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940B1 - 메틸렌 아미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심장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틸렌 아미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심장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940B1
KR101188940B1 KR1020067019715A KR20067019715A KR101188940B1 KR 101188940 B1 KR101188940 B1 KR 101188940B1 KR 1020067019715 A KR1020067019715 A KR 1020067019715A KR 20067019715 A KR20067019715 A KR 20067019715A KR 101188940 B1 KR101188940 B1 KR 101188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benzyl
oxo
acetic acid
carbo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9066A (ko
Inventor
로브 후프트 반 하위예이스다위예이넨
빈센트 리차드
Original Assignee
메르크 세로노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세로노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메르크 세로노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60129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pantothe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Abstract

본 발명은 심장 혈관 폐색 및 심장기능상실과 같은 심장혈관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화학식(I) 치환된 메틸렌 아미드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심장기능상실에서 내피세포 기능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화학식(I)의 치환된 메틸렌 아미드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67019715
심장질환, 메틸렌 아미드 유도체, 내피세포

Description

메틸렌 아미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심장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orders comprising methylene amide derivatives}
본 발명은 심장동맥 폐쇄(coronary obstruction) 및 심장기능상실(heart failure)과 같은 심장혈관(cardiovascular)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특히 산화질소 생성의 손상과 관련된 심장 기능상실에서 내피세포 기능상실(endothelial dysfunction)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대한 화학식(I)의 메틸렌 아미드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만성 심장 기능상실에서의 말초 혈관수축(peripheral vasoconstriction) 증가의 치료에 특히 유용하다.
심장병학(cardiology) 및 심장 수술(cardiac surgery) 분야에서의 최근 수년 동안의 커다란 발전에도 불구하고, 심장기능상실은 여전히 이환율(morbidity) 및 사망율(mortality)이 높다.
거의 5백만 미국인들이, 65세 이상의 인구중 약 10/1,000의 발생빈도로 심장기능상실로 고통을 받고 있다(Jessup et al., 2003, N. Engl . J. Med , 348(20), 2007-2018)
과거 십여년 동안, 심장기능상실로 인한 입원율이 159% 증가하였다(Jessup et al., 2003, 상술함). 그러한 증가하는 발생빈도의 이유중 일부는 인구의 노령 화, 급성 심근경색증(acute myocardial infarction)과 같은 심장 질환의 개선된 치료 및 암과 같은 비심장질환에 있다.
심장기능상실은 심장의 불충분한 수행으로 인한 증후와 증세의 집합(constellation)이다. 이것의 진화적 그리고 진행성 성질(evolutive and progessive nature)로 인하여, 전문가들은 심장기능상실을 4 단계(1~4), 심장기능상실의 높은 위험성에서 진행성 심장의 구조 이상증 그리고 마지막 단계의 징후로 규정하고 있다(Hunt et al., 2001, J. Am. Coll . Cardiol ., 38, 2101-13).
주로 심장기능상실은 혈액을 분출하고 말초 기관의 적당한 관류를 제공하는 심장의 무능력으로 정의된다. 심장기능상실은 심극경색에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말초순환(peripheral circulation)에 매우 중요하다. 특히 심장기능상실은 말초혈관 저항(peripheral vascular resistance)의 증가, 2차적으로 말초혈관 수축과 관련이 있다. 이 혈관수축은 불균일(heterogeneous)하며, 대부분 피부, 창자(intestine) 및 골격근(skeletal muscle)과 같은 '비필수(non essential)' 영역에 영향을 주어, 심장 출력의 감소 상황에서 뇌 또는 심장과 같은 '필수" 영역에 관류를 유지한다. 그러나 초기의 적응 메카니즘은 오랜기간 심장 후부하(afterload)(심실수축에 저항(resistance to ventricular contraction))과 심작업(cardiac work)을 증가시켜, 수축기능장애(contractile dysfunction)을 악화시키고 대상(compensated)으로부터 대상부전(decompensated) 심장기능상실로 이동하는 원인이 된다. 심장 근육 활동의 오랜 기간의 손상 또는 손실로 만성 심장기능상실(Chronic Heart Failure: CHF)를 일으킨다.
내피(endothelium)은 혈액과 혈관벽사이 공간에 위치한 세포들의 단일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내피세포는 내피세포 유래 산화질소(endothelium-derived nitric oxide:NO)를 방출하여 인간 혈관 긴장도(vascular tone)의 조절 및 혈소판(platelet) 및 백혈구(leukocyte) 기능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로 혈류에 반응하는 내피세포의 NO 생성의 감소로 평가되는 내피세포 기능장애는 말초 혈관수축을 증가시켜서 말초 저항을 증가시킨다. 내피세포 기능장애는 심장기능상실 동안 장기간 초기 심장혈관 질환에서 실험적으로 그리고 임상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O는 혈관 긴장도, 국소 혈류(regional blood flow) 및 혈압의 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국소적 인자(local factor)이다. NO는 내피세포 NO 합성효소(eNOS)의 활성을 통해 내피세포에 의해 계속적으로 방출된다.
혈류는 관류-종속 혈관확장(flow-dependent vasodilation) 또는 관류-매개 혈관확장(flow-mediated vasodilation:FMD)을 일으키는 NO 영구 방출의 주된 생리학적 자극원(physiological stimulus)이다. 관류-매개 혈관확장은 eNOS의 관류-매개 활성화를 통해 얻어진다. 구성 NO(constitutive NO) 생산은, 상기 교감신경계(sympathetic system), 또는 혈관수축신경 펩티드 안지오텐신 II 또는 엔도텔린(endothelin)의 것과 같은 혈관수축신경(vasoconstrictor) 영향과 반대이며, 순환에서 강하고 영구한 혈관확장 긴장도 존재의 원인으로 보편적으로 생각된다.
NO의 생리학적 역할은 혈관팽창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로, 내피세포 유도성 NO는 또한 혈소판 cGMP의 증가를 통해, 혈소판 응집 및 부착(adhesion)의 효과적인 저해제이다(Radomski et al., 1987, Br. J. Pharmacol ., 92, 639-646). 생리학적 농도로 생성될 때 NO는 또한 효과적인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백혈구가 내피 세포에 부착하는 것을 저해한다.
NO의 내피 생성의 감소는 말초 혈관수축 및 혈소판 응집의 증가를 유도하여, 이어서 혈관경련수축(vasospasm) 및 혈전증(thrombosis)의 위험성을 각각 증가시킨다. 게다가, 백혈구 활성화 및 부착에 대한 NO의 저해 효과로 인해, 내피세포의 기능장애는,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을 일으키는 국소 혈관 염증 반응의 개시 인자중 하나로 간주된다(Ross, 1993, Nature, 362:801-809)
몇 몇 최근 임상 데이타는 내피세포 기능장애, NO 생성의 손상 또는 eNOS 유전자 돌연변이 또는 결핍의 심장혈관 질환에서의 역할을 강조한다.
내피세포 기능장애 및 죽상동맥경화증의 진행 사이의 연결 가설이 몇 가지 역학조사(epidemiological studies)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데, 이 역학조사는 초기 내피세포 기능장애가 죽상동맥경화증과 심장동맥병(coronary artery disease)의 진행의 예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Suwaidi et al., 2000, Circulation, 101, 948-954; Schachinger et al., 2000, Circulation, 101, 1899-1906; Perticone et al., 2001, Circulation, 104, 191-196).
최근 임상 연구는, 환자의 NOS 반감기가 감소시키는 eNOS 유전자 상의 돌연변이가 심장기능상실 환자의 무사 생존율(event-free survival)이 낮은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McNamara et al., 2003, Circulation, 107, 1598-1602), 이는 eNOS 결핍 마우스의 데이터와도 일치하였다(Scherrer - Crosbie et al., 2001, Circulation, 104, 1286-1291).
화학식(I)의 치환된 메틸렌 아미드 유도체는, 인슐린 저항 또는 고혈당증(hyperglycemia)로 매개된 대사질환의 치료를 위해, 프로테인 티로신 포스파타아제(Protein Tyrosine Phosphatase:PTP) 저해제, 특히 프로테인 티로신 포스파타아제 1B(PTP1B) 저해제로서 개발되어왔다(국제특허공보 제WO03/064376호).
프로테인-티로신 포스파타아제(PTP)는 단백질의 인산화 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키타아제의 상대자를 대표한다. PTP는, 인슐린 수용체 키나아제의 세포 기질을 탈인산화하는 것을 촉매하여, 수용체를 갖는 인슐린과 수용체 후부위(post-receptor) 신호전달 경로의 상호작용을 조절한다. PTP-1B의 저해제가 당뇨병 치료제로 알려져 있다(Moller et al., 2000, Current Opinion in Drug Discovery & Development 3(5), 527-540).
심장기능상실의 몇가지 치료법이 β-블럭커(blocker), 이뇨제(diuretic), 안지오텐신 수용체 블록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저해제가 개발된 것과 같이 개발되었다(Chin et al., 2001, Current Opinion in Investigational drugs, 2(7), 923-928).
그러나, 심장기능상실의 다인자적(multifactorial) 그리고 진행적 성질은 치료 시술(therapeutic intervention)의 다양한 기회 제공과 심장기능상실, 특히 만성심장기능상실의 새로운 치료법이 필요하다.
상술된 임상 증거들은 말초 저항성의 증가가 부분적으로 혈관확장자(vasodilator)의 영향 감소, 특히 NO의 영구적인 관류-유도성 방출의 감소로 인 한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NO의 말초 생성의 손상은 심장기능상실을 악화시키므로, 따라서 심장기능상실에서 NO 생성을 회복시키는 약리학적 치료가 이 질환에서 유익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화학식(I)의 치환된 메틸렌 아미드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Figure 112006068918743-pct00001
(I)
심장동맥 폐쇄 및 심장기능상실과 같은 심장혈관 질환의 치료 및/또는 보호, 특히 만성 심장기능상실에서의 내피 세포의 기능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대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특히 만성 심장긴능상실에서 말초 혈관 수축의 증가를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다음 문단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을 형성하는 여러 가지 화학적 모이어티의 정의를 나타내며 명세서와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 균일적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며, 특별히 정의된 바 없다면 더 넓은 정의를 의미한다.
"PTP"는 프로테인 티로신 포스파타아제이며 예를 들면, PTP1B, TC-PTP, PTP-β, DEP-1, LAR, SHP-1, SHP-2, GLEPP-1, PTP-k, PTP-μ, VHR, hVH5, LMW-PTP, PTEN을 포함한다.
"C1-C12-알킬" 또는 "C1-C15-알킬"은 탄소수 1 내지 12 또는 1 내지 15의 직쇄, 또는 분지쇄 단가 알킬기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직쇄 또는 분지쇄 형태의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n-헥실, n-옥틸, n-노닐, n-도데실, 트리데실, 펜타데실, n-펜틸 등의 기능기로 예시된다.
"아릴"은 단일링(예를 들면, 페닐) 또는 다중축합링(예를 들면, 나프틸)을 갖는 탄소원자수 6~14의 불포화, 방향족 카르보시클릭기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아릴로는 페닐, 나프틸, 펜안트레닐(phenantrenyl)등을 포함한다.
"C1-C12-알킬 아릴"은 벤질, 펜에틸등을 포함하는 아릴 치환체를 갖는 C1-C12-알킬기를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은 모노시클릭 헤테로마틱(monocyclic heteromatic), 또는 바이시클릭 또는 트리시클릭 융합-링 헤테로아로마틱기를 의미한다. 헤테로아로마틱기의 예로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피리딜, 피롤릴, 푸릴, 티에닐,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라졸릴, 1,2,3-트리아졸릴, 1,2,4-트리아졸릴, 1,2,3-옥사디아졸릴, 1,2,4-옥사디아졸릴, 1,2,5-옥사디아졸릴, 1,3,4-옥사디아졸릴; 1,3,4-트리아지닐, 1,2,3-트리아지닐, 벤조푸릴, [2,3-디히드로]벤조푸릴, 이소벤조푸릴, 벤조티에닐, 벤조트리아졸릴, 이소벤조티에닐, 인돌릴, 이소인돌릴, 3H-인돌릴, 벤즈이미다졸릴, 이미다졸[1,2-a]피리딜, 벤조티아졸릴, 벤족사졸릴(benzoxazolyl), 퀴놀리지닐(quinolizinyl), 퀴나졸리닐(quinazolinyl), 프탈라지닐(phalazinyl), 퀴녹살리닐(quinoxalinyl), 신놀리닐(cinnolinyl), 나프티리디닐(napthyridinyl), 피리도[3,4-b]피리딜, 피리도[3,2-b]피리딜, 피리도[4,3-b]피리딜, 퀴놀릴(quinoly), 이소퀴놀릴(isoquinolyl), 테트라졸릴, 5,6,7,8-테트라히드로퀴놀릴, 5,6,7,8-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릴, 퓨리닐, 프테리디닐(pteridinyl), 카르바졸릴, 크산테닐(xanthenyl) 또는 벤조퀴놀릴을 포함한다.
"C1-C12-알킬 헤테로아릴"은 2-푸릴메틸, 2-티에닐메틸, 2-(1H-인돌-3-일)에틸 등을 포함하는 헤케로아릴 치환체를 갖는 C1-C12-알킬기를 의미한다.
"알케닐"은 2~6의 탄소원자수를 갖고 적어도 1 또는 2의 알케닐 불포화부위를 갖는 알케닐기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알케닐기는 에테닐(-CH=CH2), n-2-프로펜일(알릴, -CH2CH=CH2)등을 포함한다.
"알키닐"은 2~18의 탄소원자를 갖고 적어도 1 또는 2의 알키닐 불포화 부위를 갖는 알키닐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에티닐(-C≡CH), 프로파길(-CH2C≡CH), 또는 -C≡CH-(C2-C16)알킬이 있다.
"아실"은 -C(O)R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R은 "C1-C12-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12-알킬 아릴" 또는 "C1-C12-알킬 헤테로아릴"을 포함한다.
"아실록시"는 -OC(O)R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R은 "C1-C12-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12-알킬 아릴" 또는 "C1-C12-알킬 헤테로아릴"을 포함한다.
"알콕시"는 -O-R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R은 "C1-C12-알킬" 또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또는 "C1-C12-알킬 아릴" 또는 "C1-C12-알킬 헤테로아릴"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알콕시기는 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펜녹시등을 포함한다.
"알콕시카르보닐"은 -C(O)OR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R은 "C1-C12-알킬" 또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또는 "C1-C12-알킬 아릴" 또는 "C1-C12-알킬 헤테로아릴"을 포함한다.
"아미노카르보닐"은 -C(O)NRR'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R, R'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2-알킬 또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또는 "C1-C12-알킬 아릴" 또는 "C1-C12-알킬 헤테로아릴"을 포함한다.
"아실아미노"는 -NR(CO)R'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R, R'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2-알킬" 또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또는 "C1-C12-알킬 아릴" 또는 "C1-C12-알킬 헤테로아릴"을 포함한다.
"할로겐"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도 원자를 의미한다.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만약 개별적 치환체의 정의로 제한된바 없다면, 상기 설정된 기, 즉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등의 기능기가 임의적으로,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C1-C6-알킬 아릴", "C1-C6-알킬 헤테로아릴", "C1-C6-알킬 시클로알킬",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미노", "암모늄", "아실", "아실록시", "아실아미노", "아미노카르보닐", "알콕시카르보닐", "우레이도", "아릴", "카바메이트", "헤테로아릴", "술피닐", "술포닐", "알콕시", "술파닐", "할로겐", "카르복시", 트리할로메틸, 시아노, 히드록시, 메르캅토, 니트로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5의 치환체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치환은 또한 인접한 기능적 치환체들이 관련될 때 특히 이웃 치환체들이 링을 형성하여, 예를 들어 락탐(lactam), 락톤(lacton), 시클릭무수물(cyclic anhydride)을 형성할뿐만 아니라, 아세탈, 티오아세탈, 아미날(aminal)이 예를 들어 보호링 형성을 위한 링 접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술포닐"은 "-SO2-R"기이며, 여기서 R은 H, "아릴", "헤테로아릴", "C1-C12-알킬",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12-알킬, 예를 들어 -SO2-CF3기, "C1-C12-알킬 아릴" 또는 "C1-C12-알킬 헤테로아릴"기로부터 선택된다.
"술포닐"은 "-S(O)-R"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R은 H, "C1-C12-알킬",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12-알킬" 예를 들어, -SOCF3기, "아릴", "헤테로아릴", "C1-C12-알킬아릴" 또는 "C1-C12-알킬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된다.
"티오알콕시"는 -S-R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R은 "C1-C12-알킬" 또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또는 "C1-C12-알킬 아릴" 또는 "C1-C12-알킬 헤테로아릴"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티오알콕시기는 티오메톡시, 티오에톡시등을 포함한다.
"저항 동맥(resistance artery)"는 혈관이 혈류에 대한 국소 저항 및 그의 조절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작은(<300㎛) 직경을 갖는 동맥을 의미한다. 저항 동맥은 혈류에 대하여 주요 말초 저항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주요 기관계에서의 혈압, 및 혈류의 조절 및 조정에 중요하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복합체"는 화학식(I)의 하기 구체적인 화합물의 염 또는 복합체를 의미한다. 각각의 염의 예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화학식(I)의 화합물과, 알카리 금속(소듐, 포타슘 또는 리튬), 알카리 토금속(예를 들어, 칼슘 또는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과 같은 금속 양이온의 히드록시드, 카보네이트 또는 바이카보네이트(biocarbonate)와 같은 유기 또는 무기 염기와; 또는 유기 일차, 이차 또는 삼차 에틸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염기 추가 염을 포함한다.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모르폴린, N-Me-D-글루카민, N,N'-비스(페닐메틸)-1,2-에탄디아민, 트로메타민(tromethamine),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N-메틸모르폴린, 프로카인, 피페리딘, 피페라진등으로부터 유도된 아민 염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또한 아세트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말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아스코르브산, 벤조산, 탄닌산, 파모산(pamoic acid), 알기닌산, 폴리글루탐산, 나프탈렌 술폰산, 나프탈렌디술폰산, 및 폴리-갈락투론산(poly-galacturonic acid)과 같은 유기산으로 형성된 염뿐만 아니라, 무기산(예를 들어,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질산등)으로 형성된 산부가염 및 그로부터 형성된 염을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활성 유도체"는 투여자에게 투여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여기 개시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화합물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용어 "간접적으로"는 또한 내인성 효소 또는 물질대사를 통해 약품의 활성 형태로 전환될 수 있는 전구약물(prodrug)을 포함한다. 상기 전구약물은 상기 활성 약품 그 자체 및 화학적 마스킹기로 형성된다.
"엔안티오머 과량(Enantiomeric excess"(ee)는 불균등 합성(asymmetric synthesis), 즉 비-라세믹 개시물질 및/또는 시약관련 합성 또는 적어도 하나의 엔안티오선택적(entioselective) 단계를 포함하여 적어도 약 52%ee 정도로 과잉의 하나의 엔안티오머가 산출되는 합성에 의해 얻어진 생산물을 의미한다. 불균등 합성,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치환된 메틸렌 아미드의 대응 에스테르가 없을 때에, 라세믹 생성물이 통상 얻어지나 또한 PTP 저해 활성을 갖는다.
상기 화학식은 또한 그의 상호변이성체(tautomer), 그의 기아 이성질체, 엔안티오머로서 그의 광학 활성 형태, 디아스테레오아이소머(diastereoisomer) 및 그의 라세믹 형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화학식(I)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화학식(I)과, N-메틸-D-글루카민, 트로메타민, 소듐, 포타슘 또는 칼슘의 카보네이트, 바이카보네이트(bicarbonate) 또는 히드록시드 염과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염기 부가 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틸렌 아미드 유도체는 화학식(I)의 것으로:
Figure 112006068918743-pct00002
(I)
여기서 화학식 (I)은 또한 기아 이성질체, 엔안티오머, 디아스테레오아이소머 및 그의 라세믹 형태를 포함하는 광학 활성 형태,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제학적으로 활성 유도체를 포함한다.
화학식(I)의 치환체 R1, R2a, R2b 및 Cy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5)-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3~8 원자)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알킬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알킬-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알케닐-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알키닐-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R2a 및 R2b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5)-알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R2a 및 R2b는 각각 H이며;
Cy는 D 및 E로부터 선택되며;
D는 치환된 티에닐(thienyl) 및 치환된 페닐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치환체는 페닐, 옥사디아졸 및 -NH-CO-R3, -SO2-NR3R3', 및 -CO-NR3R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또는 2 모이어티이며, 여기서 R3,R3'는 독립적으로 H,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5)-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3-8원자) 시클로알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알케닐-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알키닐-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E는 아릴, 헤테로아릴, (3-8원자)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아릴, 헤테로아릴, (3-8원자)-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킬이 임의적으로 치환된 (C2-C18)-알키닐로 치환되며;
그러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페닐, 나프틸, 펜안트레닐, 피롤릴, 푸릴, 티에닐, 이미다졸릴, 피리딜,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라졸릴, 1,2,3-트리아졸릴, 1,2,4-트리아졸릴, 1,2,3-옥사디아졸릴, 벤조(1,2,5)옥사디아졸릴, 1,2,4-옥사디아졸릴, 1,2,5-옥사디아졸릴, 1,3,4-옥사디아졸릴, 테트라졸릴, 1,3,4-트리아지닐, 1,2,3-트리아지닐, 벤조피리미디닐, 벤조푸릴, [2,3-디히드로]벤조푸릴, 이소벤조푸릴, 벤조티에닐, 벤조트리아졸릴, 이소벤조티에닐, 인돌릴, 이소인돌릴, 3H-인돌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조옥사졸릴(benzoxazolyl), 피리다지닐, 피리미딜, 퀴놀리지닐(quinolizinyl), 퀴나졸리닐(quinazolinyl), 프탈라지닐, 퀴녹살리닐(quinoxalinyl), 신놀리닐(cinnolinyl), 나프티리디닐(napthyridinyl), 퀴놀릴, 이소퀴놀릴, 테트라졸릴, 5,6,7,8-테트라히드로퀴놀릴, 5,6,7,8-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릴, 퓨리닐, 프테리디닐, 크산테닐, 벤조퀴놀릴, 옥솔라닐(oxolanyl), 피롤리디닐, 피라졸리디닐, 2H-벤조[d]1,3-디옥소레닐(dioxolenyl), 인다닐(indanyl), 이미다졸리디닐, 1,2,4-옥사디아졸리디닐, 1,2,5-옥사디아졸리디닐, 1,3,4-옥사디아졸리디닐 또는 이속사졸리디닐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R2a 및 R2b는 H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R1은 A이며, 여기서 A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3-8 원자)헤테로시클로알킬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3-8 원자)시클로알킬, 특히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R1은 화학식 -CH2-A 또는 -CH2-CH2-A의 모이어티이며, A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3-8원자)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3-8 원자)시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A는 페닐, 피리디닐, 벤조-1,3-디옥소렌닐, 비페닐, 나프틸, 퀴녹살리닐, 티아졸릴, 티에닐, 푸라닐 또는 피페리디닐기일 수 있으며, 임의적으로 시아노, 할로겐, NO2, (C1-C6)알콕시, 아릴록시 또는 헤테로아릴록시, (C1-C6)티오알콕시, (C1-C12)알킬, 임의적으로 할로겐화된 (C1-C12)알킬, (C2-C12)알케닐, (C2-C12)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3-8원자)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로알킬, (C1-C12)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C2-C12)알케닐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C2-C12)알키닐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COR3, -COOR3, -CO-NR3R3', -NHCOR3로 치환되며, 여기서 R3는 (C1-C12)알킬 또는 (C2-C12)알케닐, -SOR3, -SO2R3, -SO2NR3R3'이며, R3, R3'는 독립적으로 H,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12)알킬, (C2-C12)알케닐, (C2-C12)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3-8원자)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알킬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Cy은 D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R3'는 H이고 R3는 디페닐-에틸, 도데실, 옥틸, 4-페틸-벤질(4-pentyl-benzyl), 4-페녹시-펜에틸, 에틸-티오펜-2-일, 펜타데실, 트리데실, 헥실옥시-페닐, (2-에틸)-헥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Cy는 E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Cy는 E이며, 여기서 E는 페닐, 피리디닐, 나프틸 및 벤조푸라닐기로부터 선택되며; 페닐, 피리디닐, 나프틸 및 벤조푸라닐기는 B-R4로 치환되며, 여기서 B는 에티닐기이며 R4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6)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3-8 원자)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2)알킬 페닐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E는 B-R4로 치환된 페닐기이며, 여기서 B는 에티닐기이고 R4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6)알킬기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R2a 및 R2b는 각각 H이고, R1은 -CH2-A, 또는 -CH2-CH2-A이며, 여기서 A는 페닐 또는 티에닐이며, 임의적으로 시아노, 할로겐, 메톡시, 히드록시, 페녹시, -NO2,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치환되며, Cy는 D이고, 여기서 D는 티에닐, 페닐 및 비페닐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티에닐, 페닐 및 비페닐이 -SO2R3, CO-NR3R3'로 치환되며, 여기서 R3'는 H이고 R3는 (C7-C12)알킬, 특히 (C8-C12)알킬,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데실기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R2a 및 R2b는 각각 H이며; R1은 -CH2-A, 또는 -CH2-CH2-A이며, A는 시아노, 할로겐, 메톡시, 히드록시, 펜녹시, -NO2,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임의적으로 치환된 페닐 또는 티에닐기이며, 이때 Cy는 D이며, 여기서 D는 티에닐, 페닐 및 비페닐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티에닐, 페닐 및 비페닐은 SO3R3, -O-NOR3R3'로 치환되며, 여기서 R3'는 H이고 R3는 (C7-C15)알킬, 특히 (C8-C15)알킬 및 가장바람직하게는 도데실기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R2a 및 R2b는 각각 H이며; R1은 페닐, 벤질, 펜에틸, 1-메틸벤질로부터 선택되며, 이들은 (C1-C6)알킬기 또는 시클로알킬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Cy는 D이고, 여기서 D는 페닐 및 비페닐기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페닐 및 비페닐은 -NH-CO-R3, -CO-NH-R3 및 R3로 치환된 옥사디아졸기로부터 선택된 모이어티이며, 여기서 R3는 (C7-C15)알킬, 특히 (C8-C15)알킬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데실기이다.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은 화학식(I')의 화합물이며
Figure 112006068918743-pct00003
(I')
여기서 R1은 페닐, 벤질, 펜에틸, 1-메틸벤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C1-C6)알킬기 또는 시클로알킬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Cy는 D이고, D는 페닐 및 비페닐로부터 선택되며; 페닐 및 비페닐은 -NH-CO-R3, -CO-NH-R3 및 R3로 치환된 옥사디아졸기로부터 선택된 기로 치환되며, 여기서 R3는 (C7-C15)알킬, 특히 (C8-C15)알킬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데실기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특히 다음 군의 것들을 포함한다:
(벤질{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4-(펜타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아세트산;
(벤질{4-[(펜타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벤질{4-[(트리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벤질(4-{[도데실(메틸)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메틸)아미노]카르보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tert-부톡시카르보닐)-4-피페리디닐]{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tert-부톡시카르보닐)-4-피페리디닐]메틸}{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4-트리데카노일아미노(tridecanoylamino)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아세트산;
[벤질(4-{[4-(헥실옥시)벤조일]아미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0-운데세노일아미노(undecenoylamino))벤질]아미노}아세트산;
옥소{{4-[(9E)-9-테트라데세노일아미노]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아세트산;
{벤질[4-(트리데카노일아미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2-히드록시도데실)아미노]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아세트산;
{({5-[(도데실아미노)술포닐]-2-티에닐}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1-[(4-메톡시페닐)술포닐]-4-피페리디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카르복시-1-페닐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메톡시-1-메틸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브로모{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닐리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닐리노)(옥소)아세트산;
([2-(3-클로로페닐)에틸]{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3-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d,1)-트란스-2-페닐시클로프로필]아미노}-(옥소)아세트산;
([(d, 1)-트란스-2-(벤질옥시)시클로펜틸]{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페녹시아닐리노(phenoxyanilino))(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1,2,3,4-테트라히드로-1-나프탈레닐)아미노]-(옥소)아세트산;
((1-벤질-4-피페리디닐){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4-페녹시페닐)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2-페녹시페닐)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2-[1,1'-비페닐]-4-일에틸){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1'-비페닐-]-3-일메틸){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벤질옥시){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닐리노)(옥소)아세트산;
([4-(벤조일아미노)벤질]{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카르복시카르보닐)-N-{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3-벤질-베타-알라닌;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1,2,3-티아디아졸-4-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펜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1-페닐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1-(1-나프틸)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벤질{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메틸술포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시아노벤질){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클로로벤질)(3-{[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4-({[2-(2-티에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아세트산;
{벤질[3'-{[2,2-디페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3-시아노벤질)[(3-{[2,2-디페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클로로벤질)[(3'-{[2,2-디페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3'-{[2,2-디페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시아노벤질){[3'-({[2-(4-페녹시페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옥소)아세트산;
옥소{{3'-({[2-(4-페녹시페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아세트산;
[(3-시아노벤질)({3'-[(옥틸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클로로벤질)({3'-[(옥틸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3'-[(옥틸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시아노벤질)[(3'-{[(3-페닐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3-시아노벤질)({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클로로벤질)({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벤질[3'-{[(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3-시아노벤질)[(3'-{[(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클로로벤질)[(3'-{[(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3'-{[(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아세트산;
옥소{[(3'-{[(4-펜틸부틸)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아세트산;
{(3-시아노벤질)[(3'-{[2-메시틸에틸(mesitylethyl)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클로로벤질)[(3'-{[2-메시틸에틸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3'-{[(2-메시틸에틸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클로로벤질){[3'-({[2-(4-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메톡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메틸술포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메톡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6-(트리플루오로메틸)-3-피리디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카르복시카르보닐){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메틸]벤조산;
({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히드록시(옥시도)아미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플루오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피리디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3-티에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히드록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페녹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6-(트리플루오로메틸)-3-피리디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3-[((카르복시카르보닐){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메틸]벤조산;
5-[((카르복시카르보닐){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메틸]-2-티오-펜네카르복실산(phenecarboxylic acid);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히드록시(옥시도)아미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3-벤조디옥솔-5-일메틸){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플루오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페녹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카르복시카르보닐){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메틸]벤조산;
5-[((카르복시카르보닐){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메틸]-2-티오펜 카르복실산;
[{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티에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이소프로필)아미노](옥소)아세트산;
((3,5-디클로로벤질){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5-디클로로벤질)(4-{[(3,3-디페닐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2-[1,1'-비페닐]-4-일에틸)아미노]카르보닐}벤질)(3,5-디클로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3-벤조디옥솔-5-일메틸)(4-{[(2-[1,1'-비페닐]-4-일에틸)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3-디히드로-1H-인덴-1-일{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3-디히드록-1H-인덴-1-일[4-({2-(4-페녹시페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피리디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디메틸아미노)벤질]{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3-피리디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시아노벤질){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1,3-티아졸-2-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4-모르폴리닐)-1,3-티아졸-5-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피리디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3-피리디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3-히드록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시아노벤질){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1,3-티아졸-2-일메틸)아미노](옥소)아
세트산;
({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4-모르폴리닐)-1,3-티아졸-5-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1,3-벤조디옥솔-5-일메틸){3-[(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티에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피리디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3-티에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히드록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카르복시카르보닐){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메틸]벤조산;
[시클로펜틸({5-[(도데실아미노)술포닐]-2-티에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벤질({5-[(도데실아미노)술포닐]-2-티에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5-[(도데실아미노)술포닐]-2-티에닐}메틸){3-[히드록시(옥시도)아미노]-(옥소)아세트산;
[({5-[(도데실아미노)술포닐]-2-티에닐}메틸)(4-메톡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5-[(도데실아미노)술포닐]-2-티에닐}메틸)(2-플루오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5-[(도데실아미노)술포닐]-2-티에닐}메틸)[4-(메틸술포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5-[(도데실아미노)술포닐]-2-티에닐}메틸)(4-펜녹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카르복시카르보닐)({5-[(도데실아미노)술포닐]-2-티에닐}메틸)-아미노]-메틸}벤조산;
(({5-[(도데실아미노)술포닐]-2-티에닐}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3-피리디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5-[(도데실아미노)술포닐]-2-티에닐}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클로로벤질)[{5-[(도데실아미노)술포닐]-2-티에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5-{[(3,3-디페닐프로필)아미노]술포닐}-2-티에닐)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클로로벤질)[(5-{[3,3-디페닐프로필)아미노]술포닐}-2-티에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5-({[2-(4-페녹시페닐)에틸]아미노}술포닐)-2-티에닐]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아세트산;
((3-클로로벤질){[5-({[2-(4-페녹시페닐)에틸]아미노}술포닐)-2-티에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5-{[(2-[1,1'-비페닐]-4-일에틸)아미노]술포닐}-2-티에닐)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시클로헥실아미노)카르보닐]-4-피페리디닐}메틸){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4-(디메틸아미노)아닐리노]카르보닐}-4-피페리디닐)메틸]{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1-헥사노일-4-피페리디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1-(3-요오도벤조일)-4-피페리디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1-{(2E)-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프로펜노일(propenoyl)}-4-피페리디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1-(2-퀴녹살리닐카르보닐)-4-피페리디닐]-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1-[(4-메톡시페닐)술포닐]-4-피페리디닐}메틸)(4-{[(4-페녹시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3-요오도벤조일)-4-피페리디닐]메틸}(4-{[(4-페녹시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4-{[(4-펜녹시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1-{(2E)-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프로펜노일}-4-피페리디닐)메틸]아미노}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페닐}[2-(메톡시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2-(1,1'-비페닐-4-일)에틸]아미노}카르보닐)-2-브로모벤질](4-요오도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4-요오도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요오도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6-디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4-요오도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요오도벤질){[4'-({[2-(4-페녹시페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2-(4-페녹시페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벤질][(4'-플루오로-1,1'-비페닐-3-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2-(1,1'-비페닐-4-일)에틸]아미노}카르보닐)-2-브로모벤질][(4'-플루오로-1,1'-비페닐-3-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4'-플루오로-1,1'-비페닐-3-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2,6-디브로모-4-({[2-(4-페녹시페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벤질][(4'-플루오로-1,1'-비페닐-3-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2-(1,1'-비페닐-4-일)에틸]아미노}카르보닐)-2,6-디브로모벤질][(4-플루오로-1,1'-비페닐-3-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2,6-디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4'-플루오로-1,1'-비페닐-3-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2,6-디브로모-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플루오로-1,1'-비페닐-3-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플루오로-1,1'-비페닐-3-일)메틸]{[4'-({[2-(4-페녹시페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4'-플루오로-1,1'-비페닐-3-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6-디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4'-({[2-(4-펜녹시페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2-(4-페녹시페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벤질](3-페녹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2-(1,1'-비페닐-4-일)에틸]아미노}카르보닐)-2-브로모벤질](3-페녹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3-페녹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6-디브로모-4-({[2-(4-페녹시페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벤질](3-페녹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2-(1,1'-비페닐-4-일)에틸]아미노}카르보닐)-2,6-디브로모벤질](3-페녹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6-디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3-펜녹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6-디브로모-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3-펜녹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3-펜녹시벤질){[4'-({[2-(4-페녹시페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아세트산;
옥소[[(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3-펜녹시벤질)아미노]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3-펜녹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2-(4-펜녹시페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벤질](2-요오도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2-(1,1'-비페닐-4-일)에틸]아미노}카르보닐)-2-브로모벤질](2-요오도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2-요오도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요오도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2-(4-펜녹시페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벤질]{[2'-(트리플루오로-메틸)-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2-(1,1'-비페닐-4-일)에틸]아미노}카르보닐)-2-브로모벤질]{[2'-(트리플루오로-메틸)-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2'-(트리플루오로메틸)-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2'-(트리플루오로메틸)-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트리플루오로메틸)-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2-(1,1'-비페닐-4-일)에틸]아미노}카르보닐)-2,6-디브로모벤질]{[2'-트리플루오로메틸)-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2,6-디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2'-(트리플루오로메틸)-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2,6-디브로모-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트리플루오로메톡시)-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2-(1,1'-비페닐-4-일)에틸]아미노}카르보닐-2-브로모벤질](1,1'-비페닐-2-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1,1'-비페닐-2-일메틸)(2-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1'-비페닐-2-일메틸)(2-브로모-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1'-비페닐-2-일메틸)(2,6-디브로모-4-({[2-(4-펜녹시페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2-(1,1'-비페닐-4-일)에틸]아미노}카르보닐)-2,6-디브로모벤질](1,1'-비페닐-2-일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1,1'-비페닐-2-일메틸)(2,6-디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1'-비페닐-2-일메틸)(2,6-디브로모-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6-디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6-디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6-디브로모-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2-(4-펜녹시페닐)에틸]아미노}카르보닐)벤질](4-펜녹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2-1,1'-비페닐-4-일)에틸]아미노}카르보닐)-2-브로모벤질](4-펜녹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4-펜녹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펜녹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2-1,1'-비페닐-4-일)에틸]아미노}카르보닐)-2,6-디브로모벤질](4-펜녹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6-디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4-펜녹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2-1,1'-비페닐-4-일)에틸]아미노}카르보닐)-2-브로모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브로모-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6-디브로모-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6-디브로모-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아세트산;
{{2-브로모-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6-디브로모-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4'-{[(4-펜틸벤질)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아세트산;
{(4-디벤조[b,d]푸란-4-일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디벤조[b,d]푸란-4-일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4'-[(옥틸아미노)카르보닐]-1,1'-비페닐-4-일}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4-테트라덱-1-인일벤질(4-tetradec-1-ynylbenzyl))[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아세트산;
{(4-도덱-1-인일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메톡시페닐)아미노](옥소)아세트산;
((1,2-디페닐에틸){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카르복시카르보닐)-N-{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L-페닐알라닌;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3-페녹시페닐)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요오도페닐)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클로로-2-메틸페닐){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카르복시카르보닐){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1,1'-비페닐-2-카르복실산;
((2,4-디클로로벤질){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1-페닐프로필)아미노](옥소)아세트산;
([2-(4-클로로페닐)프로필]{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4-이소프로폭시페닐)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벤질옥시)페닐]{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메톡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R)-1-(4-클로로페닐)에틸]{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4-디클로로벤질){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벤조티엔-3-일메틸){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2,6-디클로로페닐)에틸]{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3-(트리플루오로메틸)펜틸]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3-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1S)-1-(4-클로로페닐)에틸]{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1S)-1-페닐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1R)-1-페닐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3-(벤질옥시)페닐]{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카르복시카르보닐)-N-{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D-페닐알라닌;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옥소{{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아세트산;
옥소{{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2-부틸-1-벤조푸란-3-일)메틸]{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페닐}에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페닐}에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4-{[(4-옥틸페닐)아미노]카르보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클로로벤질)[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옥소)아세트산;
{(3-클로로벤질)[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시클로펜틸[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틸}[4-(트리데카노일아미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1-나프틸]-메틸}아미노)아세트산;
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1-나프틸]-메틸}아미노)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을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 염;
{{시클로펜틸[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틸}[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시클로펜틸[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틸}[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4-디벤조[b,d]푸란-4-일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디벤조[b,d]푸란-4-일페닐)[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4-(옥틸옥시)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옥틸옥시)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2-(3-클로로페닐)에틸](4-덱-1-인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3-클로로페닐)에틸][4-[(1Z)-덱-1-에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3-클로로페닐)에틸][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3-클로로페닐)에틸][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옥소{{(1R)-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아세트산;
옥소{{(1R)-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아세트산;
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옥소{{(1S)-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아세트산;
옥소{{(1S)-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3-클로로벤질)(4-덱-1-인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클로로벤질)(4-덱-1-인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2-(3-클로로페닐)에틸](4-옥(oct)-1-인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3-클로로페닐)에틸](4-옥(oct)-1-인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4-덱-1-인일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덱-1-인일벤질){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덱-1-인일벤질){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1-메틸-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메틸-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2-(3-클로로페닐)에틸][4-(3-옥틸-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3-클로로페닐)에틸][4-(3-옥틸-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4-(3-옥틸-1,2,4-옥사디아졸-5-일)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3-옥틸-1,2,4-옥사디아졸-5-일)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4-(도데실옥시)-1-나프틸]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옥시)-1-나프틸]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4-브로모벤질)(4-옥트-1-인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아미노)카르보닐]벤질}(2-히드록시-1-페닐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덱-1-인일벤질){1-메틸-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덱-1-인일벤질){1-메틸-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옥소{{4-[(9Z)-테트라덱-9-엔노일아미노]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아세트산;
{(4-덱-1-인일벤질){1-메틸-1-[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3-(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아세트산;
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3-(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
)염;
{(4-도데실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4-({[(2-부틸-1-벤조푸란-3-일)메틸]아미노}카르보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4-(벤질옥시)벤조일]아미노}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5-디클로로벤질)[4-(트리데카노일아미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5-디클로로벤질)[4-(트리데카노일아미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4-[(4-옥틸페닐)에티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5-운데실-1,2,4-옥사디아졸-3-일)벤질]아미노}-아세트산;
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5-운데실-1,2,4-옥사디아졸-3-일)벤질]아미노}-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4-[2-(4-옥틸페닐)에틸]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4-(헵틸옥시)페닐]에티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4-부틸페닐)에티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4-헥실페닐)에티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4-헥실페닐)에티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옥소{(4-{[4-(펜틸옥시)페닐]에티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아세트산;
옥소{(4-{[4-(프로필페닐)에티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아세트산;
[[2-(3-클로로페닐)에틸](4-도덱-1-인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3-클로로페닐)에틸](4-도덱-1-인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4-옥트-1-인일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11-히드록시운덱-1-인일)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11-메톡시-11-옥소운덱-1-인일)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1-[4-({(카르복시카르보닐)[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메틸)페닐]운덱-10-이노산(ynoic acid);
{(4-{[4-(벤질옥시)페닐]에티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2-[4-(헵틸옥시)페닐]에틸}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2-(4-부틸페닐)에틸]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2-(4-헥실페닐)에틸]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2-(4-헥실페닐)에틸]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옥소{(4-{2-[4-(펜틸옥시)페닐]에틸}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아세트산;
옥소{(4-{2-[4-프로필페닐)에틸]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아세트산;
11-[4-({(카르복시카르보닐){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메틸)페닐]-운데카노산(undecanoic acid);
{[4-(11-히드록시운데실)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덱-1-인일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덱-1-인일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2-(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에틸]벤질}-아미노)아세트산;
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2-(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에틸]벤질}-아미노)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4-[2-(3-옥틸-1,2,4-옥사디아졸-5-일)에틸]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2-(3-옥틸-1,2,4-옥사디아졸-5-일)에틸]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4-[(4-옥틸벤조일)아미노]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4-옥틸벤조일)아미노]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옥소{[(1-트리데카노일피페리딘-4-일)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아세트산;
{[(1-(4-옥틸벤조일)피페리딘-4-일]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4-옥틸벤조일)피페리딘-4-일]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N-메틸-D-글루카민(예를 들어 1-데옥시-1-(메틸아미노)글루시톨)염;
{[(3-덱-1-인일-1-벤조푸란-5-일)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덱-1-인일-1-벤조푸란-5-일)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3-[(4-프로필페닐)에티닐]-1-벤조푸란-5-일}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아세트산;
[(4-도덱-1-인일벤질)(4-플루오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비스(4-옥트-1-인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6-도덱-1-인일피리딘-3-일)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도덱-1-인일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2-플루오로페닐)에틸][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2-플루오로페닐)에틸][3-(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2-플루오로페닐)에틸][4-(3-옥틸-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3,4-디클로로페닐)에틸][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3,4-디클로로페닐)에틸][3-(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3,4-디클로로페닐)에틸][4-(3-옥틸-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1,1'-비페닐-4-일)에틸][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1,1'-비페닐-4-일)에틸][3-(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1,1'-비페닐-4-일)에틸][4-(3-옥틸-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5,6,7,8-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5,6,7,8-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3-(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3-옥틸-1,2,4-옥사디아졸-5-일)벤질](5,6,7,8-테트라히드로나프타렌-1-일)아미노]-(옥소)아세트산;
{(1,1'-비페닐-3-일메틸)[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1'-비페닐-3-일메틸)[3-(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1'-비페닐-3-일메틸)[4-(3-옥틸-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벤조티엔-3-일메틸)[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벤조티엔-3-일메틸)[3-(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벤조티엔-3-일메틸)[4-(3-옥틸-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아세트산;
옥소{[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3-(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아세트산;
{[4-(3-옥틸-1,2,4-옥사디아졸-5-일)벤질][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아세트산;
옥소{[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3-(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아세트산;
{[4-(3-옥틸-1,2,4-옥사디아졸-5-일)벤질][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메톡시벤질)[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2-메톡시벤질)[3-(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메톡시벤질)[4-(3-옥틸-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벤질}[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아세트산;
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벤질}[3-(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아세트산;
([4-(3-옥틸-1,2,4-옥사디아졸-5-일)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3-벤조디옥솔-5-일[4-(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3-벤조디옥솔-5-일[3-(3-운데실-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1,3-벤조디옥솔-5-일[4-(3-옥틸-1,2,4-옥사디아졸-5-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덱-1-인일-1-나프틸)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덱-1-인일-1-나프틸)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덱-1-인일-1-나프틸)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옥소{[(4-(트리플로오로메틸)벤질][4-(4-운데실-1,3-티아졸-2-일)벤질]아미노}아세트산;
{(4-덱-1-인일벤질)[2-(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덱-1-인일벤질)[2-(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옥시)-1-나프틸]메틸}[2-(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2-(2-플루오로페닐)에틸][4-(옥틸옥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덱-1-인일벤질)[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덱-1-인일벤질)[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도데실옥시)-1-나프틸]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옥틸옥시)벤질][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덱-1-인일벤질)[2-(3,4-디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2-(3,4-디클로로페닐)에틸](4-도덱-1-인일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3,4-디클로로페닐)에틸](4-도데실옥시)-1-나프틸]메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2-(3,4-디클로로페닐)에틸](4-옥틸옥시)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4-헥실페닐)에티닐]벤질}{1-메틸-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옥소)아세트산;
{[4-(5-시클로헥실펜트-1-인일)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3-[(4-헥실페닐)에티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4-에틸-3-히드록시옥트-1-인일)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2-덱-1-인일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4-덱-1-인일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L-리신염;
{(4-덱-1-인일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트로메타민(예를 들어,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염;
{(4-덱-1-인일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L-알라긴염;
소듐{(4-덱-1-인일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테이트.
화학식(I)의 화합물은 심장동맥 폐색 및 심장기능상실과 같은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특히 만성 심장기능상실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심장기능상실에서 내피세포 기능장에, 내피세포 NO 생성 손상 및 말초혈관수축의 증가로부터 선택된 심장혈관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심장혈관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I)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심장기능상실, 특히 만성 심장기능상실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I)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심장기능상실, 특히 만성 심장기능상실에서 내피세포 기능장애, 내피세포 NO 생성 손상 및 말초혈관수축 증가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I)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필요에 따라 환자에게 화학식(I)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만성 심장기능상실을 포함하여 심장동맥 폐색, 심장기능상실과 같은 심혈관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메틸렌 아미드 유도체는 국제특허공보 제WO03/064376호에 기술된 것처럼 일반적인 방법 및 절차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이용가능한 개시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종래 사용된 항원보강제(adjuvant),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함께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 및 그의 단위 복용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정제 또는 충진된 캡슐과 같은 고체, 용액, 현택액, 에멀젼, 엘릭시르(elixir)와 같은 액제, 또는 이것들이 채워진 캡슐로 사용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적 약품투여를 위한 멸균 주사용액(피하조직 주사용을 포함)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의 단위 복용량 형태는 공지의 비율로, 추가적인 활성 화합물 또는 성분과 함께 또는 없이,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한 단위 복용형태는 원하는 매일 복용범위에 상당하는 활성 성분의 적당한 유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틸렌 아미드 유도체는 전형적으로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그러한 조성물은 약제학적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함량으로 투여된다. 실제 투여된 화합물의 함량은 전형적으로 의사들이, 관련 환경, 즉, 치료조건, 선택한 투여 경로, 투여된 실제 화합물, 연령, 체중 및 개별 환자의 반응, 환자의 증후의 심각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직장(rectal), 경피(transdermal), 피하, 정맥(intravenous), 근육내, 및 비강내(intranasal)를 포함하여 여러가지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조성물은 덩어리 액체 용액(bulk liquid solution), 현탁액, 또는 덩어리 분말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러나, 더 일반적으로는 조성물들은 정확한 투여가 용이하도록 단위 복용량 형태로 만들어진다. 상기 용어"단위 복용량 형태"는 인체 및 다른 포유류에 단위 복용량으로서 적당한 단위로 물리적으로 분리한 것을 의미하며, 각 단위는 적당한 약제학적 부형제와 함께, 원하는 치료효과를 나타내도록 계산된 소정의 함량의 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전형적인 단위 복용량 형태는 사전에 충진되고, 기측정된 앰플 또는 주사기의 액상 조성물 또는 고제 조성물의 경우 알약, 정제, 캡슐 등을 포함한다. 그러한 조성물들은, 본 발명에 따라 치환된 메틸렌 아미드 유도체가 통상 최소 성분(약 0.1~50 중량% 또는 바람직하게는 1~40중량%)이고 나머지는 여러 가지 운반체(vehicle) 또는 담체 및 원하는 복용 형태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가공화제이다.
경구 투여용으로 적당한 액상 형태는 완충제, 현탁화제(suspending agent) 및 조제제(dispensing agent), 착색제, 향미등과 적당한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운반체를 포함한다. 고체 형태는 예를 들어, 다음 성분들, 또는 유사 성질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미정질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트래거캔스 고무(gum tragacanth)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전분 또는 락토오스와 같은 부형제; 알긴산, 프리모겔(Primogel), 또는 옥수수 전분과 같은 붕괴제(disintegrating agent);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콜로이드성 실리콘 다이옥시드와 같은 유동화제(glidant); 수크로오스 또는 사카린과 같은 감미제; 또는 페퍼민트, 메틸 살리실레이트, 또는 오렌지향과 같은 향미료.
주사가능한 조성물들은 전형적으로 선행기술에서 알려진 주사가능한 멸균 염수 또는 인산염 완충 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다른 주사가능한 담체를 기초로 한다. 상기 언급된 것처럼, 그러한 조성물에서 화학식(I)의 치환된 메틸렌 아미드 유도체는 전형적으로 최소 성분, 0.05~10 중량%이고 나머지는 주사가능한 담체등이다.
경구 투여되거나 주사가능한 조성물의 상기 기술된 성분들은 단지 대표적인 것이다. 가공기술 등뿐만 아니라 추가 물질들은 레밍톤의 약제학적 과학(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7 th Edition, 1985, Mar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의 8부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에 참고로 통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지효성 형태(sustained release form)로 또는 지효성 약제 방출 시스템(sustained release drug delivery system)으로부터 또한 투여될 수 있다. 대표적인 지효성 물질에 대한 기술은 레밍톤의 약제학적 과학에 결합 물질에서 발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틸렌 아미드 유도체의 약제학적 제형의 제조는 국제특허공보 제WO03/064376호에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해 설명될 것이나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페닐에프린(phenylephrine)에 의한 사전 수축(pre-conostriction)후의 마우스의 장간막동맥(mesenteric arteries)의 관류-매개 확장 반응(flow-mediated dilatation response)(% 확장) 대 혈관내 관류(㎕/분)을 나타낸다.
정상 쥐(흰색 원)에서 관류-매개 확장 반응은 NO 합성 저해제를 사용한 정상쥐(왼쪽, 검은색 원), 또는 만성 심장기능상실(CHF)가 실시예 1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유도된 쥐(오른쪽, 검은색 원)에서의 장간막동맥의 관류-매개 확장 반응과 비교되었다.
도 2는 만성 심장기능상실(CHF)가 유도된 쥐에서, 페닐에프린으로 미리 수축된 후 장간막동맥의 관류-매개 확장 반응(% 확장) 대 혈관내 관류(㎕/분)를 나타낸다.
CHF를 나타내는 미처리 마우스(왼쪽 및 오른쪽 흰색 원)에서의 관류-매개 확 장 반응이 실시예 1에 기술된, 본 발명의 화합물(I) 10-5M(왼쪽 검은색 원) 및 본 발명의 화합물 (I) 10-6M(오른쪽 검은색 원)으로 치료한 후 CHF를 나타내는 마우스에서의 장간막동맥의 관류-매개 확장 반응과 비교된다.
다음 약자들은 이후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min(분), ㎛(마이크로미터), M(몰 농도), ACE(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CHF(만성 심장기능상실), FMD(관류-매개 확장), NO(산화 질소), PTPs(단백질-티로신 포스파타아제).
실시예 : 생물학적 분석
만성 심장기능상실후, 관류-매개 혈관 확장의 회복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의 활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화학식(I)의 화합물을 다음 분석실험을 하였다.
실험적으로 작은 말초 동맥(즉, 심장기능상실에서 저항성 증가의 원인인 동맥)에서 NO의 관류-유도 방출은, 작은(<300㎛ 직경) 장간막 또는 후사반부 동맥(hindquarter arteries)와 같은 분리되고 관류되고, 가압된 동맥에서 실험관내에서 평가될 수 있다.
실시예 1: 심장동맥 폐색 모델(coronary artery occlusion model)
바린등(Varin et al., 1999, Circulation, 99, 2951-2957)에 의해 랫트에서 개발된 모델에 따라 심장동맥 결착술(coronary ligation)로 C7BL6 마우스(n=12)에 만성 심장기능상실을 유도하였다. 이 모델은 만성 심장기능상실이, 아세틸콜린에 대한 보존 NO-매개반응의 상황에서, 관류-유도된, 작은 말초 혈관의 NO-매개 혈관 확장을 없앤것을 보여준다.
마우스를 마취, 환기시키고 개흉술(thoracotomy)(가슴막 공간의 절개: incision of the pleural cavity)을 수행하였다. 왼쪽 주된 심장 혈관을 그의 기시(orgin)에 가깝게 결착시켰다. 이 절차는 좌심실(left ventricle)의 약 40% 관련 경색증(infarct)을 일으킨다. 이 마우스 모델에서 경색후 사망율(post-infarction mortality)이 약 40~50%이다.
심장기능상실의 발달은 심장혈관 결착 후 폐쇄된 가슴 상태 7일 및 2 개월에서 심장초음파검사(echocardiography)로 평가하였다. 샴-수술(Sham-operated)(정상) 마우스를 혈관이 결착되지 않은 것만을 제외하고는 상기 절차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6 마리의 마우스로 각 집단을 구성하고 심근 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으로 고통받는 마우스를 상기 연구에 더 사용하였다.
2 달후, 상기 마우스를 마취시키고 개복술(laparotomy)(복강으로 절개)을 하였다.
장간막동맥(직경 250-350㎛) 부분을 조심스럽게 해부 현미경(dissection microscope)을 사용하여 분리하고, 1.5~2.0mm 길이의 조각을 양말단에 관삽입(cannulated)을 하고 동맥 조형(arteriograph)(Living Systems Instrumentation)으로 옮기고 60mmHg로 가압하였다.
관류-매개 혈관 확장(FMD), 즉 관내 흐름(intra-luminal flow)(0~200㎛/min) 의 단계적 증가에 대한 반응으로 혈관 직경에서의 변화를, 수축 정점에 도달한 후, 기저선(baseline)에서 그리고 본 발명의 화합물로 배양한 후 페닐에프린(10-5M에서 2분간 배양)으로 사전 수축된 후 평가하였다.
1) 마우스 심장기능상실에서 내피 세포 기능장애
만성 심장기능상실 모델에서, 혈류(관류-매개 확장)의 증가에 대한 확장 반응이 개략적으로 소멸되었다(관류 200ml/min에서 확장: 샴: 24±2% 및 CHF: 5±1%).
상기 확장 반응의 저해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정상 혈관에서의 NO 합성(10-5M에서 NG-니트로-L-아르기닌)의 저해제 투여의 경우와 유사하다.
2) 관류-매개 확장 회복
만성 심장기능상실이 유도된 이 혈관들에서, 관류-매개 확장은, 도 2 왼쪽과 오른쪽에 도시된 것처럼, 10-3M의 용액에서 최종 농도 10-5M 및 10-6M으로 각각, 관류 완충액(Perfusion buffer)(크렙스 완충액: Krebs buffer)으로 희석된 본 발명의 {{4-[(4-헥실페닐)에티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1)으로 혈관의 실험관내 배양(30분)하여 정상 수준까지 회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만성 심장기능상실의 마우스의 내피세 포 기능을 정확하게 회복시킬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심장동맥 폐쇄(coronary obstruction) 및 심장기능상실(heart failure)과 같은 심장혈관(cardiovascular)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특히 심장 기능상실에서 내피세포 기능상실(endothelial dysfunction)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대한 화학식(I)의 메틸렌 아미드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만성 심장 기능상실에서의 말초 혈관수축(peripheral vasoconstriction) 증가의 치료에 특히 유용하다.

Claims (19)

  1. {{4-[(4-헥실페닐)에티닐]벤질}[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옥소)아세트산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생성의 손상과 관련된 심장혈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장혈관 질환이 심장기능상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장혈관 질환이 만성 심장기능상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장혈관 질환이 내피세포 기능장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067019715A 2004-02-27 2005-02-25 메틸렌 아미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심장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188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100778.2 2004-02-27
EP04100778 2004-02-27
PCT/EP2005/050823 WO2005082347A1 (en) 2004-02-27 2005-02-25 Use of methylene amide derivatives in cardiovascular disord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066A KR20060129066A (ko) 2006-12-14
KR101188940B1 true KR101188940B1 (ko) 2012-10-08

Family

ID=34896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715A KR101188940B1 (ko) 2004-02-27 2005-02-25 메틸렌 아미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심장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20070185118A1 (ko)
EP (1) EP1732534B1 (ko)
JP (1) JP5001138B2 (ko)
KR (1) KR101188940B1 (ko)
CN (1) CN1933827B (ko)
AT (1) ATE401877T1 (ko)
AU (1) AU2005216649B2 (ko)
BR (1) BRPI0508080A (ko)
CA (1) CA2554919C (ko)
CY (1) CY1108252T1 (ko)
DE (1) DE602005008412D1 (ko)
DK (1) DK1732534T3 (ko)
EA (1) EA011811B1 (ko)
ES (1) ES2308458T3 (ko)
HK (1) HK1098073A1 (ko)
HR (1) HRP20080367T3 (ko)
IL (1) IL177494A (ko)
NO (1) NO20064295L (ko)
PL (1) PL1732534T3 (ko)
PT (1) PT1732534E (ko)
RS (1) RS50596B (ko)
SI (1) SI1732534T1 (ko)
UA (1) UA84453C2 (ko)
WO (1) WO20050823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10236C (zh) * 2002-01-29 2008-08-13 雪兰诺实验室有限公司 作为蛋白酪氨酸磷酸酶调节剂的取代亚甲基酰胺衍生物
ES2337150T3 (es) 2003-07-21 2010-04-21 Merck Serono Sa Alquinilaril carboxamidas.
AU2007307599A1 (en) * 2006-10-12 2008-04-17 Institute Of Medicinal Molecular Design. Inc. N-phenyloxamic acid derivatives
US8633245B2 (en) * 2008-04-11 2014-01-21 Institute Of Medicinal Molecular Design, Inc. PAI-1 inhibitor
WO2013032971A1 (en) 2011-08-29 2013-03-07 Ticona Llc Melt-extruded substrate for use in thermoformed articles
CN103764741B (zh) 2011-08-29 2015-09-23 提克纳有限责任公司 低熔体粘度液晶聚合物的熔融聚合
KR20140057629A (ko) 2011-08-29 2014-05-13 티코나 엘엘씨 방향족 아마이드 화합물
TW201319223A (zh) 2011-08-29 2013-05-16 Ticona Llc 高流量液晶聚合物組合物
WO2013032975A1 (en) 2011-08-29 2013-03-07 Ticona Llc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 with improved low shear viscosity
US9045685B2 (en) 2011-08-29 2015-06-02 Ticona Llc Cast molded parts formed from a liquid crystalline polymer
WO2013032977A1 (en) 2011-08-29 2013-03-07 Ticona Llc Heat-resistant liquid crystalline polymer composition having a low melting temperature
US8669341B2 (en) 2011-08-29 2014-03-11 Ticona Llc Solid-state polymerization of a liquid crystalline polymer
CN103764793B (zh) 2011-08-29 2016-09-14 提克纳有限责任公司 高流动液晶聚合物组合物
US20150337212A1 (en) 2012-12-17 2015-11-26 Shell Oil Company Integrated gas-to-liquids condensate process
WO2014130275A2 (en) 2013-02-22 2014-08-28 Ticona Llc High performance polymer composition with improved flow properties
JP6625050B2 (ja) 2013-06-07 2019-12-25 ティコナ・エルエルシー 高強度サーモトロピック液晶ポリマ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4376A1 (en) * 2002-01-29 2003-08-07 Applied Research Systems Ars Holding N.V. Substituted methylene amide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protein tyrosine phosphatases (ptp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28791T2 (de) * 1999-09-10 2007-05-24 Novo Nordisk A/S Modulatoren der protein tyrosin phosphatase (ptpases)
US6627767B2 (en) * 2000-08-29 2003-09-30 Abbott Laboratories Amino(oxo) acetic acid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inhibitors
DE10117823A1 (de) * 2001-04-10 2002-10-17 Merck Patent Gmbh Oxalsäurederivate
AR034373A1 (es) * 2001-06-07 2004-02-18 Wyeth Corp Inhibidores de ptpasa para mejorar el perfil de riesgo cardiovascular
WO2002100398A1 (en) * 2001-06-07 2002-12-19 Wyeth Combination of a ptpase inhibitor and an ace inhibi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4376A1 (en) * 2002-01-29 2003-08-07 Applied Research Systems Ars Holding N.V. Substituted methylene amide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protein tyrosine phosphatases (pt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1732534T3 (pl) 2008-12-31
CA2554919A1 (en) 2005-09-09
CY1108252T1 (el) 2014-02-12
JP2007524701A (ja) 2007-08-30
HK1098073A1 (en) 2007-07-13
DE602005008412D1 (de) 2008-09-04
CN1933827B (zh) 2011-07-27
NO20064295L (no) 2006-09-22
AU2005216649B2 (en) 2010-09-09
CN1933827A (zh) 2007-03-21
EP1732534A1 (en) 2006-12-20
HRP20080367T3 (en) 2008-09-30
SI1732534T1 (sl) 2008-10-31
US20070185118A1 (en) 2007-08-09
BRPI0508080A (pt) 2007-07-17
RS50596B (sr) 2010-05-07
PT1732534E (pt) 2008-08-08
ATE401877T1 (de) 2008-08-15
AU2005216649A1 (en) 2005-09-09
EA200601511A1 (ru) 2007-02-27
JP5001138B2 (ja) 2012-08-15
KR20060129066A (ko) 2006-12-14
EA011811B1 (ru) 2009-06-30
CA2554919C (en) 2013-04-16
UA84453C2 (ru) 2008-10-27
EP1732534B1 (en) 2008-07-23
ES2308458T3 (es) 2008-12-01
WO2005082347A1 (en) 2005-09-09
IL177494A0 (en) 2006-12-31
DK1732534T3 (da) 2008-11-17
IL177494A (en)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940B1 (ko) 메틸렌 아미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심장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JP7407508B2 (ja) 心房拡大又はリモデリングを特徴とする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nep阻害剤
KR101194968B1 (ko) Ptp 1-b 저해제로서의 1,1’-(1,2-에틴디일)비스-벤젠유도체
US7592477B2 (en) Substituted methylene amide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protein tyrosine phosphatases (PTPs)
AU2003239296A1 (en) Substituted methylene amide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Protein Tyrosine Phosphatases (PTPs)
EP1654247B1 (en) Alkynyl aryl carboxamides
US7365225B2 (en) Aryl dicarboxamides
MXPA06009777A (en) Use of methylene amide derivatives in cardiovascular disorders
CN105669589B (zh) 2‑(5‑酰基噻唑‑2‑亚氨基)‑4‑噻唑啉酮及其制备方法与应用
EA011309B1 (ru) Составы для ослабления боли, содержащие целекоксиб
CA2691467A1 (en) Cholesterol lowering drug combination
ES2267796T3 (es) Uso de fibratos para la preparacion de un medicamento util en el tratamiento de insuficiencia cardiaca congestiva.
Chesler Multi-scale Structure-Function Relationships in Right Ventricular Failure Due to 1 Pressure Overload 2
ES2957638A1 (es) (e)-3-(4-hidroxi-3-metoxifenil)-acrilato de 3-(2-acetamidoetil)-1h-indol-5-ilo para uso en la prevencion y/o tratamiento de la hipertension arterial y las alteraciones cardiovasculares asociadas
JP2007508242A (ja) トロンボキサンa2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とシクロオキシゲネーゼ−1の阻害剤との組み合わせを伴う組成物および方法
US20020058688A1 (en) Method of using cyclooxegenase-2 inhibitors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ementia
AU2003248291A1 (en) Statin-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 combin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