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245B1 -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 - Google Patents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245B1
KR101142245B1 KR1020110110987A KR20110110987A KR101142245B1 KR 101142245 B1 KR101142245 B1 KR 101142245B1 KR 1020110110987 A KR1020110110987 A KR 1020110110987A KR 20110110987 A KR20110110987 A KR 20110110987A KR 101142245 B1 KR101142245 B1 KR 101142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ox
door
vehic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to KR1020110110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외부로 미끄러져 나와 화물 적재가 용이하며, 더불어 적재함을 차량 내부로 안전하게 밀어 넣어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실에 장착되어 적재실 내외부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적재함으로서, 적재실에 장착된 레일들과, 레일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며 적재실의 외부로 인출되는 쪽에 도어가 장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측벽이 형성된 슬라이드 함과, 레일들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함의 위치를 고정하는 잠금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SLIDING CARRIER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외부로 미끄러져 나와 화물 적재가 용이하며, 더불어 적재함을 차량 내부로 안전하게 밀어 넣어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대형 버스의 경우 버스의 측면 하단부에 적재실이 형성되며, 적재실의 도어를 개방한 후에 화물을 적재실에 넣어 적재한다. 이와 같이 적재실이 버스의 측면 하단부에 형성됨에 따라 화물을 실거나 내릴 때에 허리를 숙인 상태로 화물을 이동시켜야 하며, 특히 적재실에 화물을 적재함에 있어 적재실 안쪽부터 화물을 적재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작업자가 낮은 적재실 내부로 들어가 허리를 굽힌 상태에서 화물을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08619호에는 트럭의 적재함 이동장치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도시된 트럭의 적재함 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은 차량에 설치된 램(13)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적재함(1)이 지지멤버(10)에 놓인 상태로 램(13)의 신축에 의해 적재함(1)이 이동한다. 그리고 램(13)의 신축에 따라 세로부재(16)를 밀어 슬라이딩 멤버(12)가 가이드 멤버(1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딩 멤버(12)와 가이드 멤버(11)는 사각 파이프 구조로서, 면접촉을 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램의 신축에 따른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며 마모도 심하게 발생한다. 또한 적재함의 구성에 대해서는 기술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08619호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적재함에 화물을 실거나 내릴 때에 용이하도록 구성한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하는 화물의 크기 및 양에 따라 차량 밖으로 나오는 적재함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실에 장착되어 차량의 내부 및 외부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며 차량의 주행 중에도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한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실에 장착되어 적재실 내외부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적재함으로서, 적재실에 장착된 레일들과, 레일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며 적재실의 외부로 인출되는 쪽에 도어가 장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측벽이 형성된 슬라이드 함과, 레일들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함의 위치를 고정하는 잠금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는 측벽에 고정된 제1고정브래킷들에 힌지 결합되어 슬라이드 함의 외향으로 선회하며 슬라이드 함의 안쪽으로 선회할 경우 제1고정브래킷과 간섭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는 길이 중간이 만곡되어 양단이 측벽을 향해 위치하며, 제1고정브래킷들은 측벽의 상하부에 각각 고정되고, 제1고정브래킷은 두 평행부과 두 평행부를 연결하는 폐쇄부를 구비하고, 도어의 양단은 제1고정브래킷들 각각의 두 평행부 사이에 힌지 결합되어 도어가 슬라이드 함의 안쪽으로 선회할 경우 폐쇄부과 간섭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두 평행부 중 상부에 위치한 평행부에는 제1고정브래킷의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며, 슬롯이 형성된 상부 평행부의 상면에는 레버가 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며, 레버는 평행부의 슬롯에 삽입되도록 회전하여 폐쇄부와 레버의 사이에 위치한 도어의 단부를 잠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의 단부 및 제1고정브래킷 중 어느 한 쪽에는 자석이 고정되어 도어가 슬라이드 함의 외향으로 선회하여 슬라이드 함을 개방하였을 때에 자석이 다른 한 쪽에 부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실의 바닥에는 슬라이드 함의 이동방향으로 제1레일이 고정되고, 적재실의 측벽에는 슬라이드 함의 이동방향으로 제2레일이 고정되며, 슬라이드 함의 저면과 측벽 외측에는 제1레일 및 제2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베어링들이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함의 저면에는 가이드 롤러 핀들이 장착되며, 가이드 롤러 핀은 제1레일의 측면에 접한 상태로 슬라이드 함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레일은 슬라이드 함에 장착된 베어링을 감싸는 채널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함은 사각 구조의 바닥 프레임과, 바닥 프레임의 3변을 따라 수직하게 고정된 측벽 프레임 및 나머지 1변에 대응하며 측벽 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도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 프레임의 상면에는 패널이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부는 슬라이드 함에 고정된 잠금브래킷과, 잠금브래킷의 상면에 위치하는 코일스프링과, 잠금브래킷의 상면에 고정되며 코일스프링을 감싸는 지지브래킷과, 지지브래킷에 형성된 관통공과 코일스프링 및 잠금브래킷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며 코일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고정핀과, 고정핀의 상단에 고정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고정핀은 적재실의 바닥에 고정된 제2고정브래킷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부는 슬라이드 함에 고정된 잠금브래킷과, 잠금브래킷의 상면에 위치하는 코일스프링과, 잠금브래킷의 상면에 고정되며 코일스프링을 감싸는 지지브래킷과, 지지브래킷에 형성된 관통공과 코일스프링 및 잠금브래킷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며 코일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고정핀과, 고정핀의 상단에 고정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고정핀은 제2레일의 상면에 고정된 제2고정브래킷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함이 이동함에 있어 제2고정브래킷과 대응하도록 슬라이드 함에 잠금부들이 간격을 두고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함의 저면에는 삽입봉과 고무블록이 형성되고, 적재실의 바닥에는 스토퍼가 고정되며, 슬라이드 함이 적재실의 안쪽에 위치하였을 때에 삽입봉이 스토퍼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고 고무블록은 스토퍼에 접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부는 일단이 슬라이드 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적재실에 힌지 결합된 공압시스템으로서, 공압시스템은 실린더에 흐르는 유체에 의해 로드가 이동하면서 슬라이드 함을 이동시키거나 잠금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은 일측에 도어를 장착하여 적재함에 화물을 실거나 내릴 때에 도어를 개방하여 쉽게 실거나 내릴 수 있으며, 또한 화물의 적재를 완료한 상태에서는 도어를 닫아 잠금한 상태로 적재함을 차량의 내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적재함에 실린 화물이 관성에 의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은 베어링의 회전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미끄러짐이 용이하며, 이와 같이 미끄러짐이 용이한 적재함이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차량의 흔들림에 요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적재된 화물 및 적재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은 화물의 크기 또는 양에 따라 차량 외부로 이동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도시된 트럭의 적재함 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을 나타낸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드 적재함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어 및 측벽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어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레일 및 제2레일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슬라이드 함에 장착된 가이드 롤러 핀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8은 잠금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잠금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슬라이드 함의 측부에 장착된 잠금부들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1은 슬라이드 함과 적재실에 장착된 삽입봉, 고무블록 및 스토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적재함으로서, 공압시스템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3은 공압시스템에 의해 슬라이드 함이 이동한 상태로 고정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을 나타낸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드 적재함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어 및 측벽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어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레일 및 제2레일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슬라이드 함에 장착된 가이드 롤러 핀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8은 잠금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잠금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슬라이드 함의 측부에 장착된 잠금부들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1은 슬라이드 함과 적재실에 장착된 삽입봉, 고무블록 및 스토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의 적재실(20)은 버스의 측면 하부에 형성되며, 차체와 대응하여 적재실(20)의 도어(21)가 장착된다. 그리고 적재실(20)의 내부에는 슬라이드 적재함(100)이 설치되며, 도어(21)를 상부로 개방하면 적재실(20)에 장착된 슬라이드 적재함(100)이 노출된다.
이와 같이 적재실(20)의 도어(21)를 상부로 개방하고, 개방된 적재실(20) 내부의 슬라이드 함(110)을 버스 밖으로 인출한다.
아래에서는 슬라이드 적재함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적재함(100)은 화물을 적재하는 슬라이드 함(110)과, 슬라이드 함(110)이 차량의 외부로 미끄러져 이동하도록 장착된 적재실(20)의 바닥과 측벽에 고정된 레일(151, 152)과, 슬라이드 함(110)이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적재실(20) 또는 레일(162)에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는 잠금부(161, 162, 163)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함(110)은 격자 구조의 바닥 프레임(120)과, 바닥 프레임(120)의 일측에 장착되는 도어(130)와, 바닥 프레임(120)의 가장자리에 수직하게 고정된 측벽 프레임(140)을 포함하며, 바닥 프레임(120)에는 패널(121)이 고정되어 슬라이드 함(110)의 안쪽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에서 바닥 프레임(120)의 일측에는 도어(130)가 위치하며 도어(130)는 양측에 수직하게 고정된 측벽 프레임(140)에 힌지 결합된다. 힌지 결합된 양측 도어(130)는 슬라이드 함(110)의 외향으로 선회하여 개방되며, 슬라이드 함(110)의 내측으로 선회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측벽 프레임(140)의 상하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형 제1고정브래킷(141)이 2개 고정되며, 제1고정브래킷(141)의 안쪽에 도어(130)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힌지 결합된다. 제1고정브래킷(141)은 상호 마주하는 평행부(141H)들이 슬라이드 함(110)의 바깥쪽을 향하며 평행부(141H)들을 연결하는 폐쇄부(141C)가 슬라이드 함(110)의 안쪽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도어(130)는 길이 중간이 180도 절곡된 파이프 구조로서, 양단이 제1고정브래킷(141)에 삽입되어 힌지 결합됨으로써, 도어(130)는 슬라이드 함(110)의 외향으로만 회전하여 개방되고 슬라이드 함(110)의 내측으로는 폐쇄부(141C)에 간섭되어 회전하지 않게 구성된다.
한편, 측벽 프레임(140)에 고정된 2개의 제1고정브래킷(141) 중에서 상부에 위치한 제1고정브래킷(141)의 평행부(141H)에는 제1고정브래킷(141)의 길이방향으로 슬롯(141S)이 형성되고, 평행부(141H)의 상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는 레버(143)가 장착된다. 따라서 도어(130)가 폐쇄부(141C)와 접한 상태에서 레버(143)를 하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143)가 슬롯(141S)에 끼워지면서 레버(143)와 폐쇄부(141C) 사이에 도어(130)의 단부가 위치한다. 따라서 레버(143)가 하향으로 선회하여 슬롯(141S)에 끼워지면 도어(130)는 닫힌 상태로 잠금되고, 도어(13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레버(143)를 상향으로 선회시켜 슬롯(141S) 밖으로 인출하여야 도어(130)가 레버(143)와 간섭 없이 슬라이드 함(110)의 외향으로 선회 가능하다.
한편, 하부에 형성된 제1고정브래킷(141)에는 자석(145)이 고정된다. 자석(145)의 위치는 도어(130)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130)와 접하는 지점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어(130)가 완전히 개방되면 도어(130)가 자석(145)의 자력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열린 도어(130)는 자유롭게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된다.
여기에서 각 측벽 프레임(140)에 상하로 고정된 2개의 제1고정브래킷(141) 중에서 앞에서는 레버(143)가 상부에 위치한 제1고정브래킷(141)에 장착된 것으로, 그리고 하부에 위치한 제1고정브래킷(141)에 자석(145)이 고정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레버(143)가 하부에 위치한 제1고정브래킷(14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자석(145)은 도어(130)에 고정되어 상부에 위치한 제1고정브래킷(141)에 부착 고정되도록 변경 가능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실(20)의 바닥에는 슬라이드 함(110)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2개의 제1레일(151)이 고정되고, 양측 측벽 프레임(140)에는 제2레일(152)이 각각 고정된다. 여기에서 제1레일(151)은 슬라이드 함(110)의 저면과 대응하며 슬라이드 함(110)의 하중을 받으며, 제2레일(152)은 슬라이드 함(110)의 상하좌우 유동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제2레일(152)은 C채널 구조로서, 제2레일(152)의 안쪽에는 측벽 프레임(140) 외측에 장착된 베어링(124)이 삽입되어 위치하며, 제1레일(151)의 평면에는 바닥 프레임(120)의 저면에 고정된 베어링(123)이 안착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함(110)이 이동함에 따라 베어링(123, 124)들도 함께 이동하면서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드 함(11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프레임(120)의 저면에는 가이드 롤러 핀(125)이 고정되며, 가이드 롤러 핀(125)은 제1레일(151)의 측면에 접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함(110)이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 롤러 핀(125)도 함께 이동하게 되고, 가이드 롤러 핀(125)은 제1레일(151)의 측면과 접하여 이동함에 따라 베어링(123)이 제1레일(151)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는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함(110)에는 잠금부(161, 162, 163)가 장착되어 슬라이드 함(110)의 위치를 고정한다.
잠금부(161, 162, 163)는 슬라이드 함(110)의 바닥 프레임(120) 전방에 장착된 제1잠금부(161)와, 측벽 프레임(140)에 장착된 제2잠금부(162) 및 제3잠금부(163)로 구분되며, 제1잠금부(161) 내지 제3잠금부(163)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잠금부(161, 162, 163)는 슬라이드 함(110)의 바닥 프레임(120)과 측벽 프레임(140)의 외향으로 고정된 잠금브래킷(171)과, 잠금브래킷(171)의 상면에 고정되며 잠금브래킷(171)과의 사이에 코일스프링(174)이 위치하도록 상향으로 절곡된 지지브래킷(173)과, 잠금브래킷(171)과 지지브래킷(173)에 대응하게 형성된 관통공(171H, 173H)들을 관통해 위치하는 고정핀(177)과, 지지브래킷(173)의 상부에 위치하며 고정핀(177)의 상단이 고정된 손잡이(175), 그리고 잠금브래킷(171)과 지지브래킷(173)의 사이에 위치하며 고정핀(177)의 둘레를 감싸며 고정핀(177)에 형성된 걸림턱(179)과 지지브래킷(173)의 저면에 양단이 접해 위치하는 압축 코일스프링(174)을 포함한다. 따라서 손잡이(175)를 상향으로 잡아 올리면 고정핀(177)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코일스프링(174)은 압축된다. 반대로 손잡이(175)를 놓으면 코일스프링(174)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핀(177)은 하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잠금부(161)는 바닥 프레임(120)의 전방(도어가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잠금부(162)와 제3잠금부(163)는 측벽 프레임(140)의 길이 중간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적재실(20)의 바닥과 제2레일(152)의 상면에는 제2고정브래킷(23)이 고정되며 제2고정브래킷(23)에는 각 잠금부(161, 162, 163)의 고정핀(177)이 삽입되는 관통공(23H)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슬라이드 함(110)이 적재실(20) 안쪽에 위치하였을 때, 제1잠금부(161)와 제2고정브래킷(23)은 상호 대응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함(110)이 제1레일(151)과 제2레일(152)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 제2레일(152)에 장착된 제2고정브래킷(23)은 제2잠금부(162) 또는 제3잠금부(163)와 대응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함(110)을 적재실(20)의 안쪽에 장입된 상태에서는 제1잠금부(161)의 고정핀(177)이 적재실(20)의 바닥에 고정된 제2고정브래킷(23)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함(110)을 고정하고, 슬라이드 함(110)이 적재실(20) 밖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2잠금부(162) 또는 제3잠금부(163)의 고정핀(177)이 제2레일(152)에 고정된 제2고정브래킷(23)의 관통공(23H)에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이때 제2잠금부(162)와 제3잠금부(163)의 간격만큼 적재실(20) 밖으로 슬라이드 함(110)을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잠금부(161)에 의해 슬라이드 함(110)이 고정됨으로써, 슬라이드 함(110)은 차량의 주행 중에 유동하지 않게 되고, 제2잠금부(162)와 제3잠금부(163)에 의해 슬라이드 함(110)이 고정됨으로써, 슬라이드 함(110)이 적재실(20) 밖으로 인출되어 나온 상태에서 슬라이드 함(110)이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때, 화물의 크기에 따라 제2잠금부(162)와 제3잠금부(163)를 선택하여 슬라이드 함(110)이 차량 밖으로 인출된 길이를 설정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프레임(120)에는 전단과 후단에 삽입봉(127)이 후방을 향해 고정되며, 삽입봉(127)의 측부에는 완충부재인 고무블록(129)이 고정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함(110)이 적재실(20) 안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삽입봉(127)들이 각각 삽입되는 스토퍼(24)들이 적재실(20)의 바닥에는 고정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함(110)을 적재실(20)의 안쪽으로 밀어 넣게 되면 삽입봉(127)들이 각 스토퍼(24)의 관통공(24H)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함(110)이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고무블록(129)은 스토퍼(24)와 접하면서 슬라이드 함(110)이 적재실(20)의 안쪽으로 밀어 넣었을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제2실시예]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슬라이드 적재함은 슬라이드 함을 이동시킴에 있어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하여야 하지만, 아래에서 설명한 제2실시예에서는 잠금부의 한 예로서 공압시스템이 슬라이드 함과 적재실 사이에 장착되어 신축하면서 슬라이드 함의 이동 및 잠금을 제어한다.
이 경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잠금부의 구성은 제2실시예의 구성에서 제외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적재함으로서, 공압시스템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3은 공압시스템에 의해 슬라이드 함이 이동한 상태로 고정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프레임(120)의 저면에는 공압시스템(200)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적재실(20)의 바닥에는 공압시스템(200)의 타단이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공압시스템(200)의 길이가 신장되면 슬라이드 함(110)은 적재실(20) 밖으로 이동하게 되고, 공압시스템(200)의 길이가 수축되면 슬라이드 함(110)은 적재실(20) 안쪽으로 이동한다.
공압시스템(200)은 실린더(201)의 길이방향으로 진입 또는 진출하는 로드(202)가 포함되며 실린더(201)로 흐르는 유체를 제어함으로써, 로드(202)의 이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공압시스템(200)의 로드(202) 단부를 바닥 프레임(120)의 저면에 형성된 브래킷 등에 힌지 결합하고, 실린더(201)의 단부를 적재실(20) 바닥에 고정된 러그 등에 힌지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드 함(110)은 공압시스템(200)의 신축 제어에 의해 미끄러져 이동한다.
또한 공압시스템(200)의 신축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실린더(201) 내부의 유체 흐름이 정지함에 따라 로드(202)의 위치는 고정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같이 잠금부(161, 162, 163)가 구성되지 않더라도 공압시스템(200)에 의해 슬라이드 함(110)의 위치가 고정된다.
20 : 적재실
21 : 도어
23, 141 : 고정브래킷
24 : 스토퍼
100 : 슬라이드 적재함
110 : 슬라이드 함
120 : 바닥 프레임
130 : 도어
140 : 측벽 프레임
151, 152 : 레일
161, 162, 163 : 잠금부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차량의 적재실에 장착되어 적재실 내외부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적재함으로서,
    적재실에 장착된 레일들과,
    레일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며 적재실의 외부로 인출되는 쪽에 도어가 장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측벽이 형성된 슬라이드 함과,
    레일들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함의 위치를 고정하는 잠금부들을 포함하며,
    도어는 측벽에 고정된 제1고정브래킷들에 힌지 결합되어 슬라이드 함의 외향으로 선회하며 슬라이드 함의 안쪽으로 선회할 경우 제1고정브래킷과 간섭되고,
    도어는 길이 중간이 만곡되어 양단이 측벽을 향해 위치하며,
    제1고정브래킷들은 측벽의 상하부에 각각 고정되고, 제1고정브래킷은 두 평행부과 두 평행부를 연결하는 폐쇄부를 구비하고, 도어의 양단은 제1고정브래킷들 각각의 두 평행부 사이에 힌지 결합되어 도어가 슬라이드 함의 안쪽으로 선회할 경우 폐쇄부과 간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
  4. 제3항에 있어서,
    두 평행부 중 상부에 위치한 평행부에는 제1고정브래킷의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며, 슬롯이 형성된 상부 평행부의 상면에는 레버가 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며, 레버는 평행부의 슬롯에 삽입되도록 회전하여 폐쇄부와 레버의 사이에 위치한 도어의 단부를 잠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
  5. 제3항에 있어서,
    도어의 단부 및 제1고정브래킷 중 어느 한 쪽에는 자석이 고정되어 도어가 슬라이드 함의 외향으로 선회하여 슬라이드 함을 개방하였을 때에 자석이 다른 한 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
  6. 차량의 적재실에 장착되어 적재실 내외부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적재함으로서,
    적재실에 장착된 레일들과,
    레일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며 적재실의 외부로 인출되는 쪽에 도어가 장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측벽이 형성된 슬라이드 함과,
    레일들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함의 위치를 고정하는 잠금부들을 포함하며,
    적재실의 바닥에는 슬라이드 함의 이동방향으로 제1레일이 고정되고, 적재실의 측벽에는 슬라이드 함의 이동방향으로 제2레일이 고정되며, 슬라이드 함의 저면과 측벽 외측에는 제1레일 및 제2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베어링들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
  7. 제6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함의 저면에는 가이드 롤러 핀들이 장착되며, 가이드 롤러 핀은 제1레일의 측면에 접한 상태로 슬라이드 함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제2레일은 슬라이드 함에 장착된 베어링을 감싸는 채널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
  9. 삭제
  10. 삭제
  11. 차량의 적재실에 장착되어 적재실 내외부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적재함으로서,
    적재실에 장착된 레일들과,
    레일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며 적재실의 외부로 인출되는 쪽에 도어가 장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측벽이 형성된 슬라이드 함과,
    레일들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함의 위치를 고정하는 잠금부들을 포함하며,
    잠금부는 슬라이드 함에 고정된 잠금브래킷과, 잠금브래킷의 상면에 위치하는 코일스프링과, 잠금브래킷의 상면에 고정되며 코일스프링을 감싸는 지지브래킷과, 지지브래킷에 형성된 관통공과 코일스프링 및 잠금브래킷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며 코일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고정핀과, 고정핀의 상단에 고정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고정핀은 적재실의 바닥에 고정된 제2고정브래킷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
  12. 제6항에 있어서,
    잠금부는 슬라이드 함에 고정된 잠금브래킷과, 잠금브래킷의 상면에 위치하는 코일스프링과, 잠금브래킷의 상면에 고정되며 코일스프링을 감싸는 지지브래킷과, 지지브래킷에 형성된 관통공과 코일스프링 및 잠금브래킷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며 코일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고정핀과, 고정핀의 상단에 고정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고정핀은 제2레일의 상면에 고정된 제2고정브래킷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
  13. 제12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함이 이동함에 있어 제2고정브래킷과 대응하도록 슬라이드 함에 잠금부들이 간격을 두고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
  14. 차량의 적재실에 장착되어 적재실 내외부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적재함으로서,
    적재실에 장착된 레일들과,
    레일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며 적재실의 외부로 인출되는 쪽에 도어가 장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측벽이 형성된 슬라이드 함과,
    레일들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함의 위치를 고정하는 잠금부들을 포함하며,
    슬라이드 함의 저면에는 삽입봉과 고무블록이 형성되고, 적재실의 바닥에는 스토퍼가 고정되며, 슬라이드 함이 적재실의 안쪽에 위치하였을 때에 삽입봉이 스토퍼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고 고무블록은 스토퍼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
  15. 차량의 적재실에 장착되어 적재실 내외부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적재함으로서,
    적재실에 장착된 레일들과,
    레일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며 적재실의 외부로 인출되는 쪽에 도어가 장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측벽이 형성된 슬라이드 함과,
    레일들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함의 위치를 고정하는 잠금부들을 포함하며,
    잠금부는 일단이 슬라이드 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적재실에 힌지 결합된 공압시스템으로서, 공압시스템은 실린더에 흐르는 유체에 의해 로드가 이동하면서 슬라이드 함을 이동시키거나 잠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
KR1020110110987A 2011-10-28 2011-10-28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 KR101142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987A KR101142245B1 (ko) 2011-10-28 2011-10-28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987A KR101142245B1 (ko) 2011-10-28 2011-10-28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245B1 true KR101142245B1 (ko) 2012-05-07

Family

ID=46271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987A KR101142245B1 (ko) 2011-10-28 2011-10-28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2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568B1 (ko) * 2013-09-03 2014-01-15 한국오텍공업(주) 서랍식 버스 화물 적재장치
KR101380107B1 (ko) * 2013-09-03 2014-04-04 알앤더스 주식회사 자동형 버스 화물 적재장치
KR101441050B1 (ko) * 2014-04-23 2014-09-17 알앤더스 주식회사 버스 화물 적재장치
KR102139821B1 (ko) * 2019-12-04 2020-07-30 주식회사 신광테크놀러지 버스 수화물 슬라이드 적재장치
KR20230046449A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로지스트 차량용 적재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717Y1 (ko) * 2002-03-19 2002-07-13 주식회사 호룡 고소작업차량용 바스켓
KR20020090731A (ko) * 2001-05-29 2002-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화물 적재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731A (ko) * 2001-05-29 2002-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화물 적재함
KR200280717Y1 (ko) * 2002-03-19 2002-07-13 주식회사 호룡 고소작업차량용 바스켓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568B1 (ko) * 2013-09-03 2014-01-15 한국오텍공업(주) 서랍식 버스 화물 적재장치
KR101380107B1 (ko) * 2013-09-03 2014-04-04 알앤더스 주식회사 자동형 버스 화물 적재장치
KR101441050B1 (ko) * 2014-04-23 2014-09-17 알앤더스 주식회사 버스 화물 적재장치
KR102139821B1 (ko) * 2019-12-04 2020-07-30 주식회사 신광테크놀러지 버스 수화물 슬라이드 적재장치
KR20230046449A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로지스트 차량용 적재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245B1 (ko) 차량의 슬라이드 적재함
US20120298453A1 (en) Vibration damping apparatus for elevator car
US8172296B2 (en) Parcel shelf structure
CN103568789A (zh) 车辆用门构造
CN104369644A (zh) 用于机动车辆的玻璃表面区域的遮蔽设备
KR20070041367A (ko) 차량의 짐칸용 차폐장치
US20210162843A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Opposite Sliding Doors from Swaying
US9248871B1 (en) Multi-position endgate system
KR101553232B1 (ko)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KR20130047242A (ko)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JP2016049938A (ja) 車両用荷室構造
JP2002087166A (ja) 自動車のラゲージフロア装置
CA3191209A1 (en) Vehicle sliding door assembly,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5232628B2 (ja) 車両用荷箱
JP2011213319A (ja) スライドドア装置
KR101550440B1 (ko) 픽업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KR101951855B1 (ko) 차량용 인출식 적재장치
KR101971630B1 (ko) 화물차의 대차보관장치
US11274481B2 (en) Track base door hinge mechanism
KR102324031B1 (ko) 택배 차량의 선반 확장 구조
JP2001148066A (ja) 洗濯物収納装置
KR101653396B1 (ko)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KR101622592B1 (ko) 저소음형 롤러 트랙
CN220517949U (zh) 一种货厢折叠侧门结构
KR20060060878A (ko) 화물차의 적재함 게이트 지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9

Year of fee payment: 8