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584B1 - 내식성, 내화학성 및 도장밀착성이 우수한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내식성, 내화학성 및 도장밀착성이 우수한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584B1
KR101174584B1 KR1020100127766A KR20100127766A KR101174584B1 KR 101174584 B1 KR101174584 B1 KR 101174584B1 KR 1020100127766 A KR1020100127766 A KR 1020100127766A KR 20100127766 A KR20100127766 A KR 20100127766A KR 101174584 B1 KR101174584 B1 KR 101174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hromium
free
parts
color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6424A (ko
Inventor
정민영
정용수
이영수
김완수
황철윤
Original Assignee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7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584B1/ko
Publication of KR20120066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10Metallic substrate based on F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금속졸 1 ~ 8 중량부, 수분산 미립자 실리카 10 ~ 20 중량부, 가교제 0.5 ~ 5 중량부, 표면장력조정제 0.01 ~ 0.1 중량부 및 기포방지제 0.01 ~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크롬프리 도장하지제를 제공하고, 상기 도장하지제를 금속원판의 양면에 도포하는 단계와, (b) 상기 도포된 크롬프리 도장하지제를 가열 건조하여, 크롬프리 전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금속원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크롬프리 전처리층 상부에 폴리에스테르 50 ~ 60 중량%, 멜라민 경화수지 5 ~ 10 중량%, TiO2, SiO2, P2O5, Al2O3 및 CaO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10 ~ 20 중량%, 하이드로카본 및 시클로핵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용제 15 ~ 20 중량% 및 아크릴릭, 우레탄 및 에폭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 10 ~ 20 중량%를 포함하는 크롬프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크롬프리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크롬프리 상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제공하여 무독성의 칼라강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식성, 내화학성 및 도장밀착성이 우수한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ANTIBIOTIC COLOR STEEL SHEETS}
본 발명은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기금속졸 및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크롬프리 도장하지제에 크롬프리 프라이머층 등을 조합함으로써, 무독성 칼라강판을 제조하면서도 최적의 가공성, 내식성, 도장밀착성 및 내충격성 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칼라강판의 경우 건자재 및 가전제품용으로, 그리고 선진국의 경우 자동차용으로 그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특히 용융아연도금 강판 및 전기아연도금 강판을 생산하는 국내 및 국외 냉연 제품 생산업계 및 기타 철강을 소재로 한 표면처리 중소기업들은 최종 후처리로 크로메이트 처리(Chromate Treatment)와 인산염 처리와 같은 화성처리를 행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중 크로메이트 처리는 크롬산 또는 중크롬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용액 속에 강판을 넣어 방청 피막을 입히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크로메이트 처리는 저렴한 처리공정으로서 강판에 우수한 내식성과 도장밀착성을 부여한다.
그러나 크롬은 대표적인 공해물질로서 작업자 및 환경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규제법이 선진국들에서 제정되고 이에 대한 시행이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크로메이트 처리된 강판의 경우 공정상 6가 크롬(Cr+6)이 폐수로 발생하고 이에 따라 폐수처리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될 뿐 아니라, 국제 크롬 사용 규제에 따라 사용이 곧 금지될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지금까지의 크로메이트 관련 연구는 이제 더 이상 진행이 되지 않고 있으며 크롬을 대체할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방향을 보면 초기에는 크롬 중 6가 크롬이 3가 크롬보다 유독성이 크기 때문에 6가 크롬을 줄이고 100% 3가 크롬 용액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이는 기본적으로 크롬을 없애고자 하는 것이 아니었고 또한 100% 3가 크롬 용액은 내식성과 가격 측면에서 기존의 크로메이트 용액을 대체할만한 장점을 지니지 못했다.
한편, 최근 연구논문에 따르면 무기물들이 아닌 유기물을 사용하여 강판을 화성처리 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고, 유기물질로서는 알콕시실란(Alkoxysilane)이 크로메이트와 인산염의 대체물질로서 최근에 등장하였다.
알콕시실란(Alkoxysilane)은 Y-Si(OR)의 화학식으로 표기되며, Y는 비닐(vinyl), 아미노(amino), 에폭시(epoxy), 메르캡토(mercapto)와 같은 유기작용기(organofunctional group)로서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OR은 -OCH3 , -OC2H5 와 같은 알콕시(alkoxy)기로서 수용성 SiOH가 금속소지층에서 화학적 결합을 한다. 알콕시실란(Alkoxysilane)은 피막의 내식성과 도막밀착성을 증대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으나 가격이 크로메이트 처리에 비해 수십 배 이상 비싸기 때문에 산업용으로는 제한되고 있다.
또한 알콕실란을 이용한 방법은 생산성이 낮기 때문에 가까운 미래에 당장 현실화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외에도 현재 많은 물질들이 크롬 대체를 위한 후보로 연구되고 있으나 그에 대한 결과는 극히 제한적으로 발표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금속원판의 표면에 내식성, 내화학성 및 도장밀착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 무기금속졸, 수분산 미립자 실리카, 가교제, 표면장력조정제 및 기포방지제를 포함하는 크롬프리 도장하지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크롬프리 도장하지제의 안정화를 위해서 크롬프리 프라이머층 및 크롬프리 상도층을 더 형성함으로써, 무독성의 칼라강판을 제조하되, 가공성, 내식성 및 내충격성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칼라강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은 (a)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금속졸 1 ~ 8 중량부, 수분산 미립자 실리카 10 ~ 20 중량부, 가교제 0.5 ~ 5 중량부, 표면장력조정제 0.01 ~ 0.1 중량부 및 기포방지제 0.01 ~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크롬프리 도장하지제를 금속원판의 양면에 도포하는 단계와, (b) 상기 도포된 크롬프리 도장하지제를 가열 건조하여, 크롬프리 전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금속원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크롬프리 전처리층 상부에 폴리에스테르 50 ~ 60 중량%, 멜라민 경화수지 5 ~ 10 중량%, TiO2, SiO2, P2O5, Al2O3 및 CaO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10 ~ 20 중량%, 하이드로카본 및 시클로핵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용제 15 ~ 20 중량% 및 아크릴릭, 우레탄 및 에폭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 10 ~ 20 중량%를 포함하는 크롬프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크롬프리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크롬프리 상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크롬프리 상도층은 폴리에스테르 40 ~ 50 중량%, 멜라민 경화수지 5 ~ 6 중량%, TiO2, 안티몬(Sb), 카본(C), 산화철 및 실리콘(S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20 ~ 30 중량%, 하이드로카본 및 시클로핵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용제 10 ~ 20 중량% 및 아크릴릭, 우레탄 및 에폭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 10 ~ 20 중량%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d) 단계와 동시 또는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금속원판의 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크롬프리 전처리층 하부에 크롬프리 후면도장층을 형성하되, 상기 크롬프리 후면도장층은 폴리에스테르 50 ~ 60 중량%, 멜라민 경화수지 8 ~ 10 중량%, TiO2, 안티몬(Sb), 카본(C), 프탈로시아닌 및 실리콘(S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10 ~ 20 중량%, 하이드로카본 및 시클로핵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용제 10 ~ 20 중량% 및 아크릴릭, 우레탄 및 에폭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 10 ~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장하지제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무기금속졸, 수분산 미립자 실리카, 가교제, 표면장력조정제 및 기포방지제를 포함하는 크롬프리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크롬-베이스(Cr-base) 전처리제 대비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내식성, 내화학성 및 도장밀착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크롬프리 도장하지제에 크롬프리 프라이머층 및 크롬프리 상도층을 조합함으로써, 가공성, 내식성, 내충격성, 우수한 베리어성, 내흑변성, 내지문성, 전기전도도, 내열성 및 내약품성 등을 갖는 우수한 품질의 무독성 칼라강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롬프리 도장하지제를 이용하여 무독성 칼라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들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금속원판은 GI강판, GL강판 및 AL강판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금속원판을 표면처리하기 위한 도장하지제를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고형분 20 ~ 40 중량%, NMP(N-methyl-2-pyrolidone) 10 중량%이하 및 잔량의 수분을 포함하는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금속졸 1 ~ 8 중량부, 수분산 미립자 실리카 10 ~ 20 중량부, 가교제 0.5 ~ 5 중량부, 표면장력조정제 0.01 ~ 0.1 중량부 및 실리콘을 포함하는 기포방지제 0.01 ~ 0.1 중량부를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롬프리 전처리층 형성을 위한 도장하지제를 제조한다.
이때, 무기금속졸은 크롬프리 전처리층 형성을 위한 반응을 촉진시키고, 전처리층 조직을 치밀하게 하여 내식성 및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지르코니아졸, 지르코니아졸 화합물, 바나듐졸, 바나듐졸 화합물, 알루미나졸, 알루미나졸 화합물, 티탄졸 및 티탄졸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료를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 대비 1 ~ 8 중량부 만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금속졸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난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전처리층 형성이 치밀해지지 못하여 내식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무기금속졸의 함량이 8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첨가량에 비례하는 만큼 내식성 및 밀착성의 증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서, 제조 비용만 상승시키는 결과를 낳게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분산 미립자 실리카는 전처리층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원료로서, 고형분 20 ~ 40 중량% 및 잔량의 수분을 포함하는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분산 미립자 실리카는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 대비 10 ~ 20 중량부만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산 미립자 실리카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전처리층의 강도 상승 효과가 거의 없고, 수분산 미립자 실리카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첨가량에 비례하는 만큼 강도 증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서, 제조 비용만 상승시키는 결과를 낳게 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가교제는 전처리층의 조직을 치밀하게 하고,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카보드이미드, 블록이소시아네이트, 멜라민, 아지리딘 및 에폭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 대비 0.5 ~ 5 중량부 만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에서 0.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전처리층의 강도 증가 효과가 거의 없고, 가교제의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첨가량에 비례하는 만큼 강도 증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서, 제조 비용만 상승시키는 결과를 낳게 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표면장력조정제는 전처리층의 결함을 방지하여 칼라강판의 가공성, 내식성 등의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폴리아크릴산알킬, 폴리알킬비닐에테르,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및 유기변성폴리실록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 대비 0.01 ~ 0.1 중량부 만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장력조정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중 0.0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전처리층의 결함 방지 효과가 미비하고, 표면장력조정제의 함량이 0.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부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이나 상도층과의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기포방지제는 전처리층의 도포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의 생성을 억제하여 칼라강판의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실리콘을 포함하는 기포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 대비 0.01 ~ 0.1 중량부 만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포방지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중 0.0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전처리층의 결함 방지 효과가 미비하고, 표면장력조정제의 함량이 0.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부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이나 상도층과의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크롬을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표면처리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기존 크롬 베이스(Cr-base) 제품의 코팅 구조와 유사한 내식성, 밀착성, 용액 안정성, 저온 경화성 및 도장성을 얻을 수 있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크롬프리 전처리층에 크롬프리 조성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층, 상도층 및 하부 도장층을 조합함으로써, 최대의 가공성, 내식성,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 등의 물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무독성 칼라강판을 제조할 수 있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롬프리 도장하지제를 이용하여 무독성 칼라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금속원판(100)을 마련한다. 이때, 금속원판(100)은 GI강판, GL강판 및 AL강판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는데,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후속 도장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처리층 및 프라이머층을 더 형성한다.
여기서, 기존의 경우에는 전처리층 또는 프라이머층의 내식성 향상 및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20 중량% 이상의 Cr 함량을 갖는 전처리층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크롬의 규제가 점점 강화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크롬 프리 조성물을 제공하되, 내식성 등의 표면 물성 확보를 위한 최적의 조성물 조합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최적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금속원판(100)의 양쪽 표면에 상술한 크롬프리 도장하지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크롬프리 도장하지제를 가열 건조하여, 크롬프리 전처리층(110, 120)을 형성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금속원판(100) 상부에 형성된 전처리층을 전면 크롬프리 전처리층(120)이라 하고, 하부에 형성된 전처리층을 후면 크롬프리 전처리층(110)이라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금속원판(100)이 뒤집히거나, 옆으로 세워지는 경우도 모두 포함하는데, 이 경우에는 전면, 후면의 개념이 오인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또는 후면에 본 발명이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장하지제의 부착량은 50 ~ 150mg/㎡가 되도록 하고, 가열 건조 온도(Peak Metal Temperature; PMT)는 80 ~ 100℃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도장하지제의 부착량이 50 mg/㎡미만인 경우에는 금속원판(100)과 도장층의 밀착성이 저하되고, 가공성 및 내식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반대로 도장하지제의 부착량이 150 m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장하지제의 건조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도장을 위한 작업 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건조 온도가 80 ℃ 미만이 될 경우에는 건조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건조 온도가 1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상 건조로 인하여, 전처리층과 금속원판(100)의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표면 특성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금속원판(10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전면 크롬프리 전처리층(120) 상부에 크롬프리 프라이머층(130)을 형성한다.
이때, 크롬프리 프라이머층(130)은 폴리에스테르 50 ~ 60 중량%, 멜라민 경화수지 5 ~ 10 중량%, 안료 10 ~ 20 중량%, 용제 15 ~ 20 중량% 및 첨가제 10 ~ 20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료로는 TiO2, SiO2, P2O5, Al2O3 및 CaO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용제로는 하이드로카본 및 시클로핵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료를 사용하고, 첨가제로는 아크릴릭, 우레탄 및 에폭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독성의 칼라강판은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크롬프리 도장하지제를 이용하여 형성한 전처리층(110, 120)에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크롬프리 프라이머층(130)을 조합시킬 때 최적의 내식성,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크롬프리 프라이머층(130)의 상부에 크롬프리 상도층(140)을 형성한다.
이때, 크롬프리 상도층(140)은 폴리에스테르 40 ~ 50 중량%, 멜라민 경화수지 5 ~ 6 중량%, 안료 20 ~ 30 중량%, 용제 10 ~ 20 중량% 및 첨가제 10 ~ 20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안료로서 TiO2, 안티몬(Sb), 카본(C), 산화철 및 실리콘(S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료를 사용하고, 용제로는 하이드로카본 및 시클로핵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료를 사용하고, 첨가제로는 아크릴릭, 우레탄 및 에폭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독성의 칼라강판은 상기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크롬프리 전처리층(110, 120) 및 크롬프리 프라이머층(130)에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크롬프리 상도층(140)을 조합시킬 때 최적의 내식성,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상기 크롬프리 상도층(140) 형성 단계와 동시 또는 상도층(140) 형성 단계 이후에 금속원판의 하부면에 형성된, 후면 크롬프리 전처리층(110) 하부에 크롬프리 후면도장층(15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크롬프리 후면도장층(150) 금속원판(100)의 전면적이 보호를 위해서 부가적으로 형성하는데, 폴리에스테르 50 ~ 60 중량%, 멜라민 경화수지 8 ~ 10 중량%, 안료 10 ~ 20 중량%, 용제 10 ~ 20 중량% 및 첨가제 10 ~ 20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안료로서는 TiO2, 안티몬(Sb), 카본(C), 프탈로시아닌 및 실리콘(S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료를 사용하고, 용제로는 하이드로카본 및 시클로핵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료를 사용하고, 첨가제로는 아크릴릭, 우레탄 및 에폭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독성의 칼라강판은 상기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크롬프리 전처리층(110, 120), 크롬프리 프라이머층(130) 및 크롬프리 상도층(140)에 상기 크롬프리 후면도장층(150)을 조합시킬 때 최적의 내식성,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장하지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무독성의 칼라강판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물리적 특성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도장하지제의 조성 비율은 하기 표 1과 같이 조절하였다.
도장하지제 (단위 : 중량부)
구분 수분산 폴리우레탄 무기금속졸 크롬
(Cr)
수분산 미립자 실리카 가교제 표면장력 조정제 기포방지제
N1 100 9 - 10 0.5 0.01 0.01
N2 100 7 - 12 1.5 0.03 0.03
N3 100 5 - 14 2.5 0.05 0.05
N4 100 5 - 16 3.5 0.07 0.07
N5 100 3 - 18 4.5 0.09 0.09
N6 100 1 - 20 5.0 0.10 0.10
L1 100 0.8 - 20 5.0 0.05 0.05
L2 100 10 - 10 0.5 0.05 0.05
L3 100 5 - 9 0.5 0.05 0.05
L4 100 5 - 21 5.0 0.05 0.05
L5 100 5 - 15 0.4 0.05 0.05
L6 100 5 - 15 6.0 0.05 0.05
L7 100 5 - 15 3.5 0.008 0.05
L9 100 5 - 15 3.5 0.11 0.05
L10 100 5 - 15 3.5 0.05 0.008
L11 100 5 - 15 3.5 0.05 0.11
L12 100 5 - 15 3.5 0.05 0.05
L13 100 5 20 10 4.5 0.05 0.05
L14 100 5 25 8 2.0 0.05 0.05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층의 조성 비율은 하기 표 2와 같이 조절하였다.
프라이머층 (단위 : 중량%)
구분 폴리에스테르 멜라민 크롬
(Cr)
안료 용제 첨가제
K1 50 10 - 15 15 10
K2 55 8 - 12 15 10
K3 60 5 - 10 15 10
C1 50 5 10 10 15 10
C2 49 11 - 15 15 10
C3 61 4 - 10 15 10
C4 50 10 - 9 21 10
C5 55 5 - 21 9 10
그 다음으로, 크롬프리 상도층 및 크롬프리 하부 도장층의 경우 상술한 범위 내의 것이면 어느 조합이든 유사한 표면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크롬프리 전처리층 및 크롬프리 프라이머층의 조합으로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무독성 칼라강판의 가공성에 대하여 평가하기 위하여, 상술한 표 1 및 표 2의 조합에 따른 모든 경우를 조사하였다.
이때, 구체적 특성은 T-밴딩(기준; 2T No crack), CCET(Cross Cutting Ericsson Test, Cross Cut(100/100) / Erichsen(6mm) Taping) 및 50cm 높이에서 1Kg짜리 추를 낙하시키는 임펙트 테스트(Impact test)를 수행하였으며, 상기 세가지 테스트 중 하나라도 기준치 미만의 결과가 나온 조합은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가공성 평가 결과
구분 프라이머층
K1 K2 K3 C1 C2 C3 C4 C5



N1 OK OK OK NG OK OK OK NG
N2 OK OK OK NG NG OK NG NG
N3 OK OK OK OK NG NG NG OK
N4 OK OK OK NG OK NG OK NG
N5 OK OK OK OK NG NG NG OK
N6 OK OK OK NG OK OK OK OK
L1 NG OK NG OK NG NG OK NG
L2 NG NG NG NG NG OK NG NG
L3 OK NG OK NG OK NG NG OK
L4 NG OK NG OK NG NG OK NG
L5 NG NG OK NG NG OK NG NG
L6 NG OK NG OK OK NG NG OK
L7 OK NG NG OK OK NG NG NG
L9 NG NG OK NG NG OK NG NG
L10 NG OK NG NG NG NG OK NG
L11 OK NG NG NG NG NG NG OK
L12 NG NG OK NG NG NG OK NG
L13 OK NG NG NG OK NG NG NG
L14 NG OK NG NG NG OK NG NG
다음으로, 상기 가공성 평가 결과에서 불량이 검출된 경우를 제외하고, 500시간/35℃의 5% 염수분무시험(Salt spray test)을 통해 에지 가공부 내식성 평가(Edge rust, 9mm 깊이 블리스터 기준) 및 X-컷 표면 손상부 내식성 평가(X-cut rust, 2mm 깊이 블리스터 기준)를 수행하여, 내식성 값들을 선별하였다.
내식성 평가 결과(Edge rust, X-cut rust)
구분 프라이머층
K1 K2 K3 C1 C2 C3 C4 C5



N1 OK OK OK - NG OK OK -
N2 OK OK OK - - NG - -
N3 OK OK OK OK - - - OK
N4 OK OK OK - OK - NG -
N5 OK OK OK OK - - - OK
N6 OK OK OK - OK NG OK OK
L1 - OK - OK - - OK -
L2 - - - - - OK - -
L3 NG - OK - OK - - OK
L4 - OK - NG - - OK -
L5 - - OK - - OK - -
L6 - NG - OK OK - - OK
L7 NG - - OK OK - - -
L9 - - OK - - NG - -
L10 - OK - - - - NG -
L11 OK - - - - - - NG
L12 - - NG - - - OK -
L13 NG - - - OK - - -
L14 - OK - - - NG - -
그 다음으로, 상기 내식성 평가 결과에서 불량이 검출된 경우를 제외하고, 5% HCl과 5% NaOH 용액을 각각 20℃, 24시간 동안 뭍혀서 표면색상과 광택성을 측정한 내화학성 처리(내산성&내알카리성)를 수행하고, 2Kg의 하중으로 100회 왕복 실험한 메틸에틸케톤 러빙 테스트(MEK rubbing test)를 수행하여 도막의 박리나 변색을 관찰하여 불량 조합 값 들을 선별하였다.
내화학성 및 MEK rubbing test
구분 프라이머층
K1 K2 K3 C1 C2 C3 C4 C5



N1 OK OK OK - - NG NG -
N2 OK OK OK - - - - -
N3 OK OK OK NG - - - NG
N4 OK OK OK - NG - - -
N5 OK OK OK NG - - - NG
N6 OK OK OK - NG - NG NG
L1 - NG - NG - - NG -
L2 - - - - - NG - -
L3 - - NG - NG - - NG
L4 - NG - - - - NG -
L5 - - NG - - NG - -
L6 - - - NG NG - - NG
L7 - - - NG NG - - -
L9 - - NG - - - - -
L10 - NG - - - - - -
L11 NG - - - - - - -
L12 - - - - - - NG -
L13 - - - - NG - - -
L14 - NG - - - - -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장하지제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무기금속졸, 수분산 미립자 실리카, 가교제, 표면장력조정제 및 기포방지제를 포함하는 크롬프리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크롬-베이스(Cr-base) 전처리제 대비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내식성, 내화학성 및 도장밀착성을 얻을 수 있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크롬프리 도장하지제에 크롬프리 프라이머층을 조합함으로써, 가공성, 내식성, 내충격성, 내화학성 및 우수한 마찰경도 특성 등을 갖는 우수한 품질의 무독성 칼라강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금속원판 110 : 후면 크롬프리 전처리층
120 : 전면 크롬프리 전처리층 130 : 크롬프리 프라이머층
140 : 크롬프리 상도층 150 : 크롬프리 후면도장층

Claims (12)

  1. (a)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금속졸 1 ~ 8 중량부, 수분산 미립자 실리카 10 ~ 20 중량부, 가교제 0.5 ~ 5 중량부, 표면장력조정제 0.01 ~ 0.1 중량부 및 기포방지제 0.01 ~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크롬프리 도장하지제를 금속원판의 양면에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도포된 크롬프리 도장하지제를 가열 건조하여, 크롬프리 전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금속원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크롬프리 전처리층 상부에 폴리에스테르 50 ~ 60 중량%, 멜라민 경화수지 5 ~ 10 중량%, TiO2, SiO2, P2O5, Al2O3 및 CaO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10 ~ 20 중량%, 하이드로카본 및 시클로핵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용제 15 ~ 20 중량% 및 아크릴릭, 우레탄 및 에폭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 10 ~ 20 중량%를 포함하는 크롬프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크롬프리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크롬프리 상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은
    고형분 20 ~ 40 중량%, NMP(N-methyl-2-pyrolidone) 10 중량%이하 및 잔량의 수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금속졸은
    지르코니아졸, 지르코니아졸 화합물, 바나듐졸, 바나듐졸 화합물, 알루미나졸, 알루미나졸 화합물, 티탄졸 및 티탄졸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 미립자 실리카는
    고형분 20 ~ 40 중량% 및 잔량의 수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카보드이미드, 블록이소시아네이트, 멜라민, 아지리딘 및 에폭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장력조정제는
    폴리아크릴산알킬, 폴리알킬비닐에테르,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및 유기변성폴리실록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방지제는
    실리콘 기포 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롬프리 도장하지제의 부착량은
    50 ~ 150m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건조 온도(Peak Metal Temperature; PMT)는
    80 ~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롬프리 상도층은
    폴리에스테르 40 ~ 50 중량%, 멜라민 경화수지 5 ~ 6 중량%, TiO2, 안티몬(Sb), 카본(C), 산화철 및 실리콘(S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20 ~ 30 중량%, 하이드로카본 및 시클로핵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용제 10 ~ 20 중량% 및 아크릴릭, 우레탄 및 에폭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 10 ~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와 동시 또는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금속원판의 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크롬프리 전처리층 하부에 크롬프리 후면도장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롬프리 후면도장층은
    폴리에스테르 50 ~ 60 중량%, 멜라민 경화수지 8 ~ 10 중량%, TiO2, 안티몬(Sb), 카본(C), 프탈로시아닌 및 실리콘(S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10 ~ 20 중량%, 하이드로카본 및 시클로핵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용제 10 ~ 20 중량% 및 아크릴릭, 우레탄 및 에폭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 10 ~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KR1020100127766A 2010-12-14 2010-12-14 내식성, 내화학성 및 도장밀착성이 우수한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KR101174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766A KR101174584B1 (ko) 2010-12-14 2010-12-14 내식성, 내화학성 및 도장밀착성이 우수한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766A KR101174584B1 (ko) 2010-12-14 2010-12-14 내식성, 내화학성 및 도장밀착성이 우수한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424A KR20120066424A (ko) 2012-06-22
KR101174584B1 true KR101174584B1 (ko) 2012-08-16

Family

ID=46685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766A KR101174584B1 (ko) 2010-12-14 2010-12-14 내식성, 내화학성 및 도장밀착성이 우수한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587B1 (ko) 2013-12-24 2016-01-13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통합형 크롬프리 전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2c2b 강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170B1 (ko) * 2012-11-01 2014-09-23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크롬프리 전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도장강판 제조방법
KR101521357B1 (ko) * 2013-12-19 2015-05-18 주식회사 비아이티범우연구소 칼라강판의 프라이머 프리층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KR20160131675A (ko) * 2015-05-08 2016-11-16 (주)아이지엠메탈 칼라강판 및 칼라강판을 제조하는 방법
CN109134815B (zh) * 2018-08-14 2020-12-04 陕西科技大学 一种硬段含两种杂原子的聚氨酯弹性体、改性聚氨酯防腐蚀可剥离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29503B1 (ko) * 2019-12-03 2021-11-19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표면처리용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8397A (ja) 2003-04-25 2004-12-02 Nippon Steel Corp 加工性に優れた非脱膜型潤滑めっき鋼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8397A (ja) 2003-04-25 2004-12-02 Nippon Steel Corp 加工性に優れた非脱膜型潤滑めっき鋼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587B1 (ko) 2013-12-24 2016-01-13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통합형 크롬프리 전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2c2b 강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424A (ko) 201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584B1 (ko) 내식성, 내화학성 및 도장밀착성이 우수한 무독성 칼라강판 제조 방법
JP5380527B2 (ja) 優れた加工性、耐熱性、及び耐食性を有するプレコート鋼板用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プレコート鋼板
KR101868345B1 (ko) 불연성 또는 난연성 칼라강판, 및 그 제조방법
EP3075881B1 (en) Non-combustible color steel sheet for household appliances and building materia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3547446B (zh) 面板
KR20100045338A (ko) 다중가공부 가공성이 우수한 수지코팅 강판, 이에 사용되는수지코팅 조성물 및 밀착성 개선 조성물
KR20160067278A (ko) 도금강판용 피복 조성물,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6038B1 (ko) 유무기 복합 피막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연료탱크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5176890B2 (ja) 塗装鋼板およびこれを用いてなる電子機器用筐体
KR101546158B1 (ko) 내식성 및 내지문성이 우수한 전기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61755B1 (ko) 내식성 및 내흑변성이 우수한 유무기복합 코팅용액 조성물 및 유무기복합 코팅 강판
KR101345057B1 (ko) 칼라강판 제조 방법
KR101282570B1 (ko) 칼라강판 제조 방법
KR101182051B1 (ko) 편면 용융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01432170B1 (ko) 크롬프리 전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도장강판 제조방법
KR101449109B1 (ko) 유무기복합 코팅용액 조성물 및 유무기복합 코팅 강판
KR101736552B1 (ko) 벤딩가공 후 내식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강판
KR101439669B1 (ko) 내식성 및 내가공흑화성이 우수한 코팅용액 조성물 및 코팅 강판
KR101521357B1 (ko) 칼라강판의 프라이머 프리층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KR20100068095A (ko) 내열성 및 내고온고습성이 향상된 크롬프리 수지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표면처리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74995A (ko) 통합형 크롬프리 전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2c2b 강판
JP2001003181A (ja) 塗膜密着性と加工部の耐食性に優れ環境負荷の小さい塗装鋼板
KR101435290B1 (ko) 금속 표면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표면처리 방법
KR20180022375A (ko) 칼라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7639B1 (ko) 불연성 도장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