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971B1 -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3971B1 KR101143971B1 KR1020050075658A KR20050075658A KR101143971B1 KR 101143971 B1 KR101143971 B1 KR 101143971B1 KR 1020050075658 A KR1020050075658 A KR 1020050075658A KR 20050075658 A KR20050075658 A KR 20050075658A KR 101143971 B1 KR101143971 B1 KR 1011439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or
- ratchet
- way clutch
- reel
- spinning ree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8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41000276420 Lophius pisca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61 Mg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11 Urethane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6 Polyaceta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81 dep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00 immo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56 stainless stee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6—Ratchet-type driv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과제] 톱니 멈춤쇠식의 원웨이 클러치에 있어서, 래칫 휠의 래칫 톱니가 래칫 톱니 멈춤쇠에 맞물릴 때의 진동을 억제한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32)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3)에 설치되는 클러치이며, 래칫 휠(42)과, 래칫 톱니 멈춤쇠(43)와, 압박 부재(44)와, 방진(防振) 부재(45)를 구비하고 있다. 래칫 휠(42)은 로터(3)에 고정되고 내주(內周)에 톱니상의 래칫 톱니(42b)가 형성된 링상의 것이다. 래칫 톱니 멈춤쇠(43)는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통상(筒狀) 부재(40)에 래칫 톱니(42b)에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와 래칫 톱니(42b)로부터 이탈하는 맞물림 해제 위치 간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톱니 멈춤쇠이다. 압박 부재(44)는 래칫 톱니 멈춤쇠(43)를 적어도 맞물림 위치 측으로 압박하는 부재이다. 방진 부재(45)는 래칫 휠(42)과 로터(3) 간에 개장(介裝, 부재 간에 설치하는 것)된 부재이다. 원웨이 클러치(32)는 로터(3)와 통상 부재(40)를 로터(3)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만 연결한다.
스피닝 릴, 원웨이 클러치, 래칫 휠, 래칫 톱니 멈춤쇠, 압박 부재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2는 상기 스피닝 릴의 제동부의 단면 확대도.
도 3은 상기 스피닝 릴의 스풀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도.
도 5는 도 1의 V-V 단면도.
도 6은 제동 해제 상태와 소정 제동 상태에서의 제2 레버 부재의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7은 도 2의 VII-VII 단면도.
도 8은 래칫 휠의 단면 확대도.
도 9는 드랙 발음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상기 드랙 발음 기구의 단면 확대도.
도 11은 상기 드랙 발음 기구의 톱니 멈춤쇠 부재가 중립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의 배면도.
도 12는 상기 톱니 멈춤쇠 부재가 제1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의 배면도.
도 13은 상기 톱니 멈춤쇠 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의 배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도 1에 상당하는 측면 일부 파단도.
도 15는 제2 실시예의 역회전 금지 상태의 도 7에 상당하는 도면.
도 16은 제2 실시예의 역회전 허가 상태의 도 7에 상당하는 도면.
도 17은 제2 실시예의 역회전 금지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제2 실시예의 도 8에 상당하는 도면.
도 19는 다른 실시예의 도 8에 상당하는 도면.
도 20은 다른 실시예의 도 8에 상당하는 도면.
<부호의 설명>
2, 102 : 릴 본체 3, 103 : 로터
3a, 103a : 원통부 3d, 103d : 전벽
6 : 레버 브레이크 기구 17 : 제동 레버
32, 132 : 원웨이 클러치 40 : 통상 부재
42, 142 : 래칫 휠 42e : 간극
43, 143 : 래칫 톱니 멈춤쇠
44 : 용수철 부재 (양방향 압박 부재의 일례)
45, 145 : 방진 부재 42f, 42g : 링 장착 홈
90, 91 : 링 부재 106 : 역회전 금지 기구
144 : 압박 기구 150 : 맞물림 방향 압박 부재
151 : 맞물림 해제 방향 압박 부재
본 발명은, 원웨이 클러치 특히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에 설치되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의 로터에는 비교적 기구가 간단하고 염가의 톱니 멈춤쇠식의 원웨이 클러치가 넓게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는 역회전 금지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에는, 로터와 릴 본체 간에 설치된 원웨이 클러치가 역회전 금지 기구에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레버 브레이크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에는, 로터와 브레이크 레버에 의하여 제동되는 제동 부재 간에 설치된 원웨이 클러치가 레버 브레이크 기구에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역회전 금지 기구에 이용되는 원웨이 클러치는 로터에 예를 들어, 볼트에 의하여 고정된 래칫 휠과, 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래칫 톱니 멈춤쇠와, 래칫 톱니 멈춤쇠를 래칫 휠을 향하여 압박하는 압박 기구와, 래칫 톱니 멈춤쇠를 강제적으로 맞물림 해제 위치에 배치하는 온 오프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래칫 휠에는 내주면(內周面)에 톱니상의 래칫 톱니가 형성되고, 래칫 톱니 멈춤쇠는 래칫 휠에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와 래칫 휠로부터 이탈하는 맞물림 해제 위치 간에 요동 가능하게 릴 본체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주면에 래칫 톱니를 형성한 원웨이 클러치는, 외주면(外周面)에 래칫 톱니를 형성한 원웨이 클러치에 비하여 래칫 톱니의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래칫 톱니의 피치(pitch)를 세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래칫 톱니 멈 춤쇠의 맞물림 위치를 세세하게 설정할 수 있어 로터의 역회전 방지나 로터의 제동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레버 브레이크 기구에 이용되는 원웨이 클러치는, 로터에 예를 들어, 볼트에 의하여 고정된 래칫 휠과,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동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래칫 톱니 멈춤쇠와, 래칫 톱니 멈춤쇠를 래칫 휠을 향하여 압박하는 압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래칫 휠에는 내주면에 톱니상의 래칫 톱니가 형성되고, 래칫 톱니 멈춤쇠는 래칫 휠에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와 래칫 휠로부터 이탈하는 맞물림 해제 위치 간에 요동 가능하게 제동 부재에 설치되어 있다.
역회전 금지 기구에 이용되는 원웨이 클러치는 로터가 줄 방출 방향으로 역회전하면, 래칫 톱니 멈춤쇠가 맞물림 위치로 요동하여 래칫 톱니에 맞물리고 원웨이 클러치가 연결 상태가 되어, 로터의 역회전이 금지된다. 또한, 로터가 줄 감기 방향으로 정회전하면, 래칫 톱니에 의하여 래칫 톱니 멈춤쇠가 압압(押壓)되어 로터의 정회전이 허가된다. 레버 브레이크 기구에 이용되는 원웨이 클러치는 로터가 줄 방출 방향으로 역회전하면 래칫 톱니 멈춤쇠가 맞물리는 위치로 요동하여 래칫 톱니에 맞물리고 원웨이 클러치가 연결 상태가 되어,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제동 부재로 전달된다. 또한, 로터가 줄 감기 방향으로 정회전하면, 래칫 톱니에 의하여 래칫 톱니 멈춤쇠가 압압되어 로터의 정회전이 제동 부재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335827호 공보의 도 3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219865호 공보의 도 7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주 측에 래칫 톱니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래칫 톱니의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역회전 방지나 로터 제동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래칫 톱니 멈춤쇠에 래칫 휠의 래칫 톱니가 맞물릴 때, 회전하고 있는 래칫 톱니가 정지하고 있는 래칫 톱니 멈춤쇠에 급격히 충돌하기 때문에 래칫 휠이 진동한다.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래칫 휠은 로터에 직접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진동이 로터로 직접 전달된다. 이와 같은 진동은 낚시꾼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과 함께, 래칫 톱니나 래칫 톱니 멈춤쇠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의 톱니 멈춤쇠식의 원웨이 클러치에 있어서, 래칫 휠의 래칫 톱니가 래칫 톱니 멈춤쇠에 맞물릴 때의 진동을 억제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에 설치되는 클러치이며, 래칫 휠과, 래칫 톱니 멈춤쇠와, 압박 기구와, 방진(防振)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래칫 휠은 로터에 고정되고 내주에 톱니상의 래칫 톱니가 형성된 링상의 것이다. 래칫 톱니 멈춤쇠는 릴 본체 및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릴 부품 중 어느 하나에 래칫 톱니에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와 래칫 톱니로부터 이탈하는 맞물림 해제 위치 간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톱니 멈춤쇠이다. 압박 기구는 래칫 톱니 멈춤쇠를 적어도 맞물림 위치 측으로 압 박하는 부재이다. 방진 부재는 래칫 휠과 로터 간에 개장(介裝)된 부재이다. 원웨이 클러치는 로터와 릴 본체 및 릴 부품 중 어느 하나를 로터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만 연결한다.
이 원웨이 클러치에서는 로터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래칫 톱니가 래칫 톱니 멈춤쇠를 맞물림 해제 위치 측으로 압압하여, 로터와 릴 본체 또는 회전 부재는 차단된다. 이 때문에, 로터의 회전은 릴 본체 또는 회전 부재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릴 본체에 래칫 톱니 멈춤쇠가 배치되는 역회전 금지 기구의 경우, 핸들을 줄 감기 방향으로 돌리면 로터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제동 부재 등의 회전 부재에 래칫 톱니 멈춤쇠가 배치되는 레버 브레이크 기구의 경우, 브레이크 레버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을 하여도 레버 브레이크 기구가 작동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로터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압박 부재에 의하여 맞물림 위치 측으로 압박된 래칫 톱니 멈춤쇠가 래칫 톱니에 맞물리고, 로터와 릴 본체 또는 회전 부재가 연결되어 래칫 톱니로부터 래칫 톱니 멈춤쇠로 회전이 전달된다. 이 때문에, 역회전 금지 기구의 경우는 로터의 역회전이 금지되고, 레버 브레이크 기구의 경우는 브레이크 레버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래칫 톱니에 래칫 톱니 멈춤쇠가 맞물릴 때에, 래칫 톱니가 래칫 톱니 멈춤쇠에 충돌하는 것에 의하여 래칫 휠은 진동한다. 그러나 래칫 휠과 로터 간에는 방진 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충돌 시의 진동이 방진 부재로 흡수되고 억제되어 로터에 그다지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낚시꾼에게 불쾌감을 주기 어려워지는 것과 함께, 래칫 톱니나 래칫 톱니 멈춤쇠에 악영향을 주기 어려워진 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는, 발명 1에 기재된 클러치에 있어서, 압박 기구는 로터가 줄 감기 방향으로 정회전하면 래칫 톱니 멈춤쇠를 맞물림 해제 위치 측으로 압박하고, 줄 방출 방향으로 역회전하면 래칫 톱니 멈춤쇠를 맞물림 위치 측으로 압박하는 양방향 압박 부재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로터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할 때, 래칫 톱니 멈춤쇠가 맞물림 해제 위치 측으로 압박되기 때문에, 로터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래칫 톱니 멈춤쇠가 래칫 휠에 충돌하지 않게 되어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로터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래칫 톱니 멈춤쇠를 맞물림 위치 측으로 압박하여 래칫 톱니를 래칫 톱니 멈춤쇠에 확실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내주면에 래칫 톱니가 형성된 내치식의 원웨이 클러치에 있어서, 1개의 압박 부재로 클러치 톱니 멈춤쇠를 양방향으로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 차단 시의 원웨이 클러치의 정음화와 회전 전달의 2개의 기능을 1개의 압박 부재로 실현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는, 발명 1에 기재된 클러치에 있어서, 압박 기구는 로터의 회전에 관계없이, 래칫 톱니 멈춤쇠를 맞물림 위치 측으로 압박하는 맞물림 방향 압박 부재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로터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래칫 톱니에 래칫 톱니 멈춤쇠를 확실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는, 발명 3에 기재된 클러치에 있어서, 압박 기구는 로터가 줄 감기 방향으로 정회전하면, 래칫 톱니 멈춤쇠를 맞 물림 방향 압박 부재보다 강한 압박력으로 맞물림 해제 위치 측으로 압박하는 맞물림 해제 방향 압박 부재를 더 가진다. 이 경우에는, 로터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래칫 톱니 멈춤쇠가 맞물림 방향 압박 부재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맞물림 해제 방향으로 압박되어 래칫 휠에 접촉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원웨이 클러치의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는,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클러치에 있어서, 로터는 원통부와 원통부의 내주면에 일체 형성된 전벽부(前壁部)를 가지고, 래칫 휠은 원통부 및 전벽부 중 어느 한 쪽에 고정되고 또한 어느 한 다른 쪽과 간극을 두고 배치되며, 방진 부재는 래칫 휠과 원통부 및 전벽부의 한 쪽 간에 개장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방진 부재가 래칫 휠의 고정 부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부분에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래칫 휠의 방진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측면 (또는 외주면)과 전벽부의 후면 (또는 원통부의 내주면) 간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부분으로부터 진동이 로터로 전달되지 않는다.
발명 6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는, 발명 5에 관련되는 클러치에 있어서, 원통부 및 전벽부 중 어느 한 다른 쪽과 래칫 휠 간의 간극에 양자에 접촉하여 배치된 탄성체제의 제1 링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다른 쪽의 간극에도 탄성체제의 제1 링 부재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을 더 흡수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는,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클러치에 있어서, 로터는 원통부와 원통부의 전부(前部) 내주면에 일체 형성된 전벽부를 가지고, 래칫 휠은 원통부 및 전벽부 중 어느 한 쪽에 고정되며, 방진 부재는 래칫 휠과 원통부 및 전벽부 간에 개장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래칫 휠과 로터의 접촉 부분 모두에 방진 부재가 장착되기 때문에, 진동을 보다 확실히 흡수할 수 있다.
발명 8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는,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클러치에 있어서, 래칫 휠은 래칫 톱니의 외경(外徑)보다 바닥 직경이 작은 환상(環狀) 홈을 외주면에 가지고, 환상 홈에 장착되는 탄성체제의 제2 링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래칫 휠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 홈의 바닥 직경이 래칫 톱니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래칫 톱니의 최외경 부분에 환상 홈에 장착된 제2 링 부재가 노출한다. 이 때문에, 래칫 톱니 멈춤쇠가 맞물릴 때, 래칫 톱니 멈춤쇠의 선단(先端)이 제2 링 부재에 접촉하게 된다. 이 결과, 래칫 톱니에 래칫 톱니 멈춤쇠가 충돌할 때의 충격이 완화되어 충돌 시의 진동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발명 9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는,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클러치에 있어서, 스피닝 릴은 제동 레버에 의하여 릴 부품으로서의 제동 부재를 제동하는 레버 브레이크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이고, 래칫 톱니 멈춤쇠는 제동 부재에 설치되며, 원웨이 클러치는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만 제동 부재로 전달한다. 이 경우에는, 레버 브레이크 기구에 설치되는 원웨이 클러치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발명 10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는,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클러치에 있어서, 스피닝 릴은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역회전을 금지하는 역회전 금지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이고, 래칫 톱니 멈춤쇠는 릴 본체에 설치되며, 원웨이 클러치는 로터의 역회전을 금지한다. 이 경우에는, 역회전 금지 기구에 이용되는 원웨이 클러치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제1 실시예]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대의 긴쪽 방향을 따르는 제1 축(X) 둘레에 낚싯줄을 감는 릴에 있어서, 핸들(1)을 구비한 릴 본체(2)와, 릴 본체(2)의 전부에 제1 축(X)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3)와, 로터(3)의 전부에 배치된 낚싯줄을 감는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이다. 릴 본체(2)는, 도 1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대에 장착되는 전후로 긴 장착부(2c)와, 장착부(2c)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릴 보디(2a)와, 장착부(2c)와 릴 보디(2a)를 연결하는 다리부(2b)를 가지고 있다. 릴 보디(2a)는 내부에 기구 장착 공간을 가지며, 다리부(2b)와 일체 형성되고 측부가 개구하는 케이스부(2f)와, 케이스부(2f)를 막는 덮개 부재(2d, 도 5 참조)를 가지고 있다. 릴 보디(2a)의 전부에는 장착 플랜지붙이의 금속제의 통상(筒狀)의 장착 부재(2e)가 장착되어 있다.
릴 보디(2a)의 내부에는 로터(3)를 회전시키기 위한 로터 구동 기구(5)와, 로터(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 (역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레버 브레이크 기구(6)와, 스풀축(8)을 통하여 스풀(4)을 전후로 왕복 이동시키는 오실레이팅 기구(20)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3)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이며,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터(3)는 원통부(3a)와, 원통부(3a)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및 제2 암부(3b, 3c)를 가지고 있다. 원통부(3a)의 전벽(3d)의 중앙부에는 관통공(3e)을 가지는 보스부(3f)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3e)에 후술하는 스풀축(8) 및 피니언 기어(12)가 관통하고 있다. 보스부(3f)의 외주면에는 환상의 용수철 장착 홈(3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암부(3b)의 선단과 제2 암부(3c)의 선단부에는 베일 암(9)이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일 암(9)에 의하여 낚싯줄이 스풀(4)로 안내된다.
스풀(4)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의 것이다. 스풀(4)은 로터(3)의 제1 암부(3b)와 제2 암부(3c) 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풀축(8)의 선단에 원터치 탈착(脫着) 기구(65)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본체(22)와, 드랙 기구(23)를 가지고 있다. 스풀 본체(22)는 통상의 권사 몸통부(22a)와, 권사 몸통부(22a)의 후단부(後端部)에 권사 몸통부(22a)보다 대경으로 형성된 통상의 스커트부(22b)와, 권사 몸통부(22a)의 전부에 전방으로 경사하여 형성된 플랜지부(22c)를 가지고 있다.
권사 몸통부(22a)는 직경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장착 원판부(22e)와, 장착 원판부(22e)의 내주 측에 일체 형성된 장착 통부(22f)를 가지고 있다. 장착 원판부(22e)의 후면에는 드랙 작동 시에 발음하는 드랙 발음 기구(56, 후술)의 톱니 멈춤쇠 부재(82)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장착 통부(22f)는 스풀축(8)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스풀 통부(5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플랜지부(22c)의 외주면에는 환상(環狀) 경질의 플랜지 보호 부재(22d)가 장착되어 있다. 플랜지 보호 부재(22d)는 플랜지 고정 부재(24)에 의하여 플랜지부(22c)에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 고정 부재(24)는 플랜지 보호 부재(22d)를 압압하는 테이퍼상의 압압부(24a)와, 압압부(24a)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통부(24b)와, 제1 통부(24b)의 후부(後部)에 직경 방향 내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원판부(24c)와, 원판부(24c)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통부(24d)를 가지고 있다. 이 제1 통부(24b)가 권사 몸통부(22a)의 내주면에 나사식으로 돌려 끼워져 있다. 또한, 제2 통부(24d)에 드랙 기구(23)가 수납되어 있다.
스풀 통부(55)는 중간부의 외주면에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여 배치된 모따기부(55a)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스풀 통부(55)의 후단부는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곳에는 계지 핀(18)이 계합하는 계합 홈(55b)이 직경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스풀 통부(55)는 계지 핀(18)에 의하여 회전이 불가능하고 또한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스풀축(8)에 장착되어 있다. 스풀 통부(55)의 전단부(前端部)의 외주면에는 드랙 조정을 위한 수나사부(55c)가 설치되어 있다. 스풀 통부(55)의 후부 외주면에는 드랙 발음 기구(56)의 원판 부재(80)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드랙 기구(23)는 드랙 조정부(57)와, 드랙 조정부(57)에 의하여 마찰력이 조정되는 마찰부(58)를 가지고 있다. 드랙 조정부(57)는 스풀 통부(55)에 나사 감합(嵌合)하는 조작 부재(60)와, 조작 부재(60)에 의하여 압압되어 마찰부(58)를 압압하는 압압 부재(61)를 가지고 있다. 조작 부재(60)는 직경을 따라 돌출하는 손잡이 돌기(60a)를 가지는 손잡이(60b)와, 손잡이(60b)에 고정된 손잡이 플랜지부(60c)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 플랜지부(60c)에는 스풀 통부(55)의 수나사부(55c)에 나사 감합하는 너트(62)가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너트(62)와 압압 부재(61) 간에는, 드랙력을 조정하기 위한 코일 용수철(63)이 압축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압압 부재(61)는 스풀 통부(55)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압압 부재(61)는 조작 부재(60)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탈락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나아가 조작 부재(60)와 압압 부재(61) 간에는 조작 부재(60)를 돌려 드랙 조정할 때에 발음하는 드랙 손잡이 발음 기구(64)가 장착되어 있다.
마찰부(58)는 압압 부재(61)와, 스풀 본체(22)의 장착 원판부(22e) 간에 장착되어 있다. 마찰부(58)는 스풀 통부(55)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제1 디스크(66a, 66b)와, 플랜지 고정 부재(24)의 제2 통부(24d)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귀붙이의 제2 디스크(67)와, 2개의 제1 디스크(66a, 66b)와 제2 디스크(67) 간에 배치된 드랙 디스크(68)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 고정 부재(24)의 제2 통부(24d)에는 제2 디스크(67)의 귀부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 홈(24e)이 예를 들어, 2개소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플랜지 고정 부재(24)는 권사 몸통부(22a)에 나사식으로 돌려 끼워져 있는 것과 함께 접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드랙 작동 시의 토크(torque)나 진동에 의하여 플랜지 고정 부재(24)가 느슨해지는 일이 없다.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핸들축(10)과 함께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11)와, 이 마스터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핸들축(10)은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2)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는 로터(3)의 관통공(3e)을 관통하여 스풀(4)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에서, 로터(3)는 너트(13)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전부와 중간부에서 베어링(14a, 14b)에 의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너트(13)는 리테이너(36, retainer)에 의하여 느슨함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너트(13)는 베어링(13a)에 의하여 스풀축(8)에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12)의 내주면과 스풀축(8)의 외주면 간에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리테이너(36)는 전벽(3d)에 빠짐 방지 용수철(36a)에 의하여 계지되어 있다. 또한, 리테이너(36)에는 씰 부재(36b)가 장착되어 있어 로터(3) 내부로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2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래버스(traverse) 캠식의 것이며,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20a)와, 릴 보디(2a)에 스풀축(8)과 평행한 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나선축(20b)과, 나선축(20b)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 이동하는 슬라이더(20c)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0c)에 스풀 축(8)의 후단부가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덧붙여,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선축(20b)의 전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시(20d)는, 단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0e)에 의하여 회전이 방지되어 있다.
〔드랙 발음 기구의 구성〕
드랙 발음 기구(56)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랙 작동 시에 스풀(4)과 스풀축(8)이 상대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발음하는 기구이다. 드랙 발음 기구(56)는, 도 9 내지 도 13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8)에 회전 불가능한 스풀 통부(55)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원판 부재(80)와, 스풀(4)의 장착 원판부(22e)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 계지 부재(81)와, 스풀(4)의 장착 원판부(22e)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톱니 멈춤쇠 부재(82)와, 톱니 멈춤쇠 부재(82)를 제1 위치 (도 12에 도시하는 위치) 또는 제2 위치 (도 13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중립 위치 (도 11에 도시하는 위치)로 압박하는 용수철 부재(83)와, 톱니 멈춤쇠 부재(82)를 스풀(4)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고 또한 계지 부재(81)를 스풀(4)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핀 부재(84)를 가지고 있다.
원판 부재(8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주부가 스풀 통부(55)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금속제의 환상 부재이며, 외주부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요철부(8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톱니 멈춤쇠 부재(82)에는 원판 부재(80)의 요철부(80a)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82a)가 형성되어 있고, 드랙 작동 시에 스풀(4)이 회전하였을 때, 톱니 멈춤쇠 부재(82)의 접촉부(82a)가 원판 부재(80)의 요철부(80a)에 접촉을 반복하여 발음한다.
톱니 멈춤쇠 부재(82)는 핀 부재(84)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금속제의 부재이며, 선단부가 원판 부재(80)의 요철부(80a)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82a)와, 접촉부(82a)로부터 이반(離反)한 위치에 접촉부(82a)와 교차하도록 설치되고 용수철 부재(83)의 양단부가 계지되는 제1 계지부(82b)와, 요동 중심과 동심으로 되도록 형성된 제1 관통공(82c)을 가지고 있다.
접촉부(82a)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 부재(80)의 요철부(80a)에 접촉하도록 선단부가 요철부(80a)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82a)는 도 11에 도시하는 중립 위치로부터, 도 12에 도시하는 제1 위치와 도 13에 도시하는 제2 위치 간에서 요동 가능하다.
제1 계지부(82b)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82a)와 예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경 방향 외방으로 약간 돌출하고, 나아가 축 방향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계지부(82b)의 선단부는 용수철 부재(83)가 축 방향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다른 부분에 비하여 폭이 넓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계지부(82b)는, 접촉부(82a)가 도 11에 도시하는 중립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용수철 부재(83)의 후술하는 제1 암부(83a) 및 제2 암부(83b)에 끼워지도록 계지되어 있다.
제1 관통공(82c)은 외형이 원형인 관통공이며, 핀 부재(84)의 지지부(84b, 후술)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관통공(82c)의 내경(內徑)은 지지부 (84b)의 외경보다 약간 대경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때문에 톱니 멈춤쇠 부재(82)는 핀 부재(84)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용수철 부재(83)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비틀림 코일 용수철이며, 복수회 밀착 감기된 코일부(83c)와, 코일부(83c)의 양단부가 서로 평행이 되도록 코일부(83c)의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한 제1 암부(83a) 및 제2 암부(83b)를 가지고 있다. 제1 암부(83a) 및 제2 암부(83b)는 톱니 멈춤쇠 부재(82)의 제1 계지부(82b)와 계지 부재(81)의 제2 계지부(81a, 후술)를 끼워 넣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도 12에 도시하는 제1 위치 또는 도 13에 도시하는 제2 위치로 요동한 톱니 멈춤쇠 부재(82)를 도 11에 도시하는 중립 위치로 압박하고 있다. 용수철 부재(83)의 코일부(83c)는 핀 부재(84)의 장착 홈(84d, 후술)에 장착된다.
계지 부재(81)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 부재(84)에 의하여 스풀(4)의 장착 원판부(22e)에 코킹 고정되는 금속제의 판상 부재이며, 용수철 부재(83)의 제1 암부(83a) 및 제2 암부(83b)에 계지되는 제2 계지부(81a)와, 톱니 멈춤쇠 부재(82)의 제1 관통공(82c)과 연통하는 제2 관통공(81b)을 가지고 있다. 계지 부재(81)는, 도 4, 도 9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의 권사 몸통부(22a)의 내주면과 같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R면(rounding)으로 이루어지는 위치 결정부(81c)를 더 가지고 있고, 위치 결정부(81c)를 권사 몸통부(22a)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위치 결정 및 회전 방지를 행하고 있다.
제2 계지부(81a)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톱니 멈춤쇠 부재(82)의 제1 계지부(82b)와 동심으로 되는 위치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고, 나아가 제1 계지부(82b)를 덮도록 축 방향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2 계지부(81a)는 선단면이 제1 계지부(82b)의 선단면과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제1 계지부(82b)보다 약간 길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계지부(81a)의 선단부는 용수철 부재(83)가 축 방향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다른 부분에 비하여 폭이 넓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관통공(81b)은 외형이 원형인 관통공이며, 핀 부재(84)의 고정부(84a, 후술)가 삽입되어 코킹 고정되어 있다. 제1 관통공(82c)의 내경은 고정부(84a)의 외경보다 약간 소경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계지 부재(81)는 핀 부재(84)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핀 부재(84)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놋쇠 (황동) 등의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제의 볼트상 부재이며, 톱니 멈춤쇠 부재(82)의 제1 관통공(82c)을 관통하고, 나아가 계지 부재(81)의 제2 관통공(81b)을 관통하여 장착 원판부(22e)의 제3 관통공(22g)에 코킹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핀 부재(84)는 선단부 측에 형성된 고정부(84a)와, 고정부(84a)보다 대경으로 형성된 지지부(84b)와, 기단(基端) 측에 지지부(84b)보다 대경으로 형성된 머리부(84c)와, 머리부(84c)의 중복(中腹) 부분에 둘레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장착 홈(84d)을 가지고 있다.
고정부(84a)는 외주에 복수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지는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84a)의 외경은 계지 부재(81)의 제2 관통공(81b) 및 장착 원판부(22e)의 제3 관통공(22g)의 내경보다 약간 대경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문에, 금속제의 고정부(84a)를 금속제의 계지 부재(81)의 제2 관통공(81b) 및 금속제의 장착 원판부(22e)의 제3 관통공(22g)에 밀어 넣어 코킹 고정할 수 있어 계지 부재(81)는 스풀(4)의 장착 원판부(22e)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지지부(84b)는 톱니 멈춤쇠 부재(82)의 제1 관통공(82c)에 삽입되어 톱니 멈춤쇠 부재(82)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지지부(84b)의 외경은 톱니 멈춤쇠 부재(82)의 제1 관통공(82c)의 내경보다 약간 소경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머리부(84c)는 외경이 지지부(84b)보다 대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즉 톱니 멈춤쇠 부재(82)의 제1 관통공(82c)보다 대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톱니 멈춤쇠 부재(82)의 후단면이 머리부(84c)의 전단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톱니 멈춤쇠 부재(82)가 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장착 홈(84d)은 용수철 부재(83)를 장착 고정하기 위한 홈이며, 용수철 부재(83)의 코일부(83c)가 장착된다. 장착 홈(84d)의 외경은 용수철 부재(83)의 코일부(83c)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코일부(83c)를 넓힌 상태로 밀어 넣도록 하여 장착한다. 여기에서는, 장착 홈(84d)의 외경과 코일부(83c)의 내경이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용수철 부재(83)가 핀 부재(84)에 대하여 이동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드랙 발음 기구(56)를 스풀(4)에 끼우려면, 우선 원판 부재(80)를 스풀축(8)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스풀 통부(55)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용수철 부재(83)를 핀 부재(84)의 장착 홈(84d)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톱니 멈춤쇠 부재(82)의 제1 계지부(82b)를 계지 부재(81)의 제2 계지부(81a)에 서로 겹치게 한 상태에서, 계지 부재(81)의 위치 결정부(81c)를 권사 몸통부(22a)의 내주면에 맞추어 장착 원판부(22e)의 후면에 배치한다. 이때, 장착 원판부(22e)의 제3 관통공(22g), 계지 부재(81)의 제2 관통공(81b) 및 톱니 멈춤쇠 부재(82)의 제1 관통공(82c)의 중심을 맞추고, 핀 부재(84)에 장착된 용수철 부재(83)의 제1 암부(83a) 및 제2 암부(83b)가 톱니 멈춤쇠 부재(82)의 제1 계지부(82b) 및 계지 부재(81)의 제2 계지부(81a)를 끼워 넣는다. 그리고 핀 부재(84)의 고정부(84a)를 계지 부재(81)의 제2 관통공(81b)을 관통시켜 장착 원판부(22e)의 제3 관통공(22g)에 코킹 고정한다.
이와 같은 드랙 발음 기구(56)에서는, 드랙 작동 시에 스풀(4)이 회전 또는 역회전하면 톱니 멈춤쇠 부재(82)는 도 11에 도시하는 중립 위치로부터 도 12에 도시하는 제1 위치 또는 도 13에 도시하는 제2 위치로 요동하고, 톱니 멈춤쇠 부재(82)의 접촉부(82a)가 원판 부재(80)의 요철부(80a)에 접촉을 반복하여 발음한다.
또한, 이 드랙 발음 기구(56)에서는, 톱니 멈춤쇠 부재(82) 및 계지 부재(81)는 용수철 부재(83)의 제1 암부(83a) 및 제2 암부(83b)에 의하여 계지되어 있다. 계지 부재(81)의 제2 계지부(81a)는 접촉부(82a)가 도 11에 도시하는 중립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용수철 부재(83)의 제1 암부(83a) 및 제2 암부(83b)에 끼워 넣어지도록 계지되어 있다. 제2 계지부(81a)는 접촉부(82a)가 도 12에 도시하는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용수철 부재(83)의 제2 암부(83b)만이 계지되고, 제1 계지부(82b)는 용수철 부재(83)의 제1 암부(83a)만이 계지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용수철 부재(83)의 제1 암부(83a)가 좌측으로 넓어지는 것에 의하여, 톱니 멈춤쇠 부재(82)가 도 11에 도시하는 중립 위치 (도 12 우측)로 압박된다. 또한, 제2 계지부(81a)는 접촉부(82a)가 도 13에 도시하는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용수철 부재(83)의 제1 암부(83a)만이 계지되고, 제1 계지부(82b)는 용수철 부재(83)의 제2 암부(83b)만이 계지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용수철 부재(83)의 제2 암부(83b)가 우측으로 넓어지는 것에 의하여, 톱니 멈춤쇠 부재(82)가 도 11에 도시하는 중립 위치 (도 13 좌측)로 압박된다. 따라서, 톱니 멈춤쇠 부재(82)는 접촉부(82a)가 도 12에 도시하는 제1 위치 또는 도 13에 도시하는 제2 위치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요동하여도 항상 도 11에 도시하는 중립 위치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드랙 발음 기구(56)에서는, 톱니 멈춤쇠 부재(82)의 제1 계지부(82b) 및 계지 부재(81)의 제2 계지부(81a)는 용수철 부재(83)의 제1 암부(83a) 및 제2 암부(83b)에 계지되어 있고, 톱니 멈춤쇠 부재(82)가 도 9에 도시하는 중립 위치에 위치하도록 압박되어 있다. 또한, 용수철 부재(83)는 핀 부재(84)의 장착 홈(84d)에 장착되어 있고, 톱니 멈춤쇠 부재(82) 및 계지 부재(81)는 톱니 멈춤쇠 부재(82)의 제1 관통공(82c) 및 계지 부재(81)의 제2 관통공(81b)을 관통하는 핀 부재(84)에 의하여, 스풀(4)의 장착 원판부(22e)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고 또한 이동 불가능하게 스풀(4)의 장착 원판부(22e)의 1개소에서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스풀(4)의 장착 원판부(22e)에 핀 부재(84)를 장착하는 제3 관통공(22g)을 1개소만 형성하는 것만으로 무방하고, 종래와 같이 스풀(4)의 후부에 용수철 부재(83)를 계지하기 위한 돌기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스풀(4)의 형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스풀(4)을 경량화할 수 있다.
덧붙여, 톱니 멈춤쇠 부재(82)의 제1 계지부(82b) 및 계지 부재(81)의 제2 계지부(81a)는 직경 방향 외방 및 축 방향 후방으로 돌출한 형상이었지만, 용수철 부재(83)가 계지 가능하면 이들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용수철 부재(83)의 제1 암부(83a) 및 제2 암부(83b)의 형상도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용수철 부재(83)는 핀 부재(84)의 장착 홈(84d)에 장착되어 있었지만, 예를 들어, 핀 부재(84)에 장착 홈(84d)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용수철 부재(83)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압박 부재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핀 부재(84)를 코킹 고정하고 있었지만, 핀 부재(84)의 고정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고정 수단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핀 부재(84)를 놋쇠 (황동) 등의 구리 합금에 의하여 형성하였지만, 알루미늄 합금이나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다른 금속이나 합성 수지에 의하여 핀 부재(84)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레버 브레이크 기구의 구성〕
레버 브레이크 기구(6)는,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부(16)와, 제동부(16)의 제동력을 조정 조작하기 위한 제동 레버(17)와, 제동 레버(17)를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코일 용수철(19)과, 제동 레버(17)에 의하여 소정 제동 상태와 제동 해제 상태 간에 전환 가능한 소정 제동부(21, 도 5 참조)를 가지고 있다.
〔제동부의 구성〕
제동부(1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의 선단이 압접되어 제동되는 제동부 본체(31)와, 로터(3)와 제동부 본체(31)를 로터(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연결?차단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톱니 멈춤쇠식의 원웨이 클러치(32)를 가지고 있다.
제동부 본체(31)는 로터(3)의 내주 측에 로터(3)와 동심에 배치된 통상 부재(40)와, 통상 부재(40)의 내주면에 고정된 제동 원통(41)을 가지고 있다.
통상 부재(4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3a)의 내주 측에 동심에 배치되는 외통부(40a)와, 외통부(40a)의 내주 측에 배치된 내통부(40b)와, 외통부(40a)와 내통부(40b)를 연결하는 원판부(40c)를 가지는 이중 통상 부재이다. 외통부(40a)의 릴 본체(2)에 가까운 후단부의 외주면에는 소정 제동부(21, 후술)를 구성하는 마찰 링(30)이 장착되는 환상 홈(40d)이 예를 들어, 3조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40b)는 장착 부재(2e)의 외주면에 장착된 베어링(14c)에 의하여 장착 부재(2e)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동 원통(41)은 외통부(40a)의 내주면으로부터 원판부(40c)에 걸쳐 장착된 중심 구멍을 가지는 금속제의 바닥이 있는 통상 부재이며, 원판부(40c)에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이 제동 원통(41)의 내주면에 제동 레버(17)의 선단이 접촉하여 통상 부재(40)를 제동한다.
〔원웨이 클러치의 구성〕
원웨이 클러치(32)는 톱니 멈춤쇠식의 것이며, 로터(3)의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만 로터(3)와 제동부 본체(31)의 통상 부재(40)를 연결하고, 로터(3)에 연동하여 통상 부재(4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는, 로터(3)와 통상 부재(40)는 차단되어 로터(3)로부터 통상 부재(40)로 회전이 전달되지 않는다. 원웨이 클러치(32)는, 도 2,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원통부(3a)의 전벽(3d)에 고정된 링상의 래칫 휠(42)과, 통상 부재(40)의 원판부(40c)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이 래칫 휠(42)에 접촉 가능한 래칫 톱니 멈춤쇠(43)와, 래칫 톱니 멈춤쇠(43)를 선단이 래칫 휠(42)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44)와, 래칫 휠(42)과 전벽(3d) 간에 배치된 방진 부재(45)를 가지고 있다.
래칫 휠(42)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원통부(3a)의 전벽(3d)의 후면 (도 8 우측의 면)에 복수개의 장착 나사(46)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래칫 휠(42)은 전벽(3d)에 고정되는 원판상의 플랜지부(42a)와, 플랜지부(42a)와 일체 형성된 내주면에 톱니상의 래칫 톱니(42b)가 형성된 통상부(42c)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42a)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나사 구멍(42d)이 형성되어 있고, 그곳에 장착 나사(46)가 돌려 넣어져 래칫 휠(42)이 전벽(3d)에 고정된다. 이 플랜지부(42a)와 전벽(3d)의 후면 간에 방진 부재(45)가 장착되어 있다. 통상부(42c)의 외주면과 로터(3)의 원통부(3a) 내주면 간에는 간극(42e)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간극(42e)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래칫 톱니(42b)와 래칫 톱니 멈춤쇠(43) 간의 맞물림 시에 진동이 통상부(42c)로부터 원통부(3a)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래칫 톱니 멈춤쇠(43)는 래칫 톱니(42b)에 맞물리는 도 7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맞물림 위치와, 래칫 톱니(42b)로부터 이탈하는 도 7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맞물림 해제 위치 간에 원판부(40c)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래칫 톱니 멈춤쇠(43)는 래칫 톱니(42b)에 맞물리는 예각상으로 뾰족한 톱니 멈춤쇠부(43a)를 선단에 가지고, 요동축(47)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요동 장착부(43b)를 중간부에 가지며, 직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위치 결정 돌기(43c)를 기단에 가지고 있다. 또한, 요동 장착부(43b)와 톱니 멈춤쇠부(43a) 간에는 압박 부재(44)가 계지되는 타원형의 계지 구멍(43d)이 형성되어 있다. 요동축(47)은 원판부(40c)에 형성된 보스부(40e)에 나사식으로 돌려 끼워져 있다. 래칫 톱니 멈춤쇠(43)는 요동축(47)을 사이에 두고 원판부(40c)에 입설된 1쌍의 위치 결정 보스(40f, 40g)에 의하여 요동 범위가 규제되어 있다. 위치 결정 보스(40f)는 위치 결정 돌기(43c)에 접촉하여 래칫 톱니 멈춤쇠(43)의 맞물림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단, 통상은 위치 결정 보스(40f)에 위치 결정 돌기(43c)가 접촉하기 전에 톱니 멈춤쇠부(43a)가 래칫 톱니(42b)의 최외경 부분에 접촉하도록 위치 결정 보스(40f)는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 보스(40g)는 톱니 멈춤쇠부(43a)에 접촉하여 맞물림 해제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2개의 위치 결정 보스(40f, 40g)는,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압박 부재(44)가 로터(3)의 회전 방향에 따라 래칫 톱니 멈춤쇠(43)를 맞물림 방향과 맞물림 해제 방향 간에 압박하기 때문에, 양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압박 부재(44)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수철성을 가지는 금속제 선 재를 물음표 형상으로 만곡(彎曲) 및 접어 구부려 형성된 부재이며, 로터(3)의 보스부(3f)에 형성된 용수철 장착 홈(3g)에 압접 상태로 장착된 원형부(44a)와, 원형부(44a)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암부(44b)와, 암부(44b)의 선단을 계지 구멍(43d)을 향하여 접어 구부린 계지 돌기(44c)를 가지고 있다. 계지 돌기(44c)는 계지 구멍(43d)에 삽입되어 계지 구멍(43d)의 내측면을 양방향으로 압압 가능하다. 또한, 원형부(44a)의 자유 직경은 용수철 장착 홈(3g)의 바닥 직경보다 작다. 이 때문에, 압박 부재(44)는 래칫 톱니 멈춤쇠(43)를 맞물림 방향 (도 7의 반시계 회전의 방향)과 맞물림 해제 방향 (도 7의 시계 회전의 방향)의 양방향으로 압박 가능한 양방향 압박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압박 부재(44)는 용수철 장착 홈(3g)에 압접되고, 로터(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맞물림 방향과 맞물림 해제 방향의 양방향으로 래칫 톱니 멈춤쇠(43)를 압박한다. 또한, 래칫 톱니 멈춤쇠(43)가 그 이상 요동하지 않게 되면, 로터(3)의 회전에 대하여 원형부(44a)로 미끄러진다.
이 결과, 로터(3)가 줄 감기 방향 (도 7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압박 부재(44)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칫 톱니 멈춤쇠(43)를 맞물림 해제 방향으로 압박한다. 그렇게 하면, 래칫 톱니 멈춤쇠(43)가 맞물림 해제 위치 측으로 요동하고, 위치 결정 보스(40g)에 접촉하여 맞물림 해제 위치로 위치 결정된다. 이 때문에,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는, 통상 부재(40)로 로터(3)의 회전이 전달되지 않는 것과 함께, 래칫 톱니 멈춤쇠(43)가 래칫 휠(42)에 단속(斷續)적으로 충돌하지 않게 된다. 이 결과, 원웨이 클러치(32)의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의 회전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줄 방출 방향 (도 7의 반시계 방향)으로 로터(3)가 회전하면 압박 부재(44)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칫 톱니 멈춤쇠(43)를 맞물림 방향으로 압박한다. 그렇게 하면, 래칫 톱니 멈춤쇠(43)가 맞물림 위치 측으로 요동하여, 래칫 톱니(42b)가 래칫 톱니 멈춤쇠(43)의 톱니 멈춤쇠부(43a)에 맞물린다. 이 때문에, 로터(3)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는, 통상 부재(40)로 로터(3)의 회전이 전달되어 레버 브레이크 기구(6)에 의한 제동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내주면에 래칫 톱니(42b)가 형성된 내치식의 원웨이 클러치(32)에 있어서, 1개의 압박 부재(44)로 래칫 톱니 멈춤쇠(43)를 양방향으로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 차단 시의 원웨이 클러치(32)의 정음화와 회전 전달이라는 2개의 기능을 1개의 압박 부재(44)로 실현할 수 있다.
방진 부재(45)는 예를 들어, NBR이나 우레탄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 고무제의 와셔 형상의 시트상의 부재이다. 방진 부재(4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칫 휠(42)의 플랜지부(42a)와 전벽(3d) 간에 양자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방진 부재(45)는 래칫 톱니(42b)가 래칫 톱니 멈춤쇠(43)에 충돌하여 맞물릴 때에 그 충돌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여, 래칫 휠(42)로부터 로터(3)로 진동을 전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동 레버의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는 제1 축(X)과 엇갈리는 제2 축 (Y) 방향으로 릴 본체(2)의 릴 보디(2a)에 장착된 지지축(33)에 의하여 릴 본체(2)에 제2 축(Y)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33)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두리붙이의 축 부재이며, 덮개 부재(2d)를 케이스부(2f)에 장착하기 위한 나사 부재이다. 지지축(33)은 덮개 부재(2d) 측으로부터 삽입된 나사(33a)에 나사 감합하여 릴 본체(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는 코일 용수철(19)에 의하여 장착부(2c)와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제동 레버(17)는 도 1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소정 제동 위치와, 이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제동 해제 위치에서 장착부(2c)에 접근한 제동 위치 간에서 요동 가능하게 릴 본체(2)에 장착되어 있다. 덧붙여, 제동 레버(17)는 통상은 코일 용수철(19) 및 소정 제동부(21)의 기구에 의하여 도 1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제동 해제 위치와 일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소정 제동 위치 중 어느 한 쪽에 유지된다.
제동 레버(17)는 지지축(33)에 의한 지지 부분으로부터 만곡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동 조작부(17a)와, 지지 부분으로부터 만곡하여 비스듬히 전하방(前下方)으로 연장되는 제동 작용부(17b)와, 제동 작용부(17b)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제동 부재(34, 도 2 참조)를 가지고 있다.
제동 조작부(17a)는 지지 부분으로부터 장착부(2c)를 따라 베일 암(9)의 외방 부근까지 전방으로 연장된 후, 직경 방향 외방과 전방으로 분기(分岐)하여 연장되고, 나아가 직경 방향 외방으로 분기한 선단이 전방을 향하여 만곡한 형상이다. 이 만곡 부분으로부터 전방이 낚싯대를 잡는 손의 검지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제 1 조작부(17c)로 되어 있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소정 제동 조작 시에 사용하는 제2 조작부(17d)로 되어 있다. 제1 조작부(17c)는 제동 레버(17)의 요동에 의하여, 실선으로 도시하는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동 작용부(17b)의 선단은 제동 원통(41)의 내주 측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선단에 제동 원통(41)의 내주면에 접촉 가능한 제동 부재(34)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동 부재(34)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나 폴리아세탈 등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이며, 제동 레버(17)의 요동에 의하여 제동 원통(41)을 직경 방향 외방으로 압압한다.
제동 레버(17)는 아무것도 조작되지 않으면 코일 용수철(19)에 의하여 압박되어, 도 1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해제 위치에 배치되어 제동 부재(34)가 제동 원통(41)으로부터 이반하고 있다.
코일 용수철(19)은 제동 레버(17)의 제동 조작부(17a)와 릴 본체(2)의 다리부(2b) 간에 압축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코일 용수철(19)은 제동 레버(17)를 제동 해제 측을 향하여 도 1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동 상태로부터 제동 레버(17)에서 손을 떼면, 로터(3)는 제동 해제 상태가 된다.
또한, 제동 레버(17)는 소정 제동부(21)를 도 6(a)에 도시하는 제동 해제 상태와 도 6(b)에 도시하는 소정 제동 상태 간을 전환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제동 작용부(17b)에는 소정 제동부(21)의 레버 부재(27)의 선단이 계지되는 타원형의 계지 노치(17e, 도 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 노치(17e)는 레 버 부재(27)의 선단부의 횡단면적보다 큰 면적의 노치이다.
〔소정 제동부의 구성〕
소정 제동부(2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와 연동하여 요동하는 레버 부재(27)와, 레버 부재(27)를 제동 해제 위치와 소정 제동 위치로 유지하는 토글 용수철(28)과,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부재(4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통상 부재(40)에 마찰 계합하는 마찰 부재(29)와, 마찰 부재(29)를 통상 부재(40)에 마찰 계합시키기 위하여 환상 홈(40d)에 장착된 예를 들어, O링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마찰 링(30)을 가지고 있다.
레버 부재(27)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전부에 스풀축(8)과 평행하게 배치된 요동축(27a)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레버 부재(27)의 기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는 선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2배 이상 길다. 레버 부재(27)의 선단은 계지 노치(17e)에 계지되어 있고, 레버 부재(27)는 제동 레버(17)와 연동하여 제동 해제 위치 (도 6(a))와 소정 제동 위치 (도 6(b)) 간에서 요동한다. 레버 부재(27)에는 계지 톱니 멈춤쇠(70)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계지 톱니 멈춤쇠(70)는 기단에 용수철 계지부(70a)를 가지고, 선단에 예각의 톱니 멈춤쇠부(70b)를 가지고 있어, 코일 용수철(71)에 의하여 톱니 멈춤쇠부(70b)가 돌출하는 방향 (도 5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토글 용수철(28)은 레버 부재(27)의 기단에 계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동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레버 부재(27)의 기단은 토글 용수철(28)에 의하여 압박되어 계지 노치(17e)의 상면(上面)에 접촉하고, 소정 제동 위치 에 있을 때 하면(下面)에 접촉한다. 레버 부재(27)의 중간부에는 계지 톱니 멈춤쇠(70)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계지 톱니 멈춤쇠(70)는 기단에 용수철 계지부(70a)를 가지고, 선단에 예각의 톱니 멈춤쇠부(70b)를 가지고 있으며, 코일 용수철(71)에 의하여 톱니 멈춤쇠부(70b)가 돌출하는 방향 (도 5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코일 용수철(71)은 일단이 용수철 계지부(70a)에 계지되고, 타단이 레버 부재(27)의 요동축에 계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계지 톱니 멈춤쇠(70)를 요동 가능하게 레버 부재(27)에 장착하고 또한 코일 용수철(71)로 톱니 멈춤쇠부(70b)가 돌출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 제동 위치에 레버 부재(27)가 요동하였을 때에 톱니 멈춤쇠부(70b)와, 마찰 부재(29, 후술)의 제2 요철부(29a)의 회전 위상이 맞지 않아, 톱니 멈춤쇠부(70b)가 제2 요철부(29a)의 돌출 부분에 접촉하여도 쇼크를 흡수하여 확실히 마찰 부재(29)를 회전 방지할 수 있다.
마찰 부재(29)는 통상의 부재이며, 통상 부재(40)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마찰 부재(29)의 일단 (도 2 우단) 내주면에는 계지 톱니 멈춤쇠(70)의 톱니 멈춤쇠부(70b)에 계합하는 톱니상의 제2 요철부(29a)가 직경 방향 내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요철부(29a)는 레버 부재(27)가 소정 제동 위치 (도 6(b))에 있을 때, 계지 톱니 멈춤쇠(70)에 계합하여 마찰 부재(29)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마찰 부재(29)의 타단 (도 2 좌단)과 통상 부재(40)의 원판부(40c)의 외측면 간에는 예를 들어, 4개의 방사상의 돌기를 외주부에 가지는 귀붙이 와셔(72)와, 구멍붙이 원판상의 제1 와셔(73)가 장착되어 있다. 귀붙이 와셔(72)는 마찰 부재(29)의 일단면으로부터 타단 측을 향하 여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예를 들어, 6개의 계지 홈(29b)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된다. 귀붙이 와셔(72) 및 제1 와셔(73)는 C자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된 빠짐 방지 용수철(74)에 의하여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빠짐 방지 용수철(74)은 마찰 부재(29)의 타단 내주면에 형성된 환상 홈(29c)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 요철부(29a)와 통상 부재(40) 간에는 제2 와셔(75)가 장착되어 있다. 귀붙이 와셔(72), 제1 와셔(73) 및 제2 와셔(75)는 마찰 부재(29)의 축 방향의 장착 치수를 조절하여 마찰 부재(29)가 덜걱거리지 않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마찰 부재(29)에서는 레버 부재(27)가 소정 제동 위치에 배치되어 계지 톱니 멈춤쇠(70)가 제2 요철부(29a)에 계합하였을 때, 마찰 부재(29)가 마찰 링(30)의 작용에 의하여 통상 부재(40)에 대하여 마찰 접동(摺動, 접촉하여 미끄러져 움직임)한다.
여기에서는, 제동 레버(17)를 소정 제동 위치로 밀어 넣어 조작하면, 그것에 연동하여 레버 부재(27)도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소정 제동 위치로 요동한다. 이 결과, 계지 톱니 멈춤쇠(70)가 마찰 부재(29)의 제2 요철부(29a)에 계합하여, 로터(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소정 제동 상태에서 제동한다.
토글 용수철(28)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27)를 압박하여 제동 레버(17)를 소정 제동 위치와 제동 해제 위치 간에 압박하여, 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토글 용수철(28)은 레버 부재(27)의 기단에 장착된 비틀림 코일 용수철이다. 토글 용수철(28)은 일단이 레버 부재(27)의 기단에 계지되고, 타단이 릴 보디(2a)의 전단면에 계지되어 있다. 토글 용수철(28)은, 도 6(a)에 도 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에 배치되면, 레버 부재(27)를 도 6(a)의 시계 방향으로 압박하고, 소정 제동 위치에 배치되면 도 6(b)의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한다. 이것에 의하여,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와 소정 제동 위치에서 유지되고, 나아가 제동 레버(17)가 제동 해제 위치와 소정 제동 위치로 유지된다.
〔릴의 동작 및 조작〕
캐스팅 시에는 베일 암(9)을 실 개방 자세 측으로 넘어뜨리고, 캐스팅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4)의 외주로부터 낚싯줄이 방출된다. 줄 감기 시에는 핸들(1)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베일 암(9)이 반환 기구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줄 감기 자세로 되돌아온다. 핸들(1)의 회전력은 핸들축(10), 마스터 기어(11)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를 통하여 로터(3)로 전달된다. 이때 로터(3)는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원웨이 클러치(32)의 래칫 톱니 멈춤쇠(43)가 압박 부재(44)에 의하여 맞물림 해제 위치 측으로 압박되고, 래칫 톱니 멈춤쇠(43)와 래칫 휠(42)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이 회전력은 통상 부재(40)로는 전달되지 않는다. 피니언 기어(12)가 회전하면 스풀축(8)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제동 레버(17)를 아무것도 조작하지 않으면, 제동 레버(17)는 코일 용수철(19) 및 소정 제동부(21)의 작용에 의하여 압압되어 제동 해제 위치 또는 소정 제동 위치에 배치된다.
로터(3)를 역회전시켜 물고기와 릴링할 때에는, 제동 레버(17)의 제1 조작부 (17c)를 예를 들어, 검지 손가락에 의하여 장착부(2c) 측으로 끌어들이는 조작을 하여 제동력을 조정한다.
낚싯줄이 물고기에 의하여 끌려 로터(3)가 줄 방출 방향으로 역회전하면, 원웨이 클러치(32)에 의하여 로터(3)의 회전력이 원웨이 클러치(32)를 통하여 통상 부재(40)로 전달되고, 나아가 제동 원통(41)으로 전달되어 레버 브레이크 기구(6)가 제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줄 방출 방향으로 로터(3)가 회전할 때, 원웨이 클러치(32)에서는 래칫 톱니 멈춤쇠(43)가 압박 부재(44)에 의하여 압박되어 맞물림 위치 측으로 요동한다. 래칫 톱니 멈춤쇠(43)가 맞물림 위치로 요동하면, 래칫 휠(42)의 래칫 톱니(42b)가 래칫 톱니 멈춤쇠(43)의 선단의 톱니 멈춤쇠부(43a)에 충돌하여 래칫 휠(42)이 진동한다. 그러나 이 진동은 방진 부재(45)에 의하여 흡수되어 로터(3)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낚시꾼에게 불쾌감을 주기 어려워지는 것과 함께, 래칫 톱니(42b)나 래칫 톱니 멈춤쇠(43)에 악영향을 주기 어려워진다.
래칫 톱니(42b)가 래칫 톱니 멈춤쇠(43)에 맞물리면, 로터(3)의 회전이 통상 부재(40)로 전달되어 제동 원통(41)이 로터(3)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동 레버(17)의 제1 조작부(17c)를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끌어들이는 조작을 하면, 비록 제동 레버(17)가 소정 제동 위치에 있어도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 측으로 요동한다. 이 결과, 소정 제동부(21)에 의한 소정 제동 상태가 일단 해제된다. 이때, 토글 용수철(28)이 레버 부재(27)의 요동에 의하여 반전(反轉)하고,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 측으로 압박되어,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 치 측에서 유지된다 (도 6(a)).
이 상태에서 나아가 제동 레버(17)를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제동 레버(17)의 제동 부재(34)가 제동 원통(41) 내주면을 직경 방향 외방으로 강하게 압압한다. 이 제동력은 제동 레버(17)에 가하는 힘을 가감하는 것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고, 로터(3)의 역회전량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제동 레버(17)의 조작력에 따른 제동력이 로터(3)에 부여된다. 이와 같이, 소정 제동 상태의 해제를 잊어도 제동 레버(17)를 끌어들이는 조작을 하는 것만으로 소정 제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낚시터를 이동할 때나 릴을 수납할 때에는, 제1 조작부(17c)로부터 손을 떼어 제2 조작부(17d)를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밀어 넣는 조작을 한다. 그렇게 하면, 도 5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소정 제동 위치로 요동하고, 토글 용수철(28)에 의하여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결과, 계지 톱니 멈춤쇠(70)가 마찰 부재(29)의 제2 요철부(29a)에 계합하여 마찰 부재(29)의 회전이 저지되고, 로터(3)의 역회전이 저지된다.
이때의 제동력은 마찰 부재(29)와 통상 부재(40) 간에 장착된 마찰 링(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정해진다. 이 때문에, 이동 도중에 핸들(1)에 무엇인가가 닿아도 핸들(1)이 돌아가지 않을 정도로 강한 소정 제동력을 얻기 쉬워지고, 낚시터의 이동 도중에 줄이 팽팽히 당겨지지 않고 느슨하게 되는 것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강하게 소정 제동력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마찰 부재(29)와 통상 부재(40)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제동하기 때문에, 제동력이 변동하기 어려워져 안정된다.
나아가, 채비가 늘어뜨려지는 길이를 변경하기 위해서나, 물고기에 입질이 있었을 때에 물고기에게 채비를 확실히 먹혀들게 하기 위하여 로터(3)를 소정 제동 상태로부터 제동 해제 상태로 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동 레버(17)를 약간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무방하다. 그렇게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에 의하여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로 요동하여 소정 제동 상태가 일단 해제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피닝 릴에서는 래칫 휠(42)과 로터(3) 간에는 방진 부재(45)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충돌 시의 래칫 휠(42)의 진동이 방진 부재(45)로 흡수되고 억제되어 로터(3)로 그다지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낚시꾼에게 불쾌감을 주기 어려워지는 것과 함께, 래칫 톱니(42b)나 래칫 톱니 멈춤쇠(43)에 악영향을 주기 어려워진다.
[제2 실시예]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레버 브레이크식의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6)를 구성하는 원웨이 클러치(32)를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피닝 릴의 역회전 금지 기구를 구성하는 원웨이 클러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14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낚싯대의 긴쪽 방향을 따르는 제1 축(X) 둘레에 낚싯줄을 감는 릴이며, 핸들(101)을 구비한 릴 본체(102)와, 릴 본체(102)의 전부에 제1 축(X)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103)와, 로터(103)의 전부에 배치된 낚싯줄을 감는 스풀(104)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02)의 내부에는,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로터(103)를 회전시키기 위한 피니언 기어(112)를 가지는 로터 구동 기구와, 스풀축(108)을 통하여 스풀(104)을 전후로 왕복 이동시키는 오실레이팅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103)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또는 합성 수지제이며, 릴 본체(10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터(103)는 원통부(103a)와, 원통부(103a)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및 제2 암부(103b, 103c)를 가지고 있다. 원통부(103a)의 전벽(103d)의 중앙부에는 관통공(103e)을 가지는 보스부(103f)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103e)에 스풀축(108) 및 피니언 기어(112)가 관통하고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암부(103b)의 선단과 제2 암부(103c)의 선단부 간에는 베일 암(109)이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일 암(109)에 의하여 낚싯줄이 스풀(104)로 안내된다. 로터(103)의 원통부(103a)의 내부에는 로터(103)의 줄 방출 방향의 역회전을 금지하는 역회전 금지 기구(106)가 설치되어 있다.
〔역회전 금지 기구의 구성〕
역회전 금지 기구(106)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132)와, 원웨이 클러치(132)를 역회전 허가 상태와 역회전 금지 상태 간을 전환 조작하기 위한 전환 조작부(133)를 가지고 있다.
원웨이 클러치(132)는 톱니 멈춤쇠식의 것이며, 전환 조작부(133)의 조작에 의하여 로터(103)의 줄 방출 방향의 역회전을 금지 및 허용 가능하다. 따라서, 로터(103)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은 항상 허용된다. 원웨이 클러치(132)는,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103)의 원통부(103a)의 전벽(103d)에 고정된 링상의 래칫 휠(142)과, 릴 본체(102)의 전부(102a)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이 래칫 휠(142)에 접촉 가능한 래칫 톱니 멈춤쇠(143)와, 래칫 톱니 멈춤쇠(143)를 선단이 래칫 휠(142)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박 기구(144)와, 래칫 휠(142)과 전벽(103d) 간에 배치된 방진 부재(145)를 가지고 있다.
래칫 휠(142)은,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103)의 원통부(103a)의 전벽(103d)의 후면 (도 18의 우측의 면)에 복수개 (예를 들어, 4개)의 장착 나사(146)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래칫 휠(142)은 전벽(103d)에 고정되는 원판상의 플랜지부(142a)와, 플랜지부(142a)와 일체 형성된 내주면에 톱니상의 래칫 톱니(142b)가 형성된 통상부(142c)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142a)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나사 구멍(142d)이 형성되어 있고, 그곳에 장착 나사(146)가 돌려 넣어져 래칫 휠(142)이 전벽(103d)에 고정된다. 이 플랜지부(142a)와 전벽(103d)의 후면 간 및 원통부(103a)의 내주면과 통상부(142c) 간에 방진 부재(145)가 장착되어 있다.
래칫 톱니 멈춤쇠(143)는, 래칫 톱니(142b)에 맞물리는 도 15에 도시하는 맞물림 위치와, 래칫 톱니(142b)로부터 이탈하는 도 16에 도시하는 맞물림 해제 위치에 릴 본체(102)의 전부(102a)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래칫 톱니 멈춤쇠(143)는 래칫 톱니(142b)에 맞물리는 톱니 멈춤쇠부(143a)를 선단에 가지고, 요동축(147)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요동 장착부(143b)를 중간부에 가지며, 직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용수철 계지부(143c)를 기단에 가지고 있다. 또한, 톱니 멈 춤쇠부(143a)에는 그곳에서부터 연장되는 전환 돌기(143d)가 형성되어 있다. 용수철 계지부(143c)에는 압박 기구(144)의 맞물림 해제 방향 압박 부재(151, 후술)가 접촉한다. 또한, 전환 돌기(143d)에는 전환 조작부(133)의 전환 캠(163, 후술)이 접촉한다. 요동축(147)은 릴 본체(102)의 전부(102a)에 입설되어 있고, 래칫 톱니 멈춤쇠(143)는 요동축(147)의 선단면에 돌려 넣어진 장착 나사(147a)에 의하여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압박 기구(144)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칫 톱니 멈춤쇠(143)를 맞물림 위치 측으로 상시 압박하는 맞물림 방향 압박 부재(150)와, 로터(103)가 줄 감기 방향으로 정회전하면, 그것에 연동하여 래칫 톱니 멈춤쇠(143)를 맞물림 해제 위치 측으로 압박하는 맞물림 해제 방향 압박 부재(151)를 가지고 있다.
맞물림 방향 압박 부재(150)는 요동축(147)의 외주 측에 감겨지며, 일단이 릴 본체(102)에 계지되고, 타단이 래칫 톱니 멈춤쇠(143)에 계지된 비틀림 코일 용수철로 구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 방향 압박 부재(150)의 압박력은 맞물림 해제 방향 압박 부재(151)의 압박력보다 약하다. 이 때문에, 로터(103)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맞물림 해제 방향 압박 부재(151)는 맞물림 방향 압박 부재(150)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래칫 톱니 멈춤쇠(143)를 맞물림 해제 위치 측으로 압박한다.
맞물림 해제 방향 압박 부재(151)는 용수철성을 가지는 금속제 선재를 물음표 형상으로 만곡 및 접어 구부려 형성된 용수철 부재(155)와, 용수철 부재(155)가 계지되고 스풀축 둘레에 소정 범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요동 부재(156)를 가 지고 있다. 용수철 부재(155)는 로터(103)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피니언 기어(112)에 압접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요동 부재(156)는 피니언 기어(112)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요동 부재(156)는 로터(10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용수철 계지부(143c)에 접촉한다. 이 결과, 맞물림 해제 방향 압박 부재(151)는 로터(10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맞물림 해제 방향 (도 15 및 도 16의 시계 회전의 방향)으로 래칫 톱니 멈춤쇠(143)를 압박하고, 래칫 톱니 멈춤쇠(143)를 래칫 휠(142)로부터 이반시킨다. 이 결과, 줄 감기 시의 원웨이 클러치(132)의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방진 부재(145)는 예를 들어, NBR이나 우레탄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 고무제의 테두리붙이 통상의 부재이다. 방진 부재(145)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칫 휠(142)의 플랜지부(142a)와 전벽(103d) 간에 양자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와셔 형상의 안 테두리부(145a)와, 안 테두리부(145a)와 일체 형성되고 원통부(103a)와 통상부(142c) 간에 양자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통부(145b)를 가지고 있다. 방진 부재(145)는 래칫 톱니(142b)가 래칫 톱니 멈춤쇠(143)에 충돌하여 맞물릴 때에, 그 충돌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여, 래칫 휠(142)로부터 로터(103)로 진동을 전달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전환 조작부(133)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02)에 스풀축(108)과 평행한 축 둘레에 전후로 관통하여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하는 것) 가능하게 장착된 스토퍼 캠축(161)과, 스토퍼 캠축(161)의 후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스토퍼 레버(162)와, 스토퍼 캠축(161)의 선단에 일체 형성된 전환 캠(163)을 가지고 있다. 전환 캠(163)은 스토퍼 캠축(161)의 회동 축심에 대하여 편심하고 있고, 스토퍼 캠축(161)의 회동에 대하여 요동한다. 전환 캠(163)은 스토퍼 레버(162)에 의하여 스토퍼 캠축(161)이 역회전 허가 방향 (도 16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칫 톱니 멈춤쇠(143)의 전환 돌기(143d)에 접촉하여 래칫 톱니 멈춤쇠(143)를 맞물림 해제 위치를 향하여 압압한다. 이 결과, 원웨이 클러치(132)는 역회전 허가 상태가 되어, 로터(103)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환 캠(163)은 스토퍼 레버(162)에 의하여 스토퍼 캠축(161)이 역회전 금지 방향 (도 15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칫 톱니 멈춤쇠(143)의 전환 돌기(143d)로의 압압을 해제하고, 래칫 톱니 멈춤쇠(143)는 맞물림 방향 압박 부재(150)에 의하여 압박되어 맞물림 위치를 향하여 요동한다. 이 결과, 원웨이 클러치(132)가 역회전 금지 상태가 되어, 로터(103)의 줄 방출 방향의 역회전이 금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피닝 릴에서도 래칫 휠(142)과 로터(103) 간에는 방진 부재(145)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충돌 시의 래칫 휠(142)의 진동이 방진 부재(145)로 흡수되고 억제되어 로터(103)로 그다지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낚시꾼에게 불쾌감을 주기 어려워지는 것과 함께, 래칫 톱니(142b)나 래칫 톱니 멈춤쇠(143)에 악영향을 주기 어려워진다.
〔다른 실시예〕
(a)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부(42c)의 외주면과 로터(3)의 원통부(3a)의 내주면 간의 간극(42e)에 O링 등의 탄성체제의 링 부재(90)를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통상부(42c)의 외주면에 환상의 링 장착 홈(42f)을 형성하고, 그 링 장착 홈(42f)에 링 부재(90)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간극(42e)에도 탄성체제의 링 부재(90)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을 한층 더 흡수할 수 있다. 덧붙여, 링 부재(90)는 탄성체제의 링 부재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b)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칫 휠(42)의 통상부(42c)의 외주면에 래칫 톱니(42b)의 외경보다 바닥 직경이 작은 환상의 링 장착 홈(42g)을 형성하고, 그곳에 O링 등의 탄성체제의 링 부재(91)를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맞물림 시에 래칫 톱니(42b)가 래칫 톱니 멈춤쇠(43)에 충돌할 때, 링 부재(91)의 내주부에 래칫 톱니 멈춤쇠(43)의 선단이 접촉하기 때문에 충돌 시의 충격이 한층 더 완화된다. 이 경우에도, 링 부재(91)는 탄성체제의 링 부재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다른 실시예 (a)의 링 부재(90)와 겸용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링 부재(91)를 간극(42e)에 장착 가능한 형상으로 하면 된다. 또한, 링 부재(91)보다 대경의 다른 링 부재를 링 장착 홈(42g)에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방진 부재(45, 145)를 장착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전벽(3d, 103d)에 래칫 휠(42, 142)을 고정하였지만, 원통부(3a, 103a)의 내주면에 래칫 휠(42, 142)을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원통부(3a, 103a)의 내주면과 래칫 휠(42, 142)의 통상부(42c, 142c) 간에 방진 부재를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전벽(3d, 103d)과 래칫 휠(42, 142) 간에 간극을 형성하거나, 또는 탄성 부재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래칫 휠과 로터 간에는 방진 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충돌 시의 진동이 방진 부재로 흡수되고 억제되어, 로터에 그다지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낚시꾼에게 불쾌감을 주기 어려워지는 것과 함께, 래칫 톱니나 래칫 톱니 멈춤쇠에 악영향을 주기 어려워진다.
Claims (10)
-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에 설치되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에 있어서,상기 로터에 고정되고 내주(內周)에 톱니상의 래칫 톱니가 형성된 링상의 래칫 휠과,상기 릴 본체 및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릴 부품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래칫 톱니에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와 상기 래칫 톱니로부터 이탈하는 맞물림 해제 위치 간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래칫 톱니 멈춤쇠와,상기 래칫 톱니 멈춤쇠를 적어도 상기 맞물림 위치 측으로 압박하는 압박 기구와,상기 래칫 휠과 상기 로터 간에 개장(介裝)된 방진(防振) 부재를 구비하며,상기 로터와 상기 릴 본체 및 상기 릴 부품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로터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만 연결하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압박 기구는 상기 로터가 줄 감기 방향으로 정회전하면 상기 래칫 톱니 멈춤쇠를 맞물림 해제 위치 측으로 압박하고, 줄 방출 방향으로 역회전하면 상기 래칫 톱니 멈춤쇠를 상기 맞물림 위치 측으로 압박하는 양방향 압박 부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압박 기구는 상기 로터의 회전에 관계없이, 상기 래칫 톱니 멈춤쇠를 상기 맞물림 위치 측으로 압박하는 맞물림 방향 압박 부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압박 기구는 상기 로터가 줄 감기 방향으로 정회전하면, 상기 래칫 톱니 멈춤쇠를 상기 맞물림 방향 압박 부재보다 강한 압박력으로 맞물림 해제 위치 측으로 압박하는 맞물림 해제 방향 압박 부재를 더 가지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로터는 원통부와 원통부의 전부(前部) 내주면에 일체 형성된 전벽부(前壁部)를 가지고,상기 래칫 휠은 상기 원통부 및 전벽부 중 어느 한 쪽에 고정되고 또한 어느 한 다른 쪽과 간극을 두고 배치되며,상기 방진 부재는 상기 래칫 휠과 상기 원통부 및 전벽부의 한 쪽 간에 개장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원통부 및 전벽부 중 어느 한 다른 쪽과 상기 래칫 휠 간의 간극에 양자에 접촉하여 배치된 탄성체제의 제1 링 부재를 더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로터는 원통부와 원통부의 전부(前部) 내주면에 일체 형성된 전벽부를 가지고,상기 래칫 휠은 상기 원통부 및 전벽부 중 어느 한 쪽에 고정되며,상기 방진 부재는 상기 래칫 휠과 상기 원통부 및 전벽부 간에 개장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래칫 휠은 상기 래칫 톱니의 외경(外徑)보다 바닥 직경이 작은 환상(環狀) 홈을 외주면(外周面)에 가지고,상기 환상 홈에 장착되는 탄성체제의 제2 링 부재를 더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스피닝 릴은 제동 레버에 의하여 상기 릴 부품으로서의 제동 부재를 제동하는 레버 브레이크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이고,상기 래칫 톱니 멈춤쇠는 상기 제동 부재에 설치되며,상기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만 상기 제동 부재로 전달하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스피닝 릴은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역회전을 금지하는 역회전 금지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이고,상기 래칫 톱니 멈춤쇠는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며,상기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로터의 상기 역회전을 금지하는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249033 | 2004-08-27 | ||
JPJP-P-2004-00249033 | 2004-08-27 | ||
JPJP-P-2004-00250354 | 2004-08-30 | ||
JP2004250354A JP4500629B2 (ja) | 2004-08-27 | 2004-08-30 |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
JPJP-P-2004-00322393 | 2004-11-05 | ||
JP2004322393A JP4512469B2 (ja) | 2004-11-05 | 2004-11-05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ワンウェイクラッチ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3105A KR20060053105A (ko) | 2006-05-19 |
KR101143971B1 true KR101143971B1 (ko) | 2012-05-09 |
Family
ID=3527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5658A KR101143971B1 (ko) | 2004-08-27 | 2005-08-18 |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7163167B2 (ko) |
EP (1) | EP1629714B1 (ko) |
KR (1) | KR101143971B1 (ko) |
AT (1) | ATE363207T1 (ko) |
DE (1) | DE602005001240D1 (ko) |
MY (1) | MY135120A (ko) |
SG (1) | SG120258A1 (ko) |
TW (1) | TWI345954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13475A (ko) * | 2013-03-15 | 2014-09-24 |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 낚시용 릴의 래칫 휠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6033344A1 (de) * | 2006-07-19 | 2008-01-24 | Andreas Stihl Ag & Co. Kg | Handgeführtes Arbeitsgerät |
KR101126546B1 (ko) * | 2009-06-26 | 2012-03-26 |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 낚시용 베이트 릴의 클러치 기구 |
GB2485393B (en) * | 2010-11-12 | 2012-09-26 | Frenzee Ltd | Reel |
US8424790B1 (en) * | 2011-12-02 | 2013-04-23 | Shih-Yuan Yeh | Brake device for a fishing reel |
US8745867B1 (en) * | 2013-01-14 | 2014-06-10 | Kit Masters | Modular viscous fan clutch system |
JP6261884B2 (ja) * | 2013-06-05 | 2018-01-17 | 株式会社シマノ |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そのロータ制動装置の制動操作レバー |
JP6247843B2 (ja) * | 2013-06-21 | 2017-12-13 | 株式会社シマノ |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そのロータ制動装置の制動操作レバー |
US9578860B2 (en) * | 2013-08-23 | 2017-02-28 | Allen Fly Fishing Llc | Fly reel with ratcheting drag system |
JP6518520B2 (ja) * | 2015-03-18 | 2019-05-22 | 株式会社シマノ | スピニングリール |
CN110192545B (zh) * | 2019-06-10 | 2024-06-18 | 慈溪市永杰精工渔具有限公司 | 一种渔线轮往复机构及应用该往复机构的纺车式鱼线轮 |
KR20220033118A (ko) * | 2020-09-09 | 2022-03-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프리휠 조절형 바퀴 및 이를 구비하는 헬스 자전거 |
JP2023149351A (ja) * | 2022-03-31 | 2023-10-13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19865A (ja) * | 1992-02-14 | 1993-08-31 | Shimano Inc | スピニングリール |
JPH0670667A (ja) * | 1984-02-10 | 1994-03-15 | Brunswick Corp | 投げ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 |
JPH0923790A (ja) * | 1995-07-11 | 1997-01-28 | Ryobi Ltd |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
JP2003056605A (ja) | 2001-08-13 | 2003-02-26 | Nsk Warner Kk | ラチェットワンウェイクラッチ及びラチェットワンウェイクラッチを用いたステータ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330633B (ko) | 1967-10-17 | 1970-11-23 | Abu Ab | |
SE7905746L (sv) | 1979-07-02 | 1981-01-03 | Abu Ab | Anordning av en frikopplingsbar sperrmekanism vid en fiskerulle |
JPS58178876U (ja) | 1982-05-26 | 1983-11-30 | 株式会社シマノ | スピニングリ−ル |
JP2530817Y2 (ja) * | 1990-11-20 | 1997-04-02 | 株式会社シマノ | スピニングリール |
US5350129A (en) | 1991-05-31 | 1994-09-27 | Shimano Inc. | Spinning reel having balancing means |
JP2553303Y2 (ja) * | 1991-08-26 | 1997-11-05 | 株式会社シマノ | スピニングリール |
US5547140A (en) * | 1992-05-13 | 1996-08-20 | Shimano, Inc. | Spinning reel having an anti-reverse mechanism |
JP3983498B2 (ja) | 2001-05-14 | 2007-09-26 | ダイワ精工株式会社 | 魚釣用リ−ル |
-
2005
- 2005-08-09 TW TW094126973A patent/TWI345954B/zh active
- 2005-08-10 SG SG200505071A patent/SG120258A1/en unknown
- 2005-08-10 US US11/200,070 patent/US716316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8-16 MY MYPI20053833A patent/MY135120A/en unknown
- 2005-08-17 AT AT05255070T patent/ATE363207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8-17 EP EP05255070A patent/EP1629714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5-08-17 DE DE602005001240T patent/DE602005001240D1/de active Active
- 2005-08-18 KR KR1020050075658A patent/KR1011439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70667A (ja) * | 1984-02-10 | 1994-03-15 | Brunswick Corp | 投げ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 |
JPH05219865A (ja) * | 1992-02-14 | 1993-08-31 | Shimano Inc | スピニングリール |
JPH0923790A (ja) * | 1995-07-11 | 1997-01-28 | Ryobi Ltd |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
JP2003056605A (ja) | 2001-08-13 | 2003-02-26 | Nsk Warner Kk | ラチェットワンウェイクラッチ及びラチェットワンウェイクラッチを用いたステータ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13475A (ko) * | 2013-03-15 | 2014-09-24 |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 낚시용 릴의 래칫 휠 |
KR102231270B1 (ko) * | 2013-03-15 | 2021-03-24 |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 낚시용 릴의 래칫 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TE363207T1 (de) | 2007-06-15 |
SG120258A1 (en) | 2006-03-28 |
EP1629714B1 (en) | 2007-05-30 |
MY135120A (en) | 2008-02-29 |
KR20060053105A (ko) | 2006-05-19 |
TWI345954B (en) | 2011-08-01 |
DE602005001240D1 (de) | 2007-07-12 |
EP1629714A1 (en) | 2006-03-01 |
TW200611640A (en) | 2006-04-16 |
US7163167B2 (en) | 2007-01-16 |
US20060169814A1 (en) | 2006-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3971B1 (ko) |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 | |
JP6198421B2 (ja) | 釣り用リールの爪歯車 | |
KR101759072B1 (ko) | 스피닝 릴의 스풀 연결 구조 | |
US9615558B2 (en) | Dual-bearing reel | |
KR101692836B1 (ko) | 스피닝 릴의 드랙 전환 장치 | |
JP2014176359A5 (ko) | ||
JP2011041494A5 (ko) | ||
JP4863716B2 (ja)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 |
JP5184759B2 (ja)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装置 | |
CN100529453C (zh) | 旋转式绕线轮的单向离合器 | |
JP2007185130A5 (ko) | ||
JP2007312703A5 (ko) | ||
JP5588152B2 (ja)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 |
JP4512469B2 (ja)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ワンウェイクラッチ | |
JP4500629B2 (ja) |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 |
KR100877308B1 (ko) | 스피닝 릴 | |
JP2006129775A5 (ko) | ||
KR102294430B1 (ko) | 스피닝 릴 | |
KR20110019701A (ko) |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 |
JP4451744B2 (ja) |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装置 | |
TW201336407A (zh) | 紡車式捲線器及紡車式捲線器的牽引力切換裝置 | |
JP2013146245A5 (ko) | ||
JP2011041560A (ja)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 |
JP4572041B2 (ja)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 |
JP4427481B2 (ja)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