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843B1 - 스퍼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스퍼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843B1
KR101175843B1 KR1020107001058A KR20107001058A KR101175843B1 KR 101175843 B1 KR101175843 B1 KR 101175843B1 KR 1020107001058 A KR1020107001058 A KR 1020107001058A KR 20107001058 A KR20107001058 A KR 20107001058A KR 101175843 B1 KR101175843 B1 KR 101175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cylindrical
field generating
cylindrical target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7222A (ko
Inventor
히로시 다마가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100027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4Gas-filled discharge tubes operating with cathodic sputtering
    • H01J37/3402Gas-filled discharge tubes operating with cathodic sputtering using supplementary magnetic fields
    • H01J37/3405Magnetron sput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23C14/35Sputtering by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e.g. magnetron sputtering
    • C23C14/352Sputtering by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e.g. magnetron sputtering using more than one targ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4Gas-filled discharge tubes operating with cathodic sputtering
    • H01J37/3411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reactor
    • H01J37/345Magnet arrangements in particular for cathodic sputtering apparatus
    • H01J37/3455Movable magn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원통 형상 타깃의 축 방향 단부에 있어서의 국소 소모를 억제하여 이 원통 형상 타깃에 있어서의 이로전 영역을 균일화함으로써, 그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퍼터링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 장치는, 회전 가능한 원통 형상 타깃(13) 및 그 내측에 배치되는 자기장 발생 부재(14)를 각각 갖는 한 쌍의 스퍼터 증발원(2)과, 원통 형상 타깃(13)을 캐소드로 하여 이것에 방전 전력을 공급하는 스퍼터 전원(3)을 구비한다. 양 원통 형상 타깃(13)은, 그 중심축끼리가 서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고, 각 자기장 발생 부재(14)는 원통 형상 타깃(13)의 표면을 통과하여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의 자기력선을 갖는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Description

스퍼터링 장치 {SPUTT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 형상 타깃을 구비한 스퍼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원통 형상 타깃의 사용 수명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스퍼터링은, 물리적 증착법의 일종이다. 이 방법은, 진공 챔버 내에 도입된 스퍼터링 가스(방전 가스) 중에서 전기적으로 캐소드가 된 타깃에 방전 전력을 공급하는 것과, 상기 스퍼터링 가스를 플라즈마 분위기 중에서 분해하여 이것에 의해 발생한 이온을 상기 타깃의 표면에 충돌시키는 것과, 이 충돌에 의해 타깃으로부터 성막 입자를 방출시켜 기재에 퇴적시켜, 기재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최근, 성막 입자의 퇴적 속도가 높아, 스퍼터 증발원을 구성하는 타깃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스퍼터링 장치로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이른바 로터리 마그네트론 스퍼터 증발원(31)을 구비한 스퍼터링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이 로터리 마그네트론 스퍼터 증발원(31)은, 원통 형상 부재(32)와, 원통 형상 타깃(33)과, 자기장 발생 부재(34)를 구비한다.
상기 원통 형상 부재(32)는, 그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원통 형상 부재(32)의 외주부에 상기 원통 형상 타깃(33)이 부설된다.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34)는, 상기 원통 형상 부재(32)의 내측에 설치되고, 서로 극성이 상이한 중앙 자석(36) 및 외주 자석(37)과 이들을 자기적으로 연결하는 자기적 연결 부재(38)를 갖는다. 상기 중앙 자석(36)은, 상기 원통 형상 부재(32)[및 원통 형상 타깃(33)]의 중심축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 형상을 이루고, 상기 외주 자석(37)은 상기 중앙 자석(36)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 자기장 발생 부재(34)는, 상기 원통 형상 타깃(33)을 관통하여 상기 중앙 자석(36)과 상기 외주 자석(37)을 연결시키는 자기력선을 형성하고, 상기 원통 형상 타깃(33)의 중심축 방향과 평행한 2개의 직선부와 그 양단부를 잇는 호 형상부로 이루어지는, 이른바 레이스 트랙 형상의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 로터리 마그네트론 스퍼터 증발원(31)에 따르면, 방전에 의해 발생한 전자가 상기 레이스 트랙 형상 자기장에 가두어지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 타깃(33)의 길이 방향으로 레이스 트랙 형상의 방전 플라즈마(Pr)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원통 형상 타깃(33)의 표면에 레이스 트랙 형상의 이로전 영역이 형성되고, 이 이로전 영역으로부터 성막 입자가 효율적으로 방출된다. 또한, 상기 원통 형상 타깃(33)은, 상기 원통 형상 부재(32)와 함께 상기 레이스 트랙 형상 방전 플라즈마(Pr)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이로전 영역을 당해 원통 형상 타깃(33)의 외주 전체면으로 넓히고, 이에 의해 타깃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레이스 트랙 형상 자기장을 형성하는 로터리 마그네트론 스퍼터 증발원(31)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 타깃(33)의 이로전 영역의 단부에 있어서 소모가 심한 국소 소모부(41)가 형성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 이유는, 원통 형상 타깃(33)이 회전할 때에, 레이스 트랙 형상 방전 플라즈마(Pr) 중 180˚돌아 들어가는 호 형상 단부에서의 플라즈마의 투영 길이가 길어지므로, 직선부에 비해 이로전이 촉진되는 것에 있다. 이로 인해, 원통 형상 타깃(33)의 수명은 단부에서의 국소적 소모에 의해 정해져, 원통 형상 타깃(33)의 중앙부에서는 아직 사용 가능한 두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원통 형상 타깃을 제작할 때에, 단부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사용 수명의 연장을 도모할 수 있지만, 그러한 특수 형상의 원통 형상 타깃은 제작이 곤란하여 실현은 어렵다.
특허문헌1:일본특허공고평3-68113호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회전 가능한 원통 형상 타깃의 축 방향 단부에 있어서의 국소 소모를 억제하여 이 원통 형상 타깃에 있어서의 이로전 영역을 균일화함으로써, 그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퍼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관한 제1 스퍼터링 장치는, 한 쌍의 스퍼터 증발원과, 스퍼터 전원을 구비한다. 각 스퍼터 증발원은, 중심축을 갖고 그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원통 형상 타깃과, 그 원통 형상 타깃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자기장 발생 부재를 갖는다. 각 스퍼터 증발원의 원통 형상 타깃은, 그 중심축끼리가 서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고, 이들 원통 형상 타깃에 당해 원통 형상 타깃을 캐소드로 하여 상기 스퍼터 전원이 방전 전력을 공급한다. 양 스퍼터 증발원의 자기장 발생 부재는, 각 스퍼터 증발원에 있어서의 원통 형상 타깃의 표면을 통과하여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의 자기력선을 갖는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캐소드를 구성하는 원통 형상 타깃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자기장은, 성막시에 스퍼터링 가스의 분해에 의해 발생한 전자를 구속하여, 상기 자기장의 영역에 페닝 방전(Penning discharge)을 발생시킨다. 이 페닝 방전은, 상기 자기장의 존재 영역에서 강하게 발생하고, 그 외주부에서는 전계에 수반되는 플라즈마의 드리프트가 발생하기 때문에, 방전의 존재 영역에 있어서 거의 균일한 방전 플라즈마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스퍼터링 장치에서 발생하는 마그네트론 방전과는 달리, 2개의 선 형상 플라즈마의 단부를 잇는 호 형상의 플라즈마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원통 형상 타깃의 회전에 의한 성막시, 플라즈마 영역에 대응한 원통 형상 타깃의 외주면으로부터 성막 입자가 빠르게 또한 균일하게 증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상기 원통 형상 타깃의 국소 소모를 방지하고, 이에 의해 원통 형상 타깃의 이용률, 나아가서는 사용 수명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2 스퍼터링 장치는, 스퍼터 증발원과, 스퍼터 전원과, 보조 전극 구조체를 구비한다. 상기 스퍼터 증발원은, 중심축을 갖고 그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원통 형상 타깃과, 그 원통 형상 타깃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자기장 발생 부재를 갖고, 상기 원통 형상 타깃에 당해 원통 형상 타깃을 캐소드로 하여 상기 스퍼터 전원이 방전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보조 전극 구조체는, 상기 스퍼터 증발원의 원통 형상 타깃과 평행 내지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여 배치된 보조 전극 부재와, 이 보조 전극 부재에 부설되는 보조 자기장 발생 부재를 갖고, 이 보조 자기장 발생 부재와 상기 스퍼터 증발원에 설치된 자기장 발생 부재가, 상기 원통 형상 타깃의 표면을 통과하여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의 자기력선을 갖는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 제2 스퍼터링 장치는, 보조 전극 구조체를 가지므로, 스퍼터 증발원이 단일인 경우에도 제1 스퍼터링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전극 부재는, 상기 스퍼터 증발원의 원통 형상 타깃과 함께 캐소드로서 스퍼터 전극에 접속되어도 좋고, 혹은 전기적으로 플로팅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가능한 원통 형상 타깃의 축 방향 단부에 있어서의 국소 소모를 억제하여 이 원통 형상 타깃에 있어서의 이로전 영역을 균일화함으로써, 그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퍼터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스퍼터링 장치에 있어서의 성막시의 방전 영역을 도시하는 원통 형상 타깃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스퍼터링 장치에 있어서의 원통 형상 타깃의 소모 상태를 도시하는 원통 형상 타깃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 평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스퍼터링 장치에 이용되는 로터리 마그네트론 스퍼터 증발원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스퍼터링 장치에 관한 성막시의 방전 영역을 도시하는 원통 형상 타깃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스퍼터링 장치에 관한 원통 형상 타깃의 소모 상태를 도시하는 원통 형상 타깃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스퍼터링 장치는, 도전재에 의해 형성된 진공 챔버(1)와, 상기 진공 챔버(1) 내에 병설된 한 쌍의 스퍼터 증발원(2, 2)과, 이들 스퍼터 증발원(2, 2)에 방전 전력을 공급하는 스퍼터 전원(3)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스퍼터 전원(3)에 직류 전원이 이용되고, 그 부극(負極)이 상기 각 스퍼터 증발원(2, 2)에 포함되는 후술하는 원통 형상 타깃(13)에 접속되고, 정극(正極)이 상기 진공 챔버(1)에 접속된다. 이 진공 챔버(1)에는, 진공 챔버(1) 내를 소정의 가스압으로 유지하기 위한 감압 장치와, 스퍼터링 가스(방전 가스) 공급 장치가 접속된다. 이들 구성은 모두 주지이므로 그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스퍼터 증발원(2, 2)은, 각각 원통 형상 부재(12)와, 원통 형상 타깃(13)과, 자기장 발생 부재(14)를 구비한다.
각 원통 형상 부재(12)는 중심축을 갖고, 그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해지도록 상기 진공 챔버(1) 내에 설치된다. 각 원통 형상 타깃(13)은, 각각 상기 각 원통 형상 부재(12)의 외주부에 이 원통 형상 부재(12)와 동심이 되는 상태에서 부설된다. 그리고 한쪽의 스퍼터 증발원(2)의 원통 형상 부재(12) 및 원통 형상 타깃(13)의 중심축과, 다른 쪽의 스퍼터 증발원(2)의 원통 형상 부재(12) 및 원통 형상 타깃(13)의 중심축이 평행 내지 거의 평행한 자세로 서로 대향하도록, 이들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진공 챔버(1) 내에는 성막 대상이 되는 기재(W)가 배치된다. 이 기재(W)는, 상기 원통 형상 타깃(13, 13)끼리의 사이의 공간부로부터 양 원통 형상 타깃(13)의 배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당해 공간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진공 챔버(1) 내에 도시 생략한 기재 홀더가 설치되고, 이 기재 홀더에 상기 기재(W)가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다.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14)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횡단면이 사각형인 막대 형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퍼터 증발원(2)의 원통 형상 부재(12)의 내측에 당해 원통 형상 부재(12) 및 상기 원통 형상 타깃(13)의 중심축을 따르는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이 자기장 발생 부재(14)의 길이는, 그 길이 방향[원통 형상 타깃(13)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원통 형상 타깃(13)의 양단부보다도 약간 내측에 위치하도록, 당해 타깃(13)의 길이보다도 약간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14)는, 그 자극이 상기 원통 형상 부재(12)의 직경 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원통 형상 부재(12)의 외주면의 근방, 즉 원통 형상 타깃(13)의 내주면의 근방에 상기 자극 중 한쪽의 자극(이하,「내면측 자극」이라 함)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쪽의 스퍼터 증발원(2)의 자기장 발생 부재(14)의 내면측 자극과, 다른 쪽의 스퍼터 증발원(2)의 자기장 발생 부재(14)의 내면측 자극은, 서로 반대의 극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들 자기장 발생 부재(14, 14)끼리의 사이의 공간에는, 원통 형상 타깃(13, 13)을 통과시켜 자기력선이 서로 끌어당기도록 자기장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원통 형상 부재(12)[원통 형상 타깃(13)]의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14)의 자극을 연결하는 직선을 자극 중심선이라 하고, 원통 형상 타깃(13, 13)끼리의 중심축을 연결하는 직선을 기준선이라 할 때, 자기장 발생 부재(14, 14)의 자극 중심선과 기준선이 합치하도록 당해 자기장 발생 부재(14)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자기장 발생 부재(14)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이 되도록 자기력선의 배열을 갖는 자기장을 형성한다.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14)를 구성하는 자석으로서는, 사마륨 코발트나 네오디뮴 마그넷 등의 잔류 자속 밀도가 큰 마그넷이 바람직하지만, 페라이트 마그넷이나 초전도 마그넷 등의 다른 종류의 마그넷이나 전자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영구 마그넷과 전자석을 조합하는 등, 복수의 자기 발생원을 조합한 것이라도 좋다.
다음에, 상기 스퍼터링 장치에 의한 성막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진공 챔버(1) 내가 배기되고, Ar 등의 스퍼터링 가스가 원통 형상 타깃(13)끼리의 사이의 공간에 0.1 내지 10㎩ 정도의 압력으로 도입된다. 그리고 서로 배열되는 2개의 원통 형상 타깃(13, 13)에 이들을 캐소드로 하여 스퍼터 전원(3)으로부터 부(負)의 전압이 가해진다.
상기 전압은, 원통 형상 타깃(13, 13) 사이에 방전을 발생시키고, 이 방전이 상기 스퍼터링 가스를 전리(電離)하여 전자를 발생시킨다. 이들 전자는, 원통 형상 타깃(13, 13)의 사이의 공간부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한 구속과, 부의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원통 형상 타깃(13, 13)의 존재에 의해, 당해 전극 사이, 즉 타깃(13, 13) 사이에 가두어져, 이른바 페닝 방전을 발생시킨다.
이 페닝 방전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자기장의 존재 영역에서 강하게 발생하는 동시에 그 외주부에서는 전계에 수반되는 플라즈마의 드리프트가 발생하기 때문에, 자기장의 존재 영역에 있어서 대략 균일한 방전이 생성된다. 이로 인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페닝 방전이 발생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타원 형상의 방전 플라즈마(P)가 형성되고, 이것에 대향하는 원통 형상 타깃(13)의 표면이 스퍼터된다. 이 스퍼터에 의해 타깃 표면으로부터 방출된 성막 입자는, 원통 형상 타깃(13, 13)의 사이의 공간부에 대향하여 배치된 기재(W)에 퇴적되어, 피막을 형성한다.
이 성막에서는, 상기 원통 형상 타깃(13)의 외주 표면 중 상기 페닝 방전의 방전 영역에 가두어진 방전 플라즈마(P)에 대향하는 부위가 소모된다. 그러나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14, 14)의 위치 관계가 유지된 채, 즉 원통 형상 타깃(13, 13)의 사이에 형성된 자기장의 상태가 유지된 채로, 원통 형상 타깃(13, 13)이 원통 형상 부재(12)와 함께 회전하면서 성막이 행해지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 타깃(13)의 외주면이 방전 영역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균일하게 소모된다.
또한, 이 스퍼터링 장치에서는, 상기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종래의 스퍼터링 장치와 같이 마그네트론 방전에 의한 레이스 트랙 형상 플라즈마가 형성되지 않는다. 즉, 원통 형상 타깃(13)의 중심축 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직선 형상 플라즈마의 단부를 잇는 호 형상 플라즈마부가 없기 때문에, 당해 원통 형상 타깃(13)의 회전시에 국소적으로 플라즈마 조사의 긴 부위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원통 형상 타깃(13)의 단부가 국소적으로 소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의 점에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에서는, 타깃 재료의 이용 효율 및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퍼터링 장치는, 성막면에서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 즉, 기재(W)는 원통 형상 타깃(13, 13)끼리의 사이의 방전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성막 중의 피막에 플라즈마의 강한 조사가 가해지는 일이 없으므로, 이온 충격 등을 피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또한, 기재(W)는 스퍼터가 발생하는 원통 형상 타깃(13)의 표면에 대해 직접 대향하지 않으므로, 타깃 표면에서 반사되는 이온이나 타깃 표면에서 생성되는 부 이온이 상기 기재(W)를 강하게 조사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타깃에서 발생하는 고에너지 이온의 악영향이 문제가 되는 ITO 등의 투명 도전막 등의 성막에 있어서 피막 특성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로터리 마그네트론 스퍼터 증발원에서는, 타깃의 소모에 수반되는 타깃 표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가 큰 것에 대해, 상기한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에서는, 타깃 소모시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가 마그네트론 자기장의 경우보다 현저하지 않으므로, 두께가 보다 두꺼운 타깃, 즉 긴 수명의 타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퍼터링 가스에는, 앞서 예시한 Ar 가스 외에 통상의 스퍼터링 기술과 마찬가지로, Ne, Kr, Xe 등의 적절한 불활성 가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타깃 재료와 도입하는 가스의 반응에 의한 반응성 스퍼터링을 행하는 경우, 상기한 스퍼터링 가스와 함께 O2, N2, CH4, H2O, NH3 등의 반응 가스를 도입하여, 당해 반응 가스와 상기 타깃재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타깃 재료로서는, 원통 형상 타깃으로서 제작 가능하며 종래의 마그네트론 스퍼터 방전이 가능한 재료이면, 어떠한 재료라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스퍼터링 가스, 반응성 스퍼터링, 타깃 재료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 형태의 스퍼터링 장치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와 같이 스퍼터 전원(3)이 직류 전원이며 양 원통 형상 타깃(13, 13)에 부의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스퍼터용의 각종 전원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스퍼터 전원은, 캐소드를 구성하는 타깃에 부전압을 간헐적으로 가하는 펄스 직류 전원, 부전압을 간헐적으로 가하는 동시에 그 동안에 절대값이 작은 정(正)의 전압을 인가하는, 이른바 바이폴라 펄스 직류 전원, 혹은 파형으로서 정현파나 펄스 파형을 포함하는 고주파 또는 중간 주파의 교류 전원이라도 좋다. 이들 전원 모두, 한 쌍의 원통 형상 타깃이 동시에 부전위가 되었을 때에 페닝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스퍼터 전원(3)의 부극에 접속되는 한 쌍의 원통 형상 타깃(13)이 캐소드 전극 부재를 구성하고, 스퍼터 전원(3)의 정극에 접속되는 진공 챔버(1)가 애노드 전극 부재를 구성하지만, 진공 챔버(1)와는 별도의 전용의 애노드 전극 부재에 상기 스퍼터 전원(3)의 정극이 접속되어도 좋다. 이 스퍼터 전원과 그 접속에 대해서는, 사용해야 할 전원이 특기되지 않는 한, 후술하는 다른 실시 형태의 스퍼터링 장치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제2 실시 형태는, 원통 형상 타깃끼리의 사이에 자기력선이 기재측으로 팽창된 자기장이 형성되는 점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 이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와 공통되는 부재에는 공통의 참조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간략 내지 생략한다.
본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각 스퍼터 증발원(2)도, 각각 원통 형상 부재(12), 원통 형상 타깃(13) 및 자기장 발생 부재(14)를 갖지만, 각 원통 형상 타깃(13)의 내측에 배치되는 자기장 발생 부재(14)는, 그 원통 형상 타깃(13)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 상에 있어서, 양 원통 형상 타깃(13, 13)의 중심축을 연결하는 기준선 및 자기장 발생 부재(14)의 자극 중심선에 대해 기재(W)의 세트 위치측으로 각도(θ)만큼 경사져 있다.
이 경사 각도(θ)는, 바람직하게는 0°<θ<6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θ≤45°의 범위로 설정된다. 도 4에서는, 한쪽의 자기장 발생 부재(14)의 경사 각도(θ)와 다른 쪽의 자기장 발생 부재(14)의 경사 각도(θ)가 동등하지만, 이들 경사 각도는 서로 달라도 좋고, 적어도 한쪽의 자기장 발생 부재(14)의 경사 각도(θ)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좋다. 예를 들어, 다른 쪽의 자기장 발생 부재(14)의 경사 각도(θ)는 0°라도 좋다. 상기 제1 실시 형태는, 양쪽의 자기장 발생 부재(14, 14)의 경사 각도(θ)가 0°인 경우에 상당하는 것이다.
상기 경사 각도(θ)를 갖는 자기장 발생 부재(14, 14)는, 그 한쪽의 자기장 발생 부재(14)의 내면측 자극과 다른 쪽의 자기장 발생 부재(14)의 내면측 자극을 연결하는 자기력선이 기재(W)측으로 팽창된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원통 형상 타깃(13, 13)의 사이에 기재(W)측으로 치우친 자기장 영역에 상기 페닝 방전에 의한 플라즈마(P)가 형성됨으로써, 원통 형상 타깃(13)의 소모 위치도 기재(W)측으로 치우쳐, 그 위치로부터 법선 방향으로의 성막 증기의 비산이 우세해지므로, 성막 입자가 기재(W)측으로 치우쳐 방출된다. 이에 의해, 기재(W)에 대한 성막 속도가 높여진다.
또한,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14)는 반드시 도 4에 도시되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상기 경사 각도(θ)가 변화되도록 상기 원통 형상 타깃(13)의 중심축 주위로 이동 가능(즉,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그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이것은 자기장, 나아가서는 플라즈마의 형태의 제어에 의한 성막 속도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캐소드를 구성하는 2개의 전극 부재가 모두 상기 스퍼터 증발원(2)의 원통 형상 타깃(13)에 의해 구성되지만,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그 중 한쪽의 스퍼터 증발원(2)이 생략되고, 이 대신에 보조 전극 구조체(21)가 진공 챔버(1)에 설치되어 다른 하나의 캐소드를 구성한다. 따라서, 이하, 이 점을 중심으로 설명을 행하고,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스퍼터링 장치와 공통인 부재에는 공통인 참조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간략 내지 생략한다.
상기 보조 전극 구조체(21)는, 보조 전극 부재(23) 및 보조 자기장 발생 부재(24)를 구비한다. 보조 자기장 발생 부재(24)는, 스퍼터 증발원(2)의 자기장 발생 부재(14)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즉, 이 보조 자기장 발생 부재(24)는, 횡단면이 사각형인 막대 형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대편의 스퍼터 증발원(2)의 원통 형상 부재(12) 및 원통 형상 타깃(13)의 중심축과 평행한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 형상 타깃(13)의 횡단면에 있어서, 당해 원통 형상 타깃(13)의 중심축을 통과하고 또한 기재(W)에 평행한 기준선에 대해, 스퍼터 증발원(2)의 자기장 발생 부재(14)의 자극 중심선 및 보조 자기장 발생 부재(24)의 자극 중심선이 모두 경사 각도(θ)를 갖도록, 당해 보조 자기장 발생 부재(2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14) 및 보조 자기장 발생 부재(24)의 경사 각도(θ)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그 적어도 한쪽이 0°<θ<60°, 나아가서는 10°≤θ≤45°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θ=0°라도 좋다.
상기 보조 자기장 발생 부재(24)는, 그 상대편의 스퍼터 증발원(2)의 자기장 발생 부재(14)의 내면측 자극[즉,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당해 스퍼터 증발원(2)의 원통 형상 부재(12)의 외주면의 근방, 즉 원통 형상 타깃(13)의 내주면의 근방의 자극]에 대향하는 자극(이하,「대향 자극」이라 함)을 갖고, 이 대향 자극은 상기 내면측 자극의 극성과 반대의 극성을 갖는다.
상기 보조 전극 부재(23)는, 사각형 띠 판 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상기 원통 형상 타깃(13)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보조 자기장 발생 부재(24)의 대향 자극의 전방측에 부설되어 있다.
본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에서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원통 형상 타깃(13)의 내측에 설치된 자기장 발생 부재(14)와 상기 보조 전극 부재(23)의 이면측에 설치된 보조 자기장 발생 부재(24)가, 상기 보조 전극 부재(23)와 상기 원통 형상 타깃(13)의 사이의 공간부에, 자기력선이 기재(W)측으로 팽창된 자기장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진공 챔버(1) 내에 Ar 등의 스퍼터링 가스가 공급되고, 또한 원통 형상 타깃(13) 및 보조 전극 부재(23)에 부극성의 직류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자기장의 영역에 페닝 방전이 발생한다. 그리고 그 방전 영역에 발생한 플라즈마(P)에 의해 원통 형상 타깃(13)의 표면이 소모되고, 또한 그 소모 영역이 당해 원통 형상 타깃(13)의 회전에 의해 균일화된다.
상기 보조 전극 부재(23)에 인가되는 전압은, 상기 원통 형상 타깃(13)에 인가되는 전압과 같은 레벨이라도 좋지만, 이 경우는 당해 타깃(13)과 같은 정도로 보조 전극 부재(23)도 스퍼터되어 버린다. 이에 대해, 보조 전극 부재(23)에 대한 인가 전압의 절대값이 원통 형상 타깃(13)에 대한 인가 전압의 절대값보다도 낮게 설정되면, 보조 전극 부재(23)의 스퍼터량의 억제가 가능해진다. 또한, 보조 전극 부재(23)는 전기적으로 플로팅되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는, 제1 증발원 유닛(5A) 및 제2 증발원 유닛(5B)을 구비하고, 각 증발원 유닛[5A(5B)]은, 각각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한 쌍의 스퍼터 증발원(2, 2)에 의해 구성된다. 양 증발원 유닛(5A, 5B)에 포함되는 모든 원통 형상 타깃(13)은, 동일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이들 원통 형상 타깃(13)에 대해 그 배열 방향 및 축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성막 면적이 큰 기재(W)가 세트된다.
상기 스퍼터 전원(3)에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갖는 교류 전원이 이용된다. 그리고 그 제1 전극이 상기 제1 증발원 유닛(5A)에 포함되는 양 원통 형상 타깃(13, 13)에 접속되고, 제2 전극이 상기 제2 증발원 유닛(5B)에 포함되는 양 원통 형상 타깃(13, 13)에 접속되어 있다.
각 증발원 유닛(5A, 5B)을 구성하는 한 쌍의 스퍼터 증발원(2)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 증발원(2)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 증발원(2, 2)이라도 좋다. 혹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 증발원(2)과 보조 전극 구조체(21)의 조합에 의해 각 증발원 유닛(5A, 5B)이 구성되어도 좋다.
본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에서는, 이른바 듀얼 마그네트론 스퍼터 장치와 마찬가지로, 2세트의 전극이 교대로 정극, 부극이 되므로, 타깃의 산화에 의한 포이즈닝 등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i 타깃으로 SiO2와 같은 절연성이 높은 피막을 형성하는 경우에, 이른바 양극(陽極) 소실이 발생하지 않아, 장시간 안정 방전이 가능하다. 또한, 성막 면적이 큰 대형 기재(W)에 대해서도 효율적으로 성막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하나의 평판 형상의 기재(W)가 한 쌍의 스퍼터 증발원(2, 2)의 사이의 공간부, 혹은 하나의 스퍼터 증발원(2)과 보조 전극 구조체(21)의 사이의 공간부에 대향하도록 세트되지만,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의 양측에 각각 기재(W)가 세트되어도 좋다. 또한, 기재(W)는 상기 공간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되지 않아도 좋고, 당해 공간부의 전후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세트되어도 좋다. 그 이동은, 피막의 균일성의 향상이나, 장척(長尺) 기재에 대한 성막을 가능하게 한다. 이 기재(W)의 이동은, 예를 들어 당해 기재(W)를 보유 지지하는 기재 홀더가 이동 가능해지도록 상기 진공 챔버(1)에 설치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도 7에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장치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한 쌍의 스퍼터 증발원(2)을 이용하여 필름이나 시트로 이루어지는 필름 형상 기재(WF)로의 성막이 행해진다.
이 장치에서는, 한 쌍의 스퍼터 증발원(2)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상기 필름 형상 기재(WF)를 반송하기 위한 한 쌍의 기재 반송 기구(20, 20)가 설치된다. 각 기재 반송 기구(20)는, 각각 상기 필름 형상 기재(WF)를 권출하기 위한 권출 롤(27)과, 상기 필름 형상 기재(WF)의 중간 부분을 성막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성막 롤(26)과, 상기 필름 형상 기재(WF)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 롤(28)을 구비한다.
상기 양 성막 롤(26, 26)은, 한 쌍의 스퍼터 증발원(2, 2)의 원통 형상 타깃(13, 13)끼리의 사이의 공간부에 대해 당해 원통 형상 타깃(13, 13)의 중심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당해 공간부의 양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 성막 롤(26)의 외주면 중 상기 공간부측에 면하는 면에 상기 필름 형상 기재(WF)의 중간부가 감긴다. 상기 각 권출 롤(27)은, 상기 각 성막 롤(26)의 회전에 따라서 필름 형상 기재(WF)의 새로운 부분을 권출하고, 상기 각 권취 롤(28)은 상기 각 성막 롤(26)의 회전에 따라서 성막 후의 필름 형상 기재(WF)를 권취한다.
이 장치에서는, 상기 성막 롤(26)이 회전하여 당해 성막 롤(26) 상의 기재(WF)를 순차 하류측으로 보내면서, 그 기재(WF) 중 상기 성막 롤(26) 상에 위치하는 부분(즉, 상기 공간부에 대향하는 부분)에의 스퍼터 성막이 행해진다. 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재 반송 기구(20, 20) 중 한쪽은 생략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를 도 8에 도시한다. 이 장치는, 제1 증발원 유닛(5A) 및 제2 증발원 유닛(5B)과, 이들 유닛(5A, 5B)의 사이에서 필름 형상 기재(WF)를 반송하는 기재 반송 기구(20)를 구비한다. 기재 반송 기구(20)는, 상기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기재 반송 기구(20)와 마찬가지로, 성막 롤(26)과, 권출 롤(27) 및 권취 롤(28)을 구비하고, 당해 성막 롤(26)의 외주면 상에 필름 형상 기재(WF)가 감긴다.
상기 제1 증발원 유닛(5A)은, 상기 성막 롤(26)의 외주면 중 그 회전 방향 상류측의 부위에 감긴 필름 형상 기재(WF)에 대해 성막을 행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증발원 유닛(5B)은 상기 성막 롤(26)의 외주면 중 그 회전 방향 하류측의 부위에 감긴 필름 형상 기재(WF)에 대해 성막을 행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각 증발원 유닛(5A, 5B)은, 상기 도 4에 도시되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한 쌍의 스퍼터 증발원(2, 2)을 구비하고, 이들 스퍼터 증발원(2)의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자기력선이 상기 성막 롤(26)에 감긴 필름 형상 기재(WF)에 근접하는 측으로 팽창되도록, 각 증발원 유닛(5A, 5B)이 배치된다.
본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성막 롤(26)이 회전하여 필름 형상 기재(WF)를 반송하면서, 양 증발원 유닛(5A, 5B)이 당해 필름 형상 기재(WF) 상에 성막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증발원 유닛(5A, 5B)의 원통 형상 타깃(13)의 재질은 서로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또한, 증발원 유닛(5A, 5B) 중 한쪽은 생략되어도 좋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증발원 유닛(5A) 및 제2 증발원 유닛(5B)을 구비하는 장치는,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의 변형예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퍼터 전원으로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갖는 교류 전원이 이용되고, 제1 전극에 제1 증발원 유닛(5A)의 원통 형상 타깃(13, 13)이 접속되고, 제2 전극에 제2 증발원 유닛(5B)의 원통 형상 타깃(13, 13)이 접속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를 도 9에 도시한다. 이 장치는, 통 형상 기재(WP)의 성막에 적합한 것으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한 쌍의 스퍼터 증발원(2, 2)과, 회전 테이블(29)을 구비한다. 이 회전 테이블(29)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그 회전 중심 위치의 상방에 상기 양 스퍼터 증발원(2, 2)이 배치되고, 외주부 상에 있어서 그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위치에 각각 통 형상 기재(WP)를 직립 상태로 보유 지지한다. 이 회전 테이블(29)은, 각 통 형상 기재(WP)를 그 중심축 주위로 자전시키면서, 상기 스퍼터 증발원(2, 2)의 주위에서 당해 스퍼터 증발원(2, 2)에 대해 상대 변위하도록 공전시킨다.
이 장치에서는, 상기 스퍼터 증발원(2, 2)에 각각 포함되는 원통 형상 타깃(13, 13)끼리의 사이의 공간부의 양측으로부터 방출된 성막 입자가, 회전 테이블(29) 상에서 공전하면서 자전하는 통 형상 기재(WP)의 외주면에 퇴적되어, 피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복수의 통 형상 기재(WP)의 외주면에 대한 성막이 동시에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이 장치는, 통 형상 기재(WP) 이외의 기재에의 성막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회전 테이블(29) 상에 상기 통 형상 기재(WP) 대신에 통 형상의 기재 홀더가 설치되고, 이 기재 홀더에 다양한 형상의 기재가 보유 지지되어도 좋다. 또한, 회전 테이블(29)의 회전 중심 위치에 설치되는 증발원 유닛은, 제2 실시 형태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것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원통 형상 타깃의 축 방향 단부에 있어서의 국소 소모를 억제하여 이 원통 형상 타깃에 있어서의 이로전 영역을 균일화함으로써 그 사용 수명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스퍼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관한 제1 스퍼터링 장치는, 한 쌍의 스퍼터 증발원과, 이 스퍼터 증발원에 방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스퍼터 전원을 구비한다. 각 스퍼터 증발원은, 중심축을 갖고 그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원통 형상 타깃과, 그 원통 형상 타깃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자기장 발생 부재를 갖고, 이들 스퍼터 증발원의 원통 형상 타깃의 중심축끼리가 서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퍼터 전원은 상기 각 원통 형상 타깃에 당해 원통 형상 타깃을 캐소드로 하여 방전 전력을 공급한다. 양 스퍼터 증발원의 자기장 발생 부재는, 각 스퍼터 증발원에 있어서의 원통 형상 타깃의 표면을 통과하여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의 자기력선을 갖는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캐소드를 구성하는 원통 형상 타깃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자기장은, 성막시에 스퍼터링 가스의 분해에 의해 발생한 전자를 구속하고, 상기 자기장의 영역에 페닝 방전을 발생시킨다. 이 페닝 방전은, 상기 자기장의 존재 영역에서 강하게 발생하고, 그 외주부에서는 전계에 수반되는 플라즈마의 드리프트가 발생하기 때문에, 방전의 존재 영역에 있어서 거의 균일한 방전 플라즈마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스퍼터링 장치에서 발생하는 마그네트론 방전과는 달리, 2개의 선 형상 플라즈마의 단부를 잇는 호 형상의 플라즈마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원통 형상 타깃의 회전에 의한 성막시, 플라즈마 영역에 대응한 원통 형상 타깃의 외주면으로부터 성막 입자가 빠르게 또한 균일하게 증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상기 원통 형상 타깃의 국소 소모를 방지하여, 원통 형상 타깃의 이용률, 나아가서는 사용 수명을 향상시킨다.
또한, 이 스퍼터링 장치는 성막면에 있어서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 기재는 방전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므로, 성막 중의 피막에 플라즈마의 강한 조사가 가해지는 일이 없어, 이온 충격 등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타깃 표면에서 반사되는 이온이나 타깃 표면에서 생성되는 부 이온이 기재를 강하게 조사하는 것도 억제된다. 또한, 종래의 로터리 마그네트론 스퍼터 증발원에서는 타깃의 소모에 수반되는 타깃 표면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가 큰 것에 대해, 본 발명에 관한 스퍼터링 장치에서는 타깃 소모시의 자기장 강도의 변화가 현저하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후육의 원통 형상 타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하나의 타깃에 의한 성막 가능 시간을 길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스퍼터링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스퍼터 증발원의 자기장 발생 부재는, 예를 들어 기재측으로 팽창되는 자기력선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당해 스퍼터 증발원의 자기장 발생 부재는, 상기 자기력선의 팽창을 변화시키는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자기력선이 기재측으로 팽창되는 자기장은, 플라즈마의 발생 영역을 원통 형상 타깃의 사이로부터 기재측으로 어긋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영역에 발생하는 플라즈마는, 원통 형상 타깃의 표면으로부터 증발한 스퍼터 증기를 일방향으로 치우치게 하여 방출시킬 수 있고, 그 방출 방향으로 배치한 기재에 대한 성막 속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자기력선의 팽창이 가변이 되도록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 플라즈마의 발생 영역의 조정에 의해 기재로의 성막 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스퍼터링 장치의 스퍼터 전원에는, 직류 전원, 전압이 제로 또는 역극성인 기간을 반복하여 포함하는 간헐적 직류 전원, 혹은 교류 전원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떠한 타입의 전원도, 한 쌍의 원통 형상 타깃이 모두 부전위가 되었을 때에 페닝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스퍼터링 장치는, 상기 원통 형상 타깃 및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를 각각 갖는 한 쌍의 스퍼터 증발원으로 이루어지는 제1 증발원 유닛과, 상기 원통 형상 타깃 및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를 각각 갖는 다른 한 쌍의 스퍼터 증발원으로 이루어지는 제2 증발원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스퍼터 전원은 제1 출력 단부 및 제2 출력 단부를 갖는 교류 전원이며, 그 제1 출력 단부가 상기 제1 증발원 유닛의 한 쌍의 원통 형상 타깃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출력 단부가 상기 제2 증발원 유닛의 한 쌍의 원통 형상 타깃에 접속된 것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제1 증발원 유닛 및 제2 증발원 유닛을 아울러 갖는 장치는, 이른바 듀얼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와 마찬가지로, 산화물 등의 절연성의 피막을 성막하는 경우의 애노드 소실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2 스퍼터링 장치는, 스퍼터 증발원과, 스퍼터 전원과, 보조 전극 구조체를 구비한다. 상기 스퍼터 증발원은, 중심축을 갖고 그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해지도록 배치되는 원통 형상 타깃과, 그 원통 형상 타깃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자기장 발생 부재를 갖고, 상기 원통 형상 타깃에 당해 원통 형상 타깃을 캐소드로 하여 상기 스퍼터 전원이 방전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보조 전극 구조체는, 상기 스퍼터 증발원의 원통 형상 타깃과 평행 내지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여 배치된 보조 전극 부재와, 이 보조 전극 부재에 부설되는 외부 보조 자기장 발생 부재를 갖고, 이 보조 자기장 발생 부재와 상기 스퍼터 증발원에 설치된 자기장 발생 부재가, 상기 원통 형상 타깃의 표면을 통과하여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의 자기력선을 갖는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 제2 스퍼터링 장치에 있어서도, 상기 스퍼터 증발원의 자기장 발생 부재 및 상기 보조 자기장 발생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부재가, 상기 자기력선을 기재측으로 팽창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당해 부재는 상기 자기력선의 팽창을 변화시키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 제2 스퍼터링 장치는, 보조 전극 구조체를 가지므로, 스퍼터 증발원이 단일인 경우에도 제1 스퍼터링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전극 부재는, 상기 스퍼터 증발원의 원통 형상 타깃과 함께 캐소드로서 스퍼터 전극에 접속되어도 좋고, 혹은 전기적으로 플로팅되어도 좋다.

Claims (7)

  1. 진공 챔버 내에 도입된 스퍼터링 가스 중에서 타깃 표면으로부터 스퍼터 증발한 성막 입자를 기재의 표면에 퇴적시켜 피막을 형성하는 스퍼터링 장치이며,
    중심축을 갖고 그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해지도록 배치되는 원통 형상 타깃과, 이 원통 형상 타깃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원통 형상 타깃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자기장 발생 부재를 각각 갖는 한 쌍의 스퍼터 증발원과,
    상기 각 스퍼터 증발원의 원통 형상 타깃을 각각 캐소드로 하여 당해 원통 형상 타깃에 방전 전력을 공급하는 스퍼터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각 스퍼터 증발원의 원통 형상 타깃이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각 자기장 발생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원통 형상 타깃의 표면을 통과하여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의 자기력선을 갖는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스퍼터 전원은 상기 원통 형상 타깃 사이에 페닝 방전을 발생시키는, 스퍼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퍼터 증발원의 자기장 발생 부재는, 상기 자기력선이 기재측으로 팽창되도록 설치되는, 스퍼터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퍼터 증발원 중 적어도 한쪽의 스퍼터 증발원의 자기장 발생 부재는, 상기 자기력선의 팽창을 변화시키는 것과 같은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설치되는, 스퍼터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터 전원은, 직류 전원, 전압이 제로 또는 역극성인 기간을 반복하여 포함하는 간헐적 직류 전원, 교류 전원 중 어느 하나인, 스퍼터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 형상 타깃 및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를 각각 갖는 한 쌍의 스퍼터 증발원으로 이루어지는 제1 증발원 유닛과, 상기 원통 형상 타깃 및 상기 자기장 발생 부재를 각각 갖는 별도의 한 쌍의 스퍼터 증발원으로 이루어지는 제2 증발원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스퍼터 전원은 제1 출력 단부 및 제2 출력 단부를 갖는 교류 전원이며, 그 제1 출력 단부가 상기 제1 증발원 유닛의 한 쌍의 원통 형상 타깃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출력 단부가 상기 제2 증발원 유닛의 한 쌍의 원통 형상 타깃에 접속되는, 스퍼터링 장치.
  6. 진공 챔버에 도입한 스퍼터링 가스 중에서 타깃 표면으로부터 스퍼터 증발한 성막 입자를 기재의 표면에 퇴적시켜 피막을 형성하는 스퍼터링 장치이며,
    중심축을 갖고 그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해지도록 배치된 원통 형상 타깃과, 그 원통 형상 타깃의 내측에 설치되고, 당해 원통 형상 타깃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자기장 발생 부재를 갖는 스퍼터 증발원과,
    상기 스퍼터 증발원의 원통 형상 타깃과 평행하게 대향하여 배치되는 보조 전극 부재와, 당해 보조 전극 부재에 부설되는 보조 자기장 발생 부재를 갖는 보조 전극 구조체와,
    적어도 상기 스퍼터 증발원의 원통 형상 타깃을 캐소드로 하여 이것에 방전 전력을 공급하는 스퍼터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스퍼터 증발원에 설치된 자기장 발생 부재와 상기 보조 자기장 발생 부재는, 상기 원통 형상 타깃의 표면을 통과하여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의 자기력선을 갖는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스퍼터 전원은 상기 원통 형상 타깃 사이에 페닝 방전을 발생시키는, 스퍼터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터 증발원의 자기장 발생 부재 및 상기 보조 자기장 발생 부재는, 상기 자기력선이 기재측으로 팽창되도록 설치되는, 스퍼터링 장치.
KR1020107001058A 2007-07-20 2008-05-29 스퍼터링 장치 KR101175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89471A JP2009024230A (ja) 2007-07-20 2007-07-20 スパッタリング装置
JPJP-P-2007-189471 2007-07-20
PCT/JP2008/059880 WO2009013935A1 (ja) 2007-07-20 2008-05-29 スパッタリ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222A KR20100027222A (ko) 2010-03-10
KR101175843B1 true KR101175843B1 (ko) 2012-08-24

Family

ID=4028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058A KR101175843B1 (ko) 2007-07-20 2008-05-29 스퍼터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81191A1 (ko)
JP (1) JP2009024230A (ko)
KR (1) KR101175843B1 (ko)
CN (1) CN101755071B (ko)
DE (1) DE112008001930T5 (ko)
WO (1) WO20090139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223B1 (ko) 2013-01-31 2015-02-17 (주)에스엔텍 원통형 플라즈마 캐소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0782B2 (ja) * 2009-05-18 2013-07-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連続成膜装置
JP5527894B2 (ja) * 2010-09-01 2014-06-25 株式会社アルバック スパッタ装置
KR101273771B1 (ko) * 2010-11-09 2013-06-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롤투롤 스퍼터링 시스템
CA2824749C (en) * 2011-02-23 2016-04-26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Kobe Steel, Ltd.) Arc evaporation source
CN103160792B (zh) * 2011-12-12 2017-02-08 许聪波 镀膜装置
JP6073383B2 (ja) * 2012-03-12 2017-02-01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ied Materials,Incorporated スパッタ堆積用の小型の回転可能なスパッタデバイス
KR20150023472A (ko) * 2012-05-29 2015-03-05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기판 코팅 방법 및 코팅기
KR102150455B1 (ko) * 2013-04-23 2020-09-01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스퍼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증착장치
KR102150456B1 (ko) * 2013-04-30 2020-09-01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스퍼터링 장치 및 방법
CN103409725A (zh) * 2013-05-22 2013-11-27 东莞宏威数码机械有限公司 旋转异形靶阴极机构及磁控溅射镀膜装置
EP2811507B1 (en) * 2013-06-07 2020-02-19 Soleras Advanced Coatings bvba Magnetic configuration for a magnetron sputter deposition system
EP2811509A1 (en) * 2013-06-07 2014-12-10 Soleras Advanced Coatings bvba Electronic configuration for magnetron sputter deposition systems
JP6309353B2 (ja) * 2014-06-06 2018-04-11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スパッタリング装置およびスパッタリング方法
US9928997B2 (en) 2014-12-14 2018-03-27 Applied Materials, Inc. Apparatus for PVD dielectric deposition
JP6209286B2 (ja) * 2015-03-20 2017-10-04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成膜装置及び成膜ワーク製造方法
KR101716848B1 (ko) * 2015-09-18 2017-03-15 이만호 공간형 이온 빔 발생 장치
CN108138304A (zh) * 2015-10-25 2018-06-08 应用材料公司 用于在基板上真空沉积的设备和用于在真空沉积期间掩蔽基板的方法
DE102016101717A1 (de) * 2016-02-01 2017-08-03 Von Ardenne Gmbh Sputteranordnung
KR20200036065A (ko) * 2016-03-30 2020-04-06 케이힌 람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스퍼터링 캐소드, 스퍼터링 장치 및 성막체의 제조 방법
KR102333039B1 (ko) * 2016-05-02 2021-11-29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기판을 코팅하는 방법 및 기판을 코팅하기 위한 코팅 장치
CN106906447A (zh) * 2016-12-27 2017-06-30 王开安 磁控溅射镀膜源及其装置与方法
CN108456867A (zh) * 2018-06-22 2018-08-28 广东腾胜真空技术工程有限公司 配置辅助阳极的低温沉积设备
DE102018213534A1 (de) * 2018-08-10 2020-02-1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ichten mit verbesserter Uniformität bei Beschichtungsanlagen mit horizontal rotierender Substratführung
JP2020164985A (ja) * 2019-03-26 2020-10-08 日東電工株式会社 マグネトロンプラズマ成膜装置
WO2020259795A1 (en) * 2019-06-24 2020-12-30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of depositing a material on a substrate
CN113403595A (zh) * 2021-06-01 2021-09-17 无锡爱尔华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镜像靶磁控溅射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6073A (en) * 1981-02-12 1982-10-26 Shatterproof Glass Corporation Magnetron cathode sputtering apparatus
JPH0368113A (ja) 1989-08-07 1991-03-25 Mitsubishi Electric Corp 油入電気機器
JPH03104864A (ja) * 1989-09-18 1991-05-01 Hitachi Ltd スパッタリングカソード
JPH10509773A (ja) * 1995-04-25 1998-09-22 ザ ビーオーシー グル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基板上に誘電体層を形成するためのスパッタリング装置及び方法
US6488824B1 (en) * 1998-11-06 2002-12-03 Raycom Technologies, Inc. Sputtering apparatus and process for high rate coatings
JP2001200357A (ja) * 2000-01-19 2001-07-24 Nippon Sheet Glass Co Ltd 成膜装置と成膜方法
DE10213049A1 (de) * 2002-03-22 2003-10-02 Dieter Wurczinger Drehbare Rohrkatode
US20040074770A1 (en) * 2002-07-02 2004-04-22 George Wityak Rotary target
PL1722005T3 (pl) * 2005-05-13 2007-11-30 Applied Mat Gmbh & Co Kg Sposób stosowania katody napylającej z targetem
JP4922581B2 (ja) * 2005-07-29 2012-04-25 株式会社アルバック スパッタリング装置及びスパッタリング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223B1 (ko) 2013-01-31 2015-02-17 (주)에스엔텍 원통형 플라즈마 캐소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55071B (zh) 2012-03-21
JP2009024230A (ja) 2009-02-05
WO2009013935A1 (ja) 2009-01-29
DE112008001930T5 (de) 2010-07-08
US20100181191A1 (en) 2010-07-22
CN101755071A (zh) 2010-06-23
KR20100027222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843B1 (ko) 스퍼터링 장치
JP2007277708A (ja) 成膜装置および成膜方法
KR100343033B1 (ko) 진공아크 증발원 및 진공아크 증착장치
US10982318B2 (en) Arc evaporation source
WO2010134346A1 (ja) 成膜方法及び成膜装置
US9508532B2 (en) Magnetron plasma apparatus
CA2801629C (en) Arc evaporation source having fast film-forming speed, coat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film formation apparatus using the arc evaporation source
JP2007529633A (ja) 薄膜を製造するためのスパッタリング装置
JP3749178B2 (ja) 切頭円錐形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のためのターゲット利用率の高い磁気構成
US20150108894A1 (en) Wide metal-free plasma flood gun
JP2011184779A (ja) アークイオンプレーティング装置
JP5231962B2 (ja) シートプラズマ成膜装置
JP5524290B2 (ja) スパッタリング装置
JP2014196528A (ja) マグネトロンスパッタリングカソード及びこれを備えたスパッタリング装置並びに該スパッタリング装置を用いたスパッタリング成膜方法
KR102171588B1 (ko) 스퍼터링 장치 및 방법
JP5644676B2 (ja) アークイオンプレ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成膜方法
JPH1136063A (ja) アーク式蒸発源
JP4684141B2 (ja) 真空アーク蒸発源及び真空アーク蒸着装置
KR101629131B1 (ko) 아크식 증발원
JP3789667B2 (ja) 真空アーク蒸発源及び真空アーク蒸着装置
JP5644675B2 (ja) アークイオンプレ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成膜方法
JP2008280550A (ja) 対向ターゲットスパッタ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