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727B1 -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727B1
KR101726727B1 KR1020150141426A KR20150141426A KR101726727B1 KR 101726727 B1 KR101726727 B1 KR 101726727B1 KR 1020150141426 A KR1020150141426 A KR 1020150141426A KR 20150141426 A KR20150141426 A KR 20150141426A KR 101726727 B1 KR101726727 B1 KR 101726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bending
drying
lu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모
Original Assignee
(주)무진서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무진서비스 filed Critical (주)무진서비스
Priority to KR1020150141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01M2/108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 극판군의 러그를 밴딩하여 고정하는 밴딩 유닛과, 상기 밴딩 유닛의 하부에 구축되어 상기 밴딩 유닛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극판군의 러그 표면을 건조하는 건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밴딩 유닛 및 상기 건조 유닛이 하나의 스테이션에 통합되어 설치됨에 따라, 러그 표면 건조 과정에서의 하자 및 불량이 줄어들 수 있는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Integration Station For Lug Bending And Drying}
본 발명은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축전지를 조립하는 조립라인에 구축된 상태로, 극군의 양 끝단부에 위치한 러그를 안쪽으로 휘어지도록 하여 캐스터 온 스트렙(COS ; Cast On Strap) 몰드 캐비티(Cavity) 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밴딩과 함께, 러그에 도포된 플럭스 액상의 건조 작업이 하나의 스테이션에서 수행되는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축전지를 조립하는 공정에 있어서 축전지를 자동 조립하기 위한 조립라인에서 극판군에 대한 러그 표면에 묻은 플럭스 액상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 극판군을 밴딩하기 위한 유닛과 플럭스 액상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유닛이, 각각 개별적으로 따로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축전지 전체의 조립 공정에 효율성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또한, 극판군을 밴딩하기 위한 유닛 및 플럭스 액상을 건조하기 위한 유닛이 개별적으로 따로 설치되는 구조로 인하여 설비를 제작하는 비용도 만만치 않게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도면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럭스 액상을 건조하기 위한 유닛(500)의 경우 그 내부가 개방된 구조인 관계로, 하부에서 부는 열풍력에 의해 극판군(600)의 러그(610) 표면에 묻은 플럭스 액상 및 분진이나 이들의 혼합물이 유닛(500)의 커버(510)로 비산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유닛(500)의 외관이 얼룩짐으로써 미관상 청결치 못하다. 물론, 유닛(500)의 커버(510) 양측에 비산 방지를 위해 격벽(520)이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격벽(520)은 단지 비산물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원이지 커버(510)의 외관 얼룸직과는 관계없다.
또한, 열풍의 기류가 안정화되지 못하고 러그(610)가 꽂힌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유실됨에 따라 기류의 속도 및 량이 일정하지 못하여 러그(610)에 묻은 플럭스 액상의 건조에 균일함을 기대하기 어렵고, 이로 인하여 러그 표면이 거칠거나 매끄럽지 못한 하자나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가 여전하였다.
한편, 자동차용 축전지의 조립라인에 구축되는 장치나 설비에 대한 선행 기술문헌은 하기에 기재된 특허문헌들을 참고할 수 있다.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 제10-0541227호, 특허문헌 0002 등록특허 제10-0541228호, 특허문헌 0003 등록특허 제10-0451226호, 특허문헌 0004 공개특허 제10-2008-0081315호, 특허문헌 0005 등록특허 제10-1326446호.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축전지를 자동 조립하기 위한 조립라인에 구축된 상태로, 극판군의 러그에 대한 밴딩을 통하여 극판군의 고정과 아울러, 극판군의 러그 표면에 대한 열풍 건조를 통하여 극판군의 러그 건조 균일함을 하나의 스테이션에서 동시에 수행되도록 한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극판군의 러그를 밴딩하여 고정하는 밴딩 유닛과, 상기 밴딩 유닛의 하부에 구축되어 상기 밴딩 유닛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극판군의 러그 표면을 건조하는 건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밴딩 유닛 및 상기 건조 유닛이 하나의 스테이션에 통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밴딩 유닛의 구성품으로 타공판의 상부에 정렬 형성된 타공의 절삭각은 상기 건조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의 기류 진행 방향에 대하여 둔각 범위 내로 형성되는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에 일 특징이 있다.
삭제
상기 밴딩 유닛은, 상부에 정렬 형성된 채 극판군의 러그가 꽂히는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타공판과, 상기 타공판의 저부를 커버하며 결합된 채, 상기 건조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을 러그 방향으로 집중 공급하도록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며 형성된 경사막과, 러그 표면을 건조시키며 지나가는 열풍 기류를 상기 건조 유닛으로 되돌려 보내로록 상기 경사막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형성된 배기통로로 구성된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결된 채 상기 하부판의 일측과 상기 액츄에이터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막대와, 상기 동력전달막대의 좌우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판의 타측에 걸림되는 방식으로 장착되어 상기 동력전달막대의 전후퇴 이동 거리만큼 연동하며 이동됨과 동시, 상기 동력전달막대의 전후퇴 이동 거리만큼 역으로 연동하며 이동되는 다수의 축봉, 및 축봉들의 길이에 걸쳐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축봉들의 내측을 향해 고정 결합된 상태로 상기 동력전달막대의 전진 시에 함께 전진 운동함과 동시 후진 운동에 의해 상기 러그의 양측면을 밴딩하여 극판군을 고정하게 되는 다수의 밴딩파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건조 유닛은, 상기 밴딩 유닛으로 열풍을 공급하거나 회수하기 위하여 마련된 송풍실과, 상기 송풍실의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실로 열풍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송풍실로부터 열풍을 회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송풍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송풍실은, 상기 송풍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을 받아들여 상기 밴딩 유닛으로 공급하는 유입실과, 상기 밴딩 유닛으로부터 회수되는 열풍을 받아들여 상기 송풍관으로 배출하는 배기실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실의 공간 확보를 위해 구획되며, 상기 밴딩 유닛으로 공급되는 열풍의 유실을 차단하는 내부격벽과, 상기 배기실의 공간 확보를 위해 송풍실의 외측 테두리에 구획되며, 상기 밴딩 유닛으로부터 회수되는 열풍의 외부 유실을 차단하는 외부격벽을 더 포함하는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송풍관은, 유입실의 수직 중앙 저부 선상에 설치되어 열풍을 상기 유입실로 공급하는 배관로인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 및 상기 유입실의 저부 일측과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열풍을 상기 유입실로 분기하여 공급하는 배관 분기 관로인 유입분기관과, 배기실의 좌우편에 각각 확보되어 상기 배기실로부터 회수되는 열풍을 받아들이는 배기구를 포함하고, 배기실에 회수된 열풍을 분기하는 배관 분기 관로인 배기분기관, 및 상기 배기분기관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분기관을 통하여 회수되는 열풍을 모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관로인 배출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에 일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은, 열풍 기류의 순환으로 러그의 밴딩과 함께, 러그 표면에 묻은 플럭스 액상의 건조를 동시 수행되게 하여 러그 표면 건조의 균일함 및 러그 표면의 매끄러운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은, 밴딩 유닛과 건조 유닛이 함께 설치되어 러그 표면에 묻은 플럭스 액상의 건조에 하자 및 불량을 줄일 수 있는바, 특히 타공판의 외관으로 비산물의 비산을 방지함에 따라 타공판 외관의 오염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은, 극판군의 밴딩 및 러그 표면의 건조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축전지 조립의 전체 공정에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으며, 러그 밴딩을 위한 유닛과 건조를 위한 유닛의 제작 비용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을 도시한 사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합형 스테이션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통합형 스테이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통합형 스테이션에 구성된 밴딩 유닛을 도시한 사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밴딩 유닛에 구성된 커버를 생략한 상태의 밴딩 유닛을 도시한 사시 도면,
도 6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건조 유닛을 도시한 사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건조 유닛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건조 유닛의 정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건조 유닛의 측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열풍의 기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밴딩 유닛과 건조 유닛을 함께 평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A-A선의 절개 단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0의 정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밴딩 유닛의 평면도이면서 A-A선을 표시한 측면도까지 함께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A-A선의 절개 단면 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15는 타공의 절삭각에 따른 열풍 기류를 도시한 개념도
도 16은 종래의 건조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됨을 밝히고, 후술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다른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되는 점까지 감안한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품으로 출시된 축전지는 일반적으로 산업용, 차량용, 통신용, UPS용 등의 분야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납축전지로서, 연분 및 주조 공정에 이어 혼합, 도포, 숙성 공정 이후 화성 공정에 이어 조립 공정 혹은 조립공정 이후 화성 및 최종조립공정을 거친 다음 포장 출하하게 된다.
자동차의 축전지를 조립하는 공정은 극판들의 정렬 공정(제1단계)에서부터 극판들에 대한 표면 브러쉬와 플럭스 액체 함침 및 건조 공정(제2단계)에 이은 극판과 스트렙의 일체화 공정(제3단계)을 거쳐 축전지 케이스에 극판을 삽입하여 마감하는 공정(제4단계)까지 연쇄적으로 수행되면서 자동차의 축전지 제품을 조립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차의 축전지 공정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출원번호 제10-2015-0059511호(축전지의 조립 장치)에서 상세히 개시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출원 발명을 통하여 참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그 상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본 발명에 의한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로 설명된다.
본 발명은 축전지 조립라인에 구축된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100)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판군(10)의 러그(10a)가 꽂힌 상태로 밴딩될 수 있게 구비된 밴딩 유닛(200)과, 상기 밴딩 유닛의 저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밴딩 유닛에 꽂힌 극판군의 러그 표면에 도포된 플럭스(flux) 액상을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건조 유닛(300)이 함께 구축된 하나의 통합형 스테이션(100)이다.
물론, 상기 극판군(10)들은 지그 박스(미도시)에 담긴 상태로 자동화에 의해 상기 밴딩 유닛(200)의 타공판(210) 상부로 접근되면서 타공판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타공(210a)에 극판군(10)들의 러그(10a)들이 각각 일정한 형태로 꽂혀진다.
이러한 극판군(10)들의 각 러그(10a) 표면은 타공(210a)에 꽂힌 상태로 타공판(210)의 하부에서 불어오는 열풍에 의해 타공판(210) 내에서 건조되는바, 이는 이전 공정에서 러그(10a) 표면에 플럭스 액상이 도포되는 함침 공정이 수행된 관계로, 러그(10a) 표면에 묻은 플럭스 액상을 매끄럽고도 균일하게 건조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밴딩 유닛(2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다수의 타공(210a)을 형성하고 있는 타공판(210)과, 상기 타공판의 일측 부위에 설치된 액츄에이터(220)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결된 동력전달막대(230)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막대(230)의 일측과 타측에는 축봉(240)으로서 제1축봉(241)과 제2축봉(242)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타공판(210)의 내부로 축설되어 타공판(210)의 타측 부위에 이르기까지 노출된 형태이다.
한편, 상기 제1축봉(241)과 제2축봉(242)의 각 하단에는 축봉(240)으로서 제3축봉(243)과 제4축봉(244)이 구비되는바, 즉 상기 제1,2축봉(241,242)과 상기 제3,4축봉(243,344)은 링크절(250)에 의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축봉(241)과 그 하단에 구성된 상기 제3축봉(243)은 제1링크절(251)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축봉(242)과 그 하단에 구성된 상기 제4축봉(244)은 제2링크절(25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2축봉(241,242)이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220)의 동력에 의해 동력전달막대(230)를 통하여 제공되는 이동 전달력에 따라 전진 이동될 경우, 제3,4축봉(243,244)은 상기 제1,2축봉(241,242)과 연결된 제1,2링크절(251,252)에 의해 상기 제1,2축봉(241,242)의 전진 이동과 반대로 후진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3,4축봉(241,242,243,244)에는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고정 결합된 다수의 밴딩파트(260)들이 구성되는바, 즉 상기 제1축봉(241)에는 제1밴딩파트(261)들이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제1축봉(241)에서 내측을 향한 상태로 제1축봉(241)에 고정된 상태이며, 상기 제2축봉(242)에는 제2밴딩파트(262)들이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제2축봉(242)에서 내측을 향한 상태로 제2축봉(242)에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제3축봉(243)에는 제3밴딩파트(263)들이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제3축봉(243)에서 내측을 향한 상태로 제3축봉(243)에 고정된 상태이되 상기 제1밴딩파트(261)들의 위치와 동일선상에서 각 제1밴딩파트(261)와 이웃한 상태이며, 상기 제4축봉(244)에는 제4밴딩파트(264)들이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제4축봉(244)에서 내측을 향한 상태로 제4축봉(244)에 고정된 상태이되 상기 제2밴딩파트(262)들의 위치와 동일선상에서 각 제2밴딩파트(262)와 이웃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1,2축봉(241,242)이 전진 이동될 경우 제1,2밴딩파트(261,262)들도 함께 전진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1,2축봉(241,242)에 각각 링크로 연결된 제3,4축봉(243,244)은 반대로 후진으로 이동되면서 제3,4밴딩파트(263,264)들 또한 함께 후진 이동됨에 따라, 각 제1밴딩파트(261)와 각 제3밴딩파트(263) 사이로 진입된 러그(10a)는 양측면이 제1,3밴딩파트(261,263)에 의해 홀딩되면서 밴딩되며, 각 제2밴딩파트(262)와 각 제4밴딩파트(264) 사이로 진입된 러그(10a)는 양측면이 제2,4밴딩파트(262,264)에 의해 홀딩되면서 밴딩된 상태로, 하부에서 불어오는 열풍에 의해 러그(10a) 표면에 묻은 플럭스 액상이 고르게 건조된다.
물론, 이 경우 열풍이 러그(10a) 부위에만 집중될 수 있도록 타공판(210) 저부를 커버하는 하부판(부호 미표기)의 중앙 길이를 따라 경사막(211)이 상부를 향해 형성되고, 상기 경사막(211)을 기준으로 하부판(부호 미표기)의 좌우 측에는 열풍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통로(부호 미표기)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하부판(부호 미표기)은 상기 타공판(210)의 저부를 커버하는 한편, 링크절(250)의 연결과 밴딩파트(260)들의 고정 결합을 이룬 축봉(240)의 걸착 설치뿐만 아니라, 일측에 구비된 액츄에이터(220) 및 동력전달막대(230)의 설치까지 가능케 하는 부재로서의 역할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밴딩 유닛(200)의 하부에 구성되는 건조 유닛(300)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의 유입 및 배기를 위한 송풍실(310)과, 상기 송풍실의 하부에 구성되어 상기 송풍실로 열풍을 유입시키거나 송풍실에서 배기되는 열풍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관로인 송풍관(32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송풍실(310)은 중앙 위치에 열풍의 유입 공간인 유입실(311)이 구획되어 형성되며, 상기 유입실(311)의 외측 좌우 위치에 열풍의 배기 공간인 배기실(314)이 구획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유입실(311)의 공간은 송풍실(310)의 중앙 부근을 구획하는 내부격벽(313)에 의해 확보되고, 상기 배기실(314)의 공간은 송풍실(310)의 외측 테두리 부근을 구획하는 외부격벽(315)에 의해 상기 내부격벽(313) 사이의 공간으로 확보된다. 물론, 상기 유입실(311) 내의 저면에는 열풍이 분배되어 유입될 수 있게 복수 개의 유입공(312)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실(314) 내의 외측면인 외부격벽(315)의 좌우면에는 열풍이 분배되어 배기될 수 있게 배기구(316)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316)의 저면에 열풍을 배기하는 배기공(317)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송풍실(310)의 저부에는 송풍관(320)이 설치되는바, 이러한 송풍관(320)에 있어서 상기 송풍실(310)의 유입실(311) 내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 유입관(321)과, 상기 송풍실(310)의 배기실(314)로 유입된 열풍을 외부로 배기할 수 있게 형성된 배출관(324)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입관(321)과 상기 송풍실(310)의 사이로는 유입분기관(322)이 더 구성되는바, 이러한 유입분기관(322)은 유입관(321)에서 분기되어 상기 송풍실(310)의 유입실(311) 저면에 형성된 각 유입공(312)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324)과 상기 송풍실(310)의 사이로는 배기분기관(323)이 더 구성되는바, 이러한 배기분기관(323)은 송풍실(310)의 배기구(316) 바닥에 형성된 각 배기공(317)에 분기 형태로 연결되어 배출관(324)에서 집결되는 형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밴딩 유닛(200)과 그 하단에 결합 고정된 건조 유닛(300)은 도 10에 도시된 A-A 절개선을 통하여 도 11에 도시된 구조적 특징을 기반으로 열풍의 이동 경로가 파악될 수 있다.
즉,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판군(10)들의 러그(10a)들은 건조 유닛(300)의 구성품인 타공판(210)의 타공(210a)에 꽂히게 되면, 러그(10a)들이 타공판(210)의 중앙에서 타공판(210)의 내부에 돌출되어 대향된 형태를 가짐에 따라, 하부에 위치된 건조 유닛(300)의 구성품인 송풍관(320)으로서 유입관(321)을 통하여 열풍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유입분기관(322)을 거쳐 유입공(312)을 통하여 유입실(311)로 공급되다가 유입실 상부에 위치한 경사막(211)을 통하여 확산된 열풍이 집결되면서 경사막(211) 상단에서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3밴딩파트(261,263)와 제2,4밴딩파트(262,264)에 의해 밴딩 고정된 러그(10a)는 경사막(211) 상단을 통과하여 좌우로 이동하는 열풍에 의해 그 표면에 묻은 플럭스 액상이 균일하게 건조되고, 이러한 열풍의 이동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타공(210a)을 형성한 절삭각이 직각을 초과한 둔각 범위 내로 형성됨에 따라, 열풍의 기류는 타공(210a) 외부로 유실됨 없이 타공(210a) 내의 진행 방향을 유지하게 되며, 타공(210a) 주변의 외부 공기는 열풍의 기류 진행 방향 주변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열풍의 기류에 빨려 들어오게 되면서 열풍의 기류 진행 방향에 편승됨에 따라, 열풍의 기류로 인하여 러그(10a) 주변에서 야기될 수 있는 분진의 발생 여지를 불식시킴으로써, 러그 표면에 도포된 플럭스 액상의 건조 과정에서 분진과 함께 건조되어 플럭스 액상 건조에 불량이나 하자와 같은 건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처럼, 열풍의 기류와 기류 진행 방향에 대한 타공(210a)의 절삭각 관계는 플럭스 액상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바, 도면 13 내지 15를 참고로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타공(210a)의 절삭각이 열풍의 기류 진행 방향에 대해 90도의 직각일 경우 절삭각의 직각 주변에서 열풍의 와류 현상이 발생되면서 열풍의 기류가 불안정한 상태로 타공(210a)의 외부로 유실되며, 이러한 이유로 러그(210a) 주변에서의 분진까지 발생되어 러그(210a) 표면에 묻은 플럭스 액상의 건조에 균일성을 잃게 된다. 물론, 이때 타공(210a)의 외부로 유실되는 열풍에 의해 분진도 함께 타공(210a) 외부로 비산되면서 타공판(210a)의 주변 부위가 오염되는 문제도 함께 야기된다.
또한, 타공(210a)의 절삭각이 열풍의 기류 진행 방향에 대해 직각 미만인 예각 범위에 있을 경우, 열풍의 기류 상당량이 타공(210a)의 외부로 유실되고, 이러한 이유로 러그(10a) 주변에서의 분진 발생과 함께 러그(10a) 표면에 묻은 플럭스 액상의 건조에 균일성을 잃게 된다. 물론, 이때에도 타공(210a)의 외부로 상당량이 유실되는 열풍에 의해 분진도 함께 타공(210a) 외부로 상당량 비산되면서 타공판(210)의 주변 부위 오염 문제는 여전하다.
한편, 타공(210a)의 절삭각이 열풍의 기류 진행 방향에 대해 직각을 초과한 둔각 범위에 있을 경우, 열풍의 기류는 현 진행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안정화된 기류 진행이 이루어짐에 따라, 타공(210a)의 외부로 열풍의 유실이 발생되지 않고, 이러한 이유로 열풍의 기류 진행 방향을 따라 타공(210a)의 주변 부위에서 흡입력이 발생함에 따라 외부 주변 공기끼지 흡입되어 열풍의 기류 진행에 편승됨으로써, 러그(10a) 표면에 묻은 플럭스 액상 건조의 균일함을 확보할 수 있고, 더욱이 타공판(210a) 주변 부위에 대한 분진 및 플러스 액상의 비산과 같은 오염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열풍은 러그 표면에 묻은 플럭스 액상을 건조하면서 좌우로 이동되다가 곧 하강하며 타공판()의 저면을 커버하는 하부판(부호 미표기)의 좌우에 형성된 배기통로(부호 미표기)를 관통한 다음 그 하부에 위치된 배기실(314)을 통과하고, 그 이후 배기실(314)의 좌우 측에 확보된 배기구(316)를 거쳐 배기공(317)을 통과한 다음 배기분기관(323)을 따라 이동되다가 배출관(32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스테이션에 대한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정렬된 극판군(10)들이 지그 박스(미도시)에 의해 밴딩 유닛(200)의 구성품인 타공판(210)의 상면에 정렬 형성된 각 타공(210a)에 극판군(10)의 러그(10a)가 꽂히게 되면서 상기 밴딩 유닛(200)의 저부에 결합 고정된 건조 유닛(300)으로부터 열풍이 공급되어지면서 러그(10a)의 표면에 묻은 플럭스 액상을 건조시키게 된다.
더욱 상세한 작동 관계를 설명하자면, 타공판(210)의 각 타공(210a)에 꽂힌 극판군(10)들의 각 러그(10a)는 밴딩파트(260)들에 의해 홀딩된 상태로 밴딩되어 있는 관계로 후술되는 열풍력에 의해서도 요동없이 고정 상태를 유지할여 러그(10a) 표면에 묻은 플럭스 액상의 건조에 일조한다.
즉, 액츄에이터(220)의 동력에 의해 동력전달막대(230)의 이동력에 의해 축봉(240)인 제1,2축봉(241,242)이 전진될 때, 링크절(250)로서 제1,2링크절(251,252)에 의해 제1,2축봉(241,242)과 연결된 제3,4축봉(243,244)은 후진되는데, 이때 상기 제1,2축봉(241,242)에서 일정 간극으로 고정 결합 상태에 있는 밴딩파트(260)로서 제1,2밴딩파트(261,262)들 또한 제1,2축봉(241,242)의 전진에 따라 함께 전진 이동되고, 상기 제3,4축봉(243,244)에서 일정 간극으로 고정 결합 상태에 있는 밴딩파트(260)로서 제3,4밴딩파트(263,264)들 또한 제3,4축봉(243,244)의 후진에 따라 함께 후진 이동됨으로써, 러그(10a)의 일측면은 제1,2밴딩파트(261,262)에 의해 밀착되고, 러그(10a)의 타측면은 제3,4밴딩파트(263,264)에 의해 밀착되면서 러그(10a)의 양측면을 홀딩하여 러그(10a)를 밴딩하게 된다.
러그(10a)의 밴딩이 완료되면, 극판군(10)들은 타공판(210)의 상부에서 올려진 형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극판군(10)들의 각 러그(10a)에 묻은 플럭스 액상의 건조를 위해, 유입관(321)을 통하여 열풍이 공급되고, 이러한 열풍은 유입관(321)을 거친 다음 유입분기관(322)을 통하여 유입공(312)에서 유출되면서 유입실(311)에서 확산되고, 곧 유입실(311) 상단에 위치된 경사막(211)을 통하여 확산된 열풍이 집진되면서 경사막(211) 상단의 유출공(부호 미표기)을 통하여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러그(10a)에 묻은 플럭스 액상은 좌우로 분기되며 이동하는 열풍에 의해 건조되는데, 이 과정에서 러그(10a)를 꽂은 타공(210a)의 절삭각이 열풍의 기류 진행 방향에 대해 둔각 범위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열풍의 기류 진행에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고, 특히 타공(210a)의 외부로 열풍이 유실되지 않아 일정한 기류 및 기류량으로 플럭스 액상을 건조함에 따라 러그 건조 과정에서의 하자나 불량 방지가 가능하며, 타공(210a) 외부로 분진 및 플럭스 액상이나 이들의 혼합물 비산이 방지되어 타공판(210)의 외관이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플럭스 액상을 건조하며 지나가는 열풍 기류는 곧 하강하면서 타공판(210)의 저면을 커버하는 하부판(부호 미표기)의 좌우에 형성된 배기통로(부호 미표기)를 통과하여 배기실(314)에 도달하게 되고, 곧 배기실(314)의 좌우에 확보된 배기구(316)의 바닥에 형성된 배기공(317)을 통하여 배기분기관(323)을 따라 이동되다가 배출관(32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이와 같은 열풍 기류의 순환으로 하나의 스테이션(100)에서 러그의 밴딩과 함께, 러그 표면에 묻은 플럭스 액상의 건조가 이루어짐으로써, 러그 표면 건조의 균일함 및 러그 표면의 매끄러운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개시한 하나의 스테이션(100)에 밴딩 유닛(200)과 건조 유닛(300)이 함께 설치되어 러그 표면에 묻은 플럭스 액상의 건조에 하자 및 불량을 줄이고, 러그가 꽂히는 밴딩 유닛(200)의 구성품인 타공판(210) 주변으로 분진 및 플럭스 액상의 비산을 방지하여 타공판(210) 외관의 오염 문제를 해소하며, 극판군의 밴딩 및 러그 표면의 건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단축에 따른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아울러 유닛의 제작 비용까지 절감하는 특징이 있다.
반면, 기존의 경우 러그를 건조하기 위한 유닛과 러그를 밴딩하기 위한 유닛이 각각 분리되어 있는 관계로 축전지 제품을 완성하기까지의 공정 효율성이 저하되고, 유닛들의 제작 비용도 증가되며, 특히 러그의 건조 과정에서 타공판으로 비산되는 분진이나 플럭스 액상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인하여 타공판의 외관이 훼손되는 단점은 여전하다.
100 : 스테이션
200 : 밴딩 유닛 210 : 타공판
210a : 타공 211 : 경사막
220 : 액츄에이터 230 : 동력전달막대
240 : 축봉 250 : 링크절
260 : 밴딩파트
300: 건조 유닛
310: 송풍실 311: 유입실
320: 송풍관 321: 유입관
324: 배출관

Claims (6)

  1. 극판군의 러그를 밴딩하여 고정하는 밴딩 유닛; 상기 밴딩 유닛의 하부에 구축되어 상기 밴딩 유닛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극판군의 러그 표면을 건조하는 건조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밴딩 유닛 및 상기 건조 유닛이 하나의 스테이션에 통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밴딩 유닛의 구성품으로 타공판의 상부에 정렬 형성된 타공의 절삭각은 상기 건조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의 기류 진행 방향에 대하여 둔각 범위 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 유닛은,
    상부에 정렬 형성된 채 극판군의 러그가 꽂히는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타공판;
    상기 타공판의 저부를 커버하며 결합된 채, 상기 건조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을 러그 방향으로 집중 공급하도록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며 형성된 경사막과, 러그 표면을 건조시키며 지나가는 열풍 기류를 상기 건조 유닛으로 되돌려 보내로록 상기 경사막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형성된 배기통로로 구성된 하부판;
    상기 하부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결된 채 상기 하부판의 일측과 상기 액츄에이터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막대;
    상기 동력전달막대의 좌우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판의 타측에 걸림되는 방식으로 장착되어 상기 동력전달막대의 전후퇴 이동 거리만큼 연동하며 이동됨과 동시, 상기 동력전달막대의 전후퇴 이동 거리만큼 역으로 연동하며 이동되는 다수의 축봉; 및
    축봉들의 길이에 걸쳐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축봉들의 내측을 향해 고정 결합된 상태로 상기 동력전달막대의 전진 시에 함께 전진 운동함과 동시 후진 운동에 의해 상기 러그의 양측면을 밴딩하여 극판군을 고정하게 되는 다수의 밴딩파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은,
    상기 밴딩 유닛으로 열풍을 공급하거나 회수하기 위하여 마련된 송풍실;
    상기 송풍실의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실로 열풍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송풍실로부터 열풍을 회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송풍관;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실은, 상기 송풍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을 받아들여 상기 밴딩 유닛으로 공급하는 유입실;
    상기 밴딩 유닛으로부터 회수되는 열풍을 받아들여 상기 송풍관으로 배출하는 배기실;
    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실의 공간 확보를 위해 구획되며, 상기 밴딩 유닛으로 공급되는 열풍의 유실을 차단하는 내부격벽;
    상기 배기실의 공간 확보를 위해 송풍실의 외측 테두리에 구획되며, 상기 밴딩 유닛으로부터 회수되는 열풍의 외부 유실을 차단하는 외부격벽;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은, 유입실의 수직 중앙 저부 선상에 설치되어 열풍을 상기 유입실로 공급하는 배관로인 유입관;
    상기 유입관 및 상기 유입실의 저부 일측과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열풍을 상기 유입실로 분기하여 공급하는 배관 분기 관로인 유입분기관;
    배기실의 좌우편에 각각 확보되어 상기 배기실로부터 회수되는 열풍을 받아들이는 배기구를 포함하고, 배기실에 회수된 열풍을 분기하는 배관 분기 관로인 배기분기관; 및
    상기 배기분기관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분기관을 통하여 회수되는 열풍을 모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관로인 배출관;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
KR1020150141426A 2015-10-08 2015-10-08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 KR101726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426A KR101726727B1 (ko) 2015-10-08 2015-10-08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426A KR101726727B1 (ko) 2015-10-08 2015-10-08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727B1 true KR101726727B1 (ko) 2017-04-14

Family

ID=5857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426A KR101726727B1 (ko) 2015-10-08 2015-10-08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7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433B1 (ko) 2022-07-11 2022-11-22 주식회사 모아이에스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조립시스템
KR102469432B1 (ko) 2022-07-11 2022-11-22 주식회사 모아이에스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조립장치
EP4174974A1 (en) * 2021-10-28 2023-05-03 Lee, Kye-seol Flag forming device after laser notching of secondary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2718A (ja) * 1994-03-29 1995-10-20 Yuasa Corp 鉛蓄電池の製造法とその装置
KR100273720B1 (ko) * 1997-06-28 2000-12-15 하기호 밧데리 셀의 전조차입 방법
KR100451226B1 (ko) 2002-01-29 200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전극 조명기기의 초기점등 촉진구조
KR100541227B1 (ko) 2002-10-17 2006-01-10 (주)홍익 하이엠 축전지 극판 취급용 바스킷 클램핑장치
KR100541228B1 (ko) 2002-11-09 2006-01-11 (주)홍익 하이엠 축전지 극판집속체 운반용 취급장치
KR20070088672A (ko) * 2004-11-22 2007-08-29 지디 테크놀로지스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팩들을 형성하고 이 팩들을 배터리 케이스들 내에위치하도록 배터리 판들을 결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8081315A (ja) 2006-08-30 2008-04-10 Masao Yamashita 粘着テープカッター
US20120240394A1 (en) * 2009-08-20 2012-09-27 Vb Autobatterie Gmbh & Co. Kgaa Device for fitting and equipping motor vehicle battery housing
KR101326446B1 (ko) 2012-09-18 2013-11-07 세방전지(주) 차량용 축전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2718A (ja) * 1994-03-29 1995-10-20 Yuasa Corp 鉛蓄電池の製造法とその装置
KR100273720B1 (ko) * 1997-06-28 2000-12-15 하기호 밧데리 셀의 전조차입 방법
KR100451226B1 (ko) 2002-01-29 200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전극 조명기기의 초기점등 촉진구조
KR100541227B1 (ko) 2002-10-17 2006-01-10 (주)홍익 하이엠 축전지 극판 취급용 바스킷 클램핑장치
KR100541228B1 (ko) 2002-11-09 2006-01-11 (주)홍익 하이엠 축전지 극판집속체 운반용 취급장치
KR20070088672A (ko) * 2004-11-22 2007-08-29 지디 테크놀로지스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팩들을 형성하고 이 팩들을 배터리 케이스들 내에위치하도록 배터리 판들을 결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8081315A (ja) 2006-08-30 2008-04-10 Masao Yamashita 粘着テープカッター
US20120240394A1 (en) * 2009-08-20 2012-09-27 Vb Autobatterie Gmbh & Co. Kgaa Device for fitting and equipping motor vehicle battery housing
KR101326446B1 (ko) 2012-09-18 2013-11-07 세방전지(주) 차량용 축전지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74974A1 (en) * 2021-10-28 2023-05-03 Lee, Kye-seol Flag forming device after laser notching of secondary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KR102469433B1 (ko) 2022-07-11 2022-11-22 주식회사 모아이에스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조립시스템
KR102469432B1 (ko) 2022-07-11 2022-11-22 주식회사 모아이에스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727B1 (ko) 축전지 러그의 밴딩 및 건조를 위한 통합형 스테이션
EP3306210A1 (en) Heat exchange ventilation device
US8462495B1 (en) Disk drive carrier and disk drive enclosure cooling system
CN201861590U (zh) 一种可移动式干地机
KR100941842B1 (ko) 미니환경방식의 반도체 제조장치에서의 에어커튼 형성장치
DE112016004188B4 (de) Batteriepack
US20080189973A1 (en) Condenser Tumble-Dryer
US9731581B2 (en) Vehicle door and door module with multi-portion door carrier
EP3236065A1 (en) Wind turbine and method for guiding cooling air to an electric machine
RU2012116781A (ru) Пылесб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и электриче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IT201800003388A1 (it) “Componente di raffreddamento per motore elettrico”
JP2021500699A (ja) 水管理嵌合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たモジュール式筐体
CN215523945U (zh) 一种ctp版材生产用的烘干设备
BR112014028999B1 (pt) alojamento de máquina para receber componentes de estator e componentes de rotor de uma máquina elétrica
WO2014111162A1 (en) Housing for a pleated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112934811A (zh) 一种电芯壳喷淋清洗装置及电芯壳生产线
FI79809B (fi) Anordning foer uppvaermning av passagerarutrymmen eller liknande, isynnerhet i bussar.
KR102131613B1 (ko) 배터리케이스 및 이의 제작 방법
TWI246976B (en) Method of manufacturing ventilating device and the ventilating device
SE520824C2 (sv) Ramanordning för infästning av bredvid varandra anordnade filterpåsar
CN210357918U (zh) 一种烘箱用气翼式喷嘴
KR102227711B1 (ko) 필터재 카세트 및 필터재 카세트를 탑재하기 위한 필터재 박스
CN210230960U (zh) 一种实验室通风柜
CN210599344U (zh) 一种便于散热的空压机箱
CN203867973U (zh) 压缩机外壳组件及具有压缩机外壳组件的涡轮发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