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236B1 - 통풍 기능이 구비된 방음벽 - Google Patents

통풍 기능이 구비된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236B1
KR101162236B1 KR1020090018966A KR20090018966A KR101162236B1 KR 101162236 B1 KR101162236 B1 KR 101162236B1 KR 1020090018966 A KR1020090018966 A KR 1020090018966A KR 20090018966 A KR20090018966 A KR 20090018966A KR 101162236 B1 KR101162236 B1 KR 101162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soundproof wall
openable
panel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0211A (ko
Inventor
한상주
안승주
한의석
박원주
서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090018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236B1/ko
Publication of KR20100100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88Suspended, e.g. ropes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벽 주변의 환경 요소들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서 방음벽의 일부를 개폐하여 통풍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친환경 방음벽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방음벽에 일정한 거리마다 또는 각 영역마다 설치된 센서에서 소음의 크기, 오염도, 및 풍압 등의 방음벽 주변의 환경 요소들을 측정하여 측정 결과에 따라서 방음벽에 포함된 개폐식 방음벽의 개폐여부 및 개폐 정도를 결정함으로써, 소음의 크기 및 오염도가 작을 때에는 자연적인 바람이 개방된 방음벽을 통해서 통풍되도록 함으로써 친환경적인 방음벽을 제공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Description

통풍 기능이 구비된 방음벽{soundproof wall capable of ventilating}
본 발명은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변환경에 따라서 방음벽의 일부를 개폐하여 방음벽을 통해서 통풍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방음벽이란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또는 철로와 같은 소음발생구역(A)과 주거지역과 같은 보호구역(B) 사이에 설치되어, 소음발생구역(A)에서 생성된 소음을 감쇠시켜 보호구역(B)에 전달되는 소음 분포를 일정수준 이하로 낮추는 소음저감대책용 구조물(100)을 말한다.
종래의 방음벽의 구조는 일체구조로서 형성되기도 하고, 방음판넬에 의한 조립구조로서 설치되기도 한다. 도 1b 는 범용으로 사용되는 방음벽(10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방음벽은 도로변을 따라서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부측 콘크리트 구조물(110)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지지부(130)를 세워 상기 지지부(130)에 의해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방음판(12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벽체(140)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음벽(100)은 획일적으로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소음 발생구역(A)과 보호구역(B)을 분리함으로써 소음을 차단하고, 도시에 설치된 고정식 방음벽의 경우에는 최근의 친환경 건축 구조물을 설치하는 추세에 부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도시의 바람이 유동할 수 있는 길을 차단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해안가나 내륙 지방의 계곡이나 산지에 있는 도로에 설치된 방음벽의 경우에는 태풍이나 돌풍에 자주 노출되어 압에 의해서 파손될 위험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방음벽 주변의 환경 요소를 감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자동으로 방음벽의 일부를 개폐하여 통풍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내구성이 강한 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방음벽은, 방음벽에 설치되어 방음벽이 설치된 주변 환경 요소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들;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방음벽에 설치된 개폐식 방음 판넬을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센서들로부터 입력된 측정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개폐식 방음 판넬의 개폐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개폐식 방음 판넬의 개폐 여부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개폐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과 상기 기준값간의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개폐식 방음 판넬의 개폐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음벽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어부는 각 영역에 설치된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해당 영역에 설치된 개폐식 방음 판넬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식 방음 판넬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식 방음 판넬은 블라인드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들은 소음의 크기, 오염도, 및 풍압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소음에 대한 센서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개폐식 방음 판넬을 개방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개폐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소음에 대한 센서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오염도에 대한 측정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오염도에 대한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개폐식 방음 판넬을 개방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개폐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풍압에 대한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개폐식 방음 판넬을 개방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개폐부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음벽에 일정한 거리마다 또는 각 영역마다 설치된 센서에서 소음의 크기, 오염도, 및 풍압 등의 방음벽 주변의 환경 요소들을 측정하여 측정 결과에 따라서 방음벽에 포함된 개폐식 방음벽의 개폐여부 및 개폐 정도를 결정함으로써, 소음의 크기 및 오염도가 작을 때에는 자연적인 바람이 개방된 방음벽을 통해서 통풍되도록 함으로써 친환경적인 방음벽을 제공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음벽은 센서부(500), 제어부(400), 개폐 부(300), 방음부(200) 및 정보 저장부(600)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방음부(200)는 개폐식 방음판넬(210)과 고정식 방음판넬(220)을 포함한다.
방음부(200)는 일반적인 방음벽과 동일하게, 콘크리트로 구현되는 지지부위에 H형 형강 등으로 구현되는 기본 프레임과 기본 프레임 사이에 삽입되는 방음 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방음부(200)는 개폐되지 않은 고정식 방음판넬(220)과 개폐부(300)에 의해서 개폐되는 개폐식 방음판넬(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개폐식 방음판넬(210)이 블라인드식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방음부(200)에 포함되는 모든 방음 판넬이 개폐식 방음판넬(210)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방음부(200)는 일정한 길이에 따라서 또는 내부에 포함된 개폐식 방음판넬(210)의 수에 따라서 복수의 영영들로 구획될 수 있다. 방음부(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센서부(500)는 복수의 센서들로 구성되고, 각 센서들은 복수개의 방음 판넬들이 일렬로 설치된 방음부(200)에서, 방음부(200)의 각 영역마다 일정한 수로 설치된다. 즉, 각 센서는 일정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거나, 일정수의 개폐식 방음판넬(210)마다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500)에 포함되는 각 센서는 소음원을 향하도록 방음부(200)에 고정설치되어 방음벽 주변 환경 요소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제어부(40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센서부(500)는 소음의 크기를 측정한 후, 측정값을 제어부(400)로 출력한다. 또한, 방음벽이 도로변에 설치된 경우에는, 도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뿐만 아니라, 소음의 종류, 오염정도, 및 풍압 등을 함께 측정하 여 측정데이터를 제어부(400)로 출력할 수 있다.
정보 저장부(600)는 각 센서의 측정값에 대응되는 기준값을 저장한다. 예컨대, 소음의 크기에 대해서는 다음의 표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기준값을 저장하고, 소음의 크기 이외에 오염도, 풍압 등과 같은 센서부(500)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의 기준값을 저장한다. 또한, 정보 저장부(600)는 각 센서의 측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Figure 112009013627608-pat00001
제어부(400)는 센서부(500)로부터 입력되는 각 센서의 측정값을 정보 저장부(600)에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개폐식 방음판넬(210)의 개폐 여부 및 개폐의 정도를 결정하고, 이에 따른 제어 신호를 개폐부(300)로 출력하여, 개폐식 방음판넬(210)을 개방 여부 및 개방 정도를 조절한다.
개폐부(300)는 제어부(40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개폐부(300)와 연결된 개폐식 방음판넬(210)을 개폐한다. 개폐부(300)는 모터를 이용하여 방음 판넬을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하거나, 블라인드식으로 개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센서부(5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센서들은 방음벽의 각 영역마다 설치되어 소음의 크기, 오염도, 및 풍압 등을 측정하여 제어부(400)로 출력한다.
제어부(400)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센서들로부터 소음도, 오염도, 및 풍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측정값을 입력받고, 측정값을 사전에 정보 저장부(600)에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통풍에 적합한 범위에 포함되지 여부를 조사하고, 통풍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개폐부(3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개폐식 방음판넬(210)을 개방한다.
정보 저장부(600)에 저장된 기준값은 기준 소음레벨, 매연 등에 대한 오염 레벨, 방음벽에 인가되는 풍력으로부터 방음벽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풍압 레벨 등의 정보를 저장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예컨대, 방음벽 주위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만을 고려하여 방음벽의 개폐를 결정하는 경우에, 제어부(400)는 센서에서 측정된 소음 측정값을 저장부(600)에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현재 발생되고 있는 소음의 크기가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개폐식 방음판넬(210)을 개방하여 통풍시키고,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방음 판넬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소음 정도뿐만 아니라, 오염 정도를 함께 고려하여 방음벽의 개폐여부를 결정하는 경우에, 제어부(400)는 1차적으로 센서부(500)로부터 입력된 소음 측정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소음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2차적으로 오염 측정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오염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 개폐식 방음판넬(210)을 개방하여 통풍시키고, 오염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방음 판넬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소음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도 도로에서 발생하는 아황산가스 등과 같은 공해 물질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통풍을 차단하여 오염 물질이 주택가 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은 풍력에 의한 방음벽의 파손을 막기위해서 센서부(500)에서 지속적으로 방음판넬에 인가되는 풍력을 감지하고, 풍력이 기준값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소음 측정값 및 오염도 측정값과 무관하게 방음벽을 개방하여 방음벽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방음 판넬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방음 판넬을 완전 개방할 수 있고, 측정값의 크기에 따라서 일부만 개방할 수도 있다. 일부만을 개방하는 경우에, 제어부(400)는 기준값과 측정값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기준값과 측정값간의 차이에 비례하여 개방하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장거리에 걸쳐서 형성된 방음벽의 경우에는, 각 영역별로 소음의 정도, 오염도 및 풍압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각 영역마다 설치된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해당 영역에 설치된 개폐식 방음판넬(210)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방음벽은 상술한 바에 따라서 개폐식 방음판넬(210)이 개방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센서 측정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센서 측정값이 통풍에 적합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예컨대, 소음 측정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오염도 측정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풍압 측정값이 기준값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등)에는 개폐식 방음벽을 다시 차단한다. 이 경우, 방음부(200)에 설치된 모든 개폐식 방음판넬(210)을 차단할 수도 있고, 각 영역별로 일부의 개폐식 방음판넬(210)만을 차단할 수도 있으며, 측정값과 기준값간의 차이의 변화에 따라서 개방 넓이를 감소시켜 일부만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방음판넬(210)이 설치된 방음벽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식 방음판넬(210)이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방식의 개폐식 방음판넬(210-10)의 하부에는 가이드 레일(210-14)이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210-14)을 따라서 개폐식 방음판넬(210-10)이 이동된다. 또한, 개폐식 방음판넬(210-10)의 상부에는 상술한 개폐부(300)가 로울러(320)와 모터(310)가 결합되어 구현된다. 로울러(32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개폐식 방음판넬(210-10)의 상부와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모터(310)의 회전에 따라서 개폐식 방음판넬(210-10)을 이동시킨다.
제어부(400)가 개폐식 방음판넬(210-10)을 열거나 닫을 것을 결정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면, 개폐부(300)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모터(310)를 회전시켜 로울러(320)를 통해서 개폐식 방음판넬(210-10)을 열거나 닫는다.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방음판넬(210)이 설치된 방음벽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는 블라인드 방식으로 개폐식 방음판넬(210-20)이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도 4a 및 도 4b 를 참조하면, 고정식 방음판넬(220)들 사이에 개폐식 방음판넬(210-20)이 설치되고, 개폐식 방음판넬(210-20)에는 4개의 차단 블라인드(210-21)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차단 블라인드(210-21)의 중심에는 회전축(210-22)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축(210-22)은 개폐식 방음판넬(210)의 외부 프레임 내부에 설치된 모터(330)와 벨트(340)에 의해서 연결되어 모터(3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축(210-22)을 따라서 회전한다.
상술한 개폐부(300)는 모터(330)와 벨트(3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부(400)가 개폐식 방음판넬(210-20)을 열거나 닫을 것을 결정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면, 모터(330)가 구동력을 발생시켜 벨트(340)에 의해서 회전축(210-22)으로 전달하고, 차단 블라인드(210-21)는 모터(330)에서 구동된 만큼 회전축(210-2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완전히 열리거나 닫힐 수 있고, 일부만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은 소음의 크기, 오염도 및 풍압 등 방음벽 주변의 환경을 측정하여 방음벽의 일부를 개폐한다는 것에 있고, 방음벽을 개폐하는 구성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므로, 개폐가 가능한 방음벽(개폐식 방음판넬(210))을 구현하는 방식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예에서는, 개폐식 방음판넬(210)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구현되었지만 여닫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술한 예에서는 개폐식 방음판넬(210)을 로울러를 이용하여 개폐하였지만 기어 형식으로 개폐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예에서는 차단 블라인드가 수평으로 배열된 예를 설명하였지만, 수직으로 배열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방음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방음판넬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설치된 방음벽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방음판넬이 블라인드 방식으로 설치된 방음벽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9)

  1. 방음벽에 설치되어 방음벽이 설치된 주변 환경 요소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들;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방음벽에 설치된 개폐식 방음 판넬을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센서들로부터 입력된 측정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개폐식 방음 판넬의 개폐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개폐식 방음 판넬의 개폐 여부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개폐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들은 소음의 크기, 오염도, 및 풍압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과 상기 기준값간의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개폐식 방음 판넬의 개폐 정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벽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어부는 각 영역에 설치된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해당 영역에 설치된 개폐식 방음 판넬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식 방음 판넬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식 방음 판넬은 블라인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음에 대한 센서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개폐식 방음 판넬을 개방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개폐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음에 대한 센서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오염도에 대한 측정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오염도에 대한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개폐식 방음 판넬을 개방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개폐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풍압에 대한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개폐식 방음 판넬을 개방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개폐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KR1020090018966A 2009-03-05 2009-03-05 통풍 기능이 구비된 방음벽 KR101162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966A KR101162236B1 (ko) 2009-03-05 2009-03-05 통풍 기능이 구비된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966A KR101162236B1 (ko) 2009-03-05 2009-03-05 통풍 기능이 구비된 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211A KR20100100211A (ko) 2010-09-15
KR101162236B1 true KR101162236B1 (ko) 2012-07-06

Family

ID=43006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966A KR101162236B1 (ko) 2009-03-05 2009-03-05 통풍 기능이 구비된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2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439B1 (ko) 2014-02-18 2015-12-31 김현애 양방향 통풍형 방음벽용 방음판
CN107620264A (zh) * 2017-09-11 2018-01-23 太仓迭世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调整隔音效果的智能隔音墙系统
CN111733719A (zh) * 2020-07-03 2020-10-02 合肥学院 一种用于火车道附近居民区的噪声隔离装置
KR102324107B1 (ko) * 2021-04-02 2021-11-10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소음 공해 환경 개선을 위한 이중 차단 방음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중 차단 방음방법
KR102324109B1 (ko) * 2021-04-02 2021-11-10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소음 공해 환경 개선을 위한 이중 차단 방음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중 차단 방음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6166B2 (ja) * 1991-12-11 1999-01-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防音壁
JP3462331B2 (ja) * 1996-02-05 2003-11-05 積水樹脂株式会社 防音壁
KR100593839B1 (ko) * 2006-03-17 2006-06-28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친환경적인 도로의 방음벽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6166B2 (ja) * 1991-12-11 1999-01-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防音壁
JP3462331B2 (ja) * 1996-02-05 2003-11-05 積水樹脂株式会社 防音壁
KR100593839B1 (ko) * 2006-03-17 2006-06-28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친환경적인 도로의 방음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211A (ko)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236B1 (ko) 통풍 기능이 구비된 방음벽
Kelman Physical flood vulnerability of residential properties in coastal, eastern England
CN1201886A (zh) 使用物体检测的实验室通风柜控制器
KR20170018504A (ko) 소음 및 날씨에 따른 창문 자동개폐장치
JP2011500999A (ja) 侵入物に対してゲートの閉じる面を安全に保つために、垂直又は水平に移動するゲートを制御する方法
CN101806921A (zh) 检测门洞的门槛与机动化门帘端部之间物体存在的方法
Riahinezhad et al. Critical review of polymeric building envelope materials: degradation, durability and service life prediction
JP6763680B2 (ja) 通風システム
JP2018503010A (ja) 風耐性扉
JP6367090B2 (ja) 建築物への航空機衝突検知方法及び装置、並びに建築物の開口部閉塞設備
KR102190269B1 (ko) 지중 전력구 재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íaz et al.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rolling shutters and shutter boxes on the airborne sound insulation of windows
KR101077126B1 (ko) 회전 방음벽
KR101622904B1 (ko) 진동측정장치를 구비한 펌프게이트
KR101139905B1 (ko) 지하 주차장 결로 방지장치
JP2010083629A (ja) 地震対応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214303614U (zh) 一种适合于检测站的自动门
CN201778631U (zh) 一种大型隔声门密封结构
KR102548084B1 (ko) 노이즈 캔슬링 방음벽
JP2003247384A (ja) 開閉体の警報制御装置
CN206921438U (zh) 一种户外气象预警信息播放终端
CN210597391U (zh) 一种可安装激光气体探测装置的二层井盖
Kwok-keunga et al. Innovative Measures to Protect Residential Developments from Traffic Noise-Hong Kong Experience
AU2021101890A4 (en) Internet of things apparatus for detection & monitor operation physical parameter for safe manhole
KR102481689B1 (ko) 상태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