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717B1 - 버켓의 기울기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고소작업 차량과, 이 차량에서의 버켓 자동 격납방법 - Google Patents

버켓의 기울기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고소작업 차량과, 이 차량에서의 버켓 자동 격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717B1
KR101182717B1 KR1020120022661A KR20120022661A KR101182717B1 KR 101182717 B1 KR101182717 B1 KR 101182717B1 KR 1020120022661 A KR1020120022661 A KR 1020120022661A KR 20120022661 A KR20120022661 A KR 20120022661A KR 101182717 B1 KR101182717 B1 KR 101182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slope
inclination
tilt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창학
오득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Priority to KR1020120022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의 기울기 조정이 가능하면서도 버켓의 승강 또는 선회 구동이 이루어지는 고소작업 차량에 있어서, 버켓의 승강 또는 선회에 따라서 버켓의 기울기가 자동으로 조정되며, 또한 버켓의 격납 시에 버켓을 안전하게 격납시킬 수 있는 고소작업 차량과, 이러한 차량에서의 버켓 자동 격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은 차체에 설치되어 상하 회동 또는 차체에 대해 선회가 가능한 붐유니트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는 버켓모듈과, 붐유니트의 상하 회동에 따라서 유압신호를 출력하는 피동실린더와, 버켓모듈의 기울기를 조정하게 되는 레벨링실린더와, 차체를 기울일 수 있도록 차체에 마련되는 신축레그 유니트와, 버켓모듈의 기울기와 차체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기울기감지부와, 레벨링실린더를 신축 구동하기 위한 유압제어밸브와, 제1 및 제2기울기감지부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며 버켓모듈 기울기를 조정하게 되는 유압제어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로 구성됨으로써, 버켓모듈의 기울기를 피동실린더에서 출력되는 유압신호만으로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버켓의 실질 기울기를 직접 검출하여 버켓의 기울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며, 특히 차체가 경사를 갖고 버켓모듈이 선회 구동되는 경우에 버켓을 항시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제어가 가능하여 고소작업 안정성을 높이며, 또한 버켓 자동 격납 시에 버켓을 안전하게 차체에 격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버켓의 기울기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고소작업 차량과, 이 차량에서의 버켓 자동 격납방법{High-place working vehicles having a means for auto-leveling a bucket and a method for housing the bucket of the same vehicles}
본 발명은 버켓의 기울기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고소작업 차량과, 이러한 차량에서의 버켓 자동 격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의 기울기 조정이 가능하면서도 붐(boom) 방식으로 버켓의 승강 또는 선회 구동이 이루어지는 고소작업 차량에 있어서, 버켓의 승강 또는 선회에 따라서 버켓의 기울기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또한 버켓의 격납 시에 버켓을 안전하게 격납시킬 수 있는 고소작업 차량과, 이러한 고소작업 차량에서의 버켓 자동 격납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신주, 고가도로 또는 빌딩건축과 같은 높은 장소에서의 작업을 위하여 승강대 또는 버켓을 상,하로 승강시키거나 선회가 가능한 고소작업 차량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소작업 차량은 버켓을 구동하는 방식에 따라서 붐(Boom) 방식, 시저어스(Scissors) 방식, X방식과 같이 분류될 수 있으나, 공통적으로 제어장치가 고소작업 차량의 버켓 내부에 마련되며, 작업자가 버켓 내에 탑승하여 제어장치를 조작함으로써 버켓의 승강 또는 선회가 이루어진다.
한편 고소작업 시에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버켓이 항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버켓에 탑승한 상태에서 작업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버켓이 승강 또는 선회하는 과정에서 버켓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탑승자가 추락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소작업 차량에는 버켓을 수평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평조절장치를 채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 제20-0315893호(등록일자: 2003.05.29)와 등록실용신안 제20-0437282호(등록일자: 2007.11.13)에는 버켓을 자동으로 수평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버켓을 승강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가 작동 중에 발생되는 유압신호에 비례하여 버켓의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버켓의 수평유지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버켓 승강 구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압실린더의 유압만을 근거로 버켓의 기울기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버켓의 정확한 수평유지가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사면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단순히 유압실린더의 유압만으로 버켓의 기울기를 제어하게 되면 버켓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에서 작업 시에 버켓 승강을 위한 유압실린더가 작동하지 않고 선회만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선회 위치에 따라서 버켓이 기울어지게 되지만, 종래기술만으로는 이와 같은 상황에서 버켓을 수평상태로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고소작업 차량은 차량 자체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차체 경사조절장치가 마련되어, 경사면이나 작업 상황에 따라서 고소작업 차량이 수평이 아닌 기울기를 갖는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버켓의 자동 격납과정에서 버켓과 차체가 충돌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소작업 차량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고소작업 차량(10)은 차체(11), 예를 들어 일반 화물차량의 화물적재함에 설치되어 상하 회동 또는 선회가 가능한 붐유니트(12)가 마련되며, 이 붐유니트(12) 상측 선단에는 자동수평조절 기능이 마련된 버켓(13)이 설치되어 버켓(13)의 승강 위치와 무관하게 버켓(13)은 항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버켓(13)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체 전방의 캐빈(14)에 격납되어 위치한다.
또한 고소작업 차량에는 차체(11) 자체의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하여 신축레그 유니트(15)가 마련된다. 신축레그 유니트(15)는 차체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신축레그(15a)(15b)로 구성되며, 각 신축레그(15a)(15b)의 신축 길이에 따라서 고소작업 차량의 기울기 조정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 2의 (a)(b)(c)에서 도시하고 것과 같이, 이와 같은 종래의 고소작업 차량은 차체(11)를 기울인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진 후에 버켓(13)을 다시 차체에 격납시키게 되면, 자동수평조절 기능을 갖는 버켓(13)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경사를 갖는 차체에 격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버켓(13)이 캐빈(14) 상단과 충돌하여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이 경사 조건에서 버켓을 승강 또는 선회하여 고소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고소작업 차량에 있어서 버켓의 실질적인 기울기를 검출하고 기설정된 기울기로 자동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고소작업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버켓의 기울기 자동조절 과정에서 오동작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고소작업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은 버켓의 기울기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유압회로에 있어서, 유압회로를 구동하기 위하여 별도의 메인유압 사용을 최소화하여 유압펌프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고소작업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은 차량이 경사 조건에서 고소작업이 이루어진 후에 버켓의 자동 격납 시에 버켓과 차체 사이의 간섭이나 충돌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버켓의 기울기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고소작업 차량과, 이 차량에서의 버켓 자동 격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은 차체에 기립되어 설치되며, 유압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지는 기복실린더에 의해 상하 회동 또는 차체에 대해 선회가 가능한 붐유니트와; 상기 붐유니트 상측 선단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버켓을 갖는 버켓모듈과; 상기 붐유니트의 상하 회동에 의해 신축 구동되어 유압신호를 출력하는 피동실린더와; 상기 붐유니트와 버켓모듈 사이에 마련되어 유압에 의해 신축 구동되어 상기 버켓모듈의 기울기를 조정하게 되는 레벨링실린더와; 상기 차체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면에 대해 차체를 기울일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신축레그 유니트와; 상기 버켓모듈에 설치되어 버켓의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1기울기감지부와; 상기 차체에 설치되어 차체의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2기울기감지부와; 상기 피동실린더에서 출력된 유압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레벨링실린더를 신축 구동하기 위한 제어유압을 출력하게 되는 유압제어밸브와; 상기 제1기울기감지부와 상기 제2기울기감지부로부터 전달된 기울기 검출 신호를 수신하며, 버켓의 검출 기울기와 설정된 기울기 값을 비교 판정하여 상기 버켓모듈이 설정 기울기 값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유압제어밸브에서 출력되는 제어유압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유압제어밸브를 제어하게 되는 제어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기울기감지부는 각각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1기울기센서와; 상기 제1기울기센서의 검출방향과 반대방향의 대칭된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2기울기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기울기감지부는 각각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1기울기센서와; 상기 제1기울기센서의 검출방향과 반대방향의 대칭된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2기울기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기울기센서와 상기 제2기울기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비교 판정하여 제1 및 제2기울기감지부 각각의 오동작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버켓의 기울기 값을 설정할 수 있는 기울기 설정부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압제어밸브는 4포트 3위치 가변식 전자비례제어밸브이되, 중립 위치에서 압유포트(P)는 차단되고 리턴포트(T)와 두 접속포트(A)(B)는 서로 연통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압제어밸브는 압유포트(P)와 연결되는 메인 유압에는 어큐뮬레이터가 추가로 연결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압제어밸브의 압유포트(P)에는 버켓에 마련된 비상스위치에 의해 구동되어 유압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안전밸브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에서의 버켓 자동 격납방법은, 버켓모듈의 격납수행 신호에 따라서 차체에 마련된 제1기울기감지부와, 버켓모듈에 마련된 제2기울기감지부를 이용하여 차체의 기울기와 버켓모듈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제1단계와; 차체의 검출 기울기와 버켓모듈의 검출 기울기를 비교하여 차체 검출 기울기와 일치하도록 버켓모듈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제2단계와; 차체 기울기와 나란하게 위치한 버켓모듈을 차체의 격납위치로 이동시키는 제3단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기울기감지부는 각각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1기울기센서와; 상기 제1기울기센서의 검출방향과 반대방향의 대칭된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2기울기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제1기울기센서와 상기 제2기울기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비교 판정하여 제1 및 제2기울기감지부 각각의 오동작을 판정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은 차체에 설치되어 상하 회동 또는 차체에 대해 선회가 가능한 붐유니트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는 버켓모듈과, 붐유니트의 상하 회동에 따라서 유압신호를 출력하는 피동실린더와, 버켓모듈의 기울기를 조정하게 되는 레벨링실린더와, 차체를 기울일 수 있도록 차체에 마련되는 신축레그 유니트와, 버켓모듈의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1기울기감지부와, 차체의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2기울기감지부와, 레벨링실린더를 신축 구동하기 위한 제어유압을 출력하게 되는 유압제어밸브와, 제1 및 제2기울기감지부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며 버켓모듈 기울기를 조정하게 되는 유압제어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로 구성됨으로써, 버켓모듈의 기울기를 피동실린더에서 출력되는 유압신호만으로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버켓의 실질 기울기를 직접 검출하여 버켓의 기울기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고소작업 시의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차체가 경사를 갖고 버켓모듈이 선회 구동되는 경우에 버켓을 항시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제어가 가능하여 고소작업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은 버켓의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기울기감지부를 두 개의 기울기센서로 구성하여 대칭되는 두 개의 독립된 검출신호를 근거로 버켓의 기울기를 제어하게 되므로, 기울기감지부의 고장이나 오동작에 의해 버켓 기울기 제어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여 고소작업 중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은 버켓의 기울기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유압회로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가 구비됨으로써 유압회로를 구동하기 위하여 항시 별도의 메인유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유압펌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은 버켓의 기울기를 자동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 유압회로에 작업자에 의해 직접 버켓 자동 기울기제어를 중단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버켓 기울기 제어가 오동작하여 발생될 수 있는 불측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과, 이 차량에서의 버켓 자동 격납방법은 차체의 기울기를 검출하고 자동 격납 시에 버켓의 기울기가 차체의 기울기와 일치하도록 제어하여 자동 격납을 수행하게 되므로, 경사를 갖는 차체에 대해 버켓을 자동 격납하는 과정에서 차체와 버켓 사이의 간섭이나 충돌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소작업 차량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의 (a)(b)(c)는 종래의 고소작업 차량의 작동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에 설치되는 붐유니트와 버켓모듈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의 버켓 기울기 제어에 있어서, 단순 비례제어에 의한 신축붐각도와 버켓기울기의 관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의 버켓 기울기 제어에 있어서, 두 개의 기울기센서(S1)(S2)를 이용한 기울기감지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바람직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의 버켓 기울기 자동 제어를 위한 제어회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의 버켓 기울기 자동 제어를 위한 유압회로의 구성도,
도 9의 (a)(b)(c)(d)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의 버켓 자동 수평조절방법과 버켓의 격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의 버켓 자동 격납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고소작업 차량은 차체(101)에 설치되어 기복실린더(114)에 의해 상하 회동 또는 차체에 대해 선회가 가능한 붐유니트(110)와, 이 붐유니트(110)의 상측 선단에 연결되는 버켓모듈(120)과, 붐유니트(110)의 상하 회동에 의해 신축 구동되는 피동실린더(130)와, 유압에 의해 신축 구동되어 버켓모듈(12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레벨링실린더(140)와, 차체(101)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면에 대해 차체(101)를 기울일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신축레그 유니트(150)와, 버켓모듈(120)에 설치되어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1기울기감지부(160)와, 차체에 설치되어 차체의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2기울기감지부(170)를 포함한다.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붐유니트(110)는 차체에 기립 설치되는 스윙포스트(111)와, 이 스윙포스트(111)의 선단에 경사를 가지며 고정 설치되는 붐지지대(112)와, 이 붐지지대(112)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신축이 가능한 신축붐(1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붐지지대(112)와 신축붐(113) 사이에는 유압에 의해 신축 구동이 이루어지는 기복실린더(114)가 설치되며, 기복실린더(114)의 신축 운동에 의해 신축붐(113)은 붐지지대(112)에 대해 상하 회전이 이루어져 임의 각도로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다.
스윙포스트(111)는 차체에 고정 설치되어 전체 구조물을 견고히 지지하게 되며, 또는 별도의 회전테이블이 마련되어 수직축방향으로 차체에 대해 360°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버켓의 위치 선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윙포스트(111)의 360°회전 조작 또는 기복실린더(114)의 조작은 주지의 유압장치와, 이 유압장치를 구동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조작부가 버켓 내에 마련되어 버켓 탑승자에 의해 직접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조작이 이루어지는 조작부와는 별도로 자동화된 구동을 위하여 붐유니트(110)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어모듈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다.
신축붐(113)은 두 개 이상의 붐부재가 다단계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단계적으로 인출되어 전체 신축붐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버켓모듈(120)은 붐유니트(110)의 상측 선단에 연결되며,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버켓(121)이 마련된다.
도 4에서 예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버켓모듈(120)은 신축붐(113)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라켓(122)과, 이 브라켓(122)의 상단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버켓(1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버켓(121) 내에는 버켓의 자동기울기 조절기능을 작업자가 강제 중단하기 위한 비상스위치(22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 비상스위치(221)에 대한 설명은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버켓모듈(120)에는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1기울기감지부(160)가 마련된다.
도 3에서 제1기울기감지부(160)는 버켓(121)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서 제1기울기감지부(160)는 브라켓(122)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버켓(121)의 기울기를 직접 검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1기울기감지부(160)는 버켓(121) 또는 브라켓(122) 어디에 설치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피동실린더(130)는 붐유니트(110)의 상하 회동에 의해 신축 구동되어 유압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에서 피동실린더(130)는 붐지지대(112)와 신축붐(113) 사이에 설치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기복실린더(114)에 의해 신축붐(113)이 상하 회전이 이루어지면 이와 연동되어 피동실린더(130)의 신축 운동이 이루어지면서 신축 길이의 변화량에 비례하여 유압신호를 출력한다.
피동실린더(130)에서 출력되는 유압신호는 레벨링실린더(140)를 구동하기 위한 기본 제어유압으로 작용되어 버켓모듈(120)의 자동 기울기 조절이 이루어진다.
레벨링실린더(140)는 붐유니트(110)와 버켓모듈(120) 사이에 마련되어 유압에 의해 신축 구동이 이루어진다.
도 4를 참고하면, 레벨링실린더(140)는 신축붐(113)의 상측 선단과 브라켓(122) 사이에 연결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레벨링실린더(140)의 신축 운동은 기본적으로 피동실린더(130)의 신축 운동과는 반대로 이루어짐으로써 버켓(121)의 승강 운동과는 무관하게 버켓(121)은 항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복실린더(114)가 신장 구동되는 경우에 신축붐(113)은 상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며(버켓이 상승), 이에 따라서 피동실린더(130) 역시도 신장되면서 신장 길이에 비례하는 유압을 발생시키며, 피동실린더(130)에서 출력된 유압 크기만큼 레벨링실린더(140)가 수축되어 버켓(121)은 상승하더라도 레벨링실린더(140)가 수축되면서 버켓(121)은 항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신축붐의 각도 변화에 따라서 피동실린더(130)에서 발생된 압력신호만을 단순히 레벨링실린더(140)에 인가하여 버켓(121)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경우(이하, "단순비례제어"로도 약칭함)에는 버켓(121)이 안정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가 없다.
이는 피동실린더(130)의 설치 위치(붐지지대와 신축붐)가 기복실린더의 설치 위치와 다르므로, 기복실린더의 구동에 따른 신축붐의 기울기 변화에 정확히 비례하여 피동실린더의 신축 운동이 발생될 수 없으며, 또한 신축붐이 길게 신장되는 경우에 신축붐의 처짐이 발생될 수 있지만 신축붐의 처짐에 의한 버켓의 기울어짐은 피동실린더의 유압신호만으로는 제어가 이루어질 수 없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의 버켓 기울기 제어에 있어서, 단순비례제어에 의한 신축붐각도와 버켓기울기의 관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앞서 설명한 단순비례제어에 의해 버켓기울기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신축붐 각도 변화에 대해 버켓의 기울기는 대략 수평 상태를 갖지만 정확히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약간의 기울어짐이 발생될 수가 있으며, 이는 신축붐의 각도가 크거나 신축붐이 신장되는 경우에 버켓의 기울기는 더욱 크게 발생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버켓의 기울기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도록 버켓의 기울기를 직접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제1기울기감지부(160)가 마련됨을 주요 특징적인 구성 중의 하나로 하는 것이다.
제1기울기감지부(160)는 버켓모듈(120)에 설치되어 버켓모듈의 승강에 따라서 발생되는 버켓모듈(120)의 기울기 변화를 직접 검출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제1기울기감지부는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1기울기센서와; 이 제1기울기센서의 검출방향과 반대방향의 대칭된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2기울기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기울기센서와 제2기울기센서는 동일한 두 개의 센서에 제공되며, 다만 검출 기울기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버켓모듈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두 개의 센서로부터 검출 기울기의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검출신호를 사용함으로써 기울기센서 자체의 고장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기울기센서만으로 버켓의 기울기를 제어하는 경우에 기울기센서가 오동작하거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직접적으로 파악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또한 오동작하거나 고장난 기울기센서의 검출신호만으로 버켓의 기울기를 자동 제어하는 경우에 오히려 버켓이 기울면서 사고가 발생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1기울기감지부가 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지 여부를 판정한 이후에 검출신호를 근거로 버켓의 기울기를 자동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시적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의 버켓 기울기 제어에 있어서, 두 개의 기울기센서를 이용한 기울기감지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바람직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버켓의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1기울기감지부와, 차체의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2기울기감지부는 설치 위치만이 상이할 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면서 동일하게 기능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6에서 제1기울기감지부의 구성요소인 제1기울기센서의 도면부호 S1과 제2기울기센서의 도면부호 S2는 제1기울기감지부만을 지칭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차체의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2기울기감지부의 제3기울기센서와 제4기울기센서와도 동일하게 대응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부호 S1은 제1기울기센서 뿐만 아니라 제3기울기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도면부호 S2는 제2기울기센서 뿐만 아니라 제4기울기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제1기울기센서(S1)와 제2기울기센서(S2)는 버켓의 기울기에 따라서 해당 기울기에 비례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되, 서로 대칭되게 반대 방향의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1기울기감지부가 정상 동작인 경우(a)에는 제1기울기센서(S1)와 제2기울기센서(S2)의 검출신호의 차이는 허용 오차값(S0) 이하가 되며, 가장 이상적인 경우에 제1기울기센서(S1)와 제2기울기센서(S2)의 검출신호의 차이는 '0'에 근접할 것이다.
반면에, 제1기울기감지부가 고장(또는 오동작)인 경우(b)에는 제1기울기센서(S1)와 제2기울기센서(S2)의 검출신호의 차이는 허용 오차값(S0) 이상이 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버켓의 자동 제어를 중단하거나 경고신호를 출력하여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기울기감지부의 정상 동작 여부의 판정은 기울기감지부 자체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다음에서 다시 설명되겠으나 제1기울기센서(S1)와 제2기울기센서(S2)의 검출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제어모듈에서 판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어모듈은 기울기감지부가 오동작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버켓의 자동 제어를 중단하거나 별도로 마련된 경고수단(경고등 또는 경고부저)을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가 있다.
도 6에서 각 그래프에서 수평축은 신축붐의 각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예를 들어 신축붐의 각도에 대해 제1기울기센서(S1) 또는 제2기울기센서(S2)가 변화 없이'0'또는 항수(constant)만을 출력하는 경우에도 고장으로 판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고려하기 위하여 신축붐의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는 별도의 기울기센서가 신축붐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고소작업 차량의 차체(101)에는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면에 대해 차체를 기울일 수 있도록 신축레그 유니트(150)가 설치된다.
신축레그 유니트(150)는 차체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신축레그(151)(152)로 구성되며, 각 신축레그(151)(152)의 신축 길이에 따라서 고소작업 차량의 기울기 조정이 이루어진다.
제2기울기감지부(170)는 차체에 설치되어 차체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제1기울기감지부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제2기울기감지부(170)는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3기울기센서와; 이 제3기울기센서의 검출방향과 반대방향의 대칭된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4기울기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3기울기센서와 제4기울기센서는 동일한 두 개의 센서에 제공되며, 다만 검출 기울기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차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두 개의 센서로부터 검출 기울기의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검출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차체의 기울기를 감지함에 있어서 기울기센서 자체의 고장 여부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된 제2기울기감지부(170)는 차체가 기울기를 가지며 고소작업이 이루어진 후에 버켓을 다시 차체에 자동 격납시키는 과정에서 버켓과 차체(예를 들어, 캐빈 상단)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버켓이 안전하게 차체에 격납이 가능하게 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다음의 작동예시에서 구체적으로 다시 설명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의 버켓 기울기 자동 제어를 위한 제어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은 피동실린더에서 출력된 유압신호가 입력되고 레벨링실린더를 신축 구동하기 위한 제어유압을 출력하게 되는 유압제어밸브(200)와, 제1 및 제2기울기감지부(160)(17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판정하여 유압제어밸브(200)를 제어하게 되는 제어모듈(300)을 포함한다.
유압제어밸브(200)는 피동실린더에서 출력된 유압이 입력되며, 레벨링실린더를 신축 구동하기 위한 제어유압을 출력한다.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단순비례제어에서 유압제어밸브는 피동실린더에서 출력된 유압신호를 레벨링실린더에 단순 비례적으로 인가하여 레벨링실린더를 구동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버켓의 기울기를 검출하여 버켓의 기울기를 반영하여 레벨링실린더에 인가되는 제어유압에 대한 보정을 실시한다.
유압제어밸브(200)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8에서 다시 설명될 것이다.
제어모듈(300)은 제1 및 제2기울기감지부(160)(17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고 검출된 신호를 판정하며, 버켓(모듈)이 설정 기울기 값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유압제어밸브(200)를 조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300)은 제1기울기감지부(160)로부터 전달된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버켓의 기울기가 설정된 기울기(예를 들어, 수평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유압제어밸브(200)를 조정하며, 작업이 완료된 후에 외부에서 입력된 버켓모듈 격납수행 신호에 따라서 버켓을 자체에 자동 격납하는 경우에 제2기울기감지부(170)로부터 전달된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차체의 기울기를 판정하고 버켓을 차체 기울기와 일치하도록 유압제어밸브(200)를 조정한다.
도 7에서 예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제어모듈(300)은 제1기울기감지부(160)로부터 전달된 검출신호를 수신하고 비교 연산 처리하여 유압제어밸브(20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산출하는 제어부(311)를 포함하며, 제어부(311)의 출력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주지의 구동처리부(312)와 유압제어밸브(200)를 포함한 유압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주지의 밸브 콘트롤러(313)가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유압제어밸브(200)를 포함한 버켓의 기울기 제어를 위한 유압회로를 구동하기 위하여 별도의 유압원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어부(311)는 메인유압을 얻기 위하여 유압원(유압모터)의 구동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1)는 제1기울기감지부(160)로부터 전달된 검출 신호로부터 버켓의 기울기를 판단하고 버켓이 설정된 기울기 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정값을 산출한다.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제1기울기감지부(160)는 제1기울기센서(161)와 제2기울기센서(162)로 구성되며, 두 기울기센서의 값으로부터 제어부(311)는 기울기센서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정한 후에 기울기센서의 검출값을 이용하여 보정값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버켓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어부(311)는 제1기울기센서(161)와 제2기울기센서(162)의 검출값의 차이가 허용 오차값 이하인 경우에 기울기센서가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판정하며, 이후 기울기센서의 검출값으로부터 버켓의 기울기와 설정된 기울기를 비교하여 버켓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정값을 산출하고 유압제어밸브(200)에 보정된 값으로 제어유압이 발생되도록 유압제어밸브(200)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311)는 제1기울기센서(161)와 제2기울기센서(162)의 검출값의 차이가 허용 오차값 이상으로 판정되는 경우에 버켓의 자동 기울기제어를 중단하고 별도의 경고수단을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버켓은 수평상태가 아닌 임의 기울기로 설정되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부(311)는 설정된 기울기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주지의 메모리장치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외부에서 버켓의 기울기 값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기울기 설정부(310)가 추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울기 설정부(310)는 주지의 키패드과 같은 입력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1)는 제2기울기감지부(170)로부터 차체 기울기에 대한 검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1)는 별도로 마련된 조작부를 통해 버컷모듈의 격납수행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311)는 붐유니트(110)를 접어서 버켓(121)을 차체의 격납위치(예를 들어, 캐빈 상단)에 위치시키게 되며, 이때 제어부(311)는 버켓(121) 기울기를 차체 기울기와 일치하도록 버켓(121)의 기울기를 제어하여 버켓(121)이 차체에 격납되는 과정에서 차체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작업자의 수조작에 의해 버켓모듈을 차체에 격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제어부(311)는 제2기울기감지부(170)로부터 차체 기울기를 판단하고, 버켓 기울기와 차체 기울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버켓이 차체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위치에서는 붐유니트(110)의 구동을 중단시켜 버켓과 차체와의 간섭이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제1기울기감지부의 실시예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제2기울기감지부(170)는 제3기울기센서(171)와 제4기울기센서(172)로 구성되어, 두 기울기센서의 값으로부터 제어부(311)는 기울기센서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제어부(311)는 제2기울기감지부(170)가 오동작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버켓의 자동 제어를 중단하거나 별도로 마련된 경고수단(경고등 또는 경고부저)을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하여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의 버켓 기울기 자동 제어를 위한 유압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유압제어밸브(200)는 4포트 3위치 가변식 전자비례제어밸브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중립 위치에서 압유포트(P)는 차단되고 리턴포트(T)와 두 접속포트(A)(B)는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유압제어밸브(200)는 중립 위치에서 압유포트(P)는 차단되고 리턴포트(T)와 두 접속포트(A)(B)는 서로 연통된 상태이므로, 신축 운동에 의해 피동실린더(130)에서 발생된 유압은 레벨링실린더(140)에 인가되어 레벨링실린더(140)의 신축이 이루어져 버켓의 기울기 조정이 이루어진다(단순비례제어).
도면부호 231과 232는 주지의 카운터 밸런스밸브로써 피동실린더(130)와 레벨링실린더(140)의 작동과정에서 귀환유로의 유량에 관계없이 일정한 배압이 작용되도록 하여 피스톤의 자유낙하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유압제어밸브(200)는 스풀을 구동하기 위한 가변식 솔레노이드(201)가 마련되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해 가변식 솔레노이드(201)가 구동되어 각 포트의 유로 변환 조작이 이루어진다.
도면부호 202는 유압제어밸브(200)의 유로 변환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매뉴얼레버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기울기감지부로부터 전달된 검출신호를 판정하여 기설정된 기울기와 비교하며, 또한 기설정된 기울기를 유지하도록 보정량을 산출하고 이러한 보정량에 따라서 가변식 솔레노이드(201)를 구동하여 유압제어밸브(200)의 포트 유로 변환을 수행하여 레벨링실린더(140)로 입력되는 제어유압을 제어하여 버켓이 항시 기설정된 기울기를 갖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유압제어밸브(200)는 압유포트(P)와 연결되는 메인 유압 라인에 어큐뮬레이터(210)가 추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어큐뮬레이터(210)는 메인유압(241)과는 별도로 마련됨으로써 반응속도를 보상할 수 있으며, 특히 버켓의 자동 기울기제어를 위하여 항시 메인유압(241)을 유지할 필요 없이 어큐뮬레이터(210)에 의해 일정시간(어큐뮬레이터의 용량에 비례하여) 동안 구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메인유압(241)을 저압상태로 유지하고 선택적으로 메인유압(241)을 유지하면 되므로 유압펌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메인유압(241) 라인에는 역방향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주지의 체크밸브(21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어큐뮬레이터(210)는 메인압력이 없더라도 버켓 자동 기울기제어를 위한 유압회로의 전체 유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어큐뮬레이터(210)에 의해 압유포트(P)에 유압 공급이 이루어진 후에만 메인유압을 통해 어큐뮬레이터(210)를 축압시킴으로써 항시 메인유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유압펌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유압제어밸브(200)의 압유포트(P)에는 버켓(121)에 마련된 비상스위치(221)(도 4참고)에 의해 구동되어 유압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안전밸브(220)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마련된 안전밸브(220)는 탑승자가 버켓에 탑승한 상태에서 버켓의 기울기가 비정상으로 기우는 경우에 버켓 내에 마련된 비상스위치를 조작하여 압유포트(P)에 공급되는 유압을 차단함으로써 버켓의 자동 기울기제어를 비상 정지시킬 수가 있다.
도 9의 (a)(b)(c)(d)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의 버켓 자동 수평조절방법과 버켓의 격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의 버켓 자동 격납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소작업 차량의 버켓의 자동 수평조절방법과 자동격납 방법을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의 (a)(b)를 참고하면, 신축레그 유니트(150)에 의해 차체(101)는 지면에 대해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상태에서 버켓(121)은 붐유니트(110)에 의해 상승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과정에서 제1기울기감지부(160)에 의해 버켓(121)의 기울기 변화에 대한 검출이 이루어지고 제어모듈은 버켓(121)이 일정한 기울기(예를 들어, 수평상태)를 갖도록 유압제어밸브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버켓(121)이 상승한 상태에서 다시 선회(즉 기복실린더가 신축 변화가 발생되지 않는 상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버켓(121)의 기울기 변화를 검출하여 버켓(121)이 일정한 기울기(즉, 수평상태)를 갖도록 유압제어밸브를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9의 (c)(d)는 고소작업 후에 버켓의 자동 격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차량의 버켓 자동격납 방법은, 버켓모듈의 격납수행 신호에 따라서 차체에 마련된 제1기울기감지부와, 버켓모듈에 마련된 제2기울기감지부를 이용하여 차체의 기울기와 버켓모듈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제1단계(S110)와; 차체의 검출 기울기와 버켓모듈의 검출 기울기를 비교하여 차체 검출 기울기와 일치하도록 버켓모듈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제2단계(S120)와; 차체 기울기와 나란하게 위치한 버켓모듈을 차체의 격납위치로 이동시키는 제3단계(S1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9의 (c)(d)와 도 10을 참고하면, 제1단계(S110)에서 버켓(121) 격납수행 신호가 제어모듈에 입력되면, 제어모듈은 제1기울기감지부와 함께 제2기울기감지부를 통해 차체 기울기를 검출하는 과정(S111)과, 버켓 기울기를 검출하는 과정(S112)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제1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기울기감지부는 각각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1기울기센서와; 상기 제1기울기센서의 검출방향과 반대방향의 대칭된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2기울기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제1기울기센서와 상기 제2기울기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비교 판정하여 제1 및 제2기울기감지부 각각의 오동작을 판정하는 단계(S113)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2단계(S120)에서 제어모듈은 검출된 차체 기울기와 검출된 버켓 기울기를 비교하는 단계(S121)와, 버켓 기울기를 차체 기울기와 일치하도록 버켓(121) 기울기를 조정하는 단계(S122)로 이루어진다.
제3단계(S130)에서 제어모듈은 차체 기울기와 나란하게 조정된 버켓(121)을 차체의 격납위치(바람직하게는 캐빈의 상단)에 격납시키도록 붐유니트(110)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차량의 버켓 자동 격납방법은 차체가 수평 상태가 아닌 기울기를 갖는 상태에서 버켓을 차체에 자동 격납 제어하더라도 버켓과 차체가 간섭하거나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1 : 차체 110 : 붐유니트
111 : 스윙포스트 112 : 붐지지대
113 : 신축붐 114 : 기복실린더
120 : 버켓모듈 121 : 버켓
130 : 피동실린더 140 : 레벨링실린더
150 : 신축레그 유니트 160 : 제1기울기감지부
161 : 제1기울기센서 162 : 제2기울기센서
170 : 제2기울기감지부 171 : 제3기울기센서
172 : 제4기울기센서 200 : 유압제어밸브
210 : 어큐뮬레이터 220 : 안전밸브
221 : 비상스위치 300 : 제어모듈
310 : 기울기 설정부

Claims (9)

  1. 차체에 기립되어 설치되며, 유압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지는 기복실린더에 의해 상하 회동 또는 차체에 대해 선회가 가능한 붐유니트와;
    상기 붐유니트 상측 선단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버켓을 갖는 버켓모듈과;
    상기 붐유니트의 상하 회동에 의해 신축 구동되어 유압신호를 출력하는 피동실린더와;
    상기 붐유니트와 버켓모듈 사이에 마련되어 유압에 의해 신축 구동되어 상기 버켓모듈의 기울기를 조정하게 되는 레벨링실린더와;
    상기 차체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면에 대해 차체를 기울일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신축레그 유니트와;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1기울기센서와, 이 제1기울기센서의 검출방향과 반대방향의 대칭된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도록 제1기울기센서와 반대로 배치되어 한 쌍을 이루는 제2기울기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버켓모듈에 고정 설치되어 버켓의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1기울기감지부와;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3기울기센서와, 이 제3기울기센서의 검출방향과 반대방향의 대칭된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도록 제3기울기센서와 반대로 배치되어 한 쌍을 이루는 제4기울기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차체에 설치되어 차체의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2기울기감지부와;
    상기 피동실린더에서 출력된 유압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레벨링실린더를 신축 구동하기 위한 제어유압을 출력하게 되는 유압제어밸브와;
    상기 제1기울기감지부와 상기 제2기울기감지부로부터 전달된 기울기 검출 신호를 수신하며, 버켓의 검출 기울기와 설정된 기울기 값을 비교 판정하여 상기 버켓모듈이 설정 기울기 값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유압제어밸브에서 출력되는 제어유압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유압제어밸브를 제어하게 되며, 상기 제1 및 제2기울기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서로 비교 판정하여 제1 및 제2기울기센서의 검출신호의 차이가 허용 오차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기울기감지부의 오동작을 판정하게 되며, 상기 제3 및 제4기울기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서로 비교 판정하여 제3 및 제4기울기센서의 검출신호의 차이가 허용 오차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2기울기감지부의 오동작을 판정하게 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고소작업 차량.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버켓의 기울기 값을 설정할 수 있는 기울기 설정부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제어밸브는 4포트 3위치 가변식 전자비례제어밸브이되, 중립 위치에서 압유포트(P)는 차단되고 리턴포트(T)와 두 접속포트(A)(B)는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제어밸브는 압유포트(P)와 연결되는 메인 유압에는 어큐뮬레이터가 추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 차량.
  7. 제1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제어밸브의 압유포트(P)에는 버켓에 마련된 비상스위치에 의해 구동되어 유압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안전밸브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 차량.
  8. 차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또는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붐유니트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는 버켓모듈을 차체에 자동 격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버켓모듈의 격납수행 신호에 따라서 차체에 마련된 제1기울기감지부와, 버켓모듈에 마련된 제2기울기감지부를 이용하여 차체의 기울기와 버켓모듈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제1단계와;
    차체의 검출 기울기와 버켓모듈의 검출 기울기를 비교하여 차체 검출 기울기와 일치하도록 버켓모듈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제2단계와;
    차체 기울기와 나란하게 위치한 버켓모듈을 차체의 격납위치로 이동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제1기울기감지부와 제2기울감지부의 오동작을 각각 판정하는 단계가 추가되되,
    상기 제1기울기감지부는,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1기울기센서와; 이 제1기울기센서의 검출방향과 반대방향의 대칭된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도록 제1기울기센서와 반대로 배치되어 한 쌍을 이루는 제2기울기센서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기울기센서의 검출신호의 차이가 허용 오차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기울기감지부를 오동작으로 판정하게 되며,
    상기 제2기울기감지부는,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제3기울기센서와; 이 제3기울기센서의 검출방향과 반대방향의 대칭된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도록 제3기울기센서와 반대로 배치되어 한 쌍을 이루는 제4기울기센서로 구성되어 제3 및 제4기울기센서의 검출신호의 차이가 허용 오차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2기울기감지부를 오동작으로 판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 차량의 버켓을 자동 격납하기 위한 방법.
  9. 삭제
KR1020120022661A 2012-03-06 2012-03-06 버켓의 기울기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고소작업 차량과, 이 차량에서의 버켓 자동 격납방법 KR101182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661A KR101182717B1 (ko) 2012-03-06 2012-03-06 버켓의 기울기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고소작업 차량과, 이 차량에서의 버켓 자동 격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661A KR101182717B1 (ko) 2012-03-06 2012-03-06 버켓의 기울기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고소작업 차량과, 이 차량에서의 버켓 자동 격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2717B1 true KR101182717B1 (ko) 2012-09-13

Family

ID=4711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661A KR101182717B1 (ko) 2012-03-06 2012-03-06 버켓의 기울기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고소작업 차량과, 이 차량에서의 버켓 자동 격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71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589B1 (ko) * 2012-11-12 2013-07-22 주식회사 진보 다단인출 굴절식 고소작업차량의 탑승함 수평유지시스템
KR101390178B1 (ko) * 2013-08-21 2014-05-02 주식회사 정도산업 탑승함을 구비한 로더
EP2821360A1 (en) * 2013-07-03 2015-01-07 Palvi, S.L. A crane of telescopic segmen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40282B1 (ko) * 2017-09-26 2018-03-20 양창학 고소 작업 차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840283B1 (ko) 2017-10-11 2018-03-20 양창학 고소작업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862082B1 (ko) 2018-02-27 2018-05-29 양창학 안전성이 강화된 고소작업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5609B1 (ko) 2017-09-21 2019-03-08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고소작업차의 버켓 레스트
CN109941934A (zh) * 2019-04-24 2019-06-28 黄建平 一种液压平衡升降的高空作业车
KR20210030186A (ko) * 2019-09-06 2021-03-17 제지앙 딩리 머쉬너리 컴퍼니, 엘티디 제어 밸브, 기복 실린더, 및 이의 작동 방법, 고소 작업대
CN113666254A (zh) * 2021-07-21 2021-11-19 廊坊中建机械有限公司 一种吊运平台安装控制保护装置
CN113998632A (zh) * 2021-09-07 2022-02-01 国网天津市电力公司 一种工作斗连接装置、绝缘斗臂车协同工作斗及绝缘斗臂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534B2 (ja) * 1990-06-13 2000-01-24 ザ グリーソン ワークス 素材切除部分の振り分け方法および装置
JP2001097697A (ja) * 1999-09-29 2001-04-10 Aichi Corp 作業車の故障検出装置
JP2003201096A (ja) * 2002-01-07 2003-07-15 Aichi Corp ブーム作業車
JP2009269719A (ja) * 2008-05-08 2009-11-19 Aichi Corp 高所作業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534B2 (ja) * 1990-06-13 2000-01-24 ザ グリーソン ワークス 素材切除部分の振り分け方法および装置
JP2001097697A (ja) * 1999-09-29 2001-04-10 Aichi Corp 作業車の故障検出装置
JP2003201096A (ja) * 2002-01-07 2003-07-15 Aichi Corp ブーム作業車
JP2009269719A (ja) * 2008-05-08 2009-11-19 Aichi Corp 高所作業車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589B1 (ko) * 2012-11-12 2013-07-22 주식회사 진보 다단인출 굴절식 고소작업차량의 탑승함 수평유지시스템
EP2821360A1 (en) * 2013-07-03 2015-01-07 Palvi, S.L. A crane of telescopic segmen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001401A1 (en) * 2013-07-03 2015-01-08 Palvi, Sl A crane of telescopic segmen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358469A (zh) * 2013-07-03 2016-02-24 帕尔维公司 一种带有伸缩节的起重机及其控制方法
KR101390178B1 (ko) * 2013-08-21 2014-05-02 주식회사 정도산업 탑승함을 구비한 로더
KR101955609B1 (ko) 2017-09-21 2019-03-08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고소작업차의 버켓 레스트
KR101840282B1 (ko) * 2017-09-26 2018-03-20 양창학 고소 작업 차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840283B1 (ko) 2017-10-11 2018-03-20 양창학 고소작업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862082B1 (ko) 2018-02-27 2018-05-29 양창학 안전성이 강화된 고소작업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09941934A (zh) * 2019-04-24 2019-06-28 黄建平 一种液压平衡升降的高空作业车
KR20210030186A (ko) * 2019-09-06 2021-03-17 제지앙 딩리 머쉬너리 컴퍼니, 엘티디 제어 밸브, 기복 실린더, 및 이의 작동 방법, 고소 작업대
KR102255686B1 (ko) * 2019-09-06 2021-05-27 제지앙 딩리 머쉬너리 컴퍼니, 엘티디 제어 밸브, 기복 실린더, 및 이의 작동 방법, 고소 작업대
CN113666254A (zh) * 2021-07-21 2021-11-19 廊坊中建机械有限公司 一种吊运平台安装控制保护装置
CN113998632A (zh) * 2021-09-07 2022-02-01 国网天津市电力公司 一种工作斗连接装置、绝缘斗臂车协同工作斗及绝缘斗臂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717B1 (ko) 버켓의 기울기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고소작업 차량과, 이 차량에서의 버켓 자동 격납방법
KR101840282B1 (ko) 고소 작업 차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229085B1 (ko) 차동 압력식 하중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소작업 차량의 붐 규제장치
JP5543741B2 (ja) クレーンの転倒防止装置
KR101182716B1 (ko) 버켓의 기울기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고소작업 차량
CN113165855A (zh) 起重机和用于监测这种起重机的操作的方法
JP5362255B2 (ja) 高所作業車
WO2023138482A1 (zh) 泵车支腿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泵车的控制方法
JPH0618120U (ja) ブーム作業車の安全装置
KR101921196B1 (ko) 크레인 안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258471B2 (ja) クレーンまたはタワークレーンの過負荷防止装置
JP2005132519A (ja) 高所作業車のレベリング装置
RU2761428C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арийного спуска кабины
JP2593333Y2 (ja) 高所作業車用作業範囲規制装置の安全装置
DK180397B1 (en) Method for operating a crane, crane operating system and crane comprising this
JP4080853B2 (ja) 高所作業車
JP2020007069A (ja) 高所作業車
KR101956215B1 (ko) 크레인의 안전 제어 방법
JP2566631Y2 (ja) 高所作業車のレベリング装置
KR101190054B1 (ko) 출력 조절형 카고 크레인 및 그의 출력 조절 방법
JP2001063993A (ja) 高所作業車のレベリング装置
JP4890842B2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3886093B2 (ja) ブーム作業車の安全装置
JP2605954Y2 (ja) ブームを有する移動式作業機のアウトリガ装置
JP2001233588A (ja) 車載式作業機の旋回停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