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878B1 - 피부 화장료 - Google Patents
피부 화장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5878B1 KR101165878B1 KR1020087026453A KR20087026453A KR101165878B1 KR 101165878 B1 KR101165878 B1 KR 101165878B1 KR 1020087026453 A KR1020087026453 A KR 1020087026453A KR 20087026453 A KR20087026453 A KR 20087026453A KR 101165878 B1 KR101165878 B1 KR 1011658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in
- glycol
- whitening
- cosmetic
- organic solvent
- Prior art date
Links
- 0 *c(cc1-c(cc(*)cc2)c2O)ccc1O Chemical compound *c(cc1-c(cc(*)cc2)c2O)ccc1O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흑화를 억제하는 미백 효과가 우수한, 안정성이 높은 피부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식 중, R1,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10의 아실기이되, 단, R1, R2가 동시에 수소 원자인 경우는 없고; 또한,
R3, R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포화 탄화수소기이다.
피부 화장료, 미백, 멜라닌 생성 억제제,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흑화를 억제하는 미백 효과가 우수한, 안정성이 높은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 자외선이 노출되면, 피부가 여러 가지 영향을 받는다. 즉, 자외선 폭로에 의해 피부 내에서 발생하는 활성 산소, 과산화지질 등은 염증을 야기하여 피부 조직에 큰 손상을 준다. 그 손상은 피부의 윤기나 광택, 살결 등을 손상시키고, 또한 그 영향이 진피에까지 미치면 주름 등이 형성되어, 광가령의 원인이 된다. 또한, 자외선에 의해 발생하는 활성 산소나 그의 영향에 의해 피부의 세포로부터 방출되는 여러 가지 인자는 멜라노사이트에 있어서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항진시킨다. 피부의 색조에 관여하는 멜라닌은, 멜라노사이트에서 티로신이 티로시나아제에 의해서 산화됨으로써 생산된다. 그 때문에, 자외선에 의해 티로시나아제가 활성화되면, 멜라닌이 과잉으로 생산되어 표피 세포로 교환되는 결과, 피부의 색조가 변화하여 흑화된다고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미백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 피부의 흑화나 기미, 주근깨를 방지하고, 본래의 흰 피부를 유지하기위해서, 코지산, 알부틴, 하이드로퀴논모노벤질에테르, 과산화수소 등을 배합한 미 백 화장료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염증을 억제하기 위해서, 비타민 C 등을 배합한 화장료가 제안되어 있다.
알부틴, 코지산, 하이드로퀴논모노벤질에테르 등을 배합한 화장료는 약간 흑색의 피부를 담색화하는 효과는 있지만, 요구하는 레벨에는 도달하지 않았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염증 억제 효과는 없고, 피부의 안전성 상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있다. 비타민 C 등을 배합한 화장료에서는 미백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갖지만, 효과의 정도 및 안정성의 면에서 개선해야 할 여지가 있었다. 이와 같이, 염증 억제 효과, 미백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안전성이 높고, 충분한 보존 안정성을 갖는 미백 화장료를 얻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한편, 비페놀 구조를 갖는 마그놀롤이나 호노키올 등이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그러나, 이들 비페놀 화합물은 부분 구조로서 불포화 결합을 가짐으로써, 안전성,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이미, 본 발명자들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비페놀 화합물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짐을 발견하고 있다(특허 문헌 2, 비특허 문헌 1). 그러나 상기 비페놀 화합물은 용해성이 부족하고 또한 결정성이 높기 때문에, 의약품?의약부외품?화장품에 배합할 때, 제제적인 사용 범위에 제한이 있었다. 또한, 상기 비페놀 화합물은 높은 극성을 가짐으로써, 피부 내부에의 침투성이 나쁜 등의 문제도 있었다.
식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포화 탄화수소기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4-82814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허 제2719300호 명세서
<비특허 문헌 1> 요코타 토모히로, 사사키 미노루 저, 「마그노리그난의 티로시나아제 성숙 저해 작용과 그의 미백 효과」, 프래그랜스 저널, 제34권 제2호, 80 내지 83 페이지, 2006년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러한 상황하에,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성, 안정성이 우수하고, 각종 제제에의 적용 범위가 넓고,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높은 멜라닌 생성 억제제를 개발하여,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흑화를 억제하는 미백 효과가 우수한, 안정성이 높은 피부 화장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종래 기술의 난점을 개량하고자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한 비페놀 화합물을 아실화한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이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와 안전성을 갖고, 멜라닌 생성 억제제로서 매우 우수한 특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 또한 상기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이 유상 물질이고, 각종 제제에의 배합 특성이 현저히 개선됨을 발견하였다. 일반적으로 비페놀 화합물을 아실화한 경우, 아실기의 탄소쇄가 긴 것은 유상 물질이 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본원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과 같이 짧은 탄소쇄로 유상 물질이 되는 예는 매우 드물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특정 구조를 갖는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이 멜라닌 생성 억제제로서 우수한 성질을 가짐을 발견하여,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갖는 안정성 및 안전성이 높은 피부 화장료를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원 제1의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에 있다.
식 중,
R1,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10의 아실기이고, 바람직하게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8의 아실기이되, 단, R1, R2가 동시에 수소 원자인 경우는 없고,
R3, R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포화 탄화수소기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포화 탄화수소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기이다.
또한, 본원 제2의 발명은 상기 멜라닌 생성 억제제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화장료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상기 목적은 상기 특정 구조를 갖는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 및 상기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배합한 피부 화장료에 의해 달성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특정 구조의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는 본래의 목적인 멜라닌 색소의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이 없는 등, 안전성도 우수하다. 또한, 상기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은 유상 물질이고, 안정성이 우수하고, 각종 제제에의 적용이 용이함과 동시에, 경피 흡수성도 우수하다. 그 때문에 상기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을 배합한 피부 화장료는 우수한 미백 효과를 발휘하고, 안전성도 우수하여, 폭넓은 제형으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제조예 1의 모노아세틸체의 1H-NMR 차트이다.
도 2는 제조예 1의 디아세틸체의 1H-NMR 차트이다.
도 3은 제조예 2의 디프로피오닐체의 1H-NMR 차트이다.
도 4는 제조예 3의 모노옥타노일체의 1H-NMR 차트이다.
도 5는 제조예 1 내지 3에서 얻은 각 아실체, 비교예 1에서 이용한 프로필비페놀, 및 대표적인 용매의 IOB 값으로부터 작성한 유기 개념도이고, ○는 프로필비페놀, △은 모노아세틸체, □는 디아세틸체, ×는 디프로피오닐체, *은 모노옥타노일체, 또한 ●는 표 2에 예를 든 대표적인 용매의 IOB 값을 각각 나타낸다.
도 6은 제조예 1의 모노아세틸체의 멜라닌 생성 억제 곡선이다.
도 7은 제조예 1의 디아세틸체의 멜라닌 생성 억제 곡선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술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은 공지된 화학 합성 수단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시약으로서 입수 가능한 4-프로필페놀을 J.C.Pew 등의 방법(Journal of Organic Chemistry, 제28권, 1048페이지, 1963년)에 의해 이량체화한 후, 피리딘 존재하, 무수 지방산 또는 산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그의 정제 방법으로서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이나 증류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를 피부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다. 배합량은 피부 화장료의 총량을 기준으로하여,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 0.001 내지 10.0 질량%(이하, 단순히 %로 기록함)가 바람직하고, 0.01 내지 5.0%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하한 미만의 배합량으로는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한편 상한을 초과해도 그의 증가분에 걸맞는 효과의 향상이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본 발명에 이용되는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은 에탄올이나 다가알코올 등의 수용성 유기 용매에의 용해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화장수 등의 수성 화장료일 수도 있다. 수성 화장료의 경우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 0.01 내지 8.0%가 바람직하고, 0.1 내지 5.0%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성 유기 용매는 화장료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40%가 바람직하고, 5 내지 20%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수용성 유기 용매란, 물과 상용성을 갖는 용매이고, 구체적으로 저급 알코올이나 다가알코올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유기 용매로서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로부터 선택되는 저급 알코올의 1종 이상, 및/또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이소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다가알코올의 1종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IOB 값이 1 내지 7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의 범위의 유기 용매이다(IOB 값에 대해서는 후술).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에는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제에 더하여, 종래 공지된 각종 멜라닌 생성 억제제, 미백제, 항산화제 등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에 따른 아 실화 전의 비페놀 화합물을 병용하더라도, 본원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아무런 문제는 없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일반적으로 피부에 도포하는 형태의 화장료 이외에도, 입욕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제형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수용액, W/O형 또는 O/W형 에멀젼, 적당한 부형제 등을 이용하여 과립제 그 밖의 분말, 정제 등으로 하는 것이 고려되고, 구체적으로는 크림, 유액, 화장수, 팩, 젤, 스틱, 시트, 퍼프 등을 들 수 있다. 이 피부 화장료는, 예를 들면 유액 등의 경우, 유상 및 수상을 각각 가열 용해하고, 유화 분산하여 냉각하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화장품 업계에서 관용되는 화장료 기재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원하는 제형으로 할 수 있다. 화장료 기재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90 내지 99.999%가 바람직하고, 95 내지 99.99%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화장료 기재로서는 물, 상기에서 언급한 수용성 유기 용매 이외에도, 유지, 왁스, 탄화수소,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에스테르류, 실리콘유, 타르계 색소, 산화철 등의 착색 안료, 파라벤 등의 방부제, 지방산 비누, 세틸황산나트륨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다가알코올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다가알코올 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테트라알킬암모늄염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술포아미노산형, N-스테아로일-L-글루탐산나트륨 등의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 레시틴, 리소포스파티딜콜린 등의 천연계 계면활성제, 젤라틴, 카제인, 전분, 아라비아검, 카라야검,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트라가칸트검, 퀸스 시드, 펙틴, 카라기난, 알긴산소다 등의 천연 고분자,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에틸셀룰로오스 등의 반합성 고분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및 폴리비닐알코올?폴리에틸렌글리콜?그래프트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소다,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폴리에틸렌옥시드계 중합체 등의 합성 고분자, 크산텐검 등의 증점제, 산화티탄 등의 안료,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등의 항산화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제조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2,2'-디히드록시-5,5'-디-n-프로필-비페닐( 이하, 「프로필비페놀」로 약칭함) 5.0 g에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을 가하여 빙냉하에서 교반하였다. 추가로 피리딘 1.0 ml, 염화아세틸 6.0 g을 순차 가하고, 4시간 후, 정법에 따라서 후처리를 행하여 조생성물을 5.2 g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을 간토 가가꾸사 제조 실리카겔 60N(100-210 ㎛)을 이용한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이동상: 아세트산에틸/n-헥산(1:5)]에 의해 분획하 여, 모노아세틸체 3.0 g과 디아세틸체 1.9 g을 각각 담황색의 유상물로서 얻었다.
얻어진 프로필비페놀의 모노아세틸체 및 디아세틸체는 1H-NMR(400 MHz, CDCl3)에 의해 확인하였다(도 1, 도 2). 얻어진 NMR의 시그널을 이하에 나타내었다.
(모노아세틸체)
(디아세틸체)
제조예 2
제조예 1에 따라서, 동일하게 프로필비페놀 2.2 g에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을 가하고 빙냉하에서 교반하였다. 추가로 피리딘 0.5 ml, 프로피온산클로라이드 약 3.5 ml를 순차 가하고, 4시간 후, 정법에 따라서 후처리를 행하여 조생성물을 2.2 g 얻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간토 가가꾸사 제조 실리카 겔 60N(100-210 ㎛)을 이용한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이동상: 아세트산에틸/n-헥산(1:4)]에 의해 분획하여, 디프로피오닐체 1.47 g을 무색의 유상 물질로서 얻었다.
얻어진 프로필비페놀의 디프로피오닐체는 1H-NMR(400 MHz, CDCl3)에 의해 확인하였다(도 3). 얻어진 NMR의 시그널을 이하에 나타내었다.
(디프로피오닐체)
제조예 3
제조예 1에 따라서, 동일하게 프로필비페놀 1.0 g에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을 가하여 빙냉하에서 교반하였다. 추가로 피리딘 0.5 ml, 옥탄산클로라이드 약 2.5 ml를 순차적으로 가하고, 4시간 후, 정법에 따라서 후처리를 행하여 조생성물을 1.5 g 얻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간토 가가꾸사 제조 실리카 겔 60N(100-210 ㎛)을 이용한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이동상: 아세트산에틸/n-헥산(1:10)]에 의해 분획하여, 모노옥타노일체 1.25 g을 담황색의 유상 물질로서 얻었다.
얻어진 프로필비페놀의 모노옥타노일체는 1H-NMR(400 MHz, CDCl3)에 의해 확인하였다(도 4). 얻어진 NMR의 시그널을 이하에 나타내었다.
(모노옥타노일체)
실시예 1(용해도 시험법)
제조예 1 내지 3에서 얻은 각 아실체의 물 및 유기 용매에의 용해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이하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샘플을 각각 0.1 g 칭량하고, 물 또는 유기 용매를 1 ml 정확하게 가하였다. 시험관 믹서(VORTEX)에 의해 교반한 후, 실온하에 정치하고,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완전히 용해한 것을 ○, 반정도 용해한 것을 △, 거의 용해하지 않은 것을 ×로 평가하였다. 또한, 비교예 1로서, 각 제조예의 출발 물질인 프로필비페놀을 함께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한 결과,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제조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아실체는 각각 고극성 용매의 메탄올, 저극성 용매의 헥산에 대하여 각각 용해성의 향상이 관찰되었다.
IOB(무기성-유기성 균형; inorganic-organic balance) 값은 유기 화합물의 친수성을 나타내는 수치로서, 수치가 클수록 친수성이 높아진다. 계산 방법으로서는 「유기 개념도-기초와 응용」(고다요시오 저 (1984) 산쿄 출판) 등에 기재된 유기성?무기성 표에 기초하여, 유기성 값(OV), 무기성 값(IV)을 계산하여, IOB 값=무기성 값/유기성 값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제조예 1 내지 3에서 얻은 각 아실체와 비교예 1에서 이용한 프로필비페놀, 및 대표적인 용매의 OV, IV 및 IOB 값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유기 개념도 상에서, 일반적으로 원점으로부터 화합물의 IOB 값을 통과하는 동 비율선을 그릴 때, 이 선상에서, 또한 그 화합물에 가까운 곳에 있거나, 또는 동일선상에 없더라도 이 비율선과 방향이 근접한 비율선상에 있어, 가까운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용제가 이 화합물을 가장 잘 녹이는 용매인 것이 알려져 있다. 표 2에 나타낸 제조예 1 내지 3에서 얻은 각 아실체, 비교예 1에서 이용한 프로필비페놀, 및 대표적인 용매의 IOB 값으로부터 유기 개념도를 작성하였다(도 5).
비교예 1의 프로필비페놀은 메탄올, n-헥산에 대한 용해성이 낮은 것이었다. 본원 화합물의 아실체는 IOB 값이 비교예 1보다 낮고, 개념도 상은 유기 용매에의 용해성이 높아져, 메탄올에의 용해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용해도 시험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n-헥산에의 용해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메탄올에 대해서도 우수한 용해성이 얻어졌다.
제조예 1에서 얻은 프로필비페놀의 모노아세틸체 및 디아세틸체를 시료로하여 하기의 멜라닌 생성 억제 시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2, 3, 비교예 2, 3(멜라닌 생성 억제 시험)
B16 멜라노마 세포를 10 vol% 소 태아 혈청 함유 MEM 배지에서 104 개/웰로 12 구멍 플레이트에 뿌리고, 24시간 전배양하였다. 전배양 후, 배지를 테오필린을 2 mmol/L 첨가한 상기 배지에 시료 화합물을 소정 농도 첨가한 배지와 교환하고, 72시간 배양을 행하였다. 세포를 10 vol% 트리클로로아세트산, 계속해서 에탄올/디에틸에테르(1:1 vol/vol)로 처리하였다. 또한 10 vol% 디메틸술폭시드를 함유하는 1 mol/L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하여, OD475를 측정하고, 그 값을 멜라닌량의 지표로 하였다. 그 후, 용해액을 쿠마씨 플러스 단백질 분석 시약 키트(Coomasie Plus Protein Assay Reagent Kit; PIERCE사 제조)를 이용하여 총 단백질량을 정량하고, 단백질량 당의 멜라닌량을 계산하였다. 시료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를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구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멜라닌 생성 억제 시험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의 프로필비페놀의 모노아세틸체 및 디아세틸체의 멜라닌 생성 억제 곡선을 작성하였다(도 6, 도 7). 이 억제 곡선으로부터, 멜라닌 생성을 50% 억제한다고 추측되는 농도값, IC50 값을 구하였다. 제조예 1의 모노아세틸체의 IC50 값은 7.0(㎍/ml), 디아세틸체의 IC50 값은 6.5(㎍/ml)였다.
또한, 상기한 멜라닌 생성 억제 시험을 각 제조예의 출발 물질인 프로필비페놀(비교예 2) 및 알부틴(비교예 3)을 시료로서 행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IC50 값을 구하였다. IC50 값은 각각 4.0(㎍/ml), 20(㎍/ml)였다.
실시예 4, 비교예 4(자외선 색소 침착 억제 시험)
본 발명의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의 자외선 색소 침착 억제 효과를 유색 모르모트를 이용한 하기의 자외선 색소 침착 억제 시험에 의해 평가하였다. 시험 동물은 시험 개시시 6주령의 A-1계 모르모트 1군 8마리를 이용하였다.
1. 자외선 조사 및 색소 침착 평가 방법
등부 피부를 제모하여, 4 ㎠(2×2 cm)의 시험 부위를 설정하고, UVB 영역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1회의 조사량은 최소 홍반량의 약 1.5배로 하고, 시험 제1, 제4 및 제7일째에 조사를 행하였다. 색소 침착은 피부 명도(L* 값)와 피부 명도 저하(ΔL* 값)를 지표로서 평가하였다. 피부 명도는 색채 색차계 CR-300(미놀타사 제조)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시료와 실험 방법
프로필렌글리콜/에탄올/물(20:63:17)을 기제로하여, 제조예 1에서 얻은 프로필비페놀의 모노아세틸체를 0.5% 배합한 시료(실시예 4)를 제조하였다. 이 시료 0.1 ml를 첫회 자외선 조사 후로부터 1일 1회, 2주간 연속 도포하였다. 대조로서 기제만의 시료(비교예 4)를 동일하게 도포하였다. 자외선 조사 전과 조사 2주간 후에 피부 명도를 측정하여, 시료의 도포에 의한 모르모트의 자외선 색소 침착에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본 시험계에서는 L* 값이 클수록, 또한 ΔL* 값의 절대값이 작을수록, 자외선 색소 침착을 억제한 것을 나타낸다. 본 시험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멜라닌 생성 억제제인 제조예 1의 프로필비페놀의 모노아세틸체가 자외선에 의한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 분명해졌다.
(미백 실용 시험 방법)
하절기의 태양광에 3시간(1일 1.5시간으로 2일간) 노출된 피시험자 20명의 전완굴측부 피부를 대상으로하여, 좌측 전완굴측부 피부에는 태양광에 노출된 날부터 시료를, 우측 전완굴측부 피부에는 태양광에 노출된 날부터 베이스를 조석 1회씩 13주 연속 도포하였다. 또한, 평가는 베이스 도포부보다 시료 도포부에서 미백 효과가 확인된 피험자의 인수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비교예 5(스킨 로션)
표 5의 원료 조성에 있어서, (B) 성분으로서 표 6에 기재된 유효 성분을 배합하고, 스킨 로션을 제조하여, 상기 미백 실용 시험을 실시하였다.
?제조법
B 성분을 C 성분 중에 균일하게 용해한 후, A 성분과 C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 교반, 분산하고 이어서 용기에 충전하였다.
?특성
미백 실용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표 6에 기재하였다.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인 실시예 5는 분명히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 자극 반응 또는 피부 감작 반응을 나타낸 피험자는 생기지 않았다.
실시예 6, 비교예 6(스킨 크림)
표 7의 원료 조성에 있어서, (B) 성분으로서 표 8에 기재된 유효 성분을 배합하고, 스킨 크림을 제조하여, 상기 미백 실용 시험을 실시하였다.
?제조법
A 성분과 B 성분을 혼합한 것을 각각 균일하게 가열 용해하여 온도를 80℃로 한다. 이어서, 이것에 C 성분을 주입 유화한 후, 교반하면서 30℃까지 냉각하였다.
?특성
미백 실용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표 8에 기재하였다.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인 실시예 6은 분명히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 자극 반응 또는 피부 감작 반응을 나타낸 피험자는 생기지 않았다.
실시예 7, 비교예 7(스킨 로션)
표 5의 원료 조성에 있어서, (B) 성분으로서 표 9에 기재된 유효 성분을 배합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스킨 로션을 제조하여, 상기 미백 실용 시험을 실시하였다.
?특성
미백 실용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표 9에 기재하였다.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인 실시예 7은 분명히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 자극 반응 또는 피부 감작 반응을 나타낸 피험자는 생기지 않았다.
실시예 8, 비교예 8(스킨 크림)
표 7의 원료 조성에 있어서, (B) 성분으로서 표 10에 기재된 유효 성분을 배합하고,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스킨 크림을 제조하여, 상기 미백 실용 시험을 실시하였다.
?특성
미백 실용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표 10에 기재하였다. 표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인 실시예 8은 분명히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 자극 반응 또는 피부 감작 반응을 나타낸 피험자는 생기지 않았다.
실시예 9, 비교예 9(스킨 크림)
표 7의 원료 조성에 있어서, (B) 성분으로서 표 11에 기재된 유효 성분을 배합하고,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스킨 크림을 제조하여, 상기 미백 실용 시험을 실시하였다.
?특성
미백 실용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표 11에 기재하였다. 표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인 실시예 9는 분명히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 자극 반응 또는 피부 감작 반응을 나타낸 피험자는 생기지 않았다.
이상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멜라닌 생성 억제제는 멜라닌 색소의 생산 억제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자극이 없고, 유상 물질이고 안정성, 경피 흡수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에 의해,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갖는, 안정성이 높은 각종 제형의 피부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 제1항에 있어서, 아실화 비페놀 화합물의 배합량이 화장료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8.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수성 화장료.
- 제1항에 있어서,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로부터 선택되는 저급 알코올의 1종 이상, 또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이소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다가 알코올의 1종 이상, 또는 상기 저급 알코올 1종 이상과 상기 다가 알코올 1종 이상의 조합인 수용성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수성 화장료.
- 제3항에 있어서, 수용성 유기 용매의 양이 화장료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4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수성 화장료.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 수용성 유기 용매가 IOB(inorganic-organic balance; 무기성-유기성 균형) 값이 1 내지 7의 범위인 유기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수성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6-00093872 | 2006-03-30 | ||
JP2006093872 | 2006-03-30 | ||
PCT/JP2007/056161 WO2007114095A1 (ja) | 2006-03-30 | 2007-03-26 | 皮膚化粧料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5177A KR20080105177A (ko) | 2008-12-03 |
KR101165878B1 true KR101165878B1 (ko) | 2012-07-13 |
Family
ID=3856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26453A KR101165878B1 (ko) | 2006-03-30 | 2007-03-26 | 피부 화장료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090053152A1 (ko) |
EP (1) | EP2042153B1 (ko) |
JP (1) | JP4914889B2 (ko) |
KR (1) | KR101165878B1 (ko) |
CN (1) | CN101420929B (ko) |
ES (1) | ES2526920T3 (ko) |
TW (1) | TWI323664B (ko) |
WO (1) | WO200711409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0015791A1 (de) * | 2010-04-20 | 2011-10-20 | Beiersdorf Ag | Wirkstoffkombinationen aus Magnolienrindenextrakt und polyethoxylierten Verbindungen |
EP2423181A1 (en) | 2010-07-28 | 2012-02-29 | Prous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 S.A. | Multitarget substituted biphenyl diol derivatives |
JP5856766B2 (ja) * | 2011-06-24 | 2016-02-10 | 昭和電工株式会社 |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41254A (ja) | 2001-02-14 | 2002-08-28 | Kanebo Ltd | 美白化粧料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91179B2 (ja) * | 1990-07-23 | 1995-10-04 | 御木本製薬株式会社 | 美白化粧料 |
JP2719300B2 (ja) * | 1993-07-07 | 1998-02-25 | 鐘紡株式会社 | メラニン生成抑制剤 |
JP3632348B2 (ja) * | 1997-01-14 | 2005-03-23 | 株式会社カネボウ化粧品 | 皮膚化粧料 |
JP2000281539A (ja) * | 1999-01-29 | 2000-10-10 | Seiwa Kasei:Kk | 化粧品基材 |
JP2001151660A (ja) * | 1999-11-24 | 2001-06-05 | Shiseido Co Ltd | 皮膚外用剤 |
JP2004182600A (ja) * | 2001-10-31 | 2004-07-02 | Daicho Kikaku:Kk | 皮膚用剤 |
-
2007
- 2007-03-26 ES ES07739599.4T patent/ES2526920T3/es active Active
- 2007-03-26 US US12/295,089 patent/US2009005315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3-26 TW TW096110331A patent/TWI323664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3-26 WO PCT/JP2007/056161 patent/WO200711409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03-26 CN CN2007800124106A patent/CN101420929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3-26 KR KR1020087026453A patent/KR10116587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7-03-26 EP EP07739599.4A patent/EP2042153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7-03-26 JP JP2008508527A patent/JP491488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41254A (ja) | 2001-02-14 | 2002-08-28 | Kanebo Ltd | 美白化粧料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S2526920T3 (es) | 2015-01-16 |
KR20080105177A (ko) | 2008-12-03 |
EP2042153A4 (en) | 2013-03-13 |
US20090053152A1 (en) | 2009-02-26 |
JPWO2007114095A1 (ja) | 2009-08-13 |
WO2007114095A1 (ja) | 2007-10-11 |
JP4914889B2 (ja) | 2012-04-11 |
CN101420929B (zh) | 2011-09-21 |
EP2042153B1 (en) | 2014-11-26 |
CN101420929A (zh) | 2009-04-29 |
TW200806334A (en) | 2008-02-01 |
EP2042153A1 (en) | 2009-04-01 |
TWI323664B (en) | 2010-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14519A (ko) |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715223B1 (ko) | 만노실에리트리톨 지질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JP5399701B2 (ja) | 美白用皮膚外用剤及び皮膚の美白方法 | |
KR100287242B1 (ko) | 탈색제로서의옥사메이트유도체의용도 | |
KR101165878B1 (ko) | 피부 화장료 | |
KR102436291B1 (ko) | 엘루테로사이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JP4326512B2 (ja) | 美白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美白化粧料 | |
JP4658898B2 (ja) |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及び美白化粧料 | |
KR100851044B1 (ko) |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3,5-디히드록시 벤즈아미드 유도체,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347976B1 (ko) | 페닐옥심 단편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하나이상 함유하는,피부 및/또는 그의 표면적 신체성장부에의 국소적 적용을위한 조성물 | |
JP4842550B2 (ja) |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美白用皮膚外用剤 | |
KR101551240B1 (ko) | 검은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JP2007022960A (ja) |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及び美白化粧料 | |
JP2001172173A (ja) | N−エチルオキシカルボニル−4−アミノフェノール及びアルブチンまたはその誘導体及び/またはエラグ酸またはその誘導体を含む化粧品組成物 | |
KR20100061978A (ko) | 피부미백용조성물 | |
KR101151007B1 (ko) | 루시놀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272490B1 (ko) | 시냅알데히드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JP2002029957A (ja) | 化粧料 | |
KR102160306B1 (ko) | 피부미백제 | |
JPWO2010041417A1 (ja) | 皮膚外用剤 | |
JP2002145748A (ja) | 美白化粧料 | |
KR20030066874A (ko) | 락테이트 및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 |
KR20240116232A (ko) | 1,3-디옥틸옥시벤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제 | |
JP2005023242A (ja) | 抗酸化剤及び皮膚外用剤 | |
Van Rensburg |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sodium ascorbyl phosphate and kojic acid containing produc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