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563B1 -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563B1
KR101153563B1 KR1020067013823A KR20067013823A KR101153563B1 KR 101153563 B1 KR101153563 B1 KR 101153563B1 KR 1020067013823 A KR1020067013823 A KR 1020067013823A KR 20067013823 A KR20067013823 A KR 20067013823A KR 101153563 B1 KR101153563 B1 KR 101153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roller
pinch
optical fiber
pinch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574A (ko
Inventor
소이치로 켐모치
와이치 야마무라
타카아키 나가오
미츠쿠니 사카시타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8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05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starting from tubes, rod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25Means for changing or stabilising the shape, e.g. diameter, of tubes or rods in general, e.g. collapsing
    • C03B37/0126Means for supporting, rotating, translating the rod, tube or pre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Abstract

모재 잉곳(1)을 전기로(3) 등으로 가열 연화시키고, 한 벌의 핀치 롤러(6, 6)에 의해 인출하고, 보다 소경의 모재 로드(7)로 연신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에 있어서, 모재 로드(7)의 외경보다 큰 곡률 반경으로 구성된 롤러 홈(11), 또는 직선으로 구성된 V자 모양의 롤러 홈(11)을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핀치 롤러(6)의 주면에 설치하고, 한 벌의 이 핀치 롤러(6, 6)의 대향하는 롤러 홈(11, 11)으로 모재 로드(7)를 끼워 넣어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모재, 잉곳, 전기로, 가열, 연화, 광섬유, 금속재, 핀치 롤러, 롤러 홈, 로드, 인출

Description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DRAWING OPTICAL FIBER PREFORM}
본 발명은, 광섬유 모재의 제조 방법, 특히 모재 잉곳(ingot)을 이보다 소경의 모재 로드(rod)로 연신하는 연신 방법에 있어서, 연신 후의 광섬유 모재 로드의 굽음을 저감화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헌의 참조에 의한 편입이 인정되는 지정국에 대해서는, 하기의 출원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집어넣어 본 출원의 기재의 일부로 한다.
특허출원 2004-6878   출원일 2004년 1월 14일
특허출원 2005-2763   출원일 2005년 1월 7일
일반적으로, 광섬유용 모재 잉곳을 이보다 소경의 광섬유 모재 로드로 연신하기 위해서, 관통 종형(縱型)의 전기로에 셋팅(setting) 한 모재 잉곳을 가열 연화시키면서, 전기로의 입구로부터 소정의 속도로 로(爐) 내에 이송해 넣고, 동시에 전기로의 출구로부터, 모재 잉곳의 선단부를 파지하여, 이송해 넣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인출함으로써 모재 잉곳보다 직경 축소된 모재 로드로서 인출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특허공개 소62-167236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연신 중에 직경 축소된 모재 로드는, 한 벌의 핀치(Pinch) 롤러(roller)로 협지되고 인출된다. 핀치 롤러의 재질로는, 압축 세라믹 파이버 등의 비금속이 사용되고 있지만, 400℃ 이상의 고온의 모재 로드와의 접촉에 의해, 핀치 롤러의 표면이 소실(燒損)하고, 치수?형상이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핀치 롤러에 의한 끌어 잡는 위치가 흐트러져 모재 로드에 큰 굽음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 핀치 롤러를 그 구동축에 부착하는데, 테이퍼 축((tapered shaft) 감합에 의한 고정 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핀치 롤러의 축 방향 위치를 정확하게 정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이 때문에 핀치 롤러의 교환마다 핀치 롤러에 의한 끌어 잡는 위치가 흐트러져 모재 로드에 큰 굽음이 발생하고 있었다.
핀치 롤러의 재질은, 압축 세라믹 파이버 등의 비금속이기 때문에, 정확한 홈(groove) 가공이 어렵고, 또, 만일 홈 가공을 할 수 있어도 상기 이유에 의해, 홈 위치가 정해지지 않기 때문에, 차선책으로서 고온의 모재 로드에 의한 소실의 결과로서, 핀치 롤러의 표면에 저절로 형성되는 홈을 이용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명료한 홈이 형성될 때까지의 기간은, 핀치 롤러에 끼워진 모재 로드에는 정위치성이 없고, 이 때문에 끌어 잡는 위치가 흐트러져 모재 로드에 큰 굽음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연신된 모재 로드에 굽음이 큰 경우에는, 유리(glass) 선반에서 굽음을 수정하는 공정이 추가되어 모재 로드의 제조비용 상승의 요인으로 되고 있었다. 또, 저절로 자연 형성된 홈의 위치는 부정확하고 편차가 크기 때문에, 모재 로드의 굽음을 줄이기 위해서는, 홈 중심을 기준으로 한 핀치 롤러의 위치 조정을 빈번하게 행하지 않으면 안 되어 연신 공정의 생산성을 저해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연신 후의 광섬유 모재 로드의 굽음이 적고, 이를 수정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한편 생산성이 높은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은, 모재 잉곳을 전기로 등으로 가열 연화시키고, 한 벌의 핀치 롤러에 의해 인출하고, 보다 소경의 모재 로드로 연신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에 있어서, 모재 로드의 외경보다 큰 곡률 반경으로 구성된 롤러 홈, 또는 직선으로 구성된 V자 모양의 롤러 홈을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핀치 롤러의 주면(周面)에 설치하고, 한 벌의 이 핀치 롤러의 대향하는 롤러 홈으로 모재 로드를 끼워 넣어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다른 발명은, 모재 잉곳을 전기로 등으로 가열 연화시키고, 한 벌의 핀치 롤러에 의해 인출하고, 보다 소경의 모재 로드로 연신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에 있어서, 이 핀치 롤러를 연신 방향과 평행한 위치 결정용 기준 단면을 가지는 비테이퍼 축(untapered shaft)의 이 기준 단면에 꽉 눌러 비테이퍼 축(untapered shaft)에 감합 고정하고, 한 벌의 이 핀치 롤러의 대향하는 양쪽 주면에 설치된 롤러 홈에 형성되는 홈 중심의 위치를, 이 핀치 롤러를 지지하는 위치 미세조정 장치로 미세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이다.
본 발명의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에 있어서는, 연신하여 얻으려고 하는 모재 로드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의 단척(短尺) 로드를 한 벌의 핀치 롤러로 보유하고, 한편 모재 잉곳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전기로 등의 발열체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이 이 단척 로드의 중심점을 통과하도록 레이저 광선 또는 중추(重錘)의 수선을 이용하여, 이 핀치 롤러를 지지하는 위치 미세조정 장치의 위치를 미세조정하고, 이 핀치 롤러의 위치 결정을 하는 것이다. 또, 상기 단척 로드를 대신하여 상부 기판과 원통부로 이루어지는 치구(治具)를 한 벌의 핀치 롤러 상에 얹고, 이 원통부를 핀치 롤러로 보유하도록 하여, 핀치 롤러의 위치 결정을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광섬유 모재의 연신 장치는, 모재 잉곳을 전기로 등으로 가열 연화시키고, 한 벌의 핀치 롤러에 의해 인출하고, 보다 소경의 모재 로드로 연신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장치에 있어서, 이 핀치 롤러가, 재질이 금속이고, 모재 로드의 외경보다 큰 곡률 반경으로 구성된 롤러 홈, 또는 직선으로 구성된 V자 모양의 롤러 홈을 이 핀치 롤러의 주면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연신 장치는, 핀치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비테이퍼 축(untapered shaft)에, 연신 방향과 평행한 위치 결정용 기준 단면을 설치하여 이 핀치 롤러의 위치 결정을 행하고, 한편 이 비테이퍼 축(untapered shaft)의 위치를 위치 미세조정 장치에 의해 미세조정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또, 핀치 롤러의 표면에는, 내열 재료로 이루어지는 직포를 금속제의 핀치 롤러와 모재 로드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서 감겨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의 발명의 개요는, 본 발명의 필요한 특징의 모두를 열거한 것은 아니고, 이러한 특징군의 서브콤비네이션(sub-combination)도 또한 발명이 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연신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하기의 효과가 얻어진다.
(1) 굽음이 적은 모재 로드가, 정상적이고 고율로 얻어지고, 유리 선반을 이용한 굽음 수정 공정이 줄어들어 모재 로드의 제조비용을 내릴 수가 있다.
(2) 모재 로드를 인출하는 핀치 롤러를, 종래의 압축 세라믹 파이버제로부터, 표면에 내열성 직포를 감은 금속제로 변경함으로써 고온의 모재 로드에 의한 핀치 롤러의 소실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비교적 단기간에서의 교환을 필요로 하는 핀치 롤러의 교환이 불필요하게 되어, 핀치 롤러의 표면에 감은 내열성 직포만을 소모품으로서 교환하는 것만으로 되어, 연신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한편 절전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3) 모재 로드를 인출하는 핀치 롤러를, 종래의 압축 세라믹 파이버제로부터, 표면에 내열성 직포를 감은 금속제로 변경하고, 동시에 핀치 롤러의 부착축을 기준 단면 부착 비테이퍼 축(untapered shaft)으로 하여, 기준 단면에서 핀치 롤러의 부착 위치를 정함으로써, 핀치 롤러의 롤러 홈의 위치가 일의적으로 정해지고, 핀치 롤러 교환시에 불가결하였던 위치 조정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연신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한편 절전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4) 고온의 모재 로드를 인출하는 금속제 핀치 롤러의 롤러 홈의 표면에 내열성 직포를 감음으로서, 핀치 롤러와 모재 로드가 직접 접촉하여 모재 로드의 표면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열성 직포는, 얇기 때문에 핀치 롤러의 표면에 설치된 홈의 형상 정밀도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고, 또, 정기 교환을 필요로 하는 소모품이지만,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핀치 롤러의 냉각 효과에 의해 실용상 충분한 수명 시간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재 잉곳의 연신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로 (a)는 정면도, (b)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핀치 롤러의 확대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연신 장치의 위치 조정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모재 잉곳(ingot)
2 부착부
3 전기로
4 이송 장치
5 가열 히터
6, 6 핀치 롤러
7 모재 로드
8 비테이퍼 축(untapered shaft)
9 기준 단면
10 구동 장치
11, 11 롤러 홈(roller groove)
12 위치 결정 테이블
13 내열성 직포
14 밴드(band)
15 볼트(bolt)
16, 18 치구
17 수선(垂線)
이하, 발명의 실시 형태를 통해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이하의 실시 형태는 청구의 범위와 관련되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또 실시 형태 중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의 모두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이라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직경 축소된 모재 로드를 전기로 등의 출구로부터 핀치 롤러를 이용하여 인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핀치 롤러의 표면에 모재 로드를 안정적으로 끼우기 위한 요형(凹型)의 롤러 홈을 가지는 한 벌의 금속제 핀치 롤러를, 위치 미세조정 테이블 상에 비테이퍼 축(untapered shaft)에 설치한 기계적인 기준면을 통해 고정밀도로 부착하고, 한편 모재 로드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핀치 롤러와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서, 핀치 롤러의 표면에 내열 재료로 이루어지는 직포를 감아 고정하고 있다. 또, 전기로 등으로는 가열 히터를 열원으로 하는 전기로나 버너 화염을 열원으로 하는 가열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핀치 롤러를, 미리 전기로 등의 발열체의 중심축과 한 벌의 핀치 롤러의 주면에 설치된 롤러 홈에 의해 형성되는 홈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모재 잉곳을 전기로 등에 이송해 넣기 위한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위치 조정함으로써, 모재 잉곳이 모재 로드로 직경 축소되는 가열 연화부에 대해서, 핀치 롤러로부터의 굽힘 모멘트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굽음이 적은 모재 로드의 연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도 1~3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2에 나타내는 관통 종형(縱型)의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모재 잉곳을 연신하였다. 또, 도 1(a)은 정면도이고, 도 1(b)은 측면도이다. 파선으로 나타난 모재 잉곳(1)은, 부착부(2)로 파지되어 전기로(3) 내에 수하되고, 이송 장치(4)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전기로(3) 내에 이송해 넣어지고, 가열 히터(5)에 의해 가열되고 연화한다. 연화한 모재 잉곳(1)은, 전기로(3)의 하방에 설치된 한 벌의 금속제 핀치 롤러(6, 6)에 의해 그 하단이 끼워 넣어지고, 모재 잉곳(1)의 이송해 넣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인출됨으로써, 모재 잉곳보다 직경 축소된 모재 로드(rod)(7)로 된다.
핀치 롤러(6)은, 기준 단면 부착 비테이퍼 축(untapered shaft)(8)에 감합한 상태로, 비테이퍼 축(untapered shaft)(8)의 기준 단면(9)에 꽉 눌러 고정되고, 비테이퍼 축(untapered shaft)(8)을 통해 구동 장치(10)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핀치 롤러(6)의 주면에는, 모재 로드(7)을 안정하게 확실히 파지하기 위해서, 한 벌의 핀치 롤러(6, 6)의 대향하는 주면에 각각 요형의 롤러 홈(11, 11), 예를 들면, 모재 로드의 외경보다 큰 곡률 반경으로 구성된 롤러 홈, 또는 직선으로 구성된 V자 모양의 롤러 홈이 설치되어 있다. 모재 로드(7)는, 이 대향하는 롤러 홈(11)의 중앙에서 필요한 위치 정밀도를 유지하여 파지되고 인출된다.
롤러 홈(11)의 표면에는, 모재 로드(7)와 핀치 롤러(6)의 직접 접촉에 의해, 모재 로드(7)에 생기는 상처를 방지하기 위해서, 내열성 직포가 나사, 밴드(band) 등의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감겨져 고정되어 있다(도 2, 참조). 내열성 직포의 두께는 얇기 때문에, 이에 의해 롤러 홈(11)의 형상 정밀도가 흐트러지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동 장치(10)는, 위치 미세조정 장치, 예를 들면, XY 2축 방향의 위치 결정 테이블(12) 상에 설치되어 있고, 위치 결정 테이블(12)에 의해, 한 벌의 핀치 롤러(6, 6)의 대향하는 롤러 홈(11, 11)에 형성되는 홈 중심의 위치를, 가열 히터(5)의 중심을 지나는 모재 잉곳(1)의 중심축에 맞출 수가 있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핀치 롤러의 확대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핀치 롤러(6)의 주면에는, 모재 로드의 직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롤러 홈(11)이 설치되고, 그 표면에 내열성 직포(13)가 감겨지고, 밴드(14)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핀치 롤러(6)는 비테이퍼 축(untapered shaft)(8)의 기준 단면(9)에, 볼트(15)에 의해 꽉 눌러 고정되어 있다. 그 결과, 핀치 롤러(6)는 모재 로드(7)를 구부림 없게 연신하는데 필요한 정밀도로 위치 결정되고, 롤러 홈(11)의 효과와 합하여 모재 로드 연신에 의한 굽음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모재 로드를 보유할 수가 있다. 또, 비테이퍼 축(untapered shaft)(8)은, 도시하고 있지 않은 서보모터(servo-motor)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모재 로드의 연신에 필요한 구동 토크(torque)가 핀치 롤러(6)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신 장치의 위치 조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모재 잉곳의 부착부(2)는, 수평면에서 직교 2축 방향으로 위치의 미세조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부착부(2)로부터 선단에 중추가 부착된 수선(17)을, 모재 잉곳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가열 히터(5)의 중심 위치를 나타내는 치구(18)의 중심에 설치된 작은 구멍의 중심을 올바르게 통과하도록 부착부(2)의 위치를 미세조정한다.
다음에, 핀치 롤러(6)의 위치 맞춤은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한 벌의 핀치 롤러(6, 6) 상에 롤러 홈의 중심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치구(16)를 얹고, 치구(16)의 원통부를 양쪽 핀치 롤러(6, 6)의 대향하는 롤러 홈에 안정적으로 파지시킴으로써, 롤러 홈의 중심 위치(홈 중심)이 얻어진다. 그리고, 수선(17)의 중추의 선단이 치구(16)의 중심 위치에 오도록, 위치 결정 테이블(12)에 의해 직교 2축 방향으로의 위치 조정을 행한다. 혹은, 연신하여 얻으려고 하는 모재 로드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의 단척 로드를 준비하고, 이를 한 벌의 핀치 롤러(6, 6)로 보유하고, 수선(17)의 중추의 선단이 단척 로드의 중심점에 오도록 맞추어도 좋다.
이에 의해, 부착부(2)에 장착된 모재 잉곳은, 가열 히터(5)의 중심과 한 벌의 핀치 롤러(6, 6)의 대향하는 롤러 홈에 형성되는 홈 중심을 지나는 축에 평행하게 로 내에 이송해 넣어지고, 모재 로드의 가열 연화부에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모재 로드의 굽음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한 벌의 핀치 롤러(6, 6)에 형성되는 롤러 홈의 홈 중심과 가열 히터(5)의 중심선을 일치시키는 방법은, 상기 치구나 수선에 의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선 대신에 레이저 광선을 이용하고, 치구(16)를 대신하여 수광 센서를 설치하는 방법을 채용하여도 좋다.
이상, 실시 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의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할 수가 있다. 그러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 청구의 범위의 기재로부터 분명하다.
본 발명의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에 의하면, 유리 선반을 이용한 굽음 수정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모재 로드의 제조비용을 내릴 수가 있다. 또한, 모재 로드의 연신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하고, 한편 절전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20)

  1. 모재 잉곳을 전기로 등으로 가열 연화시키고, 한 벌의 핀치 롤러에 의해 인출하고, 보다 소경의 모재 로드로 연신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에 있어서,
    모재 로드의 외경보다 큰 곡률 반경으로 구성된 롤러 홈, 또는 직선으로 구성된 V자 모양의 롤러 홈을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핀치 롤러의 주면에 설치하고,
    한 벌의 이 핀치 롤러의 대향하는 롤러 홈으로 모재 로드를 끼워 넣어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
  2. 모재 잉곳을 전기로 등으로 가열 연화시키고, 한 벌의 핀치 롤러에 의해 인출하고, 보다 소경의 모재 로드로 연신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에 있어서,
    이 핀치 롤러를 연신 방향과 평행한 위치 결정용 기준 단면을 가지는 비테이퍼 축(untapered shaft)의 이 기준 단면에 꽉 눌러 비테이퍼 축(untapered shaft)에 감합 고정하고,
    한 벌의 이 핀치 롤러의 대향하는 양쪽 주면에 설치된 롤러 홈에 형성되는 홈 중심의 위치를, 이 핀치 롤러를 지지하는 위치 미세조정 장치로 미세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신하여 얻으려고 하는 모재 로드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의 단척 로드를 한 벌의 핀치 롤러로 보유하고, 한편 모재 잉곳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전기로 등의 발열체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이 이 단척 로드의 중심점을 통과하도록 레이저 광선 또는 중추의 수선을 이용하여, 이 핀치 롤러를 지지하는 위치 미세조정 장치의 위치를 미세조정하고, 이 핀치 롤러의 위치 결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한 벌의 핀치 롤러 위에 상부 기판과 원통부로 이루어지는 치구를 얹고, 이 원통부를 핀치 롤러로 보유하고, 모재 잉곳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전기로 등의 발열체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이 이 치구의 중심 위치에 오도록 레이저 광선 또는 중추의 수선을 이용하여, 이 핀치 롤러를 지지하는 위치 미세조정 장치의 위치를 미세조정하고, 이 핀치 롤러의 위치 결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
  5. 모재 잉곳을 전기로 등으로 가열 연화시키고, 한 벌의 핀치 롤러에 의해 인출하고, 보다 소경의 모재 로드로 연신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장치에 있어서,
    이 핀치 롤러가, 재질이 금속이고, 모재 로드의 외경보다 큰 곡률 반경으로 구성된 롤러 홈, 또는 직선으로 구성된 V자 모양의 롤러 홈을 이 핀치 롤러의 주면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장치.
  6. 모재 잉곳을 전기로 등으로 가열 연화시키고, 한 벌의 핀치 롤러에 의해 인출하고, 보다 소경의 모재 로드로 연신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장치에 있어서,
    이 핀치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비테이퍼 축(untapered shaft)에, 연신 방향과 평행한 위치 결정용 기준 단면을 설치하여 이 핀치 롤러의 위치 결정을 행하고, 한편 이 비테이퍼 축(untapered shaft)의 위치를 위치 결정 테이블 등의 수단에 의해 미세조정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이 핀치 롤러의 표면에 내열 재료로 이루어지는 직포가, 이 핀치 롤러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모재 로드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서 감겨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핀치 롤러와 모재 잉곳의 부착부를, 전기로 등의 중심축과 한 벌의 핀치 롤러의 주면에 설치된 롤러 홈에 의해 형성되는 홈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모재 잉곳을 전기로 등에 이송해 넣기 위한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전기로 등의 중심축에 수직인 면에서 직교 2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핀치 롤러의 표면에 모재 로드를 안정적으로 끼우기 위한 요형(凹型)의 롤러 홈을 가지는 한 벌의 핀치 롤러를, 위치 미세조정 테이블 상에 비테이퍼 축(untapered shaft)에 설치한 기계적인 기준면을 통해 부착하고, 핀치 롤러의 표면에 내열 재료로 이루어지는 직포를 감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핀치 롤러를, 전기로 등의 중심축과 한 벌의 핀치 롤러의 주면에 설치된 롤러 홈에 의해 형성되는 홈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모재 잉곳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위치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모재 로드의 외경보다 큰 곡률 반경으로 구성된 롤러 홈, 및 직선으로 구성된 V자 모양의 롤러 홈을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핀치 롤러의 주면에 설치하고, 한 벌의 이 핀치 롤러의 대향하는 롤러 홈으로 모재 로드를 끼워 넣어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핀치 롤러를, 전기로 등의 중심축과 한 벌의 핀치 롤러의 주면에 설치된 롤러 홈에 의해 형성되는 홈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모재 잉곳을 전기로 등에 이송해 넣기 위한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위치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
  13. 제5항에 있어서,
    핀치 롤러와 모재 잉곳의 부착부를, 전기로 등의 중심축과 한 벌의 핀치 롤러의 주면에 설치된 롤러 홈에 의해 형성되는 홈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모재 잉곳을 전기로 등에 이송해 넣기 위한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전기로 등의 중심축에 수직인 면에서 직교 2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핀치 롤러의 표면에 모재 로드를 안정적으로 끼우기 위한 요형(凹型)의 롤러 홈을 가지는 한 벌의 핀치 롤러를, 위치 미세조정 테이블 상에 비테이퍼 축(untapered shaft)에 설치한 기계적인 기준면을 통해 부착하고, 핀치 롤러의 표면에 내열 재료로 이루어지는 직포를 감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핀치 롤러를, 전기로 등의 중심축과 한 벌의 핀치 롤러의 주면에 설치된 롤러 홈에 의해 형성되는 홈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모재 잉곳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위치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핀치 롤러는, 기준 단면 부착 비테이퍼 축(untapered shaft)에 감합한 상태로, 비테이퍼 축의 기준 단면에 꽉 눌러 고정되고, 비테이퍼 축을 통해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핀치 롤러의 주면에는, 한 벌의 핀치 롤러의 대향하는 주면에 각각 요형의 롤러 홈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장치.
  17. 제5항에 있어서,
    롤러 홈의 표면에는, 모재 로드와 핀치 롤러의 직접 접촉이 없도록, 내열성 직포가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감겨져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장치.
  18. 제5항에 있어서,
    핀치 롤러의 롤러 홈이 모재 로드의 외경보다 큰 곡률 반경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장치.
  19. 제5항에 있어서,
    직선으로 구성된 V자 모양의 롤러 홈을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핀치 롤러의 주면에 설치하고, 한 벌의 이 핀치 롤러의 대향하는 롤러 홈으로 모재 로드를 끼워 넣어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장치.
  20. 제6항에 있어서,
    핀치 롤러를, 전기로 등의 중심축과 한 벌의 핀치 롤러의 주면에 설치된 롤러 홈에 의해 형성되는 홈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모재 잉곳을 전기로 등에 이송해 넣기 위한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위치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모재의 연신 장치.
KR1020067013823A 2004-01-14 2005-01-12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 및 장치 KR101153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06878 2004-01-14
JPJP-P-2004-00006878 2004-01-14
JP2005002763A JP2005225749A (ja) 2004-01-14 2005-01-07 光ファイバ母材の延伸方法及び装置
JPJP-P-2005-00002763 2005-01-07
PCT/JP2005/000257 WO2005068384A1 (ja) 2004-01-14 2005-01-12 光ファイバ母材の延伸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574A KR20060118574A (ko) 2006-11-23
KR101153563B1 true KR101153563B1 (ko) 2012-06-14

Family

ID=34797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823A KR101153563B1 (ko) 2004-01-14 2005-01-12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54157B2 (ko)
JP (1) JP2005225749A (ko)
KR (1) KR101153563B1 (ko)
CN (1) CN1910120A (ko)
TW (1) TW200538410A (ko)
WO (1) WO2005068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1857B2 (ja) * 2005-01-28 2010-06-0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ガラス母材延伸用ピンチローラー
DK1963233T3 (da) * 2005-12-23 2014-07-07 Prysmian Spa Fremgangsmåde og indretning til fremstilling af optiske fibre med formindsket polarisationsmodusdispersion
US7682089B2 (en) * 2007-08-15 2010-03-23 Rohlen Brooks H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probe
US9272442B2 (en) * 2012-12-31 2016-03-01 Sunedison, Inc. Methods for aligning an ingot with mounting block
US9950402B2 (en) 2012-12-31 2018-04-24 Corner Star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an ingot with mounting block
JP5924788B2 (ja) * 2014-10-30 2016-05-2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ガラス母材の延伸装置
ITUB20155218A1 (it) * 2015-10-16 2017-04-16 Alberto Micco Sistema per guidare dispositivi medici
KR101796705B1 (ko) * 2015-10-26 2017-12-01 주식회사 토비스 진동에 의한 광섬유 플레이트 제조장치 및 광섬유 플레이트 제조방법
CN112934991B (zh) * 2021-01-28 2022-09-30 苏州宇盛电子有限公司 一种电缆制造方法
DE102021102887B3 (de) * 2021-02-08 2022-04-21 Schölly Fiberoptic GmbH Kupplungsvorrichtung für Lichtleit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5451A (en) 1978-12-12 1982-08-24 Marshall Richards Barcro Limited Wire drawing method and apparatus
US4386513A (en) 1980-02-12 1983-06-07 Secim Method of production of metal wires
US4594872A (en) 1984-10-30 1986-06-17 Nordlof Richard D Apparatus for straightening strip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0362A (en) * 1964-01-07 1966-05-10 George A Mitchell Workpiece handling apparatus
JPS607563B2 (ja) * 1981-01-21 1985-02-26 日本鋼管株式会社 多段鋼管圧延機の芯出し方法
JPS6188916A (ja) * 1984-10-09 1986-05-07 Sumitomo Metal Ind Ltd 連続ダイレス伸線装置
US4650380A (en) * 1985-07-23 1987-03-17 Kalt Manufacturing Company Wire shaving apparatus
JPS62167236A (ja) 1986-01-16 1987-07-23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アイバ母材延伸装置
US5248656A (en) * 1987-04-06 1993-09-28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of making superconductor wires, or capillaries
JPH09202636A (ja) 1996-01-19 1997-08-05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母材の延伸装置
JP3864463B2 (ja) 1996-09-06 2006-12-2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延伸方法
JPH10310443A (ja) 1997-05-09 1998-11-24 Sumitomo Electric Ind Ltd ファイバ用母材の延伸装置
JP3437480B2 (ja) 1999-03-12 2003-08-1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ガラス母材延伸装置の調整方法
JP4395224B2 (ja) 1999-10-22 2010-01-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製造方法、プリフォーム製造方法、及びプリフォーム製造装置
JP2003238185A (ja) 2002-02-14 2003-08-27 Fujikura Ltd ガラス母材の延伸加工方法及びその延伸加工装置
US6694584B1 (en) * 2002-08-02 2004-02-24 Rockford Manufacturing Group, Inc. Quick set up wire descal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5451A (en) 1978-12-12 1982-08-24 Marshall Richards Barcro Limited Wire drawing method and apparatus
US4386513A (en) 1980-02-12 1983-06-07 Secim Method of production of metal wires
US4594872A (en) 1984-10-30 1986-06-17 Nordlof Richard D Apparatus for straightening strip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10120A (zh) 2007-02-07
WO2005068384A1 (ja) 2005-07-28
TW200538410A (en) 2005-12-01
US7854157B2 (en) 2010-12-21
US20070163302A1 (en) 2007-07-19
JP2005225749A (ja) 2005-08-25
KR20060118574A (ko)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563B1 (ko)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 및 장치
KR100551100B1 (ko) 광파이버 제조 방법, 프리폼 제조 방법 및 프리폼 제조 장치
US20090308106A1 (en) Electric furnace extension method and extension apparatus for optical fiber glass preform
EP26602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ongating glass rod material
KR20110120826A (ko) 유리 시트를 연속의 유리 리본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
US20150007616A1 (en) Glass base material elongating method
JP5398026B2 (ja) ガラス母材の延伸方法及び装置
CN101679098B (zh) 通过拉长石英玻璃的中空圆筒而生产石英玻璃管的方法
US94580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amping a spinning preform and reducing the vibration of twisted optical fiber from a spinning preform
WO2005056487A1 (ja) 光ファイバ母材の延伸方法および延伸装置
EP124554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ongating optical fiber preform
JP4395224B2 (ja) 光ファイバ製造方法、プリフォーム製造方法、及びプリフォーム製造装置
WO2013009293A1 (en) Wire pulling rolls for use in glass manufacturing processes and glass manufacturing processes incorporating the same
US20130205833A1 (en) Glass base material elongating method
KR101120730B1 (ko)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
JP3151387B2 (ja) 光ファイバ母材の製造方法
JP3529264B2 (ja) 光ファイバ用ガラス母材の電気炉延伸方法と延伸装置
JP2004035404A (ja) 光ファイバ用ガラス母材の電気炉延伸方法と延伸装置
KR100345357B1 (ko) 테이퍼가 붙은 홈을 가진 석영유리관 및 그것을 사용한 광파이버용 모재의 제조방법
JP3151386B2 (ja) 光ファイバ母材の製造方法
JP4496012B2 (ja) 光ファイバ用ガラス母材の製造方法
JP2015083535A (ja) ガラス母材の延伸装置
CN118084309A (zh) 一种圆弧形石英板的自动化生产设备及其加工方法
JP2022116706A (ja) ガラス母材の延伸方法
JP2006001758A (ja) ガラス体連続製造装置及びガラス体連続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