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344B1 -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344B1
KR101182344B1 KR1020120044162A KR20120044162A KR101182344B1 KR 101182344 B1 KR101182344 B1 KR 101182344B1 KR 1020120044162 A KR1020120044162 A KR 1020120044162A KR 20120044162 A KR20120044162 A KR 20120044162A KR 101182344 B1 KR101182344 B1 KR 101182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ss
disc
artificial
foot hole
soi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건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죽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죽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죽산
Priority to KR1020120044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8Special structures in or on roofs, e.g. dormer wind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30Apparatus for treating the lawn or grass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린이들이 즐겨 뛰어 놀 수 있도록 공원이나 아파트 단지 내의 놀이터 등에 설치되는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에 관한 것으로, 조합놀이대와 미적조화를 이루면서도 거부감이 없고 친환경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어 어린이들의 정서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은,
지주로 지지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지붕원판(100)과;
상기 지붕원판의 상부에 배수가 가능한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과;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빗물저장소(3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접착되는 인조잔디(5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천연돌림띠(6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형성되는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어린이들이 즐겨 뛰어 놀 수 있도록 공원이나 아파트 단지 내의 놀이터 등에 설치되는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을 인조잔디와 천연잔디로 구성시켜 조합놀이대와 미적 조화를 이루면서도 거부감이 없고 친환경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어린이들의 정서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리적으로 포근함을 제공하며, 인조잔디와 천연잔디를 조합시키게 되므로 탄산가스 흡수와 산소 배출 효과가 뛰어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및 제조방법{Playground equipment of Truss with Turf and Natural Grass and thereof.}
본 발명은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린이들이 즐겨 뛰어 놀 수 있도록 공원이나 아파트 단지 내의 놀이터 등에 설치되는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에 관한 것으로, 조합놀이대와 미적조화를 이루면서도 거부감이 없고 친환경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어 어린이들의 정서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이 직사되는 레포츠공원이나 일반공원 또는 아파트 단지 내에는 어린이들이 즐겁게 뛰어 놀 수 있도록 놀이공간을 제공하는 여러 가지의 유형의 단일 놀이시설물들이 설치된다.
상기한 놀이시설물들은 각각의 놀이 목적이 다르므로 넓은 놀이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오늘날 도시의 좁은 놀이공간 여건 하에서 여러 가지의 놀이시설물들을 각각 설치하는데 있어 그 설치비용이 과도하고 또 넓은 장소의 확보가 어려워 부득이 놀이 목적에 따라 소수의 놀이시설물만을 설치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최근에 들어서는 좁은 놀이공간에서 여러 가지의 놀이를 즐길 수 있 도록 하나 이상의 놀이시설물들, 예컨대 흔들 통나무 건너기, 미로들, 특수놀이시설인 망, 줄타기, 그네 등이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이루어진 조합놀이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상기 놀이시설물의 요소 요소에는 태양광선으로부터 어린이들을 보호해 주기 위한 여러 가지의 유형의 지붕틀, 예컨대 사각뿔 또는 팔각뿔 형태의 지붕틀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합놀이대에 설치되는 지붕틀은 그 재질이 대부분 목재 혹은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어 친환경적인 면에서 이질감을 주고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없음.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들이 즐겨 뛰어 놀 수 있도록 공원이나 아파트 단지 내의 놀이터 등에 설치되는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을 인조잔디와 천연잔디로 구성시켜 조합놀이대와 미적 조화를 이루면서도 거부감이 없고 친환경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어린이들의 정서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수용토양층과 보수연결라인을 설치 구성하여 보수력이 가능하도록 하며, 빗물저장소로 배수가 되면서 갈수기에 빗물저장소에서 보수연결라인을 통해 적정 보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은,
지주로 지지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지붕원판(100)과;
상기 지붕원판의 상부에 배수가 가능한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과;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빗물저장소(3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접착되는 인조잔디(5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천연돌림띠(6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형성되는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및 제조방법은,
어린이들이 즐겨 뛰어 놀 수 있도록 공원이나 아파트 단지 내의 놀이터 등에 설치되는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을 인조잔디와 천연잔디로 구성시켜 조합놀이대와 미적 조화를 이루면서도 거부감이 없고 친환경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어린이들의 정서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리적으로 포근함을 제공하며, 인조잔디와 천연잔디를 조합시키게 되므로 탄산가스 흡수와 산소 배출 효과가 뛰어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마사토와 보수력 유지를 위한 세라소일 및 잔디씨앗을 포함한 잔디씨앗혼합토층을 형성하여 폭우 등에 의한 잔디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수용토양층과 보수연결라인을 설치 구성하여 보수력이 가능하도록 하며, 빗물저장소로 배수가 되면서 갈수기에 빗물저장소에서 보수연결라인을 통해 적정 보수 유지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의 보수연결라인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의 단면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은,
지주로 지지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지붕원판(100)과;
상기 지붕원판의 상부에 배수가 가능한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과;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빗물저장소(3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접착되는 인조잔디(5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천연돌림띠(6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형성되는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은,
지주로 지지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지붕원판(100)과;
상기 지붕원판의 상부에 배수가 가능한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과;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빗물저장소(3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접착되는 인조잔디(5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천연돌림띠(6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보수력을 유지시키도록 보수용토양으로 형성되는 보수용토양층(800)과;
상기 보수용토양층 상면에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과;
상기 잔디뿌리발구멍(210)에 일측이 형성되며, 타측이 빗물저장소에 형성되어 보수용토양층과 잔디씨앗혼합토양층에 보수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수연결라인(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은,
마사토와 보수력 유지를 위한 세라소일 및 잔디씨앗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수용토양층(800)은,
Ø 20 내지 40의 세라소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제조 방법은,
지붕원판(100)의 상부에 배수가 가능한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을 설치 구성하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설치단계(S100)와;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빗물저장소(300)를 설치 구성하는 빗물저장소설치단계(S11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된 천연돌림띠(600)를 설치 구성하는 천연돌림띠설치단계(S12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의 잔디뿌리발구멍 이외의 부위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의 인조잔디(500)를 접착시키는 인조잔디접착단계(S130)와;
상기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을 깔아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을 형성시키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형성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제조 방법은,
배수가 가능한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에 형성된 잔디뿌리발구멍(210)에 보수연결라인(400)의 일측을 설치 구성하고, 타측을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의 끝단에 형성된 홀(250)에 삽입하는 보수연결라인설치단계(S90)와;
지붕원판(100)의 상부에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을 설치 구성하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설치단계(S100)와;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빗물저장소(300)를 설치 구성하는 빗물저장소설치단계(S11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된 천연돌림띠(600)를 설치 구성하는 천연돌림띠설치단계(S12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의 잔디뿌리발구멍 이외의 부위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의 인조잔디(500)를 접착시키는 인조잔디접착단계(S130)와;
상기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보수력을 유지시키도록 보수용토양으로 형성되는 보수용토양을 깔아 보수용토양층(800)을 형성시키는 보수용토양층형성단계(S135)와;
상기 보수용토양층 상부의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을 깔아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을 형성시키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형성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은,
마사토와 보수력 유지를 위한 세라소일 및 잔디씨앗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수용토양층(800)은,
Ø 20 내지 40의 세라소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은,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으로부터 빗물저장소까지 배수를 위한 배수통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지붕원판(100)과;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빗물저장소(300)와;
상기 지붕원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접착되는 인조잔디(500)와;
상기 지붕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천연돌림띠(600)와;
상기 지붕원판의 상면에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형성되는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은,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으로부터 빗물저장소까지 배수를 위한 배수통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지붕원판(100)과;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빗물저장소(300)와;
상기 지붕원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접착되는 인조잔디(500)와;
상기 지붕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천연돌림띠(600)와;
상기 지붕원판의 상면에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보수력을 유지시키도록 보수용토양으로 형성되는 보수용토양층(800)과;
상기 보수용토양층 상면에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과;
상기 잔디뿌리발구멍(210)에 일측이 형성되며, 타측이 배수통로를 따라 빗물저장소에 형성되어 보수용토양층과 잔디씨앗혼합토양층에 보수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수연결라인(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수연결라인(400)은,
코튼(면)으로 형성되어 빗물저장소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은,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 내측에 형성되는 지붕원판(100)과;
상기 지붕원판의 상측에 배수가 가능한 잔디뿌리발구멍(210)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과;
상기 지붕원판의 하단에 일측이 결합되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하단에 타측이 결합되어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빗물저장소(3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접착되는 인조잔디(5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천연돌림띠(6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보수력을 유지시키도록 보수용토양으로 형성되는 보수용토양층(800)과;
상기 보수용토양층 상면에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과;
상기 잔디뿌리발구멍(210)에 일측이 형성되며, 타측이 빗물저장소에 형성되어 보수용토양층과 잔디씨앗혼합토양층에 보수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수연결라인(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및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은,
지주로 지지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지붕원판(100)과;
상기 지붕원판의 상부에 배수가 가능한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과;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빗물저장소(3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접착되는 인조잔디(5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천연돌림띠(6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형성되는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지붕원판(100)은 조합놀이대의 지주로 지지되어 일반적으로 햇빛을 차단하게 되는데, 부식되지 않는 스텐레스 혹은 PE로 구성하게 되며, 반원형 모양의 지붕형태 혹은 사각형태 등으로 형성되게 되지만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은 지붕원판의 상부에 배수가 가능한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빗물저장소(300)를 설치 구성하여 빗물을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인조잔디(500)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어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키게 되며, 길이가 50mm 내외로 다량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때, 천연돌림띠(600)를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Ø 15 내외의 천연 core-braid로 인조잔디 위로 노출되지 않도록 두르게 된다.
상기 천연돌림띠를 형성하는 이유는 토양을 덮을 때 토양이 밑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을 형성하게 되는데, 마사토와 보수력 유지를 위한 세라소일 및 잔디씨앗을 적절히 혼합하여 층을 형성하게 되며, 이를 통해 인조잔디 사이 사이마다 천연잔디가 식생하여 폭우 등에 잔디의 손실을 방지하게 되며, 천연잔디와 인조잔디의 조합으로 보다 친환경적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은,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으로부터 빗물저장소까지 배수를 위한 배수통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지붕원판(100)과;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빗물저장소(300)와;
상기 지붕원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접착되는 인조잔디(500)와;
상기 지붕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천연돌림띠(600)와;
상기 지붕원판의 상면에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형성되는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의 경우에는 지붕원판에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을 형성하는 구성이지만, 또 다른 일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붕원판에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시키며, 잔디뿌리발구멍으로부터 빗물저장소까지 배수를 위한 배수통로(미도시)가 형성하는 구성인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붕원판의 두께는 잔디뿌리발구멍의 깊이와 배수통로의 깊이를 고려하여 충분히 두껍게 형성해야 구멍을 통해 빗물이 지붕틀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의 보수연결라인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수연결라인이 포함된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은,
지주로 지지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지붕원판(100)과;
상기 지붕원판의 상부에 배수가 가능한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과;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빗물저장소(3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접착되는 인조잔디(5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천연돌림띠(6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보수력을 유지시키도록 보수용토양으로 형성되는 보수용토양층(800)과;
상기 보수용토양층 상면에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과;
상기 잔디뿌리발구멍(210)에 일측이 형성되며, 타측이 빗물저장소에 형성되어 보수용토양층과 잔디씨앗혼합토양층에 보수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수연결라인(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보수용토양층(800)은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보수력을 유지시키도록 보수용토양으로 형성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Ø 20 내지 40의 세라소일로 형성하여 보수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보수연결라인(400)은 잔디뿌리발구멍(210)에 일측이 형성되며, 타측이 빗물저장소에 형성되어 보수용토양층과 잔디씨앗혼합토양층에 보수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의 끝단에 형성된 홀(250)에 보수연결라인을 삽입하여 끝부분이 빗물저장소의 저장공간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보수연결라인(400)은 코튼(면)으로 형성되어 빗물저장소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천연 코튼(cotton-braid)으로 형성되어 빗물저장소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보수용토양층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빗물이 보수연결라인을 통해 빗물저장소로 배수되며, 갈수기에는 빗물저장소에서 보수연결라인을 통해 적정 보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은,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으로부터 빗물저장소까지 배수를 위한 배수통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지붕원판(100)과;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빗물저장소(300)와;
상기 지붕원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접착되는 인조잔디(500)와;
상기 지붕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천연돌림띠(600)와;
상기 지붕원판의 상면에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보수력을 유지시키도록 보수용토양으로 형성되는 보수용토양층(800)과;
상기 보수용토양층 상면에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과;
상기 잔디뿌리발구멍(210)에 일측이 형성되며, 타측이 배수통로를 따라 빗물저장소에 형성되어 보수용토양층과 잔디씨앗혼합토양층에 보수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수연결라인(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수연결라인은 잔디뿌리발구멍(210)에 일측이 형성되며, 타측이 배수통로를 따라 빗물저장소까지 형성되어 보수용토양층과 잔디씨앗혼합토양층에 보수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한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의 제조 방법은,
지붕원판(100)의 상부에 배수가 가능한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을 설치 구성하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설치단계(S100)와;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빗물저장소(300)를 설치 구성하는 빗물저장소설치단계(S11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된 천연돌림띠(600)를 설치 구성하는 천연돌림띠설치단계(S12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의 잔디뿌리발구멍 이외의 부위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의 인조잔디(500)를 접착시키는 인조잔디접착단계(S130)와;
상기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을 깔아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을 형성시키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형성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지붕원판(100)의 상부에 배수가 가능한 잔디뿌리발구멍(210)을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하고 있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을 설치 구성(S100)하게 되는데, 지붕원판의 끝부분과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끝부분을 용접 혹은 볼트 결합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이후, 지붕원판의 하측에 빗물저장소(300)를 설치 구성(S110)하는데, 이 또한 용접 혹은 볼트 결합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상기 결합 단계들을 마무리한 후,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된 천연돌림띠(600)를 두르게 되며(S120),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의 잔디뿌리발구멍 이외의 부위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의 인조잔디(500)를 접착(S130)하게 된다.
이후,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을 깔아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을 형성(S140)시켜 마무리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6은 보수연결라인과 보수용토양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즉, 배수가 가능한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에 형성된 잔디뿌리발구멍(210)에 보수연결라인(400)의 일측을 설치 구성하고, 타측을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의 끝단에 형성된 홀(250)에 삽입하는 보수연결라인설치단계(S90)와;
지붕원판(100)의 상부에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을 설치 구성하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설치단계(S100)와;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빗물저장소(300)를 설치 구성하는 빗물저장소설치단계(S11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된 천연돌림띠(600)를 설치 구성하는 천연돌림띠설치단계(S12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의 잔디뿌리발구멍 이외의 부위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의 인조잔디(500)를 접착시키는 인조잔디접착단계(S130)와;
상기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보수력을 유지시키도록 보수용토양으로 형성되는 보수용토양을 깔아 보수용토양층(800)을 형성시키는 보수용토양층형성단계(S135)와;
상기 보수용토양층 상부의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을 깔아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을 형성시키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형성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에 형성된 잔디뿌리발구멍(210)에 보수연결라인(400)의 일측을 설치 구성하고, 타측을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의 끝단에 형성된 홀(250)에 삽입하는 보수연결라인을 설치(S90)하게 된다.
이후, 지붕원판(100)의 상부에 상기 보수연결라인이 형성된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을 설치 구성(S100)하고, 지붕원판의 하측에 빗물저장소(300)를 설치 구성(S110)하게 된다.
이후,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된 천연돌림띠(600)를 설치 구성(S120)하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의 잔디뿌리발구멍 이외의 부위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의 인조잔디(500)를 접착(S130)시키며,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보수력을 유지시키도록 보수용토양으로 형성되는 보수용토양을 깔아 보수용토양층(800)을 형성(S135)하게 되며, 보수용토양층 상부의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을 깔아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을 최종적으로 형성(S140)하여 마무리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의 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은,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 내측에 형성되는 지붕원판(100)과;
상기 지붕원판의 상측에 배수가 가능한 잔디뿌리발구멍(210)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과;
상기 지붕원판의 하단에 일측이 결합되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하단에 타측이 결합되어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빗물저장소(3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접착되는 인조잔디(5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천연돌림띠(6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보수력을 유지시키도록 보수용토양으로 형성되는 보수용토양층(800)과;
상기 보수용토양층 상면에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과;
상기 잔디뿌리발구멍(210)에 일측이 형성되며, 타측이 빗물저장소에 형성되어 보수용토양층과 잔디씨앗혼합토양층에 보수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수연결라인(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지붕원판의 지름보다 크도록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을 형성하고, 지붕원판 외측에 위치시키고, 하측에 빗물저장소(300)를 결합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지붕원판의 하단에 일측이 결합되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하단에 타측이 결합되게 된다.
그러면, 빗물저장소가 단단히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과 지붕원판에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보수연결라인은 코튼(면)으로 형성되어 빗물저장소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도록 하며, 이는 모세혈관 원리를 이용하여 보수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제조방법을 통해 어린이들이 즐겨 뛰어 놀 수 있도록 공원이나 아파트 단지 내의 놀이터 등에 설치되는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을 인조잔디와 천연잔디로 구성시켜 조합놀이대와 미적 조화를 이루면서도 거부감이 없고 친환경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어린이들의 정서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리적으로 포근함을 제공하며, 인조잔디와 천연잔디를 조합시키게 되므로 탄산가스 흡수와 산소 배출 효과가 뛰어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지붕원판
200 :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
300 : 빗물저장소
400 : 보수연결라인
500 : 인조잔디
600 : 천연돌림띠
700 : 잔디씨앗혼합토양층

Claims (15)

  1.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에 있어서,
    지주로 지지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지붕원판(100)과;
    상기 지붕원판의 상부에 배수가 가능한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과;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빗물저장소(3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접착되는 인조잔디(5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천연돌림띠(6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형성되는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2.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에 있어서,
    지주로 지지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지붕원판(100)과;
    상기 지붕원판의 상부에 배수가 가능한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과;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빗물저장소(3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접착되는 인조잔디(5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천연돌림띠(6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보수력을 유지시키도록 보수용토양으로 형성되는 보수용토양층(800)과;
    상기 보수용토양층 상면에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과;
    상기 잔디뿌리발구멍(210)에 일측이 형성되며, 타측이 빗물저장소에 형성되어 보수용토양층과 잔디씨앗혼합토양층에 보수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수연결라인(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은,
    마사토와 보수력 유지를 위한 세라소일 및 잔디씨앗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용토양층(800)은,
    Ø 20 내지 40의 세라소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5.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제조 방법에 있어서,
    지붕원판(100)의 상부에 배수가 가능한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을 설치 구성하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설치단계(S100)와;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빗물저장소(300)를 설치 구성하는 빗물저장소설치단계(S11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된 천연돌림띠(600)를 설치 구성하는 천연돌림띠설치단계(S12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의 잔디뿌리발구멍 이외의 부위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의 인조잔디(500)를 접착시키는 인조잔디접착단계(S130)와;
    상기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을 깔아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을 형성시키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형성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제조 방법.
  6.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배수가 가능한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에 형성된 잔디뿌리발구멍(210)에 보수연결라인(400)의 일측을 설치 구성하고, 타측을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의 끝단에 형성된 홀(250)에 삽입하는 보수연결라인설치단계(S90)와;
    지붕원판(100)의 상부에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을 설치 구성하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설치단계(S100)와;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빗물저장소(300)를 설치 구성하는 빗물저장소설치단계(S11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된 천연돌림띠(600)를 설치 구성하는 천연돌림띠설치단계(S12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의 잔디뿌리발구멍 이외의 부위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의 인조잔디(500)를 접착시키는 인조잔디접착단계(S130)와;
    상기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보수력을 유지시키도록 보수용토양으로 형성되는 보수용토양을 깔아 보수용토양층(800)을 형성시키는 보수용토양층형성단계(S135)와;
    상기 보수용토양층 상부의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을 깔아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을 형성시키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형성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제조 방법.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은,
    마사토와 보수력 유지를 위한 세라소일 및 잔디씨앗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제조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용토양층(800)은,
    Ø 20 내지 40의 세라소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제조 방법.
  9.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으로부터 빗물저장소까지 배수를 위한 배수통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지붕원판(100)과;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빗물저장소(300)와;
    상기 지붕원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접착되는 인조잔디(500)와;
    상기 지붕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천연돌림띠(600)와;
    상기 지붕원판의 상면에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형성되는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10.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에 있어서,
    잔디뿌리발구멍(210)이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으로부터 빗물저장소까지 배수를 위한 배수통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지붕원판(100)과;
    상기 지붕원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빗물저장소(300)와;
    상기 지붕원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접착되는 인조잔디(500)와;
    상기 지붕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천연돌림띠(600)와;
    상기 지붕원판의 상면에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보수력을 유지시키도록 보수용토양으로 형성되는 보수용토양층(800)과;
    상기 보수용토양층 상면에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과;
    상기 잔디뿌리발구멍(210)에 일측이 형성되며, 타측이 배수통로를 따라 빗물저장소에 형성되어 보수용토양층과 잔디씨앗혼합토양층에 보수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수연결라인(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은,
    마사토와 보수력 유지를 위한 세라소일 및 잔디씨앗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용토양층(800)은,
    Ø 20 내지 40의 세라소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13. 제 2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연결라인(400)은,
    코튼(면)으로 형성되어 빗물저장소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14.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에 있어서,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 내측에 형성되는 지붕원판(100)과;
    상기 지붕원판의 상측에 배수가 가능한 잔디뿌리발구멍(210)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200)과;
    상기 지붕원판의 하단에 일측이 결합되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하단에 타측이 결합되어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빗물저장소(3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어 다수 접착되는 인조잔디(5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천연돌림띠(600)와;
    상기 잔디뿌리발구멍용원판의 상면에 형성된 인조잔디 사이 사이에 보수력을 유지시키도록 보수용토양으로 형성되는 보수용토양층(800)과;
    상기 보수용토양층 상면에 잔디씨앗과 토양으로 형성되는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과;
    상기 잔디뿌리발구멍(210)에 일측이 형성되며, 타측이 빗물저장소에 형성되어 보수용토양층과 잔디씨앗혼합토양층에 보수력을 제공하기 위한 보수연결라인(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씨앗혼합토양층(700)은,
    마사토와 보수력 유지를 위한 세라소일 및 잔디씨앗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KR1020120044162A 2012-04-26 2012-04-26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및 제조방법 KR101182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162A KR101182344B1 (ko) 2012-04-26 2012-04-26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162A KR101182344B1 (ko) 2012-04-26 2012-04-26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2344B1 true KR101182344B1 (ko) 2012-09-24

Family

ID=4711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162A KR101182344B1 (ko) 2012-04-26 2012-04-26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3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8069A (zh) * 2021-10-11 2022-01-21 广西大学 一种基于陶粒材料快速排水和棉芯材料向上供水的绿化屋顶结构
KR102448813B1 (ko) * 2022-05-19 2022-09-29 주식회사 에스티 인조잔디가 구비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2312A (ja) 2008-07-23 2010-02-04 Chiba Mariko 誰にでも出来る簡便、確実、軽量、安価な屋上緑化
JP2010142142A (ja) 2008-12-17 2010-07-01 Kotobuki Corp 上屋用緑化屋根パネル
KR100982542B1 (ko) 2009-08-03 2010-09-16 김종호 바이오 식생 에코매트 및 그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2312A (ja) 2008-07-23 2010-02-04 Chiba Mariko 誰にでも出来る簡便、確実、軽量、安価な屋上緑化
JP2010142142A (ja) 2008-12-17 2010-07-01 Kotobuki Corp 上屋用緑化屋根パネル
KR100982542B1 (ko) 2009-08-03 2010-09-16 김종호 바이오 식생 에코매트 및 그 생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8069A (zh) * 2021-10-11 2022-01-21 广西大学 一种基于陶粒材料快速排水和棉芯材料向上供水的绿化屋顶结构
KR102448813B1 (ko) * 2022-05-19 2022-09-29 주식회사 에스티 인조잔디가 구비된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823B1 (ko) 스포츠 및 기타용도를 위한 개선된 표면
JP2762341B2 (ja) 緑化用植栽ユニット棚
KR20130043315A (ko) 폭포, 자연석, 수목, 식물을 활용한 자연축경식 명산 및 그의 조성방법
KR101182344B1 (ko) 천연잔디 및 인공잔디가 포함된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및 제조방법
US20070033871A1 (en) Partially contained, reduced weight plant growth medium
KR100904044B1 (ko) 축소된 자연 재현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701001B1 (ko) 다목적 친환경 식생블록
JP2003319719A (ja) 層建築壁面のメッシュ金網ブロックによる緑化工法。
KR101034445B1 (ko) 인공 조경 시스템
CN203243727U (zh) 一种模拟自然生长环境的人工草坪组合
KR101440944B1 (ko) 식물지붕 파고라
JP2007074970A (ja) 植栽基盤用トレイおよび植栽基盤材
KR101179544B1 (ko) 인공 조경 시스템
CN108887070B (zh) 屋顶绿化施工方法
KR101142352B1 (ko) 벽면 녹화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7306862A (ja) 壁面緑化パネルと、その壁面緑化パネルを用いた壁面の緑化工法
JP2631958B2 (ja) スポーツグラウンド用排水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多孔質層形成ユニット、スポーツグラウンド用排水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パイプユニット並びにスポーツグラウンドの施工方法
CN108103878A (zh) 一种生态铺地构造
JP4927038B2 (ja) 緑化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植え込み構造、並びに緑化工法
JP4543139B2 (ja) 集合住宅等のバルコニーに敷設する立体庭園
KR101844804B1 (ko) 식생 경관석 제조방법
JP7315919B2 (ja) 植栽パネル及び競技場
JPH06153685A (ja) 競技場用芝セットシステム
KR101584938B1 (ko) 옹벽녹화블록
JP3164196U (ja) 立体壁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