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247B1 - 보행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보행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247B1
KR101237247B1 KR1020110017210A KR20110017210A KR101237247B1 KR 101237247 B1 KR101237247 B1 KR 101237247B1 KR 1020110017210 A KR1020110017210 A KR 1020110017210A KR 20110017210 A KR20110017210 A KR 20110017210A KR 101237247 B1 KR101237247 B1 KR 101237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upport
upper plate
plat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783A (ko
Inventor
송원경
김경
이정수
이범석
박대성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10017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247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6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with forearm rests, i.e. for non-us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하여 전방지지 기능을 구비하거나, 보행하지 않은 경우 즉, 기립 상태의 경우에 앞쪽의 시야 및 손에 닿는 거리에 제한이 없도록 하여 일상생활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후방지지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지지 기능과 상기 후방지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구비하는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장치는, 사용자의 상체를 보조하여 지지하는 사용자프레임 및 상기 사용자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탈부착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보조장치의 위치를 사용자를 기준으로 앞 또는 뒤에 위치시킬 수 있어 전방지지와 후방지지의 변환이 자유로와 사용자의 보행 및 기립 후 일상생활에 편리함을 준다.

Description

보행보조장치{Device for walking assistance}
본 발명은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하여 전방지지 기능을 구비하거나, 보행하지 않은 경우 즉, 기립 상태의 경우에 앞쪽의 시야 및 손에 닿는 거리에 제한이 없도록 하여 일상생활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후방지지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지지 기능과 상기 후방지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구비하는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세가 많이 드신 노인분들이나 신체가 부자연스러운 환자들 중에는 두 다리로만 보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계신 분들이 상당수 존재한다. 이에 이와 같은 분들의 대부분은 원활한 보행을 도와주는 보행보조기구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보행보조기구에는 지팡이와 보행 훈련기가 있는데, 먼저 지팡이는 소정각도로 굴절된 막대기 형상 등으로 이루어지며, 주로 노인분들이 손으로 붙잡고 보행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팡이는 연세가 많이 드신 노인분들의 보행을 지탱해주기엔 지지하는 수단이 하나밖에 없어서 불안한 문제점이 있고, 특히 팔 근력이 약하신 분들은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보행 훈련기는 일정 높이의 프레임(Frame)에 상단부가 손잡이로 구현되고 하단부에는 바퀴가 장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주로 환자분들이 재활훈련 등을 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보행 훈련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보행 훈련기는 전방지지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일정 각도를 유지하고, 접히는 의자가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손잡이가 탈부착할 수 없어 고정되어 있으며, 전방지지형식으로만 되어 있어 기립 상태에서 상체를 이용한 일상생활을 할 때에 사용자의 활동 반경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 보행 훈련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방지지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의자가 고정되어 있고, 4개의 바퀴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한다. 그러나, 전방지지 형식으로만 되어 있어 기립 상태에서 앞쪽에 보행 훈련기가 위치하기 때문에 앞쪽에 있는 물건을 다루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하여 전방지지 기능을 구비하거나, 보행하지 않은 경우 즉, 기립 상태의 경우에 앞쪽의 시야 및 손에 닿는 거리에 제한이 없도록 하여 일상생활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후방지지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지지 기능과 상기 후방지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구비하는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장치는, 사용자의 상체를 보조하여 지지하는 사용자프레임 및 상기 사용자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탈부착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정역회전되는 복수 개의 바퀴를 구비한 바퀴부와 상기 복수 개의 바퀴를 좌우 또는 앞뒤에 배치하여 연결 및 고정하는 한 쌍의 바퀴연결부와 상기 바퀴연결부를 고정하여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와 일단은 상기 바퀴연결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사용자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프레임을 지지하는 한 쌍의 연결지지부 및 상기 바퀴를 공급된 전력에 의해 구동할 수 있게 설치된 전동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프레임은 상기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체를 보조하여 지지하는 상판지지부와 상기 연결지지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 및 상기 상판지지부와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판지지부는 상기 사용자가 그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C'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지지부는 상기 상판지지부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지지부의 밑면에 레일 형태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부 중 제 1 결합부는 상기 상판지지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이용하여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일단에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하는 가이드보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부 중 제 2 결합부는 상기 상판지지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이용하여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지지부와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지지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무게 중심에 따라 상기 무게 중심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보조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동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프레임은 상기 상판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보행 운동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상판지지부의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프레임은 상기 사용자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체를 보조하여 지지하는 상판지지부와 상기 연결지지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 및 상기 상판지지부와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판지지부는 상기 사용자가 그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프레임은 상기 사용자를 지지하며 상기 상판지지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신체지지용 하네스(Harnes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지지부는 외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를 보조하기 위한 외부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장치에 의하면,
첫째, 보행보조장치의 위치를 사용자를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시킬 수 있어 전방지지와 후방지지의 변환이 자유로와 사용자의 보행 및 기립 후 일상생활에 편리함을 준다.
둘째,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보행을 촬영함으로써 보행 재활 훈련에 도움을 준다.
셋째, 사용자프레임을 지지프레임으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어 이동 및 휴대가 편하다.
넷째, 각각의 상황에 따라 사용자프레임을 사용자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의 보행 훈련 단계에 따라 맞춤형 보행 보조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보행 훈련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보행 훈련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자프레임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보행보조장치의 전방지지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에 불편함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b는 보행보조장치의 후방지지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에 편리함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자프레임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상판지지부를 회전시켜 전방지지 기능이 구현된 보행보조장치에서 후방지지 기능이 구현된 보행보조장치로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상판지지부의 밑면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슬라이딩부가 구현된 보행보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카메라부 및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보행보조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하네스가 부착된 보행보조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외부지지부가 부착된 보행보조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하여 전방지지 기능을 구비하거나, 보행하지 않은 경우 즉, 기립 상태의 경우에 앞쪽의 시야 및 손에 닿는 거리에 제한이 없도록 하여 일상생활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후방지지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지지 기능과 상기 후방지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구비하는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장치는 사용자의 상체를 보조하여 지지하는 사용자프레임(100, 200) 및 상기 사용자프레임(100,200)과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프레임(100,2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00)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프레임(100, 200)은 상기 지지프레임(300)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사용자프레임(100, 200)을 상기 지지프레임(300)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황 및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이동 및 휴대가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프레임(100,200)을 사용자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시킴으로써 보행보조장치가 전방지지 기능을 수행하거나 후방지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전방지지 기능과 후방지지 기능을 모두 구비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지지프레임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300)은 정역회전되는 복수 개의 바퀴를 구비한 바퀴부(310)와 상기 복수 개의 바퀴를 좌우 또는 앞뒤에 배치하여 연결 및 고정하는 한 쌍의 바퀴연결부(320)와 상기 바퀴연결부(320)를 고정하여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330) 및 일단은 상기 바퀴연결부(32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사용자프레임(100,200)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프레임(100,20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연결지지부(3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지지부(34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상부지지부(350)를 구비하여 안정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상기 바퀴를 공급된 전력에 의해 구동할 수 있게 설치된 전동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자프레임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방지지 기능이 구현된 보행보조장치이다. 전방지지는 사용자의 앞에서 지지하는 형태로 고령자에게 유용하며, 도 6을 참고하여 사용자프레임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프레임(100)은 상기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체를 보조하여 지지하는 상판지지부(110)와 상기 연결지지부(340)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프레임(100)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상판지지부(110)와 상기 결합부(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지지부(110)는 상기 사용자가 그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C'자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사용자가 지지할 수 있다면 그 형상에 한정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보행보조장치의 상판지지부(110)를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시킴으로써 전방지지 기능을 구비한 보행보조장치가 되며, 전방지지 기능을 구비하면 사용자의 상체를 보조하면서 보행을 보조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다. 이때, 상체 보조와 보행의 보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바퀴부(310)에 고정 장치 기능을 구비하여 뒤쪽 바퀴는 고정시키고, 앞쪽 바퀴는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방향 조정이 쉽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는 보행보조장치의 전방지지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에 불편함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보행보조장치의 후방지지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에 편리함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행보조장기가 전방지지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에 후방지지에 비해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는 있지만 앞쪽의 시야 및 손에 닿는 거리가 제한되어 도 7a와 같이 앞쪽 물건을 다루는 일상생활에 제한이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도 7b와 같이 후방지지 기능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활동 범위를 넓힘으로써 설거지 등의 일상생활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자프레임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후방지지 기능이 구현된 보행보조장치이다. 후방지지는 사용자의 뒤에서 지지하는 형태로 뇌성마비인 유아나 보행이 불편한 장애인에게 유용하며, 도 8을 참고하여 사용자프레임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프레임(200)은 상기 사용자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체를 보조하여 지지하는 상판지지부(210) 및 상기 연결지지부(340)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프레임(200)은 안정성을 더 높이기 위하여 상기 상판지지부(210)와 상기 결합부(220)를 연결하는 연결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지지부(210)는 상기 사용자가 그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후방지지를 하는 경우 전방지지를 하는 경우보다 사용자의 팔을 올릴 수 있는 부분이 길어야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지지할 수 있다면 그 형상에 한정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보행보조장치의 상판지지부(210)를 사용자의 후방에 위치시킴으로써 후방지지 기능을 구비한 보행보조장치가 되며, 후방지지 기능이 구비한 보행보조장치는 상체의 힘이 있는 사람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상체를 꼿꼿이 유지시키면서 보행을 보조하여 자세를 바르게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보행을 하지 않는 기립 상태에서 상체를 이용한 다양한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체 보조를 용이하게 하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바퀴부(310)에 고정 장치 기능을 구비하여 앞쪽 바퀴는 고정시키고, 뒤쪽 바퀴는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방향 조정이 쉽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사용자프레임(100,200)을 전방지지 기능을 구비한 것과 후방지지 기능을 구비한 것을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300)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 및 휴대가 편하고, 변환이 자유로와 사용자의 보행 및 기립 후 일상생활에 편리함을 준다. 그러나, 상황이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방지지 기능이 필요하다가도 후방 지지 기능으로 변환해서 사용해야 할 경우가 있다. 그때마다 상기 사용자프레임(100,200)을 상기 지지프레임(300)으로부터 탈착하여 교환해야 한다면 비효율적이고, 특히 치료사나 보호자가 없이는 상기 사용자프레임(100,200)의 탈부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라 전방지지 기능이 구현된 보행보조장치에서 후방지지 기능을 구현하고자 한다.
도 9는 상판지지부를 회전시켜 전방지지 기능이 구현된 보행보조장치에서 후방지지 기능이 구현된 보행보조장치로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전방지지 기능과 후방지지 기능을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보행보조장치를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프레임(100)의 상기 상판지지부(110)는 상기 상판지지부(11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지지부의 밑면에 레일 형태의 가이드부(1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부(120) 중 제 1 결합부(130)는 상기 상판지지부(110)가 상기 가이드부(111)를 이용하여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일단에 상기 가이드부(111)와 결합하는 가이드보조부(1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부(120) 중 제 2 결합부(140)는 상기 상판지지부(110)가 상기 가이드부(111)를 이용하여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지지부(110)와 탈착되도록 한다.
도 10은 상판지지부의 밑면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지지부(110)가 슬라이딩하듯이 밀릴 수 있도록 상기 상판지지부(110)의 밑면에 레일 형태의 가이드부(11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상판지지부(11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전방지지 기능이 구현된 보행보조장치의 상판지지부(110)를 회전하여 상기 상판지지부(110)가 상기 사용자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때, 상기 상판지지대(110)만이 180°회전하여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상판지지대(110)가 회전을 할 때에 중심을 잡아주기 위하여, 상기 제 1 결합부(130)는 상기 가이드부(111)에 결합되는 가이드보조부(131)를 구비하였다. 따라서, 상기 상판지지부(110)가 회전할 때에 상기 가이드부(111)는 상기 가이드보조부(131)를 스쳐 지나가게 된다.
또한, 상기 상판지지부(110)가 회전을 시작할 때 상기 제 2 결합부(140)는 탈착되었다가,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 2 결합부(140)는 상기 상판지지부(110)에 다시 부착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스위치나 사용자의 잠금 해제 동작에 의해 상기 상판지지부(110)가 회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111)와 상기 가이드보조부(131)는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여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쉽게 기능을 변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구동 시간을 설정하여 너무 급하게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전방지지 기능을 수행하던 보행보조장치를 후방지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보행보조장치로 기대면 전복의 위험이 있어서 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지지부(110)는 상기 가이드부(111)와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무게 중심에 따라 상기 무게 중심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슬라이딩부가 구현된 보행보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상판지지부(110)에 등을 기대는 경우에 무게가 뒤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지지부(110)의 밑에서 사용자의 팔 쪽으로 작은 판이 나오도록 하여 무게가 뒤로 쏠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부(112)도 전동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지금까지 전방지지 기능을 수행하는 보행보조장치를 후방지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변환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요소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별도의 부가적 구성요소 없이 보행보조장치 자체를 상기 바퀴부(310)를 이용하여 180˚도 회전하여 후방지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위치가 바뀌어야 하므로 사용자의 보행 수행 단계가 높을 때에 이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카메라부 및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보행보조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프레임(100)은 상기 상판지지부(110)와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보행 운동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60) 및 상기 상판지지부(110)의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카메라부(16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6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보행 운동 촬영이 가능하고,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되어 자신의 보행 운동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보행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60)의 촬영 범위는 도 12a와 같이 사용자의 상반신, 도 12b와 같이 하반신, 도 12c와 같이 전신을 모두 촬영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3은 하네스가 부착된 보행보조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프레임(100)은 상기 사용자를 지지하며 상기 상판지지부(110)에 탈부착이 가능한 신체지지용 하네스(Harnes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네스(Harness)는 사람 몸에 매는 신체지지용 벨트로서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사용자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4는 외부지지부가 부착된 보행보조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지지부(110)는 외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를 보조하기 위한 외부지지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지지부(190)를 구비하면 사용자와 치료사 또는 보호자의 상호 위치 변경이 가능하여 환자의 보행 재활 훈련을 도와줄 때 특히 효과적이다. 환자 스스로의 보행 재활 훈련이 힘들 때, 환자를 전방에 위치시키고 치료사 또는 보호자가 후방에 위치함으로써 환자의 보행 재활 훈련을 도울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환자의 보행 운동 능력이 향상되었을 경우에 환자와 치료사 또는 보호자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환자의 보행 지지가 적은 높은 단계의 보행 재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는 상기 외부지지부(190)의 형상을 막대기 모양으로 도시하였으나, 사용자의 상판지지부(110)와 유사한 형태인 'C'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지지부(190)를 상기 상판지지부(110)의 형상과 유사하게 제작할 경우에, 환자가 치료사 또는 보호자와 위치를 바꿔서 보행 재활 훈련을 수행할 때에 보행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200 사용자프레임 110, 210 상판지지부
111 가이드부 112 슬라이딩부
120, 220 결합부 130, 230 제 1 결합부
131 가이드보조부 140 제 2 결합부
150, 250 연결부 160 카메라부
170 디스플레이부 180 하네스
190 외부지지부 300 지지프레임
310 바퀴부 320 바퀴연결부
330 하부지지부 340 연결지지부
350 상부지지부

Claims (15)

  1. 삭제
  2. 사용자의 상체를 보조하여 지지하는 사용자프레임; 및
    상기 사용자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되,
    상기 지지프레임은,
    정역회전되는 복수 개의 바퀴를 구비한 바퀴부;
    상기 복수 개의 바퀴를 좌우 또는 앞뒤에 배치하여 연결 및 고정하는 한 쌍의 바퀴연결부;
    상기 바퀴연결부를 고정하여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 및
    일단은 상기 바퀴연결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사용자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프레임을 지지하는 한 쌍의 연결지지부;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프레임은,
    상기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체를 보조하여 지지하는 상판지지부; 및
    상기 연결지지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지지부는,
    상기 상판지지부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지지부의 밑면에 레일 형태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부 중 제 1 결합부는,
    상기 상판지지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이용하여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일단에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하는 가이드보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부 중 제 2 결합부는,
    상기 상판지지부가 상기 가이드부를 이용하여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지지부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바퀴를 공급된 전력에 의해 구동할 수 있게 설치된 전동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지지부와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지지부는 상기 사용자가 그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C'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7. 삭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지지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무게 중심에 따라 상기 무게 중심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보조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프레임은,
    상기 상판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보행 운동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상판지지부의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프레임은,
    상기 사용자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체를 보조하여 지지하는 상판지지부; 및
    상기 연결지지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프레임은
    상기 상판지지부와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지지부는 상기 사용자가 그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14. 제 2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프레임은,
    상기 사용자를 지지하며 상기 상판지지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신체지지용 하네스(Harness);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15. 제 2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지지부는,
    외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를 보조하기 위한 외부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KR1020110017210A 2011-02-25 2011-02-25 보행보조장치 KR101237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210A KR101237247B1 (ko) 2011-02-25 2011-02-25 보행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210A KR101237247B1 (ko) 2011-02-25 2011-02-25 보행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783A KR20120097783A (ko) 2012-09-05
KR101237247B1 true KR101237247B1 (ko) 2013-02-26

Family

ID=47108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210A KR101237247B1 (ko) 2011-02-25 2011-02-25 보행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2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1697B (en) * 2015-08-26 2018-06-06 James Leckey Design Ltd Walking support apparatus
WO2020140051A1 (en) * 2018-12-28 2020-07-02 Participant Assistive Products Modular mobility systems
KR102203170B1 (ko) * 2019-06-14 2021-01-13 박영식 재활보행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8154A (ja) 2003-10-14 2005-05-12 Seiko Iryoki Seisakusho:Kk 歩行器
KR20090121509A (ko) * 2008-05-22 2009-11-2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능동형 보행 보조기 및 그 구동 방법
JP2010099317A (ja) 2008-10-24 2010-05-06 Hiromi Ota ハンドル操作式歩行器
KR20100093324A (ko) * 2009-02-16 2010-08-25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보행보조로봇 및 보행훈련용 견인장치 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8154A (ja) 2003-10-14 2005-05-12 Seiko Iryoki Seisakusho:Kk 歩行器
KR20090121509A (ko) * 2008-05-22 2009-11-2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능동형 보행 보조기 및 그 구동 방법
JP2010099317A (ja) 2008-10-24 2010-05-06 Hiromi Ota ハンドル操作式歩行器
KR20100093324A (ko) * 2009-02-16 2010-08-25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보행보조로봇 및 보행훈련용 견인장치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783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96055A (en) Detachable wheel chair walking apparatus
US9849048B2 (en) Mobility system including an exoskeleton assembly releasably supported on a wheeled base
JP5036369B2 (ja) 介護補助装置
CN201510473U (zh) 多功能手扶杖
WO2010140560A1 (ja) 移乗・移動装置
US3107105A (en) Standing support for paraplegics
CN202497357U (zh) 站立式电动轮椅车
CN212235021U (zh) 一种手动辅助轮椅
CN105853156A (zh) 康复助行器
WO2017093830A1 (es) Exoesqueleto dual convertible en asistente caminador y sillas de ruedas
TW201304760A (zh) 移動車
KR20200001098A (ko) 재활운동을 위한 보행용 스마트 전동휠체어
KR101219305B1 (ko) 보행보조용 플랫폼
KR101237247B1 (ko) 보행보조장치
KR101163125B1 (ko) 재활치료 환자를 위한 다기능 전동식 보행기
KR101012734B1 (ko) 전동식 이동보조장치
KR101517292B1 (ko) 보행보조 로봇
CN104523406A (zh) 一种标准型助行架
US4307715A (en) Ambulatory aid
TWM583752U (zh) 多功能移位升降輔助裝置
KR20100101714A (ko) 안전레일이 구비된 보행운동용 평행봉
JP2003265558A (ja) 転倒防止歩行車
CN111494105B (zh) 一种辅助老人上下床装置
CN104606032A (zh) 一种多用助行车
CN210872550U (zh) 一种护理病人康复用的坐卧一体式轮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