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708B1 - 전자기기 및 하우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708B1
KR101183708B1 KR1020080009489A KR20080009489A KR101183708B1 KR 101183708 B1 KR101183708 B1 KR 101183708B1 KR 1020080009489 A KR1020080009489 A KR 1020080009489A KR 20080009489 A KR20080009489 A KR 20080009489A KR 101183708 B1 KR101183708 B1 KR 101183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corner
housing
inn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1923A (ko
Inventor
마사루 이마이즈미
요헤이 가와하라
고지 사이토
에이지 나카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1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하우징 내부의 유효공간을 확보하면서 강성을 향상하여 외력에 의한 변형을 저감하여, 삐걱거리는 소리가 발생하기 어려운 전자기기를 얻는다.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고 외주부에 코너부를 포함하는 제 1 결합부가 형성된 제 1 부재(1)와, 하우징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고 외주부에 제 1 결합부에 결합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된 제 2 부재(2)를 구비하고, 이들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서로의 결합부에서 합체시킴으로써 하우징을 형성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의 코너부(A)에 마련되고, 해당 코너부의 형상을 따라 만곡 형성된 리브(11)와, 상기 제 2 결합부가 대응하는 코너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를 합체시켰을 때에, 상기 리브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외측 유지부(21) 및 상기 리브의 내주면에 선 형상으로 접촉하여 해당 리브를 상기 외측 유지부와 협동하여 양면에서 끼워서 유지하는 내주 유지부재(22)로 이루어지는 코너부 결합수단(6)을 구비하도록 했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하우징{AN ELECTRONIC DEVICE AND HOUSING}
본 발명은, 예컨대 휴대 전화기, 휴대 정보단말장치 등의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에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하우징의 강성을 향상하여, 외력에 의한 변형을 저감하여, 삐걱거리는 소리의 발생을 방지하는 종래 기술로서는, 예컨대,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해당 프론트 케이스와 해당 리어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cavity) 내에 기판을 수용함과 동시에, 해당 리어 케이스의 외측면에 오목부를 갖는 휴대 단말의 하우징 구조에 있어서, 해당 리어 케이스는, 해당 오목부를 형성하는 측벽이 두께가 두껍게 마련되는 동시에, 해당 측벽과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연장한 리브에 의해서 해당 오목부가 전지실과 안테나실로 구획된 것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1-119455 호 공보(제 1 페이지, 도 1)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측벽이 두께가 두껍게 마련되는 동시에, 리브가 연속적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하우징 내부의 유효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고, 하우징 내부에 조립되는 기판이나 배터리 등의 레이아웃에 제약이 있었다. 그 때문에, 전자기기의 소형화, 경량화에 대하여 폐해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프론트 케이스의 측벽의 선단부를, 리어 케이스의 측벽과 이것에 평행한 리브 사이의 홈부에 느슨하게 끼우고 있지만, 프론트 케이스의 측벽의 선단부와 리어 케이스의 홈부 사이에 간극이 있어,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를 감합시킨 경우, 이 간극의 범위내에서 어느 한쪽의 케이스가 기울어, 프론트 케이스의 측벽의 선단부와 리어 케이스의 홈부가 편접촉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편접촉에 의해서, 케이스끼리가 맞스쳐, 하우징의 약간의 변형에서도 삐걱거림 소리가 발생하는 것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하우징 내부의 유효 공간을 확보하면서 강성을 향상하여 외력에 의한 변형을 저감하고, 더구나 삐걱거림 소리가 발생하기 어려운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는,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고 그 외주부에 코너부를 포함하는 제 1 결합부가 형성된 제 1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고 그 외주부에 상기 제 1 결합부에 결합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된 제 2 부재를 구비하고, 이들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상호의 결합부에서 합체시키는 것에 의해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의 코너부에 마련되고, 해당 코너부의 형상을 따라 만곡 형성된 리브와, 상기 제 2 결합부의 대응하는 코너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를 합체시켰을 때, 상기 리브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외측 유지부, 및 상기 리브의 내주면에 선형상으로 접촉하여 해당 리브를 상기 외측 유지부와 협동하여 양면에서 끼워서 유지하는 내주 유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코너부 결합수단을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부재의 제 1 결합부의 코너부에 마련한 리브에 대하여, 제 2 부재의 제 2 결합부의 코너부에 마련된 상기 리브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외측 유지부와, 상기 리브의 내주면에 선형상으로 접촉하는 내주 유지부재가 협동하여 해당 리브를 양면에서 끼워서 유지하는 코너부 결합수단을 구비한 것에 의해,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를 합체시킬 때의 위치 결정과 감합이 확실히 실행된다. 이 때문에, 하우징의 코너부에서의 강성이 향상하여, 하우징의 변형이 억제된다. 또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치우친 상태로 감합되는 일이 없어, 편접촉에 의한 부재끼리의 맞스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주 유지부재가 리브의 내주면에 선형상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접촉면적이 감소하기 때문에 삐걱거림 소리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코너부 결합수단이 하우징의 코너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전자기기를 설명하는 것으로, 도 1은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부재의 코너부에 있어서의 제 1 결합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제 2 부재의 코너부에서의 제 2 결합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서로의 결합부에서 감합시켜 합체시켰을 때의, 코너부 결합수단의 감합(위치 결정)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또, 이 실시예 1은 전자기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이다. 또한, 각 도면,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휴대 전화기의 하우징은, 하우징의 일부(이 예에서는 이면측 케이스 내지는 이면측 뚜껑)를 구성하는 얇은 접시형상의 제 1 부재(1)와, 하우징의 다른 일부(이 예에서는 표면측 케이스)를 구성하는 마찬가지로 얇은 접시형상의 제 2 부재(2)로 이루어지는 1쌍의 주요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해당 하우징은 이들 외에, 배터리 커버(3)나 단자 커버(4) 등의 부속 부재를 갖고, 하우징 내부에는 모두 도시 생략하고 있는 전자기판, 배터리, 액정 표시부, 조작 버튼 등의 부품류가 조립된다. 그리고, 제 1 부재(1)의 외주부에는 코너부(A)를 포함하는 제 1 결합부(10)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 2 부재(2)의 외주부에는 제 1 결합부(10)에 결합하는 제 2 결합부(20)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서로 상대의 결합부(20과 10)에 맞대어서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하나의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결합부분에는 상호의 위치 결정, 또는 고정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결합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결합수단의 하나는, 제 1 부재(1)의 제 1 결합부(10)의 대향하는 긴 변에 각 2개소 마련된 4개의 결합 갈고리(10a)와, 제 2 부재(2)의 제 2 결합부(20)의 대응위치에 마련된 4개의 갈고리 걸림부(20a)에 탄성 결합하는 것에 의해 서로 결합, 고정되는 종래 기술과 동일한 것도 있다. 또, 합체 후는 고정 나사(5)를 제 1 부재(1)의 관통 구멍(1a)에 삽입하여, 제 2 부재(2)에 마련된 나사 보스(boss)(2a)의 나사 구멍에 체결함으로써 서로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결합된다. 또, 결합방법에 있어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고정 나사(5) 등의 체결구만으로 결합시키더라도 좋고, 결합 갈고리(10a) 및 갈고리 걸림부(20a)만으로 결합시키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이밖에, 리벳 혹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결합 수단의 다른 하나는 본 발명을 이용한 것이고, 하우징의 각 코너부(A)에 구성되어 있다. 즉, 실시예 1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결합부(10)의 각 코너부(A)에는, 해당 코너부(A)의 형상을 따라 만곡 형성된 리브(11)가 합체방향(도면의 상하방향)으로 돌출 마련되고, 제 2 결합부(20)의 대응하는 4개의 코너부(A)에는, 제 1 부재(1) 및 제 2 부재(2)를 합체시켰을 때 리브(11)의 외주면(11a)에 접촉하는 외측 유지부(21)와, 리브(11)의 내주면(11b)에 대략 선형상으로 접촉하고, 해당 리브(11)를 외측 유지부(21)와 협동하여 양면에서 끼워서 유지하는 반경(r)의 원기둥 형상의 돌출체로 이루어지는 내주 유지부재(22)가 각각 마련되어, 이들 리브(11), 외측 유지부(21), 및 내주 유지부재(22)로 위치 결정을 확실히 하는 코너부 결합수단(6)이 구성되어 있다. 또, 리브(11)의 내주면(11b)의 만곡부분의 곡률반경(R)은 내주 유지부재(22)의 곡률반경(r)보다도 크게 형성되고, 내주면(11b)과 내주 유지부재(22)의 외주면은 접촉부(B)에서 선접촉되어 있다. 또한, 제 2 부재(2)에 마련된 외측 유지부(21)는, 해당 제 2 부재(2)의 측벽의 코너부의 벽 두께를 대략 리브(11)의 두께에 상당하는 부분만큼 두껍게 하여 형성된 측벽 코너부의 오목부로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우징의 이면측 케이스 또는 이면측 뚜껑을 이루는 제 1 부재(1)와, 하우징의 표면측 케이스를 이루는 제 2 부재(2)를 끼워맞출 때, 하우징의 코너부(A)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상태로 위치 결정된다. 즉, 제 2 부재(2)에 마련한 하우징 측방부의 측벽 코너부로 이루어지는 외측 유지부(21)와 제 2 부재(2)의 내측에 돌출 마련된 원기둥 형상의 내주 유지부재(22)에 의해서, 제 1 부재(1)에 마련한 리브(11)를 끼워서 조립된다. 구체적으로는, 만곡된 리브(11)는, 내주면(11b)의 길이 방향 중심부 근방의 접촉부(B)에서 제 2 부재(2)에 마련된 원기둥 형상의 내주 유지부재(22)의 외주면과 합체 방향으로 평행한 선형상으로 접촉 유지되고, 해당 리브(11)의 외주면(11a)은, 제 2 부재(2)에 마련된 하우징의 측벽 코너부(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외측 유지부(21)와 면형상으로 접촉 유지되어, 서로 위치 결정된다.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기기는, 그 사용자가 쥐는 경우 등에 외력을 받아 하우징이 뒤틀리거나, 비뚤어지거나 하는 변형이 발생하지만, 그 변형이 가장 큰 것은 하우징의 코너부이다. 일반적으로 하우징이 뒤틀리거나, 비뚤어지거나 하면 부품끼리가 어긋나 맞스쳐, 그 부위에서 삐걱거리는 소리가 발생한다. 특히 하우징의 단부즉 코너부(A)에서는, 하우징을 구성하는 부품끼리의 편차량이 최대가 되고, 또한, 삐걱거리는 소리도 발생하기 쉽다. 그런데 실시예 1에서는, 그 하우징의 각 코너부(A)에 마련한 코너부 결합수단(6)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을 구성하는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의 한 쌍의 부재를 서로 확실히 위치 결정, 구속시키고, 더구나 하우징 내부측에서는, 내주면(11b)과 내주 유지부재(22)를 접촉부(B)에서 선접촉시킴으로써 그 접촉면적, 즉 마찰면적을 작게 했기 때문에, 하우징의 변형이 억제되는 동시에, 부재 상호가 맞스쳐 발생하는 삐걱거리는 소리도 방지된다.
또한, 전자기기의 하우징은, 내부에 전자기판이나 배터리, 조작 버튼류 등을 조립하기 위한 용적의 확보가 요구되지만, 상기 실시예 1의 구조는 코너부 결합수단(6)이 하우징의 코너부(A)에 여분의 공간을 점유하는 일 없이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 절약화가 도모되면서, 하우징의 변형이 억제되고 있다. 또한, 하우징을 구성하는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는, 하우징의 각 코너부(A)에서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1쌍의 부품끼리가 덜컹거리는 것이 억제되고, 치우친 상태로 감합되는 일이 없어, 편접촉에 의한 부품끼리의 맞스침을 막아, 삐걱거리는 소리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휴대 전화기와 같은 전자기기는 취급시에 낙하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하우징의 코너부로부터 낙하하여 충격이 가해지면, 그 코너부는 충격의 수압면적(受壓面積)이 작기 때문에 하우징에 부여되는 손상이 크지만, 상기 실시예 1에서는 4개소의 코너부(A)에서 각각 외측 유지부(21)와 내주 유지부재(22)에 의해서 리브(11)를 끼워서 결합하고 있으므로 하우징의 코너부(A)에서의 강성이 향상하여 변형이 억제되고, 낙하충격에 대한 하우징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의하면, 제 1 결합부(10)의 코너부(A)에 마련된 만곡 형성된 리브(11)에 대하여, 제 2 결합부(20)에 마련된 리브(11)의 외주면(11a)에 접촉하는 외측 유지부(21)와, 리브(11)의 내주면(11b)에 선형상으로 접촉하는 내주 유지부재(22)가 협동하여 리브(11)를 양면에서 끼워서 유지하도록 한 것에 의해, 제 1 부재(1) 및 제 2 부재(2)를 합체시켰을 때에 위치 결정과 감합이 확실히 실행되어, 하우징의 변형을 억제함과 동시에, 부재끼리가 맞스쳐 발생하는 삐걱거리는 소리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부재(1, 2)가 치우친 상태로 감합되는 일이 없어, 편접촉에 의한 부품끼리의 맞스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결합부(10, 20)에 구성한 위치 결정을 도모하는 코너부 결합수단(6)이 하우징의 코너부(A)에 여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서 마련되기 때문에, 전자 부품류의 수용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더구나 하우징의 코너부(A)에서의 강성도 향상할 수 있고, 낙하충격에도 강하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2 부재(2)에 마련된 외측 유지부(21)는, 해당 제 2 부재(2)의 측벽의 코너부의 벽두께를 대략 리브(11)의 두께에 상당하는 만큼 얇게 하여 형성된 측벽 코너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크게 확보하는 데에 있어서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효과 이외에, 본 실시예 1의 특징적인 다른 이점으로서, 도시 생략하고 있는 성형 금형에 있어서의 제 2 부재(2)에 마련하는 원기둥 형상의 돌출체로 이루어지는 내주 유지부재(22) 부분의 곡률반경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코너부 결합수단(6)을 용이하게 치수 조정할 수 있다. 즉, 휴대 전화기의 하우징은, 제 2 부재(2)에 마련한 원기둥 형상의 내주 유지부재(22)의 외주면과 제 1 부재에 마련한 리브(11)의 만곡된 내주면(11b)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위치 결정하거나,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소망하는 상태로 위치 결정되도록, 원기둥 형상의 내주 유지부재(22)의 곡률반경(r)을 조정함으로써 제조된다. 부품의 가공방법 등에도 기인하지만, 한번에 부품을 소망대로의 치수로 마무리하는 것은 어렵고, 부품을 감합시킬 때에 간극을 생기게 할 수 있거나 간섭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는, 원기둥 형상의 내주 유지부재(22)의 곡률반경(r)을 성형 금형에 의해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치수의 미세 조정을 할 수 있어, 서로를 양호한 접촉상태로 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 전화기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부품은, 부품의 형상이 새겨진 금형에, 금속이나 수지 등의 용융한 성형재료를 충전하여 제조되는 것이 많다. 제 2 부재(2)에 마련된 원기둥 형상의 내주 유지부재(22) 이외의 부위는, 형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그 부위를 형성하는 금형의 부분을 수정하는 것은 어렵다. 이것에 대하여, 내주 유지부재(22)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금형의 부분은, 곡률반경(r)을 수정하여, 조정하는 것만으로 해결되기 때문에, 소망하는 상태로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부품의 치수를 용이하게 미세 조정할 수 있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도 얻어진다.
(실시예 2)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전자기기를 설명하는 것으로, 도 5, 도 6은 상기 실시예 1에 예시한 코너부 결합수단의 제 1 변형예, 도 7, 도 8은 제 2 변형예, 도 9(a)는 제 3 변형예, 도 10, 도 11은 제 4 변형예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 도 9는 상기 도 3에 대응하는 제 2 부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내주 유지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6, 도 8, 도 11은 상기 도 4에 대응하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서로의 결합부에서 감합시켜 합체시켰을 때의, 코너부 결합수단의 감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7, 도 10은 상기 도 2에 대응하는 제 1 부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5, 도 6에 나타내는 제 1 변형예는, 리브(11)의 외주면(11a)과 외측 유지부(21)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외측 유지부(21)의 내주면에 단면 삼각형형상의 2개의 돌기부(211)를 하우징의 내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하고, 해당 돌기부(211)의 선단부가 리브(11)의 외주면(11a)에, 합체방향(중합방향)에 평행한 선형상으로 접촉하도록 한 것이다. 또, 2개의 돌기부(211)의 설치위치는, 내주 유지부재(22)의 위치를 중심으로 서로 외주방향으로 이격시켜,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11)의 길이방향 양단부 근방으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예시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돌기부(211)의 설치수는 2개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1개소, 또는 3개소 이상으로 하여도 지장이 없다. 또한, 돌기부(211)의 단면형상은 삼각형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반원형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1 변형예에서는,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를 합체시켰을 때,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 유지부(21)의 양단부 근방에 서로 이격된 2개소의 돌기부(211)와, 리브(11)의 외주면(11a)이 각각 선형상으로 접촉하고, 제 2 부재(2)에 마련한 원기둥 형상의 내주 유지부재(22)의 외주면과 제 1 부재(1)에 마련한 리브(11)의 만곡한 내주면(11b)이 그 중심부 근방의 접촉부(B)에서 선 접촉하는 것에 의해, 3점에서 협지하여서 위치 결정이 행하여짐으로써 제 1 부재(1)와 제 2 부재(2) 상호의, 코너부 결합수단(6)의 접촉면적을 한층 더 작게 할 수 있어, 하우징의 변형을 억제하는 동시에, 부품끼리가 맞스쳐 발생하는 삐걱거리는 소리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 도 8에 나타내는 제 2 변형예는, 상기 제 1의 변형예와 동일한 돌기부를 외측 유지부(21)의 내주면 대신에, 리브(11)의 외주면(11a)쪽에 마련한 것이다. 즉, 제 1 부재의 리브(11)의 외주면(11a)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돌기부(111)가, 마찬가지로 이격된 위치에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마련된다. 이 제 2 변형예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2개소의 돌기부(111)의 선단부와 제 2 부재(2)에 마련한 외측 유지부(21)의 내주면을 선 접촉시켜, 제 2 부재(2)에 마련한 원기둥 형상의 내주 유지부재(22)의 외주면과 제 1 부재(1)에 마련한 리브(11)의 내주면(11b)을 접촉부(B)에서 선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3개소에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접촉면적을 마찬가지로 작게 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의 변형을 억제하는 동시에, 부품끼리가 맞스쳐 발생하는 삐걱거리는 소리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제 3 변형예는, 리브의 내주면을 유지하는 내주 유지부재를, 단면 긴 구멍형상 내지는 편평한 원형상의 기둥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내주 유지부재(23)에 의해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제 1 변형예 및 제 2 변형예에서는, 내주 유지부재(22)를 원기둥 형상의 돌설체에 의해서 형성했지만, 원기둥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요컨대 리브(11)의 내주면(11b)(도 2의 경우)에 접촉하는 부분이 원 또는 다른 곡면을 갖는 형상이면 좋다. 도 9의 예에서는, 내주 유지부재(23)의 길이축(C)의 방향이 코너부(A)에 외압을 받을 때 변형하는 방향을 향해서 마련되어 있고, 반원형상의 외측단부(23a)의 외주면의 곡률반경을 실시예 1과 같이 제 1 부재(1)에 마련한 리브(11)의 내주면(11b)의 곡률반경(R)보다도 작은 곡률반경(r1)의 곡면으로 하고 있다. 이 제 3 변형예에 있어서는, 내주 유지부재(23)를 단면 편평한 원형상의 기둥 형상의 돌설체에 의해서 구성하고, 길이축(C)의 방향이 코너부(A)에 외압을 받을 때 작용하는 힘의 대략 중심방향을 향해서 마련됨으로써 하우징 코너부로부터 낙하한 경우의 충격하중 방향에 대하여 강성이 한층 향상하기 때문에, 하우징의 변형이 보다 억제되어, 낙하시의 내충격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제 4 변형예는, 제 2 부재(2)로서는 도 9와 동일한 것을 이용하고, 제 1 부재(1)에 마련하는 리브를,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호형상의 리브(12)로 한 것이다. 또, 리브(12)의 내주면(12b)은, 상기 제 2 부재(2)에 마련한 내주 유지부재(23)의 외측단부(23a)의 곡률반경(r1)보다도 큰 곡률반경(R1)의 곡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제 1 변형예 및 제 2 변형예에서는, 리브(11)의 형상은 하우징의 코너부(A)의 곡면에 대략 충실히 만곡시키고 있는데 대하여, 이 제 4 변형예는, 하우징 코너부(A)의 곡면형상과는 약간 다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4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브(12)의 외주면(12a)과 제 2 부재(2)의 외주 유지부(21)는 상기 변형예 1, 2와 같이 D 부와 E 부의 이격된 2점에서 선형상으로 접촉하여, 리브(12)의 내주면(12b)과 내주 유지부재(23)의 외측단부(23a)의 외주면과는 D 부와 E 부의 중간부에 상당하는 F 부에서 선형상으로 접촉하여 리브(12)를 양측에서 끼워서 유지하고 있고, 마찬가지로 접촉면적이 작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변형예 1, 2의 효과와, 변형예 3의 효과를 합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전자기기의 하우징 구조의 요부를 설명하는 것으로, 도 12는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조립 사시도, 도 13은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부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14는 하우징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제 2 부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15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서로의 결합부에서 감합시켜 합체시켰을 때의, 코너부 결합수단의 감합(위치 결정)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 16, 도 17은 실시예 3의 제 1 변형예, 도 18, 도 19는 마찬가지로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6은 도 14에 대응하는 요부 사시도, 도 18은 도 13에 대응하는 요부 사시도, 도 17 및 도 19는 도 15에 대응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또, 이 실시예 3은 전자기기가 디지털 카메라인 경우이며, 하우징 내부에는 도시 생략하고 있는 전자기판이나 배터리, 렌즈, 조작 버튼류 등이 조립된다.
이 실시예 3의 하우징은, 코너부(A)가 실시예 1 보다도 모나게 형성되어 있지만, 하우징의 표면측을 이루는 제 1 부재(1A) 및 하우징의 이면측을 이루는 제 2 부재(2A)의 대향하는 합친 면은 실시예 1과 같이 외주방향을 따르는 제 1 결합부(10) 및 제 2 결합부(20)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결합부(10)의 대변에는 마찬가지로 2개씩 합계 4개의 결합 갈고리(10a)가 마련되고, 제 2 결합부(20)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4개의 갈고리 걸림부(20a)가 마련되어, 제 1 부재(1A) 및 제 2 부재(2A)를 합체시킬 때 제 1 부재(1)의 결합 갈고리(10a)가 제 2 부재(2A)의 갈고리 걸림부(20a)에 탄성 결합한다. 합체 후는 고정 나사(5)를 제 2 부재(2)의 삽입 구멍(2b)에 삽입시켜, 제 1 부재(1)에 마련된 나사 보스(1b)에 체결함으로써 서로가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제 1 부재(1A)의 제 1 결합부(10)에 있어서의 코너부(A)에는, 해당 코너부(A)의 형상을 따라 만곡 형성된 리브(13)가 돌출 마련되고, 대응하는 제 2 부재(2A)의 제 2 결합부(20)에 있어서의 코너부(A)에는, 리브(13)의 외주면(13a)에 접촉하는 외측 유지부(24)와, 리브(13)의 내주면(13b)에 선 접촉하여, 해당 리브(13)를 외측 유지부(24)와 협동하여 양면에서 끼워서 유지하는 원기둥 형상의 돌설체로 이루어지는 내주 유지부재(25)가 각각 마련되고, 이들 리브(13), 외측 유지부(24), 및 내주 유지부재(25)로 코너부 결합수단(6)이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 3에서는, 리브(13)의 내주면(13b)의 만곡부분의 곡률반경(R2)은 내주 유지부재(25)의 외주면의 곡률반경(r2) 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곡률반경(R2)은 0이더라도 무방하다. 예컨대, 하우징 내측의 인접하는 2개의 측벽면(내벽)이 직선형상으로 직각 또는 그 밖의 각도로 교차하는 것, 1변이 직선형상 및 다른 변이 원호형상으로 교차하는 것, 원호형상 끼리에서 교차하는 것 등이더라도 지장이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3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표면측을 이루는 제 1 부재(1A)와, 하우징의 이면측을 이루는 제 2 부재(2A)를 감합시켰을 때에는, 하우징의 4개의 코너부(A)가 모두 도 15에 나타내는 상태로 위치 결정, 감합된다. 즉, 제 2 부재(2A)에 마련한 하우징 옆쪽의 측벽 코너부로 이루어지는 외측 유지부(24), 및 내측 유지부재(25)에 의해서, 제 1 부재(1A)에 마련한 리브(13)를 양측에서 끼워서 조립되고, 또한 제 2 부재(2A)에 마련한 원기둥 형상의 내측 유지부재(25)의 외주면과 제 1 부재(1A)에 마련한 리브(13)의 내주면(13b)을 서로 이격한 G 부와 H 부의 2개소에서 선 접촉시키고, 또한 제 2 부재(2A)에 마련한 외측 유지부(24)의 내벽면과 제 1 부재(1A)에 마련한 리브(13)의 외주면(13a)이 면 접촉하여 위치 결정되게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내측 유지부재(25)의 외주면과 리브(13)의 내주면(13b)은, G 부와 H 부의 2개소에서 선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실시예 1에 비해서 구속 개소가 많아, 실시예 1의 것보다도 강성이 높아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 3에 의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 외에, 제 1 부재(1A)에 마련한 리브(13)와 제 2 부재(2A)에 마련한 내측 유지부재(25)를 G 부와 H 부의 2개소에서 접촉시켜 구속 개소를 증가시켜, 강성을 향상시킨 것에 의해, 하우징의 변형에 대한 강도가 한층 더 강화되어, 삐걱거리는 소리의 발생이나, 낙하충격에 의한 하우징의 파손을 더욱더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이 실시예 3에 있어서도 원기둥 형상의 돌설체로 이루어지는 내측 유지부재(25) 부분의 도시 생략하고 있는 성형 금형에 있어서의 곡률반경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리브(13)의 내주면(13b)과의 접촉상태를 용이하게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외주 유지부(24)와 리브(13)의 외주면(13a)의 접촉면적을 감소할 목적으로,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돌기부를 마련하여, 삐걱거리는 소리의 발생을 또한 방지할 수 있다. 그 구체 예로서, 도 16, 도 17의 제 1 변형예에서는, 외주 유지부(24)에 도 5와 동일한 2개의 돌기부(241)를 서로 이격시켜 마련하여, 돌기부(241)의 선단부가 리브(13)의 외주면(13a)의 외주방향의 양단부 근방에서 각각 선 형상으로 접촉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18, 도 19의 제 2 변형예에서는, 리브(13)의 외주면(13a)에 도 7과 동일한 2개의 돌기부(131)를 서로 이격시켜 마련하여, 해당 돌기부(131)의 선단부가 외주 유지부(24)의 외주방향 양단부 근방에서 각각 선 형상으로 접촉하도록 한 것이다.
이 제 1 변형예 및 제 2 변형예에서는 도 17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브(13)의 외주면(13a) 측에서 2개소[돌기부(241), 또는 돌기부(131)], 그리고 내주면(13b)측에서 G 부와 H 부의 2개소, 합계 4개소에서 선 접촉하여 리브(13)를 끼워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3의 제 1 및 제 2 변형예에서는, 실시예 3 보다도 더 코너부 결합수단(6)에 있어서의 접촉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하우징의 변형을 억제함과 동시에, 부품끼리가 맞스쳐 발생하는 삐걱거리는 소리를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돌기부의 수는 실시예 2와 같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4)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대한 전자기기의 하우징 구조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 20은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조립 사시도, 도 21은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부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22는 하우징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제 2 부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23은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서로의 결합부에서 감합시켜 합체시켰을 때의, 코너부 결합수단의 감합(위치 결정)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또, 이 실시예 4의 전자기기는 휴대용 음악 재생기이며, 하우징 내부에는 도시 생략하고 있는 전자기판이나 배터리, 조작 버튼류 등이 조립된다.
상기 하우징의 이면측을 이루는 제 1 부재(1B) 및 하우징의 표면측을 이루는 제 2 부재(2B)의 대향하는 합친 면은, 실시예 1과 같이 외주방향을 따르는 제 1 결합부(10) 및 제 2 결합부(20)로서 구성되고, 제 1 결합부(10) 및 제 2 결합부(20)를 서로 결합시켜 합체하여, 고정 나사(5)를 제 1 부재(1B)의 관통 구멍(1a)에 삽입시켜, 제 2 부재(2B)에 마련된 나사 보스를 겸하는 내주 유지부재(27)의 나사 구멍(27a)에 체결함으로써 서로가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결합된다. 또, 제 1 결합부(10) 및 제 2 결합부(20)에 실시예 1 내지 3과 마찬가지의 결합 갈고리 및 갈고리 걸림부를 마련하여 결합시키더라도 좋고, 리벳,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더라도 좋다.
이 실시예 4에 있어서는, 제 1 부재(1B)의 제 1 결합부(10)에 있어서의 코너부(A)에는, 해당 코너부(A)의 형상을 따라 만곡 형성된 리브(14)가 돌출 마련되고, 대응하는 제 2 부재(2B)의 제 2 결합부(20)에 있어서의 코너부(A)에는, 리브(14)의 외주면(14a)에 접촉하는 외측 유지부(26)와, 상기 나사 보스를 겸한 원기둥 형상의 돌설체로 이루어져, 리브(14)의 내주면(14b)에 선 접촉하고, 해당 리브(14)를 외측 유지부(26)와 협동하여 양면에서 끼워서 유지하는 내주 유지부재(27)가 각각 마련되고, 이들 리브(14), 외측 유지부(26), 및 내주 유지부재(27)로 코너부 결합수단(6)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리브(14)의 내주면(14b)의 만곡부분의 곡률반경(R3)은 실시예 3과 같이 내주 유지부재(27)의 곡률반경(r3) 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곡률반경(R3)는 0이더라도 무방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4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이면측을 이루는 제 1 부재(1B)와, 하우징의 표면측을 이루는 제 2 부재(2B)를 감합시켜 합체시킬 때, 본 발명이 구성된 하우징의 코너부(A)에서는, 도 23에 도시하는 상태로 위치 결정된다. 즉, 제 2 부재(2B)에 마련한 하우징의 측벽 코너부로 이루어지는 외측 유지부(26)와 원통형의 내주 유지부재(27)에 의해서, 제 1 부재(1B)에 마련한 리브(14)를 끼워서 조립되어, 내주 유지부재(27)의 외주면과 제 1 부재(1B)에 마련한 리브(14)의 내주면(14b)을 I 부 및 J 부의 2개소에서 선 접촉시키고, 또한 제 2 부재(2B)에 마련한 외측 유지부(26)의 내주면과 제 1 부재(1B)에 마련한 리브(14)의 외주면(14a)을 면접촉시켜, 위치 결정되게 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 4에 의하면, 제 1 부재(1B)와 제 2 부재(2B)를 합체시킬 때에 위치 결정과 감합이 확실히 실행되어, 리브(14)의 내주면(14b)과 내주 유지부재(27)의 접촉면적을 저감하고 있으므로 부재끼리가 맞스쳐 발생하는 삐걱거리는 소리가 방지된다. 또한, 제 1 부재(1B) 및 제 2 부재(2B)가 치우친 상태로 감합되는 일이 없어, 편접촉에 의한 부품끼리의 맞스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결합부(10, 20)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감합을 위한 코너부 결합수단(6)을 하우징의 코너부(A)에 여분의 공간을 점유하는 일 없이 마련했기 때문에, 전자 부품류의 수용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더구나 하우징의 코너부에서의 강성도 향상할 수 있어, 낙하충격에도 강하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내주 유지부재(27)를 나사 보스와 겸용한 것에 의해 경량화(재료 사용량의 저감화),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고, 더구나 내주 유지부재(27)의 곡률반경(r3)을 크게 하여, I 부및 J 부의 2개소에서 선 접촉시켰기 때문에, 코너부(A)로부터 낙하시킨 경우의 충격하중방향에 대하여 강성이 보다 향상한다.
또, 제 2 부재(2B)에 마련한 원통형의 내주 유지부재(27)의 곡률반경(r3)을, 제 1 부재(1B)에 마련한 리브(14)의 내주면(14b)에서의 만곡부분의 곡률반경(R3)보다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실시예 1과 같이 내주 유지부재(27)의 외주면과 리브(14)의 내주면(14b)의 만곡부분을 1개소에서 선 접촉시키도록 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제 2 부재(2B)에 마련한 외측 유지부(26)와 제 1 부재(1B)에 마련한 리브(14)의 외주면(14a)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실시예 2와 동일한 돌기부를, 외측 유지부(26) 또는 리브(14)의 외주면(14a)에 마련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 4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같이, 도시 생략하고 있는 성형 금형에 있어서의 내주 유지부재(27)에 대응하는 부분의 곡률반경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리브(14)의 내주면(14b)과의 접촉상태를 용이하게 최적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24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대한 전자기기의 하우징 구조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 24는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조립 사시도, 도 25는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부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26은 하우징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제 2 부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27은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서로의 결합부에서 감합시켜 합체시켰을 때의, 코너부 결합수단의 감합(위치 결정)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또, 이 실시예 5의 전자기기는 휴대용 게임기이며, 하우징 내에는 도시 생략하고 있는 배터리 커버나 단자 커버 등이 마련되고, 하우징 내부에는 도시 생략하고 있는 전자기판이나 배터리, 액정 표시부, 조작 버튼류 등이 조립된다.
하우징의 이면측을 이루는 제 1 부재(1C) 및 하우징의 표면측을 이루는 제 2 부재(2C)의 대향하는 합친 면은, 실시예 1과 같이 외주방향을 따르는 제 1 결합부(10)및 제 2 결합부(20)로서 구성되고, 제 1 결합부(10)의 대변에는 각 2개씩 합계 4개의 결합 갈고리(10a)가 마련되며, 제 2 결합부(20)에 있어서의 대변의 대응부분에는 각 2개씩 합계 4개의 갈고리 걸림부(20a)가 마련되어, 제 1 부재(1C) 및 제 2 부재(2C)를 합체시킬 때, 이들 제 1 부재(1C)의 결합 갈고리(10a)가, 제 2 부재(2C)의 갈고리 걸림부(20a)에 각각 서로 걸리는 것에 의해 탄성 결합하고, 합체 후는 고정 나사(5)를 제 1 부재(1C)의 관통 구멍(1a)에 삽입시켜, 제 2 부재(2C)에 마련된 나사 보스겸 내주 유지부재(29)에 체결함으로써 서로가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결합된다. 또, 결합방법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제 1 부재(1C)의 제 1 결합부(10)에 있어서의 코너부(A)에는, 해당 코너부(A)의 형상을 따라 만곡 형성된 리브(15)가 돌출 마련되고, 대응하는 제 2 부재(2C)의 제 2 결합부(20)에 있어서의 코너부(A)에는, 리브(15)의 외주면(15a)에 접촉하는 외측 유지부(28)와, 리브(15)의 내주면(15b)에 대하여, 서로 이격된 K 부 및 L 부의 2개소에서 각각 선 접촉하고, 해당 리브(15)를 외측 유지부(28)와 협동하여 양면에서 끼워서 유지하는 돌설체로 이루어지는 나사 보스 겸 내주 유지부재(29)가 각각 마련되고, 이들 리브(15), 외측 유지부(28), 및 나사 보스 겸 내주 유지부재(29)로 코너부 결합수단(6)이 구성되어 있다. 또, 나사 보스 겸 내주 유지부재(29)는 원통형의 나사 보스부(291)와 편평한 원형상의 내주 유지부(292)가 일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고, 리브(15)의 내주면(15b)의 만곡부분의 곡률반경(R4)은 내주 유지부(292)의 반원형상의 접촉부분의 곡률반경(r4)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곡률반경(R4)은 0이더라도 지장이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5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이면측을 이루는 제 1 부재(1C)와, 하우징의 표면측을 이루는 제 2 부재(2C)를 감합시킬 때, 하우징의 코너부에서는 도 27에 나타내는 상태로 위치 결정된다. 즉, 제 2 부재(2C)에 마련한 외측 유지부(28), 및 나사 보스겸 내주 유지부재(29)의 내주 유지부(292)에 의해서, 제 1 부재(1C)에 마련한 리브(15)를 양측에서 끼워서 조립되고, 또한, 제 2 부재(2C)에 마련한 나사 보스겸 내주 유지부재(29)의 외주면과 제 1 부재(1C)에 마련한 리브(15)의 내주면(15b)을 K 부와 L 부의 2개소에서 선 접촉시키고, 또한 제 2 부재(2)에 마련한 외측 유지부(28)의 내면과 제 1 부재(1C)에 마련한 리브(15)의 외주면(15a)이 면 접촉되어, 위치 결정된다.
상기 실시예 5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 외에, 고정 나사(5)를 끼우기 위한 원통형의 나사 보스부(291)와, 리브(15)의 내주면(15b)을 유지하기 위한 편평 원형상의 내주 유지부(292)를 일체화하여 나사 보스겸 내주 유지부재(29)로 한 것에 의해, 코너부(A)로부터의 충격하중 방향에 대하여 강성이 한층 더 향상하기 때문에, 하우징의 변형이 더욱 억제되어, 낙하충격에 의한 하우징의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제 2 부재(2C)에 마련한 나사 보스겸 내주 유지부재(29)를 구성하는 내주 유지부(292)의 곡률반경(r4)을, 제 1 부재(1C)에 마련한 리브(15)의 내주면(15b)에 있어서의 만곡부분의 곡률반경(R4)보다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실시예 1과 같이 내주 유지부(292)의 외주면과 리브(15)의 내주면(15b)의 만곡부분을 1개소에서 선 접촉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 2 부재(2C)에 마련한 외측 유지부(28)와 제 1 부재(1C)에 마련한 리브(15)의 외주면(15a)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실시예 2와 동일한 돌기부를, 외측 유지부(28) 또는 리브(15)의 외주면(15a)에 마련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 5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같이, 내주 유지부(292)의 곡률반경(r4)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리브(15)의 내주면(15b)과의 접촉상태를 용이하게 최적화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 있어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형상과 재질에 따라서는, 양자를 감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양자가 서로 감합할 수 있 도록, 제 2 부재(2)에 마련한 내주 유지부재의 외주면과, 제 1 부재에 마련한 리브의 내주면 사이, 또는 제 2 부재(2)에 마련한 외측 유지부의 내측의 면과 제 1 부재(1)에 마련한 리브의 외주면 사이에, 약간 간극을 마련하여 놓더라도 무방하지만, 이 간극은 가능한 한 최소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브나 내주 유지부재 및 외측 유지부의 돌출 단면의 코너부를 모따기하는 것 등은 물론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금형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경우, 하우징의 측벽부, 외측 유지부, 내주 유지부재, 나사 보스 및 리브의 각각의 측면에는, 금형으로부터 부품을 취출할 때에 필요한 빼냄 구배를 부여하더라도 무방하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의 모든 코너부(A)에 코너부 결합수단(6)을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의 복수의 코너부(A)의 내부, 일부의 코너부에만 마련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리브의 외주면과 외측 유지부의 접촉부, 혹은 리브의 내주면과 내주 유지부재 또는 내주 유지부의 접촉부가 중합방향으로 평행한 직선형상으로 선 접촉하고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선 접촉방향은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중합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 등, 교차하는 방향으로 접촉시키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휴대 전화기,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음악재생기, 휴대용 게임기에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들의 전자기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휴대용의 통신기, 라디오, 텔레비젼, 노트북 컴퓨터, 노트형 워드프로세서, 비디오 카메라, 전자수첩, 각종의 적외선식, 무선식 리모트 콘트롤러, 및 전자계산기 등, 각종 전자기기에 특별한 제한 없이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고정형의 전자기기에도 이용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한 전자기기의 하우징 구조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부재의 코너부에서의 제 1 결합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제 2 부재의 코너부에서의 제 2 결합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서로의 결합부에서 감합시켜 합체시킬 때의 코너부 결합수단의 감합(위치 결정)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전자기기의 하우징 구조에 있어서의 제 2 부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실시예 1의 제 1 변형예),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 2 부재를 이용했을 때의 코너부 결합수단의 감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전자기기의 하우징 구조에 있어서의 제 1 부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실시예 1의 제 2 변형예),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 1 부재를 이용했을 때의 코너부 결합수단의 감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전자기기의 하우징 구조에 있어서의 제 2 부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실시예 1의 제 3 변형예),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전자기기의 하우징 구조에 있어서의 제 2 부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실시예 1의 제 4 변형예),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 2 부재를 이용했을 때의 코너부 결합수단의 감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한 전자기기의 하우징 구조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부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하우징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제 2 부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서로의 결합부에서 감합시켜 합체시켰을 때의, 코너부 결합수단의 감합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제 1 변형예로 도 14에 도시된 제 2 부재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요부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제 2 부재를 이용했을 때의 코너부 결합수단의 감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제 2 변형예로 도 13에 도시된 제 1 부재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요부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제 1 부재를 이용했을 때의 코너부 결합수단의 감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대한 전자기기의 하우징 구조를 나타내는 조 립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하우징의 제 1 부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하우징의 제 2 부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서로 결합부에서 감합시켜 합체시켰을 때의, 코너부 결합수단의 감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대한 전자기기의 하우징의 조립 사시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하우징의 제 1 부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26은 도 4에 도시된 하우징의 제 2 부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27은 도 24에 도시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서로의 결합부에서 감합시켜 합체시켰을 때의, 코너부 결합수단의 감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 1B, 1C : 제 1 부재 11, 12, 13, 14, 15 : 리브
11a, 12a, 13a, 14a, 15a : 외주면 11b, 12b, 13b, 14b, 15b : 내주면
2, 2A, 2B, 2C : 제 2 부재 6 : 코너부 결합수단
10 : 제 1 결합부 10a : 결합 갈고리
20 : 제 2 결합부 20a : 갈고리 걸림부
21, 24, 26, 28 : 외측 유지부 22, 23, 25, 27 : 내주 유지부재
29 : 나사 보스겸 내주 유지부재 292 : 내주 유지부
111, 131, 211, 241 : 돌기부
r1, r2, r3, r4 : 곡률반경(내주 유지부재)
R, R1, R2, R3, R4 : 곡률반경(리브의 내주면)
A : 코너부 B : 접촉부

Claims (9)

  1.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고 그 외주부에 코너부를 포함하는 제 1 결합부가 형성된 제 1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고 그 외주부에 상기 제 1 결합부에 결합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된 제 2 부재를 구비하고, 이들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서로의 결합부에서 합체시키는 것에 의해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의 코너부에 마련되고, 상기 코너부의 형상을 따라 만곡 형성된 리브와, 상기 제 2 결합부의 대응하는 코너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를 합체시켰을 때, 상기 리브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외측 유지부 및 상기 리브의 내주면에 선 형상으로 접촉하여 상기 리브를 상기 외측 유지부와 협동하여 양면에서 끼워서 유지하는 내주 유지부재로 이루어지는 코너부 결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 유지부는 면 접촉상태로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 유지부의 접촉부가 선 형상이 되도록 상기 리브의 외주면 및 상기 외측 유지부중 어느 한쪽에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내주면과 상기 내주 유지부재의 접촉부는 외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선 형상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유지부는 상기 제 2 부재의 측벽의 코너부의 벽 두께를 상기 리브의 두께에 상당하는 만큼 얇게 하여 형성된 측벽 코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 유지부재는 상기 제 2 부재에 입설(立設)된 기둥 형상의 돌설체(突設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 유지부재는, 상기 제 1 부재를 상기 제 2 부재에 나사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부재에 마련된 나사 보스에 병설되거나, 또는 상기 나사 보스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 결합수단의 결합상태는 상기 내주 유지부재의 외주면의 곡률반경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외주부에 코너부를 포함하는 제 1 결합부가 형성된 제 1 부재와, 외주부에 상기 제 1 결합부에 결합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된 제 2 부재를 구비하고, 이들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서로의 결합부에서 합체시키도록 한 전자기기의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의 코너부에 마련되고, 상기 코너부의 형상을 따라 만곡 형성된 리브와, 상기 제 2 결합부의 대응하는 코너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를 합체시켰을 때, 상기 리브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외측 유지부 및 상기 리브의 내주면에 선 형상으로 접촉하여 상기 리브를 상기 외측 유지부와 협동하여 양면에서 끼워서 유지하는 내주 유지부재로 이루어지는 코너부 결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하우징.
KR1020080009489A 2007-01-31 2008-01-30 전자기기 및 하우징 KR101183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21229A JP4302743B2 (ja) 2007-01-31 2007-01-31 電子機器及び筐体
JPJP-P-2007-00021229 2007-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923A KR20080071923A (ko) 2008-08-05
KR101183708B1 true KR101183708B1 (ko) 2012-09-17

Family

ID=39668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489A KR101183708B1 (ko) 2007-01-31 2008-01-30 전자기기 및 하우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60375B2 (ko)
JP (1) JP4302743B2 (ko)
KR (1) KR101183708B1 (ko)
CN (1) CN101267465B (ko)
TW (1) TWI35452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164B1 (ko) * 2013-02-28 2020-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춘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7359B2 (en) 2008-10-13 2014-04-01 Apple Inc. Portable computer unified top case
AU2016204349C1 (en) * 2008-10-13 2019-01-03 Apple Inc. Portable computer unified top case
JP4945607B2 (ja) * 2009-08-12 2012-06-0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ワイヤレスリモコン装置
US8797721B2 (en) 2010-02-02 2014-08-05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using with outer glass surfaces
US8264837B2 (en) 2010-04-19 2012-09-1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ver assembly reten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3033234A (ja) 2011-07-01 2013-02-14 Panasonic Corp 筐体構造及び撮像装置
JP5707259B2 (ja) * 2011-07-12 2015-04-22 新電元工業株式会社 カバーの接続構造
JP2013106196A (ja) * 2011-11-14 2013-05-30 Panasonic Corp 携帯端末
KR101943315B1 (ko) * 2011-12-07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체결방법
JP5950645B2 (ja) * 2012-03-22 2016-07-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3379786A (zh) * 2012-04-20 2013-10-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固定结构
USD730340S1 (en) 2013-09-10 2015-05-26 Apple Inc.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D731473S1 (en) 2013-09-10 2015-06-09 Apple Inc. Case for electronic device
JP6122372B2 (ja) * 2013-09-27 2017-04-26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用ケース及び電子部品装置
CN103974573A (zh) * 2013-11-30 2014-08-0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保护壳
CN104754903B (zh) * 2013-12-25 2017-12-19 富泰华精密电子(郑州)有限公司 电子装置
USD757350S1 (en) * 2014-01-07 2016-05-24 Koninklijke Philips N.V. Lighting fixture
CN105592647A (zh) * 2014-10-22 2016-05-18 富泰华精密电子(郑州)有限公司 电子装置
AU365757S (en) * 2015-03-19 2015-12-1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case
JP6614874B2 (ja) * 2015-09-07 2019-12-0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電子機器ケース
JP6512488B2 (ja) * 2016-09-16 2019-05-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機器
JP2020049161A (ja) * 2018-09-28 2020-04-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検出装置
JP7034044B2 (ja) * 2018-09-28 2022-03-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8891B2 (ja) 1999-10-14 2006-06-21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20030013418A1 (en) * 2000-02-01 2003-01-16 Shigeru Kato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2151866A (ja) * 2000-11-14 2002-05-24 Nec Corp 携帯機器の強度アップ実装構造
US6655449B1 (en) * 2002-11-08 2003-12-02 Cho-Chang Hsien Heat dissipation device by liquid cooling
JP2004342202A (ja) * 2003-05-14 2004-12-02 Hitachi Maxell Ltd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2005327933A (ja) 2004-05-14 2005-11-24 Sadao Suzuki 樹脂製ケース
JP4442364B2 (ja) 2004-08-24 2010-03-31 船井電機株式会社 リモコン装置
JP4306571B2 (ja) * 2004-09-15 2009-08-05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カバー及びケー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164B1 (ko) * 2013-02-28 2020-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춘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54524B (en) 2011-12-11
CN101267465A (zh) 2008-09-17
JP4302743B2 (ja) 2009-07-29
JP2008187121A (ja) 2008-08-14
US8260375B2 (en) 2012-09-04
KR20080071923A (ko) 2008-08-05
US20080182633A1 (en) 2008-07-31
TW200840458A (en) 2008-10-01
CN101267465B (zh)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708B1 (ko) 전자기기 및 하우징
US8194405B2 (en) Accessory strap securing mechanism
CN109377885B (zh) 柔性显示装置及电子设备
JP3981112B2 (ja) 携帯端末
US20100279164A1 (en)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cover latch
JPH1154950A (ja) クラムシェルハウジングを有する携帯型機器
US8411424B2 (en) Strap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O2021169702A1 (zh) 壳组件、电子设备及可穿戴设备
CN211429795U (zh) 一种壳体组件以及电子装置
US20140177143A1 (en) Electronic apparatus
US20110159331A1 (en) Battery latching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6269642A (ja) 携帯型電子機器
JP5978990B2 (ja) 電子装置
CN114388292B (zh) 一种电子设备的按键结构及电子设备
WO2012132310A1 (ja) 携帯端末装置
US20120063075A1 (en) External componen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70036387A1 (en) Speaker with reduced height
US20100269308A1 (en) Elastic structure and shell assembly using the same
JP5201586B2 (ja) 部品の固定構造及び電子機器
JP2006186639A (ja) 電子機器
KR20130030720A (ko) 휴대 단말기에서 슬림형 디스플레이 모듈 고정장치
JP5494109B2 (ja) 搭載物固定構造
JP3290002B2 (ja) 携帯無線機
JP2009290647A (ja) 筐体構造、及び電子機器
JP2007206271A (ja) 携帯電子機器の表示パネルの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