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067B1 -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 - Google Patents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067B1
KR101150067B1 KR1020090108946A KR20090108946A KR101150067B1 KR 101150067 B1 KR101150067 B1 KR 101150067B1 KR 1020090108946 A KR1020090108946 A KR 1020090108946A KR 20090108946 A KR20090108946 A KR 20090108946A KR 101150067 B1 KR101150067 B1 KR 101150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thin film
rice thin
housing
noo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2064A (ko
Inventor
이상귀
Original Assignee
이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철 filed Critical 이병철
Priority to KR1020090108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067B1/ko
Publication of KR20110052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6/00Other treatment of flour or dough before baking, e.g. cooling, irradiating,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쌀을 분쇄하여 졸(sol) 상태로 만들어 가열하여 겔(gel) 상태로 만들고 이를 건조한 후에 절단하여 쉬트(Sheet)의 형태로 만든 후, 국수의 두께로 절단하기 위한 장치들로 이루어지는 쌀국수 제조장치의 구성 중에서, 가열공정을 통해 겔(gel) 상태로 제공되는 쌀박막에 포함된 수분을 제한된 공간에서 빠른 시간 내에 건조하기 위한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
Figure R1020090108946
쌀국수, 쌀박막(rice film), 건조, 다층 컨베이어 레이어

Description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a rice film drying device for a rice noodle manufactur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과정을 거쳐 고형화된 쌀박막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수는 밀가루를 적당한 물과 혼합하여 반죽한 재료를 일정한 굵기로 뽑아낸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국수는 사계절, 다양한 요리를 행하면서 즐기는 식품으로서, 주로 서민들이 값싸고 맛나게 즐길 수 있는 대중 식품이다.
그러나, 종래의 국수는 단순히 밀가루만을 사용하므로서 타 음식물에 비해 영양이나 건강의 유익면에서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상기 국수에 다양한 재료를 부가하므로서 다양한 맛과 함께 영양이나 건강에 유익을 증대하는 건강 국수가 다양하게 개시된바 있다.
일반적인 국수면은 쌀로 만든 국수의 단점 때문에 주로 밀가루(소맥분)를 이용하여 만들어 왔으나, 영양 성분의 면에서 쌀이 우수하고 문화적인 특성상 한국사 람에게는 쌀이 더 적합하다는 등의 여러 이유에서, 쌀을 이용하여 국수면을 제조하고자 하려는 여러 가지 제안이 있어 왔다.
그러나, 쌀국수면은 마른 상태의 면이 뚝뚝 끊어짐이 많고, 오래 삶으면 쉽게 퍼지며, 입에 들어갔을 때 다소 거칠고, 쫄깃함이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쌀국수면으로서 제안되어 있는 예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출원 번호 10-1992-0006009 (특허권자: 성호정) "즉석 쌀국수의 제조방법"의 특허등록공보에는 쌀가루와 소맥분을 혼합한 곡물가루를 이용하여 만든 쌀국수면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기재된 쌀국수면은 끊는 물에 넣어 3분정도 지나면 취식이 가능하게 제조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번호 10-2002-0035628 (출원인: 김용규, 김윤규) "쌀국수의 제조방법"의 공개공보에는, 쌀가루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콩가루, 버섯가루, 다시마가루, 옥수수가루, 홍화씨가루를 일정비율로 첨가하여 제조되는 쌀국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쌀국수의 경우 면이 뚝뚝 끊어지고 약간만 오래 삶아도 퍼지기 쉽기 때문에 목넘김이 나쁘고 삶는 시간을 맞추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는데, 상기한 종래의 쌀국수면의 경우에는 이러한 종래 쌀국수의 단점을 전혀 해결하고 있지 않다.
지금까지 공개된 쌀국수 제조 방법은 공통적으로 쌀 가루에 물을 넣고, 이를 반죽하여 국수 면발의 지름을 갖는 구멍이 다수 개 형성된 노즐에 고압으로 밀착시켜 세면(細麵)을 만드는 방법을 통해 생산된다.
따라서, 반죽과정에 따른 시간 및 에너지가 소요된다. 쌀 반죽은 시간이 지나면서 고형화되므로 보관시간이 짧다. 또한, 생산시 노즐에 반죽의 일부가 부착 되어 노즐이 막히는 등 불편한 요소를 갖는다. 따라서, 쌀국수 제조시 쌀분말을 반죽하는 방식이 아닌 제조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반죽을 위한 공정이 필요하지 않은 쌀국수 제조 장치에서 가열 공정을 마친 쌀박막(rice film)에 포함된 수분을 빠른 시간 내에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한된 공간 내에서 다량의 쌀박막을 건조할 수 있는 쌀박막 건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는 고온 상태에 노출되는 시간을 충분히 가질 수 있도록 고온의 하우징 내에 다층의 컨베이어 레이어를 형성하여 쌀박막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의 다른 특징은 하우징 내부에서 건조 공정에 따라 발생하는 수분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 건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가열공정을 거쳐 겔(gel) 상태의 쌀박막을 공급하는 쌀박막 공급부;상기 쌀박막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쌀박막을 건조시키는 쌀박막 건조부; 및 상기 쌀박막 건조부에 의해 건조된 쌀박막을 외부로 이송하는 쌀박막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 은 상기 쌀박막 공급부가 일단부가 상기 쌀박막 건조부의 일측 상단에 평행하게 연결된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guide frame); 각 가이드 프레임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외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프라킷(sprocket); 상기 스프라킷에 연결되어 무한 궤도를 이루는 한 쌍의 체인(chain); 상기 두 체인에 각각 종단부가 연결되어, 체인의 이동 방향에 따라 쌀박막을 이송하는 다수의 바(ba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의 다른 특징은 상기 쌀박막 공급부는 가열공정을 거쳐 겔(gel) 상태로 전달되는 쌀박막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지지대가 연결된 냉각 팬(fan)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쌀박막 건조부가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또는 양측벽에 설치되어, 보일러로부터 열 공급원을 전달받아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열을 발산하는 발열 파이프; 및 상기 쌀박막 공급부로부터 제공된 쌀박막을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로 점진적으로 이송하는 다층(多層)의 컨베이어 레이어(conveyor layers)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발열 파이프는 고온의 온수 또는 고온의 스팀에 의해 발열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컨베이어가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양단에 스프라킷(sprocket)이 형성되어 서로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회전롤러; 서로 이격된 상기 회전롤러 양단의 스프라킷에 연결되어 무한 궤도를 이루는 한 쌍의 체인(chain); 상기 두 체인에 각각 종단부가 연결되어, 체인의 이동 방향에 따라 쌀박막을 이송하는 다수의 바(bar)를 포함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바(bar) 표면에 고온 다습한 쌀박막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질이 코팅된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쌀박막 건조부가 건조과정에서 쌀박막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방법은 가열공정을 마친 쌀박막을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쌀박막 건조부의 하우징으로 공급하는 과정; 다층의 컨베이어 레이어를 이용하여 쌀박막을 고온의 하우징 내부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시키면서 건조하는 과정; 및 건조가 완료된 쌀박막을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다층의 컨베이어 레이어를 이용하므로 제한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둘째, 고온 상태의 밀폐된 공간에서 쌀박막을 이동시키므로 수분 배출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셋째, 다층의 컨베이어 레이어를 이용하므로 고온 상탱에 쌀박막이 노출되어 있는 시간을 늘일 수 있다.
넷째, 가열과정에서 미처 익지 않았던 부분을 고온의 하우징 내에서 충분히 익힐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쌀국수 제조 장치는 쌀을 분쇄하여 졸(sol) 상태로 만들어 가열하여 겔(gel) 상태로 만들고 이를 건조한 후에 절단하여 쉬트(Sheet)의 형태로 만든 후, 국수의 두께로 절단하기 위한 장치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쌀국수 제조 장치의 구성 중에서, 가열공정을 통해 겔(gel) 상태로 제공되는 쌀박막에 포함된 수분을 제한된 공간에서 빠른 시간 내에 건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는 그 기능에 따라 크게 세 개의 구성 요소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가열공정을 거쳐 겔(gel) 상태의 쌀박막을 공급하는 쌀박막 공급부(110), 상기 쌀박막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쌀박막을 건조시키는 쌀박막 건 조부(120) 및 상기 쌀박막 건조부(120)에 의해 건조된 쌀박막을 외부로 이송하는 쌀박막 이송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는 가열 공정과 냉각 공정의 사이에서 가열된 쌀박막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쌀박막 이송부(130)는 건조된 쌀박막을 냉각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전달하는 동작을 구현한다.
상기 쌀박막 건조부(120)의 내부 측벽에는 열을 발산하는 발열 파이프(도 9를 통해 설명)가 형성된다. 상기 쌀박막 공급부(120)로부터 제공된 쌀박막을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로 점진적으로 이송하는 다층(多層)의 컨베이어 레이어(conveyor layers)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우징 내부로는 파이프(11)를 통해 보일러(10)로부터 고온의 물 또는 고온의 스팀이 제공된다. 하우징의 상부에는 하우징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흡입팬(180)이 설치된다. 상기 흡입팬(180)에는 배출관(181)이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쌀박막 건조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쌀박막 공급부를 구동하여 가열공정을 마친 쌀박막을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쌀박막 건조부의 하우징으로 공급한다 (S201).
이어, 다층의 컨베이어 레이어를 이용하는 상기 쌀박막 건조부에서 공급된 쌀박막을 고온의 하우징 내부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시키면서 건조시킨다 (S202).
이어, 건조가 완료된 쌀박막을 외부, 다시 말해 냉각 장치로 이송하는 과정(S2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를 좌측에서 바라본 예시도이고, 도 4는 쌀박막 공급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쌀박막 공급부(110)는 일단부가 상기 쌀박막 건조부(120)의 하우징(121) 일측 상단에 평행하게 연결된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guide frame)(111), 각 가이드 프레임(111)의 양단부에는 양종단부에 스프라킷(sprocket)(112)이 형성된 한 쌍의 회전롤러(115)가 장착되어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115)는 서로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다. 서로 이격된 두 회전롤러(115) 양종단부에 형성된 스프라킷(112)에는 무한 궤도를 이루는 한 쌍의 체인(chain)(113)이 연결된다. 체인의 이동 방향에 따라 쌀박막을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바(bar)(114)들이 상기 두 체인(113)의 사이에 배치된다. 다수의 바(114)들은 균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111)에 중간 부분에는 상기 가열공정을 거쳐 겔(gel) 상태로 전달되는 쌀박막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냉각팬(fan)(140)이 설치된다.
쌀박막 이송부(130)의 구성은 상기 쌀박막 공급부(11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과 한 쌍의 회전롤러 및 스프라킷과 체인 등을 구비한다. 다만, 위에 적재된 쌀박막의 상태가 다르다. 다시 말해, 쌀박막 공급부는 가열과정을 거쳐 수분이 많은 쌀박막을 건조부로 이송하는 반면, 쌀박막 이송부는 건조과정을 거쳐 수분이 제거된 쌀박막을 후단의 냉각장치로 이송한다.
도 5는 쌀박막 건조부를 이루는 다층의 컨베이어 레이어의 구성을 전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컨베이어 레이어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 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1)의 내부에는 다수의 컨베이어(conveyor)들이 층(層)(layer)을 이루며 배치된다. 각 컨베이어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각 컨베이어는 위에서 설명한 쌀박막 공급장치(110)의 구성 요소와 비교할 때, 가이드 프레임을 제외하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우징 내부에 모두 7개의 컨베이어 레이어를 갖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는 발명의 설명을 위한 한정이며, 본 발명의 개념이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컨베이어 레이어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가지고 부여된 번호를 가지고 설명한다.
먼저, 하나의 컨베이어 레이어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회전롤러를 갖는다. 각 회전롤러의 양 종단부에는 한 쌍의 스프라킷이 형성된다. 쌀박막의 진행방향에 위치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스프라킷들은 체인에 의해 연결된다. 그 중 하나의 스프라킷이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 체인에 의해 전달된 힘에 의해 연결된 스프라킷이 회전을 이루면서 두 스프라킷을 연결하는 체인이 무한궤도를 이룬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두 체인의 사이에는 다수의 바(bar)들이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연결된다.
하우징의 최상부에 위치한 제 1 레이어의 컨베이어를 예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롤러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라킷(151)과 체인에 의해 그 스프라킷(151)에 연결된 스프라킷(152)이 쌍을 이룬다.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스프라킷은 홀수 번호를 그와 쌍을 이루는 스프라킷은 짝수 번호를 부여한다. 또한, 짝수 번호를 갖는 스프라킷은 홀수번호를 갖는 스프라킷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그 지름이 작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쌀박막이 진행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스프라킷의 지름이 작아 경사를 이루게 되므로 쌀박막이 좀 더 쉽게 이동될 수 있다.
한편, 그 아래에 위치한 제 2 레이어의 스프라킷 쌍(161, 162)은 제 1 레이어의 컨베이어에 속하는 스프라킷(151, 152)들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제 1 레이어의 스프라킷들(151, 15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고 가정하면 제 2 레이어의 스프라킷들(161, 162)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홀수 레이어의 컨베이어에 포함된 스프라킷들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짝수 레이어의 컨베이어에 포함된 스프라킷들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상기 쌀박막 공급부(110)에 포함된 다수의 바(bar)와 쌀박막 건조부(120)에 포함되는 다수의 바(bar) 표면에는 고온 다습한 쌀박막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질(116)이 코팅된다. 본 발명에서 각 컨베이어에 포함된 다수의 바(bar)는 동일한 용도 및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번호(114)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7은 쌀박막 건조부를 이루는 다층의 컨베이어 레이어의 구성을 좌측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즉, 최상위 컨베이어 레이어를 예로 들자면, 스프라킷들(151, 151-1)은 회전롤러의 양종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스프라킷들(151, 151-1)은 체인에 의해 구동된다. 각 체인들에는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바(bar)가 연결된다.
도 8a 내지 도 8c는 쌀박막 건조부를 이루는 다층의 컨베이어 레이어의 동작 에 따라 쌀박막이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a는 쌀박막 공급부를 통해 쌀박막 건조부를 이루는 최상위 컨베이어 레이어(제 1 레이어)에 쌀박막이 전달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쌀박막 공급부의 종단부에 형성된 스프라킷을 지난 쌀박막은 자유 낙하에 의해 최상위 컨베이어 레이어에 포함된 바(bar)에 도달한다. 쌀박막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스프라킷(151, 152)에 의해 이동하는 바(bar) 위에 적재된 상태로 이송된다.
도 8b는 최상위 컨베이어 레이어의 종단부에서 쌀박막이 자유 낙하에 의해 차상위 컨베이어 레이어(제 2 레이어)의 바(bar) 위로 도달하는 것을 나타낸다. 차상위 컨베이어 레이어를 이루는 스프라킷들(161, 162)은 최상위 컨베이어 레이어의 진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동작된다. 즉,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므로 쌀박막은 최초 진행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송된다.
도 8c는 차상위 컨베이어 레이어(제 2 레이어)의 종단부에서 쌀박막이 자유 낙하에 의해 차차상위 컨베이어 레이어(제 3 레이어)의 바(bar) 위로 도달하는 것을 나타낸다. 차차상위 컨베이어 레이어는 상기 최상위 컨베이어 레이어와 동일한 방향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쌀박막은 최초 이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쌀박막 건조부는 다층의 컨베이어 레이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하위 컨베이어 레이어들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동된다. 도 8d에서와 같이, 최하위 컨베이어 레이어는 최상위 컨베이어 레이어와 동일한 방향 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그 위에 적재된 쌀박막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된다.
도 9는 하우징 내부 측벽에 구비되는 발열 파이프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발열 파이프(170)가 설치된다. 상기 발열 파이프(170)에는 보일러(10)로부터 고온의 물 또는 고온의 스팀이 전달된다. 따라서,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열을 발산한다. 본 실시 예는 발열 파이프가 하우징의 일측벽에 설치된 것을 예로 하고 있으나, 하우징 내부 양측 벽 또는 상·하부에 설치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하우징(121)의 상부에는 흡입팬(180)이 설치되어 건조과정에서 쌀박막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흡입팬(180)에 의해 흡입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관(181)을 연결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쌀박막 건조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쌀박막 공급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를 좌측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도 5는 쌀박막 건조부를 이루는 다층의 컨베이어 레이어의 구성을 전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도 6은 쌀박막 건조부를 이루는 다층의 컨베이어 레이어의 구성 및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쌀박막 건조부를 이루는 다층의 컨베이어 레이어의 구성을 좌측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도 8은 쌀박막 건조부를 이루는 다층의 컨베이어 레이어의 동작에 따라 쌀박막이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하우징 내부 측벽에 구비되는 발열 파이프의 설치 예시도이다.

Claims (11)

  1. 가열공정을 거쳐 겔(gel) 상태의 쌀박막을 공급하는 쌀박막 공급부;
    상기 쌀박막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쌀박막을 건조시키는 쌀박막 건조부; 및
    상기 쌀박막 건조부에 의해 건조된 쌀박막을 외부로 이송하는 쌀박막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쌀박막 건조부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설치되며, 보일러로부터 열 공급원을 전달받아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열을 발산하는 발열 파이프; 및
    상기 쌀박막 공급부로부터 제공된 쌀박막을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로 점진적으로 이송하는 다층(多層)의 컨베이어 레이어(conveyor layers)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쌀박막 공급부는,
    일단부가 상기 쌀박막 건조부의 일측 상단에 평행하게 연결된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guide frame);
    각 가이드 프레임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외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프라킷(sprocket);
    상기 스프라킷에 연결되어 무한 궤도를 이루는 한 쌍의 체인(chain);
    상기 두 체인에 각각 종단부가 연결되어, 체인의 이동 방향에 따라 쌀박막을 이송하는 다수의 바(ba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쌀박막 공급부는 가열공정을 거쳐 겔(gel) 상태로 전달되는 쌀박막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냉각 팬(fan)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공급원은 보일러로부터 제공되는 고온의 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공급원은 보일러로부터 제공되는 고온의 스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파이프는 하우징 내부 양측 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양단에 스프라킷(sprocket)이 형성되어 서로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회전롤러;
    서로 이격된 상기 회전롤러 양단의 스프라킷에 연결되어 무한 궤도를 이루는 한 쌍의 체인(chain);
    상기 두 체인에 각각 종단부가 연결되어, 체인의 이동 방향에 따라 쌀박막을 이송하는 다수의 바(b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
  9. 삭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쌀박막 건조부는,
    건조과정에서 쌀박막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흡입팬;
    상기 흡입팬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
  11. 삭제
KR1020090108946A 2009-11-12 2009-11-12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 KR101150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946A KR101150067B1 (ko) 2009-11-12 2009-11-12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946A KR101150067B1 (ko) 2009-11-12 2009-11-12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064A KR20110052064A (ko) 2011-05-18
KR101150067B1 true KR101150067B1 (ko) 2012-05-31

Family

ID=4436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946A KR101150067B1 (ko) 2009-11-12 2009-11-12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0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608A (ko) * 2003-10-29 2005-05-03 송재순 곡물을 이용한 건과자 가공장치 및 제조방법
KR20050059006A (ko) * 2005-03-28 2005-06-17 이상열 "원적외선"을 다목적 식품재료 및 사료에 투입,발효·숙성 "마이크로파"유전가열 고속건조 분말재료 및사료생산 시스템
KR100873969B1 (ko) * 2008-06-18 2008-12-12 장인락 쌀국수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608A (ko) * 2003-10-29 2005-05-03 송재순 곡물을 이용한 건과자 가공장치 및 제조방법
KR20050059006A (ko) * 2005-03-28 2005-06-17 이상열 "원적외선"을 다목적 식품재료 및 사료에 투입,발효·숙성 "마이크로파"유전가열 고속건조 분말재료 및사료생산 시스템
KR100873969B1 (ko) * 2008-06-18 2008-12-12 장인락 쌀국수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064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5108B2 (ja) 即席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73407B2 (ja) 米麺の製造方法
ES2386793B2 (es) Método para producir arroz alfarizado y arroz alfarizado producido por el método.
WO2013125529A1 (ja) 麺線蒸煮方法及び麺線蒸煮装置
ES2245209A1 (es) Aparato para la produccion de productos alimenticios en dos capas.
KR101150015B1 (ko)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가열장치
KR101964176B1 (ko) 김부각 제조장치
KR200395889Y1 (ko) 터널 수하식 농산물 건조장치
KR101150067B1 (ko)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
JP6523676B2 (ja) 食品炒め装置、食品炒め方法及び炒め食品を製造する方法
EP1306016B1 (en) Noodle gelating device
JP2014008001A (ja) 焼菓子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366121B1 (ko) 어묵 양면 구이기
JPH1132738A (ja) 味付焼海苔の製造装置
KR101345255B1 (ko) 츄러스 제조용 유탕기
KR20230158751A (ko) 구이김 제조장치
JP2011115087A (ja) 層状食品製造装置及び方法
KR101257682B1 (ko) 어포구이제조장치
KR20110052820A (ko) 쌀국수 제조 장치용 쌀박막 절단 장치
JP2005102660A (ja) 三重の複合材料層を具える生食品成型設備
TWM586958U (zh) 即食粉圓加工設備
JP2004208837A (ja) 厚玉子焼の焼成方法および焼成装置
JP4693705B2 (ja) 食品の製造方法
JP2005341932A (ja) 食材冷却装置、これを用いる食材加工システム及び食材冷却方法
KR20230073703A (ko) 부각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각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