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337B1 - 잠수함 - Google Patents

잠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337B1
KR101170337B1 KR1020090017890A KR20090017890A KR101170337B1 KR 101170337 B1 KR101170337 B1 KR 101170337B1 KR 1020090017890 A KR1020090017890 A KR 1020090017890A KR 20090017890 A KR20090017890 A KR 20090017890A KR 101170337 B1 KR101170337 B1 KR 101170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iii
submarine
circulating air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1089A (ko
Inventor
리차드 뷔흐너
토마스 뒤링
마이케 두이센
?케 찌엘
Original Assignee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101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36Adaptations of ventilation, e.g. schnorkels, cooling, heating, or air-cond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1/00Devices for reconditioning breathing air in sealed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잠수함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장치 및 CO2 흡수장치를 포함한다. CO2 흡수장치는 수산화물로 채워진 적어도 2개의 흡수컨테이너들을 포함한다. 이 흡수컨테이너들은 환기장치에서 평행하게 분기된 2개의 도관에 배치되고, 흐를 수 있도록 일방의 위치에서 타방의 위치로 스위칭될 수 있다.
환기장치, 이산화탄소 흡수장치, 스위칭, 수산화물

Description

잠수함{Submarine}
본 발명은 청구항1의 전체부에 특정된 특징을 가진 잠수함에 관한 것이다.
스노클이동깊이 보다 아래로 이동하여 잠수하는 잠수함에서는 승무원의 날숨의 양 때문에 일정한 제한값 아래로 잠수함 내부에서 실내공기의 CO2성분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결과, CO2흡수장치가 이를 위해 잠수함의 보드에 적용된다.
이 컨텍스트에서 CO2가 수산화물에 의해 결합되고 이에 의해 탄산염으로 변환되는 CO2흡수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수산화물은 잠수함의 실내공기나 순환공기가 흐르는 흡수컨테이너에 위치된다. 수산화물의 흡수용량은 제한된다. 이런 이유로, 탄산염으로 모두 변환되는 경우 수산화물이 교환되어야만 한다. 이 때문에 CO2흡수장치의 흡수컨테이너에서 교환되는 카트리지나 카르투시에 일정간격으로 수산화물이 채워진다. 그 결과, 카트리지가 교환되어야 하는 간격이 비교적 짧아서 CO2 흡수장치가 잠수함 조작의 나머지를 손상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큰 조작상의 노력을 요구하는 단점이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런 배경에 대해, 바다에서 잠수함이 미션을 수행하는 동안 잠수함의 순환공기에 있는 CO2를 신뢰할 수 있게 흡수할 수 있고 조작시 승부원의 노력이 필수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CO2흡수장치를 구비한 잠수함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목적은 청구항1에 특정된 특징을 가진 잠수함에 의해 달성되고, 본 잠수함의 더욱 유리한 구성은 도면, 설명, 종속함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은 잠수함 내부에서 환기를 위한 환기장치 및 CO2흡수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CO2흡수장치는 수산화물로 채워진 적어도 2개의 흡수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이 흡수컨테이너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환기장치의 도관라인에 배치되고 환기를 허용하는 위치로 성공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현재까지 요구되던 잠수함을 배치하는 동안 CO2흡수장치의 반복적 충전을 피하기 위해 미션의 시작부터 끝까지 CO2흡수장치에, 잠수함의 미션을 위해 요구되는 수산화물(예를 들어, 수산화칼슘(Ca(OH)2)이나 수산화리튬)의 전체량을 저장하는 사상을 기초로 한다. 이 컨텍스트에서,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흡수컨테이너 뿐만 아니라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흡수컨테이너들이 수산 화물로 채워지고, 잠수함에서 순환공기를 처리하거나 분배하기 위해 제공된 환기장치의 서로 평행한 도관라인들에 배치된다. 각 경우에 순환공기는 이런 흡수컨테이너 중에서 하나만을 관통해 흐른다. 이 CO2는 관통해 흐르는 흡수컨테이너의 수산화물에 의해 결합된다. 순환공기는 거기에 있는 수산화물의 흡수용량이 소진될 때까지 동작시 위치된 흡수컨테이너를 통해 안내된다. 이어서, 현재 순환공기가 흐르는 컨테이너로부터 다른 흡수컨테이너로 스위칭된다. 그 결과, 몇 개의 흡수컨테이너의 사용은, 바람직하게는, 이들이 흡수컨테이너를 관통해 흐르는 공기가 CO2의 흡수에 대해 최적인 시간 주기 동안 수산화물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만들어 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수산화물에 의해 야기된 흐름저항이 허용되는 한도 내에서 유지되는 사실도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의 CO2흡수장치로는, 각 경우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흡수컨테이너가 동작 중이기 때문에, 동작하지 않는 나머지 흡수컨테이너들에 저장된 수산화물은 제어되지 않는 방식으로 주위공기로부터 CO2와 결합될 수 없다는 것을 유용하게 보증해야 한다. 또한, 흡수용량이 소진된 흡수컨테이너는 순환공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해야만 한다. 이 때문에, 바람직한 설계에 있어서, 흡수컨테이너들은 셧오프수단에 의해 입구측 및 출구측에서 기밀하게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셧오프밸브들은, 서로 평행하고 흡수컨테이너가 각각 배치된 환기장치의 도관라인에서 흡수컨테이너들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들 셧오프밸브들의 기본적인 세팅은 도관라인이나 흡수컨테이너를 차단하는 유용한 세팅이다. 동작 중 에 있는 각 흡수컨테이너에서만, 상류 및 하류에 연결된 이들 셧오프밸브들이 개방위치로 스위칭되어, 순환공기가 CO2를 방출하면서 이 흡수컨테이너를 관통하여 흐를 수 있다.
흡수컨테이너들을 기밀하게 밀폐하는 셧오프수단은 바람직하게는 활성화방식으로 설계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셧오프수단의 개, 폐를 활성화하는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이 제어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이동시 작용되는 흡수컨테이너의 수산화물의 흡수용량이 소진되는 경우, 이 흡수컨테이너의 적어도 상류에 배치된 셧오프수단이 닫히게 자동적으로 스위칭하고 흡수컨테이너의 상류 및 하류에 배치된 셧오프수단이 다음 동작을 취하도록 열리게 스위칭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하나의 흡수컨테이너로부터 다음의 흡수컨테이너로 스위칭하는 시점은 동작시에 존재하는 흡수컨테이너의 수산화물이 더 이상 CO2를 흡수할 수 없는 시점에 의해 결정된다. 이런 경우라면, 일반적으로 흡수컨테이너를 관통해 흐르는 순환공기가 흡수컨테이너의 출구측에서 증가된 CO2함유량을 가진다.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순환공기의 CO2함유량을 탐지하고 제어장치에 신호접속된 수단이 흡수컨테이너의 출구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설계는 부피가 큰 물질로 형성된 수산화물을 빨아들이기 위해 설계된 흡수컨테이너들을 고려한다. 즉, 잠수함의 미션 개시 전에 수산화물이 바람직하게는 유리된 상태로 존재하고 이를 위해 흡수컨테이너들에 제공된 개구를 수동으로 또는 적절한 진공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채우는 것을 통해 흡수 컨테이너들에 채워질 수 있다. 카트리지나 카르투시에서 흡수컨테이너들로 주입된 수산화물에 비해, 유리된 부피가 큰 생성물은 순환공기가 흡수컨테이너들에서 수산화물 주위를 본질적으로 직접적인 방식으로 흐를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유리된 수산화물이 흡수컨테이너들에 채워진 경우, 흡수컨테이너에서 수산화물의 패킹밀도는, 예를 들어, 섞임장치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먼지입자는 섞임공정으로 발생할 수 있다. 유용하게는, 흡수컨테이너에 있어서, 수산화물을 위한 수용공간은, 먼지입자가 순환공기와 함께 흡수컨테이너로부터 환기장치로 들어가거나 환기될 잠수함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거필터에 의해 출구측에서 경계가 정해진다. 존재하는 먼지입자는 이 필터에 의해 걸러진다. 채워진 후, 필터는 흡수컨테이너에서 좋은 흐름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흡수컨테이너들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청소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설계에서, 물로 순환공기를 젖게 하기 위한 수단은 입구측에서 흡수컨테이너에 배치된다. 물로 적시기 위한 이들 수단을 통해, 특히, 흡수제로서 수산화칼슘의 사용으로, 이 수산화칼슘의 탄산칼슘으로의 변환 및 이것이 수반하는 CO2의 흡수는 물의 존재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고려한다. 이것이 고려되므로, 작은 상대공기습도를 가진 순환공기와 수산화칼슘의 활용은 추가적인 수분공급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순환공기가 직접적인 방식으로 가습되는 것은 생각되지 않았다. 대신, 본 발명의 보다 유리한 구성은 흡수컨테이너의 입구측에 배치된, 수산화 물에 직접 분사되는 스프레이장치를 고려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1이상의 노즐일 수 있는 스프레이장치는, 수산화물, 바람직하게는 CO2의 결합을 통해 이미 탄산칼슘으로 변환된 수산화칼슘을 향한다. 순환공기는 탄산칼슘 주위를 흐를 때 탄산칼슘을 적시는 수분을 빨아들일 수 있다.
탄산칼슘의 가습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CO2함유량 뿐만 아니라 제거될 CO2가 있는 순환공기의 상대습도에 본질적으로 달려있다. 순환공기의 CO2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순환공기의 CO2함유량을 탐지하기 위한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흡수컨테이너의 입구측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이것은, 예를 들어, 적절한 가스센서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순환공기의 수분공급을 탐지하는 수단, 예를 들어, 습기센서는 흡수컨테이너들의 입구측에 배치된다.
유용하게는, 제어장치가 순환공기의 가습을 위한 수단을 제어하고, CO2함유량을 탐지하기 위한 수단 및 순환공기의 수분공급을 탐지하기 위한 수단이 신호접속되는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스프레이장치에 의해 주어진 수분량 뿐만 아니라 스프레이장치의 스위칭온시점 및 스위칭오프시점은 CO2함유량을 탐지하는 수단에 의해 결정된 CO2함유량 및 수분공급을 탐지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대습도에 따라 설정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CO2흡수장치(2)가 배치된, 잠수함의 환기장치의 도관부가 도 1에 도시된다. 이 도관부는, 잠수함 내부의 환기장치의 영역(미도시)에서 미리 흡입된 순환공기가 흐름방향 A로 흐르는 도관(4)을 포함한다.
입구측에는 도관(4)이 서로 평행하게 향해 있는 도관라인들(6, 6, 6, 6)로 분기된다. 각 경우에 있어서, CO2흡수장치(2)의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은 이 도관라인들(6, 6, 6, 6) 각각에 배치된다.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의 각각은 순환공기에 포함된 CO2와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산화칼슘으로 채워지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의 도관라인들(6, 6, 6, 6) 하류는 CO2가 제거된 순환공기가 잠수함의 내부로 다시 돌아가는 도관(10)으로 뻗어 나온다. 각 경우에 있어서, 전자기적으로 동작되는 셧오프밸브(12)가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의 출구측 뿐만 아니라 입구측에도 도관라인들(6, 6, 6, 6)에 배치된다.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은 셧오프밸브(12)에 의해 기밀방식으로 이들 주위 및 도관들(4, 10)에 대해 차단될 수 있다.
도 2는 순환장치에서의 구조유형 및 배치와 관련해 CO2흡수장치의 다른 흡수 컨테이너들(8, 8, 8)과 일치하는 흡수컨테이너(8)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흡수컨테이너(8)는 도관(4)으로부터 분기된 도관라인(6)의 부분에 접속된 유입관(14)을 포함한다. 또한, 흡수컨테이너(8)는 도관(10)으로 뻗어 나온 도관라인(6)의 부분에 접속된 유출관(16)을 포함한다.
흡수제(여기서는 수산화칼슘)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 수용공간(18)은 유입관(14) 및 유출관(16) 사이의 영역에서 흡수컨테이너(8)에 마련된다. 수용공간(18)은 유출관(16)을 향하는 끝부분에서 수용공간(18)에 있는 수산화칼슘을 운반하는 지지구조(20)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지지구조(20)는 흡수컨테이너(8)로 들어가는 순환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그리드와 같은 방식(grid-like manner)으로 설계된다. 필터(22)는 흐름방향 A에서 지지구조(20)의 하류에 배치된다. 이 필터(22)는 수용공간(18)에 있는 먼지입자들을 거르기 위해 제공된다. 이 필터(22)는 청소를 위해 제거될 수 있는 방식으로 흡수컨테이너(8)에 배치된다.
유입관(14)을 향하는 끝부분에서 수용공간(18)은 유입관(14)을 통해 흡수컨테이너(8)로 들어오는 순환공기가 수용공간(18)의 전체 흐름단면에 대해 분배되는 방식으로 설계된 커버(24)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커버(24)의 부분(26)은 밖으로 선회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수용공간에서 떨어져 있는, 커버(24)의 면에 대향되게 배치된 흡수컨테이너(8)의 벽(28)도 밖으로 선회하도록 설계된다. 수용공간(18)은 벽(28)과 커버(24)의 부분(26)이 열리도록 선회됨으로써 수산화칼슘으로 채워지거나 교환될 수 있다.
노즐의 형태인 스프레이장치(30)는 벽(28)과 커버(24) 사이에서 흡수컨테이너(8)에 배치된다. 노즐의 형태인 스프레이장치(30)는 수용공간(18) 및 그 안에 마련된 수산화칼슘을 향한다. 노즐(30)에는 도관(32)을 통해 물이 공급된다. 수용공간(18)에 존재하는 수산화칼슘은 먼저 커버(24)와 경계를 이루는 영역에서 젖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의 CO2흡수장치(2)가 기능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잠수함의 미션 전에,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이 흡수제인 수산화칼슘으로 채워진다. 이를 위해, 커버(24)의 선회부분(26) 뿐만 아니라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의 벽(28)이 열리게 선회되고 유리된 상태의 수산화칼슘이 수용공간(18)에서 수동으로 섞이거나 진공컨베이어장치와 같은 적절한 컨베이어장치로 수용공간(18)에 운반된다.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에 사용된 수산화칼슘의 양은 고정된 방식으로 설정된다.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의 수용공간(18)에 수산화칼슘의 이런 양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용공간(18)의 패키지밀도가 섞임장 치에 의해 증가되어야만 한다. 이 때문에 먼지가 발생하고, 이는 지지구조(20)를 통해 조금씩 새어 나간다. 이 먼지는 필터(22)에 의해 걸러진다. 수산화칼슘으로 수용공간(18)을 채운 후에, 필터(22)는 흡수컨테이너들(8, 8, 8, 8)로부터 제거되고 정제되고 이어서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에 다시 배치된다.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은 우선 기밀방식으로 밀폐된다. 이를 위해, 흡수컨테이너들(8, 8, 8, 8) 앞에 마련된 셧오프밸브들(12)은, 미도시되고 셧오프밸브들(12)이 신호접속되는 제어장치에 의해, 차단위치로 설정된다. 차단위치는 셧오프밸브들(12)을 유지하면서 계속 유지되는 반면, CO2흡수장치(2)의 동작 개시시에는 흡수컨테이너(8)의 앞이나 뒤에 접속된 셧오프밸브들(12)이 제어장치에 의해 열리게 스위칭된다. 압력선체의 내부에 흡입된 순환공기는 흡수컨테이너(8)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순환공기에 함유된 CO2는 흡수컨테이너(8)의 수용공간(18)에 마련된 수산화칼슘에 의해 흡수되고, 수산화칼슘은 CO2의 빨아드림에 의해 탄산칼슘으로 변환된다. 이 변환은 커버(24)와 경계를 이루는 영역에서만 우선적으로 이루어지고, 이 영역은 점차 흐름방향 A로 지지구조(20)까지 넓혀진다.
CO2흡수장치(2)의 적용동안, 순환공기의 상대습도 뿐만 아니라 CO2함유량도 적절하게 소망의 센서수단에 의해 탐지된다. 도면에 미도시된 이 센서수단들은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제어장치에 신호접속된다. 상대습도에 따라, 그리고 CO2함유량에 따라, 흡수컨테이너(8)의 수용공간(18)에 노즐(30)로부터 물이 스프레이 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더 이상 흡수될 수 없는 탄산칼슘만이 젖게 된다. 순환공기는 수산화칼슘에 대한 CO2의 흡수가 증가됨을 의미하는 탄산칼슘을 통해 흐르는 것에 의해 습기를 흡수할 수 있다.
흡수컨테이너(8)의 동작 동안, 순환공기의 CO2함유량은 이 흡수컨테이너(8)의 출구측에 마련된 가스센서에 의해 모니터된다. 이 가스센서는 효과적인 개요설명을 위해 도면에서는 미도시 되었다. 가스센서에 의해 결정된 CO2함유량이 증가된다면, 이는 흡수컨테이너(8)의 흡수용량이 소진되었다는 표시이다. 가스센서에신호접속된 제어장치는, CO2가 흡수된 흡수컨테이너(8)를 통해 순환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흡수컨테이너(8)의 입구측에 마련된 셧오프밸브를 차단하게 스위칭하고, 동시에 흡수컨테이너(8)의 앞, 뒤에 배치된 셧오프밸브(12)가 열리게 스위칭한다. 상술한 방식이 흡수컨테이너(8, 8)에 대해서도 반복된다.
도 1은 잠수함의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해 환기장치에서의 CO2 흡수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CO2 흡수장치의 흡수컨테이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CO2 흡수장치 4, 10 : 도관
6, 6, 6, 6: 도관라인
8, 8, 8, 8: 흡수컨테이너
12 : 셧오프밸브 14 : 유입관
16 : 유출관 18 : 수용공간
20 : 필터 24 : 커버
26 : 부분 28 : 벽
30 : 노즐 32 : 도관
A : 흐름방향

Claims (11)

  1. 잠수함 내부를 환기하기 위한 환기장치와 CO2흡수장치(2)를 구비한 잠수함에 있어서,
    CO2 흡수장치(2)는, 환기장치의 적어도 2개의 평행한 도관라인들(6, 6, 6, 6)에 마련되고, 순환공기가 흐르는 일방의 위치에서 타방의 위치로 스위칭될 수 있으며, 흡수제로 채워진 적어도 2개의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을 포함하는 잠수함.
  2. 제1항에 있어서, 입구측 및 출구측에서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은 셧오프수단들(12)로 기밀하게 차단될 수 있는 잠수함.
  3. 제2항에 있어서, 제어장치는 셧오프수단들(12)의 개,폐 활성화를 위해 제공된 잠수함.
  4. 제3항에 있어서, 순환공기의 CO2함유량을 탐지하고 제어장치에 신호접속된 수단은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의 출구측에 배치된 잠수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은 부피가 큰 물질의 형태인 수산화물의 빨아들임을 위해 형성된 잠수함.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에서, 수산화물을 위한 수용공간(18)은 제거될 수 있는 필터(22)에 의해 출구측에서 경계가 정해지는 잠수함.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환공기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은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의 입구측에 배치된 잠수함.
  8. 제7항에 있어서, 수산화물에 직접 분사하는 스프레이장치(30)는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의 입구측에 배치되는 잠수함.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기장치의 CO2 함유량을 탐지하기 위한 수단은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의 입구측에 배치되는 잠수함.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환공기에 가해지는 수분을 탐지하기 위한 수단은 흡수컨테이너들(8, 8, 8, 8)의 입구측에 배치되는 잠수함.
  11. 제9항에 있어서, 순환공기의 가습을 위한 수단을 활성화하고, CO2함유량을 탐지하기 위한 수단 및 순환공기의 수분공급을 탐지하기 위한 수단이 신호접속되는 제어장치가 제공되는 잠수함.
KR1020090017890A 2008-03-20 2009-03-03 잠수함 KR101170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15150A DE102008015150B4 (de) 2008-03-20 2008-03-20 Unterseeboot
DE102008015150.5 2008-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089A KR20090101089A (ko) 2009-09-24
KR101170337B1 true KR101170337B1 (ko) 2012-08-03

Family

ID=40785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890A KR101170337B1 (ko) 2008-03-20 2009-03-03 잠수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03515B1 (ko)
KR (1) KR101170337B1 (ko)
DE (1) DE102008015150B4 (ko)
ES (1) ES2412233T3 (ko)
PT (1) PT2103515E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23342A1 (de) 2013-11-15 2015-05-21 Thyssenkrupp Marine Systems Gmbh Unterseeboot mit einer CO2-Bindeeinrichtung
DE102014107496A1 (de) 2014-05-27 2015-12-03 Thyssenkrupp Ag Befüllsystem zum Befüllen eines in einem U-Boot angeordneten Reservoirs, U-Boot und Verfahren zum Befüllen eines in einem U-Boot angeordneten Reservoirs
KR101714838B1 (ko) 2014-10-01 2017-03-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료전지 개질기를 탑재한 잠수함의 이산화탄소 배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1076A (ko) 2015-04-10 2016-10-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수소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670174B1 (ko) 2015-06-05 2016-10-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수소 공급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60148269A (ko) 2015-06-16 2016-1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수소 공급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70029887A (ko) 2015-09-08 2017-03-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압축공기계통을 이용한 수중운동체의 개질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70029888A (ko) 2015-09-08 2017-03-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운동체의 개질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717855B1 (ko) 2015-09-08 2017-03-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산화탄소 고체화 처리가 가능한 수중운동체의 개질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70029886A (ko) 2015-09-08 2017-03-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탄소침전물 제거를 위한 수중운동체의 개질기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70029889A (ko) 2015-09-08 2017-03-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솔린을 연료로 하는 수중운동체의 수소공급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590589B1 (ko) 2016-07-12 2023-10-16 한화오션 주식회사 수중운동체의 수소공급시스템
DE102018212898A1 (de) * 2018-08-02 2020-02-27 Thyssenkrupp Ag Regenerativer CO2-Absorber für ein Unterseeboot
DE102020215687A1 (de) 2020-12-11 2022-06-15 Thyssenkrupp Ag CO2-Absorber
DE102020215686A1 (de) 2020-12-11 2022-06-15 Thyssenkrupp Ag CO2-Absorber
CN114537628B (zh) * 2022-03-21 2023-03-14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一种深海平台大气环境综合控制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4219A (ja) 1985-05-02 1986-11-12 Mitsubishi Heavy Ind Ltd Co2除去装置
JP2005112005A (ja) 2003-10-02 2005-04-28 Shimadzu Corp 航空機用空気調和装置
DE102006048716B3 (de) 2006-10-14 2008-02-21 Howaldswerke Deutsche Werft Ag Unterseeboot mit einer CO2-Binde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75066A (en) * 1943-10-30 1946-02-01 William Fancher Sheffield Improvements in ventilating systems for submarines
GB1263231A (en) * 1970-01-01 1972-02-09 Trw Inc Atmospheric control utilizing an electrolytic carbon dioxide concentrator
FR2235732A1 (en) * 1973-07-05 1975-01-31 Comp Generale Electricite Appts. for carbon dioxide absorption from fluids - useful for renewing air in living quarters, e.g. submarines and satellites
FR2342746A1 (fr) * 1976-03-05 1977-09-30 Barral Dominique Procede et dispositifs pour climatiser des enceintes immergees
US4452676A (en) * 1982-04-30 1984-06-0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Carbon dioxide conversion system for oxygen recovery
DE4432097A1 (de) * 1994-09-09 1996-03-14 Kaeser Noske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Reinigen eines Filters für Atemluft
DE19524248C1 (de) * 1995-07-04 1996-07-25 Howaldtswerke Deutsche Werft Vorrichtung für die CO¶2¶-Entsorgung von Unterwasserfahrzeugen
DE19830470C1 (de) * 1998-07-08 1999-11-25 Dornier Gmbh Regeneratives Verfahren zur CO¶2¶-Adsorp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4219A (ja) 1985-05-02 1986-11-12 Mitsubishi Heavy Ind Ltd Co2除去装置
JP2005112005A (ja) 2003-10-02 2005-04-28 Shimadzu Corp 航空機用空気調和装置
DE102006048716B3 (de) 2006-10-14 2008-02-21 Howaldswerke Deutsche Werft Ag Unterseeboot mit einer CO2-Binde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03515A2 (de) 2009-09-23
DE102008015150A1 (de) 2009-10-01
EP2103515B1 (de) 2013-03-27
EP2103515A3 (de) 2012-08-15
PT2103515E (pt) 2013-06-28
DE102008015150B4 (de) 2012-03-15
KR20090101089A (ko) 2009-09-24
ES2412233T3 (es)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337B1 (ko) 잠수함
CA2678926C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air
CA2230900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erting and venting the containment atmosphere in a nuclear power station
KR102289709B1 (ko)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
CN207988868U (zh) 一种带有消防逃生毛巾的防火门
JP5702331B2 (ja) 汚染物質除去装置
JP2019022875A (ja) 排煙脱硫装置の吸収液循環系統閉塞・腐食防止装置及び排煙脱硫装置
KR101973105B1 (ko) 공기정화장치 및 공기정화시스템
JP4953787B2 (ja) 加湿装置
KR20230145181A (ko) 선박
KR102037960B1 (ko) 오염공기 정화장치
CN213895364U (zh) 一种曝气沉砂池
CN117083222A (zh) 船舶
JP4670160B2 (ja) 湿式排煙脱硫装置
KR102498287B1 (ko) 진공압을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JP2946018B2 (ja) 洗浄装置付き空気弁
WO2023281896A1 (ja) 浮体
WO2024058049A1 (ja) スクラバー装置、及びスクラバー装置におけるガス処理方法
CN217473124U (zh) 一种除氟剂制备用存放装置
KR102526244B1 (ko) 선박의 암모니아 누출 대피구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P2013242153A (ja) 除染方法及び除染装置
WO2023084962A1 (ja) 浮体
KR20110043832A (ko) 공기통용 공기방출기
CN206034532U (zh) 一种给水稳压器
JP2004033497A (ja) 炭酸ガス徐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