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902B1 - 재활유도형 휠체어 - Google Patents

재활유도형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902B1
KR101191902B1 KR1020120032981A KR20120032981A KR101191902B1 KR 101191902 B1 KR101191902 B1 KR 101191902B1 KR 1020120032981 A KR1020120032981 A KR 1020120032981A KR 20120032981 A KR20120032981 A KR 20120032981A KR 101191902 B1 KR101191902 B1 KR 101191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wheelchair
pedal
fram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길성
Original Assignee
양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길성 filed Critical 양길성
Priority to KR1020120032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61G5/02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having particular propulsion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7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03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four whe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유도형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의 하체를 운동시키는 페달의 구동을 위한 기계적 에너지를 휠체어에 마련된 바퀴로부터 제공받도록 함으로써 페달의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며, 페달의 구동과 관련된 기구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재활유도형 휠체어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재활유도형 휠체어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바퀴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시트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원형의 궤적을 그리면서 회전하는 한 쌍의 페달이 좌우 양측에 구비된 운동기구 하우징; 및 상기 운동기구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양측 바퀴와 연결되어 바퀴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된 기계적 에너지를 상기 한 쌍의 페달로 전달하여 휠체어의 이동시 페달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재활유도형 휠체어{Wheel chair to aid rehabilitation of user}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휠체어에 구비된 바퀴의 회전시 발생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페달을 회전시키고, 이러한 페달에 의해 사용자의 하체가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재활을 도울 수 있도록 한 재활유도형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라 함은 하체의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수동식 휠체어와 전동식 휠체어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수동식 휠체어는 사용자가 휠체어의 양측에 마련된 바퀴를 직접 회전시켜 주행력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보호자가 휠체어를 밀어 주행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의 휠체어를 의미하고, 상기 전동식 휠체어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주행장치가 휠체어에 탑재되어 주행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동하는 휠체어를 의미한다.
한편 종래의 휠체어는 수동식 휠체어, 전동식 휠체어를 불문하고 하체의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사용한다는 인식하에 사용자의 하체 운동에 관한 부분은 간과한 채 설계 및 제작되고 있다.
즉 수동식 휠체어를 보호자가 밀어주거나 전동식 휠체어를 사용하는 경우 탑승자의 신체 운동은 거의 없다. 물론 수동식 휠체어의 양측에 마련된 바퀴를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켜 주행하는 경우 팔운동은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하체의 운동은 전혀 없다.
한편 재활이 가능한 환자의 경우, 근육을 지속적으로 움직여 줌으로써 보다 빠른 재활을 유도할 수 있는 바, 재활환자들은 별도의 재활운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하체의 거동의 불편한 환자의 경우, 거동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보호자와 함께 재활운동을 실시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재활운동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휠체어 사용자의 하체 재활을 도울 수 있도록 한 휠체어용 운동보조기구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2628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발명에 개시된 운동보조기구는 휠체어의 주행시 지면과 밀착되어 구동바퀴가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기계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페달이 회전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하체 운동을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휠체어용 운동보조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운동보조기구를 휠체어에 조립해야만 하므로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사용상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상기 운동보조기구를 휠체어에 일체형으로 형성시킨 경우, 휠체어를 접을 수 없으므로, 휠체어의 보관 및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페달의 구동을 위한 기계적 에너지를 얻기 위하여 별도의 구동바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휠체어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물론이고, 휠체어의 무게가 증가되어 휠체어의 이동을 위한 보다 많은 힘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평탄하지 못한 지면을 주행할 경우, 구동바퀴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지 못하여 일정하게 회전하지 못하므로, 페달이 불규칙하게 회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하체를 운동시키는 페달의 구동을 위한 기계적 에너지를 휠체어에 마련된 바퀴로부터 제공받도록 함으로써 페달의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며, 페달의 구동과 관련된 기구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재활유도형 휠체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하체 운동을 유도하는 기구를 휠체어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면서 휠체어를 접을 수 있도록 하여 휠체어의 보관 및 이동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재활유도형 휠체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요구되는 재활운동강도에 따라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재활유도형 휠체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재활유도형 휠체어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바퀴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시트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시트를 지지하도록 프레임에 마련된 X형 링크의 교차부에 설치되며, 원형의 궤적을 그리면서 회전하는 한 쌍의 페달이 좌우 양측에 구비된 운동기구 하우징; 및 상기 운동기구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양측 바퀴와 연결되어 바퀴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된 기계적 에너지를 상기 한 쌍의 페달로 전달하여 휠체어의 이동시 페달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두 바퀴를 상호 연결하도록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되, 일측 바퀴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외축과, 타측 바퀴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외축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축과 결합된 내축으로 구성된 제1 구동축; 상기 운동기구 하우징에 설치되어 휠체어를 접으면 교차부의 위치 이동에 의하여 제1 구동축으로부터 이격되고, 휠체어를 펼치면 교차부의 위치 이동에 의하여 제1 구동축과 제1 베벨기어유닛을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 구동축; 및 상기 제2 구동축과 제2 베벨기어유닛을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페달로부터 연장되는 페달 지지대와 결합되어 페달을 회전시키는 제3 구동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때 상기 제2 구동축에는 제1 구동축에 결속되어 제1 베벨기어유닛을 매개로 결합된 제1 구동축과 제2 구동축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결속후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페달은 동력전달기구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페달 지지대에 설치되되, 상기 페달 지지대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위치조절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위치조절용 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조절용 홀에 페달이 결합되어 페달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휠체어의 주행시 휠체어에 마련된 바퀴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페달을 움직임으로써 운동기구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휠체어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페달의 안정된 구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양측 바퀴를 연결하는 제1 구동축을 외축과 내축으로 구성하여 제1 구동축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퀴에서 발생된 기계적 에너지를 페달로 전달하기 위한 제1 구동축에 상관없이 휠체어를 접거나 펼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페달의 위치를 조정하여 페달의 움직이는 범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별로 서로 다른 운동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동축과 제2 구동축이 결속후크에 의해 결속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 는 페달과 페달 지지대의 연결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6 은 페달과 페달 지지대의 연결구조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동축과 제2 구동축이 결속후크에 의해 결속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유도형 휠체어는 사용자의 하체 재활을 돕는 운동기구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운동기구가 휠체어에 마련된 바퀴(12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달받아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운동기구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더불어 휠체어에 일체형의 구조로 마련된 운동기구에 상관없이 휠체어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프레임(110)과, 바퀴(120)와, 시트(130)와, 운동기구 하우징(140)과,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휠체어의 기본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바퀴(120)를 지지하며 보호자가 휠체어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13)를 구비하는 메인프레임(111)과, 상기 메인프레임(111)과 조합되어 메인프레임(110)을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면서 시트(130)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X형 링크(1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바퀴(120)는 프레임(110)의 양측에 설치되며, 이러한 바퀴(120)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보조 바퀴(121)가 프레임(110)에 더 구비된다.
상기 시트(130)는 상기 X형 링크(11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110)과 바퀴(120) 및 시트(130)는 주지 관용된 휠체어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프레임(110)과 바퀴(120) 및 시트(13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운동기구 하우징(140)은 페달(160)과 동력전달기구를 지지하도록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이때 상기 운동기구 하우징(140)은 페달(160)과 결합된 페달 지지대(162)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박스(141)와, 상기 지지박스(141)로부터 연장되어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파이프(14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142)는 X형 링크(112)를 구성하는 두 바(112a,112b)가 상호 교차되는 교차부(112c)를 관통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휠체어를 접거나 펼칠 때 X형 링크(112)와 함께 파이프(142) 즉, 운동기구 하우징(140)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운동기구 하우징(140)의 이동 구조에 대한 설명은 이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페달(160)에는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 사용자의 발이 페달(16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띠(16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제1 구동축(151)과 제2 구동축(152) 및 제3 구동축(15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구동축(151)은 프레임(110)의 양측에 마련된 두 바퀴(120)를 상호 연결하여 두 바퀴(120)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달받는 것이다. 이러한 제1 구동축(151)은 운동기구의 유무에 상관없이 휠체어를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외축(151a)과 내축(151b)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축(151a)은 일측 바퀴(120a)와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내축(151b)은 타측 바퀴(120b)와 연결되어 회전하되 외축(151a)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축(151a)과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두 바퀴(120a,120b)의 사이거리에 따라 제1 구동축(151)의 길이가 가변되므로 제1 구동축(151)에 의해 두 바퀴(120a,120b)가 연결된 경우에도 휠체어를 접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 구동축(152)은 운동기구 하우징(140)에 설치되며, 제1 구동축(151)과 제1 베벨기어유닛(170)을 매개로 결합되어 제1 구동축(151)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제1 구동축(151)으로부터 전달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제3 구동축(153)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구동축(152)은 파이프(142)를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며, 일단은 지지박스(141)의 내부로 연장되고, 나머지 타단은 제1 베벨기어유닛(170)을 매개로 제2 구동축(152)과 결합되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베벨기어유닛(170)은 제1 구동축(151)에 설치된 제1 베벨기어(171)와, 상기 제2 구동축(152)에 설치된 제2 베벨기어(172)로 구성되며, 이러한 제1 베벨기어유닛(170)은 휠체어를 접을 때 제2 베벨기어(172)가 운동기구 하우징(140)과 함께 이동하여 제1 베벨기어(171)로부터 이격되고, 휠체어를 펼치게 되면 제2 베벨기어(172)가 제1 베벨기어(171)에 맞물리는 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상기 제2 구동축(152)에는 제1 구동축(151)과의 견고한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구동축(151)과 제2 구동축(152)을 선택적으로 결속하는 결속후크(173)가 마련된다.
상기 제3 구동축(153)은 지지박스(141)에 설치되며, 제2 구동축(152)과 제2 베벨기어유닛(180)을 매개로 결합되어 제2 구동축(152)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제2 구동축(152)으로부터 전달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페달(160)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3 구동축(153)은 지지박스(141)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며, 양단이 지지박스(141)의 외부로 돌출되어 페달 지지대(162)와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베벨기어유닛(180)은 제2 구동축(152)에 설치된 제3 베벨기어(181)와, 상기 제3 구동축(153)에 설치된 제4 베벨기어(182)로 구성되며, 이러한 제3 베벨기어(181)와 제4 베벨기어(182)는 휠체어는 접거나 펼치는 동작에 상관없이 항상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페달과 페달 지지대의 연결구조를 보인 측면도를, 도 6은 페달과 페달 지지대의 연결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재활정도에 따라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페달(160)과 제3 구동축(153)을 연결하는 페달 지지대(162)에는 다수 개의 위치조절용 홀(1621)이 형성되고, 이러한 다수 개의 위치조절용 홀(1621) 중 어느 하나의 홀에 페달(160)이 결합됨으로써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다수 개의 위치조절용 홀(1621) 중 제3 구동축(153)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위치조절용 홀(1621)에 페달(160)을 결합한 경우, 페달(160)의 회전반경이 작아지게 되므로 운동강도가 약해지게 되고, 반대로 제3 구동축(153)으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된 위치조절용 홀(1621)에 페달(160)을 결합한 경우 페달(160)의 회전반경이 커지게 되므로 운동강도가 강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재활유도형 휠체어가 갖는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또는 보호자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페달(160)의 위치를 조정한다. 예컨대 페달(160)에는 페달축(160a)이 마련되고, 이 페달축(160a)이 위치조절용 홀(1621)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페달 지지대(162)와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페달(160)의 위치 조정이 요구될 경우, 페달축(160a)을 회전시켜 페달(160)을 분리한 뒤, 적절한 위치의 위치조절용 홀(1621)을 선택하여 페달축(160a)을 다시 결합시킴으로써 페달(160)의 위치 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휠체어가 이동하는 경우, 휠체어의 양측에 마련된 바퀴(120)의 회전에 의하여 제1 구동축(151)이 회전하게 되고, 제1 구동축(151)과 제1 베벨기어유닛(170)을 매개로 연결된 제2 구동축(152)이 회전하게 되며, 제2 구동축(152)과 제2 베벨기어유닛(180)을 매개로 연결된 제3 구동축(153)이 회전하면서 페달 지지대(162)를 회전시킴으로써 페달(160)이 원형의 궤적을 그리며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휠체어 사용자가 발을 페달(16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휠체어가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하체가 페달(160)의 이동 궤적에 따라 움직이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재활운동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활유도형 휠체어는 두 바퀴(120)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페달(16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페달(160)의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가 접힌 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휠체어를 보관이나 운반을 위하여 휠체어를 접고자 할 경우, 먼저 제1 구동축(151)과 제2 구동축(152)을 결속하고 있는 결속후크(173)를 움직여 제1 구동축(151)과 제2 구동축(152)의 결속을 해제시킨 후, 프레임(110)의 양측에 마련된 바퀴(120)가 상호 근접하도록 프레임(110)을 접어주게 되며, 이때 제1 구동축(151)을 구성하는 내축(151b)이 외축(151a)의 내부로 삽입되어 두 바퀴(120)의 사이거리에 맞추어 제1 구동축(151)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한편 프레임(110)과 함께 접혀지는 X형 링크(112)의 교차부(112c)에 설치된 운동기구 하우징(140)은 X형 링크(112) 교차부(112c)의 위치 변동으로 인하여 상승하게 되며, 이때 제2 구동축(152)에 설치된 제2 베벨기어(172)는 제1 구동축(151)에 설치된 제1 베벨기어(171)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활유도형 휠체어는 하체 재활을 위한 운동기구를 휠체어에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시켜 구조의 단순화와 함께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 휠체어를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이나 운반의 편의성 또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참고로 휠체어의 사용을 위해 휠체어를 펼치게 될 경우, 내축(151b)이 외축(151a)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제1 구동축(151)의 길이를 확장시키게 되고, 운동기구 하우징(140)은 X형 링크(112)가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하게 되며, 이때 제2 구동축(152)에 마련된 제2 베벨기어(172)가 제1 베벨기어(171)에 맞물리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결속후크(173)를 조작하여 제1 구동축(151)과 제2 구동축(152)을 결속시킴으로써 휠체어의 사용을 위한 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프레임 (112) : X형 링크
(112c) : 교차부 (120) : 바퀴
(130) : 시트 (140) : 운동기구 하우징
(151) : 제1 구동축 (151a) : 외축
(151b) : 내축 (152) : 제2 구동축
(153) : 제3 구동축 (160) : 페달
(162) : 페달 지지대 (1621) : 위치조절용 홀
(170) : 제1 베벨기어유닛 (173) : 결속후크
(180) : 제2 베벨기어유닛

Claims (6)

  1.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바퀴(120)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프레임(110)에 설치된 시트(130)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시트(130)를 지지하도록 프레임(110)에 마련된 X형 링크(112)의 교차부(112c)에 설치되며, 원형의 궤적을 그리면서 회전하는 한 쌍의 페달(160)이 좌우 양측에 구비된 운동기구 하우징(140); 및
    상기 운동기구 하우징(140)에 설치되며, 상기 양측 바퀴(120)와 연결되어 바퀴(120)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된 기계적 에너지를 상기 한 쌍의 페달(160)로 전달하여 휠체어의 이동시 페달(16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되,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프레임(110)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두 바퀴(120)를 상호 연결하도록 프레임(1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되, 일측 바퀴(120a)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외축(151a)과, 타측 바퀴(120b)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외축(151a)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축(151a)과 결합된 내축(151b)으로 구성된 제1 구동축(151);
    상기 운동기구 하우징(140)에 설치되어 휠체어를 접으면 교차부(112c)의 위치 이동에 의하여 제1 구동축(151)으로부터 이격되고, 휠체어를 펼치면 교차부(112c)의 위치 이동에 의하여 제1 구동축(151)과 제1 베벨기어유닛(170)을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 구동축(152); 및
    상기 제2 구동축(152)과 제2 베벨기어유닛(180)을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페달(160)로부터 연장되는 페달 지지대(162)와 결합되어 페달(160)을 회전시키는 제3 구동축(15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유도형 휠체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축(152)에는 제1 구동축(151)에 결속되어 제1 베벨기어유닛(170)을 매개로 결합된 제1 구동축(151)과 제2 구동축(152)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결속후크(17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유도형 휠체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160)은 동력전달기구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페달 지지대(162)에 설치되되,
    상기 페달 지지대(162)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위치조절용 홀(1621)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위치조절용 홀(1621) 중 어느 하나의 위치조절용 홀(1621)에 페달(160)이 결합되어 페달(16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유도형 휠체어.
KR1020120032981A 2012-03-30 2012-03-30 재활유도형 휠체어 KR101191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981A KR101191902B1 (ko) 2012-03-30 2012-03-30 재활유도형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981A KR101191902B1 (ko) 2012-03-30 2012-03-30 재활유도형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902B1 true KR101191902B1 (ko) 2012-10-16

Family

ID=4728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981A KR101191902B1 (ko) 2012-03-30 2012-03-30 재활유도형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9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6070A (zh) * 2016-06-30 2016-12-07 王奋 多功能手摇驱动式轮椅
CN106975197A (zh) * 2017-03-29 2017-07-25 四川康源医疗设备有限公司 康复训练轮椅
CN107638257A (zh) * 2017-11-08 2018-01-30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轮椅车的旋转模块
CN114344812A (zh) * 2021-12-03 2022-04-15 黄海燕 一种骨科伤后辅助腿部恢复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2383A (ja) * 2003-08-05 2005-03-03 Nobuyuki Yoshizawa リハビリ用車椅子
US20070114750A1 (en) 2005-09-30 2007-05-24 Dix Rollin C Wheelchair propulsion and exercise attach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2383A (ja) * 2003-08-05 2005-03-03 Nobuyuki Yoshizawa リハビリ用車椅子
US20070114750A1 (en) 2005-09-30 2007-05-24 Dix Rollin C Wheelchair propulsion and exercise attachmen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6070A (zh) * 2016-06-30 2016-12-07 王奋 多功能手摇驱动式轮椅
CN106975197A (zh) * 2017-03-29 2017-07-25 四川康源医疗设备有限公司 康复训练轮椅
CN107638257A (zh) * 2017-11-08 2018-01-30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轮椅车的旋转模块
CN107638257B (zh) * 2017-11-08 2024-03-01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轮椅车的旋转模块
CN114344812A (zh) * 2021-12-03 2022-04-15 黄海燕 一种骨科伤后辅助腿部恢复设备
CN114344812B (zh) * 2021-12-03 2023-08-08 南京尚科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骨科伤后辅助腿部恢复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902B1 (ko) 재활유도형 휠체어
US9387139B2 (en) Dual drive wheelchair
KR101536586B1 (ko) 가변좌석유닛을 포함하는 휠체어
CN104856843B (zh) 协调四肢型康复学步车
US20170014298A1 (en) Motorized walking and balancing apparatus
US20130113178A1 (en) Mobile Manual Standing Wheelchair
DK178556B1 (en) A walking aid
CN106511042A (zh) 一种可智能监测的多用途康复助行器
KR101569453B1 (ko) 무동력 보행보조기
JP2015119789A (ja) 介護補助用移乗機
CN204766386U (zh) 协调四肢型康复学步车
JP2015123330A (ja) 歩行器
JP2013116146A (ja) 腕振り機能付き歩行器
JP5102907B1 (ja) 下肢運動機構付き車椅子
KR101299351B1 (ko) 휠체어 결합형 하지 운동/재활훈련 장치
KR20150024537A (ko) 보행보조 로봇
KR101310840B1 (ko) 콘트롤러 가변수단을 가지는 전동휠체어
JP5382508B2 (ja) 起立補助装置
JP2013252417A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車椅子
KR101879435B1 (ko)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
JP2015150218A (ja) 歩行補助具
KR101559060B1 (ko) 무동력 보행보조기
JP6494853B1 (ja) 片手操作可能な車椅子
KR101118135B1 (ko) 보행 보조기
KR102624268B1 (ko)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