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249B1 - 로크 장치와 로크 장치 개방 방법 - Google Patents

로크 장치와 로크 장치 개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249B1
KR101151249B1 KR1020107006681A KR20107006681A KR101151249B1 KR 101151249 B1 KR101151249 B1 KR 101151249B1 KR 1020107006681 A KR1020107006681 A KR 1020107006681A KR 20107006681 A KR20107006681 A KR 20107006681A KR 101151249 B1 KR101151249 B1 KR 101151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individual
strip material
individual lock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9914A (ko
Inventor
홀거 베렌스
랄프 하르트무트 졸
루쯔 큄멜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00059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00Processes of utilising sub-atmospheric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to effect chemical or physical change of matter; Apparatus therefor
    • B01J3/006Processes utilising sub-atmospheric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18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22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in the form of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00Processes of utilising sub-atmospheric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to effect chemical or physical change of matter; Apparatus therefor
    • B01J3/03Pressure vessels, or vacuum vessels, having closure members or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vancing Web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Barrage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Sliding Valv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립 재료(2)를 통과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별 로크부(11)를 포함하는 로크 장치(10, 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스트립 재료(2)를 로크 장치로부터 제거하지 않고서도, 로크 장치와, 특히 그 개별 로크부들을 유지보수하거나 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별 로크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부재로 형성되되, 이 두 부재들은 개별 로크부의 개방 및 밀폐를 위해 탈착 가능한 연결부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리고 연결부가 개방된 경우 스트립 재료(2)의 이송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개별 로크부의 제1 및 제2 부재를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변위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24, 25)가 제공되는 점이 제안된다.

Description

로크 장치와 로크 장치 개방 방법{LOCK DEVICE AND METHOD FOR OPENING THE LOCK DEVICE}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라 특히 공정 영역에서 연속해서 유입되고, 그리고/또는 유출되는 연속적인 스트립 재료를 위한 로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은 로크 장치를 개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조 및 가공을 위해 제공되어 밀폐된 다양한 공간 영역에서 스트립 재료, 특히 금속 스트립을 제조 및 가공할 시에, 상기 공간 영역들을 상호 간에 분리하지만, 그 공간 영역들 내외로 스트립 재료의 이송을 허용하는 이미 공지된 로크 장치가 이용된다. 공간 영역들 내에는 예컨대 서로 다른 압력 조건과 같은 다양한 공정 조건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예컨대 일측의 공간 영역에 진공이 존재하고, 그리고/또는 타측 공간 영역에는 정상 압력 또는 목표되는 보호 가스 환경 내지 초과 압력이 존재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의 보다 오래된 비공개 출원 DE 10 2006 051 397로부터는 두 공간 영역 간의 밀봉을 위해 롤러를 이용하는 스트립 로크가 공지되었다. 또한, 역시 본 출원인의 비공개 출원 DE 10 2006 051 395로부터는 두 공간 간의 밀폐 수단으로서 게이트 부재를 이용하는 스트립 로크가 공지되었다.
DE 60 2004 001 403 T2는 스트립을 진공 코팅하기 위한 챔버를 위한 실링 로크(sealing lock)를 개시한다. 이런 실링 로크의 경우 하우징에는 상부 덮개부와 하부 덮개부가 구비되되, 상부 덮개부 및 하부 덮개부에 롤러들이 장착된다. 롤러들은 스트립 이송 방향으로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오프셋 되어 있으면서, 스트립을 이송할 수 있도록 스트립 쪽에 압력을 가하며, 각각 2개의 롤러 쌍 사이에서는 각각 부압 챔버가 범위 한정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로크 장치들의 경우, 로크 장치들은 유지보수 또는 수리 작업 시에 복잡하게 예컨대 리프팅 크레인을 이용하여 분해해야만 하고, 이때 하부 및 상부 하우징 덮개부를 서로 분리하지 못하거나 예컨대 유지보수를 위해 그 덮개부에 쉽게 접근하지 못하기 때문에 스트립 재료는 로크부 내에 변경 없이 그대로 내버려 두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로크 장치는, 통과하는 연속적인 금속 스트립과 로크 장치의 매우 번거로운 취급을 요구한다.
발명, 과제, 해결 방법 및 장점의 설명
본 발명의 목적은, 로크 장치에 있어서, 특히 연속적인 스트립 재료를 이용하거나 가공할 시에 특히 유지보수 또는 수리 작업 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되, 스트립 재료는 유지보수 또는 수리 작업 시에도 로크 장치 내에 머물러 있도록 할 수 있는 상기 로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 외에도 또 다른 목적은 대응하는 로크 장치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특허 청구항 제1항의 대상에 의해 달성된다. 그에 따르면 로크 장치는, 자체 개별 로크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 로크부가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부재로 형성되고; 개별 로크부를 개방하거나 밀폐하기 위해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분리 가능한 연결부가 제공되며; 그리고 연결부가 개방된 경우 스트립 재료의 이송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개별 로크부의 제1 및 제2 부재를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되는 바와 같이 스트립 재료에 따라 두 부재가 상호 간에 떨어져 이송됨으로 인해, 예컨대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넓은 영역에 걸쳐 개별 로크부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스트립 재료를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는 고정 수단의 형태로 측면 벽부와 하우징 외피부(housing jacket) 사이의 전환부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개별 로크부의 제1 부재는 측면 벽부로 구성되고, 그에 반해 개별 로크부의 제2 부재는 하우징 외피부 및 제2 측면 벽부를 포함한다.
개별 로크부가, 가공 또는 이송 수단들과, 이 수단들을 위해 제공되어 측면 벽부들 중 일측 측면 벽부에, 또는 하우징 외피부에 고정되는 구동 장치들을 포함한다면,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단들 및 구동 장치들은 개별 로크부의 제1 또는 제2 부재에 결합되어 그 각각의 부재들과 함께 이송될 수 있다.
개별 로크부들에는, 통상적으로 목표하는 공정 조건, 예컨대 개별 로크부 내부의 소정의 압력비를 설정하기 위해 외부 파이프 연결부가 연결된다. 그에 따라 기본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파이프 연결부는 연결되는 개별 로크부의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와 함께 이송될 수 있다. 이에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파이프 연결부는 개별 로크부의 대응하는 부재가 이송되기 전에 먼저 그 부재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개별 로크부의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개별 로크부의 두 부재 중 일측 부재가 변위를 위한 장치에 의해 이동 가능한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이때 개별 로크부의 타측 부재는 고정되거나, 예컨대 공정 영역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마찬가지로 변위를 위한 또 다른 장치에 의해 이송될 수도 있다.
변위를 위한 장치는 이동 가능한 하부 프레임으로서, 또는 슬라이딩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로크 장치가 연이어서 제공되는 복수의 개별 로크부를 포함하는 로크 캐스케이드(lock cascade)로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개별 로크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로크부는 본 발명의 의미에서 2개의 부분으로 상호 간에 분리될 수 있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로크 캐스케이드의 추가 개별 로크부들은 두쪽 형태의 개별 로크부의 제1 부재에, 또는 제2 부재에 연결되고, 그에 상응하게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에 결합되어 이 해당 부재와 함께 이송될 수 있다.
2개의 개별 로크부가 서로 인접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그 두 개별 로크부들은 상호 간의 전환 영역에 각각 별도의 측면 벽부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신에 일측의 개별 로크부에서 타측의 개별 로크부로 로크 재료를 이동 내지 통과시키기 위한 로크 개구부를 포함하는 공동의 측면 벽부를 포함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장치를 개방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런 방법의 장점은 로크 장치와 관련하여 앞서 언급한 장점에 상응한다.
로크 장치 및 개방 방법에 대한 추가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종속항들의 대상이다.
본 발명의 로크 장치에 의하면, 스트립 재료에 따라 두 부재가 상호 간에 떨어져 이송됨으로 인해, 예컨대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넓은 영역에 걸쳐 개별 로크부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스트립 재료를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로크 장치는, 연속적인 스트립 재료를 이용하거나 가공할 시에 특히 유지보수 또는 수리 작업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고, 스트립 재료는 유지보수 또는 수리 작업시에도 로크 장치 내에 머물러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는 총 6개의 도면이 첨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장치를 적용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연이어서 제공되는 3개의 개별 로크부를 포함하는 로크 캐스케이드 형태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로크 장치를 밀폐된 상태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3개의 개별 로크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로크 장치에 있어서, 제1 개별 로크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로크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3개의 개별 로크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로크 장치에 있어서, 제2 개별 로크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로크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3개의 개별 로크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로크 장치에 있어서, 제3 개별 로크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로크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스트립 재료의 이송 방향에 대한 횡방향의 평면으로 개별 로크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음에서 앞서 설명한 도들과 관련하는 실시예들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밀폐된 공간 영역으로서 공정 영역(3)을 도시하고 있다. 이 공정 영역 내에서는 스트립 재료가 사전 설정된 공정 조건(p공정) 하에서 가공된다. 공정 조건이라고 하면 예컨대 특별하게 설정된 압력, 예컨대 부압일 수 있다. 그와 반대로 공정 영역(3) 외부에서는 기본적으로 대기압(p공기)이 존재한다. 스트립 재료(2)가 실질적인 공정 영역(3) 내로 유입되기 전에, 우선 스트립 재료는 제1 로크 장치(10)에 의해 안내된다. 이와 유사하게 스트립 재료는 공정 영역(3) 내에서 가공된 후에, 다시 대기 조건에 노출되기 전에 제2 로크 장치(10')에 의해 안내된다. 두 로크 장치(10, 10') 내에서는 각각 공정 영역(3) 내 공정 조건과 외부 대기압(P공기) 간의 압력 차이(△p)가 보장된다. 스트립 재료(2)가 두 로크 장치(10, 10')에 의해 공정 영역(3)으로 유입되거나 그 외부로 유출될 때, 공정 영역(3) 내에서는 사전 설정된 공정 조건들이 유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장치들(10, 10') 중 하나를 도시하고 있다. 로크 장치(10, 10')는 복수의 개별 로크부(11, 12, 13)로 구성되되,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 조건에 대한 제한 없이 3개의 개별 로크부(11, 12, 13)가 도시되어 있다. 실제로 보다 많거나 보다 적은 수의 개별 로크부가 제공될 수 있지만, 도 3에 따른 실질적인 공정 영역(3)의 전방에는 연이어서 제공되는 적어도 2개의 개별 로크부가 필요하고, 그 후방에서는 연이어 제공되는 적어도 2개의 개별 로크부가 필요하다. 각각의 개별 로크부(11, 12, 13)는 각각 2개의 측면 벽부(15, 16, 17, 18)와 이 벽부들을 연결하는 하우징 외피부(20, 21, 22)에 의해 형성되어 범위 한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 외피부(20, 21, 22)는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단일 부분으로, 또는 다중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하우징 외피부들은 고정 수단의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부들(31, 32, 33, 34)에 의해 각각 측면으로 인접하는 벽부들(15, 16, 17, 18)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연결부가 체결된 경우 하우징 외피부들은 상기 연결부들을 통해 측면 벽부들에 의해 지지된다.
마지막으로 도 2에서는 스트립 재료(2)를 이송하거나 가공하기 위한 이송 또는 가공 롤러들(50)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롤러들은 실시예에 따라 각각 측면 벽부(15, 16, 17, 18)에 고정된다.
스트립 재료(2)는 도 2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된다.
도 3에서는 측면 벽부(15)와 하우징 외피부(20) 사이의 전환 영역에서 제1 개별 로크부(11)의 연결부(31)가 개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측면 벽부(15)는 자체 고정된 이송 또는 가공 롤러들(50)과 함께 제1 개별 로크부(11)의 제1 부재를 형성한다. 이런 제1 부재는 예컨대 좌측에, 다시 말하면 스트립(2)의 이송 방향에서 좌측에 연결되는 공정 영역(3)에 장착되고 그 공정 영역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와 반대로 하우징 외피부(20)는 우측 측면 벽부(16)와 함께 제1 개별 로크부(11)의 제2 부재를 형성한다. 이 제2 부재에는, 각각 자체의 이송 및 가공 롤러들(50)을 포함하는 추가의 개별 로크부들(12, 13)이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제1 개별 로크부(11)의 제2 부재와 이 제2 부재와 견고하게 체결된 추가 개별 로크부들(12 및 13)은 스트립 재료(2)의 이송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측면에서 변위시키기 위한 장치들(24, 25)에 의해 이송될 수 있되, 도 3의 경우 스트립의 이송 방향은 좌측으로 향하는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도 3에서 제2 부재는 대응하는 추가 개별 로크부들(12 및 13)과 함께,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개별 로크부(12)의 제1 부재에 비해, 이동거리(S)만큼 스트립의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송된다. 두 개별 부재들의 분리를 통해 개별 로크부(11)가 개방되며, 그에 따라 그 내부 공간과 특히 이송 및 가공 롤러들(50)에 대해 특히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용이한 접근이 가능하다. 스트립 재료(2)는 측면 벽부들(15, 16, 17, 18) 각각에 제공되는 로크 개구부들(41, 42, 43, 44, 45)을 통해 안내된다. 본 발명에 따라 개별 로크부의 제2 부재에 상대적으로 이루어지는 개별 로크부의 제1 부재의 변위는 스트립 재료에 따라, 다시 말하면 스트립 재료의 이송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그럼으로써 스트립 재료는 두 부재들이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이송될 시에 제거되지 않아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되, 제1 개별 로크부(11)가 아니라, 제2 개별 로크부(12)가 연결부(32)의 분리에 의해 개방된다. 여기서는 제2 개별 로크부의 제1 부재가 측면 벽부(16)와 이 측면 벽부에 장착되는 이송 및 가공 롤러들(50)로 형성된다. 제2 개별 로크부의 제1 부재에는, 특히 자체 하우징 외피부(20)와 자체 좌측 측면 벽부(15)를 포함하여 그 제1 부재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제1 개별 로크부(11)가 결합된다. 제2 개별 로크부의 제2 부재는 제2 개별 로크부의 하우징 외피부(21)와 우측 측면 벽부(17)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2 부재에는, 자체 하우징 외피부(22), 자체 우측 측면 벽부(18) 및 이런 두 벽부에 고정되는 이송 및/또는 가공 롤러들(50)을 포함하는 제3 개별 로크부(13)가 결합된다.
도 3에 따른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제2 실시예에서는 제2 개별 로크부의 두 부재가 각각 자체에 장착되는 추가 개별 로크부들과 함께 상호 간에 독립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는 제2 개별 로크부의 제1 부재, 및 이에 결합된 제1 개별 로크부(11)에는 이송 장치(24)가 결합되고, 그에 반해 개별 로크부의 제2 부재, 및 이에 결합된 추가 개별 로크부들에는 이송 장치(25)가 결합됨으로써 실현된다. 도 4에서는 제2 개별 부재(12)의 두 부재뿐 아니라, 이 두 부재에 각각 결합된 추가의 개별 로크부들이 스트립 재료(2)의 이송 방향에 따라 상호 간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거리(S)만큼 이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장치에 대한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되, 도 4와 다르게 제2 개별 로크부가 아니라, 제3 개별 로크부(13)가 연결부(33)에서 개방되어 있다.
도 6은 도면 평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스트립 재료의 이송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송 또는 가공 롤러들(50)의 높이에서 개별 로크부들 중 하나를 절단하여 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관 형태로 형성되는 하우징 외피부(22)를 포함하는 개별 로크부(13)를 확인할 수 있다. 개별 로크부(13)의 내부에는 이송 또는 가공 롤러들(50)을 확인할 수 있되, 이 롤러들은 스트립 재료(2)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롤러들은 연결 샤프트들(53, 54)를 통해 구동 장치(51)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개별 로크부(13)뿐 아니라 구동 장치(51)는 지지 유닛(52) 상에 배치되되, 이 지지 유닛은 장치(25)에 의해 스트립의 이송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6의 도해에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라, 구동 장치(51)는 또한 지지 유닛(52)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개별 로크부가 장치(25)에 의해 이송되기 전에, 상기 구동 장치는 이송 또는 가공 롤러들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도 6에 따라 하우징 외피부(22)의 윗면에는 파이프 연결부(55)가 연결된다. 이런 파이프 연결부는 예컨대 개별 로크부(13)의 내부에서 부압 내지 진공압을 생성하기 위한 흡입 장치로서 이용된다. 상기 파이프 연결부는 바람직하게는 개별 로크부(13)와 함께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에 따라 파이프 연결부(55)는, 개별 로크부(13)가 이송되어야 할 때 하우징 외피부(22)로부터 분리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라 파이프 연결부(55)와 하우징 외피부(22) 사이의 연결부는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라면 개별 로크부(13)는 자체에 경우에 따라 결합되는 로크 장치(10, 10')의 또 다른 부재들과 함께 파이프 연결부(55)와 무관하게 이송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장치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개별 로크부들의 개방에 따라 형성되는 부재들 내지 세그먼트들을 변위시키기 위한 장치들(24, 25)을 이용하여, 개별 로크부들을 개방하고 그에 따른 상기 부재들 내지 세그먼트들을 변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개별 로크부들의 내부 공간과, 특히 이 내부 공간 내에 경우에 따라 존재하는 이송 또는 가공 롤러들에 대해, 예컨대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개별 로크부들의 개방은 단 하나의 로크부에 국한 되어서는 안 되며, 단계적으로, 다시 말하면 시간상 연속해서 또는 동시에 로크 장치의 모든 개별 로크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더욱더 많은 개별 로크부가 동시에 개방되어야 할수록, 더욱더 많은 공간이 요구된다.
2: 스트립 재료
3: 공정 영역
10: 로크 장치
10': 로크 장치
11: 개별 로크부(individual lock)
12: 개별 로크부
15: 벽부
16: 벽부
17: 벽부
18: 벽부
19: 벽부
20: 하우징 외피부(housing jacket)
21: 하우징 외피부
22: 하우징 외피부
24: 롤러 장치, 변위를 위한 장치
25: 롤러 장치, 변위를 위한 장치
41: 로크 개구부(lock opening)
42: 로크 개구부
43: 로크 개구부
44: 로크 개구부
45: 로크 개구부
50: 이송 또는 가공 롤러
51: 구동 장치
52: 지지 유닛
53: 연결 샤프트
54: 연결 샤프트
55: 파이프 연결부

Claims (14)

  1. 스트립 재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별 로크부(11)를 포함하는 로크 장치(10, 10')에 있어서,
    상기 개별 로크부(11)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개별 로크부를 개방하거나 밀폐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부재 사이에 분리 가능한 연결부가 제공되며; 그리고
    연결부가 개방될 시에 상기 스트립 재료(2)의 이송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상기 개별 로크부(11)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24, 2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장치(10, 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로크부(11)의 하우징은 상기 개별 로크부 내로 스트립 재료(2)의 유입을 위한 로크 개구부(42)를 포함하는 제1 측면 벽부(16)와, 상기 개별 로크부로부터 상기 스트립 재료(2)의 유출을 위한 로크 개구부(41)를 포함하는 제2 측면 벽부(15)와, 그리고 상기 제1 벽부(16)와 제2 벽부(15) 사이에 제공되는 하우징 외피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장치(10, 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로크부(11)의 제1 부재는 상기 스트립 재료(2)의 유입을 위한 로크 개구부(42)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측면 벽부(16)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개별 로크부(11)의 제2 부재는 상기 스트립 재료(2)의 유출을 위한 로크 개구부(41)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측면 벽부(15)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장치(10, 10').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로크부(11, 12, 13)의 제1 또는 제2 부재 또는 두 부재 모두 상기 하우징 외피부(20)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장치(10, 10').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로크부(11, 12, 13)는 상기 스트립 재료를 위한, 예컨대 가공 또는 이송 롤러와 같은 가공 또는 이송 수단들(50)과, 이 수단들을 위한 구동 장치들(51)을 포함하되, 상기 수단들 또는 구동 장치들은 제1 또는 제2 측면 벽부(16, 15)에, 또는 상기 하우징 외피부(20)에 고정되며; 그리고
    상기 수단들 및 구동 장치들은 (바람직하게는 자신들이 고정되는 측면 벽부(15, 16) 또는 하우징 외피부(20)에 상응하게) 상기 개별 로크부(11, 12, 13)의 제1 또는 제2 부재에 결합되어 이 해당 부재와 함께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장치(10, 10').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로크부(11)의 내부에 목표되는 압력을 설정하기 위해 파이프 연결부(55)가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외피부(22)에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파이프 연결부(55)는 (자신이 연결되는 하우징 외피부의 부분에 상응하게) 상기 개별 로크부(11, 12, 13)의 제1 또는 제2 부재에 결합되어 이 해당 부재와 함께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장치(10, 10').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로크부의 내부에서 목표되는 압력을 설정하기 위해 파이프 연결부(55)가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외피부(2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파이프 연결부(55)는 상기 하우징 외피부(22)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개별 로크부(11, 12, 13)의 제1 또는 제2 부재와는 무관하게 특히 상기 스트립 재료(2)의 이송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장치(10, 10').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로크부(11, 12, 13)의 제1 부재를 변위시키기 위한 변위를 위한 제1 장치(24)와, 상기 개별 로크부의 제2 부재를 변위시키기 위한 변위를 위한 제2 장치(2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장치(10, 10').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위를 위한 상기 장치(24, 25)는 이동 가능한 하부 프레임으로서, 또는 슬라이딩 장치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장치(10, 10').
  10. 스트립 재료(2)의 이송 방향으로 연이어서 제공되는 복수의 개별 로크부(11, 12, 13)를 포함하는 로크 캐스케이드 형태로 형성되는 로크 장치(10, 10')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상기 개별 로크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 로크부(11)가 제1 및 제2 부재를 포함하여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다른 개별 로크부들(12, 13)은 상기 두쪽 형태의 개별 로크부(11)의 제1 또는 제2 부재에 연결되며, 그에 상응하게 제1 또는 제2 부재에 결합되어 이 해당 부재와 함께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장치(10, 10').
  11. 제10항에 있어서, 인접한 2개의 개별 로크부(11, 12)는 일측의 개별 로크부(12)로부터 타측의 개별 로크부로 상기 스트립 재료(2)를 이동시키기 위한 로크 개구부(42)를 구비한 공동의 측면 벽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장치(10, 10').
  12. 스트립 재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별 로크부(11)를 포함하는 로크 장치(10, 10')를 개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별 로크부의 제1 및 제2 부재 사이의 연결부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개별 로크부(11)를 개방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립 재료(2)의 이송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상기 개별 로크부(11)의 제1 및 제2 부재를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장치 개방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로크부(11)의 제1 부재는 상기 스트립 재료(2)의 유입을 위한 로크 개구부(42)를 구비한 제1 측면 벽부(16)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개별 로크부(11)의 제2 부재는 상기 스트립 재료(2)의 유출을 위한 로크 개구부(41)를 구비한 제2 측면 벽부(15)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개별 로크부(11, 12, 13)의 제1 및/또는 제2 부재는 상기 개별 로크부(11, 12, 13)의 개방 및 밀폐 시에 상기 스트립 재료(2)에 따라 변위되며, 그에 반해 상기 스트립 재료(2)는 상기 로크 개구부들을 통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장치 개방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로크부(11)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유지보수 작업의 종료 후에 다시 상기 스트립 재료(2)에 따라 상호 간에 밀착되어 상호 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장치 개방 방법.
KR1020107006681A 2007-10-17 2008-10-11 로크 장치와 로크 장치 개방 방법 KR101151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49669A DE102007049669A1 (de) 2007-10-17 2007-10-17 Schleusen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Öffnen der Schleusenvorrichtung
DE102007049669.0 2007-10-17
PCT/EP2008/010773 WO2009049921A1 (de) 2007-10-17 2008-10-11 Schleusen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öffnen der schleusen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914A KR20100059914A (ko) 2010-06-04
KR101151249B1 true KR101151249B1 (ko) 2012-06-14

Family

ID=40394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681A KR101151249B1 (ko) 2007-10-17 2008-10-11 로크 장치와 로크 장치 개방 방법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20110038693A1 (ko)
EP (1) EP2205347B1 (ko)
JP (1) JP5171960B2 (ko)
KR (1) KR101151249B1 (ko)
CN (1) CN101827646B (ko)
AR (1) AR068928A1 (ko)
AT (1) ATE518585T1 (ko)
AU (1) AU2008314055B2 (ko)
CA (1) CA2698323C (ko)
CO (1) CO6260110A2 (ko)
DE (1) DE102007049669A1 (ko)
EG (1) EG25434A (ko)
ES (1) ES2367552T3 (ko)
MX (1) MX2010004189A (ko)
PL (1) PL2205347T3 (ko)
RS (1) RS20100167A (ko)
RU (1) RU2433861C1 (ko)
TW (1) TWI346573B (ko)
UA (1) UA96856C2 (ko)
WO (1) WO2009049921A1 (ko)
ZA (1) ZA2010014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03825T3 (es) * 2015-07-20 2019-03-12 Staeubli Sargans Ag Máquina de disposición de hilo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3182A (en) * 1977-03-18 1978-09-12 Brago Reacelyn A Multi-fluid wash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2101A (en) * 1987-04-27 1989-03-14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throughput in a vacuum environment
DE8915647U1 (ko) * 1989-03-21 1990-12-13 Reinbold, Heinz, Dipl.-Ing., 5200 Siegburg, De
JPH07207445A (ja) * 1994-01-20 1995-08-08 Kawasaki Steel Corp 差圧装置
DE19753656C1 (de) * 1997-12-03 1998-12-03 Fraunhofer Ges Forschung Einrichtung zur Vakuumbeschichtung von Gleitlagern
DE19960751A1 (de) * 1999-12-16 2001-07-05 Fzm Ges Fuer Produktentwicklun Schleuse und Verfahren zur Anwendung derselben
EP1479789A1 (fr) 2003-05-23 2004-11-24 Recherche Et Developpement Du Groupe Cockerill Sambre Sas d'étanchéité pour ligne de dépôt sous vide sur produit plat
DE102004007831A1 (de) * 2004-02-18 2005-09-01 Sms Demag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Wechseln von Walzensätzen in Walzgerüsten einer Walzstraße
DE102007009992A1 (de) 2006-10-27 2008-04-30 Sms Demag Ag Bandschleuse
DE102007009710A1 (de) 2006-10-27 2008-04-30 Sms Demag Ag Bandschleu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3182A (en) * 1977-03-18 1978-09-12 Brago Reacelyn A Multi-fluid wash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5347B1 (de) 2011-08-03
UA96856C2 (ru) 2011-12-12
US20110038693A1 (en) 2011-02-17
CA2698323C (en) 2012-02-07
DE102007049669A1 (de) 2009-04-23
CN101827646B (zh) 2012-11-28
KR20100059914A (ko) 2010-06-04
ES2367552T3 (es) 2011-11-04
WO2009049921A1 (de) 2009-04-23
AU2008314055A1 (en) 2009-04-23
AR068928A1 (es) 2009-12-16
TWI346573B (en) 2011-08-11
PL2205347T3 (pl) 2011-12-30
TW200936270A (en) 2009-09-01
RU2433861C1 (ru) 2011-11-20
MX2010004189A (es) 2010-05-14
CN101827646A (zh) 2010-09-08
JP5171960B2 (ja) 2013-03-27
ZA201001494B (en) 2010-10-27
ATE518585T1 (de) 2011-08-15
CA2698323A1 (en) 2009-04-23
CO6260110A2 (es) 2011-03-22
RS20100167A (en) 2011-08-31
EG25434A (en) 2012-01-05
JP2010540244A (ja) 2010-12-24
AU2008314055B2 (en) 2011-03-10
EP2205347A1 (de) 201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3039B2 (en) Method of constructing a mandrel for fabrication of a monolithic nacelle composite panel
CN105264110B (zh) 成膜装置
KR101151249B1 (ko) 로크 장치와 로크 장치 개방 방법
KR100774045B1 (ko) 무균실 내외부에서 기판을 조작하기 위한 장치
KR101726727B1 (ko)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
CN104173195A (zh) 一种全自动冻干片剂生产设备及其控制方法
JP2009185349A (ja) 多室型熱処理炉
US20070068626A1 (en) Vacuum processing apparatus
JP2010540244A5 (ko)
RU233572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заготовок
JP5984300B2 (ja) 熱間プレス成形設備
US20160054060A1 (en) Degassing device
IT201900003631A1 (it) Impianto per la lavorazione di capsule per bevande
TW202039381A (zh) 具有可變彎曲站台之玻璃加工系統
DE102019204821A1 (de) Formeinsatz für eine Tiefziehverpackungsmaschine und Herstellungsverfahren
US20220155013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rmal or thermo-chemical treatment of material
KR102224594B1 (ko) 게이트 밸브 시스템
KR102415674B1 (ko) 듀얼 냉각 타입의 성형 장치
LV14541B (lv) Iekārta mitra materiāla, it īpaši cietu komunālo atkritumu, saspiešanai
IT202100010322A1 (it) Struttura di trasferimento di stampi per un apparato di colaggio
KR101101224B1 (ko) 개폐 장치 및 개폐 방법
KR20210151607A (ko) 이송 수단이 마련된 성형 장치
JP2014091130A (ja) 熱間プレス成形設備
JP5769861B1 (ja) 真空処理方法及び真空処理装置
EP1138515A2 (en) Apparatus for methods of decorating metal s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