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725B1 - 녹차 다당체 및 송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차 다당체 및 송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725B1
KR101193725B1 KR1020090102325A KR20090102325A KR101193725B1 KR 101193725 B1 KR101193725 B1 KR 101193725B1 KR 1020090102325 A KR1020090102325 A KR 1020090102325A KR 20090102325 A KR20090102325 A KR 20090102325A KR 101193725 B1 KR101193725 B1 KR 101193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tea polysaccharide
cosmetic composition
ski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5662A (ko
Inventor
강찬구
조성아
김지현
장희경
박녹현
조준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102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725B1/ko
Priority to US12/700,074 priority patent/US8852655B2/en
Priority to JP2010240422A priority patent/JP5795707B2/ja
Publication of KR20110045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환경 오염 등 노화를 촉진시키는 외부 유해 환경 인자에 대응하여 피부 노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녹차 다당체(Green tea polysaccharide) 및 송이버섯(Tricholoma matsutake)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염증 및 산화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항노화 효과가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녹차 다당체, 송이버섯 추출물, 외부유해환경, 환경 오염, 항염, 항산화, 항노화

Description

녹차 다당체 및 송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on containing Green tea polysaccharide and Tricholoma matsutake ex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환경오염 등 노화를 촉진시키는 외부 유해 환경 인자에 대응하여 피부 노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녹차 다당체(Green tea polysaccharide) 및 송이버섯(Tricholoma matsutake)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염증 및 산화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항노화 효과가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신체를 청결히 하고 자신을 아름답고 매력적으로 가꾸며 자외선이나 건조 등으로부터 피부나 모발을 보호해서 노화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산업사회의 발달과 사회활동의 증가로 자기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자아의식이 높아지면서 화장품을 이용하여 자기 자신의 피부를 가꾸고 건강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와 동시에 급속한 산업화로 인한 지구온난화, 대기오염, 수질오염과 같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 같이 커지고 있다. 참고로 기후 변화 정부간 위원회(IPCC)에 따르면 지난 50년간 지 구 표면온도가 0.65℃정도 상승하는 등 오존층 파괴, 온실효과로 인한 지구 온난화가 심각하다고 보고하고 있는데, 이는 바로 대기오염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음을 반증하고 있다.
적극적인 사회진출로 야외활동을 이전보다 더 활발하게 할 수밖에 없는 현대 여성들의 경우 외적 유해인자인 환경 오염(pollution)의 영향을 점점 더 크게 받고 있다. 또한, 이러한 외적 유해 인자인 공해에 대한 방패 역할을 하기 위해 존재하는 피부 역시 점점 더 많이 손상되고 노화되어 가고 있다. 최근 관련 연구결과들을 살펴 보면 오존,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환경호르몬 및 담배연기 등의 외부 공해 물질들이 피부 노화를 촉진시킨다는 보고가 올라오고 있다.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오존은 세포 증식을 둔화시키고 지질 과산화 등을 유발하며 이산화탄소는 피부가려움증을, 담배연기는 피부염증을, 포름알데히드는 알러지와 발진을, 환경호르몬은 색소침착과 발진을 유발시킬 수 있다고 한다. 이런 피부 트러블들은 주름생성을 촉진하고 피부톤을 어둡게 하며 탄성을 떨어뜨리는 등 결국 피부 노화의 시점을 앞당기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소비자들의 젊어 보이고자 하는 욕구, 노화를 늦추고 싶은 욕구와 화장품의 기대 효능은 증가하고 있는데, 오히려 이런 외부 유해환경인자에 대해 과학적으로 대응하고 피부 손상을 억제해 주는 화장품은 시장에 드문 상황이다. 대부분의 항노화 화장품들은 40대 이후 노화가 이미 상당히 진행된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고 관련 성분들 역시 보습, 탄력개선, 주름개선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항노화 성분 역시 레티놀, 비타민류등 합성 성분인 경우가 많다. 즉, 공해로 인 한 피부 손상을 식물 성분의 조합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제품들은 아직 시장에 없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외부 유해 환경 인자의 공격으로부터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식물 추출물 조합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녹차 다당체와 송이버섯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체가 피부 염증과 산화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노화를 최대한 늦추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식물 성분을 사용하여 피부에 안전하면서 피부 염증과 산화 반응을 억제하여 항노화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녹차 다당체 및 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녹차 다당체와 송이버섯 추출물을 이용하여 수중유형 에멀젼 및 가용화 젤 제형의 화장료를 제조하여 항염 및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 피부 속의 염증과 산화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젊음을 지속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녹차 다당체와 송이버섯 추출물들의 상승 작용으로 외부 유해 환경으로 인해 활성화되는 공해 안테나를 강력히 차단하여 외부 유해 환경과 직접 맞서 싸우는 피부 조직의 건강을 지켜주는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녹차 다당체(Green tea polysaccharide) 및 송이버섯(Tricholoma matsutak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녹차 다당체(Green tea polysaccharide)는 녹차(Camellia. sinensis)로부터 유래되는 효능 성분으로서, 그 동안 녹차 카테킨에 가려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최근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다른 식물에서 발견되는 다당체와는 달리 산성 다당체군으로서,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진 당성분과 아미노산이 결합되어 생성된다. 녹차 다당체는 외부 유해 환경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염증을 억제하고 자극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녹차 다당체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녹차잎을 80~90℃의 열수로 추출한 후에 농축하고 필터로 불순물들을 제거한 후, 여기에 에탄올을 드랍와이즈(dropwise) 방식으로 첨가하고 열풍 건조시키면 녹차다당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송이버섯(Tricholoma matsutake) 추출물에는 비타민, 무기질, 아미노산 및 당 성분들이 고르게 함유되어 있고 에르고스테롤이라는 송이버섯에서만 발견되는 항산화 성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다양한 활성 성분들이 피부의 외부 저항성을 강화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세계 최고의 품질로 인정받고 있는 한국산 송이버섯으로부터 추출한 성분을 사용하여 공해로부 터 유발되는 피부 산화 반응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송이버섯 추출물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득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송이버섯을 실온에서 정제수를 이용하여 수용성 성분들을 먼저 추출하고, 여기에 에탄올을 더 첨가하여 유용성 성분을 추출한 후, 3일간의 숙성 과정과 제균 필터를 이용한 여과 과정을 거침으로써 송이버섯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녹차 다당체 및 송이버섯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1~2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0.01중량%미만에서는 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2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변취 등 화장품 변성의 우려가 있고 화장품 제형의 점도 조절이 쉽지 않으며 에멀젼 제형 제조시 전상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화장료 제형으로서 개발하기 어렵고 생산 경제성도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녹차 다당체 및 송이버섯 추출물의 혼합비는 1.0:10.0~10.0:1.0이다. 이러한 혼합비를 벗어나면 두 성분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유해환경으로 인한 피부 속 노화의 진행이 염증 반응과 산화 반응을 모두 거친다는 점에서 두 반응을 동시에 억제하지 못할 경우, 강력한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기 힘들기 때문에 녹차 다당체 및 송이버섯 추출물을 상기 혼합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녹차 다당체 및 송이버섯 추출물을 혼합하여 퓨처 리스폰스 콤플렉스(Future Response Complex)를 제조한다. 퓨처 리스폰스 콤플렉스는 피부 바깥에 산재하는 각종 공해가 피부 속으로 유해 신호를 전달할 때 활성화되는 공해 안테나를 차단하여 피부 노화 징후의 확산을 조기에 차단하는 식물 추출물 조합으로 피부 각질형성 세포에 존재하는 '탄화수소 수용체(Arylhydrocarbon Receptor; AhR)'를 타겟으로 하고 있다. 이 수용체는 환경 호르몬, 담배연기, 오존 및 UV에 의해 활성화되고 활성화 후에는 피부 속 염증 인자와 멜라닌을 증가시키는 등 피부노화를 앞당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퓨처 리스폰스 콤플렉스는 피부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자료에 근거한 식물 추출물 조합으로 녹차 다당체와 송이버섯 추출물을 혼용하여 사용할 경우 그 효능에 상승작용이 있으며 특히 담배연기, 배기가스 등 대기 오염 물질들로 인한 피부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어함으로써 외부 유해 환경으로 인한 노화 증상 발생을 늦출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항노화용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제형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고,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 타입 화장료의 제형, 혹은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필요에 따라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및 정제수 등이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반드시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녹차 다당체 및 송이버섯 추출물의 담배에 의해 유도된 활성산소 억제 효과
1-1. 담배 샘플의 제조
흡연 후, 담배 꽁초를 수거하여 필터부분을 제외하고는 제거하였다. 손질된 필터 1개당 DMSO 1㎖을 넣고 쉐이커(shaker)를 이용하여 13시간 동안 우려내었다. 이 샘플을 보텍서(vortexer)를 이용하여 10분간 흔들어준 후, 필터는 제거하고 원심분리기에서 300rpm으로 5분 동안 돌려 침전물을 제거하여 담배 샘플을 얻었다.
1-2. 세포내 활성산소 발생량 측정
DMEM 배지에 5%의 우태아혈청, 100IU의 페니시린G를 첨가한 배지에 HaCaT 세포를 8웰 챔버 슬라이드(well chamber slide)에 5,000세포수/웰이 되도록 분주하였다. 다음날 녹차 다당체(구입처: 바이오랜드) 50ppm, 송이버섯 추출물(구입처: 바이오랜드) 100 ppm을 단독 혹은 함께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대조군은 DMSO만 단독으로 배지에 1/1000로 처리하였으며, 이는 녹차 다당체와 송이버섯 추출물의 시료 처리 시 사용된 DMSO의 농도와 동일하다. 이어서, 상기 담배 샘플 250ppm을 넣고 3시간을 추가로 더 반응시켜주었다. 그 후 PBS로 두번 씻어준 다음, CFda를 20분 동안 37℃에서 반응시키고 HBSS로 다시 씻어준다. FBS와 페놀 레드(phenol red) 가 없는 DMEM 배지로 갈아주고 2시간 후에 형광 광도계(Fluoremeter)를 이용하여 발생된 활성산소의 양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샘플 활성산소 비율(%)
대조군 100
담배 165
녹차 다당체 + 담배 50
송이버섯 추출물 + 담배 77
녹차 다당체 + 송이버섯 추출물 + 담배 22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담배를 단독 처리한 군은 담배에 의해 유도된 활성산소량이 165%로 증가하였고, 녹차 다당체와 송이버섯 추출물을 각각 처리한 시험군은 50%, 77%로 무처리 대조군보다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녹차 다당체 및 송이버섯 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시험군은 담배에 의해 유도된 활성 산소량이 22%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로써 각각의 유효성분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것보다 함께 처리하는 것이 활성 산소량을 더욱 많이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녹차 다당체 및 송이버섯 추출물을 함께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외부 유해 환경으로부터 유도되는 활성 산소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피부 산화와 노화를 막을 수 있다.
[시험예 2] 녹차 다당체 및 송이버섯 추출물의 자동차 매연에 의한 공해 안테나(아릴 탄화수소 수용체; Aryl hydrocarbon Receptor, AhR) 단백질의 발현 억제 효과
2-1. 자동차 매연 샘플의 제조
면봉을 이용하여 디젤자동차의 배기통에 묻은 매연 찌꺼기를 긁어낸 후, 면봉의 매연이 묻은 솜 부위만 DMSO에 담궈 13시간 우려내었다. 그 후, 10분간 보텍싱(vortexing)을 해 준 다음, 솜을 제거하여 자동차 매연 샘플을 얻었다.
2-2. AhR 발현 억제 확인
DMEM 배지에 5%의 우태아혈청, 100IU의 페니시린G를 첨가한 배지에 섬유아세포를 8웰 챔버 슬라이드에 5,000세포수/웰이 되도록 분주하였다. 다음달 FBS와 페놀 레드(phenol red)가 없는 DMEM 배지로 갈아주고, 다시 24시간 후에 총 3개의 시험군으로 처리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DMSO를 0.1%로 처리하고, 자동차 매연 200ppm, 녹차 다당체 50ppm과 송이버섯 추출물10ppm을 각 웰에 처리한 후에 37℃ 온도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처리된 세포를 가지고 면역 형광 검사(Immunofluorescence; IF)를 하였다. 1mM CaCl2와 1mM MgCl2가 들어간 PBS를 이용하여 각 웰을 씻어주었다. 3.5%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를 이용하여 세포를 상온에서 10분간 반응하여 고정시켰다. 고정된 세포를 PBS를 이용하여 다시 10분간 세 번 씻어주었다. 0.1% 트리톤(Triton)-100을 5분간 처리하고, 다시 PBS로 10분간 세 번 씻어주었다. AhR 항체(santa cruz)를 1:250으로 0.05% 트윈(tween) 20 포함된 PBS(PBST)에 희석하여 4℃에서 O/N으로 1차 항체를 반응시켰다. 다시 PBST로 세 번 10분간 씻어준 후에 로다민(Rhodamine)이 붙은 2차 항체를 이용하여 1:400으로 상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에 PBST를 이용하여 10분간 세 번 씻어주었다. 핵을 염색하기 위해 DAPI를 이용하여 약 3분간 염색을 하고, 다시 PBST를 이용하여 세 번 씻어준 후 마운팅(mounting) 용액을 넣어주고 커버글라스를 덮었다. 염색된 슬라이드를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Confocal microscopy, Ziess)을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방법으로 촬영된 이미지를 가지고 Axiovert 4.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해안테나(AhR) 단백질의 발현을 정량하였다. 무처리 대조군의 AhR발현 비율을 100%으로 정하고, 이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을 각각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샘플 AhR 발현 비율(%)
대조군 100
매연/배기가스 157
녹차 다당체 + 매연/배기가스 129
송이추출물 + 매연/배기가스 137
녹차 다당체 + 송이추출물 + 매연/배기가스 99
도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각각의 녹차 다당체와 송이버섯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AhR의 발현이 어느 정도 감소되었으나, 녹차 다당체와 송이버섯 추출물을 함께 처리할 경우에는 매연/배기가스로 처리되지 않은 무처리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AhR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었다.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매연 및 배기가스는 AhR 발현을 대조군에 비교하여 157%로 증가해 각질형성세포에서 공해 안테나 단백질(AhR)을 핵 안으로 이동시키고 발현을 증가켰으며, 녹차 다당체와 송이버섯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면 공해 안테나 단백질의 발현량이 129%, 137%로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었으나, 녹차 다당체 및 송이버섯 추출물을 함께 처리할 경우에는 공해 안테나 단백질의 이동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이의 발현량을 무처리 대조군 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녹차 다당체와 송이버섯 추출물을 함께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속으로 유해 신호를 전달할 때 활성화되는 공해 안테나인 AhR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항노화 작용이 우수하며 외부 유해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시험예 3] 녹차 다당체 및 송이버섯 추출물의 항염 효과
2-1.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 생성 억제 확인
DMEM 배지에 5%의 우태아혈청, 100IU의 페니시린G를 첨가한 배지에 섬유아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104 세포수/웰이 되도록 분주하였다. 다음날 FBS와 페놀 레드가 없는 DMEM 배지로 갈아주고, 다시 24시간 후에 물질을 처리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DMSO를 0.1%로 처리하고, 자동차 매연 400ppm, 녹차 다당체 50ppm과 송이 10ppm을 각각의 웰에 처리한 후 37℃ 온도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배양배지를 수거하여 PGE2 ELISA kit(KGE004, R&D systems)을 이용하여 PGE2 양을 측정하였다. 무처리 대조군의 PGE2 생성량을 100%으로 정하고, 이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을 각각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샘플 PGE2(염증 유발 인자) 생성 비율(%)
대조군 100
매연/배기가스 185
녹차 다당체 + 매연/배기가스 115
송이추출물 + 매연/배기가스 135
녹차 다당체 + 송이추출물 + 매연/배기가스 67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자동차 매연에 의해 185%로 증가한 PGE2의 양이 녹차 다당체와 송이버섯 추출물 각각에 의해 115%, 135%로 감소되었으며, 녹차 다당체와 송이버섯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는 경우에는 염증 유발 인자가 67%로 무처리 대조군 보다 더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녹차 다당체와 송이버섯 추출물에 의한 항염 시너지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녹차 다당체 및 송이버섯 추출물을 함께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PGE2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항염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녹차 다당체 및 송이버섯 추출물의 자동차 매연에 의한 공해 안테나 단백질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Claims (7)

  1. 녹차 다당체(Green tea polysaccharide) 및 송이버섯(Tricholoma matsutak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녹차 다당체 및 송이버섯 추출물은 각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다당체 및 송이버섯 추출물을 1.0:10.0~10.0:1.0의 혼합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90102325A 2009-10-27 2009-10-27 녹차 다당체 및 송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93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325A KR101193725B1 (ko) 2009-10-27 2009-10-27 녹차 다당체 및 송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US12/700,074 US8852655B2 (en) 2009-10-27 2010-02-04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reen tea polysaccharide and tricholoma matsutake extract
JP2010240422A JP5795707B2 (ja) 2009-10-27 2010-10-27 緑茶多糖体及び松茸抽出物を含有する抗炎症及び抗酸化用化粧料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325A KR101193725B1 (ko) 2009-10-27 2009-10-27 녹차 다당체 및 송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662A KR20110045662A (ko) 2011-05-04
KR101193725B1 true KR101193725B1 (ko) 2012-10-22

Family

ID=43898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325A KR101193725B1 (ko) 2009-10-27 2009-10-27 녹차 다당체 및 송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52655B2 (ko)
JP (1) JP5795707B2 (ko)
KR (1) KR1011937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7934B2 (ja) * 2011-10-14 2016-08-24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染毛剤組成物
CN104837528B (zh) * 2012-12-17 2020-03-03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外用组合物
EP2931376B1 (en) * 2012-12-17 2017-07-26 Unilever N.V. Topical composition
KR102052522B1 (ko) * 2013-09-11 2019-12-06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N107014761A (zh) * 2017-02-28 2017-08-04 梧州市雅正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六堡茶提取物中茶多糖的检测方法
CN107151275A (zh) * 2017-07-19 2017-09-12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茶多糖提取物及其在皮肤外用剂中的应用
KR102138001B1 (ko) * 2018-08-24 2020-07-2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항염증 효과가 증진된 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87896B1 (ko) 2019-01-24 2020-12-08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세포보습, 세포간 보습, 피부 장벽보습에 효과적인 화장료 조성물
CN110354050B (zh) * 2019-07-25 2022-02-11 伯德创研(广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延缓衰老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CN112979490B (zh) * 2021-03-03 2022-11-25 深圳海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化合物、组合物及其在制备具有抗氧化或抗炎作用的产品中的应用
KR102488079B1 (ko) 2021-08-02 2023-01-17 주식회사 참존 타트체리, 비트뿌리, 표고버섯 및 송이버섯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5487266B (zh) * 2022-08-25 2023-09-01 无限极(中国)有限公司 一种具有内皮素抑制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912B1 (ko) * 2005-12-30 2007-03-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녹차 잎에서 분리된 산성 다당류를 함유하는 피부 여드름간균과 아토피 황색 포도상 구균의 인체 세포결합 저해활성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7016A (ja) * 1992-05-15 1993-12-03 Tanabe Seiyaku Co Ltd 天然酸化防止剤
JP3536111B2 (ja) * 1992-06-29 2004-06-07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ムコ多糖類断片化抑制剤および化粧料
JPH0665575A (ja) * 1992-08-24 1994-03-08 Tanabe Seiyaku Co Ltd 天然酸化防止剤
KR100451444B1 (ko) 2001-10-19 2004-10-06 이석일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MX2008012065A (es) * 2006-03-23 2008-10-07 Herbalscience Singapore Pte Ltd Extractos y metodos que comprenden especies de te verde.
JP2007320870A (ja) * 2006-05-30 2007-12-13 Kureha Corp 皮膚荒れの予防・治療剤および食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912B1 (ko) * 2005-12-30 2007-03-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녹차 잎에서 분리된 산성 다당류를 함유하는 피부 여드름간균과 아토피 황색 포도상 구균의 인체 세포결합 저해활성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93903A (ja) 2011-05-12
KR20110045662A (ko) 2011-05-04
US20110097356A1 (en) 2011-04-28
US8852655B2 (en) 2014-10-07
JP5795707B2 (ja)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725B1 (ko) 녹차 다당체 및 송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06473987B (zh) 美白抗衰组合物和化妆品
KR100858629B1 (ko) 편백 추출물, 해송 추출물 및 백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활력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94767B1 (ko) 풋사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34449A (ko) 행운목과 토끼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326556B1 (ko) 오이풀 및 꼬리풀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15996B1 (ko)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1B1 (ko)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25244A (ko) 애기동백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9793A (ko) 화장료 조성물
KR102477053B1 (ko) 자감초, 향부자 및 강황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56710B1 (ko) 활성물질이 증진된 인삼 꽃 복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14842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441190B1 (ko) 비양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3544A (ko) 겨우살이, 편백나무, 참나무 및 동백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37293B1 (ko) 포제 처리된 감국 또는 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4203B1 (ko) 해양식물 유래 뮤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11147833A (ja) コラゲナーゼ阻害剤
KR101978145B1 (ko) 황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및 차전자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ES2420514B1 (es) Formulaciones y extractos de Erica erigena para luchar contra el envejecimiento cut�neo
KR102107196B1 (ko) 연복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5020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태양 광선에 의한 두피 및 모발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2522B1 (ko)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0967805B1 (ko) 새우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090097232A (ko) 가막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