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056B1 - 용량 가변형 장선기 - Google Patents

용량 가변형 장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056B1
KR101179056B1 KR1020090104547A KR20090104547A KR101179056B1 KR 101179056 B1 KR101179056 B1 KR 101179056B1 KR 1020090104547 A KR1020090104547 A KR 1020090104547A KR 20090104547 A KR20090104547 A KR 20090104547A KR 101179056 B1 KR101179056 B1 KR 101179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rum
joist
ratchet wheel
wire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7784A (ko
Inventor
전용태
Original Assignee
전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용태 filed Critical 전용태
Priority to KR102009010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056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 용량 가변형 장선기는 상부에 후크를 갖는 장선기 고정구; 장선기 고정구의 하측에 연결되고 드럼을 갖는 와이어 권취구; 드럼에 감겨진 와이어 로프; 와이어 권취구의 일측에 배치되어 드럼과 동축 연결되고 드럼이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래칫 휠; 래칫 휠이 배치된 와이어 권취구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이 래칫 휠에 지지되는 래칫; 래칫 휠과 동축 연결되어 래칫 휠 및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 와이어 로프의 자유단 측에 연결되어 와이어 권취구 하측에 배치되고 전선이 물리는 제1 전선 물림구; 와이어 로프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와이어 권취구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2 전선 물림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작업 환경 또는 전선의 무게에 따라 장선기의 용량을 가변시키면서 사용이 가능하며, 와이어 로프가 드럼 상에 엉킴 없이 일률적으로 감길 수 있으므로 인장력의 손실 없이 전선을 팽팽하게 당길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장선기 고정구, 와이어 권취구, 드럼, 와이어 로프, 래칫 휠, 래칫, 핸들, 제1 전선 물림구, 제2 전선 물림구, 와이어 정렬 부재

Description

용량 가변형 장선기{CAPACITY VARIABLE TYPE WIRE GRIP}
본 발명은 장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 환경 또는 전선의 무게에 따라 용량을 가변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는 용량 가변형 장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포설 및 견인시키는 과정에서 케이블을 당겨주는 장치 또는 도구를 장선기라 하는데 이러한 장선기는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사선용 장선기와 천을 이용한 활선용 장선기가 있다.
여기서, 사선용 장선기는 사용 용량별로 0.5톤, 1톤, 1.5톤, 2톤용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사선용 장선기는 구조물에 고정하는 몸체,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드럼을 회전시키며 역회전 되는 것을 방지하는 래칫휠에 연결된 핸들, 일단이 드럼에 고정되어 감겨진 와이어 로프, 와이어 로프의 자유단에 고정된 전선 물림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사선용 장선기를 이용하여 전선을 전신주에 설치할 때, 장선기의 몸체를 전신주 또는 전신주에 고정된 구조물에 고정하고, 전선 물림구에 전선 을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핸들을 왕복 회전시켜서 드럼을 회전시킴에 따라 풀려져 있던 와이어 로프를 드럼에 감으면서 전선 물림구에 물려져 있는 전선을 당겨 팽팽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사선용 장선기는 작업 현장에 용량별로 휴대하여야 하고, 작업 환경 또는 케이블의 무게에 따라 용량별 사선용 장선기를 교체하면서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드럼에 와이어 로프가 감기는 과정에서 드럼에 감기는 와이어 로프가 서로 엉키면서 감겨지게 되므로 전선을 당기는 인장력이 손실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 환경 또는 전선의 무게에 따라 장선기의 용량을 가변시키면서 사용이 가능하고, 와이어 로프가 드럼 상에 일률적으로 감길 수 있도록 한 용량 가변형 장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량 가변형 장선기는 상부에 후크를 갖는 장선기 고정구; 상기 장선기 고정구의 하측에 연결되고 드럼을 갖는 와이어 권취구; 상기 드럼에 감겨진 와이어 로프; 상기 와이어 권취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과 동축 연결되고 상기 드럼이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래칫 휠; 상기 래칫 휠이 배치된 상기 와이어 권취구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래칫 휠에 지지되는 래칫; 상기 래칫 휠과 동축 연결되어 상기 래칫 휠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 상기 와이어 로프의 자유단 측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권취구 하측에 배치되고 전선이 물리는 제1 전선 물림구; 상기 와이어 로프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 권취구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2 전선 물림구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권취구는 상기 드럼, 상기 드럼의 양측 측면에서 상기 드럼을 지지하는 복수의 측면판, 상기 측면판들 사이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판들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2 전선 물림구가 체결되는 와이어 연결체, 상기 와이어 연결체 상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에서 풀리는 와이어 로프를 가이드하는 와이어 로프 가 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선 물림구는 상기 드럼에서 풀린 상기 와이어 로프의 자유단측이 감겨져서 와이어로프 상에 지지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풀리는 길이를 따라 상, 하로 이동되는 로울러, 상기 로울러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로울러의 양측면에서 상기 로울러를 지지하는 로울러 지지체, 상기 로울러 지지체 하단에 좌, 우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권취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의 상측에서 상기 드럼에 감겨지는 와이어가 일률적으로 감겨지도록 가이드하는 와이어 정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정렬 부재는 상기 복수의 측면판 사이에서 상기 측면판들에 체결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과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드럼의 상측에서 상기 드럼의 둘레를 감싸도록 드럼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하측으로 만곡된 가압편을 갖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수축 및 복원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량 가변형 장선기에 의하면, 작업 환경 또는 전선의 무게에 따라 장선기의 용량을 가변시키면서 사용이 가능하며, 와이어 로프가 드럼 상에 엉킴 없이 일률적으로 감길 수 있으므로 인장력의 손실 없이 전선을 팽팽하게 당길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량 가변형 장선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량 가변형 장선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량 가변형 장선기는 도 1과 같이 장선기 고정구(10), 와이어 권취구(20), 와이어 로프(30), 래칫 휠(41), 래칫(42), 핸들(50), 제1 전선 물림구(60), 제2 전선 물림구(70), 와이어 정렬 부재(80)를 포함한다.
장선기 고정구(10)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결합체(11), 하면이 결합체(11)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어 있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후크 지지체(12), 후크 지지체(12)의 상단에 결속되어 있으며 장선기(1)를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후크(13)로 구성된다.
와이어 권취구(20)는 상호 마주하는 복수의 측면판(21, 21'), 양단이 측면 판(21, 21')들 사이의 중앙에서 축결합되고 와이어 로프(30)를 권취하는 드럼(22), 드럼(22)의 하측에 배치되어 측면판(21, 21')들 사이에 결합되는 와이어 연결체(23), 와이어 연결체(23) 상에 양단이 체결되어 드럼(22)에서 풀리는 와이어 로프(30)를 가이드하는 와이어 로프 가이드(24)로 구성된다.
와이어 로프(30)는 드럼(22)에 감기면서 전선(미도시)이 당겨지도록 하며, 일단은 드럼(22)에 고정된다.
래칫 휠(41)은 와이어 권취구(20)의 일측 측면판(21, 21')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드럼(22)을 측면판(21, 21')들에 체결하는 축(미도시)에 결합된다.
래칫(42)은 래칫 휠(41)이 배치되어 있는 측면판(21, 21') 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이 래칫 휠(41)과 치합된다.
여기서 래칫 휠(41)과 래칫(42)은 드럼(22)이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한다.
핸들(50)은 원형의 전방측이 래칫 휠(41)의 일측에서 동축상에 결합되고당기고 누르는 동작시 래칫 휠(41)과 함께 작용하면서 드럼(22)을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시킨다.
제1 전선 물림구(60)는 와이어 로프(30)가 감겨져서 와이어 로프(30)의 풀리고 감기는 길이를 따라 상, 하로 이동되는 로울러(61),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양단이 로울러(61)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로울러 지지체(62), 로울러 지지체(62)의 하단에 좌, 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 결합체(63), 후크 결합체(63)에 결합되고 전선에 물리는 후크(64)로 구성된다.
제2 전선 물림구(70)는 와이어 로프(30)의 자유단에 결속되고 와이어 권취구(20)의 와이어 연결체(23)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착탈가능한 후크로 구성된다.
와이어 정렬 부재(80)는 와이어 권취구(20) 상에 설치되어 드럼(22)의 상측에서 드럼(22)에 감겨지는 와이어 로프(30)가 일률적으로 감겨지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와이어 정렬 부재(80)는 도 2와 같이 와이어 권취구(20)의 복수의 측면판(21, 21')들 사이에서 측면판(21, 21')들에 나사체결되는 고정편(81), 고정편(81)과 일체로 연결되고 드럼(22)의 상측에서 드럼(22)의 둘레를 감싸도록 드럼(22)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하측으로 만곡되어 드럼(22)에 감겨지는 와이어 로프(30)를 가압하는 가압편(82a)을 갖는 가이드 부재(82)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압편(82a)은 수축 및 복원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량 가변형 장선기의 특징 및 이점이 더욱 부각되도록 사용 방법을 중심으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장선기(1)를 이용하여 전신주에 전선을 설치하기 위하여, 먼저 장선기 고정구(10)의 후크(13)를 전신주 또는 전신주에 고정된 구조물에 걸어 장선기(1) 상부를 고정한다.
그리고 작업 환경 또는 전선의 무게에 따라 장선기(1)의 사용 용량을 달리하여 제1 전선 물림구(60) 또는 제2 전선 물림구(70)에 전선을 고정시킨다.
즉, 2톤의 사용 용량이 필요한 경우 도 1과 같이 제1 전선 물림구(60)가 와이어 연결체(23)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2 전선 물림구(70)에 전선을 고정시키며, 1 톤의 사용 용량이 필요한 경우 와이어 연결체(23)에 체결되어 있는 제1 전선 물림구(60)를 도 3과 같이 와이어 연결체(23)에서 분리한 후 제2 전선 물림구(70)를 와이어 로프(30) 상에서 분리하여 제1 전선 물림구(60)에 전선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제1 전선 물림구(60) 또는 제2 전선 물림구(70)에 전선이 고정된 상태에서 핸들(50)을 잡고 당기고 누르는 동작으로 핸들(50)을 왕복 회전시킨다.
이때, 래칫휠(41)이 와이어 로프(30)의 당김 방향으로만 회전되고, 래칫휠(41)과 함께 드럼(22)이 회전되면서 풀려 있던 와이어 로프(30)가 드럼(22)에 감기도록 한다.
와이어 로프(30)가 드럼(22)에 감길 때, 와이어 로프(30)는 드럼(22) 둘레를 감싸고 있는 와이어 정렬 부재(80)의 가압편(82a)에 의해 가압되면서 드럼(22)에 감겨지게 된다.
즉, 드럼(22)에 감기는 와이어 로프(30)를 가압편(82a)이 누르게되므로 드럼(22)의 외주면 둘레 상에서 서로 엇갈리면서 감기지 않고 드럼(22)의 외주면 둘레에 연속하여 평행하게 감겨지면서 정렬된다.
이에 따라, 인장력의 손실 없이 제1 전선 물림구(60) 또는 제2 전선 물림구(70)에 고정된 전선이 장선기 고정구(10)측으로 당겨지게 됨에 따라 전선을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량 가변형 장선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량 가변형 장선기의 와이어 정렬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량 가변형 장선기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장선기 10 : 장선기 고정구
11 : 결합체 12 : 후크 지지체
13 : 후크 20 : 와이어 권취구
21, 21' : 측면판 22 : 드럼
23 : 와이어 연결체 24 : 와이어 로프 가이드
30 : 와이어 로프 41 : 래칫 휠
42 : 래칫 50 : 핸들
60 : 제1 전선 물림구 61 : 로울러
62 : 로울러 지지체 63 : 후크 결합체
64 : 후크 70 : 제2 전선 물림구
80 : 와이어 정렬 부재 81 : 고정편
82 : 가이드 부재 82a : 가압편

Claims (5)

  1. 상부에 후크를 갖는 장선기 고정구;
    상기 장선기 고정구의 하측에 연결되고 드럼을 갖는 와이어 권취구;
    상기 드럼에 감겨진 와이어 로프;
    상기 와이어 권취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과 동축 연결되고 상기 드럼이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래칫 휠;
    상기 래칫 휠이 배치된 상기 와이어 권취구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래칫 휠에 지지되는 래칫;
    상기 래칫 휠과 동축 연결되어 상기 래칫 휠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
    상기 와이어 로프의 자유단 측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권취구 하측에 배치되고 전선이 물리는 제1 전선 물림구;
    상기 와이어 로프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 권취구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2 전선 물림구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권취구는
    상기 드럼,
    상기 드럼의 양측 측면에서 상기 드럼을 지지하는 복수의 측면판,
    상기 측면판들 사이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판들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2 전선 물림구가 체결되는 와이어 연결체,
    상기 와이어 연결체 상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에서 풀리는 와이어 로프를 가이드하는 와이어 로프 가이드로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 권취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의 상측에서 상기 드럼에 감겨지는 와이어가 일률적으로 감겨지도록 가이드하는 와이어 정렬 부재를 더욱 포함하는 용량 가변형 장선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 물림구는
    상기 드럼에서 풀린 상기 와이어 로프의 자유단측이 감겨져서 와이어로프 상에 지지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풀리는 길이를 따라 상, 하로 이동되는 로울러,
    상기 로울러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로울러의 양측면에서 상기 로울러를 지지하는 로울러 지지체,
    상기 로울러 지지체 하단에 좌, 우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후크를 포함하는 용량 가변형 장선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정렬 부재는
    상기 복수의 측면판 사이에서 상기 측면판들에 체결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과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드럼의 상측에서 상기 드럼의 둘레를 감싸도록 드럼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하측으로 만곡된 가압편을 갖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수축 및 복원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용량 가변형 장선기.
KR1020090104547A 2009-10-30 2009-10-30 용량 가변형 장선기 KR101179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547A KR101179056B1 (ko) 2009-10-30 2009-10-30 용량 가변형 장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547A KR101179056B1 (ko) 2009-10-30 2009-10-30 용량 가변형 장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784A KR20110047784A (ko) 2011-05-09
KR101179056B1 true KR101179056B1 (ko) 2012-09-03

Family

ID=44239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547A KR101179056B1 (ko) 2009-10-30 2009-10-30 용량 가변형 장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05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37221A (zh) * 2016-01-05 2016-02-17 林蓉瑶 一种便携式紧线装置
CN105633889A (zh) * 2016-03-22 2016-06-01 济南陆枋志合信息技术有限公司 10kv配电线路电缆架设夹具
KR101984829B1 (ko) 2018-05-25 2019-06-04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웜 기어식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가선 이도 조정 시공법
KR102161405B1 (ko) 2020-04-10 2020-10-05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전동 외접기어 더블락 라쳇형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도 조정, 긴선 작업, 현수애자 교체 간접 활선공법
KR102162545B1 (ko) 2020-03-26 2020-10-08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KR102303614B1 (ko) 2021-01-19 2021-09-17 대원전기 주식회사 역회전 방지 및 해제장치를 갖는 치차 장력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가선 및 철거공법
KR102447795B1 (ko) 2022-04-15 2022-09-28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전선 가선공법
KR102481158B1 (ko) 2022-07-21 2022-12-27 대원전기 주식회사 무제한 장력 거리 조절기능을 갖는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치차 라쳇 장력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KR102549108B1 (ko) 2022-12-12 2023-06-30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개폐조작그립 가이드 기능을 갖는 관절 슬라이딩 레버 링크형 전선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6399B (zh) * 2015-12-10 2017-06-09 国网四川省电力公司攀枝花供电公司 轱辘双环卡线结构
CN111181081B (zh) * 2020-02-10 2020-12-18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无锡供电分公司 电缆挂钩器
CN113848355A (zh) * 2021-10-09 2021-12-28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铁岭供电公司 直流电阻类专用试验工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3513A (ja) * 1997-09-29 1999-04-13 Elvec 張線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3513A (ja) * 1997-09-29 1999-04-13 Elvec 張線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37221A (zh) * 2016-01-05 2016-02-17 林蓉瑶 一种便携式紧线装置
CN105633889A (zh) * 2016-03-22 2016-06-01 济南陆枋志合信息技术有限公司 10kv配电线路电缆架设夹具
KR101984829B1 (ko) 2018-05-25 2019-06-04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웜 기어식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가선 이도 조정 시공법
KR102162545B1 (ko) 2020-03-26 2020-10-08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KR102161405B1 (ko) 2020-04-10 2020-10-05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전동 외접기어 더블락 라쳇형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도 조정, 긴선 작업, 현수애자 교체 간접 활선공법
KR102303614B1 (ko) 2021-01-19 2021-09-17 대원전기 주식회사 역회전 방지 및 해제장치를 갖는 치차 장력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가선 및 철거공법
KR102447795B1 (ko) 2022-04-15 2022-09-28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전선 가선공법
KR102481158B1 (ko) 2022-07-21 2022-12-27 대원전기 주식회사 무제한 장력 거리 조절기능을 갖는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치차 라쳇 장력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KR102549108B1 (ko) 2022-12-12 2023-06-30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개폐조작그립 가이드 기능을 갖는 관절 슬라이딩 레버 링크형 전선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784A (ko) 2011-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056B1 (ko) 용량 가변형 장선기
KR200462249Y1 (ko) 장선기
KR101023291B1 (ko) 케이블 견인장치
US10807841B2 (en) Hoist drum and fiber rope drive having such a hoist drum
KR102569368B1 (ko) 와이어 그리퍼
KR101545263B1 (ko) 케이블 가닥들을 도관으로 당기는 방법 및 관련된 시스템
JP5348674B2 (ja) 張線器
JP4299654B2 (ja) ケーブル架設工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結束バンド及びケーブルセット
CN216016275U (zh) 紧线装置
JP6734811B2 (ja) 架線二重防護用工具
US8684334B2 (en) Tension transmitting device
CN221052996U (zh) 一种防止钢绞线施工缠绕的钢绞线束组件
JP5884199B2 (ja) 枝木の結束方法
CN217266148U (zh) 亚麻栉梳紧压装置
CN211428778U (zh) 一种适用于不同尺寸且防滑脱的拉丝网套
JP4173399B2 (ja) 電設工事治具
CN218949968U (zh) 一种高强加密涤纶双头拉紧带
CN213402289U (zh) 一种断布机弹力线架
JP2009171820A (ja) ケーブルグリップを用いたケーブル布設方法
CN218415756U (zh) 一种线缆线夹
KR200451743Y1 (ko) 줄넘기용 줄 길이 조절장치
CN102120500A (zh) 线绳捆扎方法
CN202046748U (zh) 钢丝绳缠绕装置
KR100801906B1 (ko) 케이블 고정구
US20050127237A1 (en) Alignment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