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428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428B1
KR101163428B1 KR1020100070842A KR20100070842A KR101163428B1 KR 101163428 B1 KR101163428 B1 KR 101163428B1 KR 1020100070842 A KR1020100070842 A KR 1020100070842A KR 20100070842 A KR20100070842 A KR 20100070842A KR 101163428 B1 KR101163428 B1 KR 101163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width
arrangement direction
contact arrangement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574A (ko
Inventor
신고 나나오
마사유키 기쿠치
게이조 가이
가즈시 가마타
야스후미 야히로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8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컨택트의 배치 피치를 작게 해도, 접촉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끼워맞춤 방향과 직교하는 컨택트 배치 방향을 따라 하우징에 번갈아 제 1 컨택트와 제 2 컨택트를 배치한다. 제 1 컨택트의 제 1 접촉부 제 1 절곡부, 및 동축 케이블에 접속되는 제 1 접속부를 하우징의 컨택트 배치부의 상면, 전부, 및 후부에 각각 배치한다. 제 1 절곡부와 제 1 접속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제 2 컨택트의 제 2 접속부에 연결되는 제 2 접촉부를 컨택트 배치부의 하면에 배치한다. 컨택트 배치부의 전부에 배치되는 제 2 절곡부를 제 2 접촉부에 연결한다. 연결부의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을 제 1, 제 2 접촉부의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보다도 작게 하였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우징과 복수의 신호 컨택트를 구비하는 플러그측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93916호 (단락 0027 ~ 0029, 0032, 0033, 도 1) 참조).
하우징은, 복수의 신호 컨택트의 후술하는 제 1, 제 2 접촉부가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돌출부를 갖는다.
복수의 신호 컨택트는, 하우징의 상대측 커넥터에 대한 끼워맞춤 방향과 직교하는 컨택트 배치 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로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다. 각 신호 컨택트는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를 갖는다. 제 1 접촉부는 하우징의 돌출부의 상면에 배치된다. 제 2 접촉부는 제 1 접촉부에 연결되고, 하우징의 돌출부의 원호 형상의 선단면을 따르도록 U 자형으로 절곡되어 돌출부의 하면에 도달한다.
이 플러그측 커넥터의 상대측 커넥터인 리셉터클측 커넥터는, 하우징과 복수의 신호 컨택트를 갖는다.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하우징은 플러그측 커넥터의 하우징의 돌출부를 수용 (受容) 한다.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신호 컨택트는 두 갈래 형상으로,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를 갖는다.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는 끼워맞춤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플러그측 커넥터와 리셉터클측 커넥터가 끼워 맞춰졌을 때, 플러그측 커넥터의 신호 컨택트의 제 1, 제 2 접촉부는 각각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신호 컨택트의 제 1, 제 2 접촉부에 접촉된다.
상기 서술한 플러그측 커넥터 및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신호 컨택트의 배치 피치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플러그측 커넥터 및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제 1, 제 2 접촉부의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을 작게 하면 된다.
그러나, 제 1, 제 2 접촉부의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을 작게 하여, 그들의 배치 피치를 작게 하면, 예를 들어 끼워맞춤 덜걱거림에서 기인하는 플러그측 커넥터의 제 1, 제 2 접촉부와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제 1, 제 2 접촉부의 컨택트 배치 방향의 위치 어긋남에 의해,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신호 컨택트의 제 1, 제 2 접촉부와 플러그측 커넥터의 신호 컨택트의 제 1, 제 2 접촉부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접촉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는 컨택트의 배치 피치를 작게 해도, 접촉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판 형상의 컨택트 배치부를 갖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상대측 커넥터에 대한 끼워맞춤 방향과 직교하는 컨택트 배치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에 번갈아 배치된 제 1, 제 2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컨택트는, 상기 컨택트 배치부의 일방의 면에 배치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1 접촉부에 연결되고, 상기 컨택트 배치부의 전부 (前部) 에 배치되는 제 1 절곡부와, 상기 컨택트 배치부의 후부에 배치되고,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컨택트 배치부의 타방의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1 접속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제 2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에 연결되고, 상기 컨택트 배치부의 타방의 면에 배치되는 제 2 접촉부와, 상기 제 2 접촉부에 연결되고, 상기 컨택트 배치부의 전부에 배치되는 제 2 절곡부를 갖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이, 상기 제 1, 제 2 접촉부보다도 작은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커넥터의 구성에 의하면, 제 1 접촉부를 컨택트 배치부의 일방의 면에 배치하고, 제 2 접촉부 및 연결부를 컨택트 배치부의 타방의 면에 배치하고, 연결부의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을 제 1, 제 2 접촉부의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보다도 작게 하였으므로, 제 1, 제 2 접촉부의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을 작게 하지 않고, 제 1, 제 2 접촉부의 배치 피치를 작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제 2 절곡부에 연결되고, 상기 컨택트 배치부의 상기 일방의 면에 배치되는 연장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이, 상기 제 1, 제 2 접촉부보다도 작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접촉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과 상기 제 2 접촉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동등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과 상기 연장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동등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절곡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제 1 접촉부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향하여 점차 작아지고, 상기 제 1 절곡부의 일 단부 (端部) 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제 1 접촉부의 폭과 동등하고, 상기 제 1 절곡부의 타단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연결부의 폭과 동등하고,
상기 제 2 절곡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제 2 접촉부로부터 상기 연장부를 향하여 점차 작아지고, 상기 제 2 절곡부의 일단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제 2 접촉부의 폭과 동등하고, 상기 제 2 절곡부의 타단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연장부의 폭과 동등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택트의 배치 피치를 작게 해도, 접촉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서술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그리고 이점은, 첨부하는 도면에 기초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를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 은 도 3 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 은 도 1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에서 커버 쉘 및 케이블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를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플러그 커넥터의 제 1, 제 2 컨택트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의 제 1, 제 2 컨택트를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1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측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에서 제 1, 제 2 컨택트를 각각 1 개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은 도 12 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 1 컨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4 는 도 12 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 2 컨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5 는 도 1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의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16 은 도 1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와 도 11 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 맞춰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 은 도 1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18 은 도 16 의 ⅩⅧ-ⅩⅧ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 는 도 16 의 ⅩⅨ-ⅩⅨ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 은 도 16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의 제 1, 제 2 컨택트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 1, 제 2 컨택트의 접촉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1 은 제 1 컨택트와 제 2 컨택트의 변형예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 1 ~ 도 20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커넥터) (100) 는 하우징 (30) 과 복수의 제 1 컨택트 (50) 와 복수의 제 2 컨택트 (60) 와 커버 쉘 (70) 과 베이스 쉘 (80) 을 구비한다.
도 1,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컨택트 (50) 와 제 2 컨택트 (60)는 컨택트 배치 방향 (A) 을 따라 번갈아 하우징 (30) 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 (30) 은 절연 재료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도 7,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30) 의 전부에는 컨택트 배치부 (31) 가 위치하고, 하우징 (30) 의 후부에는 케이블 유지부 (32) 가 위치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30) 의 전부는 도 7, 도 8 을 마주봤을 때 하측 부분이고, 하우징 (30) 의 후부는 도 7, 도 8 을 마주봤을때 상측 부분이다. 또, 도 7 에는 하우징 (30) 의 상면이 나타나 있고, 도 8 에는 하우징 (30) 의 하면이 나타나 있다.
컨택트 배치부 (31) 는 대략 판 형상이다. 컨택트 배치부 (31) 는 하우징 (30) 의 끼워맞춤 방향 (F) 과 직교하는 컨택트 배치 방향 (A) 으로 연장되어 있다. 컨택트 배치부 (31) 의 상면에는 컨택트 배치 방향 (A) 을 따라 후술하는 제 1 컨택트 (50) 의 제 1 접촉부 (51) 와 제 2 컨택트 (60) 의 연장부 (64) 가 소정의 간격으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도 5 참조). 컨택트 배치부 (31) 의 하면에는 컨택트 배치 방향 (A) 을 따라 후술하는 제 1 컨택트 (50) 의 연결부 (54) 와 제 2 컨택트 (60) 의 제 2 접촉부 (61) 가 소정의 간격으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도 6 참조).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유지부 (32) 는 컨택트 배치부 (31) 에 연결되고, 컨택트 배치 방향 (A) 으로 연장되어 있다. 케이블 유지부 (32) 에는 복수의 케이블 유지홈 (32a) 이 컨택트 배치 방향 (A) 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9,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컨택트 (50) 는 제 1 접촉부 (51) 와 제 1 절곡부 (52) 와 제 1 접속부 (53) 와 연결부 (54) 를 갖는다. 제 1 컨택트 (50) 는 후술하는 제 2 컨택트 (60) 및 베이스 쉘 (80) 과 동일하게, 1 개의 금속판을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제 1 접촉부 (51) 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서, 컨택트 배치부 (31) 의 상면에 배치되고, 끼워맞춤 방향 (F) 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절곡부 (52) 는 제 1 접촉부 (51) 에 연결된다. 제 1 절곡부 (52) 는 컨택트 배치부 (31) 의 대략 원호 형상의 전부를 따르도록 대략 원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 1 접속부 (53) 는 컨택트 배치부 (31) 의 후부에 위치하고, 케이블 유지부 (32)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7, 도 18 참조). 연결부 (54) 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서, 컨택트 배치부 (31) 의 하면에 배치되고, 끼워맞춤 방향 (F) 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 (54) 는 제 1 절곡부 (52) 와 제 1 접속부 (53) 를 연결한다.
도 9,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컨택트 (60) 는 제 2 접촉부 (61) 와 제 2 절곡부 (62) 와 제 2 접속부 (63) 와 연장부 (64) 를 갖는다.
제 2 접촉부 (61) 는 대략 판 형상으로서, 컨택트 배치부 (31) 의 하면에 배치되고, 끼워맞춤 방향 (F) 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절곡부 (62) 는 제 2 접촉부 (61) 에 연결된다. 제 2 절곡부 (62) 는 컨택트 배치부 (31) 의 대략 원호 형상의 전부를 따르도록 대략 원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 2 접속부 (63) 는 제 2 접촉부 (61) 에 연결되고, 컨택트 배치부 (31) 의 후부에 위치하고, 케이블 유지부 (32)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7 참조). 연장부 (64) 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서, 컨택트 배치부 (31) 의 상면에 배치되고, 끼워맞춤 방향 (F) 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 (64) 는 제 2 절곡부 (62) 에 연결된다.
제 2 컨택트 (60) 의 제 2 접촉부 (61)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과 제 1 컨택트 (50) 의 제 1 접촉부 (51)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은 동등하다.
제 2 컨택트 (60) 의 연장부 (64)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과 제 1 컨택트 (50) 의 연결부 (54) 의 폭은 동등하다.
연결부 (54) 및 연장부 (64)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은 각각 제 1 접촉부 (51)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보다도 작다.
도 9, 도 10,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컨택트 (50) 의 제 1 절곡부 (52) 의 일단 (一端) (제 1 접촉부 (51) 측)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은 제 1 접촉부 (51)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과 동등하고, 제 1 컨택트 (50) 의 제 1 절곡부 (52) 의 타단 (연결부 (54) 측)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은 연결부 (54)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과 동등하다. 또, 제 1 절곡부 (52)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은 제 1 절곡부 (52) 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점차 작아진다.
도 9, 도 10,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컨택트 (60) 의 제 2 절곡부 (62) 의 일단 (제 2 접촉부 (61) 측)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은 제 2 접촉부 (61)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과 동등하고, 제 2 컨택트 (60) 의 제 2 절곡부 (62) 의 타단 (연장부 (64) 측)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은 연장부 (64)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과 동등하다. 또, 제 2 절곡부 (62)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은 제 2 절곡부 (62) 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점차 작아진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커버 쉘 (70) 은 금속판에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커버 쉘 (70) 은 하우징 (30) 의 후부를 덮는다.
도 3, 도 4 에 나타내는 베이스 쉘 (80) 은 금속판에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쉘 (80) 은 하우징 (30) 의 후부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1 장의 금속판 (도시 생략) 에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복수의 제 1 컨택트 (50) 와 복수의 제 2 컨택트 (60) 와 베이스 쉘 (80) 을 형성한다. 이 때, 모든 제 1, 제 2 컨택트 (50, 60) 및 베이스 쉘 (80) 은 캐리어(도시 생략) 에 연결된 상태가 된다. 또, 다른 금속판 (도시 생략) 에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커버 쉘 (70) 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캐리어에 의해 하나로 합쳐진 복수의 제 1, 제 2 컨택트 (50, 60) 및 베이스 쉘 (80) 을 금형 (도시 생략) 내에 배치하고, 금형 내에 용융된 수지를 충전한다. 이와 같이, 이른바 몰드인 성형법 (인몰드 성형법) 에 의해 복수의 제 1, 제 2 컨택트 (50, 60) 와 베이스 쉘 (80) 이 각각 부분적으로 매립된 하우징 (30) 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커버 쉘 (70) 을 하우징 (30) 에 장착한다. 이상의 공정을 거쳐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제조가 완료된다.
도 17, 도 18,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100) 에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 (110) 이 접속된다. 동축 케이블 (110) 을 플러그 커넥터 (100) 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먼저, 동축 케이블 (110) 의 절연체 (112) 를 절제하여 중심 도체 (111) 를 노출시킴과 함께, 피복 (114) 을 절제하여 외부 도체 (113) 를 노출시킨다.
다음으로, 복수의 동축 케이블 (110) 의 외부 도체 (113) 를 2 개의 그라운드 바 (90) 사이에 끼우고, 외부 도체 (113) 를 그라운드 바 (90) 에 납땜한다.
그 후, 외부 도체 (113) 가 납땜된 그라운드 바 (90) 를, 커버 쉘 (70) 을 떼어낸 플러그 커넥터 (100) 의 하우징 (30) 의 후부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복수의 동축 케이블 (110) 의 중심 도체 (111) 를 제 1 컨택트 (50) 의 제 1 접속부 (53) 및 제 2 컨택트 (60) 의 제 2 접속부 (63) 에 납땜한다.
마지막으로, 커버 쉘 (70) 을 하우징 (30) 에 장착한다. 이상의 공정을 거쳐 동축 케이블 (110) 이 플러그 커넥터 (100) 에 접속된다.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상대측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 (200)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200) 는 하우징 (230) 과 제 1 컨택트 (250) 와 제 2 컨택트 (260) 와 베이스 쉘 (280) 을 구비한다.
하우징 (230) 은 상자 형상이며, 플러그 커넥터 (100) 의 하우징 (30) 의 컨택트 배치부 (31) 를 수용한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컨택트 (250) 는 제 1 접촉부 (251) 와 제 1 접속부 (253) 와 제 1 압입부 (255) 를 갖는다. 제 1 컨택트 (250) 는 L자형의 스프링부 (251a) 와 스프링부 (251a) 의 선단부에 형성된 접점 (251b) 을 갖는다. 제 1 접속부 (253) 는 스프링부 (251a) 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된다. 제 1 압입부 (255) 도 스프링부 (251a) 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제 1 접속부 (253) 와는 반대로 후방으로 연장된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컨택트 (260) 는 제 2 접촉부 (261) 와 제 2 접속부 (263) 와 제 2 압입부 (265) 를 갖는다. 제 2 접촉부 (261) 는 직선적으로 연장된 스프링부 (261a) 와 스프링부 (261a) 의 선단부에 형성된 접점 (261b) 을 갖는다. 제 2 접속부 (263) 는 제 2 압입부 (265) 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제 2 압입부 (265) 는 제 2 접촉부 (261) 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도 11,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쉘 (280) 의 일부는 이른바 몰
드인 성형법 (인몰드 성형법) 에 의해 하우징 (230) 에 매설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 (200) 의 제 1 컨택트 (250) 의 제 1 접속부 (253) 및 제 2 컨택트 (260) 의 제 2 접속부 (263) 는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의 패드에 납땜된다.
플러그 커넥터 (100) 를 리셉터클 커넥터 (200) 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도 18,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100) 의 하우징 (30) 의 컨택트 배치부 (31) 를 리셉터클 커넥터 (200) 의 하우징 (230) 에 삽입하면 된다.
도 16, 도 18, 도 19,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100) 와 리셉터클 커넥터 (200) 가 끼워맞춰져 있을 때,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제 1 컨택트 (50) 의 제 1 접촉부 (51) 는 리셉터클 커넥터 (200) 의 제 1 컨택트 (250) 의 제 1 접촉부 (251) 에 접촉되고,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제 2 컨택트 (60) 의 제 2 접촉부 (61) 는 리셉터클 커넥터 (200) 의 제 2 컨택트 (260) 의 제 2 접촉부 (261) 에 접촉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컨택트 (50, 60) 의 제 1, 제 2 접속부 (53, 63) 이외의 부분이 컨택트 배치부 (31) 의 하면으로부터 컨택트 배치부 (31) 의 전부를 접어서 겹치듯이 통과하여, 컨택트 배치부 (31) 의 상면으로 연장되고, 또, 제 1 접촉부 (51) 및 연장부 (64) 를 컨택트 배치부 (31) 의 상면에 배치하고, 제 2 접촉부 (61) 및 연결부 (54) 를 컨택트 배치부 (31) 의 하면에 배치하고, 연결부 (54) 및 연장부 (64)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을 제 1, 제 2 접촉부 (51, 61)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보다도 작게 하였으므로, 제 1, 제 2 접촉부 (51, 61)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을 작게 하지 않고, 제 1, 제 2 접촉부 (51, 61) 의 배치 피치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 (100) 를 리셉터클 커넥터 (200) 에 끼워 맞췄을 때,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제 1, 제 2 접촉부 (51, 61) 의 중심이 리셉터클 커넥터 (200) 의 제 1, 제 2 접촉부 (251, 261) 의 중심에 대해 컨택트 배치 방향 (A) 으로 조금 어긋나도, 제 1, 제 2 접촉부 (51, 61) 와 제 1, 제 2 접촉부 (251, 261) 의 접촉 면적은 크게 감소하지 않으므로, 안정된 접촉 상태가 확보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제 1, 제 2 접촉부 (51, 61) 와 리셉터클 커넥터 (200) 의 제 1, 제 2 접촉부 (251, 261) 의 접촉 신뢰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플러그 커넥터 (100) 의 제 1, 제 2 접촉부 (51, 61) 의 협 (挾) 피치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플러그 커넥터 (100) 가 협피치화되어도, 제 1 컨택트 (50) 와 제 2 컨택트 (60)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이 작아지지 않으므로, 접촉 안정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컨택트 (50) 와 제 2 컨택트 (60) 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금형을 이용하여 하우징 (30) 을 성형할 때, 제 1, 제 2 접촉부 (51, 61) 와 연결부 (54), 연장부 (64) 를 금형으로 유지할 수 있고, 컨택트 배치 방향 (A) 과 이에 직교하는 방향(두께 방향)의 양 방향으로의 제 1, 제 2 컨택트 (50, 60) 의 전도 (顚倒) 등이 억제되므로, 제 1, 제 2 컨택트 (50, 60) 의 자세가 안정되어, 제 1, 제 2 컨택트 (50, 60) 의 배치 피치의 정밀도가 양호해진다.
또, 제 1, 제 2 절곡부 (52, 62) 가 컨택트 배치부 (31) 의 전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플러그 커넥터 (100) 를 리셉터클 커넥터 (200) 에 끼워 맞출 때, 제 1, 제 2 절곡부 (52, 62) 가 리셉터클 커넥터 (200) 의 제 1, 제 2 컨택트 (250, 260) 단부 (端部) 에 맨 처음 맞닿는다. 따라서, 하우징 (30) 의 컨택트 배치부 (31) 가 잘 깎이지 않는다. 또한, 제 2 컨택트 (60) 에 연장부 (64) 를 형성하였으므로, 제 2 접촉부 (61) 가 컨택트 배치부 (31) 에서 빠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컨택트 (60) 에 연장부 (64) 를 형성하였지만, 도 21 에 나타내는 제 2 컨택트 (60) 의 변형예와 같이, 제 2 컨택트 (60') 에 연장부 (64) 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 제 1 접촉부 (51)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과 제 2 접촉부 (61)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을 동등하게 하였지만, 동등하게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연결부 (54)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과 연장부 (64)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을 동등하게 하였지만, 동등하게 하지 않아도 된다.
또, 제 1 절곡부 (52)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을 제 1 접촉부 (51) 로부터 연결부 (54) 를 향하여 점차 작아지게 하고, 제 1 절곡부 (52) 의 일단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을 제 1 접촉부 (51) 와 동등하게 하고, 제 1 절곡부 (52) 의 타단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을 연결부 (54) 와 동등하게 하고, 제 2 절곡부 (62) 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을 제 2 접촉부 (61) 로부터 연장부 (64) 를 향하여 점차 작아지게 하고, 제 2 절곡부 (62) 의 일단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을 제 2 접촉부 (61) 와 동등하게 하고, 제 2 절곡부 (62) 의 타단의 컨택트 배치 방향 (A) 의 폭을 연장부 (64) 와 동등하게 하였지만, 반드시 이와 같이 할 필요는 없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설명이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확할 것이다.

Claims (9)

  1. 판 형상의 컨택트 배치부를 갖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상대측 커넥터에 대한 끼워맞춤 방향과 직교하는 컨택트 배치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에 번갈아 배치된 제 1, 제 2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컨택트는, 상기 컨택트 배치부의 일방의 면에 배치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1 접촉부에 연결되고, 상기 컨택트 배치부의 전부(前部)에 배치되는 제 1 절곡부와, 상기 컨택트 배치부의 후부에 배치되고,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컨택트 배치부의 타방의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1 접속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제 2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에 연결되고, 상기 컨택트 배치부의 타방의 면에 배치되는 제 2 접촉부와, 상기 제 2 접촉부에 연결되고, 상기 컨택트 배치부의 전부(前部)에 배치되는 제 2 절곡부를 갖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이, 상기 제 1, 제 2 접촉부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제 2 절곡부에 연결되고, 상기 컨택트 배치부의 상기 일방의 면에 배치되는 연장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이, 상기 제 1, 제 2 접촉부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과 상기 제 2 접촉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과 상기 제 2 접촉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과 상기 연장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곡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제 1 접촉부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향하여 점차 작아지고, 상기 제 1 절곡부의 일단부 (一端部) 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제 1 접촉부의 폭과 동등하고, 상기 제 1 절곡부의 타단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연결부의 폭과 동등하고,
    상기 제 2 절곡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제 2 접촉부로부터 상기 연장부를 향하여 점차 작아지고, 상기 제 2 절곡부의 일단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제 2 접촉부의 폭과 동등하고, 상기 제 2 절곡부의 타단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연장부의 폭과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곡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제 1 접촉부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향하여 점차 작아지고, 상기 제 1 절곡부의 일단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제 1 접촉부의 상기 폭과 동등하고, 상기 제 1 절곡부의 타단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연결부의 폭과 동등하고,
    상기 컨택트 배치부의 상기 일방의 면에 배치되는 연장부가 상기 제 2 절곡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절곡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제 2 접촉부로부터 상기 연장부를 향하여 점차 작아지고, 상기 제 2 절곡부의 일단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제 2 접촉부의 상기 폭과 동등하고, 상기 제 2 절곡부의 타단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연장부의 폭과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곡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제 1 접촉부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향하여 점차 작아지고, 상기 제 1 절곡부의 일단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제 1 접촉부의 상기 폭과 동등하고, 상기 제 1 절곡부의 타단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연결부의 폭과 동등하고,
    상기 제 2 절곡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제 2 접촉부로부터 상기 연장부를 향하여 점차 작아지고, 상기 제 2 절곡부의 일단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제 2 접촉부의 상기 폭과 동등하고, 상기 제 2 절곡부의 타단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연장부의 폭과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곡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제 1 접촉부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향하여 점차 작아지고, 상기 제 1 절곡부의 일단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제 1 접촉부의 상기 폭과 동등하고, 상기 제 1 절곡부의 타단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폭과 동등하고,
    상기 제 2 절곡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제 2 접촉부로부터 상기 연장부를 향하여 점차 작아지고, 상기 제 2 절곡부의 일단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제 2 접촉부의 상기 폭과 동등하고, 상기 제 2 절곡부의 타단부의 상기 컨택트 배치 방향의 폭은 상기 연장부의 상기 폭과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00070842A 2009-10-08 2010-07-22 커넥터 KR101163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34447 2009-10-08
JP2009234447A JP4958190B2 (ja) 2009-10-08 2009-10-08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574A KR20110038574A (ko) 2011-04-14
KR101163428B1 true KR101163428B1 (ko) 2012-07-13

Family

ID=43855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842A KR101163428B1 (ko) 2009-10-08 2010-07-22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42698B2 (ko)
JP (1) JP4958190B2 (ko)
KR (1) KR101163428B1 (ko)
CN (1) CN102035090B (ko)
TW (1) TWI4278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1094B2 (ja) * 2011-04-28 2015-10-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66040B2 (ja) 2012-12-28 2017-07-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2182230A (ja) * 2021-05-28 2022-12-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7950A (ja) 1998-08-26 2000-03-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の圧接構造
KR100326492B1 (ko) 1998-01-30 2002-03-12 나가토시 다쯔미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JP2004355819A (ja) 2003-05-27 2004-12-16 Fujitsu Component Ltd 平衡伝送用プラグコネクタ
JP2007294225A (ja) 2006-04-25 2007-11-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フラット配線材の端末構造、及び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6622U (ko) * 1989-02-09 1990-08-24
JP3194216B2 (ja) * 1996-04-05 2001-07-3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US6855013B2 (en) * 2000-05-08 2005-02-15 Tyco Electronic Logistics Ag LCD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JP3477640B2 (ja) * 2000-08-10 2003-12-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2175855A (ja) * 2000-12-08 2002-06-2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KR100600221B1 (ko) * 2003-04-23 2006-07-13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자기 실드 및 그라운드 접속의 양 기능을 향상시킨 전기커넥터
JP4276883B2 (ja) * 2003-04-30 2009-06-1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接続構造
CN100524960C (zh) * 2003-11-04 2009-08-05 莫莱克斯公司 尺寸减小的连接器
JP4522144B2 (ja) * 2004-05-21 2010-08-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338209B2 (ja) 2007-05-28 2009-10-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と相手側コネクタ
TWM332299U (en) * 2007-08-14 2008-05-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M329888U (en) * 2007-08-20 2008-04-01 Hon Hai Prec Ind Co Ltd Stacked electrical connector
CN201142421Y (zh) * 2007-12-29 2008-10-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169308B2 (ja) * 2008-02-27 2013-03-27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及び電子機器
US7661988B1 (en) * 2008-11-17 2010-02-16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ard connector
TWD138043S1 (zh) * 2009-10-07 2010-12-01 日本航空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連結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492B1 (ko) 1998-01-30 2002-03-12 나가토시 다쯔미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JP2000067950A (ja) 1998-08-26 2000-03-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の圧接構造
JP2004355819A (ja) 2003-05-27 2004-12-16 Fujitsu Component Ltd 平衡伝送用プラグコネクタ
JP2007294225A (ja) 2006-04-25 2007-11-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フラット配線材の端末構造、及び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82068A (ja) 2011-04-21
TWI427871B (zh) 2014-02-21
TW201121172A (en) 2011-06-16
CN102035090A (zh) 2011-04-27
KR20110038574A (ko) 2011-04-14
US7942698B2 (en) 2011-05-17
US20110086553A1 (en) 2011-04-14
JP4958190B2 (ja) 2012-06-20
CN102035090B (zh)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4095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用プリント基板フットパターン
US773619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US8025532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equipment
JP5594053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
US9728873B2 (en) Connector mountable on a circuit board and connectable with a mating connector having a housing and rows of contacts with fixed portions extending into an opening of a housing
US742247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8081869A (ja) コネクタ
JP5107811B2 (ja) 基板コネクタ
JPH0562733A (ja) 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204325A (ja) 基板用コネクタ
US8657633B2 (en) Connector
JP4036370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299844B (zh) 插头连接器
CN111129807B (zh) 电连接器
KR101163428B1 (ko) 커넥터
US8721366B2 (en) Connector
CN115207661A (zh) 板载连接器以及连接器安装板
JP7360918B2 (ja) コネクタ
JP7442308B2 (ja) 可動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の製造方法
CN109755782B (zh) 连接器装置
KR101307483B1 (ko) 커넥터
KR101014947B1 (ko) 케이블 커넥터
US1068039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ontact with upper and lower contacting portions
JP5597030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114600322B (zh) 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