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421B1 - 전자식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시동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421B1
KR101184421B1 KR1020100117981A KR20100117981A KR101184421B1 KR 101184421 B1 KR101184421 B1 KR 101184421B1 KR 1020100117981 A KR1020100117981 A KR 1020100117981A KR 20100117981 A KR20100117981 A KR 20100117981A KR 101184421 B1 KR101184421 B1 KR 101184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ift
series
power supply
motor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6444A (ko
Inventor
김성환
김종수
오세진
김현철
김용근
Original Assignee
신흥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흥정공(주) filed Critical 신흥정공(주)
Priority to KR1020100117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421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03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itiating engine start or s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 1 직류 전원 공급부의 정, 부 극성단자 사이에 스타트 스위치와 제 1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를 직렬 연결함과 동시에 피니언 기어 시프팅 제어회로를 부가 설치하고,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의 정 극성단자와 전동기의 소프트 기동을 위해 설치되는 안정화회로의 입력 단자 사이에는 메인 콘넥터로 작용하는 보조 릴레이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를 직렬 연결하며, 상기 안정화회로의 출력단자와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의 부 극성단자 사이에는 시리즈 필드 와인딩과 전동기를 상호 직렬 연결하되, 상기 전동기의 양 단자 사이에는 션트 필드 와인딩과 보조 릴레이의 상시 폐쇄 접점 스위치를 직렬 연결하고, 상기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의 정, 부 극성단자 사이에는 제 5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와 제 3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를 직렬 연결하되, 상기 제 3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의 양 단자 사이에는 제 4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를 병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전동기축을 플라이 휠 기어로 이동시켜 맞물리는 장치와 전동기를 전원에 연결하는 주 접점 ON-OFF장치를 분리하고, 사이리스터의 도통 시간을 조절하여 주 접점이 ON된 후 전동기에 전류가 공급되는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되고 부드러운 시동이 가능하고, 또한 축 이동장치로부터 주 접점을 분리하여 주 접점의 고착에 의해 축이 복귀하지 않는 사고의 가능성을 제거함으로써 주 접점의 제작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며, 특히 휠링 다이오드를 설치하여 브러시와 주 접점에 발생하는 스파크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브러시와 정류자 편 및 접점단자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안정되고 신뢰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널리 응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식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시동장치{Electric starter having function of electronic control}
본 발명은 전자식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기축을 플라이 휠 기어로 이동시켜 맞물리는 장치와 전동기를 전원에 연결하는 주 접점 ON-OFF장치를 분리하고, 사이리스터의 도통 시간을 조절하여 주 접점이 ON된 후 전동기에 전류가 공급되는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안정되고 부드러운 시동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축 이동장치로부터 주 접점을 분리하여 주 접점의 고착에 의해 축이 복귀하지 않는 사고의 가능성을 제거하여 주 접점의 제작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며, 또한 휠링 다이오드를 설치하여 브러시와 주 접점에 발생하는 스파크를 감소시켜 브러시와 정류자 편 및 접점단자의 내구성을 증가시켜 안정되고 신뢰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응용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사용되는 전장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 시스템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첫 번째는 발전기의 전력 생산을 위해 필요한 기계적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한 원동기(dynamo-engine)이고, 두 번째는 원동기로부터 공급받은 동력으로 직접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기(generator) 본체인데, 이때 원동기로는 주로 중속 디젤엔진이 사용되며, 전기스타터(즉 전동기)는 이러한 엔진에 기동 동력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원동기의 핵심 부품이다.
상기 중 전기스타터는 소형 엔진이나 발전기의 원동기 및 자동차의 시동을 위해서도 사용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스타터는 직류직권전동기이고, 이 시스템의 제어 계통은 모두 릴레이와 접점에 의한 전기식이다.
종래 전기스타터(전동기) 스위칭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트 스위치(SW)와 직렬 연결된 제 1 직류 전원 공급부(DC-1)의 정, 부 극성단자(+, -) 사이에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1)와 보조 릴레이(2)가 병렬 연결되고, 일측 단자가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DC-2)의 정 극성 단자(+)에 연결된 상기 보조 릴레이(2)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2a)의 타측 단자는 상호 병렬 연결된 2개의 기어 시프팅 솔레노이드(3)와 시리즈 필드 와인딩(Series Field Winding; SE.F.W) 및 전동기(M)을 통해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DC)의 부 극성단자(-)에 연결되되, 상기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DC-2)의 정 극성단자(+)와 시리즈 필드 와인딩(SE.F.W)의 일단부 사이에는 메인 컨넥터로 작용하는 기어 시프팅 솔레노이드(1)와 시프트 솔레노이드(3)의 접점 스위치(1a)(3a)를 상호 직렬 연결하며, 상기 전동기(M)의 양 단자 사이에는 션트 필드 와인딩(Shunt Field Winding; SH.F.W)과 보조 릴레이(2)의 상시 폐쇄 접점 스위치(2b)가 직렬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전기스타터(전동기)의 스위칭회로에 대한 동작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기스타터는 도시 생략된 전기자 철심과 코일 및 정류자를 포함한 회전부와 자계를 형성하는 계자코일, 전기자코일에 전류를 공급해 주는 브러시 등을 포함한 고정부, 클러치 및 릴레이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릴레이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기어 시프팅 솔레노이드 코일에 자기력이 발생하여 전기자 축과 클러치가 움직이면서 플라이휠 링 기어에 피니언이 맞물리게 되는데, 이때 계자 코일에서는 자기장이 발생하고 브러시를 통해 전기자 코일에 전류가 유입되면서 회전력이 발생하여 링 기어에 연결된 피니언이 회전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직류 직권 스타터는 그 구조가 간단하지만 축 이동장치와 주 접점이 연동하므로 접점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과전류가 흐를 수 있어 접점손상의 우려가 있고, 또한 주 접점이 개방될 때 발생하는 아크로 인해 접점이 소손되면 축이 복귀하지 않는 사고도 종종 일어나고 있어 정류자 편를 포함하여 각종 접점 및 브러시 등 여러 부품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과 보수 및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동기축을 플라이 휠 기어로 이동시켜 맞물리는 장치와 전동기를 전원에 연결하는 주 접점 ON-OFF장치를 분리하고, 사이리스터의 도통 시간을 조절하여 주 접점이 ON된 후 전동기에 전류가 공급되는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되고 부드러운 시동이 가능하고, 또한 축 이동장치로부터 주 접점을 분리하여 주 접점의 고착에 의해 축이 복귀하지 않는 사고의 가능성을 제거함으로써 주 접점의 제작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며, 특히 휠링 다이오드를 설치하여 브러시와 주 접점에 발생하는 스파크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브러시와 정류자 편 및 접점단자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안정되고 신뢰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널리 응용할 수 있는 전자식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 직류 전원 공급부의 정, 부 극성단자 사이에 스타트 스위치와 제 1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를 직렬 연결함과 동시에 피니언 기어 시프팅 제어회로를 부가 설치하고,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의 정 극성단자와 전동기의 소프트 기동을 위해 설치되는 안정화회로의 입력 단자 사이에는 메인 콘넥터로 작용하는 보조 릴레이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를 직렬 연결하며, 상기 안정화회로의 출력단자와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의 부 극성단자 사이에는 시리즈 필드 와인딩과 전동기를 상호 직렬 연결하되, 상기 전동기의 양 단자 사이에는 션트 필드 와인딩과 보조 릴레이의 상시 폐쇄 접점 스위치를 직렬 연결하고, 상기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의 정, 부 극성단자 사이에는 제 5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와 제 3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를 직렬 연결하되, 상기 제 3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의 양 단자 사이에는 제 4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를 병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피니언 기어 시프팅 제어회로는 제 1 직류 전원 공급부의 정, 부 극성단자 사이에 제 1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와 제 2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를 직렬 연결과 동시에 제 2 내지 제 4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들과 보조 릴레이를 상호 직렬 연결하되, 상기 2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의 양 단자 사이에는 제 5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를 병렬 연결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정화회로는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 제어용 사이리스터와, 상기 사이리스터의 게이트에 공급되는 전압 제어용 단일 접합 트랜지스터, 수개의 전압강하 및 게이트 바이어스 전압용 저항, 노이즈 제거 및 게이트 전압 안정화용 콘덴서 및 단일 접합 트랜지스터 보호용 제너 다이오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안정화회로의 출력단자와 직류 전원 공급부의 부 극성단자 사이에는 휠링 다이오드를 역방향으로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식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시동장치에 의하면, 전동기축을 플라이 휠 기어로 이동시켜 맞물리는 장치와 전동기를 전원에 연결하는 주 접점 ON-OFF장치를 분리하고, 사이리스터의 도통 시간을 조절하여 주 접점이 ON된 후 전동기에 전류가 공급되는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되고 부드러운 시동이 가능하고, 또한 축 이동장치로부터 주 접점을 분리하여 주 접점의 고착에 의해 축이 복귀하지 않는 사고의 가능성을 제거함으로써 주 접점의 제작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며, 특히 휠링 다이오드를 설치하여 브러시와 주 접점에 발생하는 스파크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브러시와 정류자 편 및 접점단자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안정되고 신뢰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널리 응용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기스타터(전동기) 스위칭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상세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상세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제 1 직류 전원 공급부(DC-1)의 정, 부 극성단자(+,-) 사이에 스타트 스위치(SW)와 제 1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1)를 직렬 연결함과 동시에 피니언 기어 시프팅 제어회로(7)를 부가 설치하고,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DC-2)의 정 극성단자(+)와 전동기(M)의 소프트 기동을 위해 설치되는 안정화회로(8)의 입력 단자 사이에는 메인 콘넥터로 작용하는 보조 릴레이(6)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6a)를 직렬 연결하며,
상기 안정화회로(8)의 출력단자와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DC)의 부 극성단자(-) 사이에는 시리즈 필드 와인딩(SE.F.W)과 전동기(M)를 상호 직렬 연결하되, 상기 전동기(M)의 양 단자 사이에는 션트 필드 와인딩(SH.F.W)과 보조 릴레이(6)의 상시 폐쇄 접점 스위치(6b)를 직렬 연결하고,
상기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DC-2)의 정, 부 극성단자(+, -) 사이에는 제 5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5)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5a)와 제 3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3)를 직렬 연결하되, 상기 제 3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3)의 양 단자 사이에는 제 4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4)를 병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피니언 기어 시프팅 제어회로(7)는,
제 1 직류 전원 공급부(DC-1)의 양 단자 사이에 제 1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1)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1a)와 제 2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2)를 직렬 연결과 동시에 제 2 내지 제 4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2-4)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2a, 3a, 4a)와 보조 릴레이(6)를 상호 직렬 연결하되, 상기 제 2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2)의 양 단자 사이에는 제 5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5)를 병렬 연결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정화회로(8)는 전동기(M)에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 제어용 사이리스터(THy)와, 상기 사이리스터(THy)의 게이트에 공급되는 전압 제어용 단일 접합 트랜지스터(UJT), 수개의 전압강하 및 게이트 바이어스 전압용 저항(R1-R3), 노이즈 제거 및 게이트 전압 안정화용 콘덴서(C) 및 단일 접합 트랜지스터 보호용 제너 다이오드(ZD)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안정화회로(8)의 출력단자와 직류 전원 공급부(DC)의 부 극성단자(-) 사이에는 전동기(M)의 브러시와 메인 콘넥터로 작용하는 보조 릴레이(6)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6a)에서 발생하는 스파크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휠링 다이오드(WD)를 역방향으로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 설명부호 F는 퓨우즈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전동기(M)를 작동시키기 위해 스타트 스위치(SW)를 "온"시키게 되면 제 1 직류 전원 공급부(DC-1)에서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 상기 스타트 스위치(SW)와 직렬 연결된 제 1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1)가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직류 전원 공급부(DC-1)의 정,부 극성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된 형태를 갖는 피니언 기어 시프팅 제어회로(7) 내 제 1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1)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1a)가 "온"되게 되므로 서로 병렬 연결된 형태에서 상기 제 1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1)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1a)와는 직렬 연결된 형태를 갖는 제 2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2)와 제 5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5)가 제 1 직류 전압 공급부(DC-1)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5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5)가 구동되면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DC-2)의 정, 부 극성단자(+, -) 사이에서 상호 병렬 연결된 형태를 갖는 제 3 및 제 4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3)(4)와는 직렬 연결된 형태를 갖고 있는 상기 제 5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5)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5a)가 "온"되게 되므로 상기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DC-2)에서 공급되는 전압이 제 3 및 제 4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3)(4)에도 공급되어 이들의 상시 개방 스위치(3a, 4a)들도 "온"된다.
따라서, 상호 직렬 연결된 형태를 갖는 상기 피니언 기어 시프팅 제어회로(7) 내 제 2 내지 제 4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2-4)들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2a, 3a, 4a)가 모두 "온"되게 되므로 상기 제 2 내지 제 4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2-4)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2a, 3a, 4a)들과 함께 상기 제 1 직류 전원 공급부(DC-2)의 정,부 극성단자(+,-) 사이에서 직렬 연결된 형태를 갖는 보조 릴레이(6)가 구동되게 된다.
그러므로 사이리스터(THy)와 단일 접합 트랜지스터(UJT), 수개의 전압강하 및 게이트 바이어스 전압용 저항(R1-R3), 콘덴서(C) 및 제너 다이오드(ZD)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DC-2)의 정 극성단자(+)와 전동기(M)의 소프트 기동을 위해 설치되는 안정화회로(8)의 입력 단자 사이에 설치되어 메인 콘넥터로 작용하는 상기 보조 릴레이(6)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6a)도 "온"되게 되므로 상기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DC-2)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이 상기 안정화회로(8)에 비로소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피니언 기어 시프팅 제어회로(7)는 도시 생략된 축 이동장치로부터 메인 콘텍터(즉, 주 접점)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보조 릴레이(6)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6a)를 분리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주 접점인 상기 보조 릴레이(6)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6a)의 고착에 의해 축이 복귀하지 않는 사고의 가능성이 제거되게 됨은 물론 주 접점의 제작 및 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DC)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이 상기 보조 릴레이(6)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6a)를 통해 공급되면, 저항(R1)에서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DC)에서 출력된 높은 직류전압을 어느 정도 강하시켜 주고, 저항(R2)에서 게이트 바이어스 전압을 사이리스터(THy)의 게이트에 공급되는 전압 제어용 단일 접합 트랜지스터(UJT)의 게이트에 공급시켜 주게 되므로 상기 단일 접합 트랜지스터(UJT)가 "턴 온"되게 되어, 저항(R3)에 인가되는 전압이 사이리스터(THy)의 게이트 전압으로 공급되므로, 상기 사이리스터(THy)가 게이트 전압에 부응하는 "턴 온" 시간을 갖고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DC-2)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시리즈 필드 와인딩(SE.F.W)을 통해 전동기(M)에 공급시켜 주게 되어 상기 전동기(M)가 사이리스터(THy)의 "턴 온" 시간에 대응하는 회전수를 갖고 구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정화회로(8) 내에 설치되어 있는 콘덴서(C)는 직류전압 내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단일 접합 트랜지스터(UJT)의 게이트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안정화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제너 다이오드(ZD)는 단일 접합 트랜지스터(UJT)에 공급되는 전압이 자체의 제너 전압이상 높게 공급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일 접합 트랜지스터(UJT) 보호용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이리스터(THy)의 도통 시간을 적절히 조절하여 주게 되면 주 접점인 상기 보조 릴레이(6)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6a)이 "온"된 후 전동기(M)에 전류가 공급되는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어, 전동기(M) 자체를 보다 안정적이고 부드럽게 시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동기(M)가 안정화회로(8) 내에 사이리스터(THy)에 대한 "턴 온" 시간에 대응하여 구동될 때, 상기 보조 릴레이(6)의 상시 폐쇄 접점 스위치(6b)는 "오프" 상태를 가지므로 안정화회로(8)와 시리즈 필드 와인딩(SE.F.W)을 통해 공급된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DC-2)의 직류전압이 션트 필드 와인딩(SH.F.W)에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스타트 스위치(SW)가 "오프"되면 제 1 내지 제 5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2-5)를 포함하여 보조 릴레이(6)의 구동도 차단되어 이들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1a, 2a, 3a, 4a, 5a, 6a)들이 모두 "오프"되므로 전동기(M)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고, 보조 릴레이(6)의 상시 폐쇄 접점 스위치(6b)는 "온"이 된다.
이와 같이 구동되던 전동기(M)가 구동이 차단되는 순간 상기 전동기(M)에서 높은 인덕턴스 전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전압이 상기 션트 필드 와인딩(SH.F.W)과 보조 릴레이(6)의 상시 폐쇄 접점 스위치(6b)를 통해 주 접점단자인 보조 릴레이(6)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6a) 및 도시 생략된 전동기(M) 내의 정류자 편과 브러시 사이에 공급되어 아크가 발생하게 되므로 접점과 정류자 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정화회로(8)의 출력단자와 직류 전원 공급부(DC)의 부 극성단자(-) 사이에는 휠링 다이오드(WD)를 역방향으로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전동기(M)의 구동이 차단되는 순간 상기 전동기(M)에서 발생되는 높은 인덕턴스 전압을 휠링 다이오드(WD)를 통해 상쇄시킬 수 있게 되어, 브러시와 주 접점 스위치인 보조 릴레이(6)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6a)에서 발생하던 아크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동기의 브러시나 정류자를 포함하여 주 접점 스위치 단자의 내구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어 안정되고 신뢰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널리 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5 : 제 1 내지 제 5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
6 : 보조 솔레노이드
1a - 6a :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
6b : 상시 폐쇄 접점 스위치
7 : 피니언 기어 시프팅 제어회로
8 : 안정화회로
DC-1, DC-2 : 제 1 및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
+,- : 정극성 및 부 극성단자
SW : 스타트 스위치 M : 전동기
SE.F.W : 시리즈 필드 와인딩 SH.F.W : 션트 필드 와인딩
THy : 사이리스터 UJT : 단일 접합 트랜지스터
R1-R3 : 저항 C : 콘덴서
ZD : 제너 다이오드 D : 휠링 다이오드
F : 퓨우즈

Claims (4)

  1. 제 1 직류 전원 공급부의 정, 부 극성단자 사이에 스타트 스위치와 제 1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를 직렬 연결함과 동시에 피니언 기어 시프팅 제어회로를 부가 설치하고,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의 정 극성단자와 전동기의 소프트 기동을 위해 설치되는 안정화회로의 입력 단자 사이에는 메인 콘넥터로 작용하는 보조 릴레이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를 직렬 연결하며,
    상기 안정화회로의 출력단자와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의 부 극성단자 사이에는 시리즈 필드 와인딩과 전동기를 상호 직렬 연결하되, 상기 전동기의 양 단자 사이에는 션트 필드 와인딩과 보조 릴레이의 상시 폐쇄 접점 스위치를 직렬 연결하고,
    상기 제 2 직류 전원 공급부의 정, 부 극성단자 사이에는 제 5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와 제 3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를 직렬 연결하되, 상기 제 3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의 양 단자 사이에는 제 4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를 병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시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 시프팅 제어회로는,
    제 1 직류 전원 공급부의 정, 부 극성단자 사이에 제 1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와 제 2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를 직렬 연결과 동시에 제 2 내지 제 4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의 상시 개방 접점 스위치들과 보조 릴레이를 상호 직렬 연결하되, 상기 2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의 양 단자 사이에는 제 5 기어 시프트 솔레노이드를 병렬 연결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시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회로는,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 제어용 사이리스터와, 상기 사이리스터의 게이트에 공급되는 전압 제어용 단일 접합 트랜지스터, 수개의 전압강하 및 게이트 바이어스 전압용 저항, 노이즈 제거 및 게이트 전압 안정화용 콘덴서 및 단일 접합 트랜지스터 보호용 제너 다이오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시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회로의 출력단자와 직류 전원 공급부의 부 극성단자 사이에는 휠링 다이오드를 역방향으로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시동장치.
KR1020100117981A 2010-11-25 2010-11-25 전자식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시동장치 KR101184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981A KR101184421B1 (ko) 2010-11-25 2010-11-25 전자식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981A KR101184421B1 (ko) 2010-11-25 2010-11-25 전자식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444A KR20120056444A (ko) 2012-06-04
KR101184421B1 true KR101184421B1 (ko) 2012-09-20

Family

ID=4660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981A KR101184421B1 (ko) 2010-11-25 2010-11-25 전자식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4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0502A (ja) 2002-09-06 2004-04-02 Honda Motor Co Ltd エンジン始動装置
JP2008510099A (ja) 2004-08-17 2008-04-03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別個の連結過程及び始動過程を有する内燃機関のための始動装置
JP2009287459A (ja) 2008-05-29 2009-12-10 Denso Corp スタータ
JP2010090874A (ja) 2008-10-10 2010-04-22 Denso Corp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0502A (ja) 2002-09-06 2004-04-02 Honda Motor Co Ltd エンジン始動装置
JP2008510099A (ja) 2004-08-17 2008-04-03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別個の連結過程及び始動過程を有する内燃機関のための始動装置
JP2009287459A (ja) 2008-05-29 2009-12-10 Denso Corp スタータ
JP2010090874A (ja) 2008-10-10 2010-04-22 Denso Corp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444A (ko) 201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3290B2 (ja) 熱機関に組み込まれる二重接触電磁コンタクタおよびスタータ
KR101225307B1 (ko) 엔진 시동 장치, 저항 단락 장치
CN102192068B (zh) 具有高速和低速马达运转模式的发动机起动系统
US9297347B2 (en) Engine starting apparatus
JP5786281B2 (ja) 駆動回路
JP5735342B2 (ja) 電子制御装置を備える熱機関のためのスタータ
CN102089514A (zh) 用于内燃机的起动机
CN102251900B (zh) 发动机起动装置
JP4508159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5838070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KR100753736B1 (ko) 차량용 시동기의 전기 모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 및 차량용 시동기
WO2013145897A1 (ja) エンジン始動装置
KR101184421B1 (ko) 전자식 제어기능을 갖는 전기 시동장치
JP5836416B2 (ja) スタータモータの制御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エンジン始動装置
JP5511939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2019065791A (ja) エンジンの始動装置
JP4161872B2 (ja) 内燃機関始動装置
JP2004360478A (ja) スタータ装置
JP6388678B2 (ja) スタータ
JP7118215B1 (ja) スタータ
TWI766366B (zh) 車輛之啟動馬達的開關裝置及控制方法
JP2016178730A (ja) 自動車用電源装置及び自動車用電源装置の制御方法
RU206271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уска дизе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WO2016157381A1 (ja) 始動発電装置、及び始動発電方法
KR19980048626A (ko) 전력소모를 줄인 자동차 시동장치용 마그네트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