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359B1 -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 Google Patents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359B1
KR101158359B1 KR1020100068519A KR20100068519A KR101158359B1 KR 101158359 B1 KR101158359 B1 KR 101158359B1 KR 1020100068519 A KR1020100068519 A KR 1020100068519A KR 20100068519 A KR20100068519 A KR 20100068519A KR 101158359 B1 KR101158359 B1 KR 101158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 visor
retainer
flat bar
vehicle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2796A (ko
Inventor
유혁
정태진
이창민
안성철
Original Assignee
(주)엠비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비아이 filed Critical (주)엠비아이
Publication of KR20110102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08Sun visors combined with auxiliary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상기 리테이너(4)는 상하측이 분리 형성되어 그 일단에 결합부(11, 21)가 형성되는 상하측 집게부(10, 20)와; 상기 상하측 집게부(10, 20) 각각의 결합부(11, 21)측에 형성되는 상하측 톱니부(30A, 30B)와; 상기 상하측 집게부(10, 20)의 결합부(11, 21)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하측 톱니부(30A, 30B)와 맞물리는 톱니(41)가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어 전후로 왕복이송되는 플랫바(40)와; 상기 플랫바(40)의 다른 끝단에 연결되어 플랫바(40)의 인출 및 인입 정도를 조절하는 스위치부(50)와; 상기 스위치부(50)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하측 집게부(10, 20)의 결합부(11, 21)가 힌지(P)를 통해 결합되는 케이스(60)로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리테이너에 선바이저를 분리 및 고정하는 과정에서 무리하게 힘을 가지 않더라도 선바이저를 쉽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운전을 방해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A SUN VISOR RETAI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실내에 설치되는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푸시록(Push-lock) 스위치의 동작과 연계되어 리테이너의 집게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구성하여 선바이저의 고정 및 해제가 용이하게 한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실내에는 전방 유리창과 측면 유리창을 통해 실내로 투시되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선바이저가 장착되고 있는데, 이러한 선바이저는 한쪽 끝단이 자유롭게 회전되고, 다른 끝단은 피봇 회전되는 축의 중심이 되어 차량의 천장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의 선바이저는 자유단이 리테이너에 의해 고정되어 평상시에는 선바이저 패드의 면이 천장에 근접되어 있다가, 사용시에는 선바이저 패드를 하향 회전시켜 전방 유리창을 가리게 된다.
한편, 햇빛이 측면 유리창을 통해 실내로 투시되면, 사용자는 선바이저 패드를 대략 90°피봇 회전시켜 선바이저 패드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측면 유리창을 가리게 되는데, 이때 선바이저 패드를 고정하는 리테이너에서 선바이저 패드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때 사용자는 선바이저 패드를 분리하기 위해 강제적인 힘을 가하게 되는데, 이는 종래의 리테이너가 "C"자형으로 형성된 홈에 선바이저 패드의 지지봉 일측을 억지 끼워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즉, 종래의 리테이너는 그 구조상 선바이저 패드를 탈착하는 데에 적지 않은 힘이 필요하고, 따라서 주행 도중에 선바이저 패드를 사용하면 일시적으로 운전에 집중하지 못하게 되어 급정거나 급출발과 같은 돌발 상황에 운전자가 즉각 대응할 수 없게 되므로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선바이저의 사용시 가급적 큰 힘을 사용하지 않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되고 있는데, 이러한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0622732호(선바이저용 리테이너 구조)가 있다.
상기 기술은 도 1에서와 같이 일측에 선바이저의 고정암(100)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끼움홈(111)이 구비된 리테이너몸체(110)와; 상기 리테이너몸체(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끼움홈(111) 내측으로 돌출되어 끼움홈(111)으로 끼워진 선바이저의 고정암(100)을 단속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스프링부재(121)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홀더구(120)와; 일단은 상기 리테이너몸체(110)의 끼움홈(111)의 일측면으로 노출되어 선바이저의 고정암(100)을 미는 푸시부(130)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홀더구(120)에 연결되어 이 홀더구(120)가 밀려 이동할 경우 상기 푸시부(130)가 선바이저의 고정암(100)을 밀도록 하는 연동부(140)로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몸체(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인출부재(15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푸시부(130)와 홀더구(120)가 서로 연동되어 고정암(100)에 의해 홀더구(120)가 승강됨에 따라 푸시부(130)가 회전함으로써 고정암(100)을 밀어내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고정암(100)의 장착과 해제를 용이하게 한 것이나, 차량의 주행 진동에 의해 고정암(100)이 요동할 수 있고, 이처럼 고정암(100)이 요동함에 따라 홀더구(120)가 일시적으로 밀리게 되면 푸시부(130)에 의해 고정암(100)이 홀더구(120)에서 이탈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는 고정암(100)을 고정하는 구속력이 그만큼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선바이저를 피봇 회전시키기 위해 자유단을 고정하는 리테이너에서 선바이저를 분리하거나, 다시 리테이너에 선바이저의 자유단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억지로 힘을 주지 않아도 쉽게 분리 및 고정이 되도록 구조 개선된 선바이저용 리테이너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선바이저 패드와; 상기 선바이저 패드가 설치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한쪽 단을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지지봉의 다른 쪽 단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리테이너로 이루어진 차량용 선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하측이 분리 형성되어 그 일단에 결합부가 형성되는 상하측 집게부와; 상기 상하측 집게부 각각의 결합부측에 형성되는 상하측 톱니부와; 상기 상하측 집게부의 결합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하측 톱니부와 맞물리는 톱니가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어 전후로 왕복이송되는 플랫바와; 상기 플랫바의 다른 끝단에 연결되어 플랫바의 인출 및 인입 정도를 조절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하측 집게부의 결합부가 힌지를 통해 결합되는 케이스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사용으로 선바이저를 고정하는 리테이너에서 선바이저를 쉽게 고정 및 해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헤드부방향으로 무리한 인장력을 가하지 않고 전면방향으로 작은 푸시력에 의해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전 중에 선바이저를 조작하더라도 운전에 보다 집중할 수 있어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테이너는 구속력이 강하여 차량 주행시의 진동에도 선바이저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선바이저용 리테이너 구조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2(a)는 선바이저의 예를 보인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와 선바이저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리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단면도,
도 6(a, b)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가 지지봉을 고정하는 작동의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a, 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가 지지봉의 고정을 해제하는 작동의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실내에 설치되는 선바이저용 리테이너로, 선바이저를 고정 및 해제할 때에 푸시록 스위치와 같이 직선왕복운동을 제어하는 스위치와 연계된 플랫바가 인입/인출되는 과정에서 상하측 집게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라들어 선바이저를 더욱 쉽고 편하게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는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리테이너(4)는 도 2(a, b)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하측이 분리 형성되어 그 일단에 결합부(11, 21)가 형성되는 상하측 집게부(10, 20)와; 상기 상하측 집게부(10, 20) 각각의 결합부(11, 21)측에 형성되는 상하측 톱니부(30A, 30B)와; 상기 상하측 집게부(10, 20)의 결합부(11, 21)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하측 톱니부(30A, 30B)와 맞물리는 톱니(41)가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어 전후로 왕복이송되는 플랫바(40)와; 상기 플랫바(40)의 다른 끝단에 연결되어 플랫바(40)의 인출 및 인입 정도를 조절하는 스위치부(50)와; 상기 스위치부(50)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하측 집게부(10, 20)의 결합부(11, 21)가 힌지(P)를 통해 결합되는 케이스(60)를 포함한다.
상하측 집게부(10, 20)는 각각 일단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그 타단이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도록 구성되고, 이를 통해 상하측 집게부(10, 20)에 선바이저의 지지봉이 고정되거나 해제된다.
이러한 상기 상하측 집게부(10, 20)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호형 만곡지게 형성되며, 그 일단으로 힌지(P)를 통해 각각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1, 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하측 집게부(10, 20)는 힌지(P)를 중심으로 하여 그 타단이 적정의 반경 내에서 회전되고, 이러한 회전 동작을 통해 선바이저의 지지봉(2)이 고정되거나 해제되는데, 이를 위해 상하측 집게부(10, 20)에는 후술하는 플랫바(40)의 왕복운동으로 그 개방단이 자동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상하측 톱니부(30A, 30B)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은 지지봉(2)이 삽입되면 후술하는 플랫바(40)의 동작에 의해 상하측 집게부(10, 20)가 오므라들어, 지지봉(2)을 감싸 고정하게 되고, 다시 지지봉(2)이 플랫바(40)를 누르면, 플랫바(40)가 인출되면서 상하측 집게부(10, 20)가 벌어져 지지봉(2)의 고정이 해제되는데, 이러한 동작은 후술하는 상하측 톱니부(30A, 30B)와 플랫바(40) 및 스위치부(50)의 상호 연결된 동작에 의해서 행해진다.
상하측 톱니부(30A, 30B)는 후술하는 플랫바(40)의 직선왕복운동에 대응하여 회전되어 상기 상하측 집게부(10, 20)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하측 집게부(10, 20)의 결합부(11, 21)의 회전 중심에 맞춰 상하측 집게부(10, 2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측 톱니부(30A, 30B)의 톱니와 이들에 각각 대응되는 플랫바(40)의 톱니(41)가 서로 맞물리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하측 톱니부(30A, 30B)는 플랫바(40)가 전후진됨에 따라 상하측 톱니부(30A, 30B)의 톱니가 맞물려 회전되어 지지봉(2)이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는 정도로 상하측 집게부(10, 20)가 벌어지거나 오므라든다.
플랫바(40)는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상하측 집게부(10, 20)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직선의 바(Bar)형태로 제작되되, 상하면에는 상하측 톱니부(30A, 30B)의 톱니와 맞물리도록 톱니(41)가 형성된다.
또한 플랫바(40)의 전방 끝단은 다른 부분과 다르게 그 폭을 크게 형성한 접면부(42)를 포함하는데, 이는 지지봉(2)과 맞닿는 접촉면을 크게 함으로써 지지봉(2)이 더욱 쉽게 접촉되어 플랫바(40)의 동작을 원활하게 한다.
이때 접면부(42)는 지지봉의 지름과 대응하는 정도의 오목한 홈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러한 오목 홈은 지지봉(2)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플랫바(40)의 오작동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스위치부(50)는 상기 플랫바(40)의 직선왕복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시중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스위치를 적용하되, 그 실시예로는 푸시록 스위치와 같이 한 번의 누름 동작에 의해 플랫바(40)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재차 누름 동작으로 플랫바(40)의 고정이 해제되면서 내장된 탄성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플랫바(40)가 인출되도록 하여 플랫바(40)가 직선의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스위치부(5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푸시록 스위치의 다양한 형태 중에서 선택되어 실시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스(60)는 상하측 집게부(10, 20)와 스위치부(50)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일측에는 돌출된 플랜지 형태로 실시되어 차량의 실내에 장착될 수 있는 결합구조를 포함하고, 다른 방향으로는 상기 스위치부(50)가 내부에 삽입되어 플랫바(40)가 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 구조로 실시된다.
이러한 케이스(60)는 당업자가 실시하기 위해 상하측 집게부(10, 20)를 회전가능하게 힌지(P)로 고정하는데 상하측 집게부(10, 20)가 각각의 힌지(P)를 통해 회전하도록 2개의 힌지(P)를 통해 독립적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이렇게 2개의 힌지(P)를 통해 각각 결합되는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예로서, 또 다른 예로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상하측 집게부(10, 20)를 직접 하나의 힌지(P)로 연결하여 작동하는 형태로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이하의 사용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예: 고정 동작시>
본 발명은 도 6(a)에서와 같이 상하측 집게부(10, 20)의 끝단이 벌어진 상태로 있는데, 이렇게 벌어진 상하측 집게부(10, 20)의 사이로 선바이저의 지지봉(2)이 통과하여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플랫바(40)는 스위치부(50)에서 인출된 상태로 있다가, 상하측 집게부(10, 20)의 벌어진 사이를 통과하여 삽입되면서, 플랫바(40)의 끝단 접면부(42)에 밀착되면서 플랫바(40)를 스위치부(50)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도 6(b)에서와 같이 플랫바(40)는 먼저 ①-스위치부(50)로 이동하면서 밀리고, ②-밀린 플랫바(40)는 다시 전방으로 일정 길이 인출되다가 푸시록 스위치의 구조로 인해 플랫바(40)가 고정되는데, 이때 인출되는 플랫바(40)의 길이는 처음에 플랫바(40)가 인입된 길이보다 작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플랫바(40)가 스위치부(50) 내로 삽입된 상태, 즉 플랫바(40)가 밀려 들어간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플랫바(40)가 지지봉(2)에 의해 밀리면서 후방으로 이동하면, ③-플랫바(40)의 상하측 면에 형성된 톱니(41)와 상하측 톱니부(30A, 30B)의 톱니가 서로 맞물리기 때문에, 상하측 톱니부(30A, 30B)가 회전되고, 이렇게 상하측 톱니부(30A, 30B)가 회전됨에 따라 상하측 집게부(10, 20)가 회전되므로, 상하측 집게부(10, 20)의 벌어진 끝단이 오므라든다.
따라서 지지봉(2)은 상하측 집게부(10, 20)와, 플랫바(40)의 접면부(42)에 의해 밀착된 상태가 되어 지지봉(2)이 유동 없이 고정 유지되며, 플랫바(40)를 밀어 넣는 정도의 작은 힘만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예: 해제 동작시>
선바이저를 사용하기 위해 지지봉(2)의 고정을 해제할 때에는 도 7(a)에서와 같이 고정되어 있는 지지봉(2)을 스위치부(50) 방향으로 살짝 눌렀다가 떼면, 플랫바(40)가 ①-밀리면서 삽입되다가, ②-탄성력에 플랫바(40)가 인출된다.
이와 같이 플랫바(40)가 인출되면 ③-플랫바(40)의 톱니(41)와 상하측 톱니부(30A, 30B)의 톱니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하측 집게부(10, 20)가 오므라들던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하측 집게부(10, 20)의 끝단이 벌어저 개방된다.
이렇게 상하측 집게부(10, 20)가 개방되면, 도 7(b)에서와 같이 지지봉(2)이 자유롭게 이탈될 수 있어 무리하게 큰 힘을 가하지 않고도 쉽게 선바이저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리테이너에 고정된 선바이저의 일단을 해제할 필요가 있거나, 반대로 고정할 필요가 있을 때에, 사용자가 큰 힘을 주지 않고도 선바이저를 쉽게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지지봉(2)을 억지로 끼우거나 빼지 않으므로 운전자가 운전 중에 조작하더라도 안전운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1: 선바이저 패드 2: 지지봉
3: 고정브래킷 4: 리테이너
10: 상측 집게부 11: 결합부
20: 하측 집게부 21: 결합부
30A, 30B: 상하측 톱니부 40: 플랫바
41: 톱니 42: 접면부
50: 스위치부 60: 케이스
P: 힌지

Claims (4)

  1. 선바이저 패드(1)와; 상기 선바이저 패드(1)가 설치되는 지지봉(2)과; 상기 지지봉(2)의 한쪽 단을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브래킷(3)과; 상기 지지봉(2)의 다른 쪽 단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리테이너(4)로 이루어진 차량용 선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4)는 상하측이 분리 형성되어 그 일단에 결합부(11, 21)가 형성되는 상하측 집게부(10, 20)와;
    상기 상하측 집게부(10, 20) 각각의 결합부(11, 21)측에 형성되는 상하측 톱니부(30A, 30B)와;
    상기 상하측 집게부(10, 20)의 결합부(11, 21)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하측 톱니부(30A, 30B)와 맞물리는 톱니(41)가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어 전후로 왕복이송되는 플랫바(40)와;
    상기 플랫바(40)의 다른 끝단에 연결되어 플랫바(40)의 인출 및 인입 정도를 조절하는 스위치부(50)와;
    상기 스위치부(50)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하측 집게부(10, 20)의 결합부(11, 21)가 힌지(P)를 통해 결합되는 케이스(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50)는 푸시록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랫바(40)는 지지봉과 접하는 접면부(4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면부(42)는 오목한 호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KR1020100068519A 2010-03-11 2010-07-15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KR101158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2007 2010-03-11
KR1020100022007 2010-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796A KR20110102796A (ko) 2011-09-19
KR101158359B1 true KR101158359B1 (ko) 2012-06-22

Family

ID=449542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526A KR20110102797A (ko) 2010-03-11 2010-07-15 차량용 선바이저
KR1020100068519A KR101158359B1 (ko) 2010-03-11 2010-07-15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526A KR20110102797A (ko) 2010-03-11 2010-07-15 차량용 선바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101027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442B1 (ko) * 2012-12-03 2014-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선바이저의 충격 흡수장치
KR101527050B1 (ko) * 2013-12-30 2015-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탈착형 선바이저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5009A (ko) * 1995-12-31 1997-07-22 전성원 격납식 선바이저 리테이너
KR19990045619A (ko) * 1997-11-29 1999-06-25 히가시 데쓰로 반도체 웨이퍼상에 형성된 반도체 소자의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
KR20110099598A (ko) * 2010-03-02 2011-09-08 이창민 자동차 썬바이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5009A (ko) * 1995-12-31 1997-07-22 전성원 격납식 선바이저 리테이너
KR19990045619A (ko) * 1997-11-29 1999-06-25 히가시 데쓰로 반도체 웨이퍼상에 형성된 반도체 소자의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
KR20110099598A (ko) * 2010-03-02 2011-09-08 이창민 자동차 썬바이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797A (ko) 2011-09-19
KR20110102796A (ko) 2011-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81658A (zh) 开关头盔遮阳板的装置
JP2008542092A (ja) 車両のサンバイザー
EP1612354A3 (en) Upper articulation assembly for turn and tilt window or door.
KR101158359B1 (ko)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CN1952427A (zh) 电动泊车制动装置
JP4441764B2 (ja) ケーブル脱落防止具
CN109995920A (zh) 一种电控夹持型手机支架
CN212243782U (zh) 一种无人机机臂快速折叠装置
JP4134217B2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CN110430304A (zh) 一种基于斜向槽的三爪联动夹持机构及手机支架
CN213513110U (zh) 便携式设备支架及其夹持固定器件
CN201105342Y (zh) 改进的弓锯结构
JP4381943B2 (ja) 空気調和機
JP6783066B2 (ja) 操作具支持装置およびロールスクリーン
CN204149835U (zh) 新型自动半罩车衣装置
CN201507191U (zh) 应急安全型滑撑铰链及滑撑铰链用的组合滑块
CN212066639U (zh) 擦拭物自夹取拖把
CN210680472U (zh) 一种汽车座椅用触发装置
JP4106167B2 (ja) ボックス体の開閉装置
CN100375827C (zh) 带锁定机构的支架装置
CN112572308A (zh) 一种移动设备支架
KR20100096321A (ko) 차량의 사이드 윈도우 햇빛 가리개
KR100550041B1 (ko) 다기능 오버 헤드 콘솔
CN214195929U (zh) 一种自动门钩机构
CN110303953B (zh) 一种汽车副驾驶坐垫翻转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