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522B1 -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 - Google Patents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522B1
KR101175522B1 KR1020120019784A KR20120019784A KR101175522B1 KR 101175522 B1 KR101175522 B1 KR 101175522B1 KR 1020120019784 A KR1020120019784 A KR 1020120019784A KR 20120019784 A KR20120019784 A KR 20120019784A KR 101175522 B1 KR101175522 B1 KR 101175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ley
dough
ramen
screw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원태
제강모
제해수
Original Assignee
제강모
허원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강모, 허원태 filed Critical 제강모
Priority to KR1020120019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20Extruding machines with wor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23L7/113Parboiled or instant pas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6Extr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리라면을 제조하기 위한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생 보리분말 75~90 중량%와 팽화 보리분말 10~25 중량%를 배합하여 보리분말 배합분을 얻은 후, 상기 보리분말 배합분에 전분류를 배합분 중량의 5~50 중량% 혼합하여 형성한 표준 배합분과 반죽수를 혼합하여 형성한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압출하여 면선으로 만드는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로서, 상기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이 투입되며 하부에 압축날개(11')가 구비된 반죽물 호퍼(11)와; 1조 나선 스크류(12a)를 이용하여 반죽물 호퍼(11)로부터 유입된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압축하며 배럴(12b)의 끝단부에 기포 배출을 위한 배기관(13)이 연결된 압축형성부(12)와; 2조 나선 스크류(14a)를 이용하여 압축형성부(12)에서 압축된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추가 압축하는 가압부(14)와;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형 스크류(16')를 이용하여 가압부(14)로부터 유입된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압축 및 균질화하는 압축균질부(16)와; 압축균질부(16)로부터 배출되는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일시 정체시켜 균일한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토출부(17)와; 2열로 배치된 면선 토출구(22)가 복수개 형성되며 토출부(17)의 출구에 설치되어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이 균일한 압력으로 면선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판(21)을 구비한 면선 생성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Extrusio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Barley Noodle}
본 발명은 보리를 주원료로 하는 보리라면을 제조할 때 압출을 통해 면을 형성하기 위한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리의 함유량이 80% 이상이면서도 별도의 첨가제를 사용하거나 가열 등의 공정이 필요없는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면은 국수를 증숙한 후 건조하면 건조 또는 기름에 튀긴 후 스프와 함께 포장하여 판매하며, 조리시 건조면 또는 유탕면에 스프를 첨가하는 간단한 조리과정을 통해 간식이나 주식으로 간편하게 이용하는 인스턴트 식품이다.
이러한 라면은 대부분 소맥분을 주원료로 하고 있으며, 정해진 부재료를 첨가하여 배합 및 반죽한 후 압연롤러로 압연하여 면대를 형성하고, 이 면대를 절출칼로 절출하여 면선을 만든 다음 웨이브를 형성하고 증숙하여 요구하는 분량을 유탕처리하거나 건조처리 한 후 포장하는 공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소맥분의 가격 상승으로 인하여 쌀과 같은 곡류를 주재료로 한 면류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자체발열 또는 히터가열 압출 방식으로 숙면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웨이브 형성이 불리하여 단순국수 형태의 면류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는 소맥분을 제외한 보리 등 곡류는 대체적으로 글루텐의 성분이 부족하여 점성이 약하기 때문이며, 보통 면류의 제조 시에는 10중량%이상의 활성 글루텐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보리를 주원료로 하는 보리라면은 소맥 라면류와 질감이 유사한 특성이 있으나, 보리를 80%이상 함유하는 보리라면은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 10-2010-0069049호 '곡물라면 및 그 제조방법'에는 가압 3중 압연 방식 즉, 외층과 내층으로 구분하여 외층은 소맥분을 주원료로 하고 내층에 요구하는 곡물을 사용하여 압연방식으로 면대를 형성하여 라면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절출칼에 의한 면선 형성 시 내층부분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거나 외층의 두께가 내층에 비해 얇을 시 각 공정을 통과하고 제조된 라면의 조리 시 면의 층 분리의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또, 국내 공개특허 10-2004-0088951호에는 미호화 쌀가루 건면 혹은 쌀가루 혼합 건면을 제조하기 위해 미호화 쌀가루 40~70중량%와 호화쌀가루 60~30중량%를 혼합하여 주재료로 사용하고 글루텐 10~20중량%, 검 1~2% 및 증점제 1~3중량%의 부재료를 첨가하여 면대를 형성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공개특허 10-2005-0021197호에는 곡물라면 제조방법으로 곡류 2중량%~30중량%와 감자전분 20중량%~53중량%를 주성분으로 사용하여 10중량% 내지 17중량%의 글루텐을 포함하여 면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곡류 라면 제조방법은, 내층에 곡물을 넣고 감싸거나, 글루텐의 함량을 높이거나 면질 개량제 등을 첨가하는 롤러 압연 방식 또는 자체발열 및 히터 가열을 통한 압출 숙면 방식의 라면 제조방법에 해당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곡류 라면 제조방법은, 사용하고자하는 곡물의 최대 함유치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보리의 총량을 80%이상으로 함유하는 보리라면을 제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단계 압축을 통해 보리 함유량이 80% 이상인 보리라면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생 보리분말 75~90 중량%와 팽화 보리분말 10~25 중량%를 배합하여 보리분말 배합분을 얻은 후, 상기 보리분말 배합분에 전분류를 배합분 중량의 5~50 중량% 혼합하여 형성한 표준 배합분을 형성하고, 이 표준 배합분과 반죽수를 혼합하여 형성한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압출하여 면선으로 만드는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로서,
상기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이 투입되며 하부에 압축날개가 구비된 반죽물 호퍼와; 선단부 상측에 상기 반죽물 호퍼가 연결되고, 1조의 나사 스크류로 이루어진 1조 나선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반죽물 호퍼로부터 유입된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압축하며 배럴의 끝단부에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의 진행 방향과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에서 나온 기포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관이 연결된 압축형성부와; 상기 압축형성부의 후방에 연결되며, 2조의 나사 스크류로 이루어진 2조 나선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압축형성부에서 압축된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추가 압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후방에 연결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형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부로부터 유입된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압축 및 균질화하는 압축균질부와; 상기 압출균질부의 출구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압축균질부로부터 배출되는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일시 정체시켜 균일한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토출부와; 2열로 배치된 면선 토출구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의 출구에 설치되어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이 균일한 압력으로 상기 면선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판을 구비한 면선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 본 발명의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의 배럴 외측에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 재킷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에 따르면, 상기 압축형성부의 압축률과 상기 가압부의 압축률은 1.3~3:1의 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에 따르면, 상기 토출판은 그 두께가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에 따르면, 상기 압축형성부의 1조 나선 스크류와, 상기 가압부의 2조 나선 스크류 및 상기 압출균질부의 테이퍼형 스크류는 단일축에 의해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를 이용하여 면선을 형성한 보리라면은 종래의 소맥라면과 손색없는 식감을 보유할 뿐만 아니라 점성이 적은 보리 등 곡물의 함량을 종래의 방법보다 높게 할 수 있어 보리 등 곡물이 갖고 있는 고유의 성분들을 섭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에 따르면, 제조장치의 간소화와 조작의 간편함으로 소형에서 대형설비까지 상대적 저비용으로 라면을 제조할 수 있으며, 기존의 소맥분을 사용한 라면 이외에 다양한 곡류 라면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어 라면의 품목 다변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에 따르면, 생면의 효과와 더불어 개량제 등의 미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반죽물 투입 후 면선이 형성되는 과정이 6초 이내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숙련의 기능인이 아니라 할지라도 용이하게 조작하여 요구하는 보리라면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에 의해 제조된 보리라면에서는 총 함량 중 보리가 차지하는 비율이 95~65중량%를 점할 수 있어, 보리뿐만 아니라 밀가루의 대체원료로 점성이 적은 기타의 곡류인 쌀, 조, 수수, 옥수수 등을 사용할 수 있어 곡류 라면의 다변화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에 따르면, 점성이 현저히 낮은 보리 등 곡류를 주원료로 사용하고 그 함유량을 최대화시키며 글루텐 등 면질 개량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라면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에 따르면, 압연 방식과 가열 압출 방식의 기능을 통해 압연 생면과 압출 숙면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단순함 및 편리함과 운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주원료 곡물인 보리 함유량의 증가에도 종래의 소맥라면과 동등한 특성을 갖는 보리라면을 제조할 수 있으며, 팽화보리 분말을 활용하여 가열하지 않음으로써 생면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리라면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토출판의 저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를 이용하여 보리라면을 제조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 보리분말 60~95 중량%와 팽화 보리분말 5~40 중량%를 배합하여 보리분말 배합분을 얻은 후, 상기 보리분말 배합분에 전분류를 배합분 중량의 5~50 중량% 혼합하여 표준 배합분을 얻는 준비 단계와; 상기 표준 배합분과 염도 1~4도의 반죽수를 60~75 중량%:25~4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반죽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숙성하여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생성하는 반죽물 생성단계와; 숙성이 끝난 반죽물을 단일축 3단 복합 압출 스크류를 이용하여 압축 및 균질화한 후 압출하여 면선으로 형성하는 면선 형성단계와; 상기 면선을 웨이브 성형한 후, 증숙, 절단, 유탕 및 건조하여 제품화하는 후처리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면선 형성단계는 1조 나선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반죽물을 압축함과 아울러 반죽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압축형성공정과, 2조 나선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반죽물을 가압하는 가압공정 및 테이퍼형 스크류를 이용하여 가압이 끝난 반죽물을 압축 및 균질화하는 압축균질공정과, 균질화된 반죽물을 균일한 압력으로 순간 정체시켜 각 면선 토출구로 반죽물이 고르게 분배되어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공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생 보리분말은 함수율 10~15%의 보리를 도정하여 80~160 메쉬로 미분쇄하여 얻은 분말을 사용하고, 상기 팽화 보리분말은 배럴 외부의 세팅 온도 140℃, 속도 300rpm, 함수율 10%, 입자 크기 1~2㎜의 조건으로 팽화시킨 보리 팽화물을 80~100 메쉬에서 미분쇄하여 얻은 분말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리라면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면대의 효과와 면선의 형성을 위한 표준 배합분은, 생 보리 미분말 60~95중량%와 팽화보리 미분말 5~40중량%가 혼합된 배합분에, 감자 전분이나 고구마 전분 등의 전분류를 배합분 중량의 5~20중량%를 혼합하여 만들게 된다. 이어 상기 표준 배합분에 반죽수30~40중량%를 투입하여 반죽한 후, 30~60분간 숙성하여 표준 반죽물로 한다. 표준 배합분에 전분을 사용하는 것은 식감과 기호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한 표준 배합분의 제조시에는 압출기로 속도, 온도, 메쉬, 함수율, 입자크기 등을 세팅하여 제조하고 팽화 분말은 80~100메쉬, 생 보리 분말은 100~120메쉬 기준으로 분쇄한다. 팽화보리 분말은 글루텐, 면질 개량제 등을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보리라면의 주원료인 보리의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완성된 표준 배합분을 보리 함량, 수분, 염분을 조절하여 반죽하고 숙성 후 후술하는 단일축 3단계 복합 압축스크류를 구비한 본 발명의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장치를 이용하여 면선의 두께 등을 조정하여 보리라면을 제공한다.
상기 팽화보리 분말은 단축 팽화 익스트루더를 사용하여 제조히게 된다. 통상적으로 보리 등의 곡물은 섬유질은 많고 전분질이 많아 온도, 속도, 함수율, 입자크기 등의 조건이 필요하며, 각각의 조건을 충족하여 얻은 팽화물을 분쇄도 80~100 메쉬로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다. 팽화보리 분말을 사용하는 것은 점성이 부족한 보리 등의 곡물에 점성과 면질 개선의 목적과, 주원료 보리 등 곡물의 함유량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글루텐, 면질 개량제 등을 사용치 않거나 그 량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배럴 외부의 세팅온도 140℃, 속도300rpm, 함수율10%, 입자크기 평균 1~2mm이 되도록 팽화시킨 후, 이 팽화물을 80~100메쉬로 미분함으로써 팽화보리 분말을 얻게 된다. 또, 생 보리 분말은 함수율10~15%의 보리를 도정한 후, 80~160 메쉬로 미분쇄하여 얻게 된다.
또, 상기 표준 배합분을 배합하는 단계는 배합분은 팽화보리분말5~40중량%, 건조보리분말95~60중량%로 배합한다. 여기서, 식감과 기호성을 위해 감자, 고구마, 소맥, 옥수수전분 등으로부터 선택된 전분류를 배합분 중량%에 대하여 5~20중량%를 포함하여 표준 배합분으로 한다.
반죽 및 숙성하는 단계는 반죽공정에서는 상기한 표준 배합분을 반죽기에 투입한 후 염분을 함유한 반죽수로 반죽을 하는데, 이때, 표준배합분과 반죽수의 비율은 60~75중량% : 25~40중량%로 하는데 있어서, 정제수는 염도를 1~4도로하여 반죽수로 사용한다. 반죽기는 진공 반죽기를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반죽기를 사용하여도 그 효과에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팽화보리 분말이 40중량%이상으로 함유되는 경우에는 반죽기의 구동의 과부하뿐만 아니라, 제조장치의 과부화로 면의 형성에 불리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반죽 후에는 연속공정으로 30~60분간 충분히 숙성을 하는 것이 면질에 바람직하였다.이는, 분말의 입자에 수분의 침투가 원활하여 다가수 효과로 면질의 개선효과가 있다.
면선 형성시에는 반죽물을 가압하여 치밀한 조직을 갖도록 한 후, 압축 균질부에서 균일한 압력으로 압출부로 공급하고, 압출부는 균일한 압력으로 면선 토출구로 보내게 된다. 이때, 토출판에 2열로 배치된 면선 토출구에 의해 면선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충분한 반죽과 숙성이 이루어진 반죽물에 의해 제조된 면선은 균일하고 웨이브가 매우 원활하여 요구하는 바를 얻을 수 있다.
면선이 형성된 이후의 증숙공정, 유탕공정, 건조 및 냉각공정은 통상의 방법으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한 보리라면 제조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생보리 분말과 팽화보리 분말 및 감자전분의 중량을 각각 변화시키면서 반죽 및 면선 형성시의 부하도와 면선 및 웨이브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비교예 1>
생보리 분말 100중량%에 감자전분 5중량%를 혼합하여 반죽할 경우, 반죽 및 면선 형성시의 부하도, 압축 부하도는 양호하였으나, 면선 형성은 매우 불리하고 웨이브 형성시에는 단절 현상이 나타났다.
<실시예 1>
생보리 분말 95중량%와 팽화보리 분말 5중량%로 이루어진 배합분에 대하여 감자전분 5중량%를 혼합한 표준 배합분에서는, 반죽 및 압축 부하도는 양호하나, 면선 형성과 웨이브형성에서 요구하는 바를 얻을 수 없었다.
<실시예 2>
생보리 분말 90중량%와 팽화보리 분말 10중량%로 이루어진 배합분에 대하여 감자전분 5중량%를 혼합한 표준 배합분에서는, 반죽 및 압축의 부하도, 면선 형성과 웨이브형성은 양호하나, 기대치 전체를 충족하지는 못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실시예 3>
생보리 분말 80중량%와 팽화보리 분말 25중량%로 이루어진 배합분에 대하여 감자전분 5중량%를 혼합한 표준 배합분에서는, 반죽 및 압축의 부하도와 면선 형성 및 웨이브 형성 등 전 부분에서 요구하는 바를 충족하였다.
<실시예 4>
생보리 분말 70중량%와 팽화보리 분말 35중량%로 이루어진 배합분에 대하여 감자전분 5중량%를 혼합한 표준 배합분에서는, 반죽 및 압축의 부하도가 증가하기 시작하고 면선 형성에서도 딱딱한 현상이 증가하였으며, 웨이브 형성은 양호하지만 기대치 전체를 충족하지는 못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비교예 2>
생보리 분말 55중량%와 팽화보리 분말 45중량%로 이루어진 배합분에 대하여 감자전분 5중량%를 혼합한 표준 배합분에서는, 반죽 및 압축의 부하도가 작업에 매우 불리하였고, 면선 형성과 웨이브형성 또한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상기한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결과를 표로 나타낸 결과 다음의 표 1을 얻을 수 있었다.
Figure 112012015861817-pat00001
상기한 표 1에 따르면, 팽화보리 분말의 함량이 5~35중량%인 경우가 보리라면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적정함을 알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팽화보리 분말의 함량이 10~25중량%인 경우가 가장 적합하다. 이상의 실험에서는 일반적인 라면 제조 시에 첨가하는 첨가제는 생략하였다.
한편, 표 1에 나타난 표준 배합분을 이용하여 면선을 제조하여, 면선의 증숙 후 상품성에 대한 관능평가를 훈련받지 않은 50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절대평가 하였다. 즉, 라면에 대한 식감과 질감 및 맛과 기호도에 대하여 각각 평가하도록 한 후 그 평균값을 표로 나타낸 결과 다음의 표 2와 같았다.
Figure 112012015861817-pat00002
상기한 표 2의 관능평가를 살펴보면, 표 1에서 나타난 제조 조건의 바람직한 조건이 표 2의 관능평가에서도 대략 동일하게 바람직한 평가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표 2에 따르면 팽화보리의 함량이 5중량% 이하이면 상품성이 저하되고 10~35중량%일 경우 상품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표 1과 표 2를 참조하면, 보리라면 제조시에는 팽화보리의 함량이 20~30중량%가 적당하며, 보리라면은 제조장치 조건과 팽화보리의 함유량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보리라면 제조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는 보리분말 배합분이 포함된 표준 배합분과 반죽수를 혼합하여 형성한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압출하여 면선으로 만드는 장치로서,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이 투입되며 하부에 압축날개(11')가 구비된 반죽물 호퍼(11)와; 하나의 나사 스크류로 이루어진 1조 나선 스크류(12a)를 이용하여 상기 반죽물 호퍼(11)로부터 유입된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압축하며 배럴(12b)의 끝단부에 기포 배출을 위한 배기관(13)이 연결된 압축형성부(12)와; 2조의 나사 스크류로 이루어진 2조 나선 스크류(14a)를 이용하여 상기 압축형성부(12)에서 압축된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추가 압축하는 가압부(14)와;;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형 스크류(16')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부(14)로부터 유입된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압축 및 균질화하는 압축균질부(16)와; 상기 가압부(14)의 배럴(14b) 외측에 설치되어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 재킷(15)과; 상기 압축균질부(16)로부터 배출되는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일시 정체시켜 균일한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토출부(17)와; 2열로 배치된 면선 토출구(22)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17)의 출구에 설치되어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이 균일한 압력으로 상기 면선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판(21)을 구비한 면선 생성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압축형성부(12)의 1조 나선 스크류(12a)와, 상기 가압부(14)의 2조 나선 스크류(14a) 및 상기 압출균질부(16)의 테이퍼형 스크류(16')는 서로 연결되어 단일축에 의해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형성부(12)의 압축률과 상기 가압부(14)의 압축률은 1.3~3:1의 비율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토출판(21)은 그 두께가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는 1차압축, 2차가압, 3차압축균질과 토출부를 통과하고, 2열 면선 토출구를 통하여 면선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압축형성부(12)에서는 면선을 형성하기 위한 압연과 반죽의 역할을 수행하고, 가압부(14)에서는 압연과 면대 형성의 역할을 수행하며, 압축균질부(16)에서는 압축물을 균질화하며, 토출부(17)는 압력을 균일하게 하여 면선이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특히, 압축형성부(12)와 가압부(14) 사이에는 배기관(13)이 설치되어 반죽물 호퍼(11)를 통해 유입된 기포를 면선이 형성되기 전에 제거하여 식감이 좋아지게 한다.
상기 반죽물 호퍼(11)는 반죽과 숙성이 완료된 반죽물을 그 하부에 위치한 상기 압축형성부(12)에 공급하며, 별도의 구동모터와 압축 날개(11')를 구비하여 재료인 반죽물을 중단 없이 강제 공급하게 된다. 만약, 반죽물 공급의 연속성이 없으면 기포 발생과 가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압축형성부(12)는 강제 투입된 반죽물에 대하여 1조 나선 스크류(12a)를 이용하여 압축을 수행하게 되며, 압연 효과를 통해 반죽물을 충분히 압축하여 상기 가압부(14)로 보내게 된다. 이때 압축형성부(12)의 압축률과 상기 가압부(14)의 압축률의 비는 1.3~3 : 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축형성부(12)의 끝단 부분에 형성된 배기관(13)은 상기 반죽물 호퍼(11)로부터 유입된 기포 중 일부라도 면선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초기에 상기 반죽물 호퍼(11)에서 유입된 잔여 기포가 상기 압축형성부(12)의 끝 부분에서 배출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반죽물 공급공정에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기포를 배출시키는데, 기포가 면선과 같이 토출될 경우 기포로 인해 면선의 끊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정한 면선의 유지가 어렵고 연속공정의 불확실, 웨이브공정의 불확실과 성형 시 중량의 계량이 불균일하여 상품성과 경제성이 없어진다.
상기 가압부(14)는 상기 압축형성부(12)에서 공급된 압축된 반죽물을 충분히 가압하는 부분으로서, 기존 압연방식과 대비할 때 압연 롤러의 후반부 압연효과를 이루게 된다. 상기 가압부(14)는 면대형성의 효과와 치밀한 조직을 구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2조 나선 스크류(14a)를 구비한다.
또, 상기 압축균질부(16)는 상기 가압부(14)에서 공급되는 가압된 반죽물을 균질하게 하고 상기 토출부(17)로 압력을 고루 분배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테이퍼 형 1조 나선 스크류(16')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배럴과 테이퍼형 스크류(16') 외곽부 사이의 간극이 점차 증가하여 토출부(17)의 압력과 가압부(14)의 압력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 및 반죽물 리턴을 통해 균질화가 진행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압부(14)의 외측에 구비되는 냉각수 재킷(15)은 생면의 효과를 갖기 위한 것이다 즉, 반죽물에 대한 가압이 이루어질 때 가압에 의한 마찰열 등 물리적 열 발생을 없애기 위해 배럴(14b)의 외부에 냉각수 재킷(15)을 부착하고 워터 펌프를 이용하여 입구(15a)와 출구(15b)를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킨다. 이는 익반죽이 되거나 약간의 호화라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익반죽이 되거나 호화가 될 경우에는 면선이 너무 부드러워 웨이브 형성이 불확실하고 및 달라붙는 현상, 면선의 처짐 현상, 성형의 불균일 현상, 면선과 면선의 엉킴 현상, 이송 시 달라붙는 현상 등이 발생하는 등 전체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17)는 균일한 압력으로 반죽물을 순간 정체시켜, 면선 생성부(20)에 고르게 분배하는 부분으로, 반죽물이 일시 정체되는 정체부와 토출판(21)의 면선 토출구(22)를 통해 면선을 토출하는 면선 생성부(20)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토출판(21)의 면선 토출구(22)는 2열로 구성하여 토출로 하는데 이는 기존의 압연롤러 방식에서 절출칼에 의한 제면과 마찬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토출판(21)의 두께가 중요한데 5mm이상 이어야한다. 이는 면선 형성의 균일함을 보장하고 2층 웨이브 형성을 유효하기 위함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압축형성부(12)는 기존의 압연 방식의 라면 제조방법의 전반부 압연 효과와 면대의 효과가 있고, 가압부(14)는 후반부 압연효과와 면대의 효과 및 치밀한 조직을 형성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균질부(16)는 가압부(14)와 압축형성부(12)에서 형성된 압축물의 압력을 상기 토출부(16)의 전체 부분으로 균일하게 분배함으로써, 가압반죽물을 균질화시키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1...반죽물 호퍼
11'...압축날개
12...압축형성부
12a...1조 나선 스크류
12b...배럴
13...배기관
14...가압부
14a...2조 나선 스크류
14b...배럴
15...냉각수 재킷
16...압축균질부
16'...테이퍼형 스크류
17...토출부
20...면선 생성부
21...토출판
22...면선 토출구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생 보리분말 75~90 중량%와 팽화 보리분말 10~25 중량%를 배합하여 보리분말 배합분을 얻은 후, 상기 보리분말 배합분에 전분류를 배합분 중량의 5~50 중량% 혼합하여 형성한 표준 배합분을 형성하고, 이 표준 배합분과 반죽수를 혼합하여 형성한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압출하여 면선으로 만드는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로서,
    상기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이 투입되며 하부에 압축날개(11')가 구비된 반죽물 호퍼(11)와;
    선단부 상측에 상기 반죽물 호퍼(11)가 연결되고, 1조의 나사 스크류로 이루어진 1조 나선 스크류(12a)를 이용하여 상기 반죽물 호퍼(11)로부터 유입된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압축하며 배럴(12b)의 끝단부에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의 진행 방향과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에서 나온 기포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관(13)이 연결된 압축형성부(12)와;
    상기 압축형성부(12)의 후방에 연결되며, 2조의 나사 스크류로 이루어진 2조 나선 스크류(14a)를 이용하여 상기 압축형성부(12)에서 압축된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추가 압축하는 가압부(14)와;
    상기 가압부(14)의 후방에 연결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형 스크류(16')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부(14)로부터 유입된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압축 및 균질화하는 압축균질부(16)와;
    상기 압출균질부(16)의 출구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압축균질부(16)로부터 배출되는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을 일시 정체시켜 균일한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토출부(17)와;
    2열로 배치된 면선 토출구(22)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17)의 출구에 설치되어 보리라면 제조용 반죽물이 균일한 압력으로 상기 면선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판(21)을 구비한 면선 생성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4)의 배럴(14b) 외측에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 재킷(1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형성부(12)의 압축률과 상기 가압부(14)의 압축률은 1.3~3:1의 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판(21)은 그 두께가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형성부(12)의 1조 나선 스크류(12a)와, 상기 가압부(14)의 2조 나선 스크류(14a) 및 상기 압출균질부(16)의 테이퍼형 스크류(16')는 축 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단일축에 의해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

KR1020120019784A 2012-02-27 2012-02-27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 KR101175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784A KR101175522B1 (ko) 2012-02-27 2012-02-27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784A KR101175522B1 (ko) 2012-02-27 2012-02-27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5522B1 true KR101175522B1 (ko) 2012-08-21

Family

ID=46887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784A KR101175522B1 (ko) 2012-02-27 2012-02-27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5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0524A (zh) * 2015-07-06 2015-09-23 常州大学 一种家用手动简易面条机
KR20150142888A (ko) * 2014-06-12 2015-12-23 정상섭 국수제조장치
KR102474398B1 (ko) 2021-10-22 2022-12-06 이정길 열교환 일체형 제면기
KR20240006783A (ko) 2022-07-07 2024-01-16 용 석 장 압출스크류의 조절부를 갖는 식품 압출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888A (ko) * 2014-06-12 2015-12-23 정상섭 국수제조장치
KR101652159B1 (ko) * 2014-06-12 2016-09-05 정상섭 국수제조장치
CN104920524A (zh) * 2015-07-06 2015-09-23 常州大学 一种家用手动简易面条机
KR102474398B1 (ko) 2021-10-22 2022-12-06 이정길 열교환 일체형 제면기
KR20240006783A (ko) 2022-07-07 2024-01-16 용 석 장 압출스크류의 조절부를 갖는 식품 압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8179B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an expanded food product
KR101175522B1 (ko) 보리라면 제조용 압출 장치
KR101227151B1 (ko) 쌀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쌀 가공 식품
PL201333B1 (pl) Gotowany produkt zbożowy lub sucha karma dla zwierząt oraz sposób i urządzenie do wytwarzania gotowanego produktu zbożowego lub suchej karmy dla zwierząt
TW201114376A (en) Extruded, highly cooked, non-sticky starch products
KR100502200B1 (ko) 팽창된 펠릿 생산 공정
CN104187388A (zh) 一种休闲食品及其制备方法
GB994554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a food from starch-containing material
EP3079494B1 (en) Extruded flakes and manufacturing method
EP3073841B1 (en) Extruded flakes and manufacturing method
RU2347514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зерновых хлопьев
JPH07313091A (ja) ゴマ粒入りポテトチップス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ゴマ粒入りポテトチップス用ペレットの製造装置
JP2007185146A (ja) α化ソバ粉の製造方法
JPS6255045A (ja) 食物繊維高含有食品の製造法
CA2559380A1 (en) Ready-to-eat dry fruit products and process
JP4766315B2 (ja) 造粒米
KR0134040B1 (ko) 인스탄트 건조떡의 제조방법
Acosta Sanchez White food-type sorghum in direct-expansion extrusion applications
KR0137595B1 (ko) 혼합곡립의 제조방법
CN103766754A (zh) 多谷物通心面生产工艺
JPS6152247A (ja) 米穀スナツクの製造方法
RU2366277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мультизерновых хлопьев
TW201531234A (zh) 沖泡米製造方法
JP6920781B2 (ja) エクストルーダー処理したα化デュラム小麦粒を使用した蒸しケーキの製造方法
JPS63129956A (ja) コ−ングリツツを主成分とする膨化型スナツク菓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