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450B1 - 멀티밴드 정합 회로 및 멀티밴드 전력 증폭기 - Google Patents
멀티밴드 정합 회로 및 멀티밴드 전력 증폭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6450B1 KR101156450B1 KR1020100006932A KR20100006932A KR101156450B1 KR 101156450 B1 KR101156450 B1 KR 101156450B1 KR 1020100006932 A KR1020100006932 A KR 1020100006932A KR 20100006932 A KR20100006932 A KR 20100006932A KR 101156450 B1 KR101156450 B1 KR 1011564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tching
- circuit
- impedance
- parallel
- frequency ba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96 correl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03H7/383—Impedance-matching networks comprising distributed impedance elements together with lumped impedance element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6—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72—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03H7/40—Automatic matching of load impedance to source impedance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1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dual or triple band amplifier, e.g. 900 and 1800 MHz, e.g. switched or not switched, simultaneously or not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29—Two or more amplifiers or one amplifier with filters for different frequency bands are coupled in parallel at the input or output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72—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 H03F2203/7209—Indexing scheme relating to gated amplifiers, i.e. amplifiers which are rendered operative or inoperative by means of a control signal the gated amplifier being switched from a first band to a second band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03H2007/386—Multiple band impedance ma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Microwave Amplifi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2개의 주파수대의 상관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 3은 실시예 1의 멀티밴드 정합 회로의 변형예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3개의 주파수대의 상관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 5는 제1 병렬 블록을 2단의 LC 공진 회로로 구성하는 이미지도.
도 6은 도 5의 구성에 있어서의 주파수-임피던스 특성도.
도 7a는 실시예 1의 멀티밴드 정합 회로의 변형예의 제2 정합부를 2개 직렬로 배열한 경우의 구성예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7b는 실시예 1의 멀티밴드 정합 회로의 변형예의 제2 정합부를 2개 병렬로 배열한 경우의 구성예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8은 실시예 2의 멀티밴드 정합 회로의 기능 블록도.
도 9는 N개의 주파수대의 상관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 10은 제1 병렬 블록을 m-1단의 LC 공진 회로로 구성하는 이미지도.
도 11은 실시예 4의 멀티밴드 전력 증폭기의 기능 블록도.
도 12는 실시예 4의 멀티밴드 전력 증폭기의 반사 감쇠량 및 이득대주파수 특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종래의 멀티밴드 증폭기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종래의 각 주파수대용 증폭기의 기능 블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5a는 적어도 b1에 있어서 특성 임피던스가 Z0의 전송선로와 등가인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b는 도 15a의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c는 도 15a의 다른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a는 적어도 b1에 있어서 특성 임피던스가 Z0의 전송선로와 등가인 회로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b는 도 16a의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c는 도 16a의 다른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 병렬 블록에 병렬공진회로를 채용한 경우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 병렬 블록에 병렬공진회로를 채용한 경우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 병렬 블록에 직렬공진기를 채용한 경우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a는 적어도 b1 및 b2에 있어서 특성 임피던스가 Z0의 전송선로와 등가인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b는 도 20a의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c는 도 20a의 다른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1a는 적어도 b1 및 b2에 있어서 특성 임피던스가 Z0의 전송선로와 등가인 회로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1b는 도 21a의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1c는 도 21a의 다른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2a는 도 20c의 가변 인덕터를 가변 캐패시터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2b는 도 21b의 가변 인덕터를 가변 캐패시터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2c는 도 21a의 각 소자를 인덕터와 캐패시터의 직렬 접속이나 병렬 접속으로 구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실시예 2에 있어서, 제1 병렬 블록에 병렬공진회로를 채용한 경우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실시예 2에 있어서, 제1 병렬 블록에 병렬공진회로를 채용한 경우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실시예 2에 있어서, 제1 병렬 블록에 직렬공진기를 채용한 경우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실시예 3의 멀티밴드 정합 회로의 기능 블록도.
Claims (15)
- 삭제
- 주파수 특성이 있는 임피던스(ZI(f))를 가지는 회로 소자와,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Z0)를 가지는 회로(이하, 「계의 회로」라고 함) 사이의 신호 경로에 삽입되어, 2개의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회로 소자의 임피던스(ZI(f))를 계의 회로의 임피던스(Z0)에 정합하는 멀티밴드 정합 회로로서,
일단이 상기 회로 소자에 접속되고, 제1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회로소자의 임피던스를 Z0로 변환하는 제1 정합부와,
일단이 상기 제1 정합부의 타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계의 회로에 접속되며, 특성 임피던스가 계의 회로의 임피던스(Z0)에 동일한 전송선로나 적어도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전송선로에 등가인 회로인 직렬정합수단과, 일단이 상기 직렬정합수단의 타단에서 상기 신호 경로에 접속되고, 타단이 접지되는 병렬정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제2 정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병렬정합수단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경로와의 접속점이 임피던스 개방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직렬정합수단 및 상기 병렬정합수단을 설계함으로써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회로소자의 임피던스를 Z0에 정합하고,
상기 병렬정합수단은 일단이 상기 신호 경로에 접속되는 제1 병렬 블록과, 일단이 해당 제1 병렬 블록의 타단과 접속되고, 타단이 접지되는 제2 병렬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병렬 블록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경로와의 접속점이 임피던스 개방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밴드 정합 회로. - 주파수 특성이 있는 임피던스(ZI(f))를 가지는 회로 소자와,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Z0)를 가지는 회로(이하, 「계의 회로」라고 함) 사이의 신호 경로에 삽입되어, 2개의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회로 소자의 임피던스(ZI(f))를 계의 회로의 임피던스(Z0)에 정합하는 멀티밴드 정합 회로로서,
일단이 상기 회로 소자에 접속되고, 제1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회로소자의 임피던스를 Z0로 변환하는 제1 정합부와,
일단이 상기 제1 정합부의 타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계의 회로에 접속되며, 특성 임피던스가 계의 회로의 임피던스(Z0)에 동일한 전송선로나 적어도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전송선로에 등가인 회로인 직렬정합수단과, 일단이 상기 직렬정합수단의 타단에서 상기 신호 경로에 접속되고, 타단이 접지되는 병렬정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제2 정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병렬정합수단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경로와의 접속점이 임피던스 개방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직렬정합수단 및 상기 병렬정합수단을 설계함으로써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회로소자의 임피던스를 Z0에 정합하고,
상기 병렬정합수단은 일단이 상기 신호 경로에 접속되는 제2 병렬 블록과, 일단이 해당 제2 병렬 블록의 타단과 접속되고, 타단이 접지되는 제1 병렬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병렬 블록은 집중 상수 소자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1 병렬 블록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제2 병렬 블록과의 접속점이 임피던스 개방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밴드 정합 회로. -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병렬 블록은 공진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f1)에 동일한 캐패시터와 인덕터의 병렬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밴드 정합 회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병렬 블록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f1)에 있어서의 파장의 4분의 1 길이의 전송선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밴드 정합 회로. - 삭제
- 주파수 특성이 있는 임피던스(ZI(f))를 가지는 회로 소자와,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Z0)를 가지는 회로(이하, 「계의 회로」라고 함) 사이의 신호 경로에 삽입되어, 제1로부터 제N의 주파수 대역(N≥3, 중심 주파수 f1>f2>…>fN)에 있어서 회로 소자의 임피던스(ZI(f))를 계의 회로의 임피던스(Z0)에 정합하는 멀티밴드 정합 회로로서,
일단이 상기 회로 소자에 접속되고, 제1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회로소자의 임피던스를 Z0로 변환하는 제1 정합부와,
일단이 제m-1 정합부(m=2, 3, ..., N)의 타단에 접속되고, 특성 임피던스가 계의 회로의 임피던스(Z0)에 동일한 전송선로나 적어도 제1로부터 제m-1의 각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선로에 등가인 회로인 직렬정합수단과, 일단이 상기 직렬정합수단의 타단에서 상기 신호 경로에 접속되고, 타단이 접지되는 병렬정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제m 정합부를 구비하고,
제N 정합부의 직렬정합수단의 타단은 상기 계의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m 정합부의 병렬정합수단은 제1로부터 제m-1의 각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경로와의 접속점이 임피던스 개방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m 정합부의 직렬정합수단 및 상기 제m 정합부의 병렬정합수단을 설계함으로써 제m의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회로소자의 임피던스를 Z0에 정합하고,
상기 제m 정합부의 병렬정합수단은 일단이 상기 신호 경로에 접속되는 제1 병렬 블록과, 일단이 해당 제1 병렬 블록의 타단과 접속되고, 타단이 접지되는 제2 병렬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병렬 블록은 상기 제1로부터 제m-1의 각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경로와의 접속점이 임피던스 개방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밴드 정합 회로. -
주파수 특성이 있는 임피던스(ZI(f))를 가지는 회로 소자와,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Z0)를 가지는 회로(이하, 「계의 회로」라고 함) 사이의 신호 경로에 삽입되어, 제1로부터 제N의 주파수 대역(N≥3, 중심 주파수 f1>f2>…>fN)에 있어서 회로 소자의 임피던스(ZI(f))를 계의 회로의 임피던스(Z0)에 정합하는 멀티밴드 정합 회로로서,
일단이 상기 회로 소자에 접속되고, 제1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회로소자의 임피던스를 Z0로 변환하는 제1 정합부와,
일단이 제m-1 정합부(m=2, 3, ..., N)의 타단에 접속되고, 특성 임피던스가 계의 회로의 임피던스(Z0)에 동일한 전송선로나 적어도 제1로부터 제m-1의 각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선로에 등가인 회로인 직렬정합수단과, 일단이 상기 직렬정합수단의 타단에서 상기 신호 경로에 접속되고, 타단이 접지되는 병렬정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제m 정합부를 구비하고,
제N 정합부의 직렬정합수단의 타단은 상기 계의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m 정합부의 병렬정합수단은 제1로부터 제m-1의 각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경로와의 접속점이 임피던스 개방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m 정합부의 직렬정합수단 및 상기 제m 정합부의 병렬정합수단을 설계함으로써 제m의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회로소자의 임피던스를 Z0에 정합하고,
상기 제m 정합부의 병렬정합수단은 일단이 상기 신호 경로에 접속되는 제2 병렬 블록과, 일단이 해당 제2 병렬 블록의 타단과 접속되고, 타단이 접지되는 제1 병렬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병렬 블록은 집중 상수 소자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1 병렬 블록은 상기 제1로부터 제m-1의 각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제2 병렬 블록과의 접속점이 임피던스 개방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밴드 정합 회로. - 제 7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병렬 블록은 공진 주파수가 상기 제m-1의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fm-1) 이상이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f1) 이하인 캐패시터와 인덕터의 병렬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밴드 정합 회로. - 제 7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병렬 블록은 공진 주파수가 각각 제1로부터 제m-1의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f1, f2, …, fm-1)인 m-1단의 캐패시터와 인덕터의 병렬 회로의 직렬 접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밴드 정합 회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병렬 블록은 전송선로로 구성되고, 그 길이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f1)에 있어서의 파장의 4분의 1 이상이고, 상기 제m-1의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fm-1)에 있어서의 파장의 4분의 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밴드 정합 회로. - 삭제
- 주파수 특성이 있는 임피던스(ZI(f))를 가지는 회로 소자와,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Z0)를 가지는 회로(이하, 「계의 회로」라고 함) 사이의 신호 경로에 삽입되어, 2개의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회로 소자의 임피던스(ZI(f))를 계의 회로의 임피던스(Z0)에 정합하는 멀티밴드 정합 회로로서,
일단이 상기 회로 소자에 접속되고, 제1로부터 제m(m≥2)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회로소자의 임피던스를 Z0로 변환하는 제1 정합부와,
일단이 상기 제1 정합부의 타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계의 회로에 접속되며, 특성 임피던스가 계의 회로의 임피던스(Z0)에 동일한 전송선로나 적어도 상기 제1로부터 제m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전송선로에 등가인 회로인 직렬정합수단과, 일단이 상기 직렬정합수단의 타단에서 상기 신호 경로에 접속되고, 타단이 접지되는 병렬정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제2 정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병렬정합수단은 상기 제1로부터 제m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경로와의 접속점이 임피던스 개방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직렬정합수단 및 상기 병렬정합수단을 설계함으로써 제m+1로부터 제N(N≥3)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회로소자의 임피던스를 Z0에 정합하고,
상기 병렬정합수단은 일단이 상기 신호 경로에 접속되는 가변 디바이스인 제1 병렬 블록과, 일단이 해당 제1 병렬 블록의 타단과 접속되고, 타단이 접지되는 가변 디바이스인 제2 병렬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병렬 블록은 상기 제1로부터 제m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경로와의 접속점이 임피던스 개방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밴드 정합 회로.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병렬 블록은 가변 캐패시터와 인덕터의 병렬공진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밴드 정합 회로. - 증폭 소자와 제 2 항, 제 3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멀티밴드 정합 회로를 구비하고,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동시에 증폭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밴드 전력 증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020581 | 2009-01-30 | ||
JP2009020581 | 2009-01-30 | ||
JP2010006885A JP5453120B2 (ja) | 2009-01-30 | 2010-01-15 | マルチバンド整合回路、およびマルチバンド電力増幅器 |
JPJP-P-2010-006885 | 2010-01-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8534A KR20100088534A (ko) | 2010-08-09 |
KR101156450B1 true KR101156450B1 (ko) | 2012-06-13 |
Family
ID=4204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693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6450B1 (ko) | 2009-01-30 | 2010-01-26 | 멀티밴드 정합 회로 및 멀티밴드 전력 증폭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487713B2 (ko) |
EP (1) | EP2214310A1 (ko) |
JP (1) | JP5453120B2 (ko) |
KR (1) | KR101156450B1 (ko) |
CN (1) | CN10179512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0011411B4 (de) * | 2010-03-15 | 2015-07-02 | Qualcomm Technologies, Inc. (N.D.Ges.D. Staates Delaware) | Einstellbares kapazitives Element |
US8947317B2 (en) * | 2010-07-28 | 2015-02-03 |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Kyoto Institute Of Technology | Microwave resonator configured by composite right/left-handed meta-material and antenna apparatus provided with the microwave resonator |
JP5498314B2 (ja) * | 2010-08-09 | 2014-05-21 | 株式会社Nttドコモ | インピーダンス可変整合回路 |
US8698576B2 (en) * | 2011-04-27 | 2014-04-15 | Alcatel Lucent | Isolated zero degree reactive radio frequency high power combiner |
US20130178168A1 (en) * | 2012-01-10 | 2013-07-11 | Chunjie Duan | Multi-Band Matching Network for RF Power Amplifiers |
JP5874441B2 (ja) * | 2012-02-29 | 2016-03-02 | 富士通株式会社 | 増幅器 |
JP5762377B2 (ja) | 2012-09-28 | 2015-08-12 | 太陽誘電株式会社 | インピーダンス整合回路およびアンテナシステム |
KR101452063B1 (ko) | 2012-12-10 | 2014-10-16 | 삼성전기주식회사 | 프론트 엔드 모듈 |
DE102013002227B4 (de) * | 2013-02-11 | 2014-11-13 | Sew-Eurodrive Gmbh & Co Kg | Anordnung zur Signalübertragung und Anlage mit dieser Anordnung |
CN105009450B (zh) * | 2013-02-27 | 2018-11-20 | 新加坡国立大学 | 具有改进的rf-到-dc功率转换效率以用于无线网络中的整流天线 |
US8963644B2 (en) | 2013-03-25 | 2015-02-24 |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 Reconfigurable output matching network for multiple power mode power amplifiers |
US9425753B2 (en) * | 2013-11-07 | 2016-08-23 | Qualcomm Incorporated | Low-noise amplifier matching |
CN103997305A (zh) * | 2014-05-19 | 2014-08-20 | 天津大学 | 一种三频带射频功率放大器阻抗匹配电路 |
CA2954941A1 (en) * | 2014-07-14 | 2016-01-21 | Covidien Lp | Dual band power amplifier circuit for microwave ablation |
US10340876B2 (en) * | 2015-04-17 | 2019-07-02 | Psemi Corporation | Tunable and integrated impedance matching and filter circuit |
US10637519B2 (en) | 2015-06-09 | 2020-04-28 | The University Of Electro-Communications | Dual-band amplifier |
EP3121968A1 (en) * | 2015-07-24 | 2017-01-25 | IMEC vzw | Telecommunications device comprising an ebd circuit, a tunable impedance network and a method for tuning a tunable impedance network |
CN105161866B (zh) * | 2015-08-31 | 2018-09-04 |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 天线调谐器、多频段天线和移动终端 |
PL3395123T3 (pl) * | 2015-12-22 | 2023-02-27 | Thermatool Corp. | Układ zasilacza o wysokiej częstotliwości ze ściśle regulowaną mocą wyjściową do nagrzewania przedmiotu obrabianego |
US10673513B2 (en) * | 2016-03-11 | 2020-06-02 | Akoustis, Inc. | Front end module for 5.2 GHz Wi-Fi acoustic wave resonator RF filter circuit |
CN109478882B (zh) * | 2016-07-15 | 2022-08-23 | 株式会社村田制作所 | 多工器、高频前端电路以及通信终端 |
FR3058602B1 (fr) * | 2016-11-08 | 2021-02-12 | Centre Nat Rech Scient | Circuit d'adaptation d'impedance entre un generateur et une charge a des frequences multiples, ensemble comportant un tel circuit et utlisation liee. |
CN107591624B (zh) * | 2017-08-17 | 2020-08-11 |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 天线、电视终端 |
US10855235B2 (en) * | 2017-12-27 | 2020-12-01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 Power amplifier circuit |
CN110536534B (zh) * | 2019-09-06 | 2024-03-26 | 深圳市恒运昌真空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匹配箱的阻抗调节方法、装置及射频电源系统 |
CN110781635A (zh) * | 2019-09-27 | 2020-02-11 | 上海航天控制技术研究所 | 一种复杂系统接点表的快速自动化设计方法及系统 |
JP2021106334A (ja) * | 2019-12-26 | 2021-07-26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高周波回路 |
CN113242029A (zh) * | 2021-05-12 | 2021-08-10 | 西北工业大学深圳研究院 | 基于集总元件的多频阻抗匹配方法 |
CN114785297A (zh) * | 2022-04-18 | 2022-07-22 | 深圳飞骧科技股份有限公司 | 功率放大器及其输入匹配网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605589A1 (en) | 2003-03-14 | 2005-12-14 | NTT DoCoMo, Inc. | Matching circuit |
KR20060120449A (ko) * | 2005-05-20 | 2006-11-27 |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 정합 회로 |
KR20080058208A (ko) * | 2006-12-20 | 2008-06-25 |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 정합 회로, 듀얼밴드 전력 증폭 장치 |
KR20080099809A (ko) * | 2007-05-10 | 2008-11-13 |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 정합 회로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29949A (en) * | 1977-08-10 | 1979-03-06 | Denki Kogyo Co Ltd | Multiple wave matching system |
JPH1056305A (ja) | 1996-08-09 | 1998-02-24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インピーダンス整合回路,及び測定用薄膜プローブ |
JPH10242776A (ja) | 1996-12-24 | 1998-09-11 | Murata Mfg Co Ltd | 高周波増幅器 |
JP2003504929A (ja) | 1999-07-07 | 2003-02-04 | エリクソ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デュアル・バンド、デュアル・モードの電力増幅器 |
JP2001111362A (ja) * | 1999-10-06 | 2001-04-20 | Nec Corp | 高調波処理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高電力効率増幅回路 |
KR20010108226A (ko) | 1999-12-15 | 2001-12-07 |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 임피던스 정합 회로 및 이것을 사용한 안테나 장치 |
JP2003174335A (ja) * | 2001-12-05 | 2003-06-20 | Mitsubishi Electric Corp | 増幅器 |
CN1320772C (zh) * | 2003-06-05 | 2007-06-06 |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 多频带低噪声放大器 |
JP4178477B2 (ja) | 2005-11-24 | 2008-11-12 | 船井電機株式会社 | データ送信装置 |
JP4843455B2 (ja) | 2006-10-30 | 2011-12-21 |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 整合回路、マルチバンド増幅器 |
JP2009020581A (ja) | 2007-07-10 | 2009-01-29 | Hitachi Information Systems Ltd | アプリケーション間通信システム |
-
2010
- 2010-01-15 JP JP2010006885A patent/JP545312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1-26 KR KR1020100006932A patent/KR10115645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1-28 EP EP10151927A patent/EP2214310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0-01-28 US US12/695,442 patent/US848771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2-01 CN CN2010101081012A patent/CN10179512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605589A1 (en) | 2003-03-14 | 2005-12-14 | NTT DoCoMo, Inc. | Matching circuit |
KR20060120449A (ko) * | 2005-05-20 | 2006-11-27 |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 정합 회로 |
KR20080058208A (ko) * | 2006-12-20 | 2008-06-25 |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 정합 회로, 듀얼밴드 전력 증폭 장치 |
KR20080099809A (ko) * | 2007-05-10 | 2008-11-13 |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 정합 회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0200310A (ja) | 2010-09-09 |
EP2214310A1 (en) | 2010-08-04 |
KR20100088534A (ko) | 2010-08-09 |
US20100194487A1 (en) | 2010-08-05 |
CN101795120A (zh) | 2010-08-04 |
CN101795120B (zh) | 2013-12-11 |
JP5453120B2 (ja) | 2014-03-26 |
US8487713B2 (en) | 2013-07-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6450B1 (ko) | 멀티밴드 정합 회로 및 멀티밴드 전력 증폭기 | |
KR101156418B1 (ko) | 멀티밴드 정합 회로 및 멀티밴드 전력 증폭기 | |
US7750756B2 (en) | Matching circuit | |
KR100898349B1 (ko) | 정합 회로, 듀얼밴드 전력 증폭 장치 | |
CN111585534B (zh) | 使用3g/4g线性路径组合进行2g放大的电路和方法 | |
US8098114B2 (en) | Matching circuit | |
US7656249B2 (en) | Matching circuit | |
KR101286045B1 (ko) | 멀티 밴드 정합 회로 | |
KR100795891B1 (ko) | 안정화 회로, 멀티 밴드 증폭 회로 | |
JP2011015242A (ja) | 高周波電力増幅器 | |
JP2013138513A (ja) | マルチバンド整合回路 | |
HK1216468B (zh) | 進行2g放大的電路、方法和無線裝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