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252B1 - 수계 구리 나노잉크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계 구리 나노잉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252B1
KR101192252B1 KR1020100044710A KR20100044710A KR101192252B1 KR 101192252 B1 KR101192252 B1 KR 101192252B1 KR 1020100044710 A KR1020100044710 A KR 1020100044710A KR 20100044710 A KR20100044710 A KR 20100044710A KR 101192252 B1 KR101192252 B1 KR 101192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id
ink
ink composition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145A (ko
Inventor
류병환
정선호
최영민
이선숙
송해천
이지윤
이병석
오석헌
김의덕
백충훈
손원일
박선진
Original Assignee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4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252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6Inkjet printing inks based on non-aqueous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solvents, pigments or dy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수성으로 표면 개질한 평균입경이 100nm 이하의 구리 나노입자 20 ~ 70 중량%, 물 10 ~ 45 중량%, 다가알콜 15 ~ 40 중량% 및 수계분산제 0.1 ~ 2 중량%를 포함하는 디지털프린팅용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농도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은 우수한 내산화성을 가지며 수계 조성물이므로 환경친화적이다. 또한, 유연기판과의 접착성이 우수하며, 잉크 젯팅성 및 배선의 선폭 제어가 용이하여 디지털인쇄용으로 적합하다.

Description

수계 구리 나노잉크 조성물{Aqueous Copper nano ink}
본 발명은 수계 구리 나노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한 구리 나노입자를 표면처리하여 친수화 한 후 수계용매에서 유기첨가제를 첨가하여 구리 나노잉크의 분산안정성이 높고 잉크 젯팅이 가능한 수계 구리 잉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PCB 및 FPCB의 배선형성 공정은 환경 친화적이지 못한 화학적 에칭공정을 사용하므로, PCB 및 FPCB의 Cu 배선형성을 하기위한 조성물 제조 시 친환경적이고, 제품의 단가를 낮출 필요성 있다. 따라서 다이렉트 패터닝에 의한 배선형성을 위하여 디지털프린팅용 Cu 수계 잉크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다이렉트 패터닝에 의한 Cu 잉크는 분산안정성과 Cu입자의 산화방지 그리고 배선 패터닝 및 열처리 후 기판과의 접착력 향상 등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PCB나 FPCB 배선의 전기전도도, 배선폭, 균일성 등의 품질향샹을 위하여 Cu 잉크의 고형분 함량 증대 및 낮은 점도, 그리고 젯팅성 등도 중요한 요소이다.
구리잉크는 도선재료로서 전도도가 높고(은의 95%) 가격이 저렴한 특성 때문에 반도체 및 PCB 분야 등 전자산업 분야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인쇄전자 분야에서도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금이나 은과 같은 귀금속에 비하여 산화되기 쉬워 내산화성을 갖는 잉크의 제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주로 기존에 제조된 카파잉크는 유기용매로 혼합한 것이 대부분이다.
본 발명은 기재와의 접착성이 우수하며, 잉크 젯팅성 및 배선의 선폭 제어가 용이한 디지털 인쇄가 가능한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용매계에서 용액환원법으로 구리 나노입자을 합성하고 (1) 입자의 친수처리에 의해 수계 용매계에서 내산화성이 우수하고, (2) 유기 분산제를 첨가하여 수계 구리 나노입자의 분산을 촉진하고, (3) 유기 바인더를 첨가하여 잉크젯팅에 의한 배선 형성 후 폴리이미드 필름과 결합력 증진시키고 (4) 친환경적인 용매를 사용한 수계 구리 나노잉크의 수계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용액환원법으로 합성한 구리 나노입자를 표면처리를 한 후 구리 나노입자의 분산성 향상과 구리 배선의 폴리이미드 필름과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친환경적인 구리배선용 잉크를 제조할 목적으로 물과 다가 알콜의 혼합용액에 분산시킨 내산화성이 증진된 친환경형 수계 구리 잉크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친수성으로 표면 개질한 평균입경이 100nm 이하의 구리 나노입자 20 ~ 70 중량%, 물 10 ~ 45 중량%, 다가알콜 15 ~ 40 중량% 및 수계분산제(고형분 함량 기준) 0.1 ~ 2 중량%를 포함하는 디지털프린팅용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조성물은 바인더 0.01 ~ 1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프린팅용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a) 용액환원법 또는 기상법으로 평균입경이 100nm 이하인 구리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단계;
b)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표면개질액에 상기 구리 나노입자를 적하하여 표면개질 반응하고 과량의 개질제를 세정하는 단계;
c) 상기 표면 개질한 평균입경이 100nm 이하의 구리 나노입자 20 ~ 70 중량%, 물 10 ~ 45 중량%, 다가알콜 15 ~ 40 중량% 및 수계분산제 0.1 ~ 2 중량%를 포함하는 디지털인쇄용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구리를 나노입자로 합성하는 경우, 금속 소재의 녹는점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가 있고, 300℃ 이하의 온도에서의 저온 열처리를 통해 전극용 전도성 피막을 형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리의 녹는점은 1083℃이지만 구리 입자의 지름이 100nm 이하가 되면 단위 부피당 표면적이 넓어져 입자의 표면 에너지가 급격히 높아지고 구리 입자끼리는 녹는점 이하의 온도에서도 융착되기 시작한다. 즉 표면적을 축소하여 안정 상태가 되려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입자 크기에 따라 300℃ 이하의 온도에서도 입자들이 융착할 수 있고 자연스럽게 치밀한 금속 피막을 얻을 수 있으며 금속 피막의 저항 값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이 100nm 이하의 크기로 합성된 구리 입자를 사용하여 디지털 인쇄가 가능한 잉크조성물을 제공하고자 연구하였으며, 환경친화적인 수계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잉크 분산계의 점탄성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기 분산제 및 바인더의 잉크 배합비의 최적화를 통하여 젯팅성 제어 향상, 그리고 젯팅성 제어를 위한 잉크의 토출성, 액적의 크기, 젯팅속도 등의 제어를 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인쇄용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은 표면 개질한 평균입경이 100nm 이하의 구리 나노입자 20 ~ 70 중량%, 물 10 ~ 45 중량%, 다가알콜 15 ~ 40 중량% 및 수계분산제 0.1 ~ 2 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와의 접착성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상기 조성물에 바인더 0.01 ~ 1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인쇄용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은 1 ~ 1000/S범위에서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점도가 5 ~ 50 cP인 것이 잉크젯팅 등 인쇄가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며,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사용하는 경우 점도가 5 ~ 50 cP이고, 분산안정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리잉크 조성물 제조 시 사용되는 상기 수계분산제는 잉크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 고분자 전해질의 공중합체,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에는 폴리아크릴산염, 폴리메타아크릴산염, 폴리스타이렌술폰산염, 리그닌술폰산염이 있다. 이들 염에는 소듐염, 암모늄염, 아민염, 알킬올암모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고분자 전해질의 공중합체는 고분자전해질과 에틸렌, 아크릴아마이드, 에틸렌글리콜, 비닐 등과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비이온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로리돈 및 폴리비닐알콜 등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분자량은 3,000 ~ 4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미만인 경우는 분산의 효과가 떨어지고, 40,000를 초과하는 경우는 응집체를 형성하여 역시 잉크의 분산성을 저해하므로 상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로 시판되고 있는 것으로는 Chemie사의 BYK 시리즈 등이 있다. 특히 BYK-190을 사용하는 경우 물에 분산된 수계분산제로써, 분산안정성이 1 ~ 3개월까지 유지될 수 있다. 그 함량은 0.1 ~ 2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분산성이 우수하면서 낮은 점도의 잉크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다가알콜은 잉크 사용 시 공정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비점이면서 물과 상용성이 좋은 용매를 선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트리에틸렌글리콜(trieth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헥실렌 글리콜(hex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물과 다가알콜과 용해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저비점의 알콜용매가 추가되기도 한다.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2-메톡시 에탄올(2-methoxy ethanol), 펜틸 알코올(pentyl alcohol), 헥실알코올(hexyl alcohol), 부틸알코올(butyl alcohol), 옥틸알코올(octyl alcohol), 포름아미드(Form amide),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에틸알코올(ethyl alcohol), 메틸알코올(methyl alcohol), 아세톤(acet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2메톡시에탄올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분산안정성이 1 ~ 3개월까지 유지될 수 있다. 그 함량은 15 ~ 4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5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잉크의 용매 비점이 너무 낮아져 상용시 공정의 안정성이 낮아지고,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잉크 용매이 비점이 너무 높아져 잉크의 용매건조성이 낮아 공정의 불안정을 초래한다.
상기 물은 수계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10 ~ 45 중량%를 사용한다. 1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잉크의 비점이 너무 높아지고, 4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구리 잉크의 증발이 너무 빠르게 진행하여 사용상 안정성이 낮아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리 나노입자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모든 방법으로 합성된 구리 나노 입자를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액환원법 또는 기상법으로 합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친수성으로 표면개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액환원법은 톨루엔, 헥산, 헵탄, 1-옥타데신, 테트라데칸과 같은 유기용매상에서 환원제를 사용하여 구리나노입자를 합성하는 방법으로, 이때 제조되는 구리 나노입자는 뭉침 방지 및 산화 안정성을 위해 올레인산, 카프로인산, 스테아린산 등과 같은 탄소수 6 내지 20의 지방산, 혹은 올레일 아민, 부틸 아민, 옥틸 아민 등과 같은 탄소수 4 내지 18의 지방산 아민에 의해 그 표면이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입자는 금속염 용액을 제조한 후 용매의 끓는점 부근에서 환원제를 주입하여 급속환원시킴으로써 입자 크기를 100nm 이하로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구리입자는 입경이 100nm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 60nm의 크기로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가 100nm를 초과하는 경우 열처리온도가 높아지고 미세노즐을 통과하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의 구리나노입자 분산액이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PCB)등의 정밀 배선에 적용시키기 어렵다. 한편 입자가 20nm 미만인 경우 표면에서의 반응성이 심화되어 입자표면에 산화층의 생성이 용이하며 입자의 응집이 가속화될 수 있다. 또한 산화안정성과 분산안정성을 위한 리간드 층의 비중이 늘어나게 되므로 잉크 용액의 점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소결 후 배선에 잔존하여 배선의 비저항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상기와 같이 용액환원법에 의해 100nm 이하의 크기로 합성한 구리 나노입자를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표면개질액에 처리하여 표면을 친수화 처리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러한 표면개질된 구리 나노입자는 20 ~ 7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중량% 미만인 경우는 잉크의 농도가 낮아 반복적인 젯팅이 필요하거나 또는 배선형성 후 배선의 단락이 쉽게 일어나고, 7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잉크의 점도가 높아져 젯팅이 어려워진다.
상기 표면개질액은 용매 80 ~ 95 중량%, 계면활성제 1 ~ 10 중량%, 분산제 1 ~ 6 중량% 및 유기산 1 ~ 5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표면개질액에 사용되는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3가 부탄올, 3가 아밀 알콜, 메틸 글리콜, 부톡시 에탄올, 메톡시프로판올, 메톡시프로폭시프로판올, 에틸렌글리톨, 에틸렌글리콜의 수용성 올리고머,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의 수용성 올리고머, 글리세롤 등의 알콜류;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글리세롤 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디옥산 등의 케톤류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은 80 ~ 9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분산제 및 계면활성제의 용해도를 높이고 교반공정에 유리한 점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개질액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구리입자의 표면을 친수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인아민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n-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n-노닐페닐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라우레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구리나노입자의 지방산 리간드와 결합력이 좋은 올레인아민기를 지니는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인아민 에테르를 사용한다. 그 함량은 1 ~ 1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계면활성제가 충분히 입자 표면을 둘러싸지 못해 입자의 분산안정성이 저하되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입자를 둘러싼 유기물층의 두께가 증가하여 소결 후 배선에 잔존할 수 있다.
상기 표면개질액에 사용되는 분산제는 표면개질시 입자의 독립을 유지하여 각입자의 고른 표면개질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폴리디메틸실란, 폴리에스터산 알킬올암모늄염, 폴리아크릴산 알킬올암모늄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은 1 ~ 6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개질액에 사용되는 유기산은 옥살산, 리포산, 요산, 카로틴, 우비퀴놀, 말론산,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멜라토닌(melatonin), p-하이드라진 벤조설폰산, 아스코르빈산, 포름산 및 올-트랜스 레티노산(all-trans Retinoic Acid)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은 1 ~ 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계 잉크 조성물은 기재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바인더를 0.01 ~ 1 중량%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범위에서 점도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기재와의 접착성이 향상된다.
상기 바인더는 페닐기와 아릴기, 또는 비닐기가 존재하는 고분자물질로서 이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기재와의 접착성이 우수하면서도, 점도가 적절한 수계 잉크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poly(sodium 4-styrene-sulfonate), Poly(styrene-alt-maleic acid) sodium salt, Poly(styrene-co-maleic acid)partial isobutyl ester, Poly(styrene-alt-maleic anhydride), Poly(styrene-co-maleic anhydride),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 alcohol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 ~ 50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인더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너무 작으면 바인더로 역할이 어렵고, 분자량이 너무 크면, 잉크의 점성을 크게 증가시키므로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은 볼밀링 등의 방법을 통하여 분상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을 인쇄를 통해 기판에 도포한 후, 300℃이하의 온도에서 저온 열처리하여 형성한 전극용 전도성 피막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한다. 상기 기판은 폴리이미드 기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판, ITO 기판, 유리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방법은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미세 접촉 프린팅 (micro-contact printing), 임프린팅(imprinting), 그라비아 프린팅(gravure printing), 그라비아-옵셋 프린팅(gravure-offset printing), 플렉소 프린팅 (Flexography printing) 및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된 디지털인쇄용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을 박막캐스팅 및 잉크젯 인쇄를 통해 기판에 도포 및 배선을 형성한 후, 300 ℃이하의 온도에서 저온 열처리하여 형성한 전극용 전도성 배선 및 박막도 범위에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배선 및 박막은 PCB 또는 FPCB의 배선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인쇄용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은 수계 조성물이므로 (1) 환경친화적이고, (2) 분산안정성이 우수하여 잉크젯팅 등 프린팅 시 프린팅성이 향상된다.
또한, (3) 구리나노입자의 표면개질과정에서 잉크 내 구리나노입자의 내산화성이 향상되며, 저온분해성 유기물을 사용하므로 전기전도도가 향상된다.
또한, (4) 배선접착력이 우수하므로 PI필름 위에 인쇄 및 열처리 후 배선의 전도성이 발현된 후 구리배선의 접착력이 향상되어, 프린팅에 의한 배선형성이 용이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을 사용하면 잉크젯 프린팅을 통하여 전도성 패턴을 쉽고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저온에서의 열처리로 전도성을 가지게 할 수 있으므로 PCB, FPCB,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전자태그, 디스플레이 등에의 적용이 가능 하므로 다양한 전기/전자 부품 산업 분야에 응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Cu 나노입자의 T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수계 분산된 입자의 T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수계 잉크 조제 후 경과시간에 따른 300 ℃에서 열처리한 구리의 비저항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젯팅 액적의 이미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배선의 이미지를 나타낸 사진이다.
(a) orifice diameter : 50 ㎛ (linewidth : 57 ㎛) (b) orifice diameter : 30 ㎛ (linewidth : 46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프린팅 패턴의 표면(단면)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orifice diameter : (a) 50 ㎛, (b) 30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계 구리나노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잉크젯 프린팅을 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 예에 의하여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물성은 하기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1) 점도
레오미터(Anton Paar, Phsica MCR 101 모델)를 이용하여 100/S 범위에서 점도를 측정하였다.
2) 분산안정성
제조한 잉크를 분산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5mL 시험관 튜브에 담고 침강시간을 관찰하였다.
3) 전도성 배선 패터닝 형성 및 비저항 측정
제조된 잉크조성물을 이용하여 잉크젯장비(기기명; UJ100, 유니젯사, Korea)를 사용하여 패터닝을 하였으며, 노즐(마이크로팹, 30㎛, 50㎛ 직경)을 통하여 피에조 방식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 젯팅하여 4.8pL와 8.1 pL의 액적을 형성(조건; 25 V pulse lasting 15 ms at a frequency of 1000 Hz)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57 ㎛ 및 46㎛의 마이크로미터의 배선을 각각 형성하였으며, 도 5에 나타내었다.
이를 80 ℃ 진공 건조한 후 10-7 torr 진공 하에서 300 ℃ 1시간 열처리하여 4단자법에 의하여 비저항을 측정하였다. (배선의 단차 측정 방법; 좌측에서 우측으로 길이는 500㎛, 속도는 10㎛/sec 로 측정 (기기명; Alpha-step IQ, KLATencor)
4) 잉크의 내산화성
잉크의 내산화 안정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수계 구리잉크 제조 후 시간에 따라 잉크를 박막으로 코팅(cast film)하여 300 ℃에서 열처리 후 4단자법으로 비저항을 측정하였고, 열처리 후 잉크젯팅한 배선과 박막의 비저항을 비교하였다.
5) 접촉각 측정
접촉각 측정법은 기판을 밑에 놓고 5ml 주사기에 구리 잉크를 넣고 실린지 펌프로 서서히 밀어내어 구리 잉크방울을 PI 필름 기판 위에 떨어뜨린다. 이때 접촉각 측정기(SEO300A, Surfacr and Electro-Optics 사, 한국)기를 이용하여 기판 위에 떨어진 잉크의 젖음 상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잉크의 젖음 곡면과 기판과의 각을 측정하였다.
6) 접착력 측정
배선이 형성된 기판의 모서리를 테이프를 붙여 고정한 후 형성된 배선 위를 3M 테이프로 붙인 후 지우개로 3회 문지르고 테이프를 떼어낸 후 남아있는 배선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남아있는 양을 면적비(%)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잔유율이 95% 이상이면 우수, 80 ~ 90%이면 좋음, 80% 이하이면 나쁨으로 하였다.
[실시 예 1]
구리나노입자의 합성
금속 전구체로 구리아세테이트(Copper acetate) 50g과 올레인산 30g을 톨루엔 300ml에 70℃에서 녹이고, 환원제로 하이드라진 50g을 투입하여 반응시켰다. 질소분위기에서 반응 온도를 분당 10℃로 증가시켜 100℃로 유지시키면 초기의 푸른색이 점차 붉은 색으로 변화하였다. 2시간 반응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에탄올을 가해 세척하였다. 나노입자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그 결과 30nm 크기의 구리 나노입자가 제조되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Cu 나노입자의 TEM 이미지는 도 1에 나타내었다.
구리 나노입자의 표면개질
상기 제조된 구리 나노입자 2g을 톨루엔 50g에 용해하고 호모게나이저로 30분간 고르게 분산하였다. 표면개질액으로 메탄올 100g에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인아민 에테르(Wako, 중량평균분자량 1000) 5g, BYK180(BYK Chemie, 고형분함량 40 중량%) 3g, 옥살산 3g이 용해되어 있는 용액을 준비한 후, 여기에 상기 구리 나노입자 분산액을 10ml/min의 속도로 적하하였다. 적하가 끝난 후 30분간 반응시켰다. 에탄올로 세척하여 원심분리기에서 회수하였다. 이렇게 수계 분산된 입자의 TEM 이미지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분석결과 30nm 이하의 입자가 입경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친수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계 카파 나노입자 잉크 조성물 제조
약 30mL 용적의 HDPE 용기에 상기 친수화된 구리나노입자 10g, 물 4.8g, 에틸렌글리콜 4.8g, 글리세롤 1.3g, 이소프로필알코올 3.8g의 용매와 분산제 BYK 190(고형분함량 40 중량%) 0.9g과 2mm 직경의 ZrO2 볼을 50g 을 넣고 진동 볼밀링을 1시간 하여 구리잉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잉크의 점도는 약 10 cP이었으며, 잉크의 분산안정성은 침강특성 결과에 의하면 3 개월 정도 유지되었다.
배선형성
제조된 잉크조성물을 이용하여 잉크젯장비(기기명; UJ100, 유니젯사, Korea)를 사용하여 패터닝을 하였으며, 노즐(마이크로팹, 30㎛, 50㎛ 직경)을 통하여 피에조 방식으로 요구 시 패턴방식으로 잉크 젯팅하여 4.8pL와 8.1 pL의 액적을 형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약 60 ㎛이하의 패턴을 형성하였다. 이를 80 ℃ 진공 건조한 후 10-7 torr 진공 하에서 300 ℃ 1시간 열처리하여 4단자법에 의하여 비저항을 측정하였다.
잉크의 내산화성을 유지한 결과 배선의 비저항은 10μΩ㎝으로 내산화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접촉각은 26±2도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2]
수계 구리 잉크 조성물 제조 시 물 6.2g, 에틸렌글리콜 4.0g, 글리세롤 1.0g, 이소프로필알코올 3.3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제조된 잉크의 점도는 약 8.5 cP이었으며, 잉크의 분산안정성은 침강특성 결과에 의하면 3 개월 정도 유지되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선을 형성한 비저항을 측정한 결과, 9μΩ㎝으로 내산화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접촉각은 32±2도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3]
수계 구리 잉크 조성물 제조 시 물 7.6g, 에틸렌글리콜 3.4g, 글리세롤 0.9g, 이소프로필알코올 2.7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제조된 잉크의 점도는 약 6.6 cP이었으며, 잉크의 분산안정성은 침강특성 결과에 의하면 3 개월 정도 유지되었다.
배선을 형성한 후 전기전도도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전기비저항은 1개월 동안 약 8μΩ㎝ 정도의 비저항값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4단자법으로 내산화성을 측정한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의 내산화 안정성이 유지되고 있었다.
또한 접촉각은 38±2도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4]
수계 구리 잉크 조성물 제조 시 물 9.0g, 에틸렌글리콜 2.7g, 글리세롤 0.7g, 이소프로필알코올 2.1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제조된 잉크의 점도는 약 5.3 cP이었으며, 잉크의 분산안정성은 침강특성 결과에 의하면 3 개월 정도 유지되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선을 형성한 비저항을 측정한 결과, 9μΩ㎝으로 내산화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접촉각은 37±2도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5]
수계 구리 잉크 조성물 제조 시 물 10.4g, 에틸렌글리콜 2.0g, 글리세롤 0.5g, 이소프로필알코올 1.6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제조된 잉크의 점도는 약 4.4 cP이었으며, 잉크의 분산안정성은 침강특성 결과에 의하면 2 개월 정도 유지되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선을 형성한 비저항을 측정한 결과, 10μΩ㎝으로 내산화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접촉각은 41±2도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6]
수계 구리 잉크 조성물 제조 시 친수화된 구리나노입자 5g, 물 9.7g, 에틸렌글리콜 4.7g, 글리세롤 1.2g, 2-메톡시에탄올 3.7g의 용매와 분산제 BYK 190(고형분함량 40 중량%) 0.2g을 넣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제조된 잉크의 점도는 약 4.8 cP이었으며, 잉크의 분산안정성은 침강특성 결과에 의하면 2 개월 정도 유지되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선을 형성한 비저항을 측정한 결과, 21μΩ㎝으로 내산화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접촉각은 32±2도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7]
수계 구리 잉크 조성물 제조 시 분산제 BYK 190(고형분함량 40 중량%) 0.4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제조된 잉크의 점도는 약 20 cP이었으며, 잉크의 분산안정성은 침강특성 결과에 의하면 1 개월 정도 유지되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선을 형성한 비저항을 측정한 결과, 10μΩ㎝으로 내산화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접촉각은 34±2도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8]
수계 구리 잉크 조성물 제조 시 분산제 BYK 190(고형분함량 40 중량%) 0.7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제조된 잉크의 점도는 약 50 cP이었으며, 잉크의 분산안정성은 침강특성 결과에 의하면 1 개월 정도 유지되었다.
박막을 형성한 후 비저항을 측정한 결과, 10μΩ㎝으로 내산화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접촉각은 33±2도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9]
수계 구리 잉크 조성물 제조 시 친수화된 구리나노입자 7.5g, 물 8.4g, 에틸렌글리콜 4.0g, 글리세롤 1.0g, 이소프로필알코올 3.2g의 용매와 분산제 BYK 190(고형분함량 40 중량%) 0.6g을 넣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제조된 잉크의 점도는 약 4.8 cP이었으며, 잉크의 분산안정성은 침강특성 결과에 의하면 3 개월 정도 유지되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선을 형성한 비저항을 측정한 결과, 11μΩ㎝으로 내산화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접촉각은 37±2도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10]
수계 구리 잉크 조성물 제조 시 친수화된 구리나노입자 12.5g, 물 5.6g, 에틸렌글리콜 2.7g, 글리세롤 0.7g, 이소프로필알코올 2.2g의 용매와 분산제 BYK 190(고형분함량 40 중량%) 1.1g을 넣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제조된 잉크의 점도는 약 14 cP이었으며, 잉크의 분산안정성은 침강특성 결과에 의하면 3 개월 정도 유지되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선을 형성한 비저항을 측정한 결과, 10μΩ㎝으로 내산화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접촉각은 37±2도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11]
수계 구리 잉크 조성물 제조 시 친수화된 구리나노입자 10g, 물 7.6g, 에틸렌글리콜 3.4g, 글리세롤 0.9g, 이소프로필알코올 2.7g의 용매와 분산제 BYK 190(고형분함량 40 중량%) 0.9g 및 polystyrene Maleic acid Na salt (PSM) (중량평균분자량 65,000)의 5% 수용액을 0.36g 넣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제조된 잉크의 점도는 약 5.3 cP이었으며, 잉크의 분산안정성은 침강특성 결과에 의하면 3 개월 정도 유지되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선을 형성한 비저항을 측정한 결과, 12μΩ㎝으로 내산화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2]
수계 구리 잉크 조성물 제조 시 polystyrene Maleic acid Na salt (PSM) (중량평균분자량 65,000)의 5% 수용액을 0.9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제조된 잉크의 점도는 약 5.2 cP이었으며, 잉크의 분산안정성은 침강특성 결과에 의하면 3 개월 정도 유지되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선을 형성한 비저항을 측정한 결과, 13μΩ㎝으로 내산화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접촉각은 31±2도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13]
수계 구리 잉크 조성물 제조 시 polystyrene Maleic acid Na salt (PSM) (중량평균분자량 65,000)의 5% 수용액을 1.8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제조된 잉크의 점도는 약 7.7 cP이었으며, 잉크의 분산안정성은 침강특성 결과에 의하면 3 개월 정도 유지되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선을 형성한 비저항을 측정한 결과, 11μΩ㎝으로 내산화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접촉각은 39±2도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14]
수계 구리 잉크 조성물 제조 시 polystyrene Maleic acid Na salt (PSM) (중량평균분자량 65,000)의 5% 수용액을 2.2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제조된 잉크의 점도는 약 9.8 cP이었으며, 잉크의 분산안정성은 침강특성 결과에 의하면 3 개월 정도 유지되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선을 형성한 비저항을 측정한 결과, 15μΩ㎝으로 내산화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5]
수계 구리 잉크 조성물 제조 시 polystyrene Maleic acid Na salt (PSM) (중량평균분자량 65,000)의 5% 수용액을 2.7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제조된 잉크의 점도는 약 37.6 cP이었으며, 잉크의 분산안정성은 침강특성 결과에 의하면 3 개월 정도 유지되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선을 형성한 비저항을 측정한 결과, 20μΩ㎝으로 내산화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접촉각은 34±2도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16]
수계 구리 잉크 조성물 제조 시 실시예 12와 동일한 조성에 단지 polystyrene Maleic acid Na salt (PSM) (중량평균분자량 65,000)의 5% 수용액을 3.6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제조된 잉크의 점도는 약 37.6 cP이었으며, 잉크의 분산안정성은 침강특성 결과에 의하면 3 개월 정도 유지되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선을 형성한 비저항을 측정한 결과, 22μΩ㎝으로 내산화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접촉각은 41±2도로 측정되었다.
[비교예 1]
수계 구리 잉크 조성물 제조 시 물은 넣지 않고, 에틸렌글리콜 6.8g, 글리세롤 1.8g, 이소프로필알코올 5.4g의 용매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제조된 잉크의 점도는 약 31.8 cP이었으며, 잉크의 분산안정성은 침강특성 결과에 의하면 3 개월 정도 유지되었다. 그러나 점도가 높아 잉크젯팅이 불가능하였다.
[비교예 2]
수계 구리 잉크 조성물 제조 시 분산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제조된 잉크의 점도는 약 23 cP이었으며, 잉크의 분산안정성은 침강특성 결과에 의하면 1 개월 정도 유지되었다. 그러나 점도가 높아 잉크젯팅이 불가능하였다.
[비교예 3]
수계 구리 잉크 조성물 제조 시 친수화된 구리나노입자 15g, 물 4.3g, 에틸렌글리콜 2.0g, 글리세롤 0.5g, 이소프로필알코올 1.6g의 용매와 분산제 BYK 190(고형분함량 40 중량%) 1.3g을 넣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다.
제조된 잉크의 점도는 약 94 cP이었으며, 잉크의 분산안정성은 침강특성 결과에 의하면 1 개월 정도 유지되었다.
그러나 분산제의 함량범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 잉크 젯팅이 불가능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결과를 표 1 ~ 3에 정리하였다.
[표 1] 물의 함량 변화에 따른 잉크 및 배선의 특성
Figure 112010030679066-pat00001
실시예 1~5와 비교예 1로부터, 구리나노입자가 40중량% 포함된 구리 잉크의 점도는 모두 10 cP 이하로 매우 낮은 점성과 함께 뉴톤거동을 나타내었으며, 총합 용매 중 물의 중량%가 증가할수록 잉크의 점도는 더욱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I 필름과 혼합용매의 물양 변화에 따른 구리나노잉크의 접촉각 변화를 확인한 결과, 19 중량% 사용 시 약 25도, 30 중량% 사용 시 40도, 42 중량% 사용 시 약 45도를 나타내어 물 양이 많아질수록 다소 접촉각이 높아지는 경향을 볼 수 있었고 30 중량% 사용 시 배선의 선폭도 60㎛ 이하로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표 2] 20중량% 구리나노입자 사용 시 분산제의 함량에 따른 변화
Figure 112010030679066-pat00002
실시예 6~8과 비교예 2로부터, 분산제 양변화(BYK 190)에 따른 구리나노잉크의 레올로지 거동은 매우 크게 변하고 있으며, 적절한 양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의 경우 분산제를 전혀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다소 낮은 점성 거동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 분산제의 양이 증가한 경우 잉크의 전단담화 현상과 함께 점성을 높게 나타내어 적절한 분산제 양의 최적화는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분산제가 첨가되지 않아도 점도가 높아 잉크로서 적절하지 않으며, 첨가양이 너무 많아도 잉크의 점도가 높아져 잉크젯팅이 어려움이 관찰되었다.
[표 3] 바인더의 함량변화에 따른 물성
Figure 112010030679066-pat00003
바인더 첨가양에 대한 잉크의 점도의 변화가 심하였으며, 실시예 11과 실시예 12의 경우는 무첨가의 경우에 비하여 뉴톤거동을 나타내며 더 낮은 점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3부터는 무첨가의 경우에 비하여 다소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15 및 실시예 10에서는 전담담화현상(thixotropic)과 함께 점도가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접촉각은 큰 변화 없이 30~40도를 나타내어 잉크젯팅 시 배선 형성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접착력의 경우, 바인더가 바인더의 함양이 증가함에 따라 잉크의 점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3M 테잎 시험의 경우, 바인더가 없는 경우는 상온에서는 100%의 잔유량을 보여 접착력이 있었으나, 300도 열처리 후에는 전혀 접착력이 없었다. 그러나 실시예 13의 경우 300도 열처리 후에도 95% 이상 잔류량을 보였다.

Claims (15)

  1. 용액환원법 또는 기상법으로 합성한 후, 용매, 계면활성제, 분산제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표면개질액으로 처리되어 친수성으로 표면 개질된 평균입경 20 ~ 60nm의 구리 나노입자 20 ~ 70 중량%, 물 10 ~ 45 중량%, 친수성 유기용매 15 ~ 40 중량% 및 수계분산제 0.1 ~ 2 중량%를 포함하는 디지털프린팅용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바인더 0.01 ~ 1 중량%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프린팅용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액은 용매 80 ~ 95 중량%, 계면활성제 1 ~ 10 중량%, 분산제 1 ~ 6 중량% 및 유기산 1 ~ 5 중량%를 포함하는 디지털프린팅용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액에 사용되는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3가 부탄올, 3가 아밀 알콜, 메틸 글리콜, 부톡시 에탄올, 메톡시프로판올, 메톡시프로폭시프로판올, 에틸렌글리톨, 에틸렌글리콜의 수용성 올리고머,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의 수용성 올리고머, 글리세롤에서 선택되는 알콜류;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글리세롤 에테르에서 선택되는 에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디옥산에서 선택되는 케톤류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인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n-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n-노닐페닐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라우레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상기 분산제는 폴리디메틸실란, 폴리에스터산 알킬올암모늄염, 폴리아크릴산 알킬올암모늄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상기 유기산은 옥살산, 리포산, 요산, 카로틴, 우비퀴놀, 말론산,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멜라토닌(melatonin), p-하이드라진 벤조설폰산, 아스코르빈산, 포름산 및 올-트랜스 레티노산(all-trans Retinoic Acid)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디지털프린팅용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분산제는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 고분자 전해질의 공중합체,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에서 선택되는 디지털프린팅용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은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스타이렌술폰산, 리그닌술폰산의 소듐염, 암모늄염, 아민염, 알킬올암모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고분자 전해질의 공중합체는 고분자전해질과 에틸렌, 아크릴아마이드, 에틸렌글리콜, 비닐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고분자 공중합체이고, 상기 비이온성 고분자는 폴리비닐피로리돈 및 폴리비닐알콜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디지털프린팅용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분산제의 중량평균분자량은 4,000 ~ 40,000인 디지털프린팅용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유기용매는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트리에틸렌글리콜(trieth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헥실렌 글리콜(hex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e),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2-메톡시 에탄올(2-methoxy ethanol), 펜틸 알코올(pentyl alcohol), 헥실 알코올(hexyl alcohol), 부틸 알코올(butyl alcohol), 옥틸 알코올(octyl alcohol), 포름 아미드(Form amide),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에틸알코올(ethyl alcohol), 메틸알코올(methyl alcohol), 아세톤(acet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디지털프린팅용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poly(sodium 4-styrene-sulfonate), Poly(styrene-alt-maleic acid) sodium salt, Poly(styrene-co-maleic acid)partial isobutyl ester, Poly(styrene-alt-maleic anhydride), Poly(styrene-co-maleic anhydride), Poly(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 alcohol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디지털프린팅용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 ~ 500,000인 디지털프린팅용 수계 구리잉크 조성물.
  12. 제 1항 또는 제 2항의 구리잉크 조성물을 인쇄를 통해 기판에 도포한 후, 300℃이하의 온도에서 저온 열처리하여 형성한 전극용 전도성 피막.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폴리이미드 기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판, ITO 기판, 유리 기판에서 선택되는 전극용 전도성 피막.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방법은 잉크젯 프린팅 (ink-jet printing), 미세 접촉 프린팅 (micro-contact printing), 임프린팅 (imprinting), 그라비아 프린팅 (gravure printing), 그라비아-옵셋 프린팅(gravure-offset printing), 플렉소 프린팅 (Flexography printing) 및 스크린 프린팅 (screen printing)에서 선택되는 전극용 전도성 피막.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피막은 PCB 또는 FPCB의 배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피막.
KR1020100044710A 2010-05-12 2010-05-12 수계 구리 나노잉크 조성물 KR101192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710A KR101192252B1 (ko) 2010-05-12 2010-05-12 수계 구리 나노잉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710A KR101192252B1 (ko) 2010-05-12 2010-05-12 수계 구리 나노잉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145A KR20110125145A (ko) 2011-11-18
KR101192252B1 true KR101192252B1 (ko) 2012-10-17

Family

ID=4539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710A KR101192252B1 (ko) 2010-05-12 2010-05-12 수계 구리 나노잉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2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698A1 (ko) 2012-11-02 2014-05-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내산화성 구리 나노 입자의 제조방법 및 내산화성 구리 나노 입자
KR101433639B1 (ko) * 2013-03-05 2014-08-28 (주) 파루 구리 나노 겔 조성물을 이용한 전도성 나노잉크 및 그 제조 방법
US20150166810A1 (en) * 2013-12-16 2015-06-18 Nano And Advanced Materials Institute Limited Metal Nanoparticle Synthesis and Conductive Ink Formulation
WO2015199459A1 (ko) * 2014-06-25 2015-12-30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수중방전을 이용한 구리 나노입자와 나노잉크의 제조방법
KR101638989B1 (ko) 2015-08-04 2016-07-13 전자부품연구원 구리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전 패턴 형성 방법
KR102645559B1 (ko) * 2020-06-15 2024-03-11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에테르설폰을 포함하는 기판 표면 개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 개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145A (ko) 201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1533B (zh) 低温烧结性优异的金属浆料及该金属浆料的制造方法
KR101192252B1 (ko) 수계 구리 나노잉크 조성물
KR101302345B1 (ko) 전도성 금속 잉크 조성물 및 전도성 패턴의 형성방법
TWI526262B (zh) A fine silver particle powder and a silver paste using the powder
JP4431543B2 (ja) Ag−Pd合金ナノ粒子を用いる配線基板製造方法
KR20130050906A (ko) 저온 소결성 은 나노 입자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전자 물품
KR101356810B1 (ko) 전도성 금속 잉크 조성물 및 전도성 패턴의 형성 방법
EP2253002A2 (en) Additives and modifiers for solvent- and water-based metallic conductive inks
TWI702262B (zh) 金屬奈米微粒子製造用組合物
KR20070113244A (ko) 전자 장치 및 패턴 제조용 잉크젯 인쇄가능한 조성물
JP2011034750A (ja) 導電膜形成用組成物、及び導電膜形成法
JP2007194122A (ja) 導電性ペース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配線基板
JP7262059B2 (ja) 広分布な粒度分布を持つ銀ナノ粒子の製造方法及び銀ナノ粒子
Titkov et al. Conductive inks for inkjet printing based on composition of nanoparticles and organic silver salt
KR20090025894A (ko) 우수한 전도성과 유리 및 세라믹 기판과의 접착력 향상을위한 금속 나노입자와 나노 글래스 프릿을 포함하는 전도성잉크 조성물
CN107614160A (zh) 银微粒分散液
WO2018150697A1 (ja) グラビアオフセット印刷用導電性ペースト、導電性パターンの形成方法、及び、導電性基板の製造方法
KR20110018096A (ko) 잉크젯용 잉크 조성물
TW201819303A (zh) 氧化亞銅粒子、其製造方法、光燒結型組成物、使用其的導電膜的形成方法及氧化亞銅粒子糊
Bae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o-reversible conductive hydrogel toward smart electrodes
KR101468759B1 (ko) 도전성 피막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프라이머 조성물
JP7283703B2 (ja) 広分布な粒度分布を持つ銀ナノ粒子の製造方法及び銀ナノ粒子
JP7097032B2 (ja) 広分布な粒度分布を持つ銀ナノ粒子の製造方法及び銀ナノ粒子
TWI504693B (zh) 低溫燒結性銀奈米粒子組成物及使用該組成物所形成之電子物品
JP2020070489A (ja) 導電性微粒子分散体、導電性パターンの形成方法及び導電性基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