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441B1 -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 - Google Patents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441B1
KR101183441B1 KR20120049180A KR20120049180A KR101183441B1 KR 101183441 B1 KR101183441 B1 KR 101183441B1 KR 20120049180 A KR20120049180 A KR 20120049180A KR 20120049180 A KR20120049180 A KR 20120049180A KR 101183441 B1 KR101183441 B1 KR 101183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luorescent lamp
waste fluorescent
hot wi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49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희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20049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441B1/ko
Priority to US14/399,978 priority patent/US9552954B2/en
Priority to PCT/KR2013/004053 priority patent/WO20131690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50Repairing or regenerating used or defective discharge tubes or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6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83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specially adapted for elong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10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45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 B26D7/1863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B26F3/06Severing by using heat
    • B26F3/08Severing by using heat with heated members
    • B26F3/12Severing by using heat with heated members with heated w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9Severing cooled glass by thermal shock
    • C03B33/095Tubes, rods or hollow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 C03B33/105Details of cutting or scoring means, e.g. t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52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30Breaking or tearing apparatus
    • Y10T225/304Including means to apply thermal shock to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83With means to control or modify temperature of apparatus or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폐형광등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 설치되는 열선과, 상기 열선의 후단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냉선 및 상기 냉선과 상기 열선 사이에 설치되는 진공흡입장치를 포함하여 폐형광등의 베이스 캡을 정확하게 절단하고, 형광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 제거할 수 있는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WASTE FLUORESCENT LAMP END-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형광등의 베이스 캡을 유리 파편 없이 정확하게 절단하고, 형광물질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형광등의 처리와 관련한 엔드커팅(End-Cutting) 기술은 유리관과 비철금속(알루미늄) 사이를 기계적 또는 열적으로 처리하여 베이스 캡(Base Cap)을 분리하는 기술로서 커팅 효율과 자원 회수율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기계적 처리의 경우 유리 파편이 다량 발생하고, 수은 제어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으며, 열적 처리의 경우에는 높은 사용 온도로 인해 증발되는 수은가스의 양이 많을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수은가스의 공기 중 방출 가능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엔드커팅 기술 중 열적 처리 방식은 다시 가스버너 엔드커팅(Gas Burner End-Cutting) 방식과 전기히터 엔드커팅(Electric Heater End-Cutting)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가스버너 엔드커팅 방식은 유리관과 비철금속 사이를 버너의 화염(Flame)으로 절단하는 방식으로 유럽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스버너 엔드커팅 방식은 화염의 온도가 2000℃ 정도로 매우 높지만 정확한 절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리 부분이 깨끗하게 분리되어 유리가 형광물질과 혼합될 가능성이 거의 없으며, 그 결과 형광물질의 회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의 경우 버너의 압력, 가스량 등 사용 조건에 따라 절단 효율 변화가 매우 심할 뿐 아니라 작거나 복잡한 형상의 형광등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전기히터 엔드커팅 방식은 열선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방식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차적으로 유리관과 비철금속 사이에 열선을 이용하여 열을 가한 후 2차적으로 가열된 부위에 냉선을 이용하여 냉각온도로 충격을 가해 절단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전기히터 엔드커팅 방식도 유리 부분이 깨끗하게 분리되기 때문에 유리가 형광물질과 혼합될 가능성이 거의 없어 형광물질의 회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열선이 절단 부위와 직접 접촉하는 구조로 인해 열선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크고, 그 결과 열선의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할 뿐 아니라 시간 경과에 따라 절단면의 품질이 불규칙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외에도 엔드커팅 방식과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0224384호(1999.10.15. 공고), 등록특허 제10-0919863호(2009.10.05. 공고), 등록특허 제10-0931621호(2009.12.14. 공고), 일본 공개특허 제2008-229499호(2008.10.02. 공개) 등과 같이 다수의 종래기술이 존재하지만 대부분 고가의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제작비용이 매우 높고, 운영비 또한 비교적 높을 뿐 아니라 장치가 복잡하여 기계적 결합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한 문제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예의, 주시하여 폐형광등의 베이스 캡을 정확하게 절단하고, 형광 튜브 내에 존재하는 형광물질을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끝에 본 발명에 이르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폐형광등의 베이스 캡을 낮은 온도에서 유리 파편 없이 정확하게 절단하고, 이와 동시에 형광 튜브 내에 존재하는 형광물질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회수하여 제거할 수 있는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폐형광등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 설치되는 열선과, 상기 열선의 후단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냉선 및 상기 냉선과 상기 열선 사이에 설치되는 진공흡입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열선과 상기 냉선의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폐형광등으로부터 베이스 캡을 분리하는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는 상기 열선과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 설치되는 커팅나이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선은 예열부와 가열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선과 상기 냉선의 온도 차이는 6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선과 냉선의 온도 차이로 인한 열충격을 이용하여 베이스 캡을 절단함으로써 유리 파편 없이 베이스 캡을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열선에 폐형광등을 간접적으로 접촉시켜 절단함으로써 열선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절단면의 품질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여 조작이 쉽고, 제작비용이 저렴할 뿐 아니라 운영비와 인건비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의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1차 실험에 따른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2차 실험에 따른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절단된 형광등과 베이스 캡을 각각 나타낸 사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100)는 대별하여 컨베이어(Conveyer)(110)와, 열선(Heating Wire)(120)과, 냉선(Cooling Wire)(130) 및 진공흡입장치(Suction Duct)(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컨베이어(110)는 폐형광등(190)의 이송을 위한 구성으로 받침대(111) 위에 적절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컨베이어(110)로는 스크류 타입, 벨트 타입, 체인 타입 등 공지된 모든 형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폐형광등(190)을 일정한 간격과 속도로 이송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열선(120)은 상기 폐형광등(190)을 가열하기 위한 구성으로 절단 부위에 맞춰 상기 컨베이어(110)의 양측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베이어(110)의 양측에 단열블록(121)이 구비되고, 상기 단열블록(121) 내부에 상기 열선(120)이 삽입 설치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선(120)이 상기 폐형광등(19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열선(120)과 연결되어 상기 단열블록(121) 위에 설치되는 커팅나이프(1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열선(12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상기 커팅나이프(122)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폐형광등(190)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열선(1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열선(120)을 파이프(도면 미도시)에 내설하여 상기 단열블록(121)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처럼 상기 폐형광등(190)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할 수 있다면 상기 열선(120)의 설치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열선(120)은 예열부와 가열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폐형광등(190)을 처음부터 높은 온도로 가열할 경우 급격한 온도 변화로 상기 폐형광등(190)이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계속하여, 상기 냉선(130)은 가열된 폐형광등(190)에 온도 차이를 발생시켜 열충격을 가함으로써 베이스 캡(191) 부분을 절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열선(120)의 후단에 연속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냉선(130)으로는 튜브 형태의 냉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열선(120)과의 온도 차이는 대략 6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열선(120)과 상기 냉선(130)의 온도 차이가 600℃를 초과하면 과다한 열충격으로 인해 상기 폐형광등(190)이 깨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상기 열선(120)의 온도가 600~700℃라면 상기 냉선(130)의 온도는 2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처럼 본 발명은 열선(120)과 냉선(130)의 온도 차이로 인한 적정의 열충격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캡(191)을 절단하기 때문에 유리를 완전히 용융시켜 분리할 수 있는 온도보다 매우 낮은 온도에서 유리관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열충격에 의해 분리된 상기 베이스 캡(191)은 상기 열선(120)과 상기 냉선(130)의 경계 부분 하부에 설치되는 수거함(170)으로 떨어져 2방향 전환기(2Way Diverter)로 이송 처리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진공흡입장치(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열충격에 의해 상기 베이스 캡(191)이 절단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열선(120)과 상기 냉선(1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컨베이어(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진공흡입장치(140)는 센서(도면 미도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는 상기 열선(120)과 상기 냉선(1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폐형광등(190)이 절단 위치, 즉, 상기 열선(120)과 상기 냉선(130) 사이를 통과하는 순간 이를 감지하여 상기 진공흡입장치(14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진공흡입장치(140)가 필요시에만 작동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사이클론(Cyclone)(도면 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은 상술한 바와 같은 베이스 캡(191) 절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형광물질을 수집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컨베이어(110)의 일측에 적절하게 설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미처리된 수은가스는 활성탄소가스수집기(Activated Carbon Gas Collector)로 이송되어 처리된다.
또한, 본 발명은 후드(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드(180)는 상술한 엔드커팅 공정과 형광물질 제거 공정에서 발생하는 수은가스를 포함한 각종 유해가스와 분진 등을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100)의 상부 전 영역에 걸쳐 설치되며, 이를 통해 포집된 가스물질은 흡착탑으로 이송되어 처리된다.
한편,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직관형 형광등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간단한 설계 변경을 통해 원형 형광등이나 크기가 상이한 기타 다른 형광등에도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원형 형광등과 같이 유리관이 라운드져 절단 부위가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열선(120)과 상기 냉선(130)의 설치 폭을 좁혀 절단 부위에 배치함으로써 직관형 형광등의 경우와 동일하게 베이스 캡(191)을 절단하고 형광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의 작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계속적으로 참고하면, 먼저, 상기 컨베이어(110) 위에 상기 폐형광등(190)을 일정한 간격으로 투입하여 차례대로 이송시킨다. 이후, 상기 폐형광등(190)이 상기 열선(130)에 이르게 되면 예열 과정을 거쳐 대략 600~700℃의 온도로 가열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폐형광등(190)이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냉선(140)을 통과하게 되면 온도 차이로 인한 열충격에 의해 상기 베이스 캡(191)이 절단되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해가스는 상기 진공흡입장치(140)를 통해 제거된다. 한편, 절단된 베이스 캡(191)은 상기 수거함(170)에 수집되어 후속 처리되며, 상기 베이스 캡(191)의 절단으로 양단부가 개구된 형태의 형광 튜브(192)는 계속적으로 이송되어 다음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형광 튜브(192) 내에 잔존하는 형광물질은 상기 사이클론(160)에 의해 제거되고, 이처럼 형광물질이 분리된 상태의 글래스 튜브(Glass Tube)는 2차 파쇄기로 이송되어 약 6mm 크기로 파쇄 처리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를 제작한 후 40W 직관형 형광등 중 5개사의 형광등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형광등의 규격은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Types Code Wattage(W) Diameter(mm) Length(mm) Mass (g) Base
A FHF32SSY 32 26 1198 189.3 G-13
B FHF32SSEX-D 32 26 1198 189.9 G-13
C FLR32SSEX-D/A 32 26 1198 182.3 G-13
D FHF32SSEX-D/A 32 26 1198 188.0 G-13
E FHF32SSEX-D 32 26 1198 162.7 G-13
이 경우, 1차 실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선을 단열블록 내에 삽입하고, 열선 위에 커팅나이프를 설치하였으며, 이와 같이 구성되는 25cm 길이의 히팅유닛(Heating Unit)을 3개씩 양쪽으로 총 6개를 설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2차 실험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블록 위에 70cm 길이의 일자형 열선을 양쪽으로 1개씩 총 2개를 설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즉, 1차 실험은 커팅나이프를 이용한 간접 접촉 방식의 절단 방법이고, 2차 실험은 형광등에 열선을 직접적으로 접촉한 방식의 절단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1차 실험에서 열선의 온도는 450℃에서 850℃로 변화시키고, 형광등의 이동 속도는 0.1m/s에서 0.5m/s로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실시한 결과 850℃에서 0.1m/s로 베이스 캡을 분리할 경우 베이스 캡이 원활하게 분리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열선에 의한 온도와 냉선에 의한 온도 차이를 250℃에서 650℃로 변화시키고, 형광등의 이동 속도는 0.1m/s에서 0.5m/s로 변환시키면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 경우, 열선의 온도를 555℃로, 냉선의 온도를 5℃로 유지한 상태에서 형광등 이동 속도에 따른 베이스 캡의 분리 여부를 검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인자 Heating Unit
Temperature Difference [℃] 550 550 550 550 550
Speed [m/s] 0.1 0.2 0.3 0.4 0.5
Result Pass Poor Fail Fail Fail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광등의 이동 속도가 0.1m/s일 때에만 베이스 캡이 원활하게 분리되었으며, 그 이상의 속도에서는 분리가 되지 않았다. 따라서 열선과 냉선의 온도 차이가 550℃일 경우에는 형광등의 이동 속도가 낮아야 베이스 캡이 확실히 분리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냉선의 온도는 5℃로 유지하고, 형광등의 속도도 0.1m/s로 유지한 상태에서 열선의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베이스 캡의 분리 여부를 검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인자 Heating Unit
Temperature Difference [℃] 250 350 450 550 650
Speed [m/s] 0.1 0.1 0.1 0.1 0.1
Result Fail Fail Fail Pass Pass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선과 냉선의 온도 차이가 550℃ 이상일 경우에만 베이스 캡이 원활하게 분리되었으며, 이로부터 열선과 냉선의 온도 차이가 클 경우에는 형광등의 이동 속도가 증가해도 베이스 캡의 분리가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8에는 본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형광등과 베이스 캡을 각각 나타내었으며,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열충격을 이용할 경우 베이스 캡이 유리 파편 없이 정확하게 절단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 110 : 컨베이어
111 : 받침대 120 : 열선
121 : 단열블록 122 : 파이프
130 : 냉선 140 : 진공흡입장치
170 : 수거함 180 : 후드
190 : 폐형광등 191 : 베이스 캡
192 : 형광 튜브

Claims (4)

  1. 폐형광등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 설치되는 열선과;
    상기 열선의 후단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냉선; 및
    상기 냉선과 상기 열선 사이에 설치되는 진공흡입장치;
    를 포함하여 상기 열선과 상기 냉선의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폐형광등으로부터 베이스 캡을 분리하는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과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 설치되는 커팅나이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예열부와 가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과 상기 냉선의 온도 차이는 6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
KR20120049180A 2012-05-09 2012-05-09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 KR101183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9180A KR101183441B1 (ko) 2012-05-09 2012-05-09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
US14/399,978 US9552954B2 (en) 2012-05-09 2013-05-09 Waste fluorescent light end-cutting apparatus
PCT/KR2013/004053 WO2013169016A1 (ko) 2012-05-09 2013-05-09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9180A KR101183441B1 (ko) 2012-05-09 2012-05-09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3441B1 true KR101183441B1 (ko) 2012-09-14

Family

ID=4711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49180A KR101183441B1 (ko) 2012-05-09 2012-05-09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52954B2 (ko)
KR (1) KR101183441B1 (ko)
WO (1) WO201316901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320B1 (ko) 2013-05-23 2013-07-01 김용출 폐 전구형 led 램프 처리시스템의 자동 분할 절단 장치
CN110937792A (zh) * 2019-12-12 2020-03-31 湖北瑞信养生用品科技有限公司 一种环形容器口切割装置
CN111360044A (zh) * 2020-04-22 2020-07-03 东阳伯格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热敏电阻回收分拣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9102B1 (fr) * 2012-12-11 2015-01-16 Veolia Proprete Procede de decoupe a froid d'une lampe
KR101794562B1 (ko) 2016-09-09 2017-11-07 박상문 집어등 재사용을 위한 유리 커버 컷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등의 제조방법
CN108943043A (zh) * 2018-07-05 2018-12-07 杨平 一种橡胶制品冷却切割装置
CN115057233B (zh) * 2022-06-09 2024-01-09 河北光兴半导体技术有限公司 一种掰断装置及掰断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1442A (ja) 1997-01-29 1998-08-11 Akira Nakamura コンベア式廃蛍光管破砕処理保管装置
JP2005230660A (ja) 2004-02-18 2005-09-02 Oomori Kikai Seisakusho:Kk 廃蛍光管の処理方法及び廃蛍光管処理装置
JP2008229499A (ja) 2007-03-20 2008-10-02 Kobelco Eco-Solutions Co Ltd 蛍光灯処理装置及び蛍光灯処理方法
JP2011050928A (ja) 2009-09-04 2011-03-17 Jfe Kankyo Corp 廃蛍光管の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5648A (en) * 1954-04-20 Martin
US2410931A (en) * 1944-03-30 1946-11-12 Eisler Charles Tube cracking machine
US3215345A (en) * 1963-02-06 1965-11-02 Ferguson Fabrication Co Apparatus for severing glass articles by thermal shock
US3782615A (en) * 1971-12-20 1974-01-01 D Webster Roll cutting and slicing dispenser
DE4131974A1 (de) * 1991-09-25 1993-04-08 Dieter Poeppel Recycling-verfahren zur entsorgung von leuchtstoffroehren
KR100224384B1 (ko) 1997-05-13 1999-10-15 조병연 폐형광등 분리수거 방법 및 장치
DE29710775U1 (de) * 1997-06-19 1998-10-29 Lvg Leuchtstofflampen Verwertu Anlage zur Wiedergewinnung der Bestandteile defekter bzw. verbrauchter Leuchtstoffröhren
KR100919863B1 (ko) 2009-08-12 2009-10-05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드럼 회전방식의 냉각선별유닛을 구비하는 폐형광등 처리장치
KR100931621B1 (ko) 2009-08-12 2009-12-14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자동회전 방식의 수거함 승강기가 구비된 폐형광등 처리장치
JP5861469B2 (ja) * 2012-01-23 2016-02-16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管の清浄切断装置と清浄切断方法
US10220537B2 (en) * 2012-10-17 2019-03-05 Saxum,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screen shield replac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1442A (ja) 1997-01-29 1998-08-11 Akira Nakamura コンベア式廃蛍光管破砕処理保管装置
JP2005230660A (ja) 2004-02-18 2005-09-02 Oomori Kikai Seisakusho:Kk 廃蛍光管の処理方法及び廃蛍光管処理装置
JP2008229499A (ja) 2007-03-20 2008-10-02 Kobelco Eco-Solutions Co Ltd 蛍光灯処理装置及び蛍光灯処理方法
JP2011050928A (ja) 2009-09-04 2011-03-17 Jfe Kankyo Corp 廃蛍光管の処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320B1 (ko) 2013-05-23 2013-07-01 김용출 폐 전구형 led 램프 처리시스템의 자동 분할 절단 장치
CN110937792A (zh) * 2019-12-12 2020-03-31 湖北瑞信养生用品科技有限公司 一种环形容器口切割装置
CN111360044A (zh) * 2020-04-22 2020-07-03 东阳伯格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热敏电阻回收分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22097A1 (en) 2015-05-07
WO2013169016A1 (ko) 2013-11-14
US9552954B2 (en) 201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441B1 (ko) 폐형광등 엔드커팅장치
CN1077555C (zh) 通过氯旁路来处理窑排气的方法及其装置
CN101171323B (zh) 热解轮胎的方法和装置
SI1785248T1 (sl) Postopek in naprava za termično obdelavo uporabljenih pnevmatik
JP2014108375A (ja) 太陽電池素子構成材料の回収方法
IT202000024277A1 (it) Metodo impianto e apparato per il riciclaggio di pannelli fotovoltaici
JP2016150292A (ja) 水銀回収システム及び水銀回収方法
KR101352017B1 (ko) 폐전선의 동선 회수장치 및 방법
CN102627415A (zh) 一种节能环保回转电窑石灰生产线
CN202549774U (zh) 废旧灯管回收装置
CN203607512U (zh) 一种废旧锂离子电池极片热处理装置
CN105435896B (zh) 一种有机玻璃的破碎裂解设备
JP6392139B2 (ja) 水銀回収システム
KR101336974B1 (ko) 폐 직관형 led 램프의 자동 분리 수거 방법
JP2000215811A (ja) 水銀付着ガラスからの水銀回収方法及び装置
CN104291557B (zh) 一种螺旋型节能灯明管自动生产线装置
JP6066193B2 (ja) セメントキルン排ガス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KR101692216B1 (ko) 폐수은 램프의 텅스텐 전극 회수방법 및 이를 위한 회수장치
JP6366187B2 (ja) 水銀回収システム及び水銀回収方法
CN104344701A (zh) 一种焊条红外烘干系统
KR101280320B1 (ko) 폐 전구형 led 램프 처리시스템의 자동 분할 절단 장치
CN106334670A (zh) 一种水果输送机
CN116871289A (zh) 光伏背板去除设备及光伏电池组件的回收系统
KR101285556B1 (ko) 금속재의 예열 장치
CN215590193U (zh) 一种多层热压复合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