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697B1 - 수유식 튀김장치 - Google Patents

수유식 튀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697B1
KR101184697B1 KR1020100080841A KR20100080841A KR101184697B1 KR 101184697 B1 KR101184697 B1 KR 101184697B1 KR 1020100080841 A KR1020100080841 A KR 1020100080841A KR 20100080841 A KR20100080841 A KR 20100080841A KR 101184697 B1 KR101184697 B1 KR 101184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ing
water
oil
discharg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7900A (ko
Inventor
김건민
Original Assignee
김건민
주식회사 아코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민, 주식회사 아코폰 filed Critical 김건민
Priority to KR1020100080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697B1/ko
Publication of KR20120017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물과 튀김기름을 함께 수용하여 저부가 물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물수용공간 상부 쪽이 상기 튀김기름을 수용하는 기름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개구가 마련된 튀김통과, 상기 기름수용공간에 설치되는 가열수단과, 상기 튀김통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물공급장치와, 상기 튀김통 내부 유체를 상기 물수용공간과 기름수용공간의 경계보다 상부 쪽을 통해 상기 튀김통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된 상부배출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튀김기름의 교체작업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수유식 튀김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수유식 튀김장치{water and oil fryer}
본 발명은 수유식 튀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튀김기름의 배출방식을 개선하여 현장에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수유식 튀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유식 튀김장치는 튀김기름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마련된 것으로, 튀김통 내부에 물과 튀기기름을 함께 수용한다.
튀김통 내부로 함께 수용된 물과 튀김기름은 비중차에 의해 물이 튀김통 저부에 위치되고 튀김기름이 물 상부의 튀김통 내부에 위치되도록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되며, 이에 따라 튀김통 내부는 저부의 물수용공간과 튀김기름을 수용하도록 물수용공간 상부 쪽에 마련된 기름수용공간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튀김통의 상부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튀김통 내부 튀김기름은 가열수단을 통해 가열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유식 튀김장치를 이용하여 튀김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튀김기름이 가열되면서 형성되는 지방산이 튀김기름 하부의 물에 의해 용해되고, 튀김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음식물찌꺼기가 튀김기름 하부의 물 쪽으로 가라 않기 때문에, 지방산이나 음식물찌꺼기로 인해 튀김기름이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튀김기름을 신선한 상태로 비교적 오래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튀김기름의 소모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 수유식 튀김장치에 있어서 튀김통 내부에 함께 수용되는 물과 튀김기름의 량은 가열수단의 용량이나 한 번에 조리될 튀김음식물의 조리량에 맞게 항시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므로, 튀김통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물과 튀김기름을 적정량으로 셋팅하거나 교체할 때 사용하기 위한 배출밸브가 마련된다. 이러한 배출밸브는 통상 튀김통 하단이나 물수용공간과 기름수용공간의 경계에 해당하는 튀김통 일 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밸브장치가 튀김통의 하단이나 튀김통의 중간 정도의 위치에 설치된 종래 수유식 튀김장치는 튀김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나 튀김기름을 용기에 받아 내고자 할 경우 높이가 높은 큰 크기의 용기를 이용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튀김통 하단이나 주변의 좁은 공간을 이용하여 튀김기름을 받아내야 했기 때문에 튀김통 내부 내용물의 배출작업이 불편하였고 튀김기름의 배출에 따른 소요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수유식 튀김장치의 이용도중 튀김기름을 교체할 때는 이미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있는 튀김기름을 외부로 인출해야 하므로, 튀김기름의 인출과정에서 작업자가 쉽게 화상을 입게 되는 등 작업 현장에서 자주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튀김기름의 배출방식을 개선하여 튀김기름의 교체작업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수유식 튀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물과 튀김기름을 함께 수용하여 저부가 물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물수용공간 상부 쪽이 상기 튀김기름을 수용하는 기름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개구가 마련된 튀김통과, 상기 기름수용공간에 설치되는 가열수단과, 상기 튀김통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물공급장치와, 상기 튀김통 내부 유체를 상기 물수용공간과 기름수용공간의 경계보다 상부 쪽을 통해 상기 튀김통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된 상부배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공급장치는 상기 튀김통 내부로 직접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공급장치는 입구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고 출구가 상기 튀김통 내부와 통하도록 상기 튀김통에 연결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을 통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물공급용 단속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관의 출구는 상기 기름수용공간 저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관의 출구는 상기 기름수용공간에 인접한 상기 물수용공간 상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공급장치는 외부 급수원의 물을 공급받도록 상기 튀김통 주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급수관과, 출구를 상기 튀김통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파이프 형태로 마련된 물주입관과, 상기 급수관과 물주입관 사이를 유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호스부재와, 상기 급수관과 상기 물주입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물공급용 단속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공급용 단속밸브는 상기 물주입관을 통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상기 물주입관과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물주입관을 잡은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이동식 물공급용 단속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상기 튀김통을 감싸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일측에는 개폐도어가 마련되며, 상기 상부밸브장치는 상기 튀김통 내부의 유체를 상기 튀김통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을 통한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유체배출용 단속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개폐도어 안쪽을 통해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튀김통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폐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출구가 상기 케이싱 외부로 위치될 수 있게 마련된 회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튀김통의 일 측면에 상기 튀김통 내부 물과 튀김기름의 량을 상기 튀김통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튀김통 일 측면에 마련된 투명창과, 상기 튀김통 내부 유체를 상기 튀김통 하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된 하부배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물공급장치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사용도중에 튀김기름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튀김통 외부로 배출되는 튀김기름을 냉각시킬 수 있게 되어 튀김기름의 배출시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상부배출장치는 튀김기름을 튀김통의 상부 쪽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튀김기름의 교체시 튀김통 외부로 배출되는 튀김기름을 높이가 높고 큰 용기를 이용하여 받아 낼 수 있게 되므로, 튀김기름의 배출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로 케이싱 내부 튀김통의 전방 쪽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후면도로, 케이싱 내부 튀김통의 후방 쪽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로, 상부배출장치가 튀김기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로, 도 5의 상태에서 제1물공급장치를 통해 튀김통 내부로 물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하우징(10)을 통해 외관을 이룬다. 하우징(10)의 하부 쪽 각 모서리에는 지지다리(11)가 연결되고, 지지다리(11)의 하단에는 하우징(10)의 간편한 이동을 위한 바퀴(12)가 설치되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튀김통(20)이 설치된다. 바퀴(12)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통해 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튀김통(20)은 상부에 개구를 구비하여 상부로 개방된 통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튀김통(20)은 개구 둘레 상부가 하우징(10)의 상부 개방부 둘레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하우징(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튀김통(20) 내부공간에는 튀김기름과 물이 함께 수용되는데, 이러한 물과 튀김기름은 상호 간의 비중차에 의해 튀김통 내부공간의 하부에 물층(1)이 위치되고 튀김기름이 물층(1) 상부의 튀김통(20) 내부공간에 기름층(2)을 형성하도록 자연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튀김통(20) 내부 공간은 저부가 물을 수용하는 물수용공간(1a)을 형성하고, 물수용공간(1a) 상부 쪽이 튀김기름을 수용하는 기름수용공간(2a)을 형성하게 된다. 튀김기름의 경우 기름수용공간(2a)을 완전히 채우지 않고 상기 개구 하부 소정 위치가지 채워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름수용공간(2a)의 중간 정도가 되는 튀김통(20) 내부 공간에는 튀김기름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으로써 전기식 히터(3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가열수단은 가스버너를 통해 공급되는 연소열을 통해 가열되는 가열관으로 구성될 수 도 있다.
그리고 히터(30) 상부 쪽 기름층(2)에는 기름층(2)에 의해 튀겨지는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한 튀김망(40)이 설치되고, 하우징(10)의 개방부 후방 쪽 상부에는 지지대(13)가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대(13)는 튀김망(40)을 걸기 위한 걸이홈(13a)을 구비하여 튀김 조리가 완료된 상태나 튀김 조리 준비 중에 있는 튀김망(40)을 걸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 하우징(10)의 전방 쪽 측면 상부에는 수유식 튀김장치의 전반적인 조작을 위한 조작패널(14)이 설치된다. 조작패널(14)에는 수유식 튀김장치의 전반적인 조작을 위한 다수의 조작스위치(14a)와, 수유식 튀김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4b)가 설치된다. 조작스위치(14a)는 히터(30)의 온오프 및 발열 정도나 히터(30)의 구동시간을 조작하기 위한 것과, 후술하게 될 제1물공급장치(100)의 물공급용 단속밸브(102)의 조작을 위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조작패널(14) 하부 하우징(10)의 전방 쪽 측면에는 튀김통(20)을 청소할 때나 튀김통(20) 내부의 물이나 튀김기름을 채우거나 교체할 때 이용되도록 개폐도어(15)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마련되는 수유식 튀김장치를 이용하여 튀김음식물을 조리할 때는 먼저 조작패널(14)의 조작스위치(14a)를 조작하여 히터(30)를 구동시키고 히터(30)의 가열정도 및 가열시간을 선택한 상태에서 기름층(2)을 가열시키고, 이 상태에서 튀길 음식물이 올려진 튀김망(40)을 히터(30) 상부의 기름층(2)에 집어넣어 튀김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이때 튀김기름이 가열되면서 형성되는 지방산은 튀김기름 하부의 물에 의해 용해되고, 튀김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음식물찌꺼기는 튀김기름 하부의 물층(1) 속으로 대부분 가라 않기 때문에, 튀김통(20) 내부의 튀김기름은 지방산이나 음식물찌꺼기로 인해 쉽게 오염되지 않게 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16은 기름수용공간(2a) 저부 쪽 튀김통(20)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냉각관으로, 이러한 냉각관(16)은 내부를 지나는 공기의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기름층(2)에 인접한 물층(1)의 물이 과도하게 과열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상기 튀김통(20) 내부에 함께 수용되는 물과 튀김기름의 량은 히터(30)의 용량이나 한 번에 조리될 튀김음식물의 조리량에 맞게 항시 적정량의 표준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본 실시에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튀김통(20) 내부 물과 튀김기름을 간편하게 적정량으로 셋팅할 수 있도록 개폐도어(15) 쪽에 대응하는 튀김통(20)의 일 측면에 튀김통(20) 내부 물층(1)과 기름층(2) 사이의 표준경계를 튀김통(20)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50)이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이러한 투명창(50)으로 인해 튀김통(20)에 수용되는 물과 튀김기름을 보다 용이하게 적정량으로 셋팅할 수 있게 된다.
투명창(50)은 이용자가 튀김통(20)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튀김통(20)의 청소시 이러한 투명창(50)을 통해 청소도구나 이용자의 손을 튀김통(20) 내부로 넣을 수 있도록 상기 개폐도어(15)와 대응하는 튀김통(20)의 일 측면에 튀김통(20)의 일 측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투명창(50)의 개폐구조를 위해 튀김통(20)의 일 측면에는 구멍(21)이 형성되고, 투명창(50)은 외곽프레임(60) 등과 함께 투명창조립체(70)를 형성하며, 이러한 투명창조립체(70)는 상단을 통해 상기 구멍(21)에 상하방향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외곽프레임(60)은 금속재질로 마련되어 투명창(50)의 외곽 쪽 측면과 투명창(50)의 전면 테두리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투명창(50) 하부 쪽 튀김통(20)의 하면에는 투명창조립체(70)가 닫혀진 상태에서 외곽프레임(60) 하단을 구속하여 수유식 튀김장치의 사용도중 투명창조립체(70)의 개방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속수단(23)이 설치된다.
또 상기 투명창(50)은 후면이 튀김통(20) 내부에서 가열되는 튀김기름과 직접 접촉되도록 마련되므로 내열성이 커야하며, 튀김통(20)의 측벽 일부를 형성하는 만큼 충분한 강성을 지녀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있어서 투명창(50)은 결정화 유리를 통해 마련된다.
일반적으로는 산화리튬과 알루미나와 규산을 기초성분으로 하는 유리를 자외선을 쬔 후에 가열하면 연화온도 약 500℃ 부근에서 작은 결정이 생기고, 이를 다시 가열하면 작은 결정을 핵으로 하여 0.02 ~ 20㎛의 미세한 결정으로 가득 찬 결정화 유리를 얻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투명창(50)을 형성하는 결정화 유리는 일반적인 결정화 유리의 성분 이외에 산화지르코늄 및 산화티타늄과 같은 금속산화물 조성을 더 구비하여 800℃ 부근에서 2번의 결정화과정을 거쳐 마련된 고성능의 초 내열성 결정화 유리가 이용된다.
따라서 상기 투명창(50)은 조직이 치밀하여 내열성이 높고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열팽창률이 0에 가까울 정도로 작아 튀김음식물의 조리시에 파손 및 손상될 우려가 없다.
또 전술한 초 내열성 결정화 유리로 마련된 상기 투명창(50)은 열이 가해졌을 때 약간의 연성을 지니도록 마련되어 외곽프레임(60)의 변형시에도 깨지지 않게 되는데, 이를 좀더 효과적으로 보완하기 위해 상기 투명창(50)의 후면 쪽 테두리에는 투명창(50)을 외곽프레임(60)에 고정시키기 위한 내열성 고무재질의 패킹부재(71)가 마련된다. 패킹부재(71)는 높은 내열성과 신축성을 갖도록 마련된 것으로 튀김통(20)의 온도에 의해 외곽프레임(60)이 변형될 경우 이를 흡수하여 투명창(50)의 파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튀김통(20) 내부 물과 튀김기름의 적정량 셋팅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투명창(50) 주변의 튀김통(20) 외면이나 투명창(50)에는 물과 튀김기름 사이의 표준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표준선(72)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표준선(72)은 투명창(50)에 일체로 마련되어 물층(1)과 기름층(2) 간의 경계가 표준선(72)과 겹쳐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투명창(50)에는 상기 표준선(72)이 일체로 마련되며, 이러한 표준선(72)은 금속재질의 강선으로 마련되어 양단이 투명창(50) 전면 쪽 외곽프레임(60) 양쪽에 용접됨으로써 투명창(50)과 일체를 이룬다. 이와 같이 금속재질의 강선으로 마련되어 투명창(50) 전면 쪽 외곽프레임(60)에 용접되는 표준선(72)은 수유식 튀김장치의 사용기간 내내 변형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없다.
그리고 상기 투명창(50)의 길이는 튀김통(20) 내부 물과 튀김기름의 셋팅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투명창(50) 상단이 상기 물층(1)과 기름층(2)의 표준 경계보다 높고 투명창 하단이 튀김통(20)의 바닥 쪽에 인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이용자가 튀김통(20) 외부에서 투명창을 보면서 먼저 튀김통(20) 바닥으로부터 표준선(72)까지 물을 채운 후 표준선(72) 상부의 기름수용공간(2)에 튀김기름을 채우는 방식으로 비어있는 튀김통(20)에 적정량의 물과 튀김기름을 간단히 셋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도 튀김통(20) 내부 물과 튀김기름의 교체시 이용되는 상부 및 하부배출장치(80,90)와 물공급장치(100,110)를 더 구비하여 튀김통(20)의 이용 도중에도 튀김통(20) 내부 물과 튀김기름의 교체 및 보충작업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먼저 튀김통(20) 하단에는 튀김통(20) 내부 물을 튀김통(20) 외부로 배출할 때 이용하기 위한 상기 하부배출장치(80)가 마련된다. 하부배출장치(80)는 튀김통 하단에 연결된 배출관(81)과, 상기 배출관(81)을 통한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상기 배출관(81) 중도에 설치된 유체배출용 단속밸브(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배출장치(90)는 튀김통(20) 내부 튀김기름을 물수용공간(1a)과 기름수용공간(2a)의 경계보다 상부 쪽을 통해 튀김통(20)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된 것으로, 튀김통(20) 내부의 유체를 상기 튀김통(20)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관(91)과, 배출관(91)을 통한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배출관(91) 중도에 마련된 유체배출용 단속밸브(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배출장치(9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튀김통(20)에 있어서 상기 개구 하부 쪽 일측 전방공간에는 경계턱(24)이 형성되고, 상기 경계턱(24) 전방으로는 소정의 수집공간(25)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91)은 그 입구가 수집공간(25)의 저부에 수집공간(25)과 통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기름수용공간(2a)의 튀김기름의 수위가 상기 경계턱(24)보다 높아질 경우 튀김기름은 경계턱(24)을 넘어 수집공간(25)으로 수집되고, 수집공간(25)에 수집된 튀김기름은 상기 배출관(91)을 통해 튀김통(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집공간(25)은 튀김통(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수집공간(25)은 별도의 부재로 마련되어 튀김통(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배출관(91)과 유체배출용 단속밸브(92)는 배출관(91)의 입구가 상기 수집공간(25)으로 연결되므로 케이싱(10)의 개폐도어(15) 안쪽을 통해 설치되는데, 상기 배출관(91)은 튀김통(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도어(15)가 개방된 상태에서 출구가 케이싱(10) 외부로 위치될 수 있게 마련된 회전관(9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배출관(91)은 수집공간(25)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바로 연결되는 상부의 고정관(93)과, 고정관(9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관(94)과, 고정관(93)과 회전관(94)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9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체배출용 단속밸브(92)는 회전방향에 따라 연결관(95) 내부 중도를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도록 마련된 레버식으로 마련된다. 이중 회전관(94)은 입구 쪽이 되는 일단의 입구부(94a)와, 출구 쪽이 되는 타단의 출구부(94b)와, 입구부(94a)와 출구부(94b)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94c)를 구비한다. 상기 입구부(94a)와 출구부(94b)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연결부(94c)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출구부(94b)의 하단은 적어도 상기 기름수용공간(1a)과 물수용공간(2a)의 경계보다는 높은 위치가 되도록 마련되며, 이러한 회전관(94)은 상기 입구부(94a)를 통해 연결관(9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배출관(91)은 튀김장치의 이용도중에는 개폐도어(15)를 닫을 수 있도록 튀김통(20) 쪽으로 회전된 상태가 되고, 튀김기름을 배출하는 과정에서는 개폐도어(15)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그 출구가 케이싱(10) 외부로 위치되도록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튀김기름 배출 상태가 된 배출관(91)은 출구의 위치가 넓은 케이싱(10) 외부가 되고 출구의 높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수유식 튀김장치 이용자는 튀김기름 교체시 보다 넓은 공간에서 높이가 높은 큰 용기를 이용하여 배출되는 튀김기름을 간편하게 받아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물공급장치(100,110)는 튀김통(20)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상부배출장치(90)와 협력하여 튀김기름이 튀김통(20)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즉 튀김기름의 배출시 작업자는 상기 상부배출장치(90)의 유체밸출용 단속밸브(9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물공급장치(100,110)를 이용하여 튀김통(20) 내부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그러면 튀김통(20) 내부로 공급된 물은 튀김통(20) 내부 기름층(2)의 수위를 상승시키게 되고, 튀김기름은 상승된 기름층(2)의 수위가 상기 경계턱(24)을 넘어 튀김기름이 상기 수집공간(25) 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배출관(91)을 통해 튀김통(20)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또 튀김기름의 배출과정에서 튀김통(20) 내부로 공급되는 물은 배출되는 튀김기름의 온도를 저하시켜 튀김기름의 배출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이러한 물공급장치(100,110)는 각각 상기 개구 쪽을 경유하지 않고 튀김통(20) 내부로 직접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제1 및 제2물공급장치(100,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물공급장치(100,110)를 튀김통(20) 내부로 직접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한 것은 물공급장치(100,110)를 통해 공급되는 물과 가열된 기름층(2) 표면의 접촉을 억제하여 새로이 튀김통(20)으로 공급되는 물이 가열된 기름층(2)에 의해 폭발하게 되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즉 튀김장치의 이용 도중에 튀김기름 등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히터의 전원을 차단하다라도 기름층(2)의 온도가 이미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에서 상기 개구를 통해 기름층(2) 상부로 물을 붓게 되면, 튀김통(20)으로 공급되는 새로운 물과 가열되어 있는 기름층(2) 표면이 바로 접촉하게 되면서 물을 통해 형성되는 수증기가 기름층(2)을 뚫고 상부로 비산되면서 폭발할 우려가 생기게 된다. 그러나 상기 물공급장치(100,110)와 같이 기름층(2)의 수위를 높이기 위해 공급되는 물을 튀김통(20) 내부로 직접 공급하게 되면, 수증기가 잘 형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량의 수증기가 형성되더라도 기름층(2)을 뚫고 상부로 비산되기 어렵게 되므로, 튀김통(20)으로 공급되는 물이 폭발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 및 제2물공급장치(100,110) 중 먼저 제1물공급장치(100)는 입구가 외부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고 출구가 상기 튀김통(20) 내부와 통하도록 상기 튀김통(20)에 연결된 급수관(101)과, 상기 급수관(101)을 통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물공급용 단속밸브(102)를 구비한다. 튀김통(20) 후방 쪽 케이싱(10)의 저부에는 외부급수원의 물을 전달받기 위한 물공급관(100a)이 연결되고, 물공급관(100a)은 분배기(100b)로 물을 전달하며, 상기 급수관(101)의 입구는 분배기(100b) 일측으로 분기된 연결관(100c)과 연결되어 급수원의 물을 튀김통(20)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전술한 물의 폭발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급수관(101)의 출구는 기름수용공간(2a)의 저부나 기름수용공간(2a)에 인접한 물수용공간(1a)의 상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금수관(101)의 출구는 기름수용공간(2a)과 물수용공간(1a)의 경계와 상기 냉각관(16) 사이의 기름수용공간(2a) 저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또 이와 같이 기름층(2) 저부로 공급되는 물은 기름층(2) 내부를 휘저어 튀김음식 조리과정에서 발생하여 기름층(2)에 정체되어 있는 찌꺼기를 물층(1)으로 이동시키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용 단속밸브(102)는 급수관(101)의 중도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마련되며, 이러한 물공급용 단속밸브(102)의 동작은 상기 조작패널(14)에 마련된 조작스위치(14a)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조작된다.
또한 제2물공급장치(110)는 외부 급수원의 물을 공급받도록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급수관(111)과, 출구를 상기 튀김통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파이프 형태로 길게 마련된 물주입관(112)과, 급수관(111)과 물주입관(112) 사이를 유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금속재질의 호스부재(113)와, 급수관(111)이나 물주입관(112)을 통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물공급용 단속밸브(111a,112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물주입관(112)은 튀김통(20)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급수관(111)의 입구는 분배기(100b) 타측으로 분기된 연결관(100d)과 연결되어 급수원의 물을 전달받게 된다.
따라서 제2물공급장치(110)는 튀김통(20) 내부로 물주입관(112)을 집어넣은 상태에서 상기 물공급용 단속밸브(111a,112a)를 개방시킴에 따라 튀김통(20) 내부로 직접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다란 물주입관(112)을 이용하여 물을 공급하는 제2물공급장치(110)는 물 공급시 물주입관(112)을 이용하여 튀김통(20) 내부를 직접 휘저을 수 있게 되므로, 물공급 과정에서 기름층(2)에 몰려 있는 찌꺼기 등을 물층으로 하강시키는 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공급용 단속밸브(111a,112a)는 급수관(111) 중도에 설치되는 고정식 물공급용 단속밸브(111a)와, 상기 물주입관(112)과 일체로 마련되어 물주입관(112)과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이동식 물공급용 단속밸브(112a)를 포함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제2물공급장치(110)를 이용한 물의 흐름을 이중으로 안전하게 단속하게 된다.
상기 고정식 물공급용 단속밸브(111a)는 회전방향에 따라 급수관(111) 내부 중도를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도록 마련된 레버식으로 마련되고, 이동식 물공급용 단속밸브(112a)는 물주입관(112)의 입구 쪽에 물주입관(112)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이용자가 물주입관(112)을 잡은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는 주유건 형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제2물공급장치(110)를 이용하여 튀김통(20) 내부로 물을 주입하고자 할 경우 이용자는 물주입관(112)을 집고 있는 손으로 이동식 물공급용 단속밸브(112a)를 조절함으로써 튀김통(20)으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유식 튀김장치에 있어서 튀김통(20) 내부 물과 튀김기름의 교체작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수유식 튀김장치의 이용 도중 튀김통(20) 내부 물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이용자는 개폐도어(15)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배출장치(80)의 배출관(81) 하부에 용기를 놓고 상기 유체배출용 단속밸브(82)를 개방하여 튀김통(20) 내부 물을 배출관(81) 하부에 위치시킨 용기로 빼내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투명창(50)을 통해 튀김통(20) 내부를 들여다보면서 배출되는 물의 량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의 배출동작은 튀김통(20) 내부 물이 모두 배출되어 작업자가 상기 유체배출용 단속밸브(82)를 폐쇄할 때까지 이어지게 된다. 튀김통(20)에서 배출되는 물의 경우 히터(30) 및 기름층(2)을 통해 가열된 상태이지만, 튀김기름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덜 뜨거워 상태이므로 이러한 물의 배출과정에서는 작업자가 화상 등을 입게 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적다. 이와 같이 튀김통(20) 내부 물이 외부로 완전히 배출되면, 이용자는 상기 물공급장치(100,110)를 이용하여 튀김통(20) 내부로 직접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이용자는 상기 제1물공급장치(100)와 제2물공급장치(1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튀김통(20) 내부로 물을 직접 물을 공급하게 된다. 튀김통(20) 내부 기름층(2)에 다소 많은 찌꺼기가 존재하는 경우 이용자는 제2물공급장치(110)를 이용하여 물주입관(112)으로 기름층(2)을 직접 휘저으면서 기름층(2) 저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정도 많지 않은 찌거기가 기름층(2)에 존재할 경우 이용자는 간단히 상기 조작스위치(14a)를 조작하여 제1물공급장치(100)의 급수관(101)의 출구를 통해 기름층(2) 저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튀김통(20) 내부 물의 교체작업은 이로써 완료된다.
물론 물공급장치(100,110)를 이용하여 튀김통(20)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작업은 물을 교체하지 않고 단순히 보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 수유식 튀김장치의 이용도중 튀김기름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도어(15)을 개방하여 상기 상부배출장치(90)의 배출관(91)의 출구가 케이싱(10) 외부로 위치되도록 회전관(94)을 회전시키고 케이싱(10) 외부 배출관(91)의 출구 하부 쪽에 용기(200)를 받친 상태에서 상기 유체배출용 단속밸브(92)를 열어 튀김통(20) 내부 튀김기름을 받을 준비를 하게 된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상기 제1 및 제2물공급장치(100,11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기름층(2) 저부로 물을 공급하여 튀김통(20) 내부 튀김기름의 수위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튀김통(20) 내부 기름층(2) 저부로 공급되는 물은 튀김기름을 냉각시켜 튀김기름이 튀김통(20)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이용자가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도 6에는 제1 및 제2물공급장치(100,110) 중 제1물공급장치(100)를 통해 튀김통(20) 내부로 직접 물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된다.
물공급장치(100)를 통해 튀김통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통해 튀김통(20) 내부 기름층(2)의 수위가 상기 경계턱(24)을 넘어 가게 되면, 튀김통(20) 내부 튀김기름은 상기 수집공간(25)을 경유하여 배출관(91)을 통해 케이싱(10) 외부에 놓인 용기(200)로 배출되기 시작하고, 작업자는 튀김통(20)의 개구나 투명창(50)을 통해 튀김통(20) 내부를 들여다보고 있다가 튀김기름이 모두 배출되었을 때 상기 물공급용 차단밸브(111a)를 닫아 물공급을 중단시키게 된다. 물공급이 중단되면, 작업자는 상부배출장치(90)의 유체배출용 단속밸브(92)를 닫고 하부배출장치(80)의 배출관(81)의 출구 하단에 새로운 용기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부배출장치(80)의 유체배출용 단속밸브(82)를 열어 튀김통(20) 내부 물의 수위가 상기 표준선(72)에 일치될 때가지 튀김통(20) 내부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도 작업자는 투명창(50)을 통해 튀김통(20) 내부를 들여다보면서 튀김통(20) 내부 물의 수위가 상기 표준선(72)에 일치될 때까지를 기다렸다가 하부배출장치(80)의 유체배출용 단속밸브(82)를 잠그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튀김통(20)의 개구를 통해 물층(1) 상부의 튀김통(20) 내부로 새로운 튀김기름을 적정량 넣게 되며, 튀김기름의 교체작업은 이로써 간단히 완료된다.
10: 케이싱 15: 개폐도어
20: 튀김통 50: 투명창
80: 하부배출장치 90: 상부배출장치
81, 91: 배출관 82,92:유체배출용 단속밸브
93: 고정관 94: 회전관
100: 제1물공급장치 110: 제2물공급장치
101, 111: 급수관 112: 물주입관
102, 111a, 112a: 물공급용 단속밸브 113: 호스부재

Claims (9)

  1. 물과 튀김기름을 함께 수용하여 저부가 물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물수용공간 상부 쪽이 상기 튀김기름을 수용하는 기름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개구가 마련된 튀김통과;
    상기 기름수용공간에 설치되는 가열수단과;
    상기 튀김통 내부 물과 튀김기름의 량을 튀김통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튀김통 일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튀김통 내부 물과 튀김기름의 표준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표준선이 마련된 투명창과;
    상기 튀김통 내부로 직접 물을 공급하도록 입구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고 출구가 상기 튀김통 내부와 통하도록 상기 튀김통에 연결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을 통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물공급용 단속밸브를 포함하는 물공급장치와;
    상기 튀김통 내부 유체를 상기 표준선 상부 쪽을 통해 상기 튀김통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표준선 상부의 튀김통 측방에 입구는 상기 튀김통 내부로 연결되고 출구는 상기 튀김통 외부로 연장되도록 마련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을 통한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유체배출용 단속밸브를 포함하는 상부배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의 출구는 상기 기름수용공간 저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의 출구는 상기 기름수용공간에 인접한 상기 물수용공간 상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6. 물과 튀김기름을 함께 수용하여 저부가 물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물수용공간 상부 쪽이 상기 튀김기름을 수용하는 기름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개구가 마련된 튀김통과;
    상기 기름수용공간에 설치되는 가열수단과;
    상기 튀김통 내부 물과 튀김기름의 량을 튀김통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튀김통 일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튀김통 내부 물과 튀김기름의 표준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표준선이 마련된 투명창과;
    상기 튀김통 내부로 직접 물을 공급할 수 있게 외부 급수원의 물을 공급받도록 상기 튀김통 주변에 고정되는 급수관과, 일단의 출구를 상기 튀김통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튀김통의 길이보다 긴 파이프 형태로 마련된 물주입관과, 상기 급수관과 물주입관 사이를 유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호스부재와, 상기 급수관과 상기 물주입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물공급용 단속밸브를 포함하는 물공급장치와;
    상기 튀김통 내부 유체를 상기 표준선 상부 쪽을 통해 상기 튀김통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표준선 상부의 튀김통 측방에 입구는 상기 튀김통 내부로 연결되고 출구는 상기 튀김통 외부로 연장되도록 마련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을 통한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유체배출용 단속밸브를 포함하는 상부배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용 단속밸브는 상기 물주입관을 통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상기 물주입관과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물주입관을 잡은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주유건 형태로 마련된 이동식 물공급용 단속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8. 제 1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통을 감싸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일측에는 개폐도어가 마련되며,
    상기 상부배출장치의 상기 배출관과 유체배출용 단속밸브는 상기 개폐도어 안쪽을 통해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튀김통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폐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출구가 상기 케이싱 외부로 위치될 수 있게 마련된 회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9. 제 1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통 내부 유체를 상기 튀김통 하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된 하부배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KR1020100080841A 2010-08-20 2010-08-20 수유식 튀김장치 KR101184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841A KR101184697B1 (ko) 2010-08-20 2010-08-20 수유식 튀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841A KR101184697B1 (ko) 2010-08-20 2010-08-20 수유식 튀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900A KR20120017900A (ko) 2012-02-29
KR101184697B1 true KR101184697B1 (ko) 2012-09-20

Family

ID=4583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841A KR101184697B1 (ko) 2010-08-20 2010-08-20 수유식 튀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6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040B1 (ko) 1999-04-09 2001-09-29 송영주 튀김기의 수분 공급장치
JP2001327414A (ja) 2000-05-18 2001-11-27 Samii:Kk 揚げ物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040B1 (ko) 1999-04-09 2001-09-29 송영주 튀김기의 수분 공급장치
JP2001327414A (ja) 2000-05-18 2001-11-27 Samii:Kk 揚げ物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900A (ko)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950B1 (ko) 자동 계란 프라이 조리장치
KR101184696B1 (ko) 수유식 튀김장치
JP3906330B2 (ja) ガス揚げ鍋用の加熱制御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KR101134138B1 (ko) 수유 튀김기
US20120097046A1 (en) Kabob cooker and grill
KR101626499B1 (ko) 튀김장치
KR101753996B1 (ko) 자동 튀김장치의 배기 장치
KR20170064979A (ko) 자동 튀김장치
KR101665267B1 (ko) 자동 튀김장치
KR200426653Y1 (ko) 곡물 볶음기
KR101184697B1 (ko) 수유식 튀김장치
KR200468070Y1 (ko)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
KR102516556B1 (ko) 재료의 투입과 완제품의 배출이 자동화된 자동 튀김 장치
KR101222767B1 (ko) 유수 분리식 튀김기
KR101072355B1 (ko) 수유식 튀김장치
JP3923381B2 (ja) 食用油体の給排装置
JP5908677B2 (ja) 調理システム
KR101117486B1 (ko) 튀김기
KR20120006155U (ko) 전기 튀김기
KR101606651B1 (ko) 전기 회전구이기
KR101447799B1 (ko) 수유식 튀김기
KR20120119666A (ko) 순환식 위생 튀김기
KR102500929B1 (ko) 튀김장치
KR100954902B1 (ko) 튀김기
US10820752B2 (en) Multi-leveled cook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