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327B1 -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327B1
KR101181327B1 KR1020090027396A KR20090027396A KR101181327B1 KR 101181327 B1 KR101181327 B1 KR 101181327B1 KR 1020090027396 A KR1020090027396 A KR 1020090027396A KR 20090027396 A KR20090027396 A KR 20090027396A KR 101181327 B1 KR101181327 B1 KR 101181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opening
closing means
mo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2556A (ko
Inventor
강태경
변만호
백주현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9/00165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131314A2/ko
Priority to KR1020090027396A priority patent/KR101181327B1/ko
Priority to US12/518,421 priority patent/US8112826B2/en
Priority to EP09734128.3A priority patent/EP2281496A4/en
Priority to CN2009801144248A priority patent/CN102014717B/zh
Publication of KR20090112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47K13/105Toilet seat or toilet cove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동운동하는 개폐수단이 닫히는 경우에 모터의 역기전력을 발생시켜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는, 회동운동하는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동댐퍼를 구동하여 상기 개폐수단을 동작하게 하는 모터 구동부; 상기 모터 구동부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개폐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상기 위치 감지부로부터 상기 개폐수단의 위치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감지신호로부터 상기 개폐수단이 기 설정된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면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 및 상기 전원 차단부가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에, 상기 모터의 역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역기전력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역기전력, 개폐수단, 전동댐퍼, 전원 차단

Description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ning and shutting means using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motor}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동운동하는 개폐수단이 닫히는 경우에 모터의 역기전력을 발생시켜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동운동하는 개폐수단의 일예로, 일반적인 좌변기에 구비되는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에 대하여 도 1을 통하여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온수 세정기가 구비된 좌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 세정기가 구비된 좌변기는 중앙부위에 변기통(10)이 배치되어 있고, 변기통(10)의 후방에는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0)이 변기통(10)을 가로질러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다. 변기통(10)의 상부에는 변좌시트(20)가 있고, 변좌시트(20)에는 변좌커버(40)가 연결되어 있어 용변 후에 변좌시트(20)를 덮을 수 있다.
좌변기의 일측에는 온수 세정기의 운전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키 및 온수 세정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조작 표시부(60)가 배치되며, 좌변기의 후방에는 세정수 저장 및 분사기구, 세정수 가열기구 및 온풍 발생기구를 구성하는 각종 전장품 및 기구품이 장착되는 전장 기구실(50)이 마련되어 있다.
변좌시트(20) 및 변좌커버(40)에는 각각 제1 기어박스(미도시) 및 제2 기억박스(미도시)가 결합되어 변좌시트(20) 및 변좌커버(40)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기어박스를 이용하거나, 이 외에도 스프링이나 반도체 집적회로를 이용하여 변좌시트 및 변좌커버의 개폐동작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용변 후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닫히는 경우에 급격히 하강하여 변기통에 부딪혀 충격음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노약자, 어린이, 임산부 등이 충격음으로 인하여 놀라게 되고, 항상 조용한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서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회동운동하는 개폐수단이 닫히는 경우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더라도 급격히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여 개폐수단이 부딪힐 때 충격음을 완화시키고자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회동운동하는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동댐퍼를 구동하여 상기 개폐수단을 동작하게 하는 모터 구동부; 상기 모터 구동부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개폐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상기 위치 감지부로부터 상기 개폐수단의 위치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감지신호로부터 상기 개폐수단이 기 설정된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면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 및 상기 전원 차단부가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에, 상기 모터의 역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역기전력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수단은 좌변기에 구비되는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덮여있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열려 정지하게 되면, 상기 위치 감지부로부터 정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위치를 초기상태로 인식하는 초기화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초기상태에서 동작한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초기상태에서 동작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상기 모터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차단부가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에, 상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기 설정된 위치는 상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덮여있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열려 정지한 상태에서 40~50°중에서 어느 하나의 각도로 동작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회동운동하는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터 구동부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동댐퍼를 구동하여 상기 개폐수단을 동작하게 하는 제1단계; 위치 감지부가 상기 모터 구동부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개폐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단계; 전원 차단부가 상기 위치 감지부로부터 상기 개폐수단의 위치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감지신호로부터 상기 개폐수단이 기 설정된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면 전원을 차단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전원 차단부가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에, 역기전력 발생부가 상기 모터의 역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수단이 좌변기에 구비되는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인 경우에, 상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덮여있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열려 정지하게 되면, 초기화부가 상기 위치 감지부로부터 정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폐수단의 위치를 초기상태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방법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회동운동하는 개폐수단이 닫히는 경우에 모터의 역기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전원공급이 차단되더라도 개폐수단이 급격히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개폐수단이 좌변기에 구비되는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인 경우에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변기통에 부딪힐 때 충격음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노약자, 어린이, 임산부 등이 충격음으로 인하여 놀라지 않게 하고, 항상 조용한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본 발명은 회동운동하는 개폐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좌변기에 구비되는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도 2 내지 도 5를 통하여 일 실시예로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변좌시트 및 변좌커버의 제어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600)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변좌시트 및 변좌커버 제어장치는, 초기화부(100), 모터 구동부(200), 위치 감지부(300), 전원 차단부(400), 역기전력 발생부(500)를 포함한다.
초기화부(100)는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덮여있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열려 정지하게 되면, 위치 감지부(300)로부터 정지신호를 수신하여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위치를 초기상태로 인식한다.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기 설정된 각도는 90°이상으로 설정하여야만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정지된 상태로 된다.
모터 구동부(200)는 모터(600)의 구동에 의해 전동댐퍼(미도시)를 구동하여 변좌시트(미도시) 또는 변좌커버(미도시)를 동작하게 한다.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변기통에 덮여있는 상태에서 열리게 하는 동작은 릴레이 스위치 S3 및 S4의 OFF 상태에서 상용전원을 받아 모터(600)를 구동함으로써 이루어지고, 변좌시트 또 는 변좌커버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변기통에 닫히게 하는 동작은 릴레이 스위치 S3 및 S4의 ON 상태에서 상용전원을 받아 모터(600)를 구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닫힘 동작 중에는 저항 R1 및 R2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트랜지스터 TR이 동작하여 자석 M1 및 M2를 여자시켜 다이오드 D3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자석 M1 및 M2의 여자로 인하여 릴레이 스위치 S1, S2, S3, S4는 ON 상태로 된다.
위치 감지부(300)는 모터 구동부(200)에 의해 동작하는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위치를 감지한다. 위치 감지부(300)가 위치를 감지하는 방식은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초기상태에서 동작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방법을 이용하는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초기상태에서 동작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모터 구동부(200)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초기상태에서 동작한 시간을 카운트한다.
전원 차단부(400)는 위치 감지부(300)로부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위치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감지신호로부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기 설정된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면 전원을 차단한다. 전원 차단부(400)가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에,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기 설정된 위치는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덮여있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열려 정지한 상태에서 40~50°중에서 어느 하나의 각도로 동작한 위치가 바람직하다.
역기전력 발생부(500)는 전원 차단부(400)가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에, 모터(600)의 역기전력을 발생시킨다.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변기통에 닫히게 하 는 동작 중에 전원이 차단되면, 릴레이 스위치 S1 및 S2의 ON 상태에서 다이오드 D1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고, 모터(600)는 역기전력이 발생하여 발전기로서 동작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변좌시트 및 변좌커버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도 2와 함께 살펴보면, S100 단계 및 S200 단계는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변기통에 덮여있는 상태에서 여는 동작이고, S300 내지 S1000은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변기통에서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닫는 동작이다.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변기통에 덮여있는 상태에서 완전히 열린 상태로 동작한 후, 다시 변기통에 덮는 동작은 아래와 같다.
먼저, 모터 구동부(200)가 모터(600)의 구동에 의해 전동댐퍼를 구동하여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를 동작하게 하여 변기통에서 완전히 열리게 한다(S100).
이후에, 초기화부(100)가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위치를 초기상태로 인식한다(S200).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덮여있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열려 정지하게 되면, 초기화부(100)가 위치 감지부(300)로부터 정지신호를 수신하여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를 초기상태로 인식한다.
이후에, 모터 구동부(200)가 모터(600) 구동에 의해(S300) 전동댐퍼를 구동하여(S400)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를 동작하게 한다(S500).
이후에, 위치 감지부(300)가 모터 구동부(200)에 의해 동작하는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위치를 감지한다(S600).
이후에, 전원 차단부(400)가 위치 감지부(300)로부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위치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감지신호로부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기 설정된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700).
이후에, 전원 차단부(400)가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기 설정된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면 전원을 차단한다(S800). 그러나, 전원 차단부(400)가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기 설정된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위치에 있다고 판단할 때까지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위치를 판단한다.
이후에, 전원 차단부(400)가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에, 역기전력 발생부(500)가 모터(600)의 역기전력을 발생시켜(S900)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중력에 의해 닫힐 때보다는 천천히 닫히게 된다(S1000).
도 4는 본 발명의 변좌시트의 열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시트가 변기통에 덮여있는 상태에서 모터(600) 구동에 의해 전동댐퍼를 구동하여 변좌시트를 열게 되면 변좌시트는 700a, 700b, 700c의 순서로 위치가 변하게 된다.
변좌시트를 완전히 열었을 때, 변좌시트가 수직방향에서 약간 기울어져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되게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직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진 각도를 10°로 설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좌시트의 닫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시트가 완전히 열려있는 상태에서 모터(600) 구동에 의해 전동댐퍼를 구동하여 변좌시트를 닫게 되면 변좌시트는 700c, 700d, 700e의 순서로 위치가 변하게 된다.
변좌시트를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면, 40~50°)로 닫았을 때, 전원이 차단되어 모터(600)는 역기전력이 발생하여 발전기로서 동작하게 된다. 이때, 모터(600)가 변좌시트를 동작시킨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변좌시트를 동작시키게 된다. 변좌시트는 중력에 의해 닫히지만, 변좌시트가 닫히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모터(600)의 역기전력이 발생하여 중력에 의해 닫힐 때보다는 적은 속도로 닫히게 된다. 그러므로, 변좌시트가 변기통에 부딪힐 때의 충격음은 적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노약자, 어린이, 임산부 등이 충격음으로 인하여 놀라지 않게 하고, 항상 조용한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도 4 및 도 5에서 살펴본 변좌시트의 열림 및 닫힘 동작은 변좌커버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고, 변좌시트와 변좌커버가 동시에 열림 및 닫힘 동작을 수행할 때에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온수 세정기가 구비된 좌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변좌시트 및 변좌커버의 제어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변좌시트 및 변좌커버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좌시트의 열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좌시트의 닫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초기화부 200 : 모터 구동부
300 : 위치 감지부 400 : 전원 차단부
500 : 역기전력 발생부 600 : 모터
700a, 700b, 700c, 700d, 700e, 700f : 변좌시트

Claims (8)

  1. 회동운동하는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동댐퍼를 구동하여 상기 개폐수단을 동작하게 하는 모터 구동부;
    상기 모터 구동부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개폐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상기 위치 감지부로부터 상기 개폐수단의 위치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감지신호로부터 상기 개폐수단이 기 설정된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면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 및
    상기 전원 차단부가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에, 상기 모터와 상기 모터 구동부의 연결 관계를 변경하여 상기 모터를 발전기로 동작하게 하여 역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역기전력 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좌변기에 구비되는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덮여있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열려 정지하게 되면, 상기 위치 감지부로부터 정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위치를 초기상태로 인식하는 초기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초기상태에서 동작한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초기상태에서 동작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상기 모터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부가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에, 상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기 설정된 위치는 상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덮여있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열려 정지한 상태에서 40~50°중에서 어느 하나의 각도로 동작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
  7. 회동운동하는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터 구동부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동댐퍼를 구동하여 상기 개폐수단을 동작하게 하는 제1단계;
    위치 감지부가 상기 모터 구동부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개폐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단계;
    전원 차단부가 상기 위치 감지부로부터 상기 개폐수단의 위치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감지신호로부터 상기 개폐수단이 기 설정된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면 전원을 차단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전원 차단부가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에, 역기전력 발생부가 상기 모터의 역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이 좌변기에 구비되는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인 경우에, 상기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가 덮여있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열려 정지하게 되면, 초기화부가 상기 위치 감지부로부터 정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폐수단의 위치를 초기상태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역기 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방법.
KR1020090027396A 2008-04-23 2009-03-31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181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1653 WO2009131314A2 (ko) 2008-04-23 2009-03-31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20090027396A KR101181327B1 (ko) 2008-04-23 2009-03-31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12/518,421 US8112826B2 (en) 2008-04-23 2009-03-3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unit by using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motor
EP09734128.3A EP2281496A4 (en) 2008-04-23 2009-03-31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OPEN / CLOSED MEANS WITH MOTOR PRESENCE
CN2009801144248A CN102014717B (zh) 2008-04-23 2009-03-31 用于使用电动机的反电动势控制开/关单元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753 2008-04-23
KR1020090027396A KR101181327B1 (ko) 2008-04-23 2009-03-31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556A KR20090112556A (ko) 2009-10-28
KR101181327B1 true KR101181327B1 (ko) 2012-09-11

Family

ID=4155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396A KR101181327B1 (ko) 2008-04-23 2009-03-31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3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758B1 (ko) * 2012-12-04 2014-01-07 대림비앤코주식회사 비데 커버 및 시트 개폐 제어 장치
JP6869470B2 (ja) * 2017-05-31 2021-05-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便座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6103A (ja) * 1997-09-09 1999-03-23 Kato Electrical Mach Co Ltd 便座、便蓋の半自動開閉装置
KR100642347B1 (ko) * 2003-05-20 2006-11-03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변기뚜껑개폐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6103A (ja) * 1997-09-09 1999-03-23 Kato Electrical Mach Co Ltd 便座、便蓋の半自動開閉装置
KR100642347B1 (ko) * 2003-05-20 2006-11-03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변기뚜껑개폐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556A (ko)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1496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n/shut means using back electromotive force of motor
JP4037435B2 (ja) 貯蔵庫の開扉装置
JP3946407B2 (ja) 貯蔵庫の開扉装置
US20200284011A1 (en) Kitchen waste disposal system
US20060156460A1 (en) Movement mechanism for moving a closure element for the purposes of sealing a waste outlet opening
KR101181327B1 (ko) 모터의 역기전력을 이용한 개폐수단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10090569A (ja) モータ制御回路およびパワーウィンドウ装置
JP2001190450A (ja) 便座装置及び電気機器
JP2009057038A (ja) 車両用セキュリティ装置及び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KR100751762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함 장착구조
CN208925921U (zh) 一种自动门装置及咖啡机
JP2008274640A (ja) 自動ドア制御システム
JP3926992B2 (ja) 車両用サンルーフの開閉制御装置
KR20100045754A (ko) 위치값 설정을 통한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회동장치 및회동방법
JPH1176105A (ja) 便蓋ユニットおよび便蓋ユニット付き洋式便器
JP2604571Y2 (ja) 便座・便蓋自動開閉装置
JP2555826Y2 (ja) 便座・便蓋自動開閉装置
KR20100045753A (ko) 실시간 위치감지를 통한 변좌시트 또는 변좌커버의 회동속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5533290B2 (ja) 電気ケトル
KR20070051476A (ko) 선 루프 소음방지장치
JP2003220894A (ja) 蓋の動作制御方法
JP2002065512A (ja) 便座・便蓋電動開閉装置
JP6548614B2 (ja) 開閉体制御装置および開閉体制御方法
JP2023113460A (ja) トイレ装置
JP2011052460A (ja) 電動便器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