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060B1 - 무동력 보행보조기 - Google Patents

무동력 보행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060B1
KR101559060B1 KR1020150123133A KR20150123133A KR101559060B1 KR 101559060 B1 KR101559060 B1 KR 101559060B1 KR 1020150123133 A KR1020150123133 A KR 1020150123133A KR 20150123133 A KR20150123133 A KR 20150123133A KR 101559060 B1 KR101559060 B1 KR 101559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ear
user
frame
wa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도형
이범기
고주원
정호현
이재영
한지혜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3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69Passive exercise driven by movement of healthy limbs
    • A61H2201/1276Passive exercise driven by movement of healthy limbs by the other leg or 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보행보조기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대퇴부에 대응되는 대퇴대응부, 상기 대퇴대응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하퇴부에 대응되며, 사용자의 족부가 안착되는 하퇴대응부, 상기 조작부 및 상기 대퇴대응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대퇴대응부를 구동시키는 제1기어모듈 및 상기 대퇴대응부 및 상기 하퇴대응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기어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하퇴대응부를 구동시키는 제2기어모듈을 포함하는 보행보조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동력 보행보조기{Non-Power Walking Support Apparatus}
본 발명은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원이 없이 구동 가능한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노인, 장애인 등 보행 기능이 감퇴된 대상을 위해 재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보행보조기가 널리 보급 및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보행보조기는 사용자가 하지를 장치에 올려 탑승한 상태에서, 장치를 전동으로 구동하여 보행 움직임을 구현하고, 사용자는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보행 동작을 연습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종래의 보행보조기의 경우 사용자의 하지 움직임을 모터 등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재현하기 때문에, 가격이 크게 상승하는 것은 물론 전체 무게가 크게 증가하게 되므로, 설치된 장소로부터 이동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행보조기가 설치되어 있는 특정한 장소를 직접 방문하여야 하는 노력이 든다. 특히 보행보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하지의 기능이 감퇴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동에 많은 어려움을 느낄 수밖에 없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4952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보행보조기의 구동에 별도의 전동장치가 구비될 필요가 없는 보행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신체가 불편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덜 수 있도록 보행보조기와 휠체어의 기능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행보조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동력 보행보조기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대퇴부에 대응되는 대퇴대응부, 상기 대퇴대응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하퇴부에 대응되며, 사용자의 족부가 안착되는 하퇴대응부, 상기 조작부 및 상기 대퇴대응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대퇴대응부를 구동시키는 제1기어모듈 및 상기 대퇴대응부 및 상기 하퇴대응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기어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하퇴대응부를 구동시키는 제2기어모듈을 포함하는 보행보조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기어모듈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기어와, 상기 대퇴대응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기어와 연동되어 상기 제1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대퇴대응부를 회전시키는 제2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기어모듈은, 상기 대퇴대응부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2기어와 연동되어 상기 제2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3기어와, 상기 하퇴대응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3기어와 연동되어 상기 제3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퇴대응부를 회전시키는 제4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기어와 상기 제3기어를 상호 연동시키는 연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2기어의 편심된 위치에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제3기어의 편심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동부재의 일단과 상기 제2기어, 상기 연동부재의 타단과 상기 상기 제3기어는 베벨기어 형태로 형성되어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어모듈은, 상기 제1기어 및 상기 제2기어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5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기어모듈은, 상기 제3기어 및 상기 제4기어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6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퇴대응부 및 상기 하퇴대응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행보조유닛은 상기 가변좌석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보행보조유닛에 연결되며, 기립된 상태에서 틸팅된 상태로 가변 가능하게 구비되고, 틸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가 안착되는 좌석을 형성하는 가변좌석유닛 및 상기 가변좌석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가변좌석유닛 및 상기 보행보조유닛에 이동성을 부여하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변좌석유닛은,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에 힌지 결합되고, 사용자의 신체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등받이부 및 상기 안착부를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바,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바 및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의 힌지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는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바의 타단은 상기 연장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가변좌석유닛이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가변좌석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변좌석유닛의 후방에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높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동력 보행보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보행보조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전동장치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제품의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으며, 전체 무게를 대폭 감소시켜 이동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사용자는 재활 훈련을 위해 특정한 장소를 직접 찾아갈 필요가 없으며, 시간과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보행보조유닛을 이용해 재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가변좌석유닛의 가변에 따라 보행보조기 기능 및 보행보조기의 기능을 전환하여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에 구비된 제1기어모듈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에 구비된 제2기어모듈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의 하퇴대응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의 조작부를 일 방향으로 조작한 상태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의 조작부를 다른 방향으로 조작한 상태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휠체어 형태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가변좌석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가변좌석유닛이 틸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가변좌석유닛이 완전히 틸팅되어 휠체어 타입으로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가변좌석유닛이 완전히 틸팅되어 휠체어 타입으로 변형된 상태의 후방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에 구비된 제1기어모듈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에 구비된 제2기어모듈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의 조작부를 일 방향으로 조작한 상태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의 조작부를 다른 방향으로 조작한 상태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14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는, 보행보조유닛(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행보조유닛(140)은 조작부(150)와, 대퇴대응부(152)와, 하퇴대응부(154)와, 제1기어모듈(160)과, 제2기어모듈(17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50)와, 대퇴대응부(152)와, 하퇴대응부(154)와, 제1기어모듈(160)과, 제2기어모듈(170)은 사용자의 양측 하지에 대응될 수 있도록 각각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조작부(150)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대퇴대응부(152)는 상기 조작부(150)의 하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대퇴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하퇴대응부(154)는 상기 대퇴대응부(152)의 하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하퇴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사용자의 족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하퇴대응부(154)에 족부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150)를 그립한 상태로 상기 보조보행유닛(140)에 탑승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모듈(160)은 상기 조작부(150) 및 상기 대퇴대응부(15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150)의 조작에 따라 상기 대퇴대응부(152)를 구동시키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기어모듈(170)은 상기 대퇴대응부(152) 및 상기 하퇴대응부(154)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기어모듈(160)과 연동되어 상기 조작부(150)의 조작에 따라 상기 하퇴대응부(154)를 구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조작부(150)의 조작에 따라 기어 방식으로 상기 대퇴대응부(152) 및 상기 하퇴대응부(154)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동장치가 구비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에 구비된 제1기어모듈(16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15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모듈(160)은, 제1기어(162)와, 제2기어(166)와, 제5기어(164)를 포함한다
상기 제1기어(162)는 상기 조작부(15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150)의 회전에 따라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2기어는 상기 대퇴대응부(152)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기어(162)와 연동되어 상기 제1기어(162)의 회전에 따라 상기 대퇴대응부(152)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5기어(164)는 상기 제1기어(162) 및 상기 제2기어(166)와 각각 치합되도록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가 사용되었다. 다만, 상기 제5기어(164)는 설계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제5기어(164)는 상기 제1기어(162) 및 상기 제2기어(166)의 사이에서 상기 제2기어(166)의 회전 방향을 바꾸거나, 또는 기어비에 따라 회전각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1기어모듈(16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조작부(150)를 조작하여 대퇴대응부(152)를 회전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15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제1기어(162)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5기어(16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기어(166)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대퇴대응부(152)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50)를 이와 반대로 조작할 경우, 상기 대퇴대응부(15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것이다. 이때 상기 대퇴대응부(152)의 회전 방향은, 상기 제5기어(164)의 유무 및 그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에 구비된 제2기어모듈(17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기어모듈(170)은, 제3기어(172)와, 제4기어(176)를 포함한다
상기 제3기어(172)는 상기 대퇴대응부(152)의 타단에 구비되고, 전술한 제2기어(166)와 연동되어 상기 제2기어(166)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상기 제3기어(172) 및 상기 제2기어(166) 다양한 방식으로 연동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연동부재(168)에 의해 상호 연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동부재(168)는 링크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2기어(166)의 편심된 위치에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제3기어(172)의 편심된 위치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기어(166)가 회전할 경우 상기 제3기어(172) 역시 회전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동부재(168)의 일단이 상기 제2기어(166)의 일측 방향에, 타단이 상기 제3기어(172)의 반대 측 방향에 연결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상기 제2기어(166)와 상기 제3기어(172)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연동부재(168)의 일단을 상기 제2기어(166)의 일측 방향에, 타단을 상기 제3기어(172)의 동일 측 방향에 연결할 경우, 상기 제2기어(166)와 상기 제3기어(172)의 회전 방향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것이다.
상기 제4기어(174)는 상기 하퇴대응부(154)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3기어(172)와 연동되어 상기 제3기어(17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퇴대응부(154)를 회전시킨다.
이상과 같은 제2기어모듈(17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조작부(150)를 조작하여 하퇴대응부(154)를 회전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15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전술한 제2기어(166)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었으므로 상기 제3기어(17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4기어(17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하퇴대응부(154)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기어모듈(170)은 상기 제3기어(172) 및 상기 제4기어(176)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3기어(172) 및 상기 제4기어(176)와 각각 치합되는 제6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기어는 전술한 제1기어모듈(160)의 제5기어(164)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6기어 역시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6기어가 생략되는 것으로 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의 하퇴대응부(154)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퇴대응부(154)는 사용자의 족부가 안착되는 족부안착부(156)를 포함하며, 또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퇴대응부(154)는 고정파트(154a)와 슬라이딩파트(154b)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파트(154a)와 상기 슬라이딩파트(154b)에는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관통홀(155)이 형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파트(154b)를 슬라이딩시키고, 소정의 관통홀(155)을 서로 맞추어 고정시킴에 따라 하퇴대응부(154)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퇴대응부(154)만이 길이 조절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전술한 대퇴대응부(15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140)의 조작부(150)를 일 방향으로 조작한 상태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140)의 조작부(150)를 다른 방향으로 조작한 상태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기어모듈(160), 연동부재 및 제2기어모듈(170)의 상호 구동에 의해, 조작부(150)를 조작하여 대퇴대응부(152) 및 하퇴대응부(154)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50)를 밀어 내는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상기 대퇴대응부(152) 및 하퇴대응부(154)는 후방으로 이동되며, 제1기어모듈(160) 및 제2기어모듈(170)의 기어비에 따라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50)를 당기는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상기 대퇴대응부(152) 및 하퇴대응부(154)는 전방으로 이동되며, 마찬가지로 제1기어모듈(160) 및 제2기어모듈(170)의 기어비에 따라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것이다.
이상으로 보행보조유닛(140)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보행보조유닛(140)을 휠체어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변좌석유닛 및 이동유닛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휠체어(100) 형태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는, 프레임(102)과, 이동유닛(110)과, 가변좌석유닛(1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2)은 전체 구조의 베이스를 형성하며, 각부가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유닛(110)은 상기 프레임(102)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전륜(112b)과 한 쌍의 후륜(112a)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이동유닛(110)은 이와 같은 바퀴 형태뿐 아니라, 이동성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변좌석유닛(120)은 상기 프레임(102)에 구비되어 기립된 상태에서 틸팅된 상태로 가변 가능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틸팅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신체가 안착되는 좌석을 형성하며, 기립된 상태에서는 보행보조유닛(140)의 사용을 보조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보행보조유닛(140)은 상기 가변좌석유닛(120)에 연결되고, 상기 가변좌석유닛(120)이 기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탑승하여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변좌석유닛(120)이 틸팅될 경우 상기 보행보조유닛(140)은 함께 폴딩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가변좌석유닛(120)이 기립될 경우 보행보조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하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된다. 다만, 이와 달리 상기 보행보조유닛(140)은 상기 가변좌석유닛(120)에 탈착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황에 따라 탈착시키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가변좌석유닛(120)의 변형으로 인해 보행보조기 및 휠체어의 기능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가변좌석유닛(12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가변좌석유닛(120)이 틸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가변좌석유닛(120)이 완전히 틸팅되어 휠체어 타입으로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좌석유닛(120)은 등받이부(122)와, 상기 등받이부(122)에 힌지 결합되고, 사용자의 신체가 안착되는 안착부(124)와, 상기 등받이부(122) 및 상기 안착부(124)를 상기 프레임(102)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등받이부(122)와 안착부(124)는 상기 가변좌석유닛(120)이 기립된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변좌석유닛(120)이 틸팅된 상태에서는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변형되어 좌석 형태를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130)는, 제1연결바(130c)와, 제2연결바(130b)와, 제3연결바(130a)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바(130c)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102)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부(124)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바(130b)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102)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122)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등받이부(122)는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바(130b)의 타단은 상기 연장부(123)에 연결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제3연결바(130a)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102)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122)와 상기 안착부(124) 사이의 힌지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제1연결바(130c), 상기 제2연결바(130b), 상기 제3연결바(130a)는 축회전되며 상기 가변좌석유닛(120)을 틸팅 또는 기립시킬 수 있도록 이동 및 변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프레임(102)에 구비되어 상기 가변좌석유닛(120)이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가변좌석유닛(120)을 지지하는 지지부(104)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지지부(104)는 상기 가변좌석유닛(120)이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124)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가변좌석유닛(120)이 완전히 틸팅되어 휠체어 타입으로 변형된 상태의 후방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좌석유닛(120)이 틸팅된 상태에서는 상기 안착부(124)가 지지부(104)에 의해 지지되며, 또한 상기 가변좌석유닛(120)의 후방에는 손잡이부(103)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103)는 상기 이동부(110)가 전동식으로 구동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가변좌석유닛(120)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보호자 등 타인이 그립하여 보행보조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103)는 높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호자의 신장에 대응되도록 손잡이부(10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손잡이부(103)는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며, 고정부(132)에 의해 소정 높이로 고정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02)에는 적재부(10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재부(106)는 상기 이동부(110)의 후륜(112a) 사이에 구비되어 후륜(112a)을 지지하며, 상기 적재부(106)의 상부에는 구동모터 등의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공간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적재공간에 구비된 구동모터는 상기 이동부(110)를 전동식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적재공간에는 상기 구동모터 외 다양한 보조적인 구성요소가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24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에 구비된 제1기어모듈(26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에 구비된 제2기어모듈(27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보행보조유닛(240)이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다른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제1기어(262), 제4기어(274) 및 제5기어(264)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나, 제2기어(266)와, 제3기어(272), 그리고 연동부재(268)의 형태가 다르게 형성된다.
즉 제1실시예에서 연동부재는 링크 형태로 형성된 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동부재(268)의 일단과 상기 제2기어(266), 상기 연동부재(268)의 타단과 상기 상기 제3기어(272)는 베벨기어 형태로 형성되어 연동된다. 따라서 제2기어(266)가 회전될 경우 상기 연동부재(268) 역시 상하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연동부재(268)의 회전력은 상기 제3기어(272) 측에 전달되어 상기 제3기어(272)가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기어(266)와 제3기어(272)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될 것이다.
그리고 이외의 사항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240)의 조작부(250)를 일 방향으로 조작한 상태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보행보조유닛(240)의 조작부(250)를 다른 방향으로 조작한 상태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역시 제1기어모듈(260), 연동부재 및 제2기어모듈(270)의 상호 구동에 의해, 조작부(250)를 조작하여 대퇴대응부(252) 및 하퇴대응부(254)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250)를 밀어 내는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상기 대퇴대응부(252) 및 하퇴대응부(254)는 후방으로 이동되며, 제1기어모듈(260) 및 제2기어모듈(270)의 기어비에 따라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250)를 당기는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상기 대퇴대응부(152) 및 하퇴대응부(154)는 전방으로 이동되며, 마찬가지로 제1기어모듈(260) 및 제2기어모듈(270)의 기어비에 따라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보행보조기 102: 프레임
110: 이동부 120: 가변좌석유닛
122: 등받이부 123: 연장부
124: 안착부 130: 연결부
140: 보행보조유닛 150: 조작부
152: 대퇴대응부 154: 하퇴대응부
160: 제1기어모듈 168: 연동부재
170: 제2기어모듈

Claims (5)

  1. 프레임;
    사용자의 대퇴부에 대응되는 대퇴대응부 및 상기 대퇴대응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하퇴부에 대응되는 하퇴대응부를 포함하는 보행보조유닛;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보행보조유닛에 연결되며, 기립된 상태에서 틸팅된 상태로 가변 가능하게 구비되고, 틸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가 안착되는 좌석을 형성하는 가변좌석유닛; 및
    상기 가변좌석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가변좌석유닛 및 상기 보행보조유닛에 이동성을 부여하는 이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좌석유닛은,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에 힌지 결합되고, 사용자의 신체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등받이부 및 상기 안착부를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바;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바; 및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의 힌지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연결바;
    를 포함하는 보행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바의 타단은 상기 연장부에 연결되는 보행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가변좌석유닛이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가변좌석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보행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보조유닛은 상기 가변좌석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보행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퇴대응부에는 사용자의 족부가 안착되고,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 및 상기 대퇴대응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대퇴대응부를 구동시키는 제1기어모듈; 및
    상기 대퇴대응부 및 상기 하퇴대응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기어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하퇴대응부를 구동시키는 제2기어모듈을 포함하는 보행보조기.
KR1020150123133A 2015-08-31 2015-08-31 무동력 보행보조기 KR101559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33A KR101559060B1 (ko) 2015-08-31 2015-08-31 무동력 보행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33A KR101559060B1 (ko) 2015-08-31 2015-08-31 무동력 보행보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989A Division KR101569453B1 (ko) 2013-04-25 2014-03-31 무동력 보행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060B1 true KR101559060B1 (ko) 2015-10-19

Family

ID=5439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133A KR101559060B1 (ko) 2015-08-31 2015-08-31 무동력 보행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3597A (zh) * 2017-03-30 2017-07-21 合肥工业大学 一种穿戴式仿人步态下肢康复助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5971A (ja) 2004-10-20 2006-05-11 Honda Motor Co Ltd 歩行補助装置
JP2009195646A (ja) 2008-02-25 2009-09-03 Shibaura Institute Of Technology 歩行操舵装置
KR101305428B1 (ko) 2012-12-28 2013-09-0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각도조절유닛을 구비한 보행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5971A (ja) 2004-10-20 2006-05-11 Honda Motor Co Ltd 歩行補助装置
JP2009195646A (ja) 2008-02-25 2009-09-03 Shibaura Institute Of Technology 歩行操舵装置
KR101305428B1 (ko) 2012-12-28 2013-09-0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각도조절유닛을 구비한 보행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3597A (zh) * 2017-03-30 2017-07-21 合肥工业大学 一种穿戴式仿人步态下肢康复助行装置
CN106963597B (zh) * 2017-03-30 2019-07-19 合肥工业大学 一种穿戴式仿人步态下肢康复助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586B1 (ko) 가변좌석유닛을 포함하는 휠체어
KR101569453B1 (ko) 무동력 보행보조기
US8790284B2 (en) Wheelchair type robot for walking aid
RU2389468C9 (ru) Устройство, облегчающее ходьбу
JP5911559B2 (ja) 身体障害者のための移動装置
US6976698B2 (en) Manually operable standing wheelchair
US8172023B1 (en) Personal mobility device
JP2022130730A (ja) エクソスケルトンとプロキシ
US9565947B2 (en) Standing-up trainer
CN112168524B (zh) 一种可实现坐立行三态转换的辅助移动轮椅外骨骼装置
DK178556B1 (en) A walking aid
MX2009001434A (es) Unidad movil o silla de ruedas estabilizada.
KR20160149679A (ko) 상하지 재활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
US20180078816A1 (en) Rehabilitation robot integrated with patient mobility and transfer
KR20160046676A (ko) 엑스자형 링크를 이용한 기립 보조 휠체어 로봇
KR20130102183A (ko)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
CZ2015217A3 (cs) Multifunkční transportní a rehabilitační robot
KR101299351B1 (ko) 휠체어 결합형 하지 운동/재활훈련 장치
CN106137576B (zh) 一种新型站立轮椅车
KR101559060B1 (ko) 무동력 보행보조기
JP5382508B2 (ja) 起立補助装置
US20230000698A1 (en) Rear Side Entry Type Wheelchair
KR20160129986A (ko) 기립 보조장치
JP5619842B2 (ja) 起立補助機能付き椅子
JP5294408B2 (ja) 移乗支援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