * 2013-05-16 2014-12-16 (주) 신우피앤씨 탈취분말들을 포함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KR101472560B1 (ko) * 2013-05-16 2014-12-16 (주) 신우피앤씨 탈취분말들을 포함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KR101595878B1 (ko) * 2013-05-16 2016-02-19 (주)신우피앤씨 탈취분말들을 포함하는 공기정화용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KR101932923B1 (ko) * 2018-03-07 2018-12-27 오창언 차량용 필터 제조장치
KR20200066145A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그린동화 부직포 양면 엠보싱 가공장치
KR102135450B1 (ko) 2018-11-30 2020-07-17 주식회사 그린동화 부직포 양면 엠보싱 가공장치
KR102509682B1 (ko) * 2022-11-29 2023-03-14 김태우 필터 제조용 플리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196B1 (ko) 코르게이션 방식을 이용한 기능성 필터원단의 제조장치
KR101124524B1 (ko) 필터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A29006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pleated filter media
CN111850836B (zh) 一种熔喷设备均匀负压滚筒式成网机及熔喷布生产工艺
CN111319278A (zh) 一种口罩鼻条的裁切机构和方法
CN105178537B (zh) 装饰保温板全自动连续生产设备
CN206644039U (zh) 一种锥孔型热风无纺布自动生产线
CN111300830A (zh) 一种口罩生产机的模切定型装置和方法
KR101549449B1 (ko) 필터 제조용 자동화 라인설비
CN100587146C (zh) 熔喷无纺布加工机
CN208789125U (zh) Pet板材制造设备
CN214992417U (zh) 一种无纺布定型机
CN112356524B (zh) 一种防水透湿会呼吸的面料
CN113215726B (zh) 一种智能无纺布熔喷机及无纺布生产工艺
CN214569592U (zh) 熔喷布分条收卷装置及熔喷布驻极分切收卷生产线
KR20160023396A (ko) 필터 주름성형장치 및 필터 주름성형방법 과 그를 이용한 필터 제조방법
CN113858748A (zh) 一种玻纤复合装饰板加工设备及其加工工艺
CN212288780U (zh) 一种吸音棉热复合设备
CN114134644B (zh) 一种高过滤性能无纺布及其加工工艺
CN110127411A (zh) 一种无纺布生产成卷装置
CN114808329B (zh) 用于螺旋网的热定型样机
JP2005205910A (ja) 真空成形機及び二つの部分からなる二層シート要素の製造方法
CN208789126U (zh) Pet板材制造设备
CN217971945U (zh) 一种帘布折叠机构
CN219410116U (zh) 一种纺粘无纺布的收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