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537A - 보행보조 로봇 - Google Patents

보행보조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537A
KR20150024537A KR20130101528A KR20130101528A KR20150024537A KR 20150024537 A KR20150024537 A KR 20150024537A KR 20130101528 A KR20130101528 A KR 20130101528A KR 20130101528 A KR20130101528 A KR 20130101528A KR 20150024537 A KR20150024537 A KR 20150024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walking
user
fron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7292B1 (ko
Inventor
배진호
이대호
이효건
김수경
박대희
이종현
팽동국
조일형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01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292B1/ko
Publication of KR20150024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2Front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4Tables, working plates or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보조 로봇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스스로 보행이 불편한 환자, 또는 하지근력이 약화된 노약자들의 보행을 보조하거나 재활을 돕는 보행 보조 로봇에 있어서, 사용자의 건강상태 및 체형에 따라 로봇을 변신시켜 사용자와 동일하게 움직이거나, 탑승용 의자에 탑승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하는 보행보조 로봇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방에 전륜구동부에 의해 전후진 및 좌우회전이 되는 전륜이 결합되고, 후방에 후륜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부에 결합되는 손잡이;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되, 발판이 결합되는 발판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어 진행방향 및 좌우측방향에 위치한 장애물, 진행방향의 노면상태 및 날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변상태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행보조 로봇{WALKING ASSISTANT ROBOT}
본 발명은 보행보조 로봇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스스로 보행이 불편한 환자, 또는 하지근력이 약화된 노약자(이하 "사용자" 라 칭함.)들의 보행을 보조하거나 재활을 돕는 보행 보조 로봇에 있어서, 사용자의 건강상태 및 체형에 따라 로봇을 변신시켜 사용자와 동일하게 움직이거나, 탑승용 의자(이하 "의자" 라고 한다)에 탑승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하는 보행보조 로봇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과 경제적 발전에 힘입어 인간의 평균 수명이 점점 길어지고 있다. 그런데, 단지 평균 수명을 늘이는 것에 중점을 두었던 과거와는 달리, 얼마나 양호한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오래 사느냐가 점점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즉, 수명 연장도 중요하지만, 연장된 수명의 삶의 질에 대해서도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런데,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일상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동작들을 얼마나 잘 수행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양손의 사용이 불편한 사람의 경우 옷을 갈아입거나 머리를 감는 등의 기본적인 일상 동작들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일상생활이 매우 불편해지고, 일상생활이 불편한 만큼 삶의 질이 저하된다. 그러므로 기본적인 일상생활의 동작을 잘 수행하는 능력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들어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일상생활 동작에는 보행 동작이 있다. 흔히, 정상적인 신체를 가지고 있으면 누구나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걷는 것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지만, 이것은 신경과 골격근이 총괄적으로 사용되는 아주 복잡한 과정이다. 즉, 보행 동작이란 한쪽 다리가 입각기의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다른 다리가 몸을 앞으로 전진시키는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동작이다. 또한 100여 개의 골격근이 상지와 하지의 여러 관절과 협응을 이루어야 가능한 복합적인 동작이며 호흡 작용이나 심장 박동 등 여러 신체 활동의 협응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복잡한 신체 기관들의 원활한 협응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 단기간에 보행 능력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복잡한 기관들 중 어느 곳이 관절염이나 신경계의 이상으로 인하여 기능성이 떨어진 경우, 그 사람의 보행 능력은 현저히 저하되고 쉽게 회복되기 곤란하다. 또한, 보행 동작은 장애인이나 노인 등의 이동권이라는 측면에서 사회과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동작이다. 다른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사람이라도 보행 동작이 원활하지 않다면 그만큼 활동 범위가 축소되게 되고, 축소된 활동 범위는 곧바로 그 사람의 삶의 질과 직결된다. 뿐만 아니라, 보행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환자의 경우근육의 퇴행으로 인한 추가적인 합병증까지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보행 조건이 나쁜 경우에는 중심이 불안정해지므로 신체 각 부위의 평형성 및 호흡과 심장 활동에 영향을 미쳐 피로가 증가한다. 그러므로 보행을 원활히 하는 능력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필수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요한 보행 능력을 보조하기 위한 연구가 오랜 동안 진행되어 왔다. 특히, 유럽은 1990년대부터 10년간 고령자와 장애인을 위한 종합 기술 지원 프로그램인 TIDE(Technology for Inclusive Design and Equality)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왔으며, 우리나라의 실버산업 시장 규모도 2010년에 약 41조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기술 중 하나로 보행 보조 장치를 들 수 있으며, 이 장치는 보행 능력이 저하된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함으로써 사용자가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이도 스스로 걸어 다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런데, 모든 사람이 동일한 보행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관절염초기 증상을 앓는 사람과 인공 관절 치환 수술을 받은 사람의 경우 동일한 속도로 이동할 수 없음은 명백하다.
그런데, 종래의 보행 보조 장치의 경우 평균적인 사용자를 기준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마다 만족도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가장 적합하도록 보행 보조 장치의 높이 및 손잡이의 기울기 등을 조절하여 보행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가장 적합한 속도로 보행 보조장치를 이동시킴으로써 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치명적인 사고를 방지하는 보행 보조 장치가 절실히 요구된다.
공개특허 10-2012-126934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스스로 보행이 불편한 환자, 노약자와 같은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로봇에 하중을 실어, 사용자의 가고자 하는 의지를 파악하여 사용자와 동일하게 움직이거나 의자에 탑승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변신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보행 보조 및 재활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보행보조 로봇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에 전륜구동부에 의해 전후진 및 좌우회전이 되는 전륜이 결합되고, 후방에 후륜이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부에 결합되는 손잡이;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되, 발판이 결합되는 발판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어 진행방향 및 좌우측방향에 위치한 장애물, 진행방향의 노면상태 및 날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변상태 감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판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한 쌍의 발판지지봉; 상기 발판지지봉이 지면을 향하도록 회동되었을 시 상부면에 결합되는 발판 및 상기 발판지지봉이 프레임측으로 회동되었을 시 상기 발판지지봉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판지지봉은, 지면을 향하여 회동되었을 시 양 발판지지봉을 연결하는 연결봉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판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후단에 결합되어 인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하부 중간에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되는 연결봉으로 구성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전방부에 물건을 수납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수납함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그 사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랩탑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판결합부와 보조프레임 사이에는, 장거리 이동시 상기 전륜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함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납함은, 그 상부에 사용자의 착석을 위하여 결합되는 의자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륜 및 후륜 사이에 분리가능한 분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보행보조 로봇에 의하면, 사용자들의 건강상태에 따라 로봇에 하중을 실어, 사용자의 가고자 하는 의지를 파악하여 사용자와 동일하게 움직이거나 의자에 탑승하여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보행 보조 및 재활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게 되므로, 장비의 기능을 극대화하여 신뢰성을 갖게 되어 장비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로봇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 의자에 탑승하게 될 상황발생시, 탈부착 가능한 의자를 결합시켜 탑승할 수 있다.
또한, 의자에 탑승시 필요에 따라 손잡이에 조이스틱을 장착하여 조정함으로써 주행가능하고, 로봇을 따라 이동할 경우 손잡이의 끝단을 파지하여 보행하게 되므로, 순간적인 판단능력이 떨어지는 사용자들이 조이스틱을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어 편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행보조 로봇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보행보조 로봇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보행보조 로봇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행보조 로봇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보행보조 로봇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보행보조 로봇은, 전방에 전륜구동부(111)에 의해 전후진 및 좌우회전이 되는 전륜(110)이 결합되고, 후방에 후륜(120)이 결합되는 프레임(10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장방형의 각 파이프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전륜(110) 및 후륜(120) 사이에 분리가능한 분리부(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프레임(100) 등 각 구성물들의 고장 또는 수리 시 쉽게 이를 분리시켜 수리를 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은, 전방부에 물건을 수납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수납함(600)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짐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프레임(100)은, 하부 중간에 고정핀(401)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되는 연결봉(402)으로 구성되는 보조프레임(40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이동시 프레임(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그 외에 프레임(10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서 프레임(100)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후술할 발판(310)이 결합되기 위한 목적도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의 중간의 양측부에는 손잡이(200)가 결합된다. 이는 사용자가 이동 또는 몸을 지탱할 때 손으로 잡고 몸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200)는, 그 사이에 거치부(130)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랩탑 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을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되, 발판(310)이 결합되는 발판결합부(3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발판결합부(300)는, 상기 프레임(100)의 후방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한 쌍의 발판지지봉(311)과, 상기 발판지지봉(311)이 지면을 향하도록 회동되었을 시 상부면에 결합되는 발판(310) 및 상기 발판지지봉(311)이 프레임(100)측으로 회동되었을 시 상기 발판지지봉(311)을 고정하는 고정핀(31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발판지지봉(311)은, 지면을 향하여 회동되었을 시 양 발판지지봉(311)을 연결하는 연결봉(313)이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판(310)에 올라섰을 때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게다가 상기 발판결합부(300)는, 상기 프레임(100)의 후단에 결합되어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따라 전후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발판결합부(300)도 고정핀(320) 및 발판결합부(300)에 형성되는 삽입공(321)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삽입공(321)의 경우 복수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인출입이 가능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한 후륜(120)은 발판결합부(30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발판결합부(3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발판결합부(300)와 보조프레임(400) 사이에는, 장거리 이동시 상기 전륜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함(7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 수납함(700) 역시 상기한 삽입공(321)에 삽입되도록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삽입공(321)에 상기 돌기를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 수납함(700)은, 그 상부에 사용자의 착석을 위하여 결합되는 의자(8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의자(800)와 프레임(100) 간에는 배터리와의 간섭 및 견고한 지지를 위하여 지지대(81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810)도 상기한 삽입공(321)에 고정핀(811)을 삽입하여 지지대를 프레임(100)에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의 전방에 결합되어 진행방향 및 좌우측방향에 위치한 장애물, 진행방향의 노면상태 및 날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변상태 감지부(5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주변상태 감지부(500)의 경우 사용자가 보행하는 동안에 보행보조 장치의 주변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GPS 및 휴대폰 등의 휴대용 단말 장치를 통하여 얻은 위치를 GIS와 연동하게 된다. 상기한 주변 상태란 진행 방향에 위치한 장애물, 진행 방향의 노면 상태 및 현재 날씨와 같이 보행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행하는 현재 상황에서 사용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외적 조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변 상태 감지부(500)로부터 주변 상태가 수신되면, 중앙 제어부(미도시)는 이를 이용하여 보행 보조 장치의 운행 상태를 변경한다. 또한, 이러한 상태를 상기 거치부(210)에 거치되는 랩탑 또는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시각 또는 청각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여 준다.
예를 들어, 전방 또는 측방에 장애물이 전반감지부(520) 및 측방향 감지부(530)에 의해 감지될 경우 중앙 제어부는 보행 보조 장치가 이를 사용자의 랩탑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경고하고 자동으로 장애물을 회피하여 운전하도록 전륜구동부(111)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노면이 울퉁불퉁할 경우 노면감지부(510)가 이를 감지하여 보행 보조 장치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고, 노면에 웅덩이 등이 감지되는 경우 이를 경고하고 웅덩이를 회피하여 기동하도록 전륜구동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중앙 제어부는 현재의 날씨, 온도, 습도 등을 감지하여 현재의 기상 상황에 적합하도록 보행 보조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기온이 낮을 경우 사용자가 보행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보행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현재의 습도가 높을 경우 천식 등과 같은 가진 환자에게는 보행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보행 보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보행보조용 로봇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보행보조 로봇은 사용자의 사이즈 및 거동범위에 따라 그 형상이 달라지므로 그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경우는 다리에 힘이 약한 사용자를 위한 것으로 상기 손잡이(200)의 끝단을 파지한 상태로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하여 걷게 되는 것이다.
도 4의 경우는 도 3에 도시된 사용자보다 다리의 힘이 더 부족한 경우 상기 발판결합부(300)를 지면으로 회동시키고 연결봉(313)을 결합한 뒤 발판(310)을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발판(310)에 발을 올린 뒤 손잡이(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보행보조 로봇을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손잡이(200) 또는 거치대(21)에 조이스틱(미도시) 등과 같은 제어수단을 장착하여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두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의 힘에 의해 보행보조 로봇이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전륜구동부(111)에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비교적 작은용량의 배터리가 내장되는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의 경우는 사용자가 비교적 장거리 운행을 할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발판결합부(300)를 후방으로 인출한 뒤 상기 후륜(120)과 보조프레임(400) 사이에 배터리 수납함(700)을 장착하고 상기 배터리 수납함(700)에 대용량 배터리(미도시)를 수납하게 된다. 이후 그 상부에 지지대(810)를 프레임(100)에 결합한 뒤 그 위에 의자(800)를 결합하여 상기 의자(800)에 착석하여 장거리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발판(310)을 보조 프레임(400)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보행보조 로봇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프레임 110 : 전륜
111 : 전륜구동부 120 : 후륜
130 : 분리부 200 : 손잡이
210 : 거치부 300 : 발판결합부
310 : 발판 311 : 발판지지봉
312 : 고정핀 313 : 연결봉
400 : 보조프레임 401 : 고정핀
402 : 연결봉 500 : 주변상태 감지부
510 : 노면감지부 520 : 전방감지부
530 : 측방향 감지부 600 : 수납함
700 : 배터리 수납함 800 : 의자
810 : 지지대 811 : 고정핀

Claims (10)

  1. 전방에 전륜구동부(111)에 의해 전후진 및 좌우회전이 되는 전륜(110)이 결합되고, 후방에 후륜(120)이 결합되는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부에 결합되는 손잡이(200);
    상기 프레임(100)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되, 발판(310)이 결합되는 발판결합부(300) 및
    상기 프레임(100)의 전방에 결합되어 진행방향 및 좌우측방향에 위치한 장애물, 진행방향의 노면상태 및 날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변상태 감지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 로봇.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결합부(300)는,
    상기 프레임(100)의 후방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한 쌍의 발판지지봉(311);
    상기 발판지지봉(311)이 지면을 향하도록 회동되었을 시 상부면에 결합되는 발판(310) 및
    상기 발판지지봉(311)이 프레임(100)측으로 회동되었을 시 상기 발판지지봉(311)을 고정하는 고정핀(3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 로봇.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지지봉(311)은,
    지면을 향하여 회동되었을 시 양 발판지지봉(311)을 연결하는 연결봉(3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 로봇.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결합부(300)는,
    상기 프레임(100)의 후단에 결합되어 인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 로봇.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하부 중간에 고정핀(401)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되는 연결봉(402)으로 구성되는 보조프레임(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 로봇.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전방부에 물건을 수납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수납함(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 로봇.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0)는,
    그 사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랩탑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부(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 로봇.
  8. 제1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결합부(300)와 보조프레임(400) 사이에는,
    장거리 이동시 상기 전륜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함(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 로봇.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납함(700)은,
    그 상부에 사용자의 착석을 위하여 결합되는 의자(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 로봇.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전륜(110) 및 후륜(120) 사이에 분리가능한 분리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 로봇.
KR1020130101528A 2013-08-27 2013-08-27 보행보조 로봇 KR101517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528A KR101517292B1 (ko) 2013-08-27 2013-08-27 보행보조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528A KR101517292B1 (ko) 2013-08-27 2013-08-27 보행보조 로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537A true KR20150024537A (ko) 2015-03-09
KR101517292B1 KR101517292B1 (ko) 2015-05-04

Family

ID=53021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528A KR101517292B1 (ko) 2013-08-27 2013-08-27 보행보조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2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4709A (zh) * 2020-01-20 2020-05-01 南京平方医疗科技有限公司 可折叠助步车
KR20200093948A (ko) * 2019-01-29 202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 휠체어
KR20200094248A (ko) * 2019-01-29 2020-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 휠체어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94249A (ko) * 2019-01-29 2020-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 휠체어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24217B1 (en) 2018-02-13 2021-11-17 LG Electronics Inc. Adaptive assistive and/or rehabilitative device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7454B1 (ja) 2005-01-14 2005-09-21 インコムジャパン有限会社 個人の身体特性に応じた経路案内システム
ATE398567T1 (de) 2005-09-14 2008-07-15 Stefan Lippert Fahrzeug für behinderte person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948A (ko) * 2019-01-29 202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 휠체어
KR20200094248A (ko) * 2019-01-29 2020-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 휠체어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94249A (ko) * 2019-01-29 2020-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 휠체어 및 그 제어방법
CN111084709A (zh) * 2020-01-20 2020-05-01 南京平方医疗科技有限公司 可折叠助步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292B1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1448B2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
US11406555B2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
US7921953B2 (en) Personal mobility device
JP5563570B2 (ja) 移乗・移動装置
KR101517292B1 (ko) 보행보조 로봇
US20160270988A1 (en) Modularized mobility device
JP2013173190A (ja) 装着式動作補助装置
TWI589287B (zh) Moving car
CN105287123A (zh) 一种康复轮椅
KR20140068516A (ko) 자세조절부를 포함하는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KR101219305B1 (ko) 보행보조용 플랫폼
JP2015123330A (ja) 歩行器
JP6745810B2 (ja) 介助装置
KR101536932B1 (ko) 기립형 이동기기
JP2016093221A (ja) 歩行器
JP5382508B2 (ja) 起立補助装置
US20230029427A1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 with tensioner
JP2017164431A (ja) 移動支援装置
KR101237247B1 (ko) 보행보조장치
JP2015037437A (ja) 移乗・移動装置
KR101790441B1 (ko) 보행보조기 겸용 휠체어
US20220273508A1 (en) Multi-use mobility aid device
JP2003305096A (ja) 歩行補助機能付起立補助具
KR20170050967A (ko) 휠체어
JP2015027402A (ja) 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