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031B1 -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031B1
KR101161031B1 KR1020067005099A KR20067005099A KR101161031B1 KR 101161031 B1 KR101161031 B1 KR 101161031B1 KR 1020067005099 A KR1020067005099 A KR 1020067005099A KR 20067005099 A KR20067005099 A KR 20067005099A KR 101161031 B1 KR101161031 B1 KR 101161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etone
liquid mixture
dpc
polycarbonate
diphenyl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6939A (ko
Inventor
가로 가아비스 베이포시얀
Original Assignee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부이 filed Critical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부이
Publication of KR20060086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3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ates
    • C08G64/307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ates and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3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1) 아세톤 및 디페닐카보네이트의 액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의 액체 혼합물을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플랜트로 수송하는 단계; (3)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플랜트에서 액체 혼합물 중의 아세톤으로부터 디페닐카보네이트를 분리하는 단계; (4) 분리된 디페닐카보네이트를 비스페놀아세톤과 반응시켜 폴리카보네이트를 수득하고, 이로써 페놀을 유리시키는 단계; (5) 단계 (4)의 페놀을 단계 (3)의 아세톤과 반응시켜 비스페놀아세톤을 수득하는 단계; (6) 단계 (5)의 비스페놀아세톤을 단계 (4)의 반응에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집적 생산 방법.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아세톤, 디페닐카보네이트 집적 생산 방법

Description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방법{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생산하는 집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폴리카보네이트라고도 언급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는 다양한 여러 제조 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원료 물질이다. 이 물질은 높은 경도와 양호한 투명도로 인하여 자동차 창문 및 광학 렌즈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요구는 향후에 크게 증가할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폴리카보네이트 생산이 효율과 환경 영향의 점에서 개선되어야만 할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방법은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상 전이 조건 하에서 포스겐과 BPA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은 공업적 규모의 생산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유해 포스겐을 이용하고 염화물 함유 폐기류를 생산한다는 고유의 단점을 갖고 있다.
포스겐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다른 방법은 디알킬 카보네이트 또는 디아릴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일반적으로, 비스페놀아세톤 또는 BPA로 알려져 있다)의 에스테르교환반응을 바탕으로 한 방법이다.
디알킬 카보네이트는 BPA와의 에스테르교환반응에서 충분한 반응성이 없어서, 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를 형성시킬 수 없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더욱이, 유리 된 알킬 알코올은 이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방법의 다른 부분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더욱이, 디알킬 카보네이트 생산을 위한 알킬 알코올의 재순환은 실질적으로 정제를 필요로 할 것이다.
디아릴 카보네이트, 구체적으로 디페닐카보네이트(DPC)의 사용은 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를 형성하기에 충분히 반응성인 장점이 있다. 더욱이, US-A-5,589,564에 기술된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BPA와 디페닐카보네이트의 반응에서는 페놀이 유리된다. 이러한 페놀은 그 다음 주요 원료 물질인 BPA 또는 DPC의 생산을 위해 재순환될 수 있다.
DPC 제조를 위한 유리된 페놀의 사용에는 US 5,747,609에 기술된 바와 같은 실질적인 정제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US-A-6,277,945에 기술된 바와 같이 추가 정제없이 유리된 페놀을 BPA 생산에 이용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인 접근법이다.
전술한 방법들은 모두 공통적으로 다량의 원료가 별도로 생산, 수송 및 저장될 것을 필요로 하거나, 몇 개의 다량 생산 장치가 단일 생산 위치에 조합되어야 하는, 환경 및 경제적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실행 불가능한 방법이다.
BPA 및 폴리카보네이트의 생산을 조합시킨 전술한 방법은 원료 물질로서 아세톤, 페놀 및 DPC를 필요로 한다. 페놀 및 DPC는 상온에서 고체인데, 이는 이러한 물질의 다량이 수송된다면 전체 공정의 안전성과 경제성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많은 문제점을 유발시킬 것임을 암시한다.
DPC는 융점이 78 내지 79℃이고, 이는 대부분의 액체 물질의 표준 수송 용기가 70℃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설비를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용융 상태에서 의 수송이 불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용융 산물의 안전한 수송 및 취급(예컨대, 탱크 세척물에서 나오는 손실량이 가장 적게 하기 위해서)에는 산물이 융점보다 약 15 내지 20℃ 높은 온도에서 유지될 것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이러한 온도에서의 액체 물질의 수송은 다량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적절하게 취급되지 않는다면 물질 응고와 관련된 문제점이 유발될 수 있다. 전술한 온도에서의 적절한 취급은 모두 크기가 다소 작은 탱크 크기인 제한된 수의 용기인 경우에만 가능할 수 있다.
한편, 고체 상태에서의 DPC 수송은 DPC가 생산된 후 DPC의 응고를 필요로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DPC를 냉각시키고, 적당한 입자로 형성시킨 다음, 자루에 넣어 고체 물질로서 수송하여 완수한다. 일반적으로, 냉각 및 입자 형성은 냉각 밴드/또는 프릴탑과 같은 크고 복잡한 장비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장비는 자본비용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키고, 고가이며 작동에 드는 에너지 소모가 크다.
고체 DPC의 취급 및 수송은 일반적으로 고체의 취급에 공통적인 단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고체 입자는 이의 후속 용도에 따라 적당한 크기 및 크기 분포를 가져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폐색으로 인해 물질의 자유로운 이동이 방해될 수 있다. 이러한 크기 및 크기 분포는 입자가 약간 상승된 온도 및/또는 압력에 노출될 때 소결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유지하기가 어렵다. 또한, 입자는 취급 시 정전기적 전하를 형성시킬 수 있는데, 이는 폭발 및 화재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또 다른 문제점은 용융물 또는 용액을 수득하기 위하여 DPC 입자를 재가열할 때 나타난다. 이것은 많은 에너지를 소비할 뿐만 아니라 과열점으로 인한 물질의 부분 분해 및 변색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냉각, 분쇄 또는 수송 동안의 분진 오염은 피하기 어렵다. 이러한 오염은 폴리카보네이트의 오염을 유도할 수 있고, 이는 특히 광학 기구에 사용될 때 폴리카보네이트 산물의 성질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방법은 특히 원료 물질이 도입되는 방식의 관점에서 광대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의 해결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서, 전체 공정의 더욱 원만한 진행을 도모하고 방법 자체의 추가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발명의 개요
따라서,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생산 방법으로서,
(1) 아세톤 및 DPC(디페닐카보네이트)의 액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의 액체 혼합물을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플랜트로 수송하는 단계;
(3)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플랜트에서 액체 혼합물 중의 아세톤으로부터 DPC를 분리하는 단계;
(4) 분리된 DPC를 BPA(비스페놀아세톤)와 반응시켜 폴리카보네이트를 수득하고, 이로써 페놀을 유리시키는 단계;
(5) 단계 (4)의 페놀을 단계 (3)의 아세톤과 반응시켜 BPA를 수득하는 단계;
(6) 단계 (5)의 BPA를 단계 (4)의 반응에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방법은 용융된 DPC 및 고체 DPC 모두의 수송과 관련된 단점 및 문제점이 DPC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는 발견에 근거한 것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위치에서 DPC로부터 용매를 제거할 것을 필요로 하고, 따라서 용매 불순물 분획을 생산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용매는 그 다음 DPC 생산 위치로 반송되거나 또는 다른 용도에 사용되거나 또는 소각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DPC용 용매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제조에 필요한 원료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해결했다.
아세톤은 BPA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즉 폴리카보네이트의 원료 물질이다. 이론적으로 보면, BPA 1몰 형성에는 페놀 2몰과 함께 아세톤 1몰이 필요하다. 즉, BPA와 반응하여 폴리카보네이트를 생산하는 DPC 1몰 당 페놀 2몰이 유리된다. 일반적으로, BPA의 집적 생산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의 생산은 폴리카보네이트 공장에 대략 등몰량의 아세톤과 DPC의 존재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발견한 바에 따르면, 아세톤은 수송 및 취급에 적합한 온도 범위로 일반적으로 간주되는 15 내지 70℃ 범위의 온도에서 필요한 점도 감소를 제공하는 바, DPC의 적합한 용매이다. 또한, DPC는 상온이나 약간 상승된 온도에서 DPC 용해에 필요한 아세톤 양이, 유리된 페놀로부터 BPA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몰 범위가 될 수 있게 아세톤에 용해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즉, DPC용 용매로서 아세톤을 사용함으로써, 본 방법은 소모된 용매의 복귀를 필요로 함이 없이 상기 공정의 두 주원료 물질을 혼합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이러한 접근법에 따르면, DPC의 응고 및 고체 DPC 취급과 관련된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별도의 용기 및 탱크에 저장되고 수송되었던 두 주원료 물질의 액체 혼합물로의 혼합은 별도의 아세톤 및 DPC 탱크의 필요성을 없애어 소비자 위치에서 뿐만 아니라 수송 중에서 저장 용량에 대한 필요 조건을 축소시켜 준다.
액체 혼합물에 존재하는 아세톤 대 DPC의 정확한 비율은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위치에서 필요로 하는 양은 물론 수송 및 취급의 필요조건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액체 혼합물에 존재하는 아세톤 대 DPC의 몰 비는 0.5:1 내지 7:1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폴리카보네이트 위치에서 아세톤이 다른 용도에도 사용된다면 액체 혼합물에는 아세톤이 더 많은 양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아세톤 대 DPC의 몰 비는 적어도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데 필요한 저장 및 수송 온도에서 액체 혼합물을 만드는 데 필요한 몰 범위인 것이 적당하며, 예컨대 약 1:1(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비에서 액체 혼합물은 탱크 운반 트럭 및 탱크 운반선에서 액체를 수송할 때 일반적으로 정상으로 간주되는 온도인 약 50℃(또는 그 이하)에서 취급 및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아세톤 대 DPC의 몰 비는 액체 혼합물의 취급 및 저장 동안 저점도의 필요조건에 따라 결정되기도 한다. 적당히 낮은 점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아세톤 대 DPC의 몰 비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5:1,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6:1,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8:1,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9:1인 것이 좋다. 또한, 액체 혼합물에 존재하는 아세톤 대 DPC의 몰 비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5:1,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3.5:1,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5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2:1인 것이 충분히 낮은 점도 및 전체 공정에서 두 성분의 필요량 간의 양호한 균형을 달성하는 데 좋다.
따라서, 당해 방법의 단계 (1)은 아세톤 및 DPC의 액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단계는 DPC 생산 위치에서 바람직한 아세톤/DPC 비가 수득될 때까지, 예를 들어 액체 DPC를 함유하는 교반 용기에 아세톤을 첨가하거나 또는 액체 DPC를 아세톤에 첨가하여 DPC가 액체인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업적 규모의 BPA 공정에서는 불필요한 부산물이 공정 사이클에서 제거됨으로 인해 약간 높은 양의 아세톤 및 페놀이 필요로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 공정에는 소비자 위치로 수송되어 저장되어야 하는 추가 아세톤과 페놀이 필요할 수 있어, 전 공정이 복잡해지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원료 물질 스트림의 추가는 BPA 공정에서 필요로 되는 만큼의 추가량의 페놀 및 아세톤을 액체 혼합물에 제공함으로써 바람직하게 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1)의 액체 혼합물은 페놀 0 내지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중량%를 추가로 함유한다. 또한, 추가 페놀의 제공은 DPC 생산 동안에 모든 페놀이 분리되지는 않게 함으로써 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것은, DPC 생산 중에 페놀의 일부를 전환 및/또는 분리해야 하고, 이로써 공정을 간단하게 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저장 온도 범위에서 장기 저장 시, DPC 및 용액 성질은 사용된 아세톤이 본질적으로 물을 함유하지 않아서 DPC의 페놀 및 이산화탄소로의 가수분해를 일으키지 않는다면 변함이 없는 것으로 시험 결과 밝혀졌다. 따라서, 물은 1.0중량%보다 많은 양으로 액체 혼합물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액체 혼합물이 0 내지 0.3중량%의 물을 함유하는 것이다. 이것은 0 내지 0.5중량%의 물을 함유하는 아세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미만의 물을 함유하는 아세톤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액체 혼합물에 추가 페놀의 존재가 필요하다면, 바람직하게는 아세톤이 더 많은 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산화탄소의 방출로 인한 발포가 지나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DPC는 다양한 방법으로 생산할 수 있는데, 예컨대 페놀의 포스겐화 또는 페놀의 산화적 카르보닐화 등이 있다. 이 두 방법은 모두 까다로운 반응 단계를 수반하며 불필요한 양의 폐기물을 생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페닐카보네이트 및/또는 비스페놀 아세톤은 치환된 페놀의 산물은 물론 미치환된 페놀의 산물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브롬화된 페놀은 폴리카보네이트의 내화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DPC 및/또는 BPA는 치환된 페놀, 구체적으로 브롬화된 페놀의 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집적성인 원료 물질 사이클로 인해 더욱 효과적인 방법은 (i) 올레핀(예컨대, 프로필렌) 및 산화제를 반응시켜 해당 알킬렌 옥사이드(예컨대,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수득하는 단계, (ii) 수득된 알킬렌 옥사이드를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환형 알킬렌 카보네이트(예컨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를 수득하는 단계, 그 다음 (iii) 수득된 환형 알킬렌 카보네이트를 메탄올과 반응시켜 DMC 및 해당 알킬렌 글리콜(예, 프로필렌 글리콜)을 수득하는 단계, 및 (iv) 수득된 DMC를 페놀과 반응시켜 DPC, 예컨대 US-A-5,543,546에 기술된 바와 같은 DPC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iii) 및 (iv)는 반응 증류로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새로 생산된 액체 DPC를 아세톤에 즉시 용해하여 DPC가 고온에서 저장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혼합물은 그 다음 저장되거나 수송되고, 추가 가열 없이 또는 약간의 추가 가열 하에 운반될 수 있고, 실질적인 열 손실을 피하기 위해 통상적인 수송 탱크 및 관류의 절연을 유일하게 필요로 한다.
당해 방법의 단계 (2)에서, 단계 (1)의 액체 혼합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플랜트로 수송된다. 여기서 수송은 액체 약품을 벌크 수송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수송으로 수행한다. 수송이란 용어에는 적합한 수송 용기에서 저장되고 이동되는 것을 포함한다.
적합한 저장 및 수송 용기에는 탱크로리 및 레일 탱커, 벌크 컨테이너, 탱크 바지선, 탱크선, 저장 탱크, 드럼 및 보급선과 같은 용기가 포함된다.
수송 용기의 재질은 물론 액체 혼합물 및 사용 온도에 대하여 저항력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바람직한 재질은 스테인리스 강이다.
저장 및 수송 온도는 일반적으로 DPC 및 아세톤의 상대적 양에 따라 상온 내지 약 70℃ 범위이다.
액체 혼합물이 승온에서 수송된다면, 수송 및 저장 용기는 열 손실의 감소를 위해 통상적으로 절연성이고, 필요한 필수 안전 장치가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생산 위치에서, 액체 혼합물은 DPC 및 아세톤으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분리 후 각각 본 발명의 공정 단계 (4)와 (5)에서 직접 이용될 수 있다.
아세톤은 필요하다면 수송 또는 취급의 임의의 단계에서 첨가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량의 아세톤은 적당한 수송 점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큰 바지선에 선적 동안에는 분리하고, 바지선에서 하적 시에는 다시 첨가할 수 있다.
단계 (3)에서, DPC는 액체 혼합물에서 아세톤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분리는 증류 처리에 의해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증류 처리는 급속 장치에서 또는 연속 증류 컬럼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아세톤은 상층 산물로서 분리되는 반면, DPC는 바닥 분획에 남는다.
또는, 연속 피막 증발기 장치를 사용하여 DPC가 장기간 승온에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아세톤 및 DPC의 비등점은 차이가 매우 커서, 수득된 아세톤은 추가 정제 없이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순수하다. 하지만, 원한다면 증류 컬럼과 같은 별도의 정제 장치를 추가 장착하여 아세톤을 추가로 정제할 수도 있다.
분리 동안 DPC의 열 분해에 기인하거나 또는 물에 의한 가수분해에 기인하거나, 또는 의도적으로 첨가된 것인, 아세톤에 존재하는 임의의 페놀은 BPA 생산 반응에 관여하는 바, 제거할 필요가 전혀 없다.
증류 장치의 바닥 분획은 주로 DPC로 구성되어 있지만, 모든 아세톤을 제거할 필요는 없다. DPC 분획에 존재하는 소량의 아세톤은 오히려 이후 단계에서 유리한 영향을 미치며, 이 분리 단계 (3)에서의 에너지 소모도 감소시킨다.
단계 (4)에서, DPC는 BPA와 반응하여 폴리카보네이트를 생산하고, 예컨대 US-A-6,277,941에 기술된 바와 같이 페놀을 유리시킨다. 반응 조건하에서, 유리된 페놀은 그 즉시 혼합물로부터 분리되어, 추가 분리 단계가 필요치 않다.
이 단계 (4)에서, 소량의 아세톤은 DPC에 존재할 때 DPC의 점도 및 융점이 감소되는 것을 도와서 DPC 용융물의 취급을 개선시킨다.
소량의 아세톤의 존재는 또한 전체 반응에 다음과 같은 유리한 영향을 미친다:
용매 및/또는 가소제로서 작용하여 DPC, BPA 및 형성된 폴리카보네이트의 용융 점도 및 유리 전이 온도를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용융 과정이 더욱 저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성분들의 혼합성을 개선시켜 폴리카보네이트 산물의 분자량 분포 조절이 더 양호하게 해준다.
또한, 유리된 페놀의 분리를 도와서, 추출 용매로서 작용하기도 한다.
더욱이, 페놀과 아세톤을 함유하는 분리된 혼합물은 추가 정제 없이 BPA의 제조에 직접 이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단계 (3)에서 수득되고 단계 (4)에서 사용된 DPC 분획은 그래도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하의 아세톤을 함유하는 것이 적당하다.
단계 (5)에서, 단계 (4)의 페놀은 단계 (3)의 아세톤과 반응하여 BPA를 생산한다.
단계 (6)에서, 이와 같이 수득된 BPA는 단계 (4)의 반응에 사용된다. 이러한 BPA의 사용은 공정의 전체 사이클을 닫힌 회로로 만들고, 지금까지 공지된 바 없는 수준의 집적률을 제공하여, 사용된 모든 원료가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게 할뿐만 아니라 당해 공정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전체 공정의 원료 물질의 별도의 수송, 취급 및 저장의 필요성을 축소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Claims (11)

  1. (1) 아세톤 및 디페닐카보네이트의 액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의 액체 혼합물을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플랜트로 수송하는 단계;
    (3)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플랜트에서 액체 혼합물 중의 아세톤으로부터 디페닐카보네이트를 분리하는 단계;
    (4) 분리된 디페닐카보네이트를 비스페놀아세톤과 반응시켜 폴리카보네이트를 수득하고, 이로써 페놀을 유리시키는 단계;
    (5) 단계 (4)의 페놀을 단계 (3)의 아세톤과 반응시켜 비스페놀아세톤을 수득하는 단계;
    (6) 단계 (5)의 비스페놀아세톤을 단계 (4)의 반응에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집적 생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 (1)에서 아세톤 대 디페닐카보네이트의 몰 비가 0.5: 1 내지 7:1 범위인 것이 특징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집적 생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단계 (1)에서 아세톤 대 디페닐카보네이트의 몰 비가 0.9:1 내지 2:1 범위인 것이 특징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집적 생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2)가 15 내지 70℃ 범위의 온도에서 실행되는 것이 특징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집적 생산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3)에서 수득되고 단계 (4)에서 사용된 디페닐카보네이트가 3중량% 이하의 아세톤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집적 생산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1)의 액체 혼합물이 추가로 0 내지 10중량%의 페놀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집적 생산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1)에서 사용된 디페닐카보네이트가
    (i) 올레핀과 산화제를 반응시켜 해당 알킬렌 옥사이드를 수득하는 단계,
    (ii) 상기 알킬렌 옥사이드를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환형 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수득하는 단계,
    (iii) 수득된 환형 알킬렌 카보네이트를 메탄올과 반응시켜 디메틸카보네이트 및 해당 알킬렌 글리콜을 수득하는 단계, 및
    (iv) 수득된 디메틸카보네이트를 페놀과 반응시켜 디페닐카보네이트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응에서 수득되는 것이 특징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집적 생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올레핀이 프로필렌이고, 알킬렌 옥사이드가 프로필렌 옥사이드이며, 환형 카보네이트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이고 알킬렌 글리콜이 모노프로필렌 글리콜인 것이 특징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집적 생산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3)이 연속 피막 증발기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특징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집적 생산 방법.
  10.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생산에 사용하기 위한 아세톤 및 디페닐카보네이트의 액체 혼합물로서,
    아세톤 대 디페닐카보네이트의 몰비가 0.5:1 내지 7:1의 범위 내에 있는 액체 혼합물.
  11. 삭제
KR1020067005099A 2003-09-15 2004-09-14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방법 KR101161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0304003P 2003-09-15 2003-09-15
US60/503,040 2003-09-15
PCT/EP2004/052160 WO2005026235A1 (en) 2003-09-15 2004-09-14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939A KR20060086939A (ko) 2006-08-01
KR101161031B1 true KR101161031B1 (ko) 2012-06-28

Family

ID=3431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099A KR101161031B1 (ko) 2003-09-15 2004-09-14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067610B2 (ko)
EP (1) EP1668061B1 (ko)
JP (1) JP4149492B2 (ko)
KR (1) KR101161031B1 (ko)
CN (2) CN101139437B (ko)
AT (1) ATE386765T1 (ko)
BR (1) BRPI0414263A (ko)
DE (1) DE602004011960T2 (ko)
ES (1) ES2298811T3 (ko)
MY (1) MY141753A (ko)
TW (1) TWI353366B (ko)
WO (1) WO2005026235A1 (ko)
ZA (1) ZA2006014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9035A (zh) * 2007-07-18 2015-05-20 国际壳牌研究有限公司 贮存和/或运输双酚a的方法和制备芳族聚碳酸酯的方法
EP2692766B8 (en) * 2012-07-30 2016-03-16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Continuous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elt polycarbonate
EP2711353B1 (en) 2012-09-20 2018-10-31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rocess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e of aryl alkyl carbonate and diaryl carbonate using vapor recompression
KR102324785B1 (ko) 2014-04-02 2021-11-11 유니베이션 테크놀로지즈, 엘엘씨 촉매 조성물, 제조 방법 및 중합 공정에서의 사용
US9738590B1 (en) 2014-09-05 2017-08-22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ethod of melt polymerizing polycarbonate and the polycarbonate made therefrom
KR20170082546A (ko) * 2014-11-05 2017-07-14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액체 케톤 혼합물을 사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CN107108448B (zh) 2014-12-23 2021-04-16 国际壳牌研究有限公司 包含钛或锆烷氧化物或芳氧化物的组合物及其用途
TWI689527B (zh) 2015-01-15 2020-04-01 荷蘭商蜆殼國際研究所 包含鈦或鋯烷氧化物或芳氧化物之組合物於芳香族碳酸酯之製備方法中之用途
WO2017089441A1 (en) 2015-11-26 2017-06-01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Process for preparing a diaryl carbonate
WO2017112626A1 (en) * 2015-12-22 2017-06-29 Shell Oil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ES2769083T3 (es) 2015-12-22 2020-06-24 Shell Int Research Método para preparar un policarbonato fundid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7945B1 (en) * 1998-08-05 2001-08-21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producing an aromatic polycarbonate
US6307004B1 (en) * 1999-09-20 2001-10-2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parallel melt-polymer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9094A (en) * 1968-05-09 1970-04-28 Mobay Chemical Corp Process for making polycarbonates
US3689462A (en) * 1971-05-19 1972-09-05 Ppg Industries Inc Process for preparing polycarbonates
WO1989002904A1 (en) * 1987-09-28 1989-04-06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eparing crystallized aromatic polycarbonate and crystallized aromatic polycarbonate obtained by the process
ATE162832T1 (de) * 1988-12-27 1998-02-15 Asahi Chemical Ind Poröses kristallisiertes aromatisches polykarbonat-prepolymer, ein poröses kristallisiertes aromatisches polykarbona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S5320161A (en) * 1992-08-14 1994-06-14 Atlantic Richfield Company Gelled formaldehyde transport method
US5589564A (en) * 1993-07-23 1996-12-31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Wire-wetting fall polymoniz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carbonates
US5574609A (en) * 1994-01-12 1996-11-12 Harris Corporation Fail-safe MOS shutdown circuitry
TW310322B (ko) * 1994-05-25 1997-07-11 Nippon Catalytic Chem Ind
US5747609A (en) 1996-01-17 1998-05-05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producing an aromatic polycarbonate having improved melt stability
DE19640710A1 (de) * 1996-10-02 1998-04-09 Phenolchemie Gmbh Verfahren zum Transport und zur Lagerung von Phenol
US6277941B1 (en) * 1997-09-12 2001-08-21 Shin-Etsu Chemical Co., Ltd.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JP4182305B2 (ja) 1998-07-28 2008-11-19 新日本理化株式会社 水素化ビスフェノールa異性体組成物
USH1943H1 (en) 1998-12-15 2001-02-06 General Electric Co.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bisphenol-A
DE19923389A1 (de) * 1999-05-21 2000-08-17 Basf Ag Verfahren zum Lagern und/oder Transportieren von Reinacrylsäure
EP1149852A4 (en) * 1999-12-03 2003-01-22 Teijin Ltd AROMATIC POLYCARBONATE,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MOLDED OBJECT
US6362006B1 (en) * 2000-03-13 2002-03-26 General Electric Company Rapid parallel determination of non-volatile analytes in complex combinatorial samples
US20030162989A1 (en) * 2000-04-07 2003-08-28 Ohashi Kenji E Method of separating and recovering aromatic carbonate and production proce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7945B1 (en) * 1998-08-05 2001-08-21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producing an aromatic polycarbonate
US6307004B1 (en) * 1999-09-20 2001-10-2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parallel melt-polymeriza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reen Chem. Vol. 5, pp.497 ~ 507.(2003.07.24.). *
Green Chem. Vol. 5, pp.497 ~ 507.(2003.07.2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414263A (pt) 2006-11-07
JP2007505952A (ja) 2007-03-15
CN101139437A (zh) 2008-03-12
DE602004011960T2 (de) 2009-02-26
MY141753A (en) 2010-06-30
US20050090638A1 (en) 2005-04-28
EP1668061B1 (en) 2008-02-20
ZA200601416B (en) 2007-05-30
DE602004011960D1 (de) 2008-04-03
TWI353366B (en) 2011-12-01
JP4149492B2 (ja) 2008-09-10
WO2005026235A1 (en) 2005-03-24
US7067610B2 (en) 2006-06-27
EP1668061A1 (en) 2006-06-14
ES2298811T3 (es) 2008-05-16
TW200524968A (en) 2005-08-01
ATE386765T1 (de) 2008-03-15
CN101139437B (zh) 2012-07-11
CN100404584C (zh) 2008-07-23
KR20060086939A (ko) 2006-08-01
CN1852938A (zh) 200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200601416B (en)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TW574257B (en) A process for producing polycarbonate
WO2003033581A1 (fr) Procede de recyclage de bouteille pet
JP2007533825A (ja) ポリカーボネート製造用のポリカーボネートオリゴマー混合物の低温製造方法
US5336750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carbonates
US6548691B2 (en) Process for producing carbonic acid diaryl ester
EP2167566B1 (en) Method for storage and/or transport of bisphenolacetone and method for producing aromatic polycarbonate
US5266716A (en) Process for the splitting of polycarbonates
KR100318656B1 (ko) 방향족폴리카보네이트수지의제조방법
ITMI931235A1 (it) Processo per la scissione di policarbonati in bisfenoli e diarilcarbonati
ITRM940203A1 (it) Procedimento per la scissione di policarbonati
JP3966935B2 (ja) 精密部材用収納容器
KR100707332B1 (ko)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JPH0757795B2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法
EP3679082B1 (en) A method of recovering phenol in a melt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TW404922B (en) Precision product container
US3720649A (en) Method for producing polyesters from benzenedicarboxylic acid and alkylene oxide
JP3135647B2 (ja) 炭酸ジアリール法
CN114929780A (zh) 未反应的碳酸二芳基酯的回收改进的生产聚碳酸酯的方法
KR20170106324A (ko) 방향족 카보네이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타이타늄 또는 지르코늄 알콕사이드 또는 아릴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
CN107075103A (zh) 使用液体酮混合物制造聚碳酸酯的方法
JP2005060715A (ja) 精密部材用収納容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