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453A -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 - Google Patents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453A
KR20100117453A KR1020090036224A KR20090036224A KR20100117453A KR 20100117453 A KR20100117453 A KR 20100117453A KR 1020090036224 A KR1020090036224 A KR 1020090036224A KR 20090036224 A KR20090036224 A KR 20090036224A KR 20100117453 A KR20100117453 A KR 20100117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pedal
support member
detachably coupl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이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수 filed Critical 이상수
Priority to KR1020090036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7453A/ko
Publication of KR20100117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A63B2071/0018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for wheelchair us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는, 휠체어의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와 이격되도록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1고정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지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연장된 제1거리조절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2고정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지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의 타단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2거리조절부재;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의 타단부 및 상기 제2거리조절부재의 타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지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몸체부재; 및 상기 몸체부재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헬스기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Health apparatus set for installing wheel chair}
본 발명은 장애인 또는 재활 환자의 운동을 보조하기 위해 휠체어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헬스기구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다리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는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이다.
그런데 휠체어는 장애인이나 환자의 이동을 위한 보조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을 뿐이며, 장애인이나 환자의 재활을 위한 운동은 별도의 운동시설이 마련된 장소로 이동하여야 이용할 수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대다수는 이동이 불편하므로 위와 같은 운동시설에 접근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장소를 가리지 않고 좁은 공간에서도 휠체어에 탑승한 채로 제자리에서 팔운동이나 다리 운동을 하거나 그 휠체어를 타도 이동하는 중에 팔운동이나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는 헬스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그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헬스기구가 없었다.
한편, 장애인 전용으로 개발된 헬스기구들은 가격이 고가이며, 구조가 복잡 하고 무거워서 일반인들이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에 보급된 휠체어에 간단하게 부착하여 휠체어에 탄 사람이 정지상태 또는 그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는 중에도 팔운동이나 다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발명한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는, 휠체어의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와 이격되도록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1고정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지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연장된 제1거리조절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2고정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지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의 타단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2거리조절부재;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의 타단부 및 상기 제2거리조절부재의 타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지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몸체부재; 및
상기 몸체부재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헬스기구;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몸체부재는,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의 타단부 및 상기 제2거리조절부재의 타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 지지부재;
상기 수평 지지부재의 중앙부에 상대 결합되며, 지면에 대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수평 지지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며, 지면에 대해 수직인 위치에서 상기 수평 지지부재에 대해 상대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수평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그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높이 조절홈이 구비된 수직 지지부재; 및
상기 수직 지지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높이 조절홈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상기 수직 지지부재에 상대 고정되는 탄성 걸림편을 구비한 높이조절 부재;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헬스기구는 회전저항력 조절기가 구비된 페달장치 또는 스프링이 구비된 완력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저항력 조절기는,
원통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페달 회전축;
상기 페달 회전축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마찰부재;
상기 마찰부재를 상기 페달 회전축의 중심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압력조절 부재;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달장치의 페달은 상기 회전저항력 조절기의 페달 회전축에 수직인 면 에 대해 외측으로 15°경사진 연결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저항력 조절기의 페달 회전축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페달의 측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페달에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보호자가 상기 페달의 회전운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된 보조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페달의 표면에는 벨크로 패스너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는, 휠체어의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에 걸려 상기 휠체어의 폭 방향으로 회전이 방지되는 제3고정부재;
상기 제3고정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자유단부에 손잡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부재;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고정되며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스프링 부재는 한 쌍이 구비되며, 그 한 쌍의 스프링 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슬라이딩 부재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하나의 스프링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조 슬라이딩 부재에 고정되며, 나머지 스프링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조 슬라이딩 부재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한 쌍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는, 일반적으로 보급된 대부분의 휠체어에 간단하게 부착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장애인이나 환자가 팔운동이나 다리운동을 하거나, 근력강화 운동으로 손발의 활동을 도울 수 수 있도록 한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의 복지를 증진시키며, 제조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므로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를 휠체어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헬스기구 세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헬스기구 세트 중 제1고정부재의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Ⅳ-Ⅳ 부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헬스기구 세트 중 회전 결합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회전저항 조절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Ⅶ-Ⅶ 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장착용 헬 스기구 세트(10, 이하 "헬스기구 세트"라 함)는 제1고정부재(20)와, 제2고정부재(22)와, 거리조절부재와, 몸체부재(40)와, 헬스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20)는 휠체어(15)의 프레임(17)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2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20)는 한 쌍의 클램프 부재가 나사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써, 나사부재를 풀고 조임에 따라 상기 프레임(17)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20)는 상기 휠체어(15)에 장착되었을 때 지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수용홈(2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용홈(210)은 후술하는 제1거리조절부재(30)가 끼워져 결합되는 부위이다. 상기 수용홈(210)의 측벽에는 그 수용홈(210)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고정공(21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공(212)은 후술하는 거리조절부재에 마련된 탄성핀(300, 이하에서 언급되는 탄성핀은 설치된 부위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조이므로 설치 부위에 관계없이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기하기로 함)이 끼워지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제2고정부재(22)는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22)는 단지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배치되는 위치가 다를 뿐이다. 상기 제2고정부재(22)는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이격되도록 상기 휠체어(15)의 프레임(17)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거리조절부재는 한 쌍이 마련되어 있다. 편의상 상기 제1고정부재(20)에 결합되는 것을 제1거리조절부재(30)라 하며, 상기 제2고정부재(22)에 결합되는 것을 제2거리조절부재(32)라 한다.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30)는 일단부가 상기 제1 고정부재(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30)는 체결부(310)와, 거리조절부(31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체결부(310)는 상기 제1고정부재(20)에 마련된 수용홈(210)에 끼워져 수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부(310)는 관 형상이다. 상기 체결부(310)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20)에 마련된 고정공(212)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탄성핀(30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탄성핀(300)은 상기 체결부(310)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구멍을 따라 탄성적으로 직선적인 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핀(300)은 상기 체결부(310)의 내측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 복원력을 가진다. 이하에서 탄성핀(300)이라 언급되는 부품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상기 거리조절부(312)는 상기 체결부(310)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거리조절부(312)는 휠체어(15)에 장착된 상태에서 지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거리조절부(312)는 비원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리조절부(312)는 단면은 정사각형으로 형태이다. 상기 거리조절부(312)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거리 조절공(3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거리조절부재(32)는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3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거리조절부재(32)는 일단부가 상기 제2고정부재(2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거리조절부재(32)는 상기 휠체어(15)에 장착된 상태에서 지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30)의 타단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2거리조절부재(32)는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30)와 결합되는 위치가 다를 뿐 결합구조는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상 기 제1거리조절부재(30)에 관한 서술을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 몸체부재(40)는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30)의 타단부 및 상기 제2거리조절부재(32)의 타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휠체어(15)에 장착된 상태에서 지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재(40)는 수평 지지부재(44)와, 수직 지지부재(46)와, 높이조절 부재(4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평 지지부재(44)는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30)의 타단부 및 상기 제2거리조절부재(32)의 타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수평 지지부재(44)의 자유단부는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30)에 끼워진다. 상기 수평 지지부재(44)의 양단부에는 상기 체결부(310)에 마련된 탄성핀(300)과 동일한 구조의 탄성핀(30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지지부재(44)는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30)와 상기 제2거리조절부재(32)의 거리조절부(312)에 양단부가 각각 끼워진 후 상기 거리 조절공(314)에 탄성핀(300)이 탄성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30) 및 상기 제2거리조절부재(32)와 상대고정된다. 상기 수평 지지부재(44)의 중앙부에는 회전 결합부(44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회전 결합부(442)는 회전축 결합공(444)과 수직위치 고정공(44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전축 결합공(444)은 후술하는 수직 지지부재(46)의 타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축이 결합되는 곳이다. 상기 수직위치 고정공(446)은 후술하는 수직 지지부재(46)가 지면과 수직인 위치에서 상기 회전 결합부(442)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탄성핀(300)이 끼워지는 구멍이다.
상기 수직 지지부재(46)는 상기 수평 지지부재(44)의 중앙부에 결합된다. 즉, 상기 수직 지지부재(46)는 상기 회전 결합부(442)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수직 지지부재(46)는 상기 휠체어(15)에 장착된 상태에서 지면에 대해 수평 또는 수직방향 사이에서 상기 수평 지지부재(44)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수직 지지부재(46)는 상기 휠체어(15)에 장착된 상태에서 지면에 대해 수직인 위치에서 상기 수평 지지부재(44)에 대해 상대회전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수직 지지부재(46)는 상기 회전축 결합공(444)에 끼워지는 회전축(448)과 그 회전축(448)으로부터 상기 수직 지지부재(46)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수직위치 고정공(446)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탄성핀(300)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 지지부재(46)는 상기 수평 지지부재(44)에 대해 특정한 위치 즉, 지면과 수직인 위치에서 상대 고정되도록 상기 수평 지지부재(44)에 결합된다. 상기 수직 지지부재(46)의 중앙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높이 조절홈(46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높이 조절홈(462)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높이 조절홈(462)은 상기 수직 지지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부재에 홈이나 구멍을 형성한 후 상기 수직 지지부재(46)에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높이조절 부재(48)는 상기 수직 지지부재(46)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 부재(48)는 탄성 걸림편(482)과 헬스기구 결합홈(48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탄성 걸림편(482)은 상기 높이조절 부재(4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탄성 걸림편(482)은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에 의해 상기 높이 조절홈(462)에 일단부가 수용되도록 가압력을 받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 기 높이조절 부재(48)를 상기 수직 지지부재(46)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 걸림편(482)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높이 조절홈(462)에 걸련 탄성 걸림편(482)이 그 높이 조절홈(462)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높이조절 부재(48)의 상단부에는 헬스기구 결합홈(48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헬스기구 결합홈(484)의 측벽에는 탄성핀(300)이 끼워져 걸리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헬스기구는 상기 몸체부재(40)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헬스기구가 상기 높이조절 부재(48)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헬스기구는 예컨대 자전거 페달장치(50) 또는 완력기(60)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페달장치(50)는 회전저항력 조절기(52)와, 연결부재(53)와, 페달(54)과, 보조 손잡이(5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회전저항력 조절기(52)는 하우징(521)과, 페달 회전축(520)과, 마찰부재(523)와, 가압부재(525)와, 압력조절 부재(52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521)은 원통 형상이다. 상기 하우징(521)의 양 측벽은 페달 회전축(520)이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521)에는 상기 높이조절 부재(48)와 결합하기 위해 돌출된 부분이 마련되며, 그 돌출된 부위의 내측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성핀(3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521)에 설치된 탄성핀(300)은 상기 페달장치(50)를 상기 높이조절 부재(48)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페달 회전축(520)은 상기 하우징(521)에 마련된 구멍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521)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페달 회전축(520)은 상기 하우징(521)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페달 회전축(520)의 양단부는 상기 하우징(521)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페달 회전축(520)의 양단부에는 각각 탄성핀(30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마찰부재(523)는 상기 하우징(521) 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마찰부재(523)는 한 쌍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마찰부재(523)는 상기 페달 회전축(520)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찰부재(523)는 상기 페달 회전축(520)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525)는 상기 마찰부재(523)를 상기 페달 회전축(520)의 중심을 향해 가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525)의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압력조절 부재(52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압력조절 부재(527)는 상기 하우징(521)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가압부재(525)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압력조절 부재(527)의 손잡이를 돌려서 상기 하우징(521)과 나사결합된 부위를 풀거나 조여서 상기 가압부재(525)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마찰부재(523)를 가압하여 상기 페달 회전축(520)의 회전저항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3)는 상기 페달 회전축(52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53)와 상기 페달 회전축(520)의 결합구조는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30)의 결합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연결부재(53)는 상기 페달 회전축(520)에 수직인 면에 대해 외측으로 15°경사지도록 상기 페달 회전축(52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53)는 한 쌍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53)의 자유단부에는 각각 페달(54)이 그 연결부재(5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페달(54)의 측면에는 보조 손잡이(59)가 끼워지는 홈이 마련 되어 있다. 상기 보조 손잡이(59)는 상기 페달(54)에 결합되어, 그 페달(54)에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손잡이(59)는 보호자가 상기 페달(54)의 회전운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페달(54)의 표면에는 벨크로 패스너(54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벨크로 패스너(542)는 장애인이나 환자가 휠체어(15)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페달(54)을 조작할 때 상기 벨크로 패스너(542)에 결합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는 장갑 또는 양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페달(54)에는 사용자의 손이나 발을 감쌀 수 있도록 고리부(54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헬스기구로써 완력기(60)가 채용된 경우에 그 완력기(60)는 스프링부(62)로 이루어진 팔과 그 팔의 단부에 마련된 손잡이(6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완력기(60)의 팔 에 채용된 스프링부(62)는 휠체어(15)에 설치된 상태에서 중심부로부터 자유단부로 갈수록 지면과 점점 더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완력기(60)는 탄성핀(300)에 의해 상기 높이조절 부재(48)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62)가 경사지게 배치한 것은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상기 완력기(60)를 지면을 향해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게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헬스기구 세트(10)의 장착방법 및 사용법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먼저, 휠체어(15)를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 펼친다.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상기 제2고정부재(22)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휠체어(15)의 프레임(17)에 결합한다. 상기 수평 지지부재(44)와 상기 수직 지지부 재(46)와 상기 높이조절 부재(48)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상기 제2고정부재(22)의 수용홈(210)에 결합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30)와 상기 제2거리조절부재(32)를 움직여서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상기 제2고정부재(22) 간 거리를 조절한다.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30)와 상기 제2거리조절부재(32)를 조절한 후 탄성핀(300)을 상기 거리조절부(312)에 마련된 거리 조절공(314)에 끼움으로써 상대 이동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 부재(48)에 상기 헬스기구 즉 페달장치(50)나 완력기(60)를 결합한다. 상기 헬스기구는 상기 높이조절 부재(48)와 상대 고정되므로, 상기 높이조절 부재(48)를 상기 수직 지지부재(46)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켜 적절한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탄성 걸림편(482)을 상기 높이 조절홈(462)에 끼워서 상기 높이조절 부재(48)를 고정한다. 이 경우에 상기 탄성 걸림편(482)의 일단부가 상기 높이 조절홈(462)에 끼워져 있게 되는데, 상기 높이조절 부재(48)를 상기 수직 지지부재(46)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 걸림편(482)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높이 조절홈(462)에 수용된 상기 탄성 걸림편(482)의 일단부를 그 높이 조절홈(462)으로부터 이탈시켜야 한다. 한편, 손을 사용하여 상기 페달장치(50)를 작동할 때는 상기 수직 지지부재(46)가 지면에 대해 수직인 위치로 고정하고, 발을 사용하여 상기 페달장치(50)를 작동할 때는 상기 수직 지지부재(46)가 지면에 대해 수평인 위치로 변경시킨다. 상기 페달장치(50)를 사용하는 도중에 상기 페달(54)의 회전저항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압력조절 부재(527)를 풀거나 조임으로써 상기 회전저항력 조절기(52)를 제어하여 상기 페달(54)의 회전저항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페달(54)에 마련된 벨크로 패스너(542)나 고리부(544)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호자가 휠체어(15)에 앉은 환자나 장애인의 운동을 보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페달(54)에 보조 손잡이(59)를 끼워서 상기 페달(54)을 돌려줄 수 있다. 한편, 상기 헬스기구 세트(10)의 사용이 끝난 경우에는 상호 부품의 연결부위를 분리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보관 및 휴대하기가 편리하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고정부재(20) 및 상기 제2고정부재(22)는 휠체어(15)에서 굳이 분리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재(20) 및 상기 제2고정부재(22)를 휠체어(15)로부터 분리하지 않는 것은 추후에 다시 상기 헬스기구 세트(10)를 동일한 휠체어(15)에 사용하는 경우에 재장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헬스기구 세트(10)는 휠체어(15)에 장착이 용이하며, 가볍고, 구조가 간단하며, 제조원가가 경제적이므로 휠체어(15)를 사용하는 장애인이나 환자가 용이하게 구입하여 효과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헬스기구 세트의 분리 사시도 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헬스기구 세트가 휠체어에 조립되는 부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Ⅹ-Ⅹ 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대응하는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헬스기구 세트(11)는 사용자의 팔운동을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헬스기구 세트(11)는 제3고정부재(70)와, 지지부재(80)와, 슬라이딩 부재(85)와, 보조 슬라이딩 부재(87)와, 한 쌍의 스프링 부재(88,8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3고정부재(70)는 휠체어(15)의 프레임(17)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고정부재(70)는 제1실시예에서 서술한 상기 제1고정부재(2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상기 프레임(17)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고정부재(70)는 후술하는 지지부재(80)와 결합되는 결합부(72)와, 회전 방지부(7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결합부(7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체어(15)에 대해 지면과 수직인 방향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해 수평인 방향으로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부(72)의 구조는 상기 회전 결합부(442)의 구조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방지부(74)는 휠체어(100)의 프레임(17)에 걸려서 상기 헬스기구 세트(11)가 사용자 쪽 또는 보호자 쪽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즉, 상기 회전 방지부(74)는 상기 헬스기구 세트(11)가 상기 휠체어(15)의 폭 방향으로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80)는 상기 제3고정부재(7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80)는 직선형의 부재로서 내부가 중공인 관 형상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85)는 상기 지지부재(8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85)의 자유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조 슬라이딩 부재(87)는 상기 지지부재(80)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 슬라이딩 부재(87)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스프링 부 재(88,8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스프링 부재(88,89)를 편의상 제1스프링 부재(88) 및 제2스프링 부재(89)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스프링 부재(88)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80)에 상대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보조 슬라이딩 부재(87)에 상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스프링 부재(89)는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85)에 상대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보조 슬라이딩 부재(87)에 상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85)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제1스프링 부재(88)와 상기 제2스프링 부재(89)의 탄성 복원력이 평형이 되는 위치에 정지해 있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85)에 힘을 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스프링 부재(88)와 상기 제2스프링 부재(89)가 탄성 복원력을 가지므로 그 탄성 복원력보다 큰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부재(85)를 움직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85)를 당기거나 밀어서 운동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72)의 위치를 지면에 대해 수직인 위치와 수평인 위치 사이에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팔운동을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80)는 예컨대 지면에 대해 수평 또는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3고정부재(70)에 대해 상대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11a)는 보조 슬라이딩 부재(87)를 구비하지 않고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하나의 스프링 부재(88)가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재(80)에 상대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85)에 상대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일방향 만으로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방향 운동만을 할 수 있다.
상기 제3고정부재(70)와, 상기 지지부재(80)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85)가 한 쌍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휠체어(15)에 않은 장애인이나 환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를 휠체어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헬스기구 세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헬스기구 세트 중 제1고정부재의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Ⅳ-Ⅳ 부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헬스기구 세트 중 회전 결합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회전저항 조절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Ⅶ-Ⅶ 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헬스기구 세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헬스기구 세트가 휠체어에 조립되는 부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Ⅹ-Ⅹ 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대응하는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결합부가 지면과 평행인 방향으로 위치변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11a...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
15...휠체어 17...프레임
20...제1고정부재 22...제2고정부재
30...제1거리조절부재 32...제2거리조절부재
40...몸체부재 44...수평 지지부재
46...수직 지지부재 48...높이조절 부재
50...페달장치 52...회전저항력 조절기
53...연결부재 54...페달
59...보조 손잡이 60...완력기
62...스프링부 64...손잡이
70...제3고정부재 80...지지부재
85...슬라이딩 부재 87...보조 슬라이딩 부재
88...제1스프링 부재 89...제2스프링 부재
210...수용홈 212...고정공
300...탄성핀 310...체결부
312...거리조절부 314...거리 조절공
442...회전 결합부 444...회전축 결합공
446...수직위치 고정공 448...회전축
462...높이 조절홈 482...탄성 걸림편
484...헬스기구 결합홈 520...페달 회전축
521...하우징 523...마찰부재
525...가압부재 527...압력조절 부재
542...벨크로 패스너 544...고리부

Claims (8)

  1. 휠체어의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와 이격되도록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1고정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지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연장된 제1거리조절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2고정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지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의 타단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2거리조절부재;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의 타단부 및 상기 제2거리조절부재의 타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지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몸체부재; 및
    상기 몸체부재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헬스기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는,
    상기 제1거리조절부재의 타단부 및 상기 제2거리조절부재의 타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 지지부재;
    상기 수평 지지부재의 중앙부에 상대 결합되며, 지면에 대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수평 지지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며, 지면에 대해 수직인 위치에서 상기 수평 지지부재에 대해 상대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수평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그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높이 조절홈이 구비된 수직 지지부재; 및
    상기 수직 지지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높이 조절홈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상기 수직 지지부재에 상대 고정되는 탄성 걸림편을 구비한 높이조절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기구는 회전저항력 조절기가 구비된 페달장치 또는 스프링이 구비된 완력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저항력 조절기는,
    원통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페달 회전축;
    상기 페달 회전축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마찰부재;
    상기 마찰부재를 상기 페달 회전축의 중심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압력조절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장치의 페달은 상기 회전저항력 조절기의 페달 회전축에 수직인 면에 대해 외측으로 15°경사진 연결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저항력 조절기의 페달 회전축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페달의 측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페달에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보호자가 상기 페달의 회전운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된 보조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페달의 표면에는 벨크로 패스너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
  6. 휠체어의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에 걸려 상기 휠체어의 폭 방향으로 회전이 방지되는 제3고정부재;
    상기 제3고정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자유단부에 손잡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부재;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고정되며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한 쌍이 구비되며, 그 한 쌍의 스프링 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슬라이딩 부재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하나의 스프링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조 슬라이딩 부재에 고정되며, 나머지 스프링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조 슬라이딩 부재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한 쌍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
KR1020090036224A 2009-04-24 2009-04-24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 KR201001174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224A KR20100117453A (ko) 2009-04-24 2009-04-24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224A KR20100117453A (ko) 2009-04-24 2009-04-24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453A true KR20100117453A (ko) 2010-11-03

Family

ID=43404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224A KR20100117453A (ko) 2009-04-24 2009-04-24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74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912A (ko) * 2018-12-03 2020-06-11 유승현 재활 운동이 가능한 휠체어용 발받침
KR20220105191A (ko) 2021-01-18 2022-07-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912A (ko) * 2018-12-03 2020-06-11 유승현 재활 운동이 가능한 휠체어용 발받침
KR20220105191A (ko) 2021-01-18 2022-07-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하반신 근육운동 기능을 갖는 전동 휠체어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37501B (zh) 踝关节训练适配件及康复训练设备
US10173095B2 (en) Adjustable rehabilitation and exercise device
US4262902A (en) Portable exercise device
US20160262970A1 (en) Method for gait training using walker device
US8529416B2 (en) Exercising device
JP3195646U (ja) 車椅子
US20130150219A1 (en) Vertical auxiliary apparatus for both body inversion and rehabilitation
US8517407B2 (en) Three-wheel pedal-style wheelchair
JP2006288784A (ja) エクササイズチェア
JP2015146879A (ja) 下肢リハビリ訓練機器
WO2019055568A1 (en) ATHLETIC TRAINING APPARATUS FOR FACILITATING STRETCHING OF ISCHIO-LEGAL MUSCLES
US20200060927A1 (en) Adjustable muscle massage board
KR101094821B1 (ko) 페달운동기구
JP2012005523A (ja) 上肢回転運動用のリハビリ機器
CN103170104A (zh) 腿部拉伸健身器
KR20100117453A (ko) 휠체어 장착용 헬스기구 세트
CN101816611B (zh) 床上肢体锻炼器
KR101511677B1 (ko) 하체단련을 위한 자전거 운동기구
KR101470373B1 (ko) 모관운동유닛이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200436896Y1 (ko) 헬스 운동 보조 기구
KR101990270B1 (ko) 책상 및 소파용 다리 운동기구
US20130310222A1 (en) Multi-action stationary exercise device
KR20140081044A (ko) 재활 운동기구
US5902218A (en) Multi-functional adjustable rotating resistance exerciser system
TWM469904U (zh) 多功能行動復健輔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