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132B1 -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132B1
KR101177132B1 KR1020050119424A KR20050119424A KR101177132B1 KR 101177132 B1 KR101177132 B1 KR 101177132B1 KR 1020050119424 A KR1020050119424 A KR 1020050119424A KR 20050119424 A KR20050119424 A KR 20050119424A KR 101177132 B1 KR101177132 B1 KR 101177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ell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6197A (ko
Inventor
유-젠 첸
Original Assignee
치 메이 옵토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 메이 옵토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치 메이 옵토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76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4Arrangements for aligning or assembling subst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조립장치는 고정장치, 복수의 고정셀, 복수의 이동장치와 복수의 위치검출장치를 포함한다. 이 조립방법은, 우선 제1기판을 제공하며 제1기판 상에는 복수의 제1어셈블리셀이 형성되어 있고, 제1기판은 고정장치 상에 고정된다. 또한 이미 절단된 복수의 제1어셈블리셀을 제공하며 각 제2어셈블리셀은 각각 고정셀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고정셀을 이동시키며 위치검출장치를 이용하여 제1어셈블리셀과 제2어셈블리셀이 서로 대응되도록 한다. 또한 제2어셈블리셀과 제1어셈블리셀이 얼라인되도록 한 후 양자를 조립할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기판, 고정장치, 이동장치, 어레이셀, 어셈블리셀

Description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Method of assembl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pparatus of assembl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또다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4a ~ 도 4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을 보인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210: 제1기판
111, 211: 액정층
112: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셀
116, 216: 실란트
120, 220: 제2기판
122: 컬러필터 어레이셀
212: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패널
222: 컬러필터 어레이패널
310: 고정장치
320: 고정셀
330: 이동장치
332: 제1이동장치
334: 제2이동장치
336: 제3이동장치
340: 위치검출장치
342: 조동조정 위치검출기
344: 미동조정 위치검출기
350: 회전설비
400: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410: 제1기판
412: 제1어셈블리셀
420: 제2어셈블리셀
422: 제2얼라인표기
430: 액정층
440: 실란트
442: 제1얼라인표기
본 발명은 조립방법과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과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기술의 고도의 발전과 더불어 현재 영상정보의 전달은 대부분 아날로그로부터 디지털 전송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현대화 생활방식에 배합하기 위해 비디오통신(視訊)이나 영상장치의 체적도 날로 가볍고 얇아지고 있다. 종래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록 뛰어난 디스플레이 품질과 저원가 등의 특성이 있지만, 내부의 전자챔버 구조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박형화, 경량화 및 적은 전력소모의 욕구를 만족할 시킬 수 없게 되었으며, 사용자의 시청시 눈에 대한 방사선 상해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최근의 광전기술과 반도체 제조기술의 성숙화와 더불어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는 활기있는 발전을 가져왔으며, 그 중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저전압 운영, 무방사선 난반사, 무게가 가볍고 체적이 작은 등 장점을 기반으로 종래의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점차적으로 대체하여 최근 들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품의 주류가 되었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주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panel) 및 백라이트 모듈(back light module)을 포함하며, 그 중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컬러필터기판(Color Filter, C/F),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기판(thin film transistor array) 및 이 2개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과정에서 한 기판 상에 복수의 컬러필터 어레이 (Color Filter Array)셀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기판 상에는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Thin Film Transistor Array)셀을 형성한다. 그리고 액정층을 주입하고 컬러필터 어레이셀과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셀을 조립하여 복수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하도록 한다. 종래의 조립방법은 기판 대 기판(substrate to substrate)이나 패널 대 패널(panel to panel)의 조립방식을 이용하여 컬러필터 어레이셀과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셀을 조립하는 것이었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는 기판 대 기판의 조립방식에 속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셀(112)은 제1기판(110) 상에 형성되고, 복수의 컬러필터 어레이셀(122)은 제2기판(120) 상에 형성되었으며, 각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셀(112)의 주위에는 실란트(sealant)(116)가 도포되었다. 다음으로, 액정층(111)을 예를 들면, 적하식 주입법(ODF, one drop fill)을 사용하여 실란트(116)가 도포된 구역에 적하시킨다. 그리고, 제2기판(120)을 이동시켜 제2기판(120) 상의 컬러필터 어레이셀(122)과 제1기판(110) 상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셀(112)이 서로 대응하도록 한다. 또한, 실란트(116)에 의하여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셀(112)로 하여금 컬러필터 어레이셀(122)과 접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20)에 대한 절단을 동시에 진행하면 복수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을 사용하면 물론 복수의 컬러필터 어레이셀(122)로 하여금 동시에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셀(112)과 조립되도 록 할 수 있으므로 조립원가가 비교적 낮고 조립속도도 비교적 빠르다. 하지만 근년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즈가 날로 대형화하고 기판 사이즈가 증가됨에 따라 이러한 방법도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셀(112)과 컬러필터 어레이셀(122)의 조립 난이도를 증가시키게 되었으며, 아울러 2개 기판의 열팽창/수축효과, 2개 기판의 제작과정 중 노출기의 차이성 등의 요소로 인하여 조립 시 소정 규격을 초과하는 편차를 초래할 수도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종래의 또다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는 패널 대 패널의 조립방식에 속한다. 도 1 및 도 2를 동시에 참조하면, 도 1과 도 2의 상이점은 제1기판(210)과 제2기판(220)은 이미 절단되어 각각 복수의 독립적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패널(212)과 컬러필터 어레이패널(222)을 형성하고,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패널(212)의 주위에는 실란트(216)가 도포되어 있다는 점이다. 마찬가지로, 액정층(211)을 실란트(216)가 도포된 각 구역에 주입한다. 다음으로, 각 컬러필터 어레이패널(222)을 이동시켜 그 중의 컬러필터 어레이패널(222)과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패널(212)이 서로 대응되도록 한다. 그리고, 실란트(216)에 의하여 그 중의 컬러필터 어레이셀(222)로 하여금 그 중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셀(212)과 접합되도록 하고, 상기 절차를 반복적으로 진행하여 복수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액정 주입과정도 일반 진공흡입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컬러필터 어레이패널(222)과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셀(212)이 접합된 후 액정을 주입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은 차례로 각 컬러필터 어레 이패널(222)과 각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패널(212)을 각각 조립하며, 이는 도 1의 기판 대 기판의 조립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실현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패널 대 패널의 조립방식은 한번에 하나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밖에 조립하지 못하므로 상대적으로 비교적 높은 조립원가 및 조립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서술을 바탕으로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기술을 제공하여 비교적 높은 정확도와 비교적 낮은 시간원가를 겸비하도록 한 것인데, 이는 우리들이 연구할 만한 과제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을 통해 정확도 향상과 조립원가 절감효과를 이루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를 제공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시 정확도 향상과 조립원가 절감효과를 이루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을 제출하며, 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은, 우선 하나의 제1기판을 제공하며 이 제1기판 상에는 복수의 제1어셈블리셀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미 절단된 복수의 제2어셈블리셀을 제공하며, 제1어셈블리셀과 제2어셈블리셀 사이에 각각 액정층을 충전시키고, 동시 에 제2어셈블리셀과 제1기판 상의 제1어셈블리셀을 접합시킨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에 따르면, 제2어셈블리셀과 제1기판 상의 제1어셈블리셀을 접합시킨 후, 예를 들면 제1기판에 대한 절단절차를 포함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제1기판 상의 제1어셈블리셀은 예를 들면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셀이며, 제2어셈블리셀은 예를 들면 하나의 컬러필터 어레이셀이다. 혹은 제1기판 상의 제1어셈블리셀은 예를 들면 하나의 컬러필터 어레이셀이고, 제2어셈블리셀은 예를 들면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셀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에 따르면, 제2어셈블리셀과 제1기판 상의 제1어셈블리셀을 동시에 접합시키는 방법은 예를 들면 자외선 실란트를 이용하여 양자를 접합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를 제출하며, 이는 제1기판의 복수개 제1어셈블리셀과 이미 절단된 복수의 제2어셈블리셀을 조립하는데 사용되고, 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는 하나의 고정장치, 복수의 고정셀, 복수의 이동장치 및 복수의 위치검출장치를 포함한다. 고정장치는 제1기판을 고정장치 상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며, 복수의 고정셀은 제2어셈블리셀을 복수의 고정셀 상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각 이동장치는 각 고정셀 상에 배치되며, 각 위치검출장치는 각 고정셀 상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에 의하면, 각 이동장치는 예를 들면 제1이동장치, 제2이동장치 및 제3이동장치를 포함한다. 제1이동 장치는 예를 들면 고정셀의 X 방향 위치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며, 제2이동장치는 예를 들면 고정셀의 Y 방향 위치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고, 제3이동장치는 예를 들면 고정셀의 Z 방향 위치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는 예를 들면 복수개 회전장치를 포함하며, 각 회전장치는 고정셀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에 의하면, 각 위치검출장치는 예를 들면 복수의 조동(組動)조정 위치검출기 및 복수의 미동(微動)조정 위치검출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동조정 위치검출기와 미동조정 위치검출기는 예를 들면 전하결합소자(Charged Couple Device)이고, 미동조정 위치검출기는 예를 들면 고정셀의 4개 코너에 설치된다. 또한 고정장치와 고정셀은 예를 들면 정전기흡착 고정장치이다.
본 발명은 또다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을 제출하며, 이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조립을 진행하고, 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는 하나의 고정장치, 복수의 고정셀, 복수의 이동장치와 복수의 위치검출장치를 포함한다. 이 액정 디스플레이 조립방법은, 우선 하나의 제1기판을 제공하며, 제1기판 상에 복수의 제1어셈블리셀이 형성되었고, 또 제1기판은 고정장치 상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이미 절단된 복수의 제2어셈블리셀을 제공하며, 각 제2어셈블리셀은 각각 고정셀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1어셈블리셀과 제2어셈블리셀 사이에 각각 액정층을 충전한다. 또한,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고정셀을 이동시키며, 위치검출장치를 이용하여 제1어셈블리셀과 제2어셈블리셀이 서로 대응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동장치를 구동시켜 제2어셈블리셀과 제1기판 상의 제1어셈블리셀을 접합시킨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에 따르면, 제2어셈블리셀과 제1기판 상의 제1어셈블리셀을 접합시킨 후, 예를 들면 제1기판에 대한 절단절차를 포함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고정셀을 이동시키고, 위치검출장치를 이용하여 제1어셈블리셀과 제2어셈블리셀이 서로 대응되도록 하는 절차 중, 예를 들면 이러한 이동장치에 대한 조동조정을 진행한 후 다시 이러한 이동장치에 대한 미동조정을 진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에 따르면, 제1기판 상의 제1어셈블리셀은 예를 들면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셀이며, 제2어셈블리셀은 복수의 컬러필터 어레이셀이다. 혹은 제1기판 상의 제1어셈블리셀은 예를 들면 복수의 컬러필터 어레이셀이고, 제2어셈블리셀은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셀이다. 또한, 제2어셈블리셀과 제1기판 상의 제1어셈블리셀을 동시에 접합시키는 방법은 자외선 실란트를 이용하여 양자를 접합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은, 이미 절단된 복수의 제2어셈블리셀을 사용하여 동시에 제1기판 상의 복수개 제1어셈블리셀과 조립되므로 조립 시 비교적 높은 정확도와 비교적 낮은 제조원가를 이룰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는 위치검출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특히 조립 시 정확도가 일층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타 목적, 특징과 장점을 더 뚜렷하게,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아래에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를 들어 별첨도면과 결합하여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300)는 하나의 고정장치(310), 복수의 고정셀(320), 복수의 이동장치(330), 복수의 회전설비(350)와 복수의 위치검출장치(340)를 포함한다. 이 조립장치(300)는 제1기판(410) 상의 복수개 제1어셈블리셀(412)과 이미 절단된 복수개 제2어셈블리셀(420)을 조립하는데 사용된다.
도 3을 계속하여 참조하면, 고정장치(310)와 고정셀(320)은 예를 들면 정전기흡착 고정장치이다. 이동장치(330)는 제1이동장치(332), 제2이동장치(334)와 제3이동장치(336)를 포함하며, 제1이동장치(332)는 고정셀(320)의 X 방향 위치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며, 제2이동장치(334)는 고정셀(320)의 Y 방향 위치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고, 제3이동장치(336)는 고정셀(320)의 Z 방향 위치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또한, 회전장치(350)는 고정셀(320)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밖에, 위치검출장치(340)는 복수의 고정셀(320) 상의 제2어셈블리셀(420)에 대해 정밀한 포지션을 진행하는데 사용된다.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 중 위치검출장치(340)는 복수의 조동조정(roughly tune) 위치검출기(342)와 복수의 미동조정(finely tune) 위치검출기(344)를 포함하며, 미동조정 위치검출기(344)는 고정셀(320)의 4개 코너에 설치된다. 이러한 위치검출장치(340)는 예를 들면 전하결합소자(Charged Couple Device) 또는 기타 종류의 광학센서이다.
도 4a ~ 도 4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방법을 보인 개념도이다. 이 액정 디스플레이 조립방법은 도 3에서 서술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조립장치(300)를 이용하여 진행한다. 우선 도 4a를 참조하면, 조립과정이 시작될 때 우선 제1기판(410)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1기판(410)을 고정장치(310)의 표면에 고정시키며, 이 제1기판(410) 상에는 이미 복수의 제1어셈블리셀(412)이 형성되었고, 각 제1어셈블리셀(412)의 주변에는 실란트(440),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 실란트(UV curable sealant)가 도포된다. 또한, 이미 절단된 각 제2어셈블리셀(420)은 각각 고정셀(320) 상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제1어셈블리셀(412)과 제2어셈블리셀(420)은 예를 들면 각각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셀과 컬러필터 어레이셀, 또는 제1어셈블리셀(412)과 제2어셈블리셀(420)은 예를 들면 각각 컬러필터 어레이셀과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셀이라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조립과정에서 예를 들면 우선 제1어셈블리셀(412)과 제2어셈블리셀(420)을 진공챔버(도면상에 미도시)에 넣고 제2어셈블리셀(412)과 제2어셈블리셀(420) 사이에 액정층(430)을 충전한 후 진공챔버에 대한 진공추출을 진행한다. 그 중 액정층(430)은 예를 들면 적하식 주입법(ODF, one drop fill)으로 제1어셈블리셀(412) 주위의 실란트(440)가 도포된 구역 내로 충전된다.
아래에 조립과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4c ~ 도 4d에서는 다만 기판(410) 상의 임의의 제1어셈블리셀(412), 이와 대응되는 임의의 제2어셈블리셀(420)만 도시했을 뿐이다. 하지만 우리는 본 발명의 조립방법은 동시에 기판(410) 상의 복수의 제1어셈블리셀(412)과 복수의 제2어셈블리셀(420)에 대한 조립을 진행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도 4c를 참조하면, 이동장치(330)를 이용하여 고정셀(320)을 이동시켜 제1어셈블리셀(412)과 제2어셈블리셀(420)이 서로 대응되도록 한다. 제1어셈블리셀(412)과 제2어셈블리셀(420)이 정확하게 조합되도록 하기 위해, 제2어셈블리셀(420) 상에 설치된 위치검출장치(340)를 이용하여 복수의 고정셀(320) 상의 제2어셈블리셀(420)에 대한 정확한 포지션을 진행한다.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에서는, 위치검출장치(340)를 이용하여 복수의 고정셀(320) 상의 제2어셈블리셀(420)에 대한 정확한 포지션을 동시에 진행하는데, 예를 들면 기판(410) 상의 제1어셈블리셀(412) 주위에 형성된 제1얼라인표기(442) 및 제2어셈블리셀(420)의 주위에 형성된 제2얼라인표기(422)를 이용하여 얼라인을 진행한다. 제1얼라인표기(442)와 제2얼라인표기(422)는 예를 들면 제1어셈블리셀(412) 및 제2어셈블리셀(420)을 형성하는 과정에 함께 형성된 것이며, 그 재질은 예를 들면 금속이다. 이밖에, 고정셀(320)과 위치검출장치(340)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나 투명가시홀이 설치되며, 제2어셈블리셀(420)의 주위에 형성된 제2얼라인표기(422)는 투명기판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위치검출장치(340)는 상기 관통홀이나 투명가시홀을 통해 제1얼라인표기(442)와 제2얼라인표기(422)의 상대위치를 검출하는 것으로 기판(410) 상의 제1어셈블리셀(412)과 제2어셈블리셀(420)의 얼라인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하여, 위치검출장치(340)의 검출을 통해 이동장치(330)와 회전장치(35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고정셀(320)에 대한 위치조정을 진행한 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세한 실행절차는 예를 들면, 우선 이동장치(330)와 회전장치(350)를 통해 제2어셈블리셀(420)을 제1어셈블리셀(412)의 상부에 이동시키고 또 제1어셈블리셀(412)과 제2어셈블리셀(420)의 거리를 가까이 한다. 제1어셈블리셀(412)과 제2어셈블리셀(420)의 거리가 제1의 적당한 거리에 접근할 때, 조동조정 위치검출기(342)를 활성화하여 코스 얼라인(coarse align)을 진행함으로써 제1어셈블리셀(412)과 제2어셈블리셀(420)의 얼라인 정확도가 예를 들면 이미 설정된 코스 얼라인 허용오차에 부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다시 이동장치(330)와 회전장치(350)를 실행시켜 제1어셈블리셀(412)과 제2어셈블리셀(420)의 거리가 예를 들면 제2의 적당한 거리에 대략 접근할 때, 미동조정 위치검출기(344)를 활성화하여 마이크로 얼라인(micro align)을 진행함으로써 제1어셈블리셀(412)과 제2어셈블리셀(420)의 얼라인 정확도가 예를 들면 기대하는 마이크로 얼라인 허용오차에 부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d를 참조하면, 제2어셈블리셀(420)은 고정셀(320)로부터 일탈하여 제1어셈블리셀(412) 주위의 실란트(440)가 제2어셈블리셀(420)과 접촉하도록 한 후 실란트 경화절차(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절차)를 경과하면 제1어셈블리셀(412)과 제2어셈블리셀(420)이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e를 참조하면, 제1기판(410)을 절단하여 복수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형성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점은,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방법의 주요 특징 은, 이미 절단된 복수의 제2어셈블리셀을 사용하여 동시에 제1기판 상의 복수의 제1어셈블리셀과 조립되므로 본 발명에서 언급한 조립장치를 사용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조립을 진행하는데만 제한되지 않는다. 임의의 기타 적당한 조립장치도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조립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언급한 실시예에서는 우선, 액정을 주입한 후 제1기판을 절단함으로써 복수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하도록 하지만, 또 제1기판을 절단하여 각 디스플레이 패널구역을 형성한 후 진공흡입법을 이용하여 액정을 충전함으로써 각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는 이미 절단된 복수의 제2어셈블리셀을 사용하여 동시에 제1기판 상의 복수의 제1어셈블리셀과 조립되므로 아래와 같은 장점을 갖고 있다.
1. 본 발명은 동시에 제2어셈블리셀과 제1기판 상의 복수의 제1어셈블리셀을 조립시키므로, 종래의 개별적으로 이미 절단된 제2어셈블리셀과 이미 절단된 제1어셈블리셀을 조립하는 방법에 비해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나아가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우선 2개 기판을 조립한 후 복수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 절단하는 종래의 방법보다 비교적 우수한 조립 정확도를 갖고 있다.
2. 본 발명은 제2어셈블리셀과 제1기판 상의 복수의 제1어셈블리셀을 조립시키는 것이므로, 만일 조립 전에 임의의 제2어셈블리셀의 불량상태를 발견하게 되면 즉시 신규 또는 정상상태의 제2어셈블리셀을 교체한 후 조립할 수 있으며, 종래기 술의 문제점 처럼 하나의 제1어셈블리셀을 희생시켜 폐기처리될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3. 본 발명은 만일 조립전에 임의의 제1어셈블리셀의 불량상태를 발견하게 되면 이를 보류할 수 있어 정상상태의 제2어셈블리셀을 절약할 수 있으며, 종래기술의 기판 대 기판의 조립방식과 같이 정상상태의 제2어셈블리셀과 불량의 제1어셈블리셀을 서로 접합시킬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불량의 제1어셈블리셀은 제1기판이 절단된 후 폐기처리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은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로 상기와 같이 서술하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 기술을 숙지하고 있는 임의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상황에서 일정한 변경과 윤색(潤飾)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정해진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응용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Claims (2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기판의 복수개 제1어셈블리셀과 이미 절단된 복수의 제2어셈블리셀을 조 립하는데 사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을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의 상부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하나의 고정장치와;
    제2어셈블리셀을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의 상부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복수개 고정셀과;
    상기 각 고정셀에 배치되는 복수개 이동장치와;
    상기 각 고정셀 상에 설치되는 복수개 위치검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각 이동장치는,
    상기 고정셀의 X 방향 위치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제1이동장치와;
    상기 고정셀의 Y 방향 위치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제2이동장치와;
    상기 고정셀의 Z 방향 위치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제3이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는,
    최소한 하나의 회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각 회전장치는 상기 고정셀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각 위치검출장치는,
    복수개 조동조정 위치검출기 및 복수개 미동조정 위치검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조동조정 위치검출기는,
    전하결합소자(Charged Couple De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미동조정 위치검출기는,
    전하결합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조동조정 위치검출기는,
    상기 고정셀의 서로 대면하고 있는 2개 코너 부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정전기흡착 고정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
  17.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정셀은,
    정전기흡착 고정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 치.
  18. 하나의 고정장치, 복수의 고정셀, 복수의 이동장치와 복수의 위치검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을 진행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제1기판을 제공하며 상기 제1기판 상에는 이미 복수의 제1어셈블리셀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판은 상기 고정장치 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절차와;
    이미 절단된 복수의 제2어셈블리셀을 제공하고, 상기 각 제2어셈블리셀은 각각 상기 각 고정셀에 고정되도록 하는 절차와;
    상기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셀을 이동시키고 상기 위치검출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어셈블리셀과 상기 제2어셈블리셀이 서로 대응되도록 하는 절차와;
    상기 이동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제2어셈블리셀과 상기 제1기판 상의 상기 제1어셈블리셀이 접합되도록 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이미 절단된 제2어셈블리셀을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한 후 또한 상기 제2어셈블리셀과 상기 제1어셈블리셀을 접합시키는 절차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제1어셈블리셀과 상기 제2어셈블리셀 사이에 각각 액정층을 충전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2어셈블리셀과 상기 제1기판 상의 상기 제1어셈블리셀을 접합시키는 절차 후,
    상기 제1기판에 대한 절단절차를 포함하여 복수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셀을 이동시키며 상기 위치검출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어셈블리셀과 상기 제2어셈블리셀이 서로 대응되도록 하는 절차는,
    상기 이동장치에 대한 조동조정을 진행한 후 다시 상기 이동장치에 대한 미동조정을 진행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 상의 상기 제1어셈블리셀은,
    복수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2어셈블리셀은,
    복수의 컬러필터 어레이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 립방법.
  24.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 상의 상기 제1어셈블리셀은,
    복수의 컬러필터 어레이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2어셈블리셀은,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
  26.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2어셈블리셀과 상기 제1기판 상의 상기 제1어셈블리셀을 동시에 접합시키는 절차는,
    자외선 실란트를 이용하여 양자를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
KR1020050119424A 2004-12-28 2005-12-08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KR101177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3140894 2004-12-28
TW093140894A TWI296732B (en) 2004-12-28 2004-12-28 Method of assembl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pparatus of assemb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197A KR20060076197A (ko) 2006-07-04
KR101177132B1 true KR101177132B1 (ko) 2012-08-24

Family

ID=3679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424A KR101177132B1 (ko) 2004-12-28 2005-12-08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6189861A (ko)
KR (1) KR101177132B1 (ko)
TW (1) TWI29673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9892B2 (en) 2013-11-11 2018-01-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705B1 (ko) * 2010-08-30 2014-12-10 신에츠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시스템
CN106971672A (zh) * 2017-05-05 2017-07-21 烟台科力博睿地震防护科技有限公司 一种静电吸附式透明显示屏及其安装方法
WO2022086035A1 (ko) *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흐름성을 갖는 합착 재료를 사용한 기판 합착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769A (ko) * 1997-11-24 1999-06-15 손욱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20020042407A (ko) * 2000-11-30 2002-06-05 니시히라 쥰지 기판 중합 장치
KR20040059087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630B2 (ja) * 1987-05-07 1996-03-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H09101529A (ja) * 1995-10-06 1997-04-15 Toshiba Corp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2258298A (ja) * 2001-02-27 2002-09-11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基板重ね合わせ装置
JP2004157451A (ja) * 2002-11-08 2004-06-03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パネル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60896B2 (ja) * 2002-12-19 2008-10-08 富士通株式会社 パネル貼り合わせ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769A (ko) * 1997-11-24 1999-06-15 손욱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20020042407A (ko) * 2000-11-30 2002-06-05 니시히라 쥰지 기판 중합 장치
KR20040059087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9892B2 (en) 2013-11-11 2018-01-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96732B (en) 2008-05-11
KR20060076197A (ko) 2006-07-04
JP2006189861A (ja) 2006-07-20
TW200622415A (en) 200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6010B2 (en) Method for fabricating LCD
KR100720422B1 (ko) 액정표시소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US6890786B2 (en) Wafer scale processing
JP2001174829A (ja) 液晶表示パネル及び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US687059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separating wall
US7022199B2 (en) Method for fabricating LCD
KR101177132B1 (ko)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CN101201490A (zh) 用于薄化一显示面板装置的方法
US7092067B2 (en) Liquid crystal panel,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thereof
US7365822B2 (en) Method for fabricating LCD
CN107045232A (zh) 液晶显示面板的制作方法、液晶显示面板和液晶显示装置
US59299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microlens array in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a sacrificial substrate
US20210081065A1 (en) Bezel-less touch displa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0320713B (zh) 一种液晶盒及其制作方法、液晶装置
KR20070054917A (ko) 액정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US7230671B2 (en) Method for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EP3605216A1 (en) Glue sealing method for display screen frame
US2005028076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833901B2 (en) Method for fabricating LCD having upper substrate coated with sealant
JP2004117526A (ja)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87163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5148214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で製造した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を搭載した電子機器
KR100720443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2303871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KR101308749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