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879B1 -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 - Google Patents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879B1
KR101152879B1 KR1020100019579A KR20100019579A KR101152879B1 KR 101152879 B1 KR101152879 B1 KR 101152879B1 KR 1020100019579 A KR1020100019579 A KR 1020100019579A KR 20100019579 A KR20100019579 A KR 20100019579A KR 101152879 B1 KR101152879 B1 KR 101152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grating
composite
resin mixture
silica sand
grating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532A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100019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879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6Non-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29C70/82Forcing wires, nets or the like partially or completely into the surface of an article, e.g. by cutting and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29C70/8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by moulding material on preformed parts to be join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2~9 중량부 및 안료 0.3~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수지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지 혼합물에 규사 90~97 중량부를 침지시키는 단계; 상기 수지에 대해 0.2~2.5 중량부의 경화제를 상기 규사-수지 혼합물에 혼합하는 단계; 상기 규사-수지 혼합물을 스틸 그레이팅의 격판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투입시키는 단계; 상기 규사-수지 혼합물을 상기 스틸 그레이팅의 외면에 대해 평탄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규사-수지 혼합물을 경화시켜 상기 스틸 그레이팅에 고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와,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일단이 인도측에 결합하고 타단이 차도측에 안착되도록 위하여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일단에 장착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을 인도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MANUFACTURING METHOD OF STEEL GRATING COMPOSITE AND AN ANGLE-PARKING FACILITY USING THE COMPOSITE}
본 발명은 스틸 그레이팅의 제조방법 및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틸 그레이팅에 빗물 등의 유체는 투과시키고 오물은 여과시킬 수 있는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제조함과 아울러, 이러한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개구리 주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틸 그레이팅은 차도변이나 공장, 공원, 빌딩, 선박, 주택, 인도등의 하수(下水), 오수(汚水), 우수(雨水)가 많이 모이는 배수관 또는 환기덕트 상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안전보행과 차량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각종의 오수, 우수가 원활하게 하수 처리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홈 대체용 집, 배수구 뚜껑용으로써 사용되며, 주로 자동차와 같은 큰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강도가 우수한 금속성의 재질,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또는 주철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스테인레스 또는 주철 등의 스틸 그레이팅은 설치장소를 고려하여 다양한 규격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차도변에 제공되는 빗물의 집수구 상에 설치되는 소형의 스틸 그레이팅을 포함하여, 지하철의 환기덕트에 설치되는 대형의 스틸 그레이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틸 그레이팅은 대개가 배수관로의 형상을 따라 직사각 및 정사각의 외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내면에는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다수 개의 격판이 격자모양으로 결합되어 용접된다.
이러한 스틸 그레이팅은 강도가 비교적 우수하고 비교적 저렴하며 배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용도 이외에 개구리 주차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스틸 그레이팅을 개구리 주차용으로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틸 그레이팅(1)의 일단에는 결합판(4)을 장착하여 인도측(5)에 설치하고 타단은 차도측(6)에 안착시킨다. 이렇게 스틸 그레이팅(1)으로 제작되는 개구리 주차대는 차량이 인도(5)에 승하강할 때 차량의 진출입을 지지하여 주차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주차 공간이 협소한 지역에서 주차 공간의 확보에 큰 역할을 수행한다.
그런데 종래의 스틸 그레이팅을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스틸 그레이팅(1)은 배수 기능이 우수하지만, 배수를 위한 격판(2) 사이의 공간(셀)(3)으로는 차도(6)나 인도(5)에서 흙, 쓰레기, 낙엽 등과 같은 오물(8)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틸 그레이팅(1)의 하부에는 쓰레기 등의 오물(8)이 쌓임으로써 도시 미관을 훼손함과 아울러, 스틸 그레이팅(1)의 배수 기능을 저감시켜 우천시 차도측(6)에서 유입되는 물이 배수되지 않아 차도(6)에 물이 고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스틸 그레이팅(1)과 결합판(4)을 미리 결합하여 현장 시공하게 되면, 차도(6)와 인도(5)의 높이차가 모든 구간에서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스틸 그레이팅(1)이 차도(6)에 안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 경우 해당 부분을 위해 스틸 그레이팅(1)과 결합판(4)을 다시 결합해야 하는 불편이 발생하거나, 이를 미쳐 발견하지 못하게 되면 차량의 하중에 의해 스틸 그레이팅(1)과 결합판(4)의 결합이 파괴되어 결국 개구리 주차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틸 그레이팅의 배수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흙이나 생활 쓰레기와 같은 오물을 여과시킬 수 있는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개구리 주차용 스틸 그레이팅의 구조에 투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안전성을 도모하고 빗물 등의 물은 배수시키되 흙이나 생활 쓰레기와 같은 오물을 여과시키는 미려한 외관의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격판으로 물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채용하여 우천시 차도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신속하게 배수할 수 있는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구리 주차대의 시공시 인도에 설치되는 결합판에 대해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가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함으로써 노면의 높이가 불규칙한 차도에서도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2~9 중량부 및 안료 0.3~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수지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지 혼합물에 규사 90~97 중량부를 침지시키는 단계; 상기 수지에 대해 0.2~2.5 중량부의 경화제를 상기 규사-수지 혼합물에 혼합하는 단계; 상기 규사-수지 혼합물을 스틸 그레이팅의 격판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투입시키는 단계; 상기 규사-수지 혼합물을 상기 스틸 그레이팅의 외면에 대해 평탄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규사-수지 혼합물을 경화시켜 상기 스틸 그레이팅에 고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와,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일단이 인도측에 결합하고 타단이 차도측에 안착되도록 위하여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일단에 장착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을 인도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격판 하단에는, 상기 규사-수지 혼합물을 지지하도록 상기 격판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에서 차도측에 안착되는 격판의 하단에는, 차도측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배수를 위하여 관통되는 배수공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와 결합판은,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가 상기 결합판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스틸 그레이팅의 배수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흙이나 생활 쓰레기와 같은 오물을 여과시킬 수 있어, 우천시의 빗물 등과 같은 유체의 배수는 원활하게 하여 물고임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오물이 하부에 쌓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미관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에 의하면, 기존의 개구리 주차용 스틸 그레이팅의 구조에 투수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안전성을 도모하고 빗물 등의 물은 배수시키되 흙이나 생활 쓰레기와 같은 오물을 여과시켜, 차도에 물고임 현상으로 인한 차량의 진행 방해 및 인차도의 물튀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오물이 하부에 쌓임에 따른 미관 훼손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격판으로 물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채용하여 우천시 차도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신속하게 배수할 수 있어 보다 향상된 배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리 주차대의 시공시 인도에 설치되는 결합판에 대해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가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함으로써 노면의 높이가 불규칙한 차도에서도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어, 현장 시공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틸 그레이팅의 격판 하단에 지지판을 설치하여 장기간 사용시나 과적 차량의 통과시에도 투수층의 탈락을 방지하여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성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스틸 그레이팅을 개구리 주차용으로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는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2~9중량부 및 안료 0.3~0.5중량부를 혼합하여 수지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로부터 개시된다.
본 단계에서 사용되는 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반응성 모노머(주로 스티렌 모노머) 중에 용해시킨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저점도의 액상수지이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주쇄에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폴리머로서 다염기산인 불포화산을 다가 알코올과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얻어진다. 상기 반응성 모노머는 경화시 라디칼 반응에 의해 연쇄적인 중합을 일으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3차원적인 가교 망상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3차원 구조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뛰어난 내열성, 내식성을 갖게 되며 불용성인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변하게 된다. 현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대부분 섬유강화 플라스틱(FRP)의 매트릭스로 사용되고 있으며, 건설자재, 수송기구, 전기재료 등 많은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다음의 침지 단계에서 사용되는 규사와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며 색변화가 없다.
상기 반응성 모노머의 또 다른 역할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희석시켜 점도를 감소시키는 용제로서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대신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수지 또는 우레탄 바인더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안료는 최종 스틸 그레이팅의 격판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셀)의 색상을 결정하는 것으로 설치할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통상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다. 예를 들면, 상기 안료의 색은 주변의 녹지 공간과 어울리도록 녹색으로 선택될 수도 있고, 인도의 보도블록의 색상과 맞추어 선택될 수도 있다(단계 S10).
수지 혼합물을 생성하면, 다음 단계로서 상기 수지 혼합물에 규사 90~97중량부를 5~10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여기서 사용되는 규사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내에서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보강재로서 또한 균열을 방지하는 충전재로서 첨가된다.
규사는 실리카(SiO2) 샌드(silica sand)라고도 하며 크기(메쉬)에 따라 '호사'로 표시되고, 각 제조업체별로 규정된 다양한 규격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경이 5~6㎜(예를 들면 1호사)인 규사를 사용하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황에 따라 직경이 보다 작은 2호사, 3호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침지 시간은 사용되는 규사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규사를 사용하는 경우 침지 시간이 증가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규사 1호사를 사용하였으므로 5~10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직경이 다른 규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침지 시간이 증가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규사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해 다량 사용하는 이유는 최종 경화물 중 규사 입자 사이에 공극을 제공함으로써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가 빗물과 같은 물은 투과시키고 오물 등은 여과시키는 필터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단계 S20).
다음으로, 상기 수지에 대해 0.2~2.5 중량부의 경화제를 상기 규사-수지 혼합물에 혼합한다. 이때 경화제는 상기 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내 반응성 모노머의 중합을 유도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가교화를 일으키는 성분으로, 크게 열경화제와 광경화제로 분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경화제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경화제의 중량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수지에 대해 0.2~2.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경화제의 첨가량에 따라 전체 작업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화제의 첨가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면 작업시간은 빨라지나 급격한 경화에 따른 고형화로 공정을 제어하기가 곤란한 반면, 첨가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면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단계 S30).
다음으로, 상기 규사-수지 혼합물을 스틸 그레이팅의 격판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셀)에 투입시킨다.
여기서 사용되는 스틸 그레이팅의 규격은 크게 한정되지 않으며 현재 제조업체가 시판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설치 장소에 따라 규격을 적절히 변경하여 주문 생산할 수도 있다(단계 S40).
그 다음으로, 상기 규사-수지 혼합물을 상기 스틸 그레이팅의 외면에 대해 평탄화시킨다. 즉, 본 단계는, 상기 규사-수지 혼합물이 스틸 그레이팅의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공간에 투입된 규사-수지 혼합물을 제거하여 스틸 그레이팅의 외면과 동일하게 처리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규사-수지 혼합물은 평탄화되는 과정에서 상기 공간 내부로 함몰된 형태가 되어도 무방하다(단계 S50).
마지막으로, 평탄화된 규사-수지 혼합물을 경화시켜 상기 스틸 그레이팅에 고형화시킨다. 이때 고형화는, 가열 또는 실내광(또는 태양광) 등에 의해 상기 규사-수지 혼합물의 경화를 각 셀 내부에서 진행한다. 그리고 고형화 시간은 대략 30~60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단계 S60).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는 다양한 용도로 현장 시공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에서는 규사-수지 혼합물이 투수층으로 됨과 아울러, 흙이나 생활 쓰레기 등의 오물에 대한 여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용도의 예로는,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될 개구리 주차용 외에, 가로수 보호판용, 냄새 저감용, 학교 외벽용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고형화된 규사-수지 혼합물을 투수층으로 칭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개구리 주차대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와 결합판(40) 및 고정수단(50)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는 차량이 차도(70)와 인도(60) 간의 높이차를 극복하면서 인도로 올라설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인도(60)와 차도(70)간에 대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의 개수는 개구리 주차대의 설치면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는 집수구(80) 상단에 설치된 스틸 그레이팅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판(40)은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의 일단이 인도(60)에 결합되게 한다. 즉,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 위로 차량이 진행할 때 차량의 하중을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의 타단이 차도면(70)에 의해 지지되고 일단이 상기 결합판(40)에 의해 인도(60)의 경계석(61) 등에 지지되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판(40)에는 고정수단(50)이 장착된다. 즉, 고정수단(50)은 상기 결합판(40)을 인도측에 고정시킴으로써 차량의 하중이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에 가해져도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가 차량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고정수단(50)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볼트가 사용된다.
그리고 만일 차도면에 돌출된 턱(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 상기 턱에 의해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가 차도측(70)으로 밀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현장에서는 고정수단(50)으로 결합판(40)을 고정시키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은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를 설치하게 되면, 빗물과 같은 유체는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투수층(20)을 통과하여 배수됨과 아울러, 휴지 등과 같은 오물은 상기 투수층(20)에 걸려 투과가 방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우천시 빗물 등의 배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오물이 스틸 그레이팅의 하부에 쌓임에 따른 배수 방해 및 환경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의 격판(11) 하단에 상기 격판(11)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셀)(13)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판(15)이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15)은 상기 격판(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격판(11)에 용접 등으로 부착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판(15)은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에 차량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 상기 공간(13)으로부터 투수층(20)이 하부로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개구리 주차대를 장기간 사용하거나, 과적 차량에 의해 설계 하중 이상의 하중을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에서 받아 스틸 그레이팅(10)이 휘어지는 경우에도, 투수층(20)이 상기 공간(13)에 유지될 수 있어 투수층(20)에 의한 배수 기능 및 오물 침투 방지 기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4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에서 차도측에 안착되는 격판(11)의 하단에 다수개의 배수공(17)이 형성된다. 이는 차도측(70)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배수공(17)을 통하여 집수구(80)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의 투수층(20)에 의해 유체의 배수가 가능하다. 하지만, 차도측(70)에서 유입되는 유체는 스틸 그레이팅(10)의 격판(11)에 의해 일시적으로 고이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 차도측(70)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신속하게 배수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공(17)이 형성되는 것이다.
배수공(17)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 등의 유체는 투수층(20)을 통과하여 집수구(80)로 유입되므로, 상기 격판(11)에 의한 차도측에 물고임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제5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와 결합판(40)이 힌지 결합(41)에 의해 연결된다. 이는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가 결합판(4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차도측(70)에 대한 인도측(60)의 높이는 모든 구간에서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가 결합판(40)에 결합된 상태로 현장 시공을 하게 되면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의 타단이 차도면에 밀착되지 않게 되고, 반대로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와 결합판(40)을 현장에서 조립하면 구간별로 높이의 변화에 따라 시공할 수 있지만, 현장 시공 시간이 많이 소요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와 결합판(40)을 미리 결합하되, 힌지 결합(41)에 의해 상기 결합판(40)에 대해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가 회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결합판(40)을 인도측(60)에 고정수단(50)에 의해 고정하면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는 회동하여 자연스럽게 차도측(70)에 안착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때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와 결합판(40)의 힌지 결합 방식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된 상태의 결합판(40)과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30)와의 간극(43)을 제거하여 차량의 승하강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간극(43)에 본 발명에 따른 규사-수지 혼합물을 채워 넣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규사-수지 혼합물을 충진하면, 힌지 결합된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회동이 제한되어 차량의 승하강시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스틸 그레이팅 11 : 격판
13 : 공간(셀) 15 : 지지판
17 : 배수공 20 : 투수층
30 :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 40 : 결합판
41 : 힌지 결합 43 : 간극
50 : 고정수단 60 : 인도
61 : 경계석 70 : 차도
80 : 집수구

Claims (5)

  1. 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2~9 중량부 및 안료 0.3~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수지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지 혼합물에 규사 90~97 중량부를 침지시키는 단계;
    상기 수지에 대해 0.2~2.5 중량부의 경화제를 상기 규사-수지 혼합물에 혼합하는 단계;
    상기 규사-수지 혼합물을 스틸 그레이팅의 격판에 의해 구획되고 상하부로는 관통되는 공간에 투입시키는 단계;
    상기 규사-수지 혼합물을 상기 스틸 그레이팅의 외면에 대해 평탄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규사-수지 혼합물을 경화시켜 상기 스틸 그레이팅에 고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와,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일단이 인도측에 결합하고 타단이 차도측에 안착되도록 위하여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일단에 장착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을 인도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격판 하단에는, 상기 규사-수지 혼합물을 지지하도록 상기 격판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에서 차도측에 안착되는 격판의 하단에는, 차도측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배수를 위하여 관통되는 배수공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와 결합판은, 상기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가 상기 결합판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
KR1020100019579A 2010-03-04 2010-03-04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 KR101152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579A KR101152879B1 (ko) 2010-03-04 2010-03-04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579A KR101152879B1 (ko) 2010-03-04 2010-03-04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532A KR20110100532A (ko) 2011-09-14
KR101152879B1 true KR101152879B1 (ko) 2012-06-12

Family

ID=4495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579A KR101152879B1 (ko) 2010-03-04 2010-03-04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8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750A (ko) * 2017-09-18 2019-03-27 신인범 개구리 주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925B1 (ko) * 2019-04-01 2020-01-17 김창석 토목용 조성물을 이용한 배수시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8531A (ko) * 1993-01-27 1994-08-18 미쓰바야시 요시히꼬 투수성경관의 도랑뚜껑
KR20060084965A (ko) * 2005-01-21 2006-07-26 주식회사 유레카특수화학 바닥재용 블록과 그 제조방법
KR100924530B1 (ko) 2009-04-24 2009-11-02 (주)성지토목기술공사 주행차량에 안전을 제공하는 배수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8531A (ko) * 1993-01-27 1994-08-18 미쓰바야시 요시히꼬 투수성경관의 도랑뚜껑
KR20060084965A (ko) * 2005-01-21 2006-07-26 주식회사 유레카특수화학 바닥재용 블록과 그 제조방법
KR100924530B1 (ko) 2009-04-24 2009-11-02 (주)성지토목기술공사 주행차량에 안전을 제공하는 배수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750A (ko) * 2017-09-18 2019-03-27 신인범 개구리 주차대
KR102022771B1 (ko) * 2017-09-18 2019-09-18 신인범 개구리 주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532A (ko)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64517A1 (en) Reinforced pervious concrete
LT5432B (lt) Skysčiui pralaidi sudėtinė medžiaga ir jos gavimobūdas
KR101963429B1 (ko) 측구 구조체
CA3067215C (en) Drainage device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nd use
KR101152879B1 (ko)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스틸 그레이팅 복합체를 이용한 개구리 주차대
JP2006118265A (ja) 雨水排水システムにおける浸透管、浸透管付き取水桝及び排水システム
KR20100025159A (ko) 교량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429147B1 (ko) 연속배수시설이 구비된 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CN210597544U (zh) 土壤及建筑垃圾浇筑自动喝水过滤式整体管道及其管井
KR102358432B1 (ko) 빗물 침투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15623B1 (ko) 친환경 다공패널 그레이팅
CN212129408U (zh) 一种缝隙式线性成品排水沟
KR200151725Y1 (ko) 집수구
KR101950585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KR101663914B1 (ko) 조립식 우수 침투형 측구
KR102571397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KR20090106716A (ko)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KR101196227B1 (ko) 우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JPH0699954B2 (ja) 複合機能型側溝
KR101524682B1 (ko) 탈부착형 거름망을 구비한 맨홀과 gmt 소재를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JP3179693U (ja) 透水性蓋
CN220550445U (zh) 一种防积水沥青路面结构
TWI833115B (zh) 因應氣候變遷水資源調適系統之高強度道路
CN213143321U (zh) 一种树脂混泥土线性排水机构
WO2023035644A1 (zh) 因应气候变迁水资源调适系统的高强度道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