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268B1 -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 - Google Patents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268B1
KR102624268B1 KR1020210006726A KR20210006726A KR102624268B1 KR 102624268 B1 KR102624268 B1 KR 102624268B1 KR 1020210006726 A KR1020210006726 A KR 1020210006726A KR 20210006726 A KR20210006726 A KR 20210006726A KR 102624268 B1 KR102624268 B1 KR 102624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wheelchair
exercise
unit
electric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191A (ko
Inventor
문인혁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6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26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1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rotati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3Control means thereof mechanically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동 휠체어로서 이동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하반신 마비 환자나 고령자의 근육퇴화를 막기 위해 페달 운동을 통한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하반신 근육을 사용하지 못해 근육이 감소 또는 퇴화하여 심부정맥 혈전증, 관절 기능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가 착석하고,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동 휠체어 유닛;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에 구비되며, 착석한 이용자가 하반신 근육운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 및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과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ELECTRIC WHEELCHAIR-ATTACHABLE APPARATUS FOR LOW-LIMB MUSCULAR EXERCISE}
본 발명은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반신 장애가 있거나 마비가 있는 장애인 또는 고령자를 위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기본적으로 전동 휠체어용 장치로서 이동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하반신 마비 환자나 고령자의 근육퇴화를 막기 위해 페달 운동을 통한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하반신 근육을 사용하지 못해 근육이 감소 또는 퇴화하여 심부정맥 혈전증, 관절 기능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약 및 BT 산업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 연령이 증가하면서, 고령화 인구 및 장애인 인구가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령자와 장애인에게 필요한 다양한 기구들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하지 근력이 약화된 고령자나 척수손상에 의한 하반신 마비가 있는 장애인의 경우, 생활 반경이 축소될 수 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이동기기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하반신 마비 장애인이나 고령자를 위한 보행보조기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보행보조기는 보행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이나 고령자가 차량에 몸을 지지하면서 안전하게 보행을 보조할 수 있는 장치이다. 하지만 보행보조기는 고령자의 하지근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 있을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며, 하지의 근력이 미약하여 보행이나 거동이 불편한 경우에는 휠체어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종래의 휠체어는 구동 방식에 따라 수동 휠체어와 전동 휠체어로 구분되며, 사용 방식에 따라 자기 스스로 휠체어를 구동하거나 조정하여 이동하는 방식과 도우미의 도움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수동 휠체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휠체어의 핸드림을 지속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팔과 가슴 근육 및 일부의 하지 근육을 사용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근육을 움직이게 된다.
전동휠체어는 구동력을 전동모터에 의해 보조를 받으며 사용자는 조이스틱과 같은 조향시스템을 조작하여 방향이나 구동력을 조절한다.
고령자의 경우 수동 휠체어보다는 전동 휠체어를 선호하고 있다.
도 1은 기존의 전동휠체어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동휠체어(10)의 구조는 바퀴가 구비되는 바퀴(11), 프레임(12), 좌석(13), 등받이(14), 발판(15), 팔걸이(16), 구동모터(17)와 조향 시스템(18)을 포함하는 구동장치(driving device) 및 다리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받침대(15)를 포함한다.
종래의 전동 휠체어는 단순히 휠체어를 견인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휠체어를 타는 고령자나 장애인은 하체운동이 거의 불가능하다. 특히 종래의 수동 휠체어의 경우,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아 팔을 이용하여 핸드림을 조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하체를 운동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 휠체어에 앉아 장거리 이동하는 경우, 고령자나 장애인이 하체의 움직임이 없으므로 혈액순환 장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나 장애인의 하지 근력이 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전동 휠체어의 경우, 하지 마비환자들이 사회활동을 함에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휠체어에 앉아 생활하는 시간이 장시간임에도 불편한 다리가 계속 동일한 자세로 고정되어 있어 욕창 등이 발생되고, 관절이 굳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재활훈련을 할 수 없으므로 사회생활의 복귀가 아닌 재활 훈련이 보류된 임시적인 이동수단에 지나지 않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동성을 확보하면서도 하반신 근육운동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용 장치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157321(2020.09.1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47549(2014.10.0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36272(2017.05.16.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117453(2010.11.03.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동 휠체어용 장치로서 이동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하반신 마비 환자나 고령자의 근육퇴화를 막기 위해 페달 운동을 통한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하반신 근육을 사용하지 못해 근육이 감소 또는 퇴화하여 심부정맥 혈전증, 관절 기능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 휠체어가 이동하지 않고 정지 상태 또는 세워진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하반신 근육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를 제공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이용자가 착석하고,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동 휠체어 유닛;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에 구비되며, 착석한 이용자가 하반신 근육운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 및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과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은, 의자 형태의 프레임 골격으로 구성되는 휠체어 프레임과,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 이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구성되는 좌석과, 상기 좌석의 후방에 구성되는 등받이, 및 상기 좌석의 양측에 구성되는 팔걸이를 포함하며, 상기 휠체어 구동장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와, 상기 좌석의 하방 또는 하방 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력으로 작동되는 한 쌍의 휠체어용 구동모터와,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하단 전방과 후방에 구비되는 전륜 및 후륜, 및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후륜의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기어 트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구동장치는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후방에서 뒤편으로 연장되며, 상기 후륜 사이에 위치되는 보조바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은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구성되는 보조 발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은,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하방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를 전력원으로 하는 근육운동용 구동모터;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하단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 상기 연장 프레임의 연장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페달 부재; 및 상기 근육운동용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페달 부재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은,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하단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 상기 연장 프레임의 연장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페달 부재; 상기 한 쌍의 휠체어용 구동모터 중 하나의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페달 부재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력 전달 부재; 및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을 구성하는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는 모드 전환 스위치의 조작 신호로 동작하며, 상기 휠체어용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환하여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로 전달하거나 상기 휠체어 구동장치의 기어트레인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클러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페달 부재는, 이용자가 페달에 발을 올려놓을 때 두 발의 위치가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두 발의 위치가 회전방향으로 180°의 간격을 갖고 위치되게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페달 부재는, 그 페달 부재의 회전축 상에 180° 간격을 갖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자유단부에 페달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페달 부재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페달 프레임의 단부에는 회전 방향을 따라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에는 180°의 간격을 갖고 그 가이드 슬롯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통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홈에 상기 고정 돌기가 안착되며, 상기 페달 프레임과 회전축 간에는 상기 고정홈에 고정 돌기가 안착된 상태를 탄성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동휠체어 유닛을 주행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조작 장치; 상기 이동 조작 장치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전동휠체어 유닛의 휠체어용 구동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제어부;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을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하반신운동 조작 장치; 및 상기 하반신운동 조작 장치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의 하반신운동용 구동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작 장치는 컨트롤 박스과, 상기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는 주행장치 온/오프 스위치와, 상기 컨트롤 박스에 구성되어 방향과 회전속도를 조작하도록 구비되는 조이스틱형 조작 레버와, 상기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어 휠체어 주행의 비상 정지를 조작하도록 구비되는 비상 정지 버튼과, 상기 컨트롤 박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피커 모듈과, 상기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고, 상기 스피커 모듈을 통해 경적을 울리도록 조작하는 경적 조작 스위치, 및 상기 컨트롤 케이상에 구비되고, 상기 스피커 모듈을 통해 사이렌을 울리도록 조작하는 사이렌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주행장치 온/오프 스위치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배터리의 전력 공급을 단속하는 주행장치 온/오프 제어부와, 상기 조이스틱형 조작 레버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휠체어용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주행 제어부와, 상기 비상 정지 버튼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휠체어용 구동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비상정지 제어부와, 상기 경적 조작 스위치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스피커 모듈을 통해 경적이 울리도록 제어하는 경적 제어부, 및 상기 사이렌 조작 스위치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스피커 모듈을 통해 사이렌이 울리도록 제어하는 사이렌 발생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운동 조작 장치는, 운동용 컨트롤 박스과, 상기 운동용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는 장치 온/오프 스위치와, 상기 운동용 컨트롤 박스에 구성되어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의 근육운동용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조작하는 운동 조작 스위치, 및 상기 운동용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어 상기 근육운동용 구동모터의 비상 정지를 조작하도록 구비되는 비상 정지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장치 온/오프 스위치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배터리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단속하는 온/오프 제어부와, 상기 운동 조작 스위치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근육운동용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운동 제어부, 및 상기 운동 비상 정지 버튼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근육운동용 구동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운동 비상정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이동 장치로서의 기능 뿐만 아니라 하반신 근육 운동을 행할 수 있는 전동 휠체어를 제공할 수 있어 기능성 향상으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하반신 마비 환자나 고령자의 근육퇴화를 막기 위해 페달 운동을 통한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하반신 근육을 사용하지 못해 근육이 감소 또는 퇴화하여 심부정맥 혈전증, 관절 기능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전동 휠체어의 이동 시가 아닌 정지 상태 또는 세워진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하반신 근육 운동을 행할 수 있는 재활 운동 장치로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전동휠체어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에 포함되는 하반신 운동유닛의 페달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페달이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에 포함되는 하반신 운동유닛의 페달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페달이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에 포함되는 이동 조작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에 포함되는 하반신운동유닛의 하반신운동 조작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에 포함되는 제어 모듈의 제어부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에 포함되는 하반신 운동유닛의 페달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페달이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에 포함되는 하반신 운동유닛의 페달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페달이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에 포함되는 이동 조작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에 포함되는 하반신운동유닛의 하반신운동 조작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에 포함되는 제어 모듈의 제어부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는, 도 2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전동 휠체어 유닛(100);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200); 및 제어 모듈(3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는, 도 2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자가 착석하고,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동 휠체어 유닛(100);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100)에 구성되며, 전동 휠체어 유닛(100)에 이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그 전동 휠체어 유닛(100)의 이동과 함께, 또는 전동 휠체어 유닛(100)의 이동과 별개로 하반신 근육운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200); 및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100)에 구비되고,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100)과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300);을 포함한다.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100)은 통상의 전동 휠체어의 구성을 갖고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100)은 크게 휠체어 프레임(110)과, 좌석(120)과, 등받이(130)와, 팔걸이(140), 및 휠체어 구동장치(150)를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보조 발판 및 스피커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체어 프레임(110)은 각 구성요소들, 즉 좌석(120), 등받이(130), 팔걸이(140) 및 휠체어 구동장치(160)를 지지하고 장착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며, 상기 휠체어 프레임(110)은 이러한 구성요소들이 지지 설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휠체어 플레임(110)은 기본적으로 의자 형태의 프레임 골격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석(120)은 휠체어 프레임(110)에 평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좌석(120)의 후방에는 이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130)가 구비되며, 상기 등받이(130)의 상단에는 보호자를 위한 손잡이(131)가 구비된다.
상기 팔걸이(140)는 좌석(120)의 양측에 구성된다. 여기에서, 일측 팔걸이(140)에는 이용자가 전동휠체어 유닛(100)을 운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동 조작 장치가 구성되며, 타측 팔걸이(140)에는 이용자가 하반신 근육운동을 위하여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200)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반신운동 조작 장치가 구성된다. 이들 이동 조작 장치 및 하반신운동 조작 장치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휠체어 구동장치(150)는 배터리(충전형 배터리)(151)와, 상기 좌석(120)의 하방 또는 하방 후방측에 구비되어 배터리(151)의 전력으로 작동되는 한 쌍의 휠체어용 구동모터(152)와, 상기 휠체어 프레임(110)의 하단 전방과 후방에 구비되는 구동 바퀴(153), 및 상기 구동 모터(152)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구동 바퀴(153)의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기어 트레인(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151)는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바퀴(153)를 구동시키기 위한 휠체어용 구동모터(152)는 정역회전가능한 BLDC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컴팩트한 구성을 위하여 내측에 회전자가 구비되는 인휠모터가 설치공간이 작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휠체어용 구동모터(152)는 후방에 위치한 구동 바퀴를 구동하도록 연결되며, 이때 한 쌍의 구동모터(152) 각각은 후방의 구동 바퀴 각각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각각 정역회전하는 휠체어용 구동모터(152)로 구성됨으로써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어 모듈(300)의 조이스틱형 조작 레버의 조작으로 전후진과 방향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휠체어 구동장치(150)는 상기 휠체어 프레임(110)의 후방에서 뒤편으로 연장되어 위치되며, 두 개의 구동 바퀴(152) 사이에 위치되는 보조바퀴(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100)은 보조 발판 및 스피커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발판은 이용자가 다리를 90도 가깝게 구부린 상태에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휠체어 프레임(110)의 전방 양측 하부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200)을 구성하는 페달 부재에 다리를 어느 정도 편 상태에서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는데, 하반신 운동을 하지 않을 경우나 다리를 구부린 상태로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보조 발판이 구비됨으로써 보조 발판에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 모듈은 상기 휠체어 프레임(110)의 일측 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이동 조작 장치 또는 하반신운동 조작 장치를 구성하는 박스(하우징)의 일측에 구성되어, 주변에 주위를 주거나 도움을 요청해야 하는 경우 이용자의 음향 발생 조작 신호로 경적과 사이렌의 음향을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200)은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100)에 구성되며, 전동 휠체어 유닛(100)에 이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그 전동 휠체어 유닛(100)의 이동과 함께, 또는 전동 휠체어 유닛(100)의 이동과 별개로 하반신 근육운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200)은, 일 실시 예로 크게 근육운동용 구동모터(210)와, 연장 프레임(220)과, 페달 부재(230), 및 구동력 전달 부재(2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200)은 일 실시 예로 상기 좌석(120)의 하방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151)의 전력으로 작동되는 근육운동용 구동모터(210)와, 상기 휠체어 프레임(110)의 하단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연장 단부에 하기 페달 부재(23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장 프레임(220)과, 상기 연장 프레임(220)의 연장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용자의 두 발이 얹힐 수 있게 구성되는 페달 부재(230), 및 상기 근육운동용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을 상기 페달 부재(230)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력 전달 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근육운동용 구동모터(210)는 BLDC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컴팩트한 구성을 위하여 내측에 회전자가 구비되는 인휠모터가 설치공간이 작으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근육운동용 구동모터(210)는 근육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한 휠체어용 구동모터(152)의 용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의 것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200)은 상기 근육운동용 구동모터(210)를 생략하고, 클러치 장치부 및/또는 구동력전달 기어트레인을 통해 상기 휠체어용 구동모터(152)를 근육운동을 위한 구동원으로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페달 부재(230)는 자전거 페달과 같은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페달 부재(230)는 페달(231)의 위치, 즉 발을 딛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페달 부재(230)는 이용자가 페달에 발을 올려놓을 때 두 발의 위치가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발의 위치가 180°의 간격을 갖고 위치(즉, 회전방향으로 발의 위치가 180°의 간격을 갖게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페달 부재(230)는 페달 부재(230)의 회전축의 양단부 상에 180° 간격을 갖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자유단부에 페달(231)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페달 부재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페달 프레임(232)의 단부에는 회전 방향을 따라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슬롯에는 180°의 간격을 갖고 그 가이드 슬롯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통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홈에 상기 고정 돌기가 안착되며, 상기 페달 프레임(232)과 회전축 간에는 상기 고정홈에 고정 돌기가 안착된 상태를 탄성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홈과 고정 돌기의 구성은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페달 부재(230)는 페달(231)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페달 프레임(232)을 안쪽으로 누르거나 외측으로 당겨서 고정 돌기와 고정홈 간의 결합 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회전시키게 되면 가이드 슬롯은 고정 돌기를 따라 가이드 되고, 180° 회전시킨 위치에서 페달 프레임(232)을 놓게 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으로 180°회전된 위치에서 고정 돌기와 고정홈이 자동 결합됨으로써 페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240)는 상기 근육운동용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을 상기 페달 부재(230)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근육운동용 구동모터(210)의 회전축 상의 기어와 페달 부재(230)의 회전축 상의 기어를 연결하는 기어 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240)는 상기 근육운동용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을 상기 페달 부재(230)로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200)은 상기 근육운동용 구동모터(210)를 생략하고, 클러치 장치부 및/또는 구동력전달 기어트레인을 통해 상기 휠체어용 구동모터(152)를 근육운동을 위한 구동원으로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200)은 상기 휠체어 프레임(110)의 하단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연장 단부에 하기 페달 부재(23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장 프레임(220)과, 상기 연장 프레임(220)의 연장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용자의 두 발이 얹힐 수 있게 구성되는 페달 부재(230)와, 상기 휠체어용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을 상기 페달 부재(230)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력 전달 부재(240)와,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200)을 구성하는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는 모드 전환 스위치의 조작 신호로 동작하며, 상기 한 쌍의 휠체어용 구동모터(210) 중 하나의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환하여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240)로 전달하거나 상기 휠체어 구동장치(150)의 기어트레인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클러치 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클러치 장치는 상기 휠체어용 구동모터(210)로부터의 구동력을 전환시켜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240)로 전달하거나 상기 휠체어 구동장치(150)의 기어트레인으로 전달하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 모듈(300)은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100)에 구비되고,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100)과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200)을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300)은 상기 전동휠체어 유닛(100)을 주행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조작 장치(310)와, 상기 이동 조작 장치(310)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전동휠체어 유닛(100)의 휠체어용 구동모터(15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제어부(320)와,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200)을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하반신운동 조작 장치(330), 및 상기 하반신운동 조작 장치(320)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200)의 하반신운동용 구동모터(2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2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조작 장치(310)는 일측의 팔걸이(14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조작 장치(310)는 컨트롤 박스(제1 컨트롤 박스)(311)과, 상기 컨트롤 박스(311)에 구비되는 주행장치 온/오프 스위치(312)와, 상기 컨트롤 박스(311)에 구성되어 방향과 회전속도를 조작하도록 구비되는 조이스틱형 조작 레버(313), 및 상기 컨트롤 박스(311)에 구비되어 휠체어 주행의 비상 정지를 조작하도록 구비되는 비상 정지 버튼(31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 조작 장치(310)의 컨트롤 박스(311)에는 스피커 모듈을 통해 경적을 울리도록 조작하는 경적 조작 스위치(315), 및 스피커 모듈을 통해 사이렌을 울리도록 조작하는 사이렌 조작 스위치(3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적 조작 스위치(315)와 사이렌 조작 스위치(316)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200)을 구성하는 컨트롤 박스에 구성될 수도 있지만, 휠체어의 주행과 관련된 구성부들이므로 상기 이동 조작 장치(310)의 컨트롤 박스(311)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제어부(320)는 상기 이동 조작 장치(310)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전동휠체어 유닛(100)의 휠체어용 구동모터(15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로서, 상기 주행장치 온/오프 스위치(312)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배터리(151)의 전력 공급을 단속하는 주행장치 온/오프 제어부(321)와, 상기 조이스틱형 조작 레버(313)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한 쌍의 구동모터(152)를 각각 제어하여 방향 제어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주행 제어부(322)와, 상기 비상 정지 버튼(314)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한 쌍의 구동모터(152)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비상정지 제어부(323)와, 상기 경적 조작 스위치(315)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스피커 모듈을 통해 경적이 울리도록 제어하는 경적 제어부(324), 및 상기 사이렌 조작 스위치(316)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스피커 모듈을 통해 사이렌이 울리도록 제어하는 사이렌 발생 제어부(325)를 포함한다.
계속해서, 상기 하반신운동 조작 장치(330)는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200)을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로서, 컨트롤 박스(제2 컨트롤 박스)(331)과, 상기 컨트롤 박스(331)에 구비되는 장치 온/오프 스위치(332)와, 상기 컨트롤 박스(331)에 구성되어 상기 근육운동용 구동모터(21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회전 방향을 조작하며, 회전 속도를 조작하는 운동 조작 스위치(333), 및 상기 컨트롤 박스(311)에 구비되어 근육운동용 구동모터(210)의 비상 정지를 조작하도록 구비되는 비상 정지 버튼(344)을 포함한다.
상기 하반신운동 조작 장치(300)는 타측의 팔걸이(14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운동 조작 스위치(333)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가변 저항 신호의 전달로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조그셔틀 스위치 또는 다이얼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제2 제어부(340)는 상기 하반신운동 조작 장치(320)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200)의 하반신운동용 구동모터(2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로서, 상기 장치 온/오프 스위치(322)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배터리(151)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단속하는 온/오프 제어부(341)와, 상기 운동 조작 스위치(333)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근육운동용 구동모터(210)를 제어하여 정역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운동 제어부(342), 및 상기 운동 비상 정지 버튼(344)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근육운동용 구동모터(21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운동 비상정지 제어부(343)를 포함한다.
상기한 제어 모듈(300)의 구성부들인 이동 조작 장치(310)와, 제1 제어부(320)와, 하반신운동 조작 장치(330), 및 제2 제어부(340)는 일체로 구성되어 일측의 팔걸이부 측에 구성될 수 있지만, 각각의 기능 특성상 상기한 바와 같이 팔걸이 각각에 별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에 의하면, 이동 장치로서의 기능 뿐만 아니라 하반신 근육 운동을 행할 수 있는 전동 휠체어를 제공할 수 있어 기능성 향상으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하반신 마비 환자나 고령자의 근육퇴화를 막기 위해 페달 운동을 통한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하반신 근육을 사용하지 못해 근육이 감소 또는 퇴화하여 심부정맥 혈전증, 관절 기능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 휠체어의 이동 시가 아닌 정지 상태 또는 세워진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페달 구동을 통해 하반신 근육 운동을 행할 수 있는 재활 운동 장치로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동 휠체어 유닛
110: 휠체어 프레임
120: 좌석
130: 등받이
131: 손잡이
140: 팔걸이
150: 휠체어 구동장치
151: 배터리
152: 휠체어용 구동모터
153: 구동 바퀴
200: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
210: 근육운동용 구동모터
220: 연장 프레임
230: 페달 부재
231: 페달
232: 페달 프레임
240: 구동력 전달 부재
300: 제어 모듈
310: 이동 조작 장치
311: 컨트롤 박스(제1 컨트롤 박스)
312: 주행장치 온/오프 스위치
313: 조이스틱형 조작 레버
314: 비상 정지 버튼
315: 경적 조작 스위치
316: 사이렌 조작 스위치
320: 제1 제어부
321: 주행장치 온/오프 제어부
322: 주행 제어부
323: 비상정지 제어부
324: 경적 제어부
325: 사이렌 발생 제어부
330: 하반신운동 조작 장치
331: 컨트롤 박스(제2 컨트롤 박스)
332: 장치 온/오프 스위치
333: 운동 조작 스위치
334: 비상 정지 버튼
340: 제2 제어부
341: 온/오프 제어부
342: 운동 제어부
343: 운동 비상정지 제어부

Claims (10)

  1. 이용자가 착석하고,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동 휠체어 유닛;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에 구비되며, 착석한 이용자가 하반신 근육운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 및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과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은,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하방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를 전력원으로 하는 근육운동용 구동모터;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하단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
    상기 연장 프레임의 연장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페달 부재; 및
    상기 근육운동용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페달 부재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동휠체어 유닛을 주행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조작 장치;
    상기 이동 조작 장치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전동휠체어 유닛의 휠체어용 구동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제어부;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을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하반신운동 조작 장치; 및 상기 하반신운동 조작 장치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의 하반신운동용 구동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은, 의자 형태의 프레임 골격으로 구성되는 휠체어 프레임과, 상기 휠체어 프레임에 이용자가 착석 가능하게 구성되는 좌석과, 상기 좌석의 후방에 구성되는 등받이, 상기 좌석의 양측에 구성되는 팔걸이 및 휠체어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휠체어 구동장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와, 상기 좌석의 하방 또는 하방 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력으로 작동되는 한 쌍의 휠체어용 구동모터와,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하단 전방과 후방에 구비되는 구동바퀴, 및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후방의 구동바퀴의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기어 트레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구동장치는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후방에서 뒤편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후방의 구동바퀴 사이에 위치되는 보조바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동 휠체어 유닛은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구성되는 보조 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은,
    상기 휠체어 프레임의 하단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
    상기 연장 프레임의 연장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페달 부재;
    상기 한 쌍의 휠체어용 구동모터 중 하나의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페달 부재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력 전달 부재; 및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을 구성하는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는 모드 전환 스위치의 조작 신호로 동작하며, 상기 휠체어용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환하여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로 전달하거나 상기 휠체어 구동장치의 기어트레인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클러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부재는,
    이용자가 페달에 발을 올려놓을 때 두 발의 위치가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두 발의 위치가 회전방향으로 180°의 간격을 갖고 위치되게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부재는,
    그 페달 부재의 회전축 상에 180° 간격을 갖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자유단부에 페달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페달 부재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페달 프레임의 단부에는 회전 방향을 따라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롯에는 180°의 간격을 갖고 그 가이드 슬롯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통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홈에 상기 고정 돌기가 안착되며,
    상기 페달 프레임과 회전축 간에는 상기 고정홈에 고정 돌기가 안착된 상태를 탄성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가 구비되어 구성되본 발명에 있어서,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작 장치는 컨트롤 박스과, 상기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는 주행장치 온/오프 스위치와, 상기 컨트롤 박스에 구성되어 방향과 회전속도를 조작하도록 구비되는 조이스틱형 조작 레버와, 상기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어 휠체어 주행의 비상 정지를 조작하도록 구비되는 비상 정지 버튼과, 상기 컨트롤 박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피커 모듈과, 상기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고, 상기 스피커 모듈을 통해 경적을 울리도록 조작하는 경적 조작 스위치 및 상기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고, 상기 스피커 모듈을 통해 사이렌을 울리도록 조작하는 사이렌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주행장치 온/오프 스위치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배터리의 전력 공급을 단속하는 주행장치 온/오프 제어부와, 상기 조이스틱형 조작 레버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휠체어용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주행 제어부와, 상기 비상 정지 버튼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휠체어용 구동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비상정지 제어부와, 상기 경적 조작 스위치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스피커 모듈을 통해 경적이 울리도록 제어하는 경적 제어부, 및 상기 사이렌 조작 스위치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스피커 모듈을 통해 사이렌이 울리도록 제어하는 사이렌 발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운동 조작 장치는, 운동용 컨트롤 박스과, 상기 운동용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는 장치 온/오프 스위치와, 상기 운동용 컨트롤 박스에 구성되어 상기 하반신 근육운동 유닛의 근육운동용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조작하는 운동 조작 스위치, 및 상기 운동용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어 상기 근육운동용 구동모터의 비상 정지를 조작하도록 구비되는 비상 정지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장치 온/오프 스위치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배터리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단속하는 온/오프 제어부와, 상기 운동 조작 스위치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근육운동용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운동 제어부, 및 상기 운동 비상 정지 버튼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근육운동용 구동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운동 비상정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
KR1020210006726A 2021-01-18 2021-01-18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 KR102624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726A KR102624268B1 (ko) 2021-01-18 2021-01-18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726A KR102624268B1 (ko) 2021-01-18 2021-01-18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191A KR20220105191A (ko) 2022-07-27
KR102624268B1 true KR102624268B1 (ko) 2024-01-12

Family

ID=82701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726A KR102624268B1 (ko) 2021-01-18 2021-01-18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2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4873A (ja) * 2014-04-17 2015-11-19 株式会社イーバイク 電動車椅子及びその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165B1 (ko) * 2001-12-07 2005-08-25 구연광 운동량이 향상된 자전거
KR20100117453A (ko) 2009-04-24 2010-11-03 이상수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
KR101447549B1 (ko) 2013-06-17 2014-10-08 주식회사 이씨엠 관절운동기능을 가지는 전동휠체어
KR101736272B1 (ko) 2016-07-19 2017-05-16 홍예진 하지 재활운동이 가능한 탈부착형 전동휠체어
KR102157321B1 (ko) 2018-12-03 2020-09-17 유승현 재활 운동이 가능한 휠체어용 발받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4873A (ja) * 2014-04-17 2015-11-19 株式会社イーバイク 電動車椅子及びその駆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191A (ko) 202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1448B2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
EP2361734B1 (en) Wheelchair type robot for walking aid
US5778996A (en) Combination power wheelchair and walker
US11406555B2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
US20160270988A1 (en) Modularized mobility device
CN102688124B (zh) 联动操控平躺式电动轮椅车
KR20140088757A (ko) 기립 보조형 휠체어
JP2013530740A (ja) 移動支援機器
JP2008502413A (ja) 対麻痺患者や運動神経の障害者のための運動、リハビリ、移動装置
US7445217B1 (en) Walk aid
JP2000140029A (ja) 自立用の椅子
JP2008011989A (ja) 車椅子
KR102624268B1 (ko)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
JP2013252417A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車椅子
JP2017164431A (ja) 移動支援装置
KR20240076536A (ko) 전동휠체어 탈부착식 재활운동기구
KR20200066912A (ko) 재활 운동이 가능한 휠체어용 발받침
CN220757572U (zh) 一种高舒适性的电动轮椅结构
KR101906202B1 (ko) 분리형 전동식 이동장치
JP2001212183A (ja) 電動車椅子
CN114848312B (zh) 一种立卧坐一体式轮椅
CN214073913U (zh) 一种新型神经内科护理用电动轮椅车
JP2000254178A (ja) シーソー式起立補助椅子
JP2019030580A (ja) 車椅子
CN108836648B (zh) 一种智能上下病床的医用轮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